KR20210077905A -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7905A
KR20210077905A KR1020190169403A KR20190169403A KR20210077905A KR 20210077905 A KR20210077905 A KR 20210077905A KR 1020190169403 A KR1020190169403 A KR 1020190169403A KR 20190169403 A KR20190169403 A KR 20190169403A KR 20210077905 A KR20210077905 A KR 2021007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roller
air conditioner
recover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교
김동현
김현아
신광남
홍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7905A/ko
Priority to PCT/KR2020/016152 priority patent/WO2021125573A1/ko
Publication of KR2021007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13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328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35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공기 조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공기 조화 장치는 필터, 필터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공급 롤러, 공급 롤러와 이격 배치되며, 필터의 타단이 연결된 회수 롤러, 필터가 회수 롤러에 감기도록 회수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필터가 공급 롤러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공급 롤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FILTER MODUL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개시는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루마리 형태의 필터가 의도치 않게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를 오랜 기간 사용하는 경우, 필터에 먼지 등 오염 물질이 적층되어 공기 조화 장치의 성능이 저하된다. 이에, 사용자는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를 주기적으로 세척하거나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최근에는, 공기 조화 장치의 필터가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없애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 교체될 수 있는 필터는 팬 압력 등에 의하여 쉽게 풀릴 수 있으므로, 필터링 되지 않은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두루마리 형태의 필터가 의도치 않게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는 필터, 상기 필터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타단이 연결된 회수 롤러, 상기 필터가 상기 회수 롤러에 감기도록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급 롤러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 롤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급 롤러 탑재되는 공급 하우징, 상기 회수 롤러가 탑재되는 회수 하우징, 상기 공급 하우징, 상기 회수 하우징 및 상기 구동 장치가 탑재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금속 부재 및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에 의해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자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자력에 의해 접촉하는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스텝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수 롤러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박판 및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홈과 맞물리는 캐터필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상기 공급 롤러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댐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조화 장치는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거나, 필터 교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롤러 및 상기 회수 롤러 사이에서 노출되는 필터 면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은 필터, 상기 필터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타단이 연결된 회수 롤러,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급 롤러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 롤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필터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회수 롤러의 축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모듈은 상기 공급 롤러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댐퍼일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 전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필터 모듈 및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회수 하우징 및 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공급 하우징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선 I-I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금속 부재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9에서 캐터필러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개시는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하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의 각 실시 예의 설명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설명한 것이므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일부 구성요소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도 있으며, 다른 구성요소가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독립적인 장치에 분산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가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공기 조화 장치(10)에서 전면 커버(12)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 장치(10)는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11)과 하우징(1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전면 커버(12)에 의하여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공기 조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장치로, 공기를 냉각, 가열, 제습, 감습, 정화하는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고, 그 종류에는 공기 청정기, 에어컨, 가습기, 진공 청소기 등이 있을 수 있다.
전면 커버(12)는 일 측에 외부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흡입구(13)들이 마련될 수 있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11) 내부에는 공기 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1)은 공기 조화 장치(10)를 통하여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후면, 측면 또는 상면중 적어도 한 곳에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 내부에는 필터 모듈(100) 및 필터 모듈(100)이 장착되는 프레임(200)이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200)은 공기 조화 장치(10) 내측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200)의 외주가 공기 조화 장치(10) 내주에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 모듈(100)은 공급 하우징(110), 회수 하우징(120) 및 필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 및 회수 하우징(120)은 프레임(20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 및 회수 하우징(12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과 회수 하우징(120)은 상하로 이격 배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를 보인 것으로, 좌우로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130)는 공급 하우징(110)과 회수 하우징(120) 사이에서 일부분이 노출되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130)는 프리 필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헤파 필터, 탈취 필터, 향균 필터 등 다양한 기능성 필터들이 필터 모듈(100)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필터 모듈(100)만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필터 모듈(100)이 공기의 유동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 회수 하우징(120) 및 프레임(200)의 구체적인 동작 및 구성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3은 도 2에서 필터 모듈(100) 및 프레임(200)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3에서 회수 하우징(120) 및 프레임(200)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3에서 공급 하우징(110)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레임(200)은 공급 하우징(110) 및 회수 하우징(120)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1 수용 공간(210) 및 제2 수용 공간(220)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 및 회수 하우징(120)이 각각 제1 수용 공간(210) 및 제2 수용 공간(220)에 탑재됨에 따라, 필터 모듈(100)은 프레임(20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공급 하우징(110) 및 회수 하우징(120)은 각각 공급 롤러(111) 및 회수 롤러(121)를 내부에 탑재할 수 있다. 공급 롤러(111) 및 회수 롤러(121)는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급 롤러(111)는 필터(130)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 있을 수 있다. 즉, 필터(130)는 공급 롤러(111)의 가로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일단이 공급 롤러(111)에 둥글게 말려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수 롤러(121)는 필터(130)의 타단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공급 롤러(111) 및 회수 롤러(121)는 각각의 축(112, 12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장치(300)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10), 회전력을 회수 롤러(121)로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기어(320, 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310)가 구동 되면, 모터 기어(320)와 맞물리는 축 기어(330)가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수 롤러(121)의 축(122)이 회전하여 필터(130)가 회수 롤러(121)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모터(310)와 모터(310)의 회전력을 회수 롤러(121)로 전달하기 위한 모터 기어(320)는 프레임(2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모듈(100)을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도, 모터(310) 및 모터 기어(320)는 필터 모듈(100)과 함께 교체되지 않고, 프레임(200)에 장착된 상태로 각각의 수명만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터(310)는 회수 롤러(121)의 축(122)에 직접 연결되어 회수 롤러(1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력 전달 장치인 복수의 기어(320, 33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복수의 기어(320, 330)에 의하여 손실되는 회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를 최소화 하여 슬림한 공기 조화 장치(10)를 제공할 수 있다.
공기 조화 장치(10)는 필터(130) 교체 시기가 도래하거나, 필터(130) 교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회수 롤러(121)를 회전시켜 필터(130)를 교체하도록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조건에 따라 공급 하우징(110)과 회수 하우징(120) 사이의 이격된 거리만큼 회수 롤러(121)를 회전시켜서 필터(130)를 교체하도록 구동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필터(130)의 필터링 동작 영역이 변경되는 바, 주기적으로 새로운 필터(130)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공기 조화 장치(10)의 성능이 우수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필터(130)를 직접 교체 및 세척 해야 하는 사용자의 번거로움을 덜어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기 조화 장치(10)는 공급 롤러(111)의 축(112)에 연결되는 기어(113) 및 댐퍼(140)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140)는 필터(130)가 공급 롤러(111)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공급 롤러(111)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140)의 종류는 회전식 댐퍼(rotary damper)일 수 있고, 공급 롤러(111)의 축(112)에 연결된 기어(113)와 댐퍼(140)의 기어(141)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급 롤러(111)가 의도치 않게 회전하여 필터(130)가 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필터(130)는 댐퍼(140)에 의하여 장력을 유지하게 되므로, 어느 부분도 들뜨지 않고 일정한 형상을 가진 채로 공기를 필터링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30)를 통과하지 않은 공기가 공기 조화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공기 조화 장치(10) 전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댐퍼(140)의 토크 값은 모터(310)의 구동 토크 값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댐퍼(140)가 공급 롤러(111)의 회전을 제동하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토크 값을 갖는 모터(310)에 의하여 필터(130)는 원활하게 교체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130)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7는 도 6에서 선 I-I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서 금속 부재(131)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필터(130)는 가장자리에 금속 부재(131)를 포함할 수 있다. 금속 부재(131)의 재료는 철, 구리, 알루미늄 등 자력에 반응하는 것이면 충분하고, 반드시 상기 나열한 금속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부재(131)는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틈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필터(130)와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금속 부재(131)를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접착 시킬 수도 있고, 필터(130)의 망 자체를 금속성 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프레임(200)은 금속 부재(131)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성 부재(23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필터(130)의 금속 부재(131)와 프레임(200)의 자성 부재(230)가 서로 자력에 의하여 접촉하게 되므로, 필터(130)의 가장자리는 프레임(200)과 견고하게 접촉할 수 있다.
다만, 금속 부재(131)와 자성 부재(230)에 배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위치를 바꾸어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자성 부재(230)가 배치되고, 프레임(200)에 금속 부재(131)가 배치될 수 있다. 금속 부재(131)와 자성 부재(230) 사이의 자력은 모터(310)에 의한 필터(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수준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30)의 가장자리와 프레임(200)사이의 틈이 벌어지지 않을 수 있다. 필터(130)는 들뜸 현상 없이 공기 유로 상에서 정확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므로, 필터링 되지 않은 공기가 필터(130)와 프레임(200)사이의 틈으로 누설되어 공기 조화 장치(1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모듈(100)을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9에서 캐터필러(400)의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복수의 홈(133)들이 형성된 박판(132)이 배치될 수 있다. 박판(132)은 금속 부재(131)와 마찬가지로,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틈에 삽입될 수 있고, 필터(130)의 가장자리에 접착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박판(132)에 형성된 복수의 홈(133)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박판(132)은 플라스틱이나 철과 같은 재료로 형성될 수 있고 얇은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프레임(200)은 박판에 대응하는 위치에 캐터필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터필러(400)는 폐 경로를 갖는 체인 형상일 수 있고, 바깥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터필러(400)의 이(410)와 박판(132)의 홈(133)은 적어도 한 곳에서 서로 맞물릴 수 있다. 필터(130)를 교체하는 경우, 박판(132)과 맞물리는 캐터필러(400)는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130)의 이동방향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필터(130)가 교체되는 경우, 캐터필러(400)와 결합된 필터(130)가 위치를 이탈하지 않고 일직선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회수 하우징(120) 측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필터(130)는 안정적으로 교체될 수 있다.
또한 필터(130)의 가장자리가 프레임(200)측의 캐터필러(400)와 결합하게 되므로, 필터(130)는 공기 유동 압력 등 외력에 의하여 위치를 이탈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130) 가장자리와 프레임(200)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틈으로 공기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공기 조화 장치 100: 필터 모듈
110: 공급 하우징 120: 회수 하우징
130: 필터 140: 댐퍼
200: 프레임 210: 제1 수용 공간
220: 제2 수용 공간 230: 자성 부재
300: 구동 장치 310: 모터
320: 모터 기어 330: 축 기어
400: 캐터필러

Claims (15)

  1.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필터;
    상기 필터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타단이 연결된 회수 롤러;
    상기 필터가 상기 회수 롤러에 감기도록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 및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급 롤러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 롤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롤러가 탑재되는 공급 하우징;
    상기 회수 롤러가 탑재되는 회수 하우징;
    상기 공급 하우징, 상기 회수 하우징 및 상기 구동 장치가 탑재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금속 부재; 및
    상기 금속 부재와 자력에 의해 접촉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된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과 자력에 의해 접촉하는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스텝 모터인 공기 조화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수 롤러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복수의 홈들이 형성된 박판; 및
    상기 복수의 홈들 중 적어도 하나의 홈과 맞물리는 캐터필러;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롤러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댐퍼인, 공기 조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필터 교체 시기가 도래하거나, 필터 교체를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공급 롤러 및 상기 회수 롤러 사이에서 노출되는 필터 면을 변경하도록 상기 구동 장치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10. 필터;
    상기 필터의 일단이 두루마리 형태로 감긴 공급 롤러;
    상기 공급 롤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필터의 타단이 연결된 회수 롤러;
    상기 필터가 상기 공급 롤러 방향으로 장력을 유지하도록 상기 공급 롤러가 회전하는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댐퍼; 를 포함하는 필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금속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가장자리에 마련된 자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필터 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롤러의 축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하는, 필터 모듈.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를 더 포함하는 필터 모듈.
  15. 제10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롤러에 연결된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댐퍼는 상기 기어에 맞물리는 회전 댐퍼인, 필터 모듈.
KR1020190169403A 2019-12-18 2019-12-18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20210077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03A KR20210077905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PCT/KR2020/016152 WO2021125573A1 (ko) 2019-12-18 2020-11-17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403A KR20210077905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905A true KR20210077905A (ko) 2021-06-28

Family

ID=76477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403A KR20210077905A (ko) 2019-12-18 2019-12-18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077905A (ko)
WO (1) WO2021125573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6218U (ko) * 1995-07-27 1997-02-21 회전압축기의 토출밸브
KR20110035636A (ko) * 2009-09-30 2011-04-0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 청정기의 필터 장치
KR20130051058A (ko) * 2011-11-09 2013-05-20 김오수 롤 구조의 필터
US10058809B2 (en) * 2012-09-27 2018-08-28 Environmental Management Confederation, Inc. Air cleaner frame
WO2018047368A1 (ja) * 2016-09-12 2018-03-15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102590135B1 (ko) * 2017-11-16 2023-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모듈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5573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0135B1 (ko) 필터 모듈 및 이를 갖춘 공기청정기
US20180224134A1 (en) Slim-Type Air Processing Device
EP2753411B1 (en) Air filtration and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102480324B1 (ko) 공기정화기
KR20170090254A (ko) 공기정화유닛
JP2008057882A (ja) 空気調和機
KR20190045687A (ko) 공기청정 겸용 송풍발생장치
KR20050046872A (ko) 집진장치용 멀티필터 및 그를 이용한 융모형 집진구조
WO2018047368A1 (ja) 空気清浄機
KR100768002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26288A (ko) 공기조화기
JP2008145080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101076957B1 (ko) 공기청정기
KR100968116B1 (ko) 연속 공급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용 필터유닛
WO2017092156A1 (zh) 除尘模块及挂壁式空调器
KR20210077905A (ko)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조화 장치
JP2017058039A (ja) 加湿装置
KR102299620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WO2012099095A1 (ja) フィルタユニットを具えた電気機器
TW201812221A (zh) 空氣清淨機
CN101517332A (zh) 过滤器及使用该过滤器的空调机
KR20080026287A (ko) 공기조화기
JP2008116089A (ja) フィルタ清掃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CN220793374U (zh) 滤网自动清洁装置及空气净化器
KR101607805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