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2858A - 스마트 안전화 - Google Patents

스마트 안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2858A
KR20210072858A KR1020190162781A KR20190162781A KR20210072858A KR 20210072858 A KR20210072858 A KR 20210072858A KR 1020190162781 A KR1020190162781 A KR 1020190162781A KR 20190162781 A KR20190162781 A KR 20190162781A KR 20210072858 A KR20210072858 A KR 2021007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afety
smart
sole
smart safe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649B1 (ko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티
Priority to KR102019016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649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0005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1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ombined with heel stiffener, toe stiffener, or shank stiffen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3/00Uppers; Boot legs; Stiffeners; Other single parts of footwear
    • A43B23/08Heel stiffeners; Toe stiffeners
    • A43B23/081Toe stiffeners
    • A43B23/086Toe stiffeners made of impregnated fabrics, plastics or the like
    • A43B3/001
    • A43B3/0015
    • A43B3/0021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6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light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38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power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43B3/5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with sound or music sourc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earthing or groun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36Measuring load distribution, e.g. podologic studies
    • A61B5/1038Measuring plantar pressure during gai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Gait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02Sensor mounted on worn items
    • A61B5/6804Garments; Clothes
    • A61B5/6807Footwea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88Attachment of child unit to child/artic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18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electrical output from mechanical input, e.g.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화에 관한 것으로, 착용자의 동작정보 및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 축 가속도 센서 및 안전화의 앞굽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안전화 {Smart safety shoes}
본 발명은 스마트 안전화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자의 위치정보, 몸무게, 걸음걸이, 안전화의 끈이 풀려있음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혹여 발생되는 안전 사고에 빠른 대처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안전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화는 건설현장 혹은 공장 내의 산업현장(이하, "현장"이라 함)에 산재하는 날카로운 못, 나무조각이 안전화의 하부에서 파고들거나, 무거운 물체가 발등에 떨어지는 돌발상황으로부터 작업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신발이며, 이를 위해, 안전화 하부에 철판을 구비하고, 안전화의 앞굽 역시 보강재를 덧대어 구조적 강성을 강화시키는 구조로 제작/사용 되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화는,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는 일반적인 신발의 형태로 구비되며, 작업자의 부주의로 안전화의 신발끈이 풀려있을 경우, 신발끈이 엉키거나 밟혀 인사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상술한 건설현장은, 산업의 특성상, 높은 철골 구조물의 위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이 존재하며, 이러한 장소에서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강풍 혹은 미끄럼에 의해 추락하는 일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건설현장에서는, 종래 안전벨트에 부착된 안전고리를 철골 구조물에 걸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사고에 대한 조치를 하고 있으나, 작업자의 부주의와 안전고리가 불편하다는 이유로 인부들이 안전고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 추락에 대한 방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며, 이와 같은 원인으로 발생되는 추락은, 탈골, 뇌진탕, 골절등의 부상을 야기하며, 부상의 정도가 큰 경우, 작업자의 생명까지 위험해지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한편, 건설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 역시, 작업자의 현장 투입전 신체검사에 대한 규정과 안전 수칙의 기준이 애매하고 기업별로 상이하여 제대로된 작업자의 신체관리를 수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작업자의 신체 변화에 의한 사고는 예측뿐만 아니라 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도 쉽지 않다. 즉, 아침 현장투입 전에만 작업자들의 혈압과 신체정보를 구두로만 체크함으로서 현장 투입 가능 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현장에 투입된 이후에는 신체 변화에 따른 위험을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현장 관리자가 사고 발행 위험 및 근로자들의 건강 상태를 인지하고 작업가능여부를 판단하여 휴식, 작업배제 등의 의사결정을 통해 근로자들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안전화의 목적을 유지하며, 추락 사고가 발생한 경우에도 신속한 후속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안전화의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하는 것으로, 안전화가 작업자의 발을 보호하기 위한 기능은 유지하되, 작업자의 신체정보와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예기치 못하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전사고 발생시 조속한 대처가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스마트 안전화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착용자의 동작정보 및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 축 가속도 센서 및 안전화의 앞굽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는, 착용자의 몸무게, 걸음 형태,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 주 사용근육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안전화의 안전화 끈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안전화 끈 센서; 안전화의 중심에 구비되는 안전화 끈 거리 감지센서 및 상기 안전화 끈 센서가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의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신발끈이 풀렸음을 알려주는 경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밑창을 탈부착시키는 밑창 탈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안전화의 밑창 두께가 가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안전화의 밑창은, 착용자가 보행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상기 압전소자가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가 발생할 시, 안전화의 측면에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전화의 밑창은, 하중에 의해 가압될 경우, 안전화 밑창의 내부에 구비된 돌출부재가 안전화의 밑창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어 착용자에게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센서부로 입력받은 착용자 정보를 도시해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착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상소견 정보 발생시, 서버 관리자에게 이상소견 정보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안전화의 앞굽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는, 탄소섬유를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비콘 및 위치감지센서를 부착하여, 착용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3 축 가속도 센서 및 족압센서를 통해 착용자가 현장에서 거꾸로 메달리는 상황에 처하는 상황일 경우, 신속한 상황 정보 전달을 통해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구비되는 신발끈의 단부에 구비되는 거리감지센서를 통해 신발끈이 풀려있음을 감지하여, 착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으므로 신발끈이 풀려있어 발생할 수 있는 낙상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족압 센서를 통해, 착용자의 걸음걸이 및 몸무게를 감지하여, 착용자의 걸음걸이에 이상이 발생하거나, 몸무게가 평균 기록보다 낮은 수치를 도출할 경우, 착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있음을 알려줄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의 효과를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안전화의 밑창에 탈부착 수단을 구비하여, 착용자의 임의에 따라 밑창의 두께를 달리하여, 두꺼운 밑창이 요구되는 상황이거나, 반대의 상황일 경우, 용이한 밑창 두께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며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안전화 밑창 내부에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안전화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하고, 안전화 외부 둘레에 구비되는 발광부재를 발광시켜 야간작업 상황에서 착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는, 착용자가 보행시 안전화의 밑창에서 돌출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종래 안전화의 밑창에 구비되는 미끄럼 방지 부재를 보조하여 안전화의 미끄러짐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센서부의 구성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예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족압센서의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밑창 탈부착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소자 및 발광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7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와 연동된 모바일 단말, 관리자 서버를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섬유의 보강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예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하면서 구체적인 실시 예를 함께 살펴본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센서부의 구성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예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의 족압센서의 패턴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도이며, 도 5 의 (a) 및 (b)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밑창 탈부착 수단을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전소자 및 발광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7 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측면 예시도이며,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와 연동된 모바일 단말, 관리자 서버를 보여주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탄소섬유의 보강부재를 구비한 스마트 안전화의 예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는, 센서부(100) 및 배터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센서부(100)는, 착용자의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3 축 가속도 센서(110), 비콘(1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3 축 가속도 센서(110)는, 안전화 착용자가 진행하는 진행방향을 감지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거꾸로 매달리는 상황에 처할 경우, 상기 3축 가속도 센서(110)가 착용자가 거꾸로 메달린 상황을 인지하여 착용자의 상황을 관리자 서버(700) 혹은 주변 작업자들에게 착용자가 처한 상황을 알릴 수 있으며, 이로써 신속한 후속 조치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120)은, 착용자가 작업하는 작업장의 위치정보 혹은 착용자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자 서버(70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착용자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할 경우, 이상소견으로 판단하여 관리자 서버(700)에 상기 이상소견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안전화(1)는, GPS 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착용자가 넓은 현장, 지역에 파견되어 작업을 할 경우, 보다 용이한 위치 파악을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이로써, 착용자가 작업장에서 이탈하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를 현장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으며, 현장의 관리자가 착용자의 작업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목적을 가진다.
한편,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는, 착용자의 신체 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상기 센서부(100)는 안전화의 밑창에 구비되는 족압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족압센서(130)는 안전화의 밑창(20) 내부, 혹은 깔창에 구비되어, 착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가 보행함에 따라 족압센서(1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착용자의 몸무게를 도출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보행중 족압센서(130)에 가해지는 압력의 패턴을 도출하여 착용자의 걸음형태, 착용자의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 착용자의 주 사용 근육을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착용자의 걸음 형태는, 착용자가 다리를 절뚝이고 있거나 혹은 걸음이 일정시간 이상 정지한 채로 있을 경우, 이상소견이 있음을 판단하기 위함이고, 상기 착용자의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는, 착용자의 한쪽발이 공중에 떠있거나, 한쪽 다리를 땅에 딛지 못하는 상황일 경우를 판단하기 위함이며, 사용자의 주 사용 근육을 측정하는 것은, 착용자의 하체의 근육 사용 패턴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족압센서(130)에서 도출되는 착용자의 신체 정보는 착용자의 모바일 단말(600) 혹은 관리자 서버(700)에 전송,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자 서버(700)는, 착용자의 개인정보의 몸무게, 걸음 형태,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 주 사용 근육의 평균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족압센서(130)를 통해 전송, 저장되는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장의 관리자는, 상기 저장되어 있던 착용자의 평균 데이터로 하여, 착용자의 몸무게, 걸음 형태,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 주 사용 근육이 저장되어있던 정보와 큰 차이를 보일 경우, 착용자의 신체에 이상이 있음을 짐작할 수 있고, 착용자를 의료 기관에 보내 신체를 점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족압 센서(130)는, 스마트 안전화(1)의 밑창(20)에 착용자의 발이 맞닿는 표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밑창(20)의 면적범위 내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족압센서(130)에 도출되는 정보가 갑작스럽게 단절될 경우, 착용자가 거꾸로 메달려 있다는 것 역시 유추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3 축 가속도 센서(110)와 더불어, 동시에 착용자의 실족에 대한 조치를 신속히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 상술한 신체 정보를 토대로, 착용자가 발을 절거나, 평소 누적된 정보와 다른 걸음걸이를 보인다면, 착용자가 절뚝이고 있거나, 다쳤음을 알 수 있으므로, 관리자는 착용자가 위치한 현장에 신속히 출동하여, 빠른 조치가 가능하다.
한편, 도 3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는, 안전화 끈 센서(140),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150), 경보기(16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안전화 끈 센서(140)는, 안전화의 끈(30) 양 단부에 내장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고, 탈부착 가능한 부착물의 형태로 안전화 끈(30)에 부착될 수도 있다.
여기서,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150)는, 상기 안전화 끈 센서(140)가 이격된 거리 정보를 도출하기 위해 구비되며,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안전화(1)의 발등 부분, 혹은 안전화 끈(30)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안전화 끈 센서(140)가,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150)의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안전화에 구비되는 경보기(160)로 하여, 안전화의 끈(30)이 풀려 있음을 착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안전화의 끈(30)이 풀려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안전화의 끈(30)이 풀려있음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실족 및 낙상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경보기(160)는, 소리를 내는 스피커 및 광을 조사하는 발광부가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스피커와 발광부가 동시에 구비되는 것이다.
이는, 착용자가 작업에 집중하여 상기 경보기(160)에서 울리는 알람을 듣지 못할 경우, 주위의 작업자들로 하여 착용자의 안전화 끈(30)이 풀려있음을 알려줄 수 있게 함으로서, 안전화 끈(30)이 풀려있어 착용자에게 불시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경보기(160)는 관리자 서버(700)와 연동될 수 있으며, 안전화 끈(30)이 관리자 서버(700)에 기설정 되어있던 시간 이상 계속 풀려있어 경보기(160)가 계속 작동하는 상황이지만, 이에 대한 착용자의 반응이 없을 경우, 이상소견 상황을 관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한편,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의 밑창(20)은 밑창 탈부착 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밑창 탈부착 수단(300)은, 베이스 밑창(310), 가변 밑창(320), 고정 밑창(3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밑창(310)은, 내부에 상부 자석(31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밑창(330)은, 하부 자석(331)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베이스 밑창(310)은, 스마트 안전화(1)에 고정된 상태로 구비된 밑창(20)이며, 이는 안전화 자체에 결속되어 탈부착 할 수 없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자석(311)과 같이 자성을 띄는 물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밑창(330)은, 상기 베이스 밑창(310)에 구비되는 상부 자석(311)의 대응되는 위치에, 하부 자석(331)을 내부에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는, 특별히 두꺼운 밑창(20)이 요구되는 현장, 예를 들어 날카로운 선단 가공재가 널려있거나, 바닥이 특히 오염되어 주의가 필요한 상황에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변 밑창(320)을 상기 베이스 밑창(310)과 고정 밑창(330) 사이에 끼워둔 뒤, 베이스 밑창(310)과 고정 밑창(330)을 상기 상부 자석(311)과 하부 자석(331)의 자성을 이용하여 고정시켜, 바닥과 족부의 거리를 착용자의 임의에 맞게 가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의 베이스 밑창(310)과 고정 밑창(330)이 자석의 수단으로 체결될 경우, 상기 가변 밑창(320)은, 상기 자석(311, 331)이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두께로 형성되거나, 자성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 자석(311)과 하부 자석(331)이 가진 자성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약해짐에 따라, 상기 고정 밑창(330)과 베이스 밑창(310)이 예기치 못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밑창(330)과 베이스 밑창(310)의 측면 둘레에 구비되는 벨크로가 구비되거나, 베이스 밑창(310), 가변 밑창(320), 고정 밑창(330)에 삽입홈, 결합홈을 각각 구비하여, 체결하는 체결수단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의 밑창(20)은, 압전소자(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압전소자(400)는, 도 4 의 족부센서(130)와 마찬가지로, 착용자의 보행 패턴에 따라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압전 소자(400)는, 착용자의 족부 뒷부분 즉, 발 뒤꿈치 부분이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착용자의 족부가 깔창으로 하여 밑창(20)에 하중을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이면 모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착용자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를 착용하고 보행시, 상기 스마트 안전화(1)에 구비되는 압전소자(400)가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에 구비되는 배터리(200)를 충전해주어, 배터리(200)의 수명이 연장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용자 및 안전화를 관리하는 관리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의 배터리(200)를 교환하는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진다.
또한,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는, 발광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광부재(410)는, 스마트 안전화(1)의 앞굽에서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후레쉬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화의 외부 측면 둘레에서 빛을 발하는 띠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안전화의 앞굽에서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는 후레쉬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착용자는 야간보행 중 진행방향 내에 산재되어 있는 못과 같은 금속물체에 비춰지는 후레쉬의 빛이 착용자의 눈에 반사되어 진행방향 내에 산재하는 금속물체를 용이하게 탐지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는 걸음에 주의할 수 있고, 진행방향의 바닥을 빛으로 밝혀주어 보다 안전한 야간보행 및 야간작업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스마트 안전화(1)의 측면에 구비되는 발광부재(410)의 형태로 구비될 경우, 야간 작업시 주위의 작업자들에게 착용자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으므로 야간작업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발광부재(410)는, 상술한 압전소자(400)와 연결되어, 착용자가 보행시마다 빛을 발하도록 구비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안전화(1)에 구비되는 배터리(200)의 전기를 이용하며, 안전화 일측에 발광부재(410) 온/오프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착용자가 야간작업 및 야간보행시, 스위치를 온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빛을 발해 안전성을 보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1)는, 돌출부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재(500)는, 가압부(510), 스프링(520), 돌출스파이크(5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가압부(510)는, 안전화의 깔창과 밑창(20)의 사이에 구비되며, 착용자의 발 뒤꿈치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밑창(20)과 가압부(510) 사이에는, 스프링(5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도 7 에 도시된 스프링(520)은 일 예일뿐, 스프링(520)에 한정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 물체는 모두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 스파이크(530)는, 안전화의 밑창(20)과, 깔창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 스파이크(530)는, 단부가 뾰족한 징의 형태로 구비되되, 안전화의 밑창(20)에 기본적으로 구비되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부 사이의 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착용자는 보행시마다, 돌출 스파이크(530)가 안전화의 밑창 외부로 튀어나와, 안전화 밑창(20)이 본래 가지고 있던 미끄럼 방지 효과를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8 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100)는, 착용자의 모바일 단말(600)과 연동되어, 착용자의 모바일 단말(600)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센서부(100)로 입력받은 착용자의 정보를 도시해 줄 수 있다.
이로써, 착용자 스스로 본인의 동작정보 및 신체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관리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한편, 상기 착용자 정보는, 착용자의 모바일 단말(600)을 통해 관리자 서버(700)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자 서버(700)는, 기설정 되어있던 정보에서 이상소견의 정보가 감지될 경우, 관리자 서버(700)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단말기에 상기 이상소견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써, 현장 관리자가 현장에서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상소견 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음으로서, 이상소견이 발생하게 된 원인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현장에서 발생하는 돌발상황 발생시. 신속한 후속 조치를 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인사 사고를 예방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도 9 를 참조하면, 안전화의 앞굽(10)은 발등을 보호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삽입될 수 있으며, 철판과 같은 강한 강성을 갖는 보강부재가 삽입되되,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섬유를 재질로 하는 탄소섬유 보강부재(11)가 삽입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탄소섬유의 재질(11)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닌 통상의 안전화 앞굽(10)에 삽입되는 보강부재의 재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 보강부재(11)는, 안전화의 앞굽(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스마트 안전화(1)의 밑창(20) 역시 탄소섬유를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착용자는 현장의 못, 나무조각과 같은 뾰족한 선단을 갖는 물체가 신발 하부에 파고들어 부상을 입거나, 무거운 물체가 발에 떨어지는 돌발상황으로부터 작업자의 발을 보다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안전화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스마트 안전화
10 : 보강부재
11 : 탄소섬유 보강부재
20 : 밑창
30 : 안전화의 끈
100 : 센서부
110 : 3 축 가속도 센서
120 : 비콘
130 : 족압센서
140 : 안전화 끈 센서
150 :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
160 : 경보기
200 : 배터리
300 : 밑창 탈부착 수단
310 : 베이스 밑창
311 : 상부 자석
320 : 가변 밑창
330 : 고정 밑창
331 : 하부 자석
400 : 압전소자
410 : 발광부재
500 : 돌출부재
510 : 가압부
520 : 스프링
530 : 돌출스파이크
600 : 모바일 단말
700 : 관리자 서버

Claims (10)

  1. 착용자의 동작정보 및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자의 동작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는,
    착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 축 가속도 센서 및
    안전화의 앞굽에 구비되어 착용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비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의 신체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는,
    착용자의 몸무게, 걸음 형태, 신체 좌우의 중심축 형태, 주 사용근육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안전화의 안전화 끈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안전화 끈 센서;
    안전화의 중심에 구비되는 안전화 끈 거리 감지센서 및
    상기 안전화 끈 센서가 안전화 끈 거리감지 센서의 기설정 범위를 벗어나면 신발끈이 풀렸음을 알려주는 경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밑창을 탈부착시키는 밑창 탈부착 수단이 구비되어 안전화의 밑창 두께가 가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5. 제 1 항에 있어서,
    스마트 안전화의 밑창은,
    착용자가 보행함에 따라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서 발생되는 전기가 상기 스마트 안전화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는,
    상기 압전소자가 하중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가 발생할 시, 안전화의 측면에서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안전화의 밑창은,
    하중에 의해 가압될 경우, 안전화 밑창 내부에 구비된 돌출부재가 안전화의 밑창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모바일 단말과 연동되어 착용자에게 모바일 단말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센서부로 입력받은 착용자 정보를 도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자 정보는,
    모바일 단말을 통해 서버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전송받은 정보를 저장하고,
    이상소견 정보 발생시, 서버 관리자에게 이상소견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10. 제 1 항에 있어서,
    스마트 안전화의 앞굽에 구비되는 보강부재는,
    탄소섬유를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안전화
KR1020190162781A 2019-12-09 2019-12-09 스마트 안전화 KR102328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81A KR102328649B1 (ko) 2019-12-09 2019-12-09 스마트 안전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781A KR102328649B1 (ko) 2019-12-09 2019-12-09 스마트 안전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858A true KR20210072858A (ko) 2021-06-18
KR102328649B1 KR102328649B1 (ko) 2021-11-22

Family

ID=76623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781A KR102328649B1 (ko) 2019-12-09 2019-12-09 스마트 안전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6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42B1 (ko) 2022-09-29 2024-01-29 한국소재융합연구원 다축 센서를 이용한 IoT 기반의 스마트 안전화 및 안전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6366B1 (en) * 2000-03-22 2005-05-25 Jordan M. Meschkow Shoelace warning system
KR200388282Y1 (ko) * 2005-04-11 2005-06-29 변명식 신발
KR20110087772A (ko) * 2010-01-27 2011-08-03 전도석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KR20170022277A (ko) * 2015-08-20 2017-03-02 (유)이안지오텍 탄소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안전판 및 토우캡을 가지는 안전화
KR20170112955A (ko) * 2016-03-24 2017-10-12 전성근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한 신발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826138B1 (ko) * 2016-12-01 2018-02-06 임형 신발 밑창용 보호 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6366B1 (en) * 2000-03-22 2005-05-25 Jordan M. Meschkow Shoelace warning system
KR200388282Y1 (ko) * 2005-04-11 2005-06-29 변명식 신발
KR20110087772A (ko) * 2010-01-27 2011-08-03 전도석 신발용 미끄럼 방지구
KR20170022277A (ko) * 2015-08-20 2017-03-02 (유)이안지오텍 탄소섬유사로 이루어지는 안전판 및 토우캡을 가지는 안전화
KR20170112955A (ko) * 2016-03-24 2017-10-12 전성근 실시간 위치 추적이 가능한 신발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1826138B1 (ko) * 2016-12-01 2018-02-06 임형 신발 밑창용 보호 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842B1 (ko) 2022-09-29 2024-01-29 한국소재융합연구원 다축 센서를 이용한 IoT 기반의 스마트 안전화 및 안전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649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1318A (en) Foot safety guard
EP2774502A1 (en) Shoe comprising sensors
EP2688472B1 (en) SENSOR DEVICE for monitoring physical rehabilitation
KR20140090135A (ko) 발 또는 신발류 위의 힘의 검출
KR102328649B1 (ko) 스마트 안전화
DK2654478T3 (en) PROTECTION DEVICE FOR A DIABETH FOOT AND PROCEDURE FOR PROTECTING THE DIABETH FOOT FROM LACK OF BLOOD CIRCULATION
US20170311876A1 (en) Force-measuring apparatus
JP2020092759A (ja) 訓練用靴
US5765297A (en) Protective overshoe
JP2018011890A (ja) 歩行データ取得装置および歩行データ取得システム
EP2996558A1 (en) Method for the prevention of accidents and system implementing said method
US5878512A (en) Protective overshoe
JP2019217182A (ja) 歩行状態測定装置
JP5505805B2 (ja) 靴底補強具
US11568727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6470557B2 (ja) 歩行計測用センサー
KR101708462B1 (ko) 보행정보 측정 슈즈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2068599B1 (ko) 센서를 포함하는 작업화
KR102109680B1 (ko) 스마트 보행 관리 시스템
US7930840B1 (en) Toe protection apparatus
JP7316632B2 (ja) 安全長靴
KR102337525B1 (ko) 낙상 사고 방지 및 걸음 걸이 교정용 신발
US20080052961A1 (en) Chain Mail Protective Insole
CN103610267A (zh) 一种安全防护鞋
KR102588595B1 (ko) 스마트 보행 밸런스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