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5105A - 삽입기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 - Google Patents

삽입기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5105A
KR20210075105A KR1020217012830A KR20217012830A KR20210075105A KR 20210075105 A KR20210075105 A KR 20210075105A KR 1020217012830 A KR1020217012830 A KR 1020217012830A KR 20217012830 A KR20217012830 A KR 20217012830A KR 20210075105 A KR20210075105 A KR 202100751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implant
inserter
dista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세 파블로 비케즈
에카르트 홀스트
솔란지 빈다스
에이치 에리얼 세이드너
매튜 솔라
메제르빌 로베르토 드
퀴로스 후안 호세 차콘
토마스 풀러
나탈리아 아라우호
Original Assignee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75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51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2Mammary prostheses and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53Media being expelled from injector by pressurised fluid or vacu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6Breast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50/00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50/0003Special features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having an inflatable pocket filled with fluid, e.g. liquid or g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ard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a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Dowel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양상들은 의료용 임플란트 삽입기(100)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삽입기(100)는 핸들(120), 핸들(120)로부터 원위에 배치된 임플란트-유지 공동, 임플란트-유지 공동의 내부 부분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 결합된 유체 공급 도관(122), 및 근위 부분, 원위 부분, 및 근위 부분과 원위 부분 사이에서의 중간 부분을 가진 원위 노즐(110)로서, 상기 중간 부분은 근위 부분이 원위 부분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원위 노즐(110), 및 원위 개구(112)로서, 임플란트-유지 공동에서의 임플란트는 원위 개구(112)를 통해 삽입기(100)로부터 축출될 수 있는, 상기 원위 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삽입기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
관련 출원들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8년 10월 3일에 출원된, 미국 가 출원 번호 제62/740,693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본 출원에 전체가 참조로 통합된다.
기술 분야
본 개시는 전반적으로 보철 임플란트 삽입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유방 임플란트들과 같은, 의료용 임플란트들의 삽입을 위한 현재 기술들은, 예컨대, 환자 신체로 하여금 활력이 소실되고 손실된 세포 구조들 및/또는 조직 층들을 대체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연장되고, 복잡하며, 및/또는 동적인 치유 프로세스를 야기하는 수술 상처들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현재의 기술들은 수술 이식 부위(예컨대, 조직 포켓)에 또는 그 가까이에 비교적 큰 절개를 요구한다. 절개는, 임플란트가 이식 부위로 물리적으로 조작되는 동안, 그것을 확장하고 열린 채 유지하기 위해 견인기들 및/또는 조직-스프레더들에 의해 조작될 필요가 있다. 이들 기술들은 큰 흉터, 임플란트에 대한 높은 확률의 손상, 및/또는 이식 부위에서의 높은 확률의 감염을 야기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기술들은 주변 조직으로부터 장액들을 비우고 모세 혈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출 튜브들의 삽입을 요구할 수 있으며; 및/또는 치유 프로세스에 영향을 주는 염증 반응들을 가속화할 수 있다. 또한, 절개가 클수록, 치유 동안 및 후에 켈로이드성 및 비후성 흉터에 대한 잠재적인 발생 정도가 커진다는 것이 인지된다. 특정한 환자들은 또한 켈로이드 형성에 더 영향을 받기 쉬우며, 그것에 대한 더 높은 위험에 처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임플란트 삽입기로서, 가압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포함한 핸들;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한, 상기 임플란트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노즐은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노즐은 근위 부분의 단면 치수가 원위 부분의 단면 치수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갖는다. 삽입기는 핸들에 말단에 공동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관을 통한 유체 압력을 통해 원위 개구를 거쳐 공동 내에 하우징된 임플란트를 축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노즐은 공동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노즐의 근위 부분은 핸들의 원위 부분의 짝을 이루는(mating) 피처들에 상보적인 짝을 이루는 피처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핸들 또는 노즐 중 하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노즐의 핸들의 다른 것은 상기 돌출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핸들 및 노즐은 상보적 스레딩 부분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삽입기는 핸들과 노즐 사이에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부분은 공동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노즐의 원위 개구는 약 25mm 내지 약 30mm와 같은, 범위가 약 20mm 내지 약 40mm에 이르는 단면 치수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핸들은 도관을 통해 공동으로 말단으로 가압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작동기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작동기는 도관을 통해 약 20psi 내지 약 100psi의 유체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삽입기는 공동 내에 배치된 챔버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는 도관과 연통하며 챔버로의 유체의 흐름 시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핸들은 챔버로부터 가압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된 벤트(vent)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삽입기는 노즐의 원위 개구를 커버하는 캡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캡은 원위 개구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원위 개구와 연통하는 애퍼처(aperture)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캡은 노즐과의 유체-밀봉 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노즐의 원위 부분은 노즐의 근위 부분보다 더 가요적이며, 선택적으로 노즐의 원위 부분은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노즐은 원위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비대칭 형태를 갖는다. 선택적으로, 노즐은 유방 임플란트와 같은, 탄성 임플란트를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또한 임플란트 삽입기로서, 도관을 포함한 핸들, 및 상보적 짝을 이루는 피처들을 통해 상기 핸들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을 포함한, 상기 임플란트 삽입기에 관한 것이며, 상기 노즐은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노즐은 근위 부분의 단면 치수가 원위 개구의 단면 치수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갖는다. 상기 도관은 노즐과 유체 연통할 수 있으며, 삽입기는 핸들에 말단에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기는 상기 도관을 통한 유체 압력을 통해 상기 원위 개구를 거쳐 공동 내에 하우징된 임플란트를 축출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노즐은 공동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삽입기는 노즐과 유체 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캡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캡은 노즐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상기 캡은 노즐에 진공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노즐은 원위 개구를 둘러싼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노즐은 원위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원위 개구는 타원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위 개구의 최대 직경은 범위가 약 25mm 내지 약 35mm에 이른다.
본 개시의 양상들은 임플란트 삽입기로서: 작동기를 포함한 핸들;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로서, 상기 노즐은 공동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및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공동의 직경은 원위 개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원위 부분은 상기 근위 부분보다 가요적인, 상기 노즐; 및 막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fluidly) 결합된 도관으로서, 상기 챔버는 상기 작동기에 의해 제어된 챔버로 유체의 흐름 시 공동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도관을 포함하는, 상기 임플란트 삽입기에 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유방 임플란트는 공동에 배치된다. 선택적으로, 유방 임플란트는 가요성 쉘 및 점-탄성 충전 겔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추가 양상들은 노즐 및 핸들을 포함하는 삽입기로 임플란트를 로딩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노즐의 공동으로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노즐은 공동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공동은 원위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기 임플란트 삽입하기, 및 상기 노즐의 근위 부분을 상기 핸들에 부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가압 유체를 수용하고 가압 유체를 노즐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공동으로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은 진공 압력에 의해 공동으로 임플란트를 끌어 당기는 것(drawing)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은 도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 압력을 통해 노즐의 원위 개구를 거쳐 임플란트를 밀어냄으로써 삽입기로부터 임플란트를 사출(eject)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에서 예시된 양상들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들 도면들은 본 개시의 상이한 양상들을 도시하며, 적절한 경우, 상이한 도면들에서 유사한 구조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및/또는 요소들을 예시한 참조 번호들은 유사하게 라벨링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것들이 아닌 다른, 구조들, 구성요소들, 및/또는 요소들의 다양한 조합들이 고려되며 본 개시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을지라도,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양상들은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으며, 그것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본 개시는 임의의 단일 양상 또는 실시예에도, 이러한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의 임의의 조합들 및/또는 순열들에도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각각의 양상(예컨대, 디바이스, 방법 등) 및/또는 그것의 변형들은 단독으로 또는 본 개시의 다른 양상들 및/또는 그것의 변형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간결성을 위해, 특정한 순열들 및/또는 조합들이 본 출원에서 별도로 논의되고 및/또는 예시되지 않는다. 특히, 본 출원에서 "대표적인"으로 설명된 실시예 또는 구현은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들 또는 구현들에 비해 선호되거나 또는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실시예(들)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인 것을 반영하거나 또는 나타내도록 의도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임플란트 삽입 디바이스)의 뷰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에 대한 변형의 뷰를 도시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의 원위 팁의 대표적인 뷰들을 도시한다.
도 5, 도 6, 도 7a, 및 도 7b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들의 노즐들의 대표적인 뷰들을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들의 추가 노즐들의 대표적인 뷰들을 도시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대표적인 2-파트 노즐을 도시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들의 노즐들의 대표적인 원위 팁 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의 핸들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의 노즐 및 캡 어셈블리의 다양한 뷰들을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조립된 삽입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조립된 삽입기의 단면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도 15 및 도 16에서 도시된 조립된 삽입기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8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또 다른 삽입기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9a 및 도 19b는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또 다른 삽입기의 부분들의 측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대표적인 방법에서 단계들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예들은 환자의 신체의 내부 면적들을 치료하기 위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삽입기(또한 본 출원에서 삽입기 디바이스로서 불리움) 및 환자의 임플란트(예컨대, 환자로의 삽입을 위한 보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공된 용어들 및 정의들은, 기술의 용어들 및/또는 정의들 또는 참조로 통합된 것들과 충돌하는 경우, 통제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들 "포함하다", "포함하는", 또는 그것의 다른 변형들은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단지 이들 요소들만을 포함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프로세스,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명확하게 나열되거나 또는 내재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부가적으로, 용어 "대표적인"은 본 출원에서 "이상적인"보다는, "예시적인"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된, 용어들 "약", "대체로", 및 "대략"은 서술된 값의 +/-5% 내에서의 값들의 범위를 나타낸다.
용어들 "근위" 및 "원위"는 본 출원에서 대표적인 삽입기 디바이스의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이며 방향성 위치들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근위" 또는 "근위로"는 디바이스의 조작자에 비교적 가까운 위치를 나타낸다. 반대로, "원위" 또는 "원위로"는 디바이스의 조작자로부터 비교적 더 멀리 떨어진 및/또는 환자의 신체의 내부에 더 가까운 위치를 나타낸다.
이식 부위로, 보철 임플란트와 같은, 임플란트의 삽입에 유용한 기구들, 디바이스들(삽입기들, 예컨대, 이식 또는 삽입기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이 본 출원에 개시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최소-침습성 방식으로(예컨대, 이식 부위에 또는 그 가까이에서 절개 및/또는 조직 변위의 정도, 크기, 및/또는 형태를 감소시키도록 의도된 방식으로)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삽입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 설명된 삽입기 디바이스들은 하나 이상의 최소 침습성 시술들을 통해 임플란트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경우들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은 비-최소-침습성 시술로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삽입을 위해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들은, 예컨대, 유방, 둔부, 종아리, 및 미적 및/또는 재건 임플란트들을 포함한, 다른 의료용 임플란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하게, 본 개시에 따른 임플란트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가요적(예컨대, 탄성, 압축 가능, 확장 가능, 및/또는 탄력적으로 변형 가능)일 수 있다. 적어도 일 예에서, 본 출원에 개시된 기구들,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을 갖고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는 탄성 속성들, 예컨대 초점탄성 및/또는 고 탄성 속성들을 가진 유방 임플란트일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르면, 임플란트는 점성 겔들을 포함한, 액체 또는 겔과 같은,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는 실리콘 충전 겔을 포함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는 이식 이전, 또는 후에 실리콘 겔로 사전-충전될 수 있다. 임플란트는 생체 적합성 표면들을 가진 쉘(예컨대, 외부 케이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는 WO 2015/121686, WO 2017/093528, 및/또는 WO 2017/196973, 중 하나 이상에 개시된 표면 텍스처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쉘은, 예컨대, 증가된 생체 적합성을 가진 표면 텍스처를 위해 제공하는 표면의 거칠기, 첨도(예컨대, 표면의 피크 높이들 및 밸리 깊이들의 분포를 나타내는), 및/또는 비대칭도와 같은, 표면 특징들 또는 특성들의 조합을 가질 수 있다. 쉘은 환자의 몸 내에서 임플란트의 이식 및 매끄러운 전달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저-마찰 표면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유방 임플란트들에 대한 참조들은 본 개시의 나머지 전체에 걸쳐 사용되지만, 개시는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출원에 개시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은 임의의 적절한 임플란트들, 예컨대 미적 임플란트들 및/또는 재건 의료 시술들에서 사용된 임플란트들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출원에서의 시스템들, 디바이스, 및 방법들은 환자의 신체로 유방, 둔부, 종아리, 및/또는 다른 임플란트들 중 하나 이상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삽입기 디바이스들, 시스템들, 및 방법들의 양상들은 본 출원에 참조로 통합된, WO 2017/181144에서 개시된 디바이스들 및 방법들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출원에 설명된 삽입기 디바이스들은 유방 임플란트 또는 다른 임플란트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한 시술들을 표준화하고 및/또는 가능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삽입기 디바이스는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한-손 진전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임플란트 및 삽입기 시스템의 특징들의 조합은, 예컨대 환자 행복을 개선하기 위해, 최소-침습성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표면 텍스처링을 가진, 탄성 속성들(예컨대, 높은 쉘 신장, 높은 쉘 강도, 및 점-탄성 충전 겔의 조합)에 의해 특성화된 유방 임플란트는 절개 부위의 흉터를 최소화하고, 설치 동안 임플란트를 손상시키는 위험을 감소시키며, 및/또는 수술 상처의 치유를 가속화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본 출원에 설명된 최소-침습성 삽입 방법으로 삽입기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이식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출원에 설명된 삽입기 디바이스는 환자의 몸 내에서 임플란트의 매끄러운 전달 및 이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표면 마찰 속성들을 가질 수 있다. 몇몇 배열들에서, 본 출원에 설명된 삽입기 디바이스들은 "비접촉식(touchless)" 이식 시술을 제공하기 위해 무균 패키징 시스템에 적응시킬 수 있다. 즉, 의사, 간호사, 또는 다른 전문 의료진 또는 사용자는 삽입기 디바이스로 임플란트를 로딩할 때 또는 이식 동안의 다른 시간들에서 임플란트를 직접 다룰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는 무균 방식으로 노즐 안에 사전-패키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전문 의료진은 시술 동안 임플란트를 만질 필요가 없다.
참조가 이제 본 개시의 도면들에 대해 이루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전달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대표적인 삽입기(100)를 예시한다. 삽입기(100)는 노즐(110) 및 핸들(12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10)은 원위 개구(112) 및 핸들(120)의 상보적 체결 면적(124)과 맞물리기 위한 체결 면적(116)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은 유체 공급 도관 또는 루멘(122), 스토퍼(126), 작동기(128), 및 유체 공급 마우스(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삽입기(100)는 임플란트를 유지하고 전달하기에 적합한 다양한 적절한 크기들, 형태들, 및 특성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삽입기(100)는, 예컨대 노즐(110) 및 핸들(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노즐(110) 및 핸들(120)의 각각은 다양한 형태들 및 크기들 중 임의의 것을 가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개시에 따른 삽입기(100)의 하나의 변형을 묘사하지만, 도 3은 부가적인 변형(삽입기(100'))을 묘사한다. 뿐만 아니라, 도 13 내지 도 17 및 도 18은 삽입기(100 및/또는 100')에 대하여 본 출원에 설명된 특성들(예컨대, 노즐 특성들, 핸들 특성들, 재사용성, 식별 특성들, 상호교환 가능성 등) 중 임의의 것을 공유할 수 있는 삽입기(삽입기들(600, 700))의 부가적인 변형들을 묘사한다. 부가적으로, 도 4a 내지 도 12d는 본 출원에 개시된 삽입기들 중 임의의 것과 조합하여 적용 가능할 수 있는 대표적인 노즐 크기들 및 형태들을 묘사한다.
삽입기(100) 및/또는 삽입기(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는 삽입기 디바이스 또는 임플란트를 식별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가진 고유 디바이스 식별자(UDI)와 같은, 식별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DI는 삽입기(100)의 식별을 위해, 및/또는 이식-후 임플란트 인식 및 추적 가능성을 위해 임플란트에 마이크로-트랜스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삽입기(100) 및/또는 삽입기(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는 쉘 파열을 알리거나 또는 진단하기 위한 제어 신호, 환자의 조직의 감염, 및/또는 주변 조직 온도를 모니터함으로써 환자의 조직의 감염 반응의 표시들로서 사용될, 온도, 전기 임피던스에서의 변화, 및/또는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능력을 가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센서들은 UDI의 부분이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UDI 및/또는 센서(들)는 예를 들어, 임플란트에 인접한 및/또는 그것과 접촉한 삽입기(100)의 내부 표면을 포함하여, 삽입기(100) 또는 임플란트 상에 또는 그것 내에서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삽입기(100)는 일회용(예컨대, 폐기 가능한) 디바이스일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삽입기(100) 중 일부 또는 모두(예컨대, 핸들(120) 및/또는 노즐(110))는 살균 후와 같이,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
이제 삽입기(100)의 추가 특성들을 참조하면, 노즐(110)은 이식-전 임플란트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에 의해 정의된 공동은 압축된, 롤링된, 또는 그 외 축소-크기 구성으로 임플란트를 하우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의 직경 또는 단면 치수는 압축/롤링 등 구성으로 임플란트의 단면 크기를 정의할 수 있다. 노즐(110)의 치수들은 삽입기(100)를 사용하여 전달될 임플란트의 치수들(예컨대, 크기 및 형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으며 및/또는 그 역 또한 마찬가지이다(예컨대, 노즐(110)의 치수들에 기초하여 임플란트의 특성들이 선택될 수 있다).
노즐(110)은 예컨대, 본 출원에 설명된 및/또는 본 출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WO 2017/181144에서, 절개를 통해 임플란트를 삽입하기에 적합한 임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노즐(110)은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가진 일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그것은 그것의 원위 단부 부분에서의 직경 또는 단면 치수보다 그것의 근위 단부 부분에서 더 큰 직경 또는 단면 치수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노즐(110)은 예컨대, 핸들(120)과 결합하기 위한 근위 단부 부분, 및 원위 개구(112)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가진 노즐(110)의 일 부분은 노즐(110)의 대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의 비교적 작은 퍼센티지는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노즐(110)의 약 50% 미만, 약 40% 미만, 약 30% 미만, 또는 약 25% 미만이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노즐(110)은 단일 피스(piece)일 수 있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접합 지점들에서 맞춰지고, 슬로팅(slot)되고, 조립되고, 클리핑되고, 용접되거나, 또는 함께 접합되는 다수의 피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10)은 또한 본 출원에서 추가로 설명된, 부가적인 프로파일들 및 피처들(예컨대, 임플란트를 하우징하기 위한 공동에 대하여 및/또는 원위 개구(112)에 대하여)을 가질 수 있다. 노즐(110)은 하나 이상의 생체 적합성 폴리머 또는 공중합체 재료(들)(예컨대,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실리콘, 폴리카보네이트, 그것의 조합 등)로부터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 외 그것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110)은 강성, 반-강성, 가요성 또는 그것의 조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110)의 원위 개구(112)는 환자 상에서의 절개 부위를 팽창시키고 임플란트를 절개 부위로 향하게 하기에 충분히 강성일 수 있지만, 부위를 찢거나 또는 손상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및/또는 임플란트의 변형을 피하기 위해 충분히 연성이다. 게다가, 원위 개구(112)는 예컨대, 핸들(120)과의 체결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더 강성일 수 있는, 노즐(110)의 근위 단부 부분보다 더 가요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은 폐기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예컨대, 삽입기(100)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임플란트들은 몰딩 가능하고, 유연하고, 압축 가능하며, 및/또는 그 외 압축된 삽입 구성 및 배치된, 확장 구성 사이에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임플란트는 점-탄성 및 저 마찰 표면 속성들을 가진 고-강도 가요성 쉘을 포함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노즐(110)은 삽입 구성(예컨대,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압축된, 폴딩된, 롤링된, 또는 임의의 다른 저-프로파일 구성)으로 임플란트를 수용하도록 챔버를 정의할 수 있다. 원위 개구(112)로부터 환자의 신체로의 전달에 이어서, 임플란트는 확장되고, 압축 해제되거나, 또는 그 외 배치된 구성을 가정할 수 있다.
노즐(110)의 내부 표면과 같은, 노즐(110)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은 삽입기(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예컨대, 내부 표면) 및 그 안에 하우징된 임플란트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 사이에서 마찰 계수를 감소시키기 위해 윤활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윤활성 코팅은 내부 표면과 같은, 노즐(110)의 하나 이상의 표면들 상에 고정된 주액형(water-activated) 코팅일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윤활성 코팅은 생체 적합성 윤활제 및/또는 임의의 다른 생체 적합성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임플란트 쉘과 노즐(110)의 내부 표면 사이에서의 마찰 계수를 감소시켜서, 예컨대, 삽입기(100)로부터의 임플란트를 빼낼 때, 임플란트의 삽입 구성과 배치 구성 사이에서의 매끄러운 이전을 촉진시킬 수 있다.
노즐(110)의 몇몇 양상들은 찢어짐 또는 임플란트 또는 환자 조직에 대한 다른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노즐(110)의 특성들은 삽입기(100)가 임플란트를 두기 위해 작동될 때 임플란트에 대한 원하는 축출 압력을 달성하는 것을 돕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및/또는 노즐(110)의 원위 단부를 통해 임플란트의 원하는 사출 속도를 달성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컨대, 원위 개구(112)의 특성들은 원하는 임플란트 사출 속도 또는 임플란트 사출 압력을 달성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선택될 수 있거나, 또는 삽입기(100)의 배치 정밀도, 환자 조직과의 삽입기(100)의 생체 적합성, 특정한 절개 크기의 호환성, 및/또는 다른 목적들을 개선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원위 개구(112)는 삽입기(100)의 공동에(예컨대, 노즐(110) 안쪽에) 하우징된 임플란트가 이식 시술 동안 삽입기(100)를 빠져나갈 수 있는 노즐(110)의 원위에서 또는 그 가까이에서의 애퍼처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원위 개구(112)는 노즐(110)의 최 말단 단부일 수 있다. 원위 개구(112)는 원위-대면 개구일 수 있으며, 및/또는 노즐(110)의 근위-원위 축에 대하여 각이 질 수 있다. 원위 단부(112)의 단면 크기(예컨대, 원위 개구(112)의 직경)는 예컨대, 상기 목표들 중 하나 이상을 달성하기 위해 임의의 적절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원위 개구(112)의 단면 크기는 약 0.5cm 내지 약 3.5cm, 약 1cm 내지 약 3cm, 약 1cm 내지 약 2cm, 또는 약 1.5cm 내지 약 2.5cm와 같은, 범위가 약 0.5cm 내지 약 5cm에 이를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원위 개구(112)의 둘레와 같은, 노즐(110)의 적어도 일 부분은, 예컨대, 임플란트가 노즐의 원위 개구를 통과할 때, 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원위 개구(112)의 단면 크기는 임플란트가 그것을 통과할 때 증가할 수 있다(예컨대, 약 0.5cm에서 약 2cm로, 약 2.5cm로, 약 3cm로, 또는 약 3.5cm로 증가한다).
원위 개구(112)는 예컨대, 형태가 둥근형, 타원형, 반-타원형(예컨대, 편평한 일 측면 및 둥글거나 또는 타원형인 또 다른 측면을 가진), 그 외 곡선, 또는 각진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위 개구(112)의 크기 및 형태는 환자로 삽입될 임플란트의 크기 및 형태를 수용하기 위해, 절개를 통해 이식 부위로 임플란트를 유도하기 위해, 및/또는 절개를 통해 노즐(110)의 원위 부분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개구(112)는 둥글지 않은 임플란트를 수용하기 위해 반-타원형 또는 각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원위 개구(112)의 각짐, 및/또는 원위 개구(112)의 직경은 또한 맞춤화될 수 있다. 게다가, 원위 개구(112)는 경계를 이루고, 측면에 위치되며, 및/또는 원위 개구(112)의 둘레 주위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슬릿들, 플랩들, 페탈(petal)들 또는 연장부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피처들은 원위 개구(112) 주위에서 원주형 배열로 배치될 수 있거나, 또는 원위 개구(112) 주위에 대칭으로 또는 비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피처들은 절개를 통해 원위 개구(112)를 배치하며 및/또는 원위 개구(112)를 통해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배치를 유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피처들은 가요적일 수 있다(예컨대, 압력이 임플란트의 통과에 의해 그것에 가해질 때 구부러지기에 충분히 가요적이거나, 또는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의 근위 영역보다 더 가요적인). 본 개시는 노즐들 상에서 원위 개구들의 다수의 대표적인 변형들을 포함하며, 그 중 임의의 것은 삽입기(100)의 노즐(110)과 조합하여, 또는 본 개시에 의해 설명되거나 또는 포함된 임의의 다른 삽입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대표적이 노즐들의 각각에 대한 변화들이 또한 고려된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숙련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노즐(110)의 다른 특성들은 상이하게 사이징되고 성형된 임플란트들을 수용하며, 및/또는 원하는 가요성, 축출 압력, 및/또는 다른 특성을 삽입기(100)에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이퍼의 정도 또는 각도, 테이퍼 형태, 및/또는 노즐(110)의 길이는 상이하게 사이징되고 성형된 임플란트들을 수용하며 및/또는 절개를 통한 노즐(110)의 일 부분의 유도 및/또는 이식 부위에서의 임플란트의 배치를 가능하게 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110)은 플레어형(flared)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예컨대, 노즐(110)의 원위 부분에), 이것은 절개로의 노즐(110)의 삽입 및/또는 임플란트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배치를 도울 수 있다.
핸들(120)은 노즐(110)에 가역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결합 가능할 수 있다. 핸들(120)은 유체 공급 루멘(122)을 하우징하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의 형태 및 크기는 개인에 의한 사용의 용이함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핸들(120)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삽입기(100)를 조작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한 손으로 쥘 수 있을 것이다.
핸들(120)은 핸들(120)의 체결 표면(124) 및/또는 노즐(110)의 체결 표면(116)을 포함할 수 있는, 적절한 메커니즘을 통해 노즐에 부착되고, 분리되며, 및/또는 재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표적인 부착 메커니즘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스레드들, 클램프들, 나사들, 및 탭들을 포함하며, 이것은 핸들(120) 및/또는 노즐(110)의 접촉 부분들에, 그것 상에, 및/또는 그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체결 표면(124)은 체결 표면(116)의 복수의 스레드들에 상보적인 복수의 스레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들에서, 체결 표면들(124, 116)은 영구적으로 또는 가역적으로 노즐(110)로의 핸들(120)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다른 짝을 이루는 피처들(예컨대, 클립들, 클램프들, 접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은 핸들(120) 및 유체 공급 마우스(130)를 통해 노즐(110)의 내부 부분으로, 예컨대, 그것이 연결되는 유체(도시되지 않음)의 소스로부터의, 유체의 통과를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유체 공급 루멘(122)을 정의하거나 또는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 루멘(122)은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루어(Luer) 연결, 스레드 연결, 클립 연결, 락 연결 등을 통해 유체 공급에 결합되거나 또는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유체 공급은 가압 가스 또는 액체와 같은, 가압 유체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가압 유체 소스는, 예컨대, 휴대용 압축된 유체 캐니스터, 가압 유체 라인(예컨대, 가스 라인 또는 물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유체 소스는 압축된 가스의 폐기 가능한 또는 리필 가능한 캐니스터일 수 있다. 삽입기(100)로 로딩된 임플란트는 유체 공급 루멘(122) 및 유체 공급 마우스(130)가 임플란트로부터 근위에 위치된 영역으로 가압 유체를 전달하기 위해 배치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유체는, 전달될 때, 노즐(110)의 원위 개구(112)를 향해 및 그것을 통해 원위로 임플란트를 이끌기 위해 임플란트에 압력을 부여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 논의된, 유체 공급 루멘(122) 및 유체 공급 마우스(130)는 유체 공급으로부터 노즐(110)의 근위 영역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풍선, 확장 가능한 챔버, 또는 막에 의해 정의된 공동과 같은, 확장 가능한 공동으로 가압 유체를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유체로부터 이러한 확장 가능한 공동으로의 압력은 임플란트에 압력을 부여하고 그것을 원위 개구(112)를 통해, 원위로 이끌기 위해 공동을 확장시키며 및/또는 막, 풍선 벽, 또는 공동 벽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예컨대, 삽입기들(600, 700)에 대하여), 핸들(120)은 확장 가능한 공동으로부터의 가압 유체의 분출을 허용하기 위해, 확장 가능한 공동과 삽입기의 외부 사이에 개방 가능한 벤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핸들(120)은 예컨대, 핸들(120)의 원위 단부 또는 원위-대면 벽에 의해 정의된, 스토퍼(126)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126)는 노즐(110)의 근위 단부를 커버하고 및/또는 폐쇄하도록 사이징되며 구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핸들(120)이 노즐(110)에 결합될 때, 스토퍼(126)는 삽입기(100)에 임플란트를 하우징할 수 있는 공동의 최 근위의 벽을 정의할 수 있다. 적어도 일 예에서, 스토퍼(126)는 임플란트가 공동에 배치된 후 노즐(110)의 근위 단부를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스토퍼(126)는 예컨대, 스레드들, 루어-형 연결, 접착제, 진공- 또는 흡입-형 폐쇄, 클립들, 클램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체결 표면들(124, 116)과 같은, 노즐(110)에 핸들(120)을 부착할 수 있는 연결 또는 짝을 이루는 피처들에 의해 노즐(110)에 대고 제자리에 유지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스토퍼(126)는 예컨대, 노즐(110)에 대한 씰을 더 양호하게 형성하기 위해, 탄성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유체 공급 마우스(130)는 스토퍼(126) 말단에 공동으로 가압 유체의 전달을 허용하기 위해, 스토퍼(126)를 통과할 수 있다(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은 유체 공급 마우스(130)를 통해 유체 공급으로부터 압축 가스 또는 다른 가압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고 종료하기 위한 작동기(128)를 포함할 수 있다. 작동기(128)는, 예컨대, 유체 공급 루멘(122)의 더 근위 부분 및 유체 공급 마우스(130) 사이에 연결을 개방/생성하며 및/또는 폐쇄할 수 있는, 버튼, 손잡이, 밸브, 스위치, 클립, 또는 그것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작동기(128)는 스프링이 들어있을 수 있거나 또는 그 외 노즐(110)의 공동에 하우징된 임플란트를 향한 가압 유체의 개방 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일관된 압력을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삽입기(100)와 유사한, 삽입기(100')를 묘사한다. 삽입기(100')는 원위 개구(112')를 가진 노즐(110'), 및 유체 공급 루멘(122'), 스토퍼(126'), 및 체결 면적(124')을 가진 핸들(120')을 포함한다. 삽입기(100')의 양상들은 삽입기(100)의 유사한 양상들과 임의의 특성들을 공유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10')은 원뿔형 테이퍼링 부분 및 원뿔형 테이퍼링 부분과 각을 형성하는 원위 팁(원위 개구(112')를 포함한)을 포함한다. 삽입기(100')는 노즐(110')의 근위 부분에 부착된 유지 부가 장치(144')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지 부가 장치(144')는 예컨대, 삽입기(100')의 조작을 도울 수 있다. 이것은 노즐(110')을 만지려는 요구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할 수 있으며, 이것은, 예컨대 외과적 시술 전 또는 그 동안 노즐(110')의 및/또는 사용자의 손의 청결 및/또는 무균을 유지하도록 도울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유지 부가 장치(144')는 임플란트를 노즐(110')로 로딩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유지 부가 장치(144')는 상보적 스레드들, 클립, 스냅-온 연결, 접착제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단에 의해, 예컨대 노즐(110') 또는 핸들(120')에 부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설명된 삽입기들(상기 설명된 삽입기(100), 및/또는 삽입기들(600, 700), 또는 그것의 변형들)은 점-탄성 및/또는 다른 탄성 속성들을 가진 임플란트, 예컨대 탄성 쉘 및 점-탄성 충전 겔을 포함한 임플란트의 이식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이러한 탄성 속성들은 임플란트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여, 임플란트로 하여금, 예컨대 환자의 트라우마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식으로의 이식을 위해, 감소된 프로파일에서 삽입기(예컨대, 삽입기(100))의 노즐(예컨대, 노즐(110))로 로딩하기 위해 압축되고, 스트레칭되며, 및/또는 신장되도록 허용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이식은 최소-침습성 시술의 부분일 수 있다. 삽입기(100) 및/또는 임플란트의 다양한 속성들은 임플란트의 방사 압축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것은 더 작은 절개로의 전진을 위해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압축하기 위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100)의 다양한 속성들은 약 5cm 이하, 예컨대, 약 0.5cm, 약 1cm, 약 1.5cm, 약 2cm, 약 2.5cm, 약 3cm, 약 3.5cm, 약 4cm, 약 4.5cm, 또는 약 5cm와 같은, 약 4cm 이하, 약 3cm 이하, 약 2cm 이하, 약 1.5cm 이하, 또는 약 1cm 이하의 절개로의 진전을 위해 임플란트를 압축하는 것을 돕도록 사이징되고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100)는 약 0.5cm 내지 약 5cm 사이, 약 1cm 내지 약 3cm 사이, 또는 약 1.5cm 내지 약 3.5cm 사이의 길이를 가진 절개로의 임플란트의 이식에 적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출원에 개시된 삽입기들(예컨대, 삽입기들(100, 100', 600, 700), 또는 그것의 변형들)은 상호 교환 가능하게 상이한 유형들의 노즐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들(예컨대, 핸들(120))은 상이한 크기들, 형태들, 및/또는 유형들의 노즐들에 상보적인 부착 피처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노즐 형태, 크기, 및/또는 유형은 그러므로 주어진 임플란트, 시술, 및/또는 환자에 대해 선택될 수 있다. 본 출원에 개시된 노즐들의 다양한 특성들(예컨대, 노즐의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재료들의 강성/가요성, 원위 개구의 형태, 원위 개구의 단면 크기 등)은 전문 의료진이 임플란트가 전달되는 궤적 및/또는 속도를 보다 양호하게 제어하고 및/또는 원하는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더 정밀한 배치를 허용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c는 비대칭 팁을 가진 노즐들(110, 110')과 유사한, 원뿔형-테이퍼링 노즐(200)을 묘사한다. 예를 들어, 노즐은 노즐의 원위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212)를 포함한다. 도 4a는 연장부(212)의 사시도를 묘사하며, 도 4c는 노즐(200)의 측 단면도를 묘사한다. 연장부(212)는 절개 부위로의 또는 그곳에서 노즐(200)의 원위 단부의 더 정밀한 배치를 허용할 수 있으며, 노즐(200)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 임플란트의 축출을 유도할 수 있다. 도 4b는 예컨대, 섹션(202)의 제거에 의해, 연장부(212)가 어떻게 노즐의 단부에서 단단한 원통형 부분으로부터 절단될 수 있는지를 묘사한다. 연장부(212)는 별개의 구성요소일 필요는 없으며 대신에 노즐(200)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200) 및/또는 연장부(212)는, 원하는 부위로 임플란트를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강성 재료(예컨대,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또는 다른 강성 또는 반-강성 플라스틱 또는 폴리머와 같은 비교적 강성 폴리머, 또는 생체 적합성 금속)로부터 만들어지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연장부(212)는, 일단 절개를 통해 삽입되면, 임플란트가 절개를 통해 원하는 부위로 지나갈 수 있도록 비교적 작은 절개가 개방된 채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본 개시에 따른 노즐들의 원위 단부는 일반적으로 노즐의 세로 축에 평행하여 연장된 두 개 이상의 스트립들에 의해 정의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립들은 압축된 임플란트가 원위 개구를 통과하는 것에 응답하여 스트립들이 방사상 바깥쪽으로 휠 때 원위 개구가 넓어지도록 허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이식 시술 동안 임플란트의 변형을 피하도록 도울 수 있다. 몇몇 예들에서, 스트립들 중 하나 이상은, 예컨대, 절개 부위로 임플란트를 유도하는 것을 돕기 위해, 다른 스트립들 중 하나 이상보다 더 멀리 연장될 수 있다. 각각의 스트립은 다른 스트립들과 동일한 또는 상이한 양의 강성 또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은 상이한 원위 단부들을 가진 두 개의 테이퍼링 벌브-형 노즐들(300, 304)을 묘사한다. 노즐(300)은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원위 팁에서의 스트립들(302)을 포함한다. 스트립들(302)은 비교적 작은 절개로 임플란트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스트립들(302)은 임플란트가 노즐(300)의 원위 단부를 통과할 때 분리될 수 있다(서로로부터 멀리 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트립들(302)은 임플란트가 수술 부위로부터 축출될 때 과잉-압축되지 않도록 방사상 바깥쪽으로 휠 수 있다. 노즐(304)은 노즐(200)의 연장부(212)와 유사한, 스트립들(302)의 나머지보다 긴 하나의 스트립(306)을 포함한다. 연장된 스트립(306)은 유사하게 절개 부위로 또는 그곳에서 노즐(302)의 원위 단부의 더 정밀한 배치를 허용하며, 노즐(304)을 통해 원하는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축출을 유도하도록 도울 수 있다. 노즐들(300, 304)은 본 출원에 개시된 다른 노즐들(예컨대, 노즐(110))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들(300, 304)은 압력에 응답하여 스트립들이 휘도록 허용할 수 있는 반-강성 재료(예컨대, 반-강성 플라스틱, 실리콘, 또는 다른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원위 단부에서 좁은 개구를 가진 원뿔형-테이퍼링 노즐(310)을 묘사한다. 좁은 개구는 임플란트가 개구를 통과할 때 분리되며 방사상 바깥쪽으로 휠 수 있는, 스트립들(312)에 의해 정의된다. 개구의 좁기는 노즐(310)의 원위 단부의 작은 절개(3cm 미만, 예컨대 0.5cm 내지 2.5cm, 또는 2cm 이하 절개)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노즐(310)은 본 출원에 개시된 다른 노즐들(예컨대, 노즐(110))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과 유사한, 도 8 및 도 9는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원위쪽으로 연장된 스트립들(402)을 가진 테이퍼링 노즐들(400, 410)을 묘사한다. 노즐들(300, 304)에 비교하여, 노즐들(400, 410)은 더 큰 개구들을 가지며, 이것은 더 큰 임플란트들, 또는 적은 압축 가능성을 가진 임플란트들이 통과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노즐(304)과 유사한, 노즐(410)은 다른 스트립들(402)을 넘어 원위로 연장된 하나의 스트립(404)을 포함한다. 스트립(404)은 절개 부위로 또는 그곳에서 노즐(410)의 원위 단부의 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노즐(410)을 통해 원하는 위치로의 임플란트의 축출을 유도하고 및/또는 제어하도록 도울 수 있다. 노즐들(400, 410)은 본 출원에 개시된 다른 노즐들(예컨대, 노즐(110))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원위 개구를 정의한 원위쪽으로 연장된 스트립들(402)을 가진 원뿔형-테이퍼링 노즐(412)을 묘사한다. 스트립들(402)은 스트립들(402)로 하여금 서로 분리되거나 또는 멀리 떨어져 휘도록 허용하면서, 동시에 스트립들이 분열되며 환자 조직 및/또는 임플란트를 뚫고, 긁으며, 및/또는 자국을 내는 것을 방지하는 가요성 필름(414)(예컨대, 탄성 실리콘 필름)에 의해 커버되거나 또는 함께 접합될 수 있다. 필름(414)의 재료는 노즐(412)의 나머지의 재료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414) 및 노즐의 나머지는 동일한 유형의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필름(414)은 필름(414)이 긁히도록 허용하는 더 얇은 벽 두께를 갖는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개시의 몇몇 양상들에 따른 2-파트 노즐을 묘사한다. 도 11a는 원위 개구에 인접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된 긴 연장부(422)를 가진 제 1 구성요소(420)를 묘사한다. 구성요소(420)는 비교적 강성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강성 또는 반-강성 플라스틱 또는 다른 폴리머, 또는 생체 적합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b는 안쪽으로-테이퍼링된 형태를 가진 제 2 구성요소(424)를 묘사하며, 이것은 제 2 구성요소(424)의 중간 부분에 근접한 가장 좁은 지점에 도착하며 그 후 원위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플레어링한다. 제 2 구성요소(424)에서의 원위 개구는, 각진 개구를 형성하도록, 각질 수 있다. 구성요소(424)는, 예컨대, 반-강성 또는 가요성 폴리머, 또는 본 출원에 개시된 다른 노즐들(예컨대, 노즐(110))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한, 구성요소(420)보다 더 가요적일 수 있다. 구성요소들(420 및 424)은 사용하기 위해 서로 잘 맞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424)는 구성요소(420) 내에 끼워 넣을 수 있으며, 구성요소(420)의 원위 연장부(422)는 구성요소(424)의 슬리브(426) 내에 수용된다. 제 1 및 제 2 구성요소들(420, 424)은 노즐을 형성하기 위해 부착되거나 또는 그 외 함께 결합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각각, 상이한 대표적인 형태들의 원위 개구들(502, 512, 522, 532)을 가진 추가 대표적인 노즐들(500, 510, 520, 530)을 묘사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원위 개구의 둘레는 일반적으로 타원형, 직사각형, 사다리꼴일 수 있거나, 또는 형태가 비대칭일 수 있다. 이들 노즐들은 예컨대, 본 출원에 개시된 다른 노즐들(예컨대, 노즐(110))에 적합한 임의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노즐은 다양한 원위 개구 크기들을 갖고 구성되거나 또는 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위 개구들(502, 512, 522, 532)은 각각 약 24mm, 약 28mm, 또는 약 30mm와 같은, 범위가 약 20mm 내지 약 40mm에 이르는 단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단면 직경은 범위가 약 20mm 내지 약 40mm, 약 30mm 내지 약 40mm, 약 25mm 내지 약 35mm, 또는 약 25mm 내지 약 30mm에 이를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은 본 개시의 양상들에 따른 삽입기(600)의 뷰들을 묘사한다. 삽입기(600)는 핸들(610) 및 노즐(650)을 포함한다. 핸들(610)(도 13,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됨)은 유체 공급 도관(612), 작동기(614), 벤트 스위치(616), 및 보유 애퍼처들(618)을 포함한다. 노즐(650)(도 14a, 도 14c, 도 14d,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됨)은 원위 개구(654), 중간 부분(656), 및 이하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핸들(610)에 상보적인, 짝을 이루는 요소들, 예컨대, 돌출부들(652)을 가진 근위 단부 부분을 가진 원위 부분(660)을 포함한다. 삽입기(600)는 원위 캡 노즐(682)을 가진 원위 캡(680)을 추가로 포함한다.
삽입기(600), 핸들(610), 및 노즐(650), 및 그것들의 부분들(예컨대, 작동기(614), 유체 공급 도관(612), 원위 개구(654) 등)은 예컨대, 삽입기(100), 핸들(120), 및 노즐(110) 및 그것들의 부분들과 임의의 특성들, 재료들, 기능 등을 공유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반복적으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원위 개구(654)는 본 출원에 개시된 임의의 다른 노즐에 대하여 설명된, 임의의 크기, 형태, 연장부들, 탭들 등을 가질 수 있다. 유체 공급 도관(612)은 유체 공급 루멘(122)에 대하여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유체의 임의의 적절한 소스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650)의 원위 부분(660)은 가늘고 길며(예컨대, 노즐(110)과 비교하여), 이것은 원하는 이식 부위로의 임플란트의 축출을 유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노즐(650)의 중간 부분은 공동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식 부위로의 삽입을 위해 방사상 압축 및/또는 가늘고 긴 구성으로 임플란트를 갖고 로딩되며, 이를 하우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650)의 원위 부분(660)은 중간 부분(656)보다 더 테이퍼링될 수 있으며(더 작은 단면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중간 부분(656)으로 로딩된 임플란트는 원위 부분(660)에서만큼 압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중간 부분(656)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중간 부분(656)은 일반적으로 형태가 원통형일 수 있다. 노즐(650)의 근위 단부 부분은 중간 부분(656)에 의해 정의된 공동으로 임플란트의 로딩을 허용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다.
도 14a, 도 14b, 도 14d, 및 도 16에 도시된, 원위 캡(680)은 원위 개구(654)를 통해, 예컨대 마찰 맞춤 또는 다른 상보적 짝을 이루는 피처들을 통해, 노즐(650)에 결합 가능할 수 있다. 원위 캡(680)은 원위 캡 노즐(682)을 통해 유체를 채널링하며 유체들이 원위 캡 노즐(682)을 통하지 않고 누출되거나 또는 그 외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위 개구(654) 주위에 씰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캡 노즐(682)은 진공이 적용될 수 있는 원위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캡 노즐(682)을 통한, 노즐(650)의 원위 개구(654)로의 진공의 적용은 흡입을 통해 노즐(650)의 근위 단부 부분을 통해 임플란트의 로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단 임플란트가 노즐(650)로 로딩되면 또는 이식 부위가 임플란트를 수용할 준비가 되면, 원위 캡(680)은 원위 개구(654)가 노출되도록 노즐(68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노즐(650)의 근위 단부 부분은 핸들(610)의 원위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예컨대, 도 16에서 도시된). 예를 들어, 노즐(650)의 근위 원위 단부는 핸들(610)의 보유 애퍼처들(618)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로 근위로 돌출부들(652)을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핸들의 원위 단부 내에 꼭끼워 맞출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652)는 핸들(610)에 노즐(650)을 고정시키기 위해 보유 애퍼처들(618)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의 원주 부분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채널들은 선택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L-형을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핸들(610)에 대해 노즐(650)을 회전시키는 것은 채널들 내에서 돌출부들(652)을 잠글 수 있다. 노즐(650)이 임플란트를 갖고 로딩된 후, 노즐(650)은 삽입기(600) 내에서 임플란트를 에워싸도록 하는 이러한 방식으로 핸들(61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3, 도 14a, 도 14c, 도 14c, 및 도 15는 돌출부들(652)을 가진 노즐(650) 및 돌출부들(652)을 수용하는 채널들을 가진 핸들(610)을 묘사하지만, 다른 예들에서, 노즐(650)은 핸들의 돌출부들을 수용하는 채널들을 포함할 수 있다(예컨대, 도 12a 내지 도 12d 참조). 뿐만 아니라, 다른 상보적 짝을 이루는 요소들이 핸들(610)에 노즐(650)을 떼어낼 수 있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가요성 막(620)은 핸들(610), 예컨대 핸들(610)의 원위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막(620)은 중간 부분(656)의 공동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막(620)은 유체가 유체 공급 도관(612)으로부터 수용될 수 있는 챔버(622)를 정의한다. 삽입기(600)의 동작 동안, 작동기(614)는 유체 공급 도관(612)을 통해 막(620)에 의해 정의된 챔버(622)로 유체가 이동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체결될 수 있다. 작동기(614)는 체결될 때, 공동(622)에 유체 공급 도관(612)을 연결하는 스위치, 버튼, 레버, 또는 커넥터일 수 있다. 유체가 챔버(622)로 수용될 때, 막(620)은 중간 부분(656)의 공동으로 확장될 수 있다. 유체로부터의 압력은 노즐(650)의 원위 부분(660) 및 원위 개구(654)를 통해 원하는 이식 부위로, 원위로 중간 부분(656)에 의해 정의된 공동에 배치된 임플란트를 밀어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챔버(622) 및/또는 막(620)은 노즐(650)의 내부의 대다수를 채우기에 충분히 확장 가능할 수 있으며, 따라서 챔버(622)의 원위 확장 및 막(620)의 원위 움직임은 그것이 삽입기(600)로부터 축출될 때까지 노즐(650) 내에서 임플란트를 변위시킨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챔버(622)는 막(620)으로 둘러싸이는 것과 대조적으로, 부분적으로 막(620)에 의해 정의되며 부분적으로, 예컨대 핸들(610)의 원위 단부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막(620)은 핸들(610)로부터의 막(620)의 분리 없이 챔버(622)로의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핸들(61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벤트 스위치(616)는 삽입기(600)의 외부와 챔버(622)의 내부를 유체 흐름 가능하게 결합한 벤트를 제어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 따르면, 벤트 스위치(616)가 닫힐 때, 벤트 스위치(616)는 챔버(622)로부터의 유체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작동되거나 또는 열릴 때, 벤트 스위치(616)는 챔버(622) 내에서의 유체가 삽입기(600)의 바깥쪽으로 분출되는 것을 허용하며, 그에 의해 삽입기(600)의 외부에 대해 챔버(622)가 가압되는 정도로 챔버(622) 내에서의 유체 압력을 수축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벤트 스위치(616)는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벤트 스위치(616)는 예컨대, 챔버(622) 내로부터 유체를 활발히 제거하기 위해 흡입, 팬, 또는 블로어를 활성화할 수 있는 동력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벤트 스위치(616)는 그에 의해 노즐(650) 내에서 축출 압력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예컨대 노즐(650)로부터 임플란트의 축출을 정지시키거나 또는 속도를 느리게 하기 위해, 및/또는 임플란트가 노즐(650)로부터 축출된 후 삽입기(600)를 리셋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삽입기(100)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기(600)의 하나 이상의 파트들은 재사용 가능할 수 있다(예컨대, 핸들(610), 원위 캡(680), 노즐(650)). 예를 들어, 삽입기(600)의 다양한 파트들을 형성하는 재료(들)는 살균이 가능할 수 있다. 삽입기(600)의 하나 이상의 파트들은 또한 또는 대안적으로 폐기 가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삽입기(600)의 하나 이상의 파트들은 새로운, 사용되지 않은 파트들로 교체될 수 있다.
도 18은 임플란트를 로딩한 삽입기(700)를 묘사하며, 삽입기(700)는 삽입기(600)의 몇몇 특성들을 공유하며 삽입기(600)와 상이한 특성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삽입기(700)는 핸들(710), 작동기(714), 유체 공급 도관(716), 전기 공급 도관(718), 임플란트(720)가 배치되는 공동을 정의한 중간 부분(756), 노즐(760)의 보유 애퍼처들(768)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로 미끄러진 중간 부분(756) 상에서의 연장부들(762)에 의해 중간 부분(756)에 부착된 노즐을 포함한다. 노즐(760)은 원위 개구(764) 및 원위 연장부(766)를 포함한다.
핸들(710), 작동기(714), 유체 공급 도관(716), 전기 공급 도관(718), 중간 부분(756) 및 노즐(760)과 같은, 삽입기(700)의 파트들은 예컨대, 삽입기들(100, 100', 600), 핸들들(120, 610), 작동기들(128, 614), 유체 공급 루멘(122), 유체 공급 도관(612), 및/또는 원위 개구들(112, 654) 등과 임의의 특성들, 재료들, 기능 등을 공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그것들은 반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중간 부분(756)은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760)로부터 분리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 가능할(떼어낼 수 있는) 수 있다. 삽입기(700)에 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756)은 핸들(710) 및/또는 노즐(760)에 별도로 결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간 부분(756)은 핸들(710)의 피스일 수 있다(예컨대, 그것과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임플란트(720)는 노즐(760)이 중간 부분(756)에 결합되기 전에 중간 부분(756)의 원위 개구를 통해 로딩될 수 있다. 핸들(710)은 사용자-친화적 그립을 구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작동기(714)는 회전 가능한 트리거이다. 전기 공급 도관(718)은 삽입기(700)의 하나 이상의 양상들에 전기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몇몇 실시예들에서, 전기 공급 도관(718)은 핸들(710) 및/또는 중간 부분(756)에 배치된 진공 소스에 전기 전력을 공급할 수 있으며, 이것은 임플란트(720)에 흡입을 생성하며 그것을 중간 부분(756)으로 로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는, 개략적인 형태로, 조직(820)에서의 절개를 통해 임플란트(810)를 유지하고 두는 노즐(800)을 묘사한다. 노즐(800)은 테이퍼링 부분(802)의 적어도 두 개의 측면들 상에 배치된(또는 이를 형성한) 두 개의 가요성 또는 반-가요성 스트립들(804)을 포함한다. 스트립들(804)은 강성 또는 반-강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는, 테이퍼링 부분(802)보다 비교적 더 가요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테이퍼링 부분(802)은 근위 단부에서 비교적 강성이며, 원위 단부 부분에서 반-강성(더 가요성)일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이한 가요성의 재료들 또는 가변적인 가요성을 허용하는 상이한 구성들을 가진 동일한 재료가 테이퍼링 부분(802)에서 사용될 수 있다. 스트립들(804)은 절개 부위에서 또는 그것을 통해 노즐(800)을 배치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임플란트(810)의 축출 또는 배치 동안, 스트립들(804)은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개구(820)를 넓히기 위해 바깥쪽으로 휘거나 또는 구부릴 수 있다. 이러한 가요성은 임플란트(810)가 테이퍼링 부분(802)의 범위들의 자유를 확장하므로 절개를 통해 이식 부위로 임플란트(810)를 유도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9b가 시사되고 그에 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삽입기로 임플란트를 로딩하고 임플란트를 예컨대, 환자 조직 내에서의 이식 부위로 전달하는 방법들이 본 개시에 의해 고려된다. 도 20은, 흐름도 형태로, 임플란트를 로딩하고 임플란트를 이식 부위로 전달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1000)을 묘사한다. 방법(1000), 및 그것의 변형들은 본 개시에 의해 설명되거나 또는 포함된 임의의 삽입기, 뿐만 아니라 다른 삽입기들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20은 단지 대표적인 방법을 묘사하며, 그것의 많은 변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해 고려될 것이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도 20의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부가되고, 제거되고, 중복되거나, 또는 순서 외로 수행될 수 있다. 방법(1000)의 단계들, 및 그것에 대한 변형들은 전문 의료진들, 기술자들, 보조자들 등과 같은, 한 명 이상의 사용자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방법(1000)의 단계(1002)에 따르면,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삽입기의 공동(예컨대, 노즐들(110, 110', 650, 760)과 같은, 노즐에 의해 정의된 공동)으로 로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립된 삽입기(예컨대, 삽입기들(100, 100', 600, 700 등))를 가진 사용자는 먼저 핸들 또는 삽입기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노즐(예컨대, 노즐(110, 110', 650, 760))을 제거할 수 있다. 그 후,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노즐의 근위 개구(예컨대, 노즐(110, 110', 650)의 근위 개구), 또는 공동(예컨대, 삽입기(700)의 중간 부분(756)에 의해 정의된 공동))의 원위 개구로 로딩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임플란트는 임플란트를 압축하기에 적당한 시스(sheath) 또는 다른 디바이스의 보조로 노즐로 또는 삽입기의 공동으로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는 노즐의 임플란트의 살균 로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및/또는 삽입 구성으로 임플란트를 조작(예컨대, 압축, 신장 등)하기 위해 삽입기 시스로 사전-로딩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다. 추가 양상들에서, 진공 또는 흡입은 공동으로 임플란트를 로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기(600) 및 그것의 변형들에 대하여, 원위 캡(680)은 예컨대, 유체-밀봉 씰을 형성하기 위해, 노즐(650)의 원위 개구(654)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진공은, 임플란트가 노즐(650)의 개방된 원위 단부에 위치되는 동안 원위 캡 노즐(682)의 개구를 통해 적용될 수 있다. 적용된 진공에 의해 야기된 압력의 감소는 노즐(650)의 근위 개구로, 노즐(650)의 중간 부분(656)에 의해 정의된 공동으로 임플란트를 끌어 당길 수 있다.
단계(1004)에 따르면, 공동은 삽입기의 핸들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은 핸들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예컨대, 부착되고, 재부착되고, 클리핑되고, 나사로 죄는 등).
단계(1006)에 따르면, 삽입기의 원위 단부 개구(예컨대, 원위 개구(112, 112', 654, 또는 76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식 부위의 절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식 부위의 위치, 절개의 크기, 삽입될 임플란트의 크기(형태 및 볼륨), 노즐의 길이 등에 의존하여, 삽입기의 더 큰 또는 더 작은 부분이 절개로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노즐의 원위 팁은 절개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식 부위로 삽입될 수 있다.
단계(1008)에 따르면, 삽입기는 공동으로부터, 원위 단부 개구를 통해, 이식 부위로 임플란트를 사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 작동기(128, 614, 714)와 같은, 작동기(예컨대, 트리거, 버튼, 또는 다른 메커니즘)는 노즐의 원위 개구(예컨대, 원위 개구(112, 112', 654, 또는 764))를 거쳐 절개를 통해 이식 부위로(예컨대, 유방 조직 포켓, 둔부 조직 포켓, 또는 다른 이식 부위로) 임플란트를 밀고, 강요하거나, 또는 그 외 축출하기 위해 유체의 소스(예컨대, 압축 공기, 액체 등)가 임플란트에 힘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예컨대, 막(620)과 같은, 막 또는 풍선을 통해) 가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체결될 수 있다. 몇몇 양상들에서, 본 출원에 참조로 통합된, WO 2017/181144에서 설명된 것들과 같은, 견인기들은 임플란트의 축출 및/또는 환자의 몸의 원하는 부분(예컨대, 유방 포켓 또는 다른 이식 부위)과 같은, 수술 부위로 임플란트의 적절한 배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작동기(예컨대, 트리거, 버튼, 또는 다른 메커니즘)가 노즐의 원위 개구를 통해 임플란트를 밀고, 강요하거나, 또는 그 외 축출하기 위해 내부 공동, 풍선, 또는 가로막(예컨대, 도 16에 묘사된 공동(622))을 팽창시키거나 또는 확장하도록 유체의 소스(예컨대, 압축 공기 또는 액체)와 연통하기 위해 체결될 수 있는 실시예들에서, 일단 임플란트가 축출되면, 해체 메커니즘(예컨대, 도 13에 묘사된 벤트 스위치(616))이 유체를 배출하며 내부 공동, 풍선, 또는 가로막을 오므라들게 하거나 또는 수축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삽입기 디바이스로부터 임플란트를 축출하기 위한 적절한 축출 압력들은 예컨대, (i) 임플란트의 볼륨/크기/형태, (ii) 절개 위치 및 크기, 및/또는 (iii) 노즐 직경과 같은 인자들과 연관성이 있을 수 있다. 차트는 삽입기 디바이스 및 임플란트의 적절한 배치를 위한 이들 파라미터들을 정의하는 전문 의료진 또는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차트는 예를 들어, 벤치 및 사전-임상 평가들에 의해 개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약 25psi, 약 30psi, 약 35psi, 약 40psi, 약 45psi, 약 50psi, 약 55psi, 약 60psi, 약 65psi, 약 70psi, 약 75psi, 약 80psi, 약 85psi, 약 90psi, 약 95psi, 또는 약 100psi와 같은, 약 20psi 내지 약 80psi, 약 20psi 내지 약 60psi, 또는 약 30psi 내지 약 50psi와 같은, 약 20psi 내지 약 100psi의 압력이 임플란트를 축출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삽입기 디바이스들을 준비하고, 로딩하고, 작동하며, 사용하는 부가적인 양상들, 뿐만 아니라 임플란트들을 로딩하고 삽입기 디바이스들로부터 축출하기 위한 적절한 압력들 및 유체 볼륨들을 산출하는 양상들이 본 출원에 참조로 통합된, WO 2017/181144에서 설명된다.
본 개시의 원리들이 본 출원에서 특정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이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 및 본 출원에서 제공된 교시들에 대한 접근을 가진 자들은 부가적인 수정들, 적용들, 양상들, 및 등가물들의 대체들 모두가 본 출원에 설명된 양상들의 범위 내에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앞서 말한 설명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Claims (27)

  1. 임플란트 삽입기(implant introducer)에 있어서,
    가압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포함한 핸들; 및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로서, 상기 노즐은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가진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노즐은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치수가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 치수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기는 상기 핸들에 말단에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기는 상기 도관을 통한 유체 압력을 통해 상기 원위 개구를 거쳐 상기 공동 내에 하우징된 임플란트를 축출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삽입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공동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근위 부분은 상기 핸들의 원위 부분의 짝을 이루는(mating) 피처(feature)들에 상보적인 짝을 이루는 피처들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핸들 또는 상기 노즐 중 하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노즐의 핸들의 다른 것은 상기 돌출부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채널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핸들 및 상기 노즐은 상보적 스레딩 부분들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상기 핸들과 상기 노즐 사이에 중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중간 부분은 상기 공동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원위 개구는 약 25mm 내지 약 30mm와 같은, 범위가 약 20mm 내지 약 40mm에 이르는 단면 치수를 갖는, 임플란트 삽입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공동으로 상기 도관을 통해 말단으로 가압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작동기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작동기는 상기 도관을 통해 약 20psi 내지 약 100psi의 유체 압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상기 공동 내에 배치된 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챔버는 상기 도관과 연통하고 상기 챔버로의 유체의 흐름 시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삽입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챔버로부터 가압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출하도록 구성된 벤트(vent)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상기 노즐의 원위 개구를 커버하는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원위 개구로부터 착탈 가능하며 상기 원위 개구와 연통하는 애퍼처(aperture)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노즐과 유체-밀봉 씰(fluid-tight seal)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삽입기.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원위 부분은 상기 노즐의 근위 부분보다 가요적이며, 선택적으로 상기 노즐의 원위 부분은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들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원위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은 비대칭 형태를 갖는, 임플란트 삽입기.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유방 임플란트와 같은, 탄성 임플란트를 압축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삽입기.
  16. 임플란트 삽입기에 있어서,
    도관을 포함한 핸들;
    상보적 짝을 이루는 피처들을 통해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로서, 상기 노즐은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노즐은 상기 근위 부분의 단면 치수가 상기 원위 개구의 단면 치수보다 크도록 테이퍼링 프로파일을 갖는, 상기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도관은 상기 노즐과 유체 연통하며;
    상기 삽입기는 상기 핸들에 말단에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기는 상기 도관을 통한 유체 압력을 통해 상기 원위 개구를 거쳐 상기 공동 내에 하우징된 임플란트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임플란트 삽입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공동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는 상기 노즐과 유체 씰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캡은 상기 노즐로부터 착탈 가능하고, 상기 캡은 상기 노즐에 진공 압력을 인가하기 위한 개구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19.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원위 개구를 둘러싼 복수의 가요성 스트립들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원위 개구에 인접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21.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원위 개구는 타원형 형태를 가지며, 상기 원위 개구의 최대 직경은 범위가 약 25mm 내지 약 35mm에 이르는, 임플란트 삽입기.
  22. 임플란트 삽입기에 있어서,
    작동기를 포함한 핸들;
    상기 핸들에 결합되며, 그로부터 떼어낼 수 있는 노즐로서, 상기 노즐은 공동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및 상기 공동과 연통하는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부분을 갖고, 상기 공동의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직경보다 크며, 상기 원위 부분은 상기 근위 부분보다 가요적인, 상기 노즐; 및
    막(membrane)에 의해 정의된 챔버에 유체 흐름 가능하게(fluidly) 결합되는 도관으로서, 상기 챔버는 상기 작동기에 의해 제어된 상기 챔버로 유체의 흐름 시 상기 공동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확장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도관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공동에 배치된 유방 임플란트를 더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유방 임플란트는 가요성 쉘(shell) 및 점-탄성(visco-elastic) 충전 겔(gel)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삽입기.
  25. 노즐 및 핸들을 포함하는 삽입기로 임플란트를 로딩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공동으로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노즐은 상기 공동을 포함하는 근위 부분 및 원위 개구를 포함하는 원위 단부 부분을 가지며, 상기 공동은 상기 원위 개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상기 삽입 단계; 및
    상기 핸들에 상기 노즐의 근위 부분을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핸들은 가압 유체를 수용하고 상기 가압 유체를 상기 노즐로 공급하도록 구성된 도관을 포함하는, 방법.
  26.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공동으로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단계는 진공 압력에 의해 상기 공동으로 상기 임플란트를 끌어 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도관을 통해 공급된 유체 압력을 통해 상기 노즐의 원위 개구를 거쳐 상기 임플란트를 밀어냄으로써 상기 삽입기로부터 상기 임플란트를 사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17012830A 2018-10-03 2019-10-02 삽입기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 KR202100751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0693P 2018-10-03 2018-10-03
US62/740,693 2018-10-03
PCT/IB2019/058401 WO2020070676A1 (en) 2018-10-03 2019-10-02 Introduc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5105A true KR20210075105A (ko) 2021-06-22

Family

ID=6816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830A KR20210075105A (ko) 2018-10-03 2019-10-02 삽입기 디바이스들 및 그것의 사용 방법들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210338280A1 (ko)
EP (2) EP3860478B1 (ko)
KR (1) KR20210075105A (ko)
CN (1) CN113164189A (ko)
BR (1) BR112021006126A2 (ko)
CA (1) CA3115037A1 (ko)
ES (1) ES2945818T3 (ko)
IL (1) IL281866A (ko)
PT (1) PT3860478T (ko)
WO (1) WO20200706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565B2 (en) 2018-10-03 2023-06-13 Establishment Labs S.A. Introduc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2735B1 (ko) * 2016-04-15 2023-08-29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의료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한 장치
CN115666355A (zh) * 2019-12-03 2023-01-31 意能生技股份有限公司 用于治疗良性前列腺增生和相关下尿路症状的装置
US20210244527A1 (en) * 2020-02-09 2021-08-12 Conical Cover LLC Silicone Prosthesis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US20230044611A1 (en) * 2021-08-06 2023-02-09 Smart Funnel Llc Reusable Breast Implant Delivery Apparatus with External Fluid Pressure Deliv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5906A (en) * 1989-01-12 1990-09-11 Coggins Peter R Mammary prosthesis injector
KR100473568B1 (ko) * 2003-01-25 2005-03-10 이희영 밀폐형 지방이식 시스템
US9011473B2 (en) * 2005-09-07 2015-04-21 Ulthera, Inc. Dissection handpiece and method for reducing the appearance of cellulite
US7935089B2 (en) * 2008-01-08 2011-05-03 Su-Ben Tsao Silicon breast implant injector for augmentation mammaplasty
WO2010068467A1 (en) * 2008-11-25 2010-06-17 Attenuex Technologies, Inc. Implant with high vapor pressure medium
US20150272622A1 (en) * 2011-12-22 2015-10-01 Previvo Genetics, Llc Recovery and processing of human embryos formed in vivo
GB201402804D0 (en) 2014-02-17 2014-04-02 Univ Manchester Implants
CN204033389U (zh) * 2014-07-17 2014-12-24 姜育明 义乳袋植入装置的优化推进器
US9808284B2 (en) * 2015-01-07 2017-11-07 Robert G. Anderson Prosthesis manipulation pouch
TR201808209T4 (tr) * 2015-04-30 2018-07-23 Leonard Anthony Spronken Caius Göğüs implantı yerleştirici.
GB201521474D0 (en) 2015-12-04 2016-01-20 Univ Manchester Textured surfaces for implants
KR102572735B1 (ko) * 2016-04-15 2023-08-29 이스타블리쉬먼트 렙스 에스.에이. 의료 디바이스의 이식을 위한 장치
IL305116A (en) 2016-05-11 2023-10-01 Estab Labs S A Medical implant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10398543B1 (en) * 2016-08-22 2019-09-03 Matthew S. Solar Introducer with rotatable retractors and optional implant material delivery device
US20190365527A1 (en) * 2018-06-04 2019-12-05 Bandula Wijay Reusable Delivery Apparatus for Delivering a Flexible Prosthesis to a Surgical Pocket
US20210338280A1 (en) * 2018-10-03 2021-11-04 Establishment Labs S.A. Introduc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210169666A1 (en) * 2019-12-10 2021-06-10 R. Alastair Winn System for introducing a breast implant
US20220160491A1 (en) * 2020-11-20 2022-05-26 Neil J. ZEMMEL Breast implant insertion device and method
US20220168014A1 (en) * 2020-11-30 2022-06-02 Evalve, In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for removing a medical implant from cardiac tiss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565B2 (en) 2018-10-03 2023-06-13 Establishment Labs S.A. Introducer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60478A1 (en) 2021-08-11
CA3115037A1 (en) 2020-04-09
EP3860478B1 (en) 2023-03-01
BR112021006126A2 (pt) 2021-07-20
US20210338280A1 (en) 2021-11-04
EP4101404A2 (en) 2022-12-14
US11672565B2 (en) 2023-06-13
WO2020070676A1 (en) 2020-04-09
IL281866A (en) 2021-05-31
EP4101404A3 (en) 2023-05-03
CN113164189A (zh) 2021-07-23
ES2945818T3 (es) 2023-07-07
US20220280190A1 (en) 2022-09-08
PT3860478T (pt) 202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60478B1 (en) Introducer devices
US11622791B2 (en) Apparatuses for the implantation of medical devic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86417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ng a filled prosthetic bladder into a patient
EP3154454B1 (en) Intravascular catheter having an expandable incising portion and drug delivery mechanism
US20070093893A1 (en) Breast implant injector
US20120150119A1 (en) Delivery System for Implanting Nasal Ventilation Tube
US20140228735A1 (en) Delivery device with invertible diaphragm
WO2004067062A2 (en) Expandable bore injection needle
US11918278B2 (en) Medical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EP3860479B1 (en) Insertion devices
TWM512408U (zh) 義乳袋植入筒及其導入部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