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939A -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939A
KR20210071939A KR1020217002426A KR20217002426A KR20210071939A KR 20210071939 A KR20210071939 A KR 20210071939A KR 1020217002426 A KR1020217002426 A KR 1020217002426A KR 20217002426 A KR20217002426 A KR 20217002426A KR 20210071939 A KR20210071939 A KR 20210071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c
cbd
analgesic
pain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 카렐리스
Original Assignee
젤리라 테라퓨틱스 오퍼레이션즈 피티와이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젤리라 테라퓨틱스 오퍼레이션즈 피티와이 엘티디 filed Critical 젤리라 테라퓨틱스 오퍼레이션즈 피티와이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210071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93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1Hydrocarbons
    • A61K31/015Hydrocarbons carbocyc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Neur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나비스(Cannabis)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9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칸나비디올(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통증 치료에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본 발명은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 및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및 통증 치료에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오피오이드(opioid) 요법의 대체 요법으로서 통증을 치료하는 방밥에 관한 것이다.
칸나비스(Cannabis)의 생물학적 활성은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레크레이션" 약물("recreational" drug)로 만들었다. 그러나 칸나비노이드(CB) 수용체류의 발견과 칸나비스 사용을 규제하는 법률의 완화-일부 관할권에서 비범죄화-로, 이제 새로운 치료제의 공급원으로서 칸나비스의 잠재력을 탐구하는 기회가 존재한다.
칸나비스의 의약적 사용을 위한 초기 드라이버들 중 하나는 진통 또는 통각 억제 효능이며, 전형적으로 약용 칸나비스는 통증 관리를 돕기 위해 암 환자에게 처방된다.
통증 관리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기존 처방 오피오이드 진통제가 환자에서의 의존성과 사회의 다른 요소로 인한 남용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보이는 현재의 오피오이드 유행에 비추어 볼 때 그러하다.
오피오이드 기반의 진통제는 통상 급성 수술 후 통증 및 만성 통증 모두에 대해 처방된다. 호주에서는 증거 기반의 가이드라인이 급성 수술 후 환경에서 오피오이드 사용을 지원하지만 만성 비암성 통증에는 해당되지 않는다. 오피오이드에는 사고 및 낙상 위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는 과다 진정, 호흡 억제, 수면 무호흡, 메스꺼움, 구토, 변비, 오피오이드 유발 안드로겐 결핍 및 말초 부종을 포함한 수많은 부작용이 있다. 오피오이드 사용의 다른 부정적인 결과에는 의도치 않은 과다 복용, 오피오이드 의존성 발현 및 오피오이드의 비의학적 목적을 위한 개인으로의 유용이 포함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성 통증(예를 들어, 3개월 이상 매일 경험하는 통증)이 있는 많은 환자는 고용량(OMEDD>60mg) 오피오이드 진통제로 장기 치료를 받고 있다.
비효과적인 통증 완화로 인해 오피오이드 사용이 증가하는 패턴이 있는 경우, 부작용이 삶의 질을 제한하는 경우, 및 오피오이드가 오용되는 경우, 용량 감소가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주당 10 내지 25% 사이의 상당히 빠른 용량 감축이 권장된다. 그러나 환자가 수년 동안 오피오이드를 복용한 경우에 용량 감소는 월 10 내지 25% 사이일 수 있다. 용량 테이퍼 요법에서 중단율(drop-out rates)은 높으며, 일부 연구에서는 중단율이 75 내지 100% 사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칸나비노이드가 오피오이드 절약(opioid sparing)으로 알려진 적절한 진통을 유지하면서 환자가 오피오이드 약물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몇 가지 증거가 있다. 만약 그렇다면, 칸나비노이드는 오피오이드 용량 테이퍼 요법에서 중단율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임을 입증하여 불량하게 관리된 통증을 가진 환자를 지원할 수 있다.
링크 및 클라크(Lynch and Clark, Journal Pain Symptom Management. 2003; 25:496-498)는 3명의 비암성 통증 환자가 피우는 마리화나(smoked marijuana)를 정기적으로 사용했음을 보고했고 오피오이드 용량을 60 내지 100%까지 감소시킬 수 있었다는 일련의 임상 사례의 결과를 보고했다.
다른 연구에서는 더 혼합된 결과를 보고했다. 예를 들어, 존슨들(Johnson et al., Journal Pain Symptom Management. 2010; 39:167-179)은 중증도 내지 중증의 암 관련 통증에 있어서 구강 점막 스프레이 제형(A: 2.7mg THC:2.5mg CBD; B: THC만 2.7mg, 및 C: 위약) 중의 칸나비노이드의 효능을 보고했다. 이 2주간 이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병행 그룹 시도(n=177)에서, 환자들은 24시간 동안 최대 48회 스프레이까지 용량을 자가 적정할 수 있었다. 오피오이드 약물의 사용은 2차 종료점(endpoint)이었다. 어떤 그룹에서도 오피오이드 돌파 약물의 중앙 용량에서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링들(Seeling et al., Anaesthetist. 2006;55:391-400)은 급성 수술 후 통증에서 위약 대비 드로나비놀(dronabinol, 5mg THC)의 사용을 조사했다. 수술 후 2일에 마이크로 오피오이드 작용제 피리트라미드(piritramide)의 중앙 용량은 치료군에서 54mg 대 대조군에서 74mg이었다. 그러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n=105).
이전 연구로부터의 혼합된 결과에도 불구하고, 칸나비노이드의 오피오이드 절약 효과에 대한 관심은 특히 만성 비암성 통증 상태에 대해 처방된 오피오이드에 대한 의존성이 유행병으로 선언된 미국에서 여전히 높다. 아주 최근에 NIH는 약용 칸나비노이드 치료가 만성 통증이 있는 성인에서 오피오이드 사용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는지를 조사하기 위한 최초의 장기 연구로 설명되는 자금으로 380만 달러를 제공했다((1R01DA044171-01A1). 18개월 이상, 오피오이드를 사용하고 의사로부터 약용 칸나비노이드 사용에 대한 인증을 받은 만성 통증이 있는 250명의 HIV 양성 및 HIV 음성 성인은 격주로 통증 수준과 마리화나 및 오피오이드의 의학적 및 불법 사용에 초점을 맞춘 웹 기반의 설문지를 작성한다. 소변 및 혈액 샘플은 3개월마다 수집되며 심층 인터뷰는 의학적인 마리화나 사용이 오피오이드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탐구할 것이다.
이 미국 연구는 만성 통증 환자가 의학적 및 불법 칸나비노이드로 자가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임상 시험이 아니며 만성 통증과 문제성 오피오이드 사용 및/또는 의존성 있는 환자를 돕기 위해 임상의가 현재 필요로 하는 가이드라인을 알리는 양질의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국제 통증 연구 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는 통증을 "실제 또는 잠재적 조직 손상과 관련되거나 그러한 손상의 관점에서 기술된 불쾌한 감각 및 감정적 경험"으로서 정의한다.
이 정의는 심리적 및 감각적 구성 요소 모두에 대한 주관적인 경험으로서 통증을 인식한다. 또한 통증을 경험하기 위해 조직 손상이 존재할 필요가 없음을 인식한다. 통증은 가장 중요한 부분 중의 하나인 통각성 통증 대 신경병성 통증을 포함하여 다양한 차원으로 분류할 수 있다. 통각성 통증은 실제 조직 손상 또는 잠재적으로 조직을 손상하는 자극에 2차적인 신경 경로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한다. 신경병성 통증은 신경계 병변이나 기능 장애에 의해 시작되어 여러 다른 메카니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는 만성 통증이다. 칸나비노이드는 신경병성 통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만성 비암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조직 치유 기간으로 간주되는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으로 정의된다. 덴마크 연구에서 연간 9.4%의 회복률이 보고되었지만 만성 비암성 통증은 시간 제한이 없을 수 있다.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수 있는 원래의 급성 원인을 치료하기 보다는 치료가 인지된 통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감각 자극이 지각으로 변환되는 방식은 복잡하고 매우 다양하며 유전적, 환경적, 인지적 및 감정적 과정을 수반한다.
clinicaltrials.gov에서 완료된 28건의 중재 임상 시험 중 대다수(n=17; 61%)는 통증 치료를 위한 사티벡스(Sativex)의 개발 및 승인 과정에서 GW Pharma에 의해 수행되었다. 추가의 두 연구에서는 화학 요법 후 신경병성 통증을 치료하거나 당뇨병성 신경병증을 완화하기 위한 사티벡스의 효과를 조사했다.
완료된 나머지 8건의 중재 임상 시험 중, 6건은 겸상 적혈구증(sickle cell disease, SCD), 척수 손상, HIV 및 당뇨병과 같은 상태와 관련된 신경병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기화된 칸나비스의 효과를 평가했다.
그러나 경구로 전달된 전체 식물 추출물을 사용한 시험은 거의 없었고, 통증 치료를 위한 THC:CBD의 최적 비율에 대한 명확한 합의도 없다.
따라서 통증 치료에 유용할 수 있는 대안적인 칸나비노이드 기반의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etrahydrocannabinol, THC) 및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과 상승 작용적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 비암성 만성 통증을 앓고 있는 환자의 치료가 통증 관리 전략을 돕기 위해 충분한 진통 또는 통각 억제를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는 칸나비스 식물의 전체 추출물로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생산 비용을 최소화하고 가공 단계 수를 줄일 수 있다.
일 측면에 있어서,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진통 또는 항통각제가 제공된다.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통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증 치료 방법이 제공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다음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된다:
(1)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의 유효량을 대상의 수면 기간 전에 투여하고,
(2) 대상의 수면 기간 후에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의 유효량을 투여하고, 임의로
(3) 돌발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THC 및 CBD를 2:1 이상의 THC:CBD 비율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진통 또는 항통각제의 유효량을 투여한다.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a) 칸나비스 추출물, (b) THC 및 (c) CBD의 사용이 제공되며, 여기서 상기 약제는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측면에 있어서, 별도의 부분으로, (a)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b)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포함하는 키트가 제공된다.
정의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식물로부터 단리되거나, 엔도칸나비노이드계와 관련된 활성을 갖도록 합성적으로 생성된 임의의 화합물에 관련된다. 이 용어는 공급원에 관계없이 관련 화합물 자체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용어 "칸나비노이드 분획(cannabinoid fraction)"은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테르펜(terpene)" 및 "테르페노이드(terpenoid)"는 종종 독특한 냄새를 제공하는 탄화수소 분자류를 가리킨다. 테르펜은 분자식 C5H8을 갖는 이소프렌 단위로부터 유래된다. 테르펜의 기본 분자식은 이소프렌 단위의 배수, 즉 (C5H8)n이며, 여기에서 n은 연결된 이소프렌 단위의 수이다. 테르페노이드는 전형적으로 산화 과정을 통해 식물에서 더 대사되는 테르펜 화합물이므로,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산소 원자를 함유한다.
용어 "테르펜 분획(terpene fraction)"은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의 조합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치료하는(treating)", "치료(treatment)", "치료하다(treat)" 등은 원하는 약리학적 및/또는 생리학적 효과를 얻기 위해 대상, 환자, 조직 또는 세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그 효과는 경험된 통증의 중증도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예방하거나 감소시키는 측면에서 예방적일 수 있고/있거나 통증의 기저 원인의 부분적 또는 완전한 치유의 측면에서 치료적일 수 있다.
용어 "투여하는(administering)"은 치료 또는 예방될 질병(들) 또는 상태(들)를 앓고 있거나 그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유효량(effective amount)"은 환자에게 투여될 때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약물의 양이 제공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치료 방법의 경우에, 이 효과는 특정 질환 및/또는 상태 또는 그의 증상의 치료일 수 있다. 따라서, "유효량"은 "치료적 유효량(therapeutically effective amount)"일 수 있다. "치료적 유효량"은 환자에게 투여될 때, 질환 또는 그 질환의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일정량의 활성 성분이 제공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 참조를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부형제(a excipient)"에 대한 참조는 복수의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고, "대상(a subject)"에 대한 참조는 하나 이상의 대상에 대한 참조 등일 수 있다.
명사 뒤의 용어 "(들(s))"은 단수형 또는 복수형, 또는 둘 다를 고려한다.
용어 "및/또는(and/or)"은 "및" 또는 "또는"을 의미할 수 있다.
문맥 상 달리 요구하지 않는 한, 본원에서 언급된 모든 백분율은 조성물의 중량 백분율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은 특정 값 또는 값의 범위를 참조하여 기술 및/또는 청구된다. 이들 값은 다양한 적절한 측정 기술의 결과와 관련이 있으므로, 특정 측정 기술에 내재된 오차 한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값의 일부는 이러한 가변성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 "약(about)"으로 표시된다. 값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때 용어 "약"은 바람직하게는 그 값의 ±25%, ±10%, ±5%, ±1% 또는 ±0.1% 이내의 양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포함하는(comprising)"은 "적어도 일부로 구성된(consisting at least in part of)"을 의미한다. 해당 용어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에서의 문장을 해석할 때, 각 문장에서 해당 용어로 시작되는 특징은 모두 존재해야 하지만, 다른 특징도 존재할 수 있다. "포함하다(comprise)" 및 "포함된(comprised)"과 같은 관련 용어는 동일한 방식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물론 다양할 수 있는 특히 예시된 약학 조성물, 생산 또는 치료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청구된 발명은 이 요약 부분에서 설명되거나 기술되거나 참조된 것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많은 속성 및 실시형태를 가지며, 요약 부분은 모든 것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고 청구된 발명은 이 요약 부분에서 식별된 특징 또는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요약 부분은 제한이 아닌 개요 설명의 목적으로만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된 모든 간행물, 특허 및 특허 출원은 상기 또는 이하에서든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언급된 간행물은 간행물에 보고되고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 프로토콜 및 시약을 설명하고 공개할 목적으로 인용되었다. 본 명세서의 어떠한 것도 본 발명이 선행 발명으로 인해 그러한 개시를 선행할 자격이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특허 명세서, 기타 외부 문서 또는 기타 정보 소스를 참조한 본 명세서에서, 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특징을 논의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그러한 외부 문서에 대한 참조는 모든 관할권에서 그러한 문서 또는 정보 소스가 선행 기술이거나 해당 기술 분야의 일반적인 통상 지식의 일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원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임의의 재료 및 방법이 본 발명을 실시 또는 시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제 바람직한 재료 및 방법을 설명한다.
실시형태(들)의 설명
본 발명은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로부터 수득된 테르펜 분획과 THC 및 CBD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CBD는 칸나비스 사티바(Cannabis sativa) 식물에 존재하는 주요 비정신성 피토칸나비노이드(non-psychotropic phytocannabinoid)이며, 일부 경우에 추출 기술에 따라 추출물의 최대 40%를 구성한다. 동물 및 인간 연구 모두 CBD의 약물 동태 및 약력학이 매우 복잡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CBD는 아난다미드(anandamide)를 분해하는 효소인 지방산 아미드 가수분해 효소(FAAH)를 억제함으로써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신호 전달(아나다민)을 간접적으로 자극하는 엔도칸나비노이드계(ECS) 내의 CB1 및 CB2 엔도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모두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중요하게는 이는 더 많은 아난다미드가 수용체에 남아있게 하여 불안 해소 및 항우울제 유사 효과를 이끌어낸다.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의 이러한 간접 작용제 특성은 유망한 안전성 프로파일을 설명할 수도 있다. 또한, CBD는 불안 완화, 항우울, 신경 보호, 항염증 및 면역 조절 작용을 포함하여, 동물 모델 및 인간의 광범위한 잠재적 치료 특성을 설명하는 바닐로이드(vanilloid), 아데노신 및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C는 칸나비스의 주요 향정신성 성분이며, 그의 주요 약리학적 효과는 진통, 근육 이완, 구토 방지, 식욕 자극 및 정신 활동을 포함한다. THC는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수용체 리간드의 작용을 모방한다. THC는 CB1 수용체의 부분 작용제이며, 주로 중추 신경계, 특히 통증과 관련된 부위에서 발현된다. THC는 시냅스전 CB1 수용체에 결합함으로써 진통을 유도하여 이들 부위의 통증에 의해 활성화된 뉴런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조합하여 사용되는 THC 및 CBD가 진통 반응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승적으로 작용한다고 입증되었다. CBD는 중독, 진정 및 빈맥을 포함하여 THC의 일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길항하는 한편, 진통, 구토 방지 및 항암 특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약학 조성물은 약 10:1 내지 약 1:10의 THC:CBD 비율로 THC 및 CB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은 예를 들어, 약 2:1 내지 약 1:2, 예컨대 약 0.8:1 내지 약 1.2:1 또는 약 1:1로 균형을 이룰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숫자 범위(예를 들어, 1 내지 10)에 대한 언급은 또한 그 범위 내의 모든 유리수(예를 들어, 1, 1.1, 2, 3, 3.9, 4, 5, 6, 6.5, 7, 8, 9 및 10)에 대한 언급 및, 또한 그 범위 내의 임의의 유리수의 범위(예를 들어, 2 내지 8, 1.5 내지 5.5 및 3.1 내지 4.7)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개시된 모든 하위 범위가 본 명세서에 명시적으로 개시된다. 이들은 특별히 의도된 것의 예일 뿐이며 열거된 최저값과 최고값 사이의 가능한 모든 수치 조합은 본 출원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명시적으로 언급된 것으로 간주된다.
THC 대 CBD의 비율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초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UPLC)를 포함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쉽게 결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THC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THC를 적어도 약 15wt%,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5wt%, 약 35wt% 또는 약 40wt%의 최소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THC를 약 85wt%, 약 80wt%, 약 75wt%, 약 70wt%, 약 65wt%, 약 60wt%, 약 55wt%, 약 50wt%, 약 45wt%, 약 40wt%, 약 35wt%, 약 30wt%, 약 25wt% 또는 약 20wt% 이하의 최대 양으로 포함한다. THC의 양은 이들 최소량 중 임의의 양에서 이들 최대량 중 임의의 양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최소 및 최대 양의 모든 조합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THC를 약 15wt% 내지 약 85wt%, 약 15wt% 내지 약 75wt%, 약 15wt% 내지 약 40wt% 또는 약 40wt% 내지 약 60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BD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CBD를 적어도 약 15wt%, 예를 들어, 적어도 약 25wt%, 약 35wt% 또는 약 40wt%의 최소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CBD를 최대 약 60wt%, 약 55wt%, 약 50wt%, 약 45wt%, 약 40wt%, 약 35wt%, 약 30wt%, 약 25wt% 또는 약 20wt%의 최대 양으로 포함한다. CBD의 양은 이들 최소량 중 임의의 양에서 이들 최대량 중 임의의 양까지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최소 및 최대 양의 모든 조합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CBD를 약 15wt% 내지 약 60wt%, 약 15wt% 내지 약 55wt%, 약 15wt% 내지 약 40wt% 또는 약 40wt% 내지 약 55wt%의 양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THC 및 CBD를 적어도 약 30wt%,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5wt%, 약 40wt%, 약 45wt%, 약 50wt%, 약 55wt%, 약 60wt%, 약 65wt%, 약 70wt%, 약 75wt%, 약 80wt%, 약 85wt%, 약 90wt%, 약 95wt% 또는 약 99wt%의 최소 총량으로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THC 및 CBD를 약 99wt% 이하, 예를 들어, 약 95wt% 이하, 약 90wt%, 약 85wt%, 약 80wt%, 약 70wt%, 약 60wt%, 약 50wt%, 약 40wt%, 약 30wt%, 약 20wt% 또는 약 15wt%의 최대 총량으로 포함한다. CBD 및 THC의 총량은 이들 최소량 중 임의의 양에서 이들 최대량 중 임의의 양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들 최소 및 최대 양의 모든 조합이 고려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CBD 및 THC를 약 30wt% 내지 약 99wt%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THC 및 CBD(및 칸나비노이드(들), 테르펜(들) 및 테르페노이드(들)를 포함한 임의의 다른 천연물)에 대한 언급은 관련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능 염 및/또는 용매화물(수화물을 포함)을 포함한다.
THC 및 CBD는 정제된 형태의 화합물로부터 조합될 수 있으며, 이는 천연 공급원으로부터 추출한 후 정제될 수 있거나, 합성적으로 또는 반합성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CBD 및/또는 THC를 생산하기 위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수단이 고려된다. 대안적으로, 약학 조성물은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칸나비스 식물은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테르페노이드, 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알칸, 스쿠알렌, 토코페롤, 카로티노이드 및 알칼로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2차 대사 산물을 생산한다. 이들 2차 대사 산물의 혼합은 칸나비스 품종, 추출된 칸나비스 식물의 일부, 추출 방법, 추출물 가공 및 계절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
2가지 다른 명명 규칙 하에 설명된 여러 종류의 칸나비스 식물이 있다. 이들 규칙 중 하나는 3개의 다른 종류의 칸나비스 식물, 즉 칸나비스 사티바 린나에우스(Cannabis sativa Linnaeus), 칸나비스 인디카 엘에이엠.(Cannabis indica LAM.), 및 칸나비스 루데랄리스(Cannabis ruderalis)를 식별한다. 또 다른 협약은 모든 칸나비스 식물이 Cannabis sativa L. 종에 속하는 것으로 식별하며, 다양한 품종은 Cannabis sativa ssp. sativa 및 ssp. indica를 포함하여 여러 아종으로 나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칸나비스(Cannabis)"는 이들 식물 품종 중 임의의 것 및 모두를 지칭한다.
칸나비스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임의의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 추출물은 칸나비노이드 및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함유하는 칸나비스 식물의 임의의 부분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추출물은 잎, 종자, 트리콤( trichome), 꽃, 케이프(keif), 셰이크, 새싹, 줄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칸나비스 식물의 일부는 추출하기 전에 신선하게 사용하거나 건조시킬 수 있다. 식물 물질을 건조시키는 모든 공지된 수단이 고려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칸나비스 식물의 임의의 부분을 추출제와 접촉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예를 들어, 알코올(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프로필렌 글리콜 등), 물, 탄화수소(예, 부탄, 헥산 등), 오일(올리브 오일, 식물성 오일, 정유 등), 극성 유기 용매(예, 에틸 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또는 초임계 유체(예, 액체 CO2)를 포함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적합한 추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추출제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약학 조성물에 혼합하기 전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될 수 있거나, 담체로서 약학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추출제는 임의로 감압 하(예, 진공 하)에 추출물을 가열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더 휘발성인 식물 대사 산물(예, 테르펜)의 일부도 추출제와 함께 제거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제를 제거하면 추출물의 칸나비노이드 분획이 풍부해질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물은 예를 들어, 여과지 또는 미세 체(예, 기공 크기가 5㎛인 체)를 통해 추출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여과하여 미립자 물질이 제거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식물 재료에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된다. 전형적으로, 이들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출제가 필요하지는 않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추가 화합물(예를 들어,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또는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이 칸나비스 추출물에 첨가될 수 있다. 화합물의 첨가는 칸나비스 식물에서 발현되는 특정 화합물의 상대적인 양의 자연적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일 수 있거나 추출물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또는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의 활성을 향상시키거나 첨가되는 화합물의 원하는 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첨가된 화합물은 원하는 화합물의 합성 버전일 수 있고, 다른 칸나비스 추출물에서 얻은 정제된 화합물일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칸나비스 추출물을 블렌딩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칸나비노이드 분획은 전형적으로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화합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칸나비노이드 약 35 내지 약 95중량%, 예를 들어, 칸나비스 추출물의 약 40 내지 약 90중량%, 약 45 내지 약 70중량% 또는 약 45 내지 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비칸나비노이드 약 5 내지 약 65중량%, 예를 들어, 비칸나비노이드 약 5 내지 약 50중량%, 약 10 내지 약 40중량% 또는 약 15 내지 약 30중량%를 포함한다.
칸나비스 추출물의 칸나비노이드 분획은 1차(또는 주요)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1차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가 최고 농도인 것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1차 칸나비노이드는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또는 칸나비디올(CBD)일 수 있다. 1차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추물물의 적어도 약 0.1중량%, 약 0.5중량%, 약 1중량%, 약 1.5중량%, 약 2중량%, 약 2.5중량%, 약 3중량%, 약 3.5중량%, 약 4중량%, 약 10중량%, 약 20중량%, 약 25중량%, 약 30중량%, 약 35중량%, 약 40중량%, 약 45중량%, 약 50중량% 또는 약 55중량%의 양으로 칸나비스 추출물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THC가 1차 칸나비노이드인 경우, 칸나비스 추출물은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을 적어도 약 0.1중량%, 약 0.5중량%, 약 1중량%, 약 1.5중량%, 약 2중량%, 약 2.5중량%, 약 3중량%, 약 3.5중량%, 약 4중량%, 약 4.5중량%, 약 10중량%, 약 20중량%, 약 25중량%, 약 30중량%, 약 35중량%, 약 40중량%, 약 45중량%, 약 50중량% 또는 약 55중량%,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97중량%, 약 0.1 내지 약 20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중량%의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을 포함할 수 있다. CBD가 1차 칸나비노이드인 경우, 칸나비스 추출물은 CBD를 적어도 약 0.1중량%, 약 0.5중량%, 약 1중량%, 약 1.5중량%, 약 2중량%, 약 2.5중량%, 약 3중량%, 약 3.5중량%, 약 4중량%, 약 20중량%, 약 25중량%, 약 30중량%, 약 35중량%, 약 40중량%, 약 45중량%, 약 50중량%, 약 55중량% 또는 약 60중량%, 예를 들어, 약 0.1 내지 약 97중량%, 약 0.1 내지 약 10중량%, 또는 약 50 내지 약 90중량%의 CBD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칸나비노이드 외에, 칸나비스 추출물은 2차 칸나비노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2차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칸나비노이드가 두 번째로 높은 농도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2차 칸나비노이드는 1차 칸나비노이드보다 적은 양으로 칸나비스 추출물 중에 존재한다. 1차 칸나비노이드가 THC인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2차 칸나비노이드는 CBD일 수 있다. 1차 칸나비노이드가 CBD인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2차 칸나비노이드는 THC일 수 있다. 2차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스 추출물 중에 이 추출물의 적어도 약 0.001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0.005중량%, 0.01중량%, 0.05중량%, 0.1중량%, 0.5중량%, 1중량%, 1.5중량% 또는 2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2차 칸나비노이드는 1차 칸나비노이드의 양보다 적은 최대량으로, 예컨대, 추출물의 약 10중량%까지, 예를 들어, 약 9중량%, 8중량%, 7중량%, 6중량%, 5중량%까지 존재할 수 있다. 2차 칸나비노이드의 양은 이들 최소량 중 임의의 양에서 이들 최대량 중 임의의 양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CBD 또는 THC 중 하나 및/또는 다른 하나가 풍부하다. CBD 및 THC를 포함한 칸나비노이드는 "칸나비노이드 수용체"라고 하는 G 단백질 결합 수용체(GPCR)류, 예를 들어, CB1 또는 CB2 수용체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구조적으로 관련된 칸나비노이드 화합물은 매우 다른 활성을 가질 수 있다. 이들 활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은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의 조합의 활성에 의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적어도 약 0.001중량%의 THC 및/또는 CBD, 예를 들어, 약 0.001 내지 약 99.999중량%의 THC 및/또는 CBD, 적어도 약 0.001 내지 약 20중량%의 THC 및/또는 CBD, 약 0.01 내지 약 20중량%의 THC 및/또는 CBD, 약 0.01 내지 약 15중량%의 THC 및/또는 CB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적어도 약 1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약 5중량%의 조합된 양으로 THC 및 CB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BD 및 THC의 조합된 양은 약학 조성물의 1 내지 20중량%, 1 내지 15중량%, 6 내지 11중량% 또는 50 내지 90중량%일 수 있다. THC 대 CBD의 비는 약 100:0 내지 약 0:100, 약 100:1 내지 약 1:100, 약 80:1 내지 약 1:80, 약 60:1 내지 약 1:60, 약 40:1 내지 약 1:40 또는 약 20:1 내지 약 1:20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THC 대 CBD의 비는 예를 들어, 약 2:1 내지 약 1:2 또는 약 1:1의 THC:CBD 비율로 균형을 이룰 수 있다. THC:CBD의 비는 THC의 양을 존재하는 CBD의 양으로 나누어 단일 숫자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약학 조성물 중 THC:CBD의 비율은 0.001, 0.1, 0.2, 0.3, 0.4, 0.45, 0.5, 0.6, 0.7, 0.8, 0.9, 1, 1.1, 1.2, 1.3, 1.4, 1.5, 1.6, 1.7, 1.8, 1.9, 2, 2.1, 2.2, 2.3, 2.4, 2.5, 2.6, 2.7, 2.8, 2.9, 3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 중 THC:CBD의 비율은 이들 값 중 임의의 값 사이, 예를 들어, 0.001 내지 3, 0.2 내지 3 또는 0.4 내지 2.6 사이일 수 있다.
균형 잡힌 양의 THC 및 CBD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를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에 CBD를 가하거나,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를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에 THC를 가하거나, 또는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를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를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과 조합함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THC 또는 CBD의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풍부한 약학 조성물의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합성 THC 또는 CBD를 칸나비스 추출물에 가하여 원하는 양의 THC 또는 CBD 또는 원하는 THC 대 CBD의 비율을 얻음으로써 수득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칸나비스 추출물은 또한 THC 및/또는 CBD 외에 다른 칸나비노이드, 예컨대, 칸나비스 추출물에서 이전에 식별된 임의의 칸나비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까지 100개가 넘는 칸나비노이드가 칸나비스 식물에서 확인되었다. 이들 칸나비노이드의 포괄적인 목록은 문헌[Mahmoud A. El Sohly and Waseem Gul, "Constituents of Cannabis Sativa." In Handbook of Cannabis Roger Pertwee (Ed.) Oxford University Press(2014)(ISBN: 9780199662685)]에서 찾을 수 있다. 칸나비스 식물에서 확인된 칸나비노이드는 다음과 같다: 칸나비게롤(Cannabigerol) (E)-CBG-C5, 칸나비게롤 모노메틸 에테르 (E)-CBGM-C5 A, 칸나비게롤산 A (Z)-CBGA-C5 A, 칸나비게로바린(Cannabigerovarin) (E)-CBGV-C3, 칸나비게롤산 A (E)-CBGA-C5 A, 칸나비게롤산 A 모노메틸 에테르 (E)CBGAM-C5 A 및 칸나비게로바린산 A (E)-CBGVAC3A; (±)-칸나비크로멘(Cannabichromene) CBC-C5, (±)-칸나비크로멘산 A CBCA-C5 A, (±)-칸나비바리크로멘, (±)-칸나비크로메바린(Cannabichromevarin) CBCV-C3, (±)-칸나비크로메바린산(Cannabichromevarinic acid) A CBCVA-C3 A; (-)-칸나비디올(Cannabidiol) CBD-C5, 칸나비디올 모노메틸 에테르 CBDMC5, 칸나비디올-C4 CBD-C4, (-)-칸나비디바린 CBDVC3, 칸나비디오르콜(Cannabidiorcol) CBD-Cl, 칸나비디올산(Cannabidiolic acid) CBDA-C5, 칸나비디바린산(Cannabidivarinic acid) CBDVA-C3; 칸나비노디올 CBNDC5, 칸나비노디바린 CBND-C3;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9-THC-C5,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C4 △9-THCC4,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9-THCV-C3, △9-테트라히드로칸나비오르콜 △9-THCO-Cl,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 A △9-THCA-C5 A,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 B △9-THCA-C5 B,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C4 A 및/또는 B △9-THCA-C4 A 및/또는 B,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산 A △9-THCVA-C3 A, △9-테트라히드로칸나비오르콜산 A 및/또는 B △9-THCOA-Cl A 및/또는 B, (-)-△8-트랜스-(6aR,10aR)-△8-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8-THC-C5, (-)-△8-트랜스-(6aR,10aR)-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 A △8-THCA-C5 A, (-)-(6aS,10aR)-△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시스-△9-THC-C5; 칸나비놀 CBN-C5, 칸나비놀-C4 CBN-C4, 칸나비바린 CBN-C3, 칸나비놀 C2 CBN-C2, 칸나비오르콜 CBN-Cl, 칸나비놀산 A CBNA-C5 A, 칸나비놀 메틸 에테르 CBNM-C5, (-)-(9R,10R)-트랜스-칸나비트리올(-)-트랜스-CBT-C5, (+)-(9S,10S)-칸나비트리올(+)-트랜스-CBT-C5, (±)-(9R,10S/9S,10R)―); 칸나비트리올(±)-시스-CBT-C5, (-)-(9R,10R)-트랜스-10-O-에틸-칸나비트리올 (-)-트랜스-CBT-OEt-C5, (±)-(9R,10R/9S,10S)-칸나비트리올-C3 (±)-트랜스-CBT-C3, 8,9-디히드록시-△6a(10a)-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8,9-Di-OH-CBT-C5, 칸나비디올산 A 칸나비트리올 에스테르 CBDA-C5 9-OH-CBT-C5 에스테르, (-)-(6aR,9S,10S,10aR)-9,10-디히드록시헥사히드로칸나비놀, 칸나비리프졸(Cannabiripsol), 칸나비리프졸-C5, (-)-6a,7,10a-트리히드록시-△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칸나비테트롤, 10-옥소-△6a(10a)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OTHC); (5aS,6S,9R,9aR)-칸나비엘조인(Cannabielsoin) CBE-C5, (5aS,6S,9R,9aR)-C3-칸나비엘조인 CBE-C3, (5aS,6S,9R,9aR)-칸나비엘조산 A CBEA-C5 A, (5aS,6S,9R,9aR)-칸나비엘조산 B CBEA-C5 B; (5aS,6S,9R,9aR)-C3-칸나비엘조산 B CBEA-C3 B, 칸나비글렌돌-C3 OH-이소-HHCV-C3, 데히드로칸나비푸란 DCBF-C5, 칸나비푸란 CBF-C5), (-)-△7-트랜스-(1R,3R,6R)-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 (±)-△7-1,2-시스-(1R,3R,6S/1S,3S,6R)-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7-트랜스-(1R,3R,6R)-이소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 (±)-(laS,3aR,8bR,8cR)-칸나비시클롤 CBL-C5, (±)-(1aS,3aR,8bR,8cR)-칸나비시클롤산 A CBLA-C5 A, (±)-(laS,3aR,8bR,8cR)-칸나비시클로바린 CBLV-C3; 칸나비시트란 CBTC5; 칸나비크로마논 CBCN-C5, 칸나비크로마논 C3 CBCN-C3, 및 칸나비카우마로논(cannabicoumaronone) CBCON-C5.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THCA),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THCV), (-)-칸나비디바린(CBDV), 칸나비노디올(CBN), 칸나비크로멘(CBC) 및 칸나비게롤(CBG)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한다. 이들 칸나비노이드 각각은 칸나비스 추출물의 약 0.001 내지 약 40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다른 칸나비노이드는 1차 칸나비노이드 또는 존재할 경우 2차 칸나비노이드(들)보다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정 칸나비노이드는 부재이거나 또는 검출 불가능한 양(예를 들어, 분석물의 약 0.001중량% 미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다음 칸나비노이드 중 하나 이상을 제외할 수 있다: △9 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산(THCA), △9 테트라히드로칸나비바린(THCV), 칸나비디올산(CBDA), 칸나비노디올(CBN), (-)-칸나비디바린(CBDV), 칸나비게롤(CBG) 및 칸나비크로멘(CBC).
칸나비스 추출물은 비칸나비노이드 분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칸나비노이드 분획은 테르펜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의 약 50중량% 미만, 예를 들어, 약 45중량%, 약 40중량%, 약 35중량%, 약 30중량%, 약 25중량%, 약 20중량%, 약 15중량%, 약 10중량%, 약 9중량%, 약 8중량%, 약 7중량%, 약 6중량%, 약 5중량%, 약 4중량%, 약 3중량%, 약 2중량% 또는 약 1중량%의 양으로 테르펜 분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상기 추출물의 적어도 약 0.001중량%, 예를 들어, 추출물 총량의 적어도 약 0.005중량%, 약 0.01중량%, 약 0.05중량%, 약 0.1중량%, 약 0.2중량%, 약 0.25중량%, 약 0.3중량%, 약 0.35중량%, 약 0.4중량%, 약 0.45중량%, 약 0.5중량%, 약 1중량%, 약 2중량%, 약 3중량%, 약 4중량%, 약 5중량%, 약 6중량%, 약 10중량%, 약 15중량% 또는 그 이상의 양으로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 화합물 약 0.001 내지 약 50중량%, 예를 들어, 약학 조성물의 약 0.01 내지 약 50중량%, 약 0.01 내지 약 10중량%, 약 0.01 내지 약 6중량%, 또는 약 0.01 내지 약 5중량%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추출물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물 재료 중의 테르펜 분획은 테르펜 분획 중의 특정 화합물의 양 및 다른 성분들에 대한 테르펜 분획의 중량의 측면에서 최종 추출물의 테르펜 프로파일과 다른 테르펜/테르페노이드 프로파일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나비스 꽃은 약 20중량%의 칸나비노이드 및 약 3중량%의 테르펜을 포함할 수 있다. 추출 및 농축(즉, 추출제의 제거) 후, 칸나비노이드 분획은 약 50 내지 90중량%에 이르고 테르펜 분획은 칸나비스 추출물의 약 0.1 내지 6중량%의 양에 달할 수 있다. 이 전형적인 시나리오는 추출제가 제거될 때 칸나비노이드가 농축되고, 테르펜 분획에 존재하는 많은 테르펜/테르페노이드의 휘발성으로 인해 테르펜 분획의 상대적인 양이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칸나비스 추출물에 존재하는 테르펜 분획의 프로파일은 천연에 존재하는 테르펜 분획의 프로파일과 현저하게 다르다.
조성물의 효능은 테르펜 분획이 특정 프로파일, 즉 특정 비율의 특정 테르펜/테르페노이드가 추출물 중에 존재할 때 향상될 수 있다. 효능의 증가는 상승적일 수 있다(즉, 비 첨가)라고 여겨진다. 또한 테르펜 분획 중에 특정 성분이 존재하면 칸나비노이드 요법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여겨진다.
모노테르펜, 모노테르페노이드, 세스퀴테르펜 및 세스퀴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한 다양한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가 칸나비스 추출물에서도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가 칸나비스 추출물에서 확인되었다: 알로아로마덴드렌(Alloaromadendrene), 알릴 헥사노에이트, 벤즈알데히드, (Z)-a-시스-베르가모텐(bergamotene), (Z)-a-트랜스-베르가모텐, β-비사볼롤(bisabolol), epi-α-비사볼롤, β-비사볼렌, 보르네올(캄폴), 시스-γ-비사볼렌, 보멀(bomeol) 아세테이트(bomyl acetate), α-카디넨, 캄펜, 캄포르, 시스-카르베올(carveol), 카리오필렌(β-카리오필렌), α-휴뮬렌(α-카리오필렌), γ-카디넨, △-3-카렌, 카리오필렌 옥사이드, 1,8-시네올(cineole), 시트랄 A, 시트랄 B, 신나멜데히드, α-코파엔(아글라이엔(aglaiene)), γ-커큐멘(curcumene), β-시멘, p-시멘, β-엘레멘, γ-엘레멘, 에틸 데카디에노에이트, 에틸 말톨,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바닐린, 유칼립톨(eucalyptol), α-유데스몰(eudesmol), β-유데스몰, γ-유데스몰, 유게놀(eugenol), 시스-β-파르네젠(farnesene)((Z)-β-파르네젠), 트랜스-α-파르네젠, 트랜스-β-파르네젠, 트랜스-γ-비사볼렌(bisabolene), 펜콘(fenchone), 펜콜(노르보만올(norbomanol, β-펜콜), 게라니올, α-구아이엔(guaiene), 구아이올(guaiol), 구르쥬넨(gurjunene), 메틸 안트라닐레이트(methyl anthranilate), 메틸 살리실레이트, 2-메틸-4-헵타논, 3-메틸-4-헵타논, 헥실 아세테이트, 입스디에놀(ipsdienol), 이소아밀 아세테이트, 레메놀(lemenol), 리모넨, d-리모넨(limonene), 리놀로올(linolool)(리날릴 알코올, β-리놀로올), α-롱기피넨(longipinene), 멘톨, γ-뮤우롤렌(muurolene), 미르센(β-미르센), 네롤리돌(nerolidol), 트랜스-네롤리돌, 네롤, β-옥시멘(ocimene(시스-옥시멘)), 옥틸 아세테이트, α-펠란드렌(phellandrene), 피톨(phytol), α-피넨(pinene)(2-피넨), β-피넨, 풀레곤(pulegone), 사비넨, 시스-사비넨 수화물(시스-투자놀(thujanol)), β-셀리넨, α-셀리넨, γ-테르피넨, 테르피놀렌(이소테르핀), 테르피네올(α-테르피네올), 테르피네올-4-올, α-테르피넨(테르필렌), α-투젠(thujene)(오리가넨), 바닐린, 비리디플로넨(레덴), 및 α-일랑게(ylange).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이들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예를 들어, 테르펜 분획은 이들 화합물의 2, 3, 4, 5, 6, 7, 8, 9. 10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르펜 분획은 상기 테르펜 및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하나 이상의 β-미르센(myrcene), α-테르피넨(terpinene), 리날로올(linalool), α-펠란드렌(phellandrene), 캄펜(camph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p-시멘(cymene), 1,8-시네올(cineole),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d-리모넨(limonene), γ-테르피넨, α-피넨(pinene), 구아이올(guaiol), 구르주넨(gurjunene), β-옥시멘(ocimene), β-피넨, γ-카디넨(cadin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 네롤리돌(nerolidol) 및 β-파르네젠(farnesen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칸나비스 추출물은 1, 2, 3, 4, 5 또는 그 이상의 이들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테르페노이드 각각은 부재이거나 테르펜 분획의 0.001 내지 50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르펜 분획은 적어도 하나의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α-펠란드렌, 캄펜, 테르피놀렌, p-시멘, 1,8-시네올, β-카리오필렌, d-리모넨, γ-테르피넨, α-피넨 및 구아이올, 특히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4개의 이들 테르펜/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르펜 분획은 적어도 하나의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α-펠란드렌, 캄펜, 테르피놀렌, p-시멘, 1,8-시네올 및 β-카리오필렌, 특히 적어도 2개, 적어도 3개 또는 적어도 4개의 이들 테르펜/테르페노이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르펜 분획은 적어도 하나의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 특히 2개, 3개 또는 4개의 이들 테르펜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분획은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을 모두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테르펜 분획은 β-미르센 및 α-테르피넨; β-미르센 및 리날로올; β-미르센 및 α-펠란드렌; α-테르피넨 및 리날로올; α-테르피넨 및 α-펠란드렌;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 β-미르센, α-테르피넨 및 리날로올; β-미르센, α-테르피넨 및 α-펠란드렌; β-미르센,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 α-테르피넨,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 및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의 조합 또는 캄펜, 테르피놀렌, p-시멘, 1,8-시네올 및 β-카리오필렌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테르펜/테르페노이드와 상기 조합들 중 임의의 것을 적어도 하나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특정 테르펜 또는 테르페노이드는 부재이거나 검출 불가능한 양(예를 들어, 분석물의 약 0.001중량% 미만)으로 존재할 수 있다.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의 정체 및 양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C)를 포함한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칸나비스 추출물의 칸나비노이드 분획 및 테르펜 분획의 프로파일은 다른 분석 기술을 사용하여 별도로 결정된다.
약학 조성물은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칸나비스 추출물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 예컨대 담체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THC, CBD,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 중 하나 이상이 첨가된 칸나비스 추출물을 포함한다. 화합물의 첨가는 칸나비스 식물에서 발현되는 특정 화합물의 상대적인 양의 자연적 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것일 수 있거나 추출물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칸나비노이드, 테르펜 또는 테르페노이드 화합물의 활성을 향상시키거나 첨가되는 화합물의 원하는 양을 제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테르펜 및/또는 테르페노이드는 추출 과정 동안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 또는 약학 조성물 중에 원하는 비천연 테르펜/테르페노이드 함량을 제공하기 위해 약학 조성물에서 그들의 함량을 조정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첨가된 화합물은 원하는 화합물의 합성 버전일 수 있거나, 다른 칸나비스 추출물 또는 다른 식물 추출물에서 수득된 정제된 화합물일 수 있거나, 2개 이상의 칸나비스 추출물을 블렌딩함으로써 첨가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임의로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들)를 포함한다. 부형제는 담체, 희석제, 보조제 또는 다른 부형제,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이들이 약학 조성물의 다른 성분들과 상용성이 있고, 투여시 또는 투여 후 환자에게 해롭지 않음을 의미한다.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통상적인 고체 또는 액체 비히클 또는 희석제뿐만 아니라, 원하는 투여 방식에 적합한 유형의 약학적 첨가제(예를 들어, 부형제, 결합제, 보존제, 안정화제, 향미제 등)를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의 분야에 잘 알려진 기술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예를 들어,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 2005,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참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미국 약전/국가 처방집(USP/NF), 영국 약전(BP), 유럽 약전(EP), 또는 일본 약전(JP)에 포함된 임의의 담체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부형제는 비천연(예를 들어, 합성 생산)일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경구, 직장, 비강, 국소(구강 및 설하와 같은 구강 점막 포함), 질 또는 비경구(근육 내, 피하 및 정맥 내 포함) 투여에 적합하거나 또는 흡입(inhalation or insufflation)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형태를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의 성분은 약학 조성물의 형태 및 이의 단위 투여 형태로 놓일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에서, 경구 사용을 위해, 고체, 예컨대, 정제 또는 충전된 캅셀제 또는 주사기로서, 또는 액체, 예컨대, 용액, 현탁액, 에멀젼, 엘릭시르 또는 이들로 충전된 캡슐로서, 직장 투여의 경우 좌제의 형태로, 또는 비경구(피하 포함) 사용을 위한 멸균 주사 용액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약학 조성물 및 이의 단위 투여 형태는 통상의 성분들을 통상의 비율로, 추가의 활성 성분(들)이 있거나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단위 투여 형태는 사용될 의도된 일일 투여량 범위에 상응하는 활성 성분의 임의의 적합한 유효량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약학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고체 또는 액체일 수 있다. 고체 형태 제제에는 분말, 정제, 환제, 캅셀제, 카세제(cachets), 좌제 및 분배 가능한 과립제가 포함된다. 고체 담체는 희석제, 향미제, 가용화제, 윤활제, 현탁화제, 결합제, 보존제, 정제 붕해제 또는 캡슐화 물질로서 작용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적합한 담체는 탄산 마그네슘,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슈가, 락토오스, 펙틴, 덱스트린, 전분, 젤라틴, 트라가칸트,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저 융점 왁스, 코코아 버터 등을 포함한다. 경구 투여에 적합한 고체 형태로서 정제, 분말, 캅셀제, 환제, 카세제 및 로젠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형태 제제는 예를 들어, 식물성 오일과 같은 오일 중 또는 물, 또는 물-프로필렌 글리콜 용액 중의 용액, 분산액, 현탁액 및 에멀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경구 주사액 제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수용액 중의 용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액체 제제는 설하 투여를 포함한 실시형태에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설하 또는 구강 투여용으로 제형화된다. 전형적으로, 설하 또는 구강용 약학 조성물은 액체이다. 그러나 에어로졸, 로젠자, 트로키, 필름, 포움, 페이스트 및 용해성 정제를 포함한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적합한 투여 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멸균 액체 형태의 약학 조성물은 멸균 용액,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를 포함한다. 활성 성분(들)은 멸균수, 멸균 유기 용매 또는 이들 둘 다의 혼합물과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현탁될 수 있다.
다른 액체 형태 제제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하나 이상의 천연 유래 오일(예를 들어, 정유) 또는 왁스와 조합함으로써 제조된 제제를 포함한다. "정유(essential oil)"는 식물 재료의 추출(예를 들어, 증기 추출, 또는 식물 재료와 추출제의 접촉) 또는 압착에 의해 유래된 오일로, 주로 소수성이며, 일반적으로 방향 성분을 포함한다. 적합한 천연 유래 오일 및 왁스에는 호마유, 올리브 오일, 아르니카 정유, 라벤더 정유, 라벤더 스파이크 정유, 유향(Frankincense) 정유, 레몬그래스 정유, 시나몬 잎 정유, 로즈마리 시네올 정유, 로즈마리 정유, 베르가못(Bergamot) 정유, 미르(Myrrh) 정유, 세이지(Sage) 정유, 코코넛 오일, 밀랍 및 대마 오일이 포함된다.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용(예를 들어, 주사, 예를 들면, 볼루스 주사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임의로 첨가된 보존제와 함께 앰플, 사전 충전된 주사기, 소량 주입의 단위 투여 형태 또는 다중 용량 용기로 제공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유성 또는 수성 비히클 중의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고, 현탁화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제형화제를 함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은 사용 전에 적합한 비히클, 예를 들어, 발열원이 없는 물로 구성하기 위해, 멸균 고체의 무균 분리 또는 용액으로부터의 동결 건조에 의해 수득된 분말 형태일 수 있다.
주사용에 적합한 약제학적 형태는 멸균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주사용 용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이들은 제조 및 저장 조건 하에서 안정해야 하며, 산화 및 박테리아 또는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의 오염 작용에 대해 보존될 수 있어야 한다.
주사용 용액 또는 분산액을 위한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은 임의의 통상적인 용매 또는 담체 시스템을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물, 에탄올, 폴리올(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및 식물성 오일을 함유할 수 있다.
주사 가능한 용도에 적합한 약제학적 형태는 정맥 내, 근육 내, 뇌 내, 척수강 내, 경막 외 주사 또는 주입을 포함한 임의의 적절한 경로에 의해 전달될 수 있다.
멸균 주사 용액은 활성 성분을 필요에 따라, 상기 열거된 바와 같은 다양한 다른 성분과 함께 적절한 담체에 필요한 양으로 혼입시킨 다음 멸균함으로써 제조된다. 일빈적으로, 분산액은 다양한 멸균 활성 성분을 기본 분산 매질과 상기 열거된 것들 중에서 필요한 기타 성분을 포함하는 멸균 비히클에 혼입하여 제조된다. 멸균 주사용 용액의 제조를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바람직한 제조 방법은 활성 성분과 임의의 추가적인 원하는 성분의 사전에 멸균한 현탁액을 진공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하는 것이다.
경구 투여를 위해, 활성 성분(들)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되어 섭취 가능한 정제, 구강 정제(buccal tablets), 트로키제, 캅셀제, 엘릭서제, 현탁제,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치료적으로 유용한 약학 조성물에서 활성 성분(들)의 양은 적절한 투여량이 얻어지도록 충분해야 한다. 따라서, 활성 성분(들)은 바람직하게는 유효량으로 제공된다.
정제, 트로키제, 환제, 캅셀제 등은 또한 이하에 열거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검, 아카시아, 옥수수 전분 또는 젤라틴과 같은 결합제; 인산 이칼슘과 같은 부형제;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알긴산 등과 같은 붕해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및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삭카린과 같은 감미제, 또는 페퍼민트, 윈터그린 오일 또는 체리향과 같은 향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투여 단위 형태가 캅셀제인 경우, 상기 유형의 물질 외에 액체 담체를 함유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물질이 코팅으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투여 단위의 물리적 형태를 변경하기 위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환제 또는 캅셀제는 셸락, 슈가 또는 둘 다로 코팅될 수 있다. 시럽 또는 엘릭서제는 활성 성분(들), 감미제로서의 수크로오스, 방부제로서의 메틸 및 프로필파라벤, 염료 및 향미제, 예컨태, 체리향 또는 오렌지향을 함유할 수 있다. 물론, 임의의 투여 단위 형태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물질은 약제학적으로 순수하고 사용되는 양에서 실질적으로 무독성이어야 한다. 또한, 활성 성분(들)은 장의 특정 영역에 활성 펩티드를 특이적으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들을 포함한 서방형 제제 및 제형에 혼입될 수 있다.
수성 용액은 활성 성분(들)을 물에 용해시키고 원하는 대로 적절한 착색제, 향미제, 안정화제 및 점도 증가제를 첨가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수성 현탁액은 미분된 활성 성분(들)을 점성 물질, 예컨대, 천연 또는 합성 검, 수지, 메틸 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또는 기타 잘 알려진 현탁화제와 함께 물 중에 분산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는 임의의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항균 및 항진균제, 등장성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 직전에 경구 및/또는 설하 투여를 위한 액체 형태 제제로 전환되도록 의도된 고체 형태 제제가 포함된다. 그러한 액체 형태 제제에는 용액, 현탁액 및 에멀젼이 포함된다. 이들 제제는 활성 성분(들)에 더하여, 착색제, 향미제, 안정화제, 완충제, 인공 및 천연 감미제, 분산제, 점도 증가제, 가용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표피에 대한 국소 투여를 위해 활성 성분(들)은 연고, 크림 또는 로션으로, 또는 경피 패치로서 제형화할 수 있다. 연고 및 크림은 예를 들어, 적합한 점도 증가제 및/또는 겔화제를 첨가하여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로 제형화할 수 있다. 로션은 수성 또는 유성 베이스로 제형화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유화제, 안정화제, 분산제, 현탁화제, 점도 증가제 또는 착색제를 함유할 것이다.
구강 내 국소 투여(구강 점막, 예를 들어, 설하 또는 구강 투여)에 적합한 제형은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액체 제형, 바람직하게는 점적기 또는 주사기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점도를 갖는 액체 제형; 향미 베이스, 일반적으로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에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로젠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오스 및 아카시아와 같은 불활성 베이스에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캔디형 정제(pastilles); 및 적합한 액체 담체에 활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구강 세정제를 포함한다.
비강으로의 투여를 위해, 용액 또는 현탁액은 예를 들어, 점적기, 피펫 또는 스프레이와 같은 통상적인 수단에 의해 비강에 직접 적용될 수 있다. 이 제형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점적기 또는 피펫의 후자의 경우, 이는 환자가 적절한 미리 결정된 부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을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스프레이의 경우, 이는 예를 들어, 계량 분무 스프레이 펌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레이의 경우, 활성 성분(들)은 시클로덱스트린으로 캡슐화하거나 코 점막에서 전달 및 유지를 향상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제제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호흡기로의 투여는 활성 성분(들)이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예를 들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또는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 탄소, 또는 다른 적합한 가스와 같은 적합한 추진제로 가압된 팩으로 제공되는 에어로졸 제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은 또한 편리하게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다. 약물의 용량은 계량 밸브를 제공하여 조절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 성분(들)은 건조 분말, 예를 들어, 락토오스, 전분, 전분 유도체,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 및 폴리비닐피롤리돈(PVP)과 같은 적합한 분말 베이스 중의 활성 성분(들)의 분말 혼합물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분말로서의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젤라틴의 캡슐 또는 카트리지로, 또는 흡입기를 통해 분말을 투여할 수 있는 블리스터 팩의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비강내 제형을 포함하여 호흡기에 투여하기 위한 제형에서, 약학 조성물은 예를 들어, 5 내지 10 마이크론 이하의 작은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입자 크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수단, 예를 들어, 미분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활성 성분(들)의 지속 방출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제형이 사용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단위 투여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적절한 양의 활성 성분(들)을 함유하는 단위 용량으로 세분된다. 단위 투여 형태는 포장된 정제, 캅셀제, 및 바이알 또는 앰플 중의 분말과 같은 개별량의 제제를 함유하는 패키지의 포장된 제제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투여 형태는 캅셀제, 정제, 카세제 또는 로젠지 자체일 수 있거나, 포장된 형태의 이들 중 적절한 수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투여 용이성 및 투여량의 균일성을 위해 비경구 투여용 약학 조성물은 또한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단위 투여 형태는 치료할 환자에 대한 단위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의미하며; 각 유닛은 필요한 약제학적 부형제와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 효과를 생성하도록 계산된 미리 결정된 양의 활성 물질을 함유한다. 단위 투여 형태에 대한 상세는 (a) 활성 성분(들)의 고유한 특성 및 달성될 특정 치료 효과, 및 (b) 신체 건강이 손상되는 병에 걸린 환자의 치료를 위해 이러한 활성 성분(들)을 배합하는 기술에 내재된 한계에 의해 지시되고 이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칸나비노이드 및/또는 테르펜 이외의 추가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활성 성분,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의 활성이 조합될 때 감소되지 않는 한 임의의 적합한 추가 활성 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 활성 성분은 진통 또는 항통각성 약물 또는 오피오이드 길항제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진통 또는 항통각성 약물은 비오피오이드 진통 또는 항통각성 약물이다. 적합한 비오피오이드 진통 또는 항통각성 약물에는 FAAH 억제제(예, 파라세타몰),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NSAID)(예,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및 나프록센), COX-2 억제제(예, 레페콕시브(refecoxib), 셀레콕시브 및 에토리콕시브), 항우울제(예,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둘록세틴(duloxetine), 히드록시진(hydroxyzine), 프로메타진(promethazine), 카리조프로돌(carisoprodol), 트리펠렌나민(tripelennamine), 클로미프라민(clomipramine), 아미트립틸린), 보조 진통제(예, 네포팜(nefopam), 오르페나드린(orphenadrine), 프레가발린(pregabalin), 시클로벤자프린(cyclobenzaprine), 히코신(hycosine)), 항경련제(예, 카르바마제판(carbamazepine), 가바펜틴(gabapentin)), 비오피오이드 NMDA 길항제(예, 피리타미드(piritamide) 및 플루피리틴(flupiritine)), 자극제(예, 메틸페니데이트, 카페인, 에페드린(ephedrine), 덱스트로암페타민(dextroamphetamine), 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 슈도에페드린(pseudoephedrine), 페닐에프린 및 코카인), 및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오피오이드 길항제는 날록손(naloxone), 날트렉손(naltrexone), 날메펜, 날로르핀(nalrorphnie), 날로르핀 디니코티네이트, 레발로르판(levallorphan), 사미도르판(samidorphan), 시프로다임(cyprodime), 날트린돌(naltrindole), 노르비날토르피민(norbinaltorphimine), J-113,397, AT-076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 활성 성분은 오피오이드이다. 이들 실시형태는 치료의 초기 단계 동안 또는 치료의 테이퍼링 단계 동안 유용할 수 있다. 적합한 오피오이드는 모르피난 오피오이드 및 비모르피난 오피오이드, 예를 들어, 옥시코돈, 히드로코돈, 옥시모르폰, 모르핀, 코데인, 펜타닐, 부프레노르핀, 트라마돌, 페티딘,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약학 조성물은 유효량 또는 준 임상량으로 오피오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약제, 수의 및 의료 기술을 사용한다. 이러한 기술은 숙련된 작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문헌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통증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약학 조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만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만성 통증은 1개월 이상의 기간, 예를 들어, 6개월, 8개월, 10개월, 1년 또는 그 이상의 기간 동안 치료가 필요한 모든 통증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암 또는 암 요법과 관련되지 않은 통증(때때로 비암성 통증으로 지칭됨)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만성 비암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엔도칸나비노이드계의 활성 또는 CB1 및/또는 CB2를 포함한 임의의 칸나비노이드 수용체의 활성과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방법에서 치료되는 통증은 통각성 통증, 심인성 통증 및/또는 신경병성 통증일 수 있다. 통각성 통증은 감각 신경 말단(또는 통각수용기(noiciceptors))의 자극과 관련이 있다. 심인성 통증은 통증 장애를 유발하는 심리적 요인과 관련이 있다(통증의 다른 물리적 원인이 배제될 때 종종 진단됨). 신경병성 통증은 말초 신경계(PNS) 또는 중추 신경계(CNS)의 손상 또는 기능 장애와 관련이 있다. 본 발명의 칸나비스 추출물은 상이한 엔도칸나비노이드 수용체에 작용하는 화합물을 함유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모든 형태의 통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에게 투여되는 THC의 투여량은 하루에 약 5mg 내지 약 100mg, 예를 들어, 하루에 약 10mg 내지 약 90mg, 약 30mg 내지 약 60mg 또는 약 50mg일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대상에게 투여되는 CBD의 투여량은 하루에 약 5mg 내지 약 100mg, 예를 들어, 하루에 약 10mg 내지 약 90mg, 약 30mg 내지 약 60mg 또는 약 50mg일 수 있다.
테르펜 분획의 투여량은 전형적으로 THC 또는 BCD의 양을 기준으로 약 0.01wt% 내지 약 20wt% 또는 약 0.1wt% 내지 약 6wt% 중 더 큰 쪽일 것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투여 요법 전체에 걸쳐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거나, 대상의 증상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개별 대상에 대한 약학 조성물의 용량을 적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1일에 1, 2, 3, 4회 이상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하나 이상의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상황에서, THC가 높은(또는 THC가 풍부한) 약학 조성물 및 CBD가 높은(또는 CBD가 풍부한) 약학 조성물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약학 조성물은 교대로 투여될 수 있고 일정 시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THC가 풍부한 제형 및 CBD가 풍부한 제형의 투여는 격일로 하거나, 순서를 교대하거나, 또는 수면 기간 전(예, 밤)에 THC가 풍부한 제형에서 수면 기간 후(예, 아침)에 CBD가 풍부한 제형으로 교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C가 풍부한 제형은 CBD가 실질적으로 없는 제형(예를 들어, 약 0.001wt% 미만) 및 THC:CBD의 비율이 2:1 초과, 예를 들어, 적어도 2.5:1, 3:1, 4:1, 5:1, 6:1, 7:1, 8:1, 9:1 또는 10:1인 제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THC가 풍부한 제형은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포함한다.
CBD가 풍부한 제형은 THC가 실질적으로 없는 제형(예를 들어, 약 0.001wt% 미만) 및 CBD:THC의 비율이 2:1 초과, 예를 들어, 적어도 2.5:1, 3:1, 4:1, 5:1, 6:1, 7:1, 8:1, 9:1 또는 10:1인 제형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CBD가 풍부한 제형은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다음과 같은 투여 요법을 포함할 수 있다:
(1) THC가 풍부한 제형의 유효량을 대상의 수면 기간 이전에 투여하고, 다음에
(2) 대상의 수면 기간 후에 CBD가 풍부한 제형의 유효량을 투여하고, 임의로
(3) 돌발적인 통증 관리를 위해 추가의 THC가 풍부한 제형의 유효량을 투여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술한 임의의 오피오이드 및 비오피오이드 진통 및/또는 항통각성 약물을 포함하여 상술한 임의의 추가 활성 성분(들)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활성 성분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과 동시에, 개별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동시에란 각각의 약학 조성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이 동일한 약학 조성물에서 동시에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적으로는 각각의 약학 조성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이 상이한 약학 조성물에서 동시에, 그리고 임의로 다른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연속적으로는 각각의 약학 조성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이 개별적으로 투여되고 다른 시간에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전형적으로, 약학 조성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이 연속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24시간 이내 또는 12, 8, 6, 5, 4, 3, 2 또는 1시간 이내에 투여된다. 약학 조성물은 다른 활성 성분 이전 또는 이후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 및 다른 활성 성분의 투여 경로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약학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투여 경로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만성 비암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a) THC, (b) CBD 및 (c) 칸나비스 추출물의 사용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약물은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한다. 칸나비스 추출물은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테르펜 분획을 적어도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 있어서, 칸나비스 추출물은 또한 THC 및 CBD를 포함하나, 이들 칸나비노이드 중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약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칸나비스 추출물에 없는 경우, 이들은 다른 공급원, 예를 들어, 합성 공급원 또는 하나 이상의 추가 칸나비스 추출물로부터 첨가될 수 있다. 칸나비스 추출물은 상술한 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만성 비암성 통증 치료를 위해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포함하는 진통 및/또는 항통각제로서 본 명세서에 또한 기술된다. 진통 및/또는 항통각제는 통증 치료를 위한 유효량으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임의의 약학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진통 및/또는 항통각제는 치료적 유효량의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로 (A) THC 및 (B) CBD를 별도의 부분으로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하며, 여기서 부분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서 수득된 테르펜 분획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a) 본 발명의 THC가 풍부한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b) 본 발명의 CBD가 풍부한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별도의 부분으로 포함하는 키트를 제공한다.
실시예(들)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에 의해 더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 경구 제형의 제조
칸나비스 식물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진공 중에 가열하여 추출제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칸나비스 추출물로부터 경구 캡슐을 제조하였다. 이로 인해 고체 과립이 생성되었고, 표 1에 기술된 구성을 갖는 캡슐로 분할되었다.
표 1. 경구 생체 이용 가능한 캡슐
성분 캡슐당 양
THC1 50mg
CBD1 50mg
부형제(들) qs 150mg
주) (1) THC 및 CBD는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서 얻어지며 각 칸나비노이드는 추출 과정에서 약 6wt% 이하의 테르펜 분획을 포함한다.
실시예 2 - 만성 비암성 통증 환자를 위한 신속한 오피오이드 투여량 테이퍼 요법에서 약용 칸나비스의 유효성
12개월 이상 동안 매일 >60mg의 모르핀 등가 용량의 안정된 오피오이드 약물 요법에 대한 만성 비암성 통증이 있는 환자 20명을 2중 맹검, 무작위, 위약 대조 2상 연구에 등록한다.
이들 환자에게는 오피오이드 요법에 더하여, 실시예 1의 캡슐을 1일 1회 투여한다. 오피오이드 투여량은 10주의 기간에 걸쳐 주당 10wt% 감소한다. 이 치료 기간은 환자에게 칸나비노이드 또는 오피오이드 요법을 투여하지 않은 6주 추적 기간에 이어진다.
다른 종료점 중에서, 이 연구는 비암성 만성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칸나비노이드 요법의 사용을 지지하는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는 시험 시작 전 및 연구의 5, 10, 및 16주에 검토 중에 평가된다. 이들 검토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타임 라인 후속 조치(Time Line Follow Back)-지난 30일 동안 알코올 및 담배 사용
- 다음을 사용하여 자가 보고된 심리 사회적 기능:
· 통증 자가 효능 설문지(Pain Self-efficacy questionnaire, PSEQ)
· 통증 파괴 척도(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 K10(케슬러 심리적 고통 척도, Kessler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 DASS21(우울증, 불안 및 스트레스 평가 척도, 21문항), 및/또는
· ATOP 버전 7.
이들 예정된 검토 중에 수집된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종료점을 평가한다:
a. 5주, 10주 및 16주에 기준선에서 오피오이드 진통(OMEDD)의 변화(%)
b. 단계적 용량 테이퍼가 중지될 때까지 주의 수
c. 5주 및 10주에 용량 테이퍼 요법 유지
d. 자가 보고 통증 점수(간단한 통증 목록)-매일
e. 기준선, 5주, 10주 및 16주에 환자 특성:
f. 통증 자가 효능 설문지(PSEQ)
g. 통증 파과 척도(PCS)
h. K10(Kessler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i. DASS21(우울증, 불안 및 스트레스 평가 척도, 21문항)
j. ATOP(호주 치료 결과 프로파일, 버전 7)
k. 칸나비노이드 대사 산물(THC 및 1차 대사 산물(THC-COOH)과 CBD 및 그의 1차 대사 산물(CBD-7-oic acid))의 소변 프로파일(매주 측정)
l. 치료 기간 동안의 부작용. 이는 평가 중에 임상의가 관리하는 자가 보고 부작용 체크리스트에 의해 평가된다.
각 종료점 a.-j.는 제형의 진통/항통각제 효능을 평가한다.
실시예 3 - 신경병성 통증 치료를 위한 마우스 모델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통증 치료를 위해 설정된 마우스 모델에서 테스트하며, 예를 들어, WO2012/160358를 참조하고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고로 본원에 포함된다. 다양한 통증 유형에 대한 다른 적절한 동물 모델은 책[National Research Council (US) Committee on Recognition and Alleviation of Pain in Laboratory Animals. Recognition and Alleviation of Pain in Laboratory Animals. Washington(DC): National Academies Press(US); 2009. A Model of Pain]에서 검토되며, 그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이전 연구가 이 실시예에서 사용된 통증 동물 모델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입증했기 때문에 칸나비디올(CBD)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제형은 경구 또는 복강 내(i.p.) 위관 영양법에 의해 투여한다.
수컷 CD-1 마우스(35-40g)를 실험 시작하기 전 최소 1주 동안 제어된 조명(12:12h 조명: 어두운 주기; 06.00h 조명) 및 환경 조건(실온 20-22℃, 습도 55-60%) 하에 수용한다. 마우스 차우(chow)와 수돗물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하고 사용되는 동물의 수를 줄이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수술 후의 값과 비교하기 위한 기준선을 설정하기 위해 수술 전에 행동 테스트를 수행한다.
마우스를 나트륨 펜토바르비탈(60mg/kg i.p,)로 마취시킨다. 오른쪽 뒷다리를 측면 위치에 고정하여 약간 올린다. 대퇴골을 랜드마크로 사용하여 허벅지 중간 높이에서 절개한다. 좌골 신경은 삼분지(trifurcation)에서 먼 허벅지 중간 수준에서 노출되어 결합 조직이 없고; 좌골 신경의 3가지 말초 기지(수랄, 일반 비골 및 경골 신경)는 신경 구조를 늘리지 않고 노출된다.
경골 및 일반 비골 신경은 모두 결찰하여 함께 처리한다. 구부러진 팁이 있는 미세 수술용 겸자를 경골 및 일반 비골 신경 아래에 섬세하게 배치하여 신경 주위에 실(예, 5.0 실크, Ethicon, Johnson, 및 Johnson Intl, Brussels, Belgium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슬라이딩시킨다. 두 신경의 긴밀한 결찰을 수행한다. 수랄(sural) 신경을 신경이 늘어나거나 수술 도구와의 신경 접촉을 피함으로써 조심스럽게 보존한다. 근육과 피부는 봉합사(예, 실크 5.0 또는 이와 유사한 것)로 2개의 별개 층으로 클로징 한다.
모조 수술한 마우스는 수술을 받았지만 신경 조작은 생략했다.
강렬하고, 재현 가능하며 오래 지속되는 열 통각 과민증 및 기계적 이질 통증 유사 행동은 손상되지 않은 수랄 신경 피부 영역에서 측정할 수 있다.
마우스 그룹은 대조군으로 제공하기 위해 모조 절차를 거친다. 모조 절차는 신경의 결찰과 절개없이 동일한 수술로 이루어졌다.
마우스 그룹(n=1-16)을 다음과 같이 나누고, 각 제형은 별도의 마우스 그룹으로 테스트한다:
i) 나이브한 대조군 마우스;
ii) 비히클로 처리된 모조 수술 마우스;
iii) 칸나비노이드로 처리된 모조 수술 마우스;
iv) 비히클로 처리된 SNI 마우스;
v) 본 발명의 제형으로 처리된 SNI 마우스. 이 제형은 매일 투여되었음.
기계적 이질 통증은 다이너믹 발바닥 각막지각계(Dynamic Plantar Anesthesiometer, Ugo Basile, Varese, Italy)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마우스를 금속 메쉬 표면에 위치한 인클로저의 2개의 구획 중 하나에서 자유로이 이동하게 한다. 마우스를 측정하기 전에 테스트 환경에 적응시킨다. 그 후, 자동화된 테스트 장치에 의해 테스트 챔버의 바닥 아래에서 마우스 뒷발의 발바닥 표면으로 기계적 자극을 전달한다. 강철 막대(2mm)를 전자 상승력(10초에 0 내지 30g)으로 밀어붙인다. 동물이 뒷발을 떼면, 기계적 자극이 자동적으로 철회되고 힘이 0.1g에 가장 가깝게 기록된다.
열 통각 과민증은 발바닥 시험 장치(Ugo Basile, Varese, Italy)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실험 당일 각 동물을 유리 바닥이 있는 플라스틱 우리(22cm x 17cm x 14cm; 길이 x 폭 x 높이)에 넣는다. 60분의 습관화 기간 후, 뒷발의 발바닥 표면을 유리 바닥을 통해 복사열 빔(예, 적외선 전구)에 노출시킨다. 광전지는 발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고 발의 움직임이 반사광을 차단할 때 열원을 끈다. 발 철수 지연 시간은 0.1초에 가장 가깝게 자동적으로 표시되고; 컷오프 시간은 조직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20초이다.
열 및 기계적 감도에 대한 응답은 초 단위의 열 발 철수 지연(thermal paw withdrawal latency, PWL) 및 그램 단위의 기계적 발 철수 임계값(mechanical paw withdrawal threshold, PWT)으로 표시된다.
각 마우스는 자체 대조군 역할을 하며, 반응은 수술 전과 후 모두에 측정된다. PWL 및 PWT는 치료에 블라인드된 관찰자에 의해 정량화된다.
행동 및 분자 데이터는 스튜던트-뉴만-코일스 사후 검정 시험(Student-Neuman-Keuls post hoc test)에 이어 평균±S.E.M으로 산출된다. 이들 데이터는 그룹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된다.
실시예 4 - 구강 점막 제형의 제조
THC 10mg/mL 및 CBD 10mg/mL를 포함하는 액체 조성물은 칸나비스 식물을 에탄올로 추출한 후 진공 중에 가열하여 추출제를 제거함으로써 수득된 칸나비스 추출물로부터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올리브 오일에 용해하였다. 필요한 경우, THC 및/또는 CBD 또는 하나 이상의 테르펜/테르페노이드를 조성물에 가하여 원하는 투여량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원하는 투여량을 함유하는 미리 충전된 주사기에 패킹되었다.
실시예 5 - 칸나비노이드 조성물의 구강 점막 전달의 유효성
12개월 이상 동안 매일 >60mg의 모르핀 등가 용량의 안정된 오피오이드 약물 요법에 대한 만성 비암성 통증이 있는 9명의 환자가 연구에 등록된다.
이들 환자에게 하기 투여 요법에 따라 오피오이드 요법에 더하여, 필요에 따라 희석된 실시예 4의 액체 제제를 투여한다. 모든 투여량은 아침과 저녁으로 나누어 투여한다. 환자는 연구 기간에 걸쳐 오피오이드 사용량을 모니터링해야 한다.
투여 요법
단계 1: 참가자는 THC 2.5mg 및 CBD 2.5mg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단일 용량을 받은 후 7일의 휴약 기간을 가진다.
단계 2: 참가자는 THC 2.5mg 및 CBD 2.5mg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단일 용량을 받은 후 고지방 식사를 한다. 참가자는 다음 주에 걸쳐 투여를 위해 THC 5mg 및 CBD 5mg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일일 용량을 받는다.
단계 3: 참가자는 다음 주에 걸쳐 THC 10mg 및 CBD 10mg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일일 투여량을 받는다.
단계 4: 참가는 다음 7일에 걸쳐 THC 15mg 및 CBD 15mg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총 일일 투여량을 받는다.
단계 5: 참가자는 THC 25mg 및 CBD 25mg을 함유하는 조성물의 단일 투여량을 받은 후 7일의 휴약 기간을 가진다.
연구 기간은 36일이다.
약용 칸나비노이드의 효과 및 유지율을 조사하는 것 외에, 이 연구는 또한 환자의 정신 건강 결과, 웰빙 및 고지방 식단의 인식 및 효과 개선에 대한 치료의 효능을 조사한다.
모니터링되는 약동력학 및 안전성 파라미터에 더하여, 모니터링되는 효과 파라미터는 다음을 포함한다:
- 간단한 통증 인벤토리(BPI)
- 우울증, 불안 및 스트레스 척도-21문항(DASS-21)
- 불면증 심각도 지수(Insomnia Severity Index, ISI) 수정
- 액티그래피(Actigraphy)-수면 시작 지연(Sleep Onset Latency, SOL), 수면 개시 후 깨어남(Wake After Sleep Onset, WASO), 총 수면 시간(TST) 및 수면 효율성(Sleep Efficiency, SE)
- 수면 일기-총 수면 시간(sTST), 수면에 든 시간(sSOL), 잠에서 깬 회수(number of awakenings, sWASO), 수면의 질(sQual 5-점 척도), 깨어날 때 상쾌한 느낌(sFRESH-5-점 척도, 주간 에너지/기분/기능 등급)
- 자가 보고된 오피오이드 약물 사용
상기 각 종료점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최종점은 연구 기간에 걸쳐 오피오이드 사용 감소를 평가할 것이다.

Claims (26)

  1. 칸나비스(Cannabis)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9-테트라히드로칸나비놀(THC), 칸나비디올(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2. 제1항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이 약 10:1 내지 약 1:10인 진통 및 항통각제.
  3. 제2항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이 약 0.8:1 내지 약 1:1.2인 진통 및 항통각제.
  4. 제2항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이 2:1 또는 그 이상인 진통 및 항통각제.
  5. 제2항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이 1:2 또는 그 이상인 진통 및 항통각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C가 약 15wt% 내지 약 85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7. 제6항에 있어서, THC가 약 15wt% 내지 약 40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BD가 약 15wt% 내지 약 60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9. 제8항에 있어서, CBD가 약 15wt% 내지 약 40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C 및 CBD의 총량은 약 30wt% 내지 약 99wt%의 범위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THC 및 CBD 중 하나 또는 다른 하나가 풍부한 것인 진통 및 항통각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칸나비크로멘(CBC) 및 칸나비게롤(CBG)의 하나 또는 둘 다를 더 포함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분획은 상기 제제의 약 0.1wt% 내지 약 10wt%의 양으로 존재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분획이 하나 이상의 β-미르센(myrcene), α-테르피넨(terpinene), 리날로올(linalool), α-펠란드렌(phellandrene), 캄펜(camphene), 테르피놀렌(terpinolene), p-시멘(cymene), 1,8-시네올(cineole), β-카리오필렌(caryophyllene), d-리모넨(limonene), γ-테르피넨, α-피넨(pinene), 구아이올(guaiol), 구르주넨(grujunene), β-옥시멘(ocimene), β-피넨, γ-카디넨(cadinene), 카리오필렌 옥사이드, 네롤리돌(nerolidol) 및 β-파르네젠(farnesene)을 포함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분획이 하나 이상의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α-펠란드렌, 캄펜, 테르피놀렌, p-시멘, 1,8-시네올, 및 β-카리오필렌을 포함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분획이 하나 이상의 β-미르센, α-테르피넨, 리날로올 및 α-펠란드렌을 포함하는 진통 및 항통각제.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을 통증 치료를 필요로하는 대상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통증 치료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이 통각성 통증, 심인성 통증 또는 신경병성 통증인 방법.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이 다음 투여 요법에 따라 투여되는 방법:
    (1)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의 유효량을 대상의 수면 기간 전에 투여하고, 다음에
    (2) 대상의 수면 기간 후에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칸나비스 추출물의 유효량을 투여한다.
  20. 제19항에 있어서, 단계 1에서 THC:CBD의 비율이 2:1보다 큰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THC:CBD의 비율이 2.5:1 내지 10:1인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단계 2에서 CBD:THC의 비율이 2:1보다 큰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CBD:THC의 비율이 2.5:1 내지 10:1인 방법.
  24. 제19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돌발성 통증을 관리하기 위해 THC 및 CBD를 2:1 이상의 THC:CBD의 비율로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진통 및 항통각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방법.
  25.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a) 칸나비스 추출물, (b) THC 및 (c) CBD의 용도로서, 상기 약제가 칸나비스 식물의 추출에 의해 수득된 THC, CBD 및 테르펜 분획을 포함하는 용도.
  26. (a)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THC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및
    (b) 1차 칸나비노이드로서 CBD를 포함하는 제1항의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
    을 별도의 부분으로 포함하는 키트.
KR1020217002426A 2018-07-03 2019-07-03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20210071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18100924 2018-07-03
AU2018100924A AU2018100924A4 (en) 2018-07-03 2018-07-03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PCT/AU2019/050700 WO2020006599A1 (en) 2018-07-03 2019-07-03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939A true KR20210071939A (ko) 2021-06-16

Family

ID=63079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2426A KR20210071939A (ko) 2018-07-03 2019-07-03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220218650A1 (ko)
EP (1) EP3817733A4 (ko)
KR (1) KR20210071939A (ko)
AU (2) AU2018100924A4 (ko)
BR (1) BR112020027080A2 (ko)
CA (1) CA3104742A1 (ko)
CL (1) CL2020003368A1 (ko)
CO (1) CO2021001061A2 (ko)
IL (1) IL279748A (ko)
MX (1) MX2021000020A (ko)
PE (1) PE20211650A1 (ko)
SG (1) SG11202013239RA (ko)
WO (1) WO20200065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93572A1 (en) * 2018-09-28 2021-12-23 Visceral Therapeutics Inc. Pharmaceutically active cannabis-based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for treating gastrointestinal conditions
WO2020188361A1 (en) * 2019-03-21 2020-09-24 ZYUS Life Sciences US Ltd. Cannabinoid and application supported opioid tapering
EP3962473A4 (en) * 2019-05-03 2023-01-25 Zyus Life Sciences Inc. PAIN MANAGEMENT FORMULATION
CA3140916A1 (en) * 2019-05-22 2020-11-26 Canopy Growth Corporation Cannabinoid-comprising compositions for management of pain
WO2021248207A1 (en) * 2020-06-12 2021-12-16 Zelira Therapeutics Operations Pty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chronic pain
CA3091622A1 (en) 2020-08-28 2022-02-28 Teresa Ann Hanlon Pain relieving formulations containing cannabi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2269823B1 (ko) * 2021-01-18 2021-06-28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대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3278708A1 (en) * 2021-07-01 2023-01-05 Ananda Scientific, Inc. Methods for treatment of pain with cannabinoids
WO2023126934A1 (en) * 2021-12-29 2023-07-06 Canonic Ltd. Cannabis compositions for treating pain and inflammation related disorders
WO2023144340A1 (en) 2022-01-28 2023-08-03 Vertanical GmbH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plant extract
WO2023144420A1 (en) 2022-01-31 2023-08-03 Vertanical GmbH Composition comprising delta-9-tetrahydrocannabinol and terpenes
WO2024044145A1 (en) * 2022-08-23 2024-02-29 Tribu Hemp Llc Cannabinoid and terpene composition to be applied on an absorbent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49582B1 (en) * 1999-05-27 2005-09-27 Wallace Walter H Method of relieving analgesia and reducing inflamation using a cannabinoid delivery topical liniment
WO2014100231A1 (en) * 2012-12-18 2014-06-26 Kotzker Consulting Llc Use of cannabinoids and terpenes for treatment of organophosphate and carbamate toxicity
CA2961410C (en) * 2014-09-16 2023-07-11 India Globalization Capital, Inc. Cannabino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CA2965493C (en) * 2014-10-21 2021-12-07 United Cannabis Corp. Cannabis extracts and methods of preparing and using same
WO2017054071A1 (en) * 2015-01-21 2017-04-06 Willinsky Michael Composition and methods to improve stability, dosing, pharmacodynamics and product shelf life of endocannabinoids, phytocannabinoids and synthetic cannabinoids delivered by nasal inhaler
CA2952335A1 (en) * 2015-12-19 2017-06-19 Delta 9 Gardening B.V. Therapeutic delivery formulations and systems comprising cannabinoids and terpenes
WO2017158539A1 (en) * 2016-03-16 2017-09-21 Buzzelet Development And Technologies Ltd Terpene-enriched cannabinoid composition
CA3065167A1 (en) * 2017-05-31 2018-12-06 Phytecs, In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nnabidiol and beta-caryophyllene and methods for their use
US11857530B2 (en) * 2017-10-30 2024-01-02 Endocanna Health, Inc. Cannabinoid formul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17733A4 (en) 2022-05-04
EP3817733A1 (en) 2021-05-12
PE20211650A1 (es) 2021-08-24
BR112020027080A2 (pt) 2021-03-30
AU2019297198B2 (en) 2022-12-08
CL2020003368A1 (es) 2021-08-13
WO2020006599A1 (en) 2020-01-09
IL279748A (en) 2021-03-01
AU2019297198A1 (en) 2021-01-28
CO2021001061A2 (es) 2021-06-30
SG11202013239RA (en) 2021-01-28
CA3104742A1 (en) 2020-01-09
MX2021000020A (es) 2021-05-27
AU2018100924A4 (en) 2018-08-09
US20220218650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97198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ain
AU2018286647B2 (en) Sleep disorder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AU2018101357A4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autism
AU2018100928A4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opioid sparing
AU2018100925A4 (en) Cannabinoi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PTSD and/or anxiety
AU2021215262B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chronic pain
AU2021106137A4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chronic pain
NZ789786A (en) Sleep Disorder Compositions and Treatmen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