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474A -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474A
KR20210073474A KR1020200171311A KR20200171311A KR20210073474A KR 20210073474 A KR20210073474 A KR 20210073474A KR 1020200171311 A KR1020200171311 A KR 1020200171311A KR 20200171311 A KR20200171311 A KR 20200171311A KR 20210073474 A KR20210073474 A KR 2021007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joint
display panel
piec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7954B1 (ko
Inventor
김영철
이경래
Original Assignee
김영철
이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철, 이경래 filed Critical 김영철
Publication of KR2021007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2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in more than one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07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 F16M11/2035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pivoting adjustment in more than one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04N5/23296
    • H04N5/2329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ipulator (AREA)
  • Studio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의 수술영상 촬영, 실무교육 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의 영상촬영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이동/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촬영장치가 부가설치될 수 있는 확장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원가의 절감과 현장 활용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으며, 영상녹화장치와 웹 스트리밍 서버를 거치시킴으로써 자체적인 영상녹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촬영정보의 실시간 웹 스트리밍 등이 가능해지면서 기능성의 확대가 도모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Workbench with photographing control function based on multi-joint camera fixing arm}
본 발명은 의료분야에서의 수술영상 촬영, 실무교육 현장이나 산업현장에서의 영상촬영 등에 적용될 수 있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이동/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촬영장치가 부가설치될 수 있는 확장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원가의 절감과 현장 활용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으며, 영상녹화장치와 웹 스트리밍 서버를 거치시킴으로써 자체적인 영상녹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촬영정보의 실시간 웹 스트리밍 등이 가능해지면서 기능성의 확대가 도모될 수 있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영상 촬영 장치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8217 (2010년06월29일 등록)은 회동가능한 X선 촬영 스탠드를 갖는 의료용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X선 촬영을 통해 동물이나 환자의 질병상태를 진단하는 의료용 진단기기로서 회동이 가능한 X선 촬영스탠드 및 전후진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 진단용 테이블을 함께 사용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된 회동이 가능한 X선 촬영장치용 스탠드를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고 X선 촬영스탠드의 일부 회동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환자의 몸을 세우거나 기울게 한 상태를 만들어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41190(2008년07월23일 등록)은 전후진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테이블을 가지는 의료용진단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X선 촬영을 통해 환자의 질병상태를 진단하는 의료용 진단기기로서 스탠드형 X선 디텍터 및 이와 함께 사용되는 테이블을 전후진 동작 및 회전가능하게 구성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구성된 전후진 및 회전동작이 가능한 테이블을 가지는 의료용 진단기기를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이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좌우 이동과 수평면에서의 회전 동작이 가능하기는 하지만, 환자의 몸을 세우거나 기울게 한 상태를 만들어 엑스선 촬영을 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다른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70216 (2011년09월28일 등록)은 환자 위치 조정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치료시 환자를 지지하고 이동시키기 위한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시스템, 및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의 위치 데이터를 받기 위한 센서 시스템에 작동하게 연결되고,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에 작동하게 연결된 제어기를 포함하는 구성을 제안하였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은 환자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로봇식 위치 조정 장치를 이용하므로 환자용 치료 테이블의 회전 자유도가 높기는 하지만, 로봇식으로 위치 조정 장치가 구성되므로 기구 구성 및 동작 제어가 복잡하여 제작 난이도 및 제작 비용이 높아진다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2050565호 "의료 영상 촬영 장치용 테이블 제어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하부베이스, 지지대, 촬영장치,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이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되고, 테이블, 컴퓨터장치, 전원연결기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 제어장치 등이 선택 구성요소로서 하부베이스나 지지대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작업대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이동/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촬영장치가 부가설치될 수 있는 확장형 구조를 가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현장 활용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녹화장치와 웹 스트리밍 서버가 필요에 따라 지지대나 테이블에 거치되도록 함으로써 자체적인 영상녹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촬영정보의 실시간 웹 스트리밍 등이 가능해지면서 기능성의 확대가 도모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베이스(100);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설정높이로 배치되는 테이블(300);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되고,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장치(900);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부위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촬영장치(9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며,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9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서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는 상기 테이블(300)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서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은 상기 지지대(200)에 설정된 고정높이(H)로 연결되고,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편, 작업대 세팅모드에서 상기 고정높이(H)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지고,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은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상측에 배치 고정되고,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서 상기 지지대(200)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며,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을 포함하여,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서 상기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은 하나 이상의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하나 이상의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y축방향 위치, z축방향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은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는 한편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y축방향 위치, z축방향 위치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편(810)은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고정단(811)이 전방0 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단(811)에 상기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핀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회전 관절편(821)은 상기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것이며, 상시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상기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이동/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이나 촬영장치가 부가설치될 수 있는 확장형 구조를 가짐에 따라 제조원가의 절감과 현장 활용도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에 의하면, 영상녹화장치와 웹 스트리밍 서버를 거치시킬 수 있어 자체적인 영상녹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촬영정보의 실시간 웹 스트리밍 등이 가능해지면서 기능성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베이스의 평면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에 의한 촬영장치의 위치조절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1)은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하부베이스(100), 지지대(200), 테이블(300), 컴퓨터장치(400), 전원연결기기(500),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 촬영장치(900),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 제어장치(10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하부베이스(100)은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저면에 이동바퀴(110)가 고정되어 이동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부베이스(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지지대 고정부위(120) 후방의 부메랑형 후단부위(130), 지지대 고정부위(120) 전방의 부메랑형 전단부위(1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진다. 부메랑형 전단부위(140)는 부메랑형 후단부위(13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 중량에 의해 지지대(200)가 쓰러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한편 후방으로 요입되는 전방라인(141)의 곡률이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지지대(200)나 테이블(300)로 가까이 접근하더라도 안정된 자세로 발을 딛고 서있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1)은 테이블(300), 컴퓨터장치(400),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이 부메랑형 후단부위(130)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고,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과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이 부메랑형 전단부위(140)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를 통해 전체적인 무게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지지대(200)는 하부베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것으로, 좌우 외측면에 수직으로 슬라이딩 고정홈(210)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컴퓨터장치(400), 테이블(300),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은 슬라이딩 고정홈(21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볼트의 조임동작으로 정위치 고정되는 컴퓨터 고정브래킷(410), 테이블 고정브래킷(310), 디스플레이 고정브래킷(610), 다관절고정암 고정브래킷(710)에 각각 결합되어 지지대(20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컴퓨터장치(400), 테이블(300),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의 상하방향 고정위치 조절이 가능해지게 된다.
테이블(300)은 지지대(200)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설정높이로 배치되는 것으로, 테이블(300)의 상면에 촬영장치(900)의 동작제어를 위한 유선 조작기(1010)나 리모트 컨트롤러(1020), 키보드(1110)와 마우스(1120)가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장치용 입력기기(1100)가 놓여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베이스(100), 지지대(200), 테이블(300)은 컴퓨터장치(400), 영상녹화장치(1200), 웹 스트리밍 서버(1300), 유선 조작기(1010), 키보드(1110)와 마우스(1120)가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장치용 입력기기(1100)가 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컴퓨터장치(400), 영상녹화장치(1200), 웹 스트리밍 서버(1300), 유선 조작기(1010), 키보드(1110)와 마우스(1120)가 포함될 수 있는 컴퓨터장치용 입력기기(1100)는 하부베이스(100), 지지대(200), 테이블(300) 등에 고정되거나 임시 거치될 수 있다.
컴퓨터장치(400)와 전원연결기기(500)는 하부베이스(100), 지지대(200), 테이블(300) 등에 고정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장치(400)는 지지대(200)에 고정된다. 여기서 컴퓨터장치(400)는 도 2에서와 같이 영상녹화장치(1200)나 웹 스트리밍 서버(1300)로 사용될 수 있다.
영상녹화장치(1200)는 촬영장치(900)로부터 영상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것으로, 영상녹화장치(1200)로는 SSD, HDD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이와 같은 SSD, HDD 등은 컴퓨터장치(400)에 구비될 수 있다. 웹 스트리밍 서버(1300)는 촬영장치(900)로부터 현재 영상정보를 실시간 전달받고, 인터넷망에 연결되며, 현재 영상정보를 실시간 스트리밍으로 외부 전송하여 웹페이지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전원연결기기(500)는 멀티탭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는 테이블(300) 상측에 배치되어 지지대(200)에 연결되는 것이다.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은 지지대(200)에 설정된 고정높이(H)로 연결되는 것으로,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편 작업대 세팅모드에서 고정높이(H)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은 지지대(200)의 슬라이딩 고정홈(210)에 상하이동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볼트의 조임동작으로 정위치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고정브래킷(610)에 결합되어 지지대(200)에 연결되는데, 디스플레이 고정브래킷(610)에 피벗 고정되어 수평방향 배치각도와 수직방향 배치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은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상측의 지지대(200)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1)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모두 구비될 수도 있고,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복수의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은 지지대(200)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은 하나 이상의 수평회전 관절편(821)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수직회전 관절편(822)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평회전 관절편(821)이나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지지대(200)에 고정된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조정, y축방향 위치 조정, z축방향 위치 조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연결편(810)은 지지대(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단(811)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단(811)에 수평회전 관절편(821)이나 수직회전 관절편(822)이 핀결합된다.
수평회전 관절편(821)은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될 수 있는 것이고,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한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수평회전동작과 수직회전동작에 따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핀결합 부위에는 회전위치 유지구(830)가 배치되어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는 회전위치 유지구(830)의 조임동작으로 외력에 의한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한다. 연결편(810), 수평회전 관절편(821), 수직회전 관절편(822), 회전위치 유지구(83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니터 거치대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촬영장치(900)는 지지대(200)에 연결되는 것으로, 사진, 동영상 등의 영상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900)는 연결브래킷(910), 촬영기 모션조절기(920), 촬영기(930), 촬영기 줌조절기(9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연결브래킷(910)은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의 타단부위와 결합되는 것이다.
촬영기 모션조절기(920)는 연결브래킷(910)와 결합되는 것으로, 촬영기 패닝동작과 촬영기 틸팅동작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촬영기 모션조절기(920)로는 팬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기(930)는 촬영기 모션조절기(920)와 결합되는 것으로, 카메라, 캠코더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촬영기 줌조절기(940)는 촬영기(930)에 연결되어 촬영기 줌 인/아웃 동작을 유도하는 것이다. 여기서 촬영기 모션조절기(920)와 촬영기 줌조절기(940)는 일체형 모듈로 구비될 수 있으며, 촬영기 모션조절기(920)와 촬영기 줌조절기(940) 및 촬영기(930)가 일체형 모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은 지지대(200)의 상단부위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촬영장치(9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도 4와 도 5에서와 같이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장치(9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은 하나 이상의 수평회전 관절편(821)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수직회전 관절편(822)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수평회전 관절편(821)이나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지지대(200)에 고정된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조정, y축방향 위치 조정, z축방향 위치 조정 등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은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y축방향 위치, z축방향 위치가 각각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편(810)은 지지대(200)에 고정된 다관절고정암 고정브래킷(710)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단(811)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고정단(811)에 수평회전 관절편(821)이나 수직회전 관절편(822)이 핀결합된다.
수평회전 관절편(821)은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될 수 있는 것이고,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에 의한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수평회전동작과 수직회전동작에 따라 촬영장치(9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된다. 여기서 핀결합 부위에는 회전위치 유지구(830)가 배치되어 위치가 조절된 이후에는 회전위치 유지구(830)의 조임동작으로 외력에 의한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한다.
제어장치(1000)는 지지대(200)에 고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는 것으로, 촬영기 모션조절기(920)와 촬영기 줌조절기(94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장치(1000)는 유선 조작기(1010)나 리모트 컨트롤러(10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1)은 하부베이스(100), 지지대(200), 촬영장치(900),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이 기본 구성요소로 구비되고, 테이블(300), 컴퓨터장치(400), 전원연결기기(500),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 제어장치(1000) 등이 선택 구성요소로서 하부베이스(100)나 지지대(200)에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작업대 구조를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이동/조작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장치구성이 간소화되면서도 현장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600)(700)이나 촬영장치(900)가 부가설치될 수 있는 확장형 구조를 가져 제조원가의 절감과 현장 활용도 증대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1)은 영상녹화장치(1200)와 웹 스트리밍 서버(1300)가 필요에 따라 지지대(200)나 테이블(300)에 거치되도록 하므로, 자체적인 영상녹화, 영상정보 데이터베이스화, 영상촬영정보의 실시간 웹 스트리밍 등이 가능해지면서 기능성의 확대가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100 : 하부베이스
110 : 이동바퀴
120 : 지지대 고정부위
130 : 부메랑형 후단부위
140 : 부메랑형 전단부위
141 : 전방라인
200 : 지지대
210 : 슬라이딩 고정홈
300 : 테이블
310 : 테이블 고정브래킷
400 : 컴퓨터장치
410 : 컴퓨터 고정브래킷
500 : 전원연결기기
600 :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
610 : 디스플레이 고정브래킷
700 :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
710 : 다관절고정암 고정브래킷
800a :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
800b :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
810 : 연결편
811 : 고정단
820 : 관절편
821 : 수평회전 관절편
822 : 수직회전 관절편
830 : 회전위치 유지구
900 : 촬영장치
910 : 연결브래킷
920 : 촬영기 모션조절기
930 : 촬영기
940 : 촬영기 줌조절기
1000 : 제어장치
1010 : 유선 조작기
1020 : 리모트 컨트롤러
1100 : 컴퓨터장치용 입력기기
1110 : 키보드
1120 : 마우스
1200 : 영상녹화장치
1300 : 웹 스트리밍 서버

Claims (5)

  1. 바닥면에 배치되는 하부베이스(100);
    상기 하부베이스(1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지지대(200);
    상기 지지대(200)에 고정되어 수평하게 설정높이로 배치되는 테이블(300);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되고,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촬영장치(900);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부위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촬영장치(9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며,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촬영장치(9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구비되되,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과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는 상기 테이블(300)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대(20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은 상기 지지대(200)에 설정된 고정높이(H)로 연결되고,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편, 작업대 세팅모드에서 상기 고정높이(H)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지고,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은 상기 고정형 디스플레이패널(600) 상측에 배치 고정되고,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되는 고정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0)에 일단부위가 고정되고,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에 타단부위가 결합되며, 복수의 관절편(820)이 연결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절편(82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를 조절하게 되는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을 포함하여,
    작업대 사용모드에서 상기 이동형 디스플레이패널(700)의 xyz 공간좌표 상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장치용 다관절 고정암(800b)은 하나 이상의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하나 이상의 수직회전 관절편(822)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y축방향 위치, z축방향 위치가 조정되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용 다관절 고정암(800a)은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각각 하나 이상 구비되는 한편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연결편(810)에 연결되면서 상기 촬영장치(900)의 x축방향 위치, y축방향 위치, z축방향 위치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 조정되도록 하되,
    상기 연결편(810)은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에 고정되고, 고정단(811)이 전방0 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고정단(811)에 상기 수평회전 관절편(821)과 수직회전 관절편(822)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핀결합되는 것이고,
    상기 수평회전 관절편(821)은 상기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평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것이며,
    상시 수직회전 관절편(822)은 상기 연결편(810)의 고정단(811), 이웃하는 수평회전 관절편(821), 이웃하는 수직회전 관절편(822) 군(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수직회전 가능하게 핀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KR1020200171311A 2019-12-09 2020-12-09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KR1024479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956 2019-12-09
KR20190162956 2019-1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474A true KR20210073474A (ko) 2021-06-18
KR102447954B1 KR102447954B1 (ko) 2022-09-28

Family

ID=76623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311A KR102447954B1 (ko) 2019-12-09 2020-12-09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9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20A (ko) 2021-08-26 2023-03-07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핸드피스를 이용한 수술 촬영 및 저장 시스템
KR102535721B1 (ko) * 2022-04-08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2B1 (ko) * 2012-01-27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초음파 진단 장치
JP2017507680A (ja) * 2013-12-23 2017-03-23 キャンプ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術可視化システム
JP6229324B2 (ja) * 2013-06-14 2017-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18109638A (ja) * 2018-02-15 2018-07-12 株式会社ミツトヨ 手動測定装置
KR102050565B1 (ko) 2018-04-03 2019-12-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의료 영상 촬영 장치용 테이블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242B1 (ko) * 2012-01-27 2014-02-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한 초음파 진단 장치
JP6229324B2 (ja) * 2013-06-14 2017-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ロボット制御装置およびロボットの制御方法
JP2017507680A (ja) * 2013-12-23 2017-03-23 キャンプ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手術可視化システム
JP2018109638A (ja) * 2018-02-15 2018-07-12 株式会社ミツトヨ 手動測定装置
KR102050565B1 (ko) 2018-04-03 2019-12-02 주식회사 피앤씨솔루션 의료 영상 촬영 장치용 테이블 제어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0920A (ko) 2021-08-26 2023-03-07 사이언스메딕 주식회사 핸드피스를 이용한 수술 촬영 및 저장 시스템
KR102535721B1 (ko) * 2022-04-08 2023-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954B1 (ko) 2022-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19007B2 (ja) 手術台に対して位置合わせを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7072727B (zh) 具有主动制动器释放控制装置的医疗装置
KR102447954B1 (ko) 다관절 고정암 기반 촬영제어기능 구비형 작업대 시스템
JP4632891B2 (ja) X線ct撮影装置およびx線ct撮影方法
US7780131B2 (en) Mounting system capable of repositioning an apparatus relative to a reference plane
US20130085510A1 (en) Robot-mounted surgical tables
US7209538B2 (en) Intraoperative stereo imaging system
US20120230668A1 (en) Camera system including six rotational axes for moving a camera
JP2017533795A (ja) 器具外乱補償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0166906A (ja) X線撮影装置
US20080084481A1 (en) Camera control interface
JP2019037774A (ja) 手術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のためのポジショニングアーム
CN108024837B (zh) 医疗支撑臂设备和医疗系统
US6592259B2 (en) Scaleable x-ray positioner
JPWO2017077755A1 (ja) 支持アーム装置
JP4247488B2 (ja) 頭頸部用コーンビームx線ct撮影装置
JPH08154321A (ja) 遠隔操作ロボット
CN114157802A (zh) 摄像机承托装置及其运动目标跟踪方法
JP3272286B2 (ja) 力補助装置の操作装置
US20080232552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of an image receptor arm
CN109330544A (zh) 一种腔镜支架及腔镜系统
US20120062781A1 (en)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 Camera System
US20220287788A1 (en) Head movement control of a viewing system
US20210315643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images from imaging devices
CN116490144A (zh) 观察系统中的成像装置控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