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3036A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3036A
KR20210073036A KR1020190163461A KR20190163461A KR20210073036A KR 20210073036 A KR20210073036 A KR 20210073036A KR 1020190163461 A KR1020190163461 A KR 1020190163461A KR 20190163461 A KR20190163461 A KR 20190163461A KR 20210073036 A KR20210073036 A KR 20210073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guide unit
screen
ligh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3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조영호
한혜진
임종순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3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73036A/ko
Publication of KR20210073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2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3/235Light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1Optical layou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4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screens, non-reflecting members, light-shielding members or fixed sh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3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3/3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5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aesthetic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corative trim, partition wall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광원을 이용한 복수의 광 이미지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사전에 설정된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투과된 광 및 상기 반사된 광으로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스크린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Automotive lamp}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한 복수의 광 이미지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램프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후미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경우에 따라 조명 기능과 신호 기능을 모두 하게 된다.
최근에는 램프 모듈이 단순히 조명 기능이나 신호 기능을 넘어서 특정 형태의 광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한편, 외부로 방출되는 광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것이 오래 전부터 지속되어 온 기술인 만큼, 이를 통해서는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갖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다른 제품들과의 보다 뚜렷한 차별성을 부여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대한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916432호 (2018.11.07)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나의 광원을 이용한 복수의 광 이미지를 구현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사전에 설정된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투과된 광 및 상기 반사된 광으로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광 가이드부는,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와,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 및 입사된 광을 흡수하여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시키는 광 차단부를 포함한다.
상기 광 반사부는 금속층을 포함한다.
상기 광 투과부는 중공홀이거나 광 투과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중공홀의 내측면에는 광 반사층이 구비된다.
상기 광 투과 렌즈는 투명이거나 색상을 갖는다.
상기 광 투과 렌즈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출사한다.
상기 이미지 스크린은, 상기 투과된 광으로 제1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반사된 광으로 제2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은 각각의 광 입사면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광 이미지 및 상기 제2 광 이미지는 상호간에 연관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이미지 스크린은 입사된 광의 투과 및 반사가 차단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차량용 램프의 외부로 독특한 형상의 광 이미지를 노출함으로써 시인성을 향상시켜주고 특정 제조사의 제품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스크린에 광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원 및 제2 광 가이드부의 결합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1 광 가이드부 및 제2 광 가이드부가 경사지어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이미지 스크린에 광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가이드부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의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10)는 광원(100), 광 가이드부(200) 및 이미지 스크린(310, 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100)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100)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또는 벌브타입의 광원(100) 중 하나일 수 있다. 광원(100)은 일정한 각도 범위를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광을 집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렌즈(미도시)가 광원(100)의 광 조사 경로상에 구비될 수도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광원(100)에서 조사된 광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광 가이드부(200)는 광 투과부(210), 광 반사부(220) 및 광 차단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 투과부(210)는 입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투과부(210)는 중공홀일 수 있다. 광 반사부(220)는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반사부(220)는 광 반사층(221)을 포함할 수 있다. 광 반사층(221)은 금속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반사층(221)은 알루미늄 또는 크롬에 의한 금속 증착층이거나 금속 필름층일 수 있으며, 금속 분말이 함유된 금속 도장층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 반사층(221)이 금속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중 하나로 광 반사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광 투과 패턴은 광 투과부(210)의 형태에 대응되고, 광 반사 패턴은 광 반사부(220)의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즉, 광 투과부(210)를 투과한 광 또는 광 투과부(210)에서 반사된 광은 대응하는 패턴을 갖고 출사될 수 있다.
광 차단부(230)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여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광 차단부(230)는 광 흡수층(231)을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층(231)은 입사된 광의 전체 또는 대부분을 흡수하여 광 차단부(230)로 입사된 광이 주변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광 차단부(230)는 광 가이드부(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 가이드부(200)로 입사된 광 중 광 차단부(230)의 영역 이내에 포함된 광 만이 광 가이드부(200)를 투과하거나 반사될 수 있게 된다.
광 가이드부(200)는 사전에 설정된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넓은 플레이트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은 광이 입사되는 광 가이드부(200)의 넓은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은 광 가이드부(200)의 광 입사면을 차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광 가이드부(200)의 광 입사면 중 일부는 광 투과 패턴이 차지하고, 다른 일부는 광 반사 패턴이 차지할 수 있다.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은 각각 광 투과부(210) 및 광 반사부(220)에 매핑될 수 있다. 즉, 광 투과부(210)는 광 투과 패턴의 형태로 제공되고, 광 반사부(220)는 광 반사 패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광 가이드부(200)는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도 2는 삼각형 형태의 광 투과부(210)와 나머지 영역에 광 반사부(220)를 포함하여 광 가이드부(200)가 구비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삼각형 형태의 광 반사부(220)와 나머지 영역인 광 투과부(210)로 광 가이드부(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광 투과부(210) 또는 광 반사부(220)의 패턴 형태가 삼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광 투과부(210) 또는 광 반사부(220)가 광 가이드부(200)에 포함될 수 있고, 서로 다른 복수의 형태를 갖는 광 투과부(210) 또는 광 반사부(220)가 광 가이드부(2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다시 도 1을 설명하면, 이미지 스크린(310, 320)은 광 가이드부(200)를 투과한 광 및 광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된 광으로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에서 조사된 광이 이미지 스크린(310, 320)에 맺힘으로써 광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 스크린(310, 320)은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린(310)은 광 가이드부(200)를 투과한 광으로 제1 광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2 스크린(320)은 광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된 광으로 제2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은 각각의 광 입사면이 일정 각도(a)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의 광 입사면 간의 각도(a)는 0도를 초과하고 18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광 가이드부(200)는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은 광 가이드부(200)에서 출사된 광의 광 경로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광 가이드부(200)를 투과한 광 및 광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된 광이 각각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으로 조사되어 광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미지 스크린(310, 320)은 입사된 광의 투과 및 반사가 차단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스크린(310, 320)으로 입사된 광의 패턴에 따라 이미지 스크린(310, 320)의 광 입사면에 광 이미지가 맺히고, 관찰자는 이미지 스크린(310, 320)에 맺힌 광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평판의 형태를 갖는 이미지 스크린(310, 320)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스크린(310, 320)은 곡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미지 스크린에 광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미지 스크린(310, 320)에는 광 이미지(410, 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크린(310)에는 광 가이드부(200)를 투과한 광에 의해 제1 광 이미지(410)가 형성되고, 제2 스크린(320)에는 광 가이드부(200)에서 반사된 광에 의해 제2 광 이미지(4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 이미지(410)는 광 투과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고, 제2 광 이미지(420)는 광 반사 패턴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광 이미지(410) 및 제2 광 이미지(420)는 상호간에 연관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이미지(410) 및 제2 광 이미지(420)는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이 서로 상반된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다만, 광 가이드부(200)에 대한 제1 스크린(310) 및 제2 스크린(320) 간의 거리 및 각도에 따라 제1 광 이미지(410) 및 제2 광 이미지(420)의 형태가 다소 상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 가이드부(200)에 형성된 중공홀 즉, 광 투과부(210)의 내측면에는 광 반사층(211)이 구비될 수 있다.
광 반사층(211)은 입사된 광을 반사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반사층(211)은 금속층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 반사층(211)이 금속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중 하나로 광 반사층(211)이 형성될 수 있다. 광 반사층(211)이 없는 경우 중공홀의 내측면으로 조사된 광은 올바르게 제1 스크린(310)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손실될 수 있다. 광 반사층(211)이 구비됨에 따라 광 손실이 방지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광 투과부(240)는 광 투과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투과 렌즈는 입사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광 투과 렌즈는 투명이거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즉, 광 투과 렌즈는 일정 크기 이상의 투과율을 가질 수 있으며, 색상이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색상이 포함된 경우 제1 스크린(310)에는 해당 색상을 포함하는 제1 광 이미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투과 렌즈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출사할 수도 있다.
광이 확산되는 경우 제1 스크린(310)에는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패턴의 제1 광 이미지(410)가 형성되고, 광이 집중되는 경우 제1 스크린(310)에는 경계가 뚜렷한 패턴의 제1 광 이미지(4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차량용 램프(20)는 광원(500), 광 가이드부(610, 620) 및 이미지 스크린(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광원(500)은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광원(500)은 광을 발생시키는 발광 모듈로서 LED(Light Emitting Diode), 레이저 또는 벌브타입의 광원(500) 중 하나일 수 있다.
광 가이드부(610, 620)는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는 광원(500)에서 조사된 광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는 사전에 설정된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가이드부(610)는 전술한 광 가이드부(200)와 마찬가지로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 및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를 구비하여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의 광을 출사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 가이드부(610)는 입사된 광을 흡수하여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시키는 광 차단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광 투과부는 중공홀이거나 광 투과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공홀의 내측면에는 광 반사층이 구비될 수도 있다. 광 투과 렌즈는 투명이거나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출사할 수도 있다. 광 반사부는 금속층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광 반사부가 금속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중 하나로 광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미지 스크린(700)은 제1 광 가이드부(610)를 투과한 광으로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에서 조사된 광이 이미지 스크린(700)에 맺힘으로써 광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미지 스크린(700)은 입사된 광의 투과 및 반사가 차단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스크린(700)으로 입사된 광의 패턴에 따라 이미지 스크린(700)의 광 입사면에 광 이미지가 맺히고, 관찰자는 이미지 스크린(700)에 맺힌 광 이미지를 관찰할 수 있게 된다.
광원(500),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이미지 스크린(700)의 형태 및 기능은 전술한 광원(100), 광 가이드부 및 이미지 스크린(700)의 형태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2 광 가이드부(620)는 제1 광 가이드부(610)에 의해 반사된 광을 제1 광 가이드부(610)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광 가이드부(610)는 광원(500)의 광 중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에서 반사된 광은 제2 광 가이드부(620)에서 다시 반사되어 제1 광 가이드부(610)로 입사되는 것이다. 광을 반사시키기 위하여 제2 광 가이드부(620)의 광 입사면에는 금속층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2 광 가이드부(620)의 광 입사면에 구비된 것이 금속층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광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중 하나가 제2 광 가이드부(620)의 광 입사면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광 가이드부(620)에서 제1 광 가이드부(610)로 입사된 광 중 일부는 제1 광 가이드부(610)의 광 투과부를 통하여 투과되고, 다른 일부는 광 반사부에서 반사될 수 있다. 반사된 광은 다시 제2 광 가이드부(620)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은 광이 제1 광 가이드부(610)의 광 투과부를 통해 투과되거나 소멸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광원(500)에서 조사된 광 중 광 투과부를 직접 투과하여 이미지 스크린(700)에 도달한 광은 그 이동 거리가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에 반사된 광에 비하여 짧을 수 있다. 또한,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에 1회 반사된 광은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에 2회 반사된 광에 비하여 그 이동 거리가 짧을 수 있다. 즉, 광의 이동 거리는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에 반사된 회수에 비례할 수 있는 것이다.
광은 이동하면서 에너지가 분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거리가 짧은 광은 이미지 스크린(700)에 뚜렷한 패턴의 광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동 거리가 긴 광은 이미지 스크린(700)에 흐린 패턴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미지 스크린(700)은 뚜렷한 패턴의 광 이미지 및 흐린 패턴의 광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광원 및 제2 광 가이드부의 결합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광원(50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는 일체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체형의 광원(50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의 결합체는 제1 광 가이드부(610)에 대하여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결합체와 제1 광 가이드부(610) 간의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광원(500)에서 이미지 스크린(700)에 도달하는 광의 이동 거리가 변경될 수 있다. 광의 이동 거리가 변경되는 경우 이미지 스크린(700)에 맺히는 광 이미지의 형태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의 이동 거리가 점차 감소되는 경우 광 이미지가 점차 뚜렷해지고, 광의 이동 거리가 점차 증가하는 경우 광 이미지가 점차 흐려질 수 있다. 광 이미지가 뚜렷해지거나 흐려지는 것은 연속적으로 관찰될 수 있고, 이는 동적인 이미지로 관찰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제1 광 가이드부 및 제2 광 가이드부가 경사지어 배치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는 각각의 광 입사면이 일정 각도(b)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 간의 각도(b)는 0도를 초과하고 90도 미만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 간의 각도(b)에 따라 이미지 스크린(700)에 형성되는 광 이미지의 형태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이미지 스크린에 광 이미지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미지 스크린(700)에는 복수의 광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광 이미지는 제1 광 이미지(810) 및 제2 광 이미지(821, 8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광 이미지(810)는 광원(500)의 직광으로 형성된 것이고, 제2 광 이미지(821, 822)는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에 의한 반사광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제2 광 이미지(821, 822)는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 간의 반사 회수에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반사 회수가 적은 제2 광 이미지(821)는 반사 회수가 많은 제2 광 이미지(822)에 비하여 뚜렷하게 관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는 각각의 광 입사면이 일정 각도(b)를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 간의 각도에 따라 이미지 스크린(700)에 포함된 광 이미지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X)으로 진행할수록 광 이미지가 점차 뚜렷해지거나 흐려질 수 있고, 제2 방향(Y)으로 진행할수록 광 이미지가 점차 뚜렷해지거나 흐려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 방향(X) 및 제2 방향(Y)은 각각 이미지 스크린(700)의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에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광 가이드부(610) 및 제2 광 가이드부(620) 간의 각도는 고정될 수 있고, 별도의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자동으로 조절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차량용 램프 100, 500: 광원
200, 610, 620: 광 가이드부 210, 240: 광 투과부
211: 광 반사층 220: 광 반사부
221: 광 반사층 230: 광 차단부
231: 광 흡수층 310, 320, 700: 이미지 스크린
410, 420, 810, 821, 822: 광 이미지

Claims (10)

  1. 광을 조사하는 광원;
    사전에 설정된 광 투과 패턴 및 광 반사 패턴을 포함하여 상기 광 중 일부를 투과시키고, 다른 일부를 반사시키는 광 가이드부; 및
    상기 투과된 광 및 상기 반사된 광으로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이미지 스크린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가이드부는,
    입사된 광을 투과시키는 광 투과부;
    입사된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 및
    입사된 광을 흡수하여 투과 또는 반사를 차단시키는 광 차단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부는 중공홀이거나 광 투과 렌즈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홀의 내측면에는 광 반사층이 구비되는 차량용 램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렌즈는 투명이거나 색상을 갖는 차량용 램프.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광 투과 렌즈는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거나 집중시켜 출사하는 차량용 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크린은,
    상기 투과된 광으로 제1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반사된 광으로 제2 광 이미지를 형성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스크린 및 제2 스크린은 각각의 광 입사면이 일정 각도를 갖도록 배치되는 차량용 램프.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 이미지 및 상기 제2 광 이미지는 상호간에 연관된 형태를 갖는 차량용 램프.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스크린은 입사된 광의 투과 및 반사가 차단된 차량용 램프.
KR1020190163461A 2019-12-10 2019-12-10 차량용 램프 KR20210073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61A KR20210073036A (ko) 2019-12-10 2019-12-10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3461A KR20210073036A (ko) 2019-12-10 2019-12-10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036A true KR20210073036A (ko) 2021-06-18

Family

ID=76623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3461A KR20210073036A (ko) 2019-12-10 2019-12-10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7303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432B1 (ko) 2017-03-30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6432B1 (ko) 2017-03-30 2018-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및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2387B2 (ja) 3次元光学効果を有する車両の信号伝達装置
JP5945857B2 (ja) 車両用前照灯及び導光レンズ
US9995452B2 (en) Light device, especially a headlight for motor vehicles
KR20130011779A (ko) 램프 조립체
JP6994605B2 (ja) 照明表示装置
US9255678B2 (en) Lighting appliance for vehicles
US20220120406A1 (en) Lamp for vehicle
JP2010146940A (ja) 車輌用灯具
JP5445049B2 (ja) 車両用灯具
JP5446757B2 (ja) 車両用灯具
CN209470138U (zh) 车辆用灯具
KR20160054984A (ko) 차량용 램프
JP3958653B2 (ja) ヘッドランプ
KR20210073036A (ko) 차량용 램프
KR20210073053A (ko) 차량용 램프
KR20190048547A (ko) 차량용 램프
US11137125B2 (en) Vehicle lamp
JP2013246888A (ja) 車両用灯具
WO2022030387A1 (ja) 路面描画機能を備えた車両用灯具
WO2024100224A1 (en) Luminous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20230045959A (ko) 차량용 램프
KR20130043936A (ko) 적외선 조사 장치
KR20210084045A (ko) 차량용 램프
KR20180034140A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906526B1 (ko) 차량용 조명 장치의 일체형 광학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