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1027A - 핀치 클램프 - Google Patents

핀치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1027A
KR20210071027A KR1020217012993A KR20217012993A KR20210071027A KR 20210071027 A KR20210071027 A KR 20210071027A KR 1020217012993 A KR1020217012993 A KR 1020217012993A KR 20217012993 A KR20217012993 A KR 20217012993A KR 20210071027 A KR20210071027 A KR 2021007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surface
pinch clamp
distal
arm
proxi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2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올리비아 후
랄프 엘 손더리거
숀 스테일리
Original Assignee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filed Critical 백톤 디킨슨 앤드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21007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4Lev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8Clamping means for squeezing flexible tubes, e.g. roller clamps
    • A61M39/286Wedge clamps, e.g. roller clamps with inclined guides
    • A61M39/287Wedge formed by a slot having varying width, e.g. slide 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a screw-spindle, cam, or other mechanical means
    • F16K7/063Lever cla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7Tools for handling tubes, e.g. crimping tool for connecting tubes to a conn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7/00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 F16K7/02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 F16K7/04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 F16K7/06Diaphragm valves or cut-off apparatus, e.g. with a member deformed, but not moved bodily, to close the passage ; Pinch valves with tubular diaphragm constrictable by external radial force by means of a screw-spindle, cam, or other mechanical means
    • F16K7/066Wedge c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정변위를 발생시키면서 또한 리바운드를 방지하는 핀치 클램프가 제공된다. 정변위를 제공하면서 리바운드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은 핀치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핀치 프로파일을 따라 튜빙이 압축되고, 핀치 지점은 핀치 프로파일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리바운드를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핀치 클램프의 하부 아암은 상부 아암이 과잉-결합 위치로 가압되더라도 핀치 지점의 원위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부 클램핑면과 상호작용하는 차단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핀치 클램프
핀치 클램프는 정맥주사 또는 다른 의료 시스템의 튜빙(tubing)을 폐색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채용된다. 핀치 클램프는 종종 상부 아암이 리빙 힌지(living hinge)를 통해 하부 아암에 연결되는 클램쉘 설계(clam-shell design)를 갖는다. 하부 아암은 전형적으로 폐쇄 위치에서 상부 아암을 보유하도록 구성되며, 튜빙은 이 폐쇄 위치에서 2개의 아암 사이에 클램핑된다.
전통적인 핀치 클램프 설계는 다양한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몰딩 프로세스로 인해서, 핀치 클램프는 환자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는 날카로운 에지를 전형적으로 갖는다. 몰딩 프로세스는 또한 핀치 클램프가 비교적 부피가 커지게 한다. 또한, 많은 핀치 클램프 설계에서, 2개의 아암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측방향 이동이 허용되고, 이는 핀치 클램프의 의도하지 않은 결합해제로 이어진다. 측방향 결합해제 특징부가 이러한 설계에 통합되는 경우에도, 이러한 특징부에서의 비대칭성은 종종 일 방향에 있어서의 불량을 초래한다.
또한, 많은 핀치 클램프 설계에서, 리바운드(rebound)를 초래할 수 있는 과잉-결합이 가능하다. 도 1a 내지 도 1c는 핀치 클램프(100)가 과잉-결합될 때 리바운드가 어떻게 발생할 수 있는지의 예를 도시한다. 핀치 클램프(100)는 리빙 힌지(130)를 통해 하부 아암(120)에 연결되는 상부 아암(110)을 포함한다. 말단 부분(140)("말단"은 말단 부분(140)이 리빙 힌지(130)에 대해 환자 또는 튜빙(190)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것을 나타냄)은 리빙 힌지(130)에 대향하여 하부 아암(120)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다. 결합 구조체(141)가 말단 부분(140)의 상부 단부에 형성된다. 결합 구조체(141)는 결합면(141)을 형성하는데, 결합면(141)은 상부 아암(110)의 선단 단부(111)가 결합면(141) 아래에 유지되어 핀치 클램프(10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방으로 배향된다. 이러한 결합 위치에서, 하부 클램핑면(151) 및 상부 클램핑면(152)은 핀치 클램프(100)를 통과해 연장되는 튜빙(190)을 폐색하기에 충분한 근접도로 위치된다.
도 1a는 결합 위치에 있을 때의 핀치 클램프(100)를 도시한다. 핀치 클램프(100)를 이러한 결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임상의는 전형적으로 상부 아암(110)의 선단 단부(111)가 결합면(141) 아래로 하강할 때까지 상부 및 하부 아암(110, 120)을 압착할 것이다. 이 지점에서, 편향된 말단 부분(140)은 결합면(141) 아래에 선단 단부(111)를 유지시킬 것이다. 그러나, 상부 아암(110)이 결합 위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것을 넘어 하방으로 이동하는 능력으로 인해 곤란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도 1b는 선단 단부(111)가 실질적으로 결합면(141a)을 넘어 이동하도록 상부 아암(110)이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 상부 클램핑면(152)은 하부 클램핑면(151)과 접촉되어 하부 클램핑면(151)에 대해 전방으로(즉, 말단 단부(140)를 향해)이동된다.
하부 클램핑면(151)에 대한 상부 클램핑면(152)의 이러한 전방 이동은 도 1b에서 화살표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튜빙(190) 내에서의 유체의 "정변위(positive displacement)"를 초래한다. 즉, 핀치 클램프(100)의 과잉-결합은 튜빙(190) 내의 유체가 환자 내로 또는 적어도 환자를 향해 유동되게 할 것이다. 정변위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시나리오에서, 정변위는 과잉-결합의 결과이기 때문에,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바운드가 발생할 것이다. 도 1c에서, 임상의가 핀치 클램프(100)를 더 이상 압착하지 않고 따라서 상부 아암(110)이 결합 위치까지(즉, 선단 단부(111)가 결합면(141a)에 접촉할 때까지) 상방으로 다시 피벗된 것으로 상정한다. 하부 아암(120)에 대한 상부 아암(110)의 이러한 상방 이동은 상부 클램핑면(152)도 상방 및 다소 후방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이러한 상방 및 후방 이동은 "핀치 지점"(즉, 하부 클램핑면(151) 및 상부 클램핑면(152)이 튜빙(190)을 폐쇄하는 지점)으로부터 하류의 튜빙(190)의 내부 체적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혈액을 포함할 수 있는 유체가 튜빙(190)이 커플링되는 다른 장치의 카테터 내로 흡입될 것이다. 리바운드라는 용어는 도 1b에 도시되는 과잉-결합 위치로부터 도 1c에 도시되는 결합 위치로의 이러한 천이를 나타낸다.
핀치 클램프 리바운드로부터 초래되는 역류(reflux)는 다수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혈액의 역류는 (예컨대, 카테터 내의 관내 혈전으로 인한) 폐색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러한 폐색은 유체가 카테터를 통해 주입되는 것을 막거나 혈액이 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폐색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역류는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정변위를 제공하면서 또한 리바운드를 방지하도록 설계되는 핀치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그 결과, 이러한 핀치 클램프의 설계는 역류의 발생을 최소화한다. 리바운드를 방지하는 것에 추가하여, 핀치 클램프의 설계는 측방향 결합해제를 방지하고, 결합을 위해 요구되는 힘을 최소화하며, 환자 편안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변위를 제공하면서 리바운드를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은 핀치 프로파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핀치 프로파일을 따라 튜빙이 압축되고, 핀치 지점은 핀치 프로파일의 원위 단부에 형성된다. 리바운드를 추가로 방지하기 위해, 핀치 클램프의 하부 아암은 상부 아암이 과잉-결합 위치로 가압되더라도 핀치 지점의 원위방향 이동을 방지하도록 상부 클램핑면과 상호작용하는 차단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 및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로서 구현되며,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다. 핀치 클램프는 또한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를 포함한다.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면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다. 또한, 하부 클램핑면이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다. 핀치 클램프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과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 사이의 거리는 상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과 하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로서 구현되고,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다. 핀치 클램프는 또한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를 포함한다.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면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다. 또한, 하부 클램핑면이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다. 핀치 클램프는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고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리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과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로서 구현되고,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된다. 핀치 클램프는 또한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를 포함한다.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도록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면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편평한 근위 부분 및 편평한 근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위 부분을 갖는다. 하부 클램핑면은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고 편평하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모두 예시적이고 설명적이며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배치 및 수단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는 조합될 수도 있거나, 또는 다른 실시예가 이용될 수 있고, 그와 같이 청구되지 않는 한, 구조적 변경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하기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예시적인 실시예가 첨부 도면의 사용을 통해 부가적인 특이성 및 상세와 함께 기재되고 설명될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핀치 클램프가 과잉-결합될 때 핀치 클램프가 역류를 어떻게 유발하는지를 포함하는 종래 기술의 핀치 클램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핀치 클램프의 전방 사시도를 제공한다.
도 2b는 도 2a의 핀치 클램프의 정면도를 제공한다.
도 2c는 도 2a의 핀치 클램프의 측면도를 제공한다.
도 2d는 결합해제 위치에 있을 때의 도 2a의 핀치 클램프의 단면 정면도를 제공한다.
도 2e는 결합 위치에 있을 때의 도 2a의 핀치 클램프의 단면 정면도를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핀치 클램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핀치 클램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핀치 클램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핀치 클램프는 정변위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또한 리바운드를 방지하여 역류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단일 핀치 지점과 대조적으로 핀치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핀치 클램프는 정변위를 유발할 수 있다. 추가로,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은 핀치 프로파일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핀치 지점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위 단부를 향해 핀치 지점을 위치시킴으로써 핀치 클램프가 과잉-결합되는 경우 리바운드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핀치 클램프는 상부 아암이 과잉-결합 위치로 가압되는 경우에도 핀치 지점의 원위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클램핑면과 상호작용하는 차단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핀치 클램프(200)의 다양한 도면을 제공한다. 핀치 클램프(200)는 상부 아암(210), 하부 아암(220), 상부 및 하부 아암(210, 220)의 근위 단부를 커플링하는 리빙 힌지(230), 및 하부 아암(220)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240)를 포함한다. 리빙 힌지(230) 및 말단 단부(240)는 튜빙(도시되지 않음)이 통과하여 연장하는 개구(230a 및 240a)를 각각 형성한다. 말단 단부(240)의 상부 부분은 하향 결합면(241a)을 갖는 결합 구조체(241)를 형성한다. 상부 아암(210)은 상부 아암(210)의 선단 단부(211)가 결합면(241a) 아래에 고정되어 핀치 클램프(200)를 결합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부 아암(220)에 대해 피벗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선단 단부(211)는 상부 아암(210)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부분(212)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아암(210) 및 하부 아암(220)은 각각의 아암의 폭에 걸치는 일련의 리지(213 및 22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측방향 결합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하부 아암(220)은 탭(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탭(221)은 하부 아암(220)의 대향 측면들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여 탭들 사이에 간극을 형성한다. 상부 아암(210)은, 상부 아암(210)의 밑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탭(221) 사이의 간극 내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리브(214)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214)와 탭(221) 사이의 상호작용은 결합 위치에 있는 동안 상부 아암(210)이 하부 아암(22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선단 단부(211)가 결합면(241a)으로부터 측방향으로 결합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다.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브(214) 및 탭(221)은 말단 단부(240)를 향해 위치될 수 있다. 측방향 결합해제를 방지하는 것 이외에, 탭(221)은 또한 하부 아암(210)과 상부 아암(220) 사이에서 튜빙을 중심에 위치시키는 기능을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핀치 클램프(200)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리브(214)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핀치 클램프(200)는 측방향 이동에 의해 결합해제될 수 있지만 여전히 정변위를 제공하고 튜빙을 중심에 위치시킬 것이다.
도 2b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핀치 클램프(200)는, 하부 아암(220)이 수평이고 핀치 클램프(220)가 결합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부 아암(210)이 상향 각도로 배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c에 가장 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아암(210) 및 하부 아암(220)의 외측 에지(231)는 날카로운 에지를 제거하여 환자 편안함을 향상시키기 위해 라운딩처리된다.
상부 아암(210)은 리브(214)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리브(214)를 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부 클램핑면(252)을 형성한다. 도 2a 내지 도 2e에 도시되는 실시예를 포함하는 일부 실시예에서, 상부 클램핑면(252)은 일반적으로 편평한 근위 부분(252b) 및 돌출 원위 부분(252a)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클램핑면(252)은 상부 클램핑면(252)이 그 근위 단부로부터 그 원위 단부까지 일반적으로 편평하도록 돌출 원위 부분(252a)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하부 아암(220)은 대체로 편평한 하부 클램핑면(251)을 형성한다. 차단 리브(253)는 하부 아암(220)의 대향 측면을 따라 하부 클램핑면(251)의 원위 단부를 넘어 원위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에 의해, 하부 클램핑면(251)에 대해 원위방향의 차단 리브(253) 사이에 간극(253a)이 형성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221)은 차단 리브(253)의 상승된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부 클램핑면(252)과 하부 클램핑면(251)은 모두 세장형이며, 이에 의해 핀치 클램프(200)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핀치 프로파일을 생성한다.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상부 클램핑면(252)은 핀치 클램프가 결합해제 위치에 있을 때 하부 클램핑면(25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단 핀치 클램프(200)가 결합 위치로 천이되면, 상부 클램핑면(252)은 하부 클램핑면(251)에 대해 하방 배향으로 피벗된다. 이러한 천이의 일부로서, 근위 부분(252b)은 먼저 하부 클램핑면(251)의 근위 단부를 향해 튜빙과 접촉하여 튜빙을 압축할 것이다. 이러한 튜빙의 압축은 정변위를 유발할 것이다. 핀치 클램프(200)가 결합 위치로 완전히 천이됨에 따라 그리고 상부 클램핑면(252)의 하방으로 경사진 배향으로 인해, 원위 부분(252a)은 하부 클램핑면(251)의 원위 단부를 향해 튜빙과 접촉하고, 튜빙을 압축하며, 튜빙을 폐색(즉, 핀치 지점을 생성)시킬 것이다. 따라서, 핀치 프로파일은 클램핑면(251/252)의 근위 단부를 향한 튜빙의 압축 및 클램핑면(251/252)의 원위 단부에서의 튜빙의 폐색을 포함한다.
튜빙을 폐색하는데 필요한 힘은 돌출 원위 부분(252a)을 제공함으로써 최소화된다. 더 구체적으로, 돌출 원위 부분(252a)은 폐색되는 튜빙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결합 위치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압착력을 최소화한다. 대조적으로, 상부 클램핑면(252)이 편평한 경우, 더 큰 길이의 튜빙이 압축되고 폐색되어 결합 위치에 도달하는데 필요한 압착력을 증가시킨다.
도 2e를 다시 참조하면, 차단 리브(253)가 위치됨으로써, 과잉-결합력이 핀치 클램프(200)에 가해지는 경우, 상부 클램핑면(252)은 하부 클램핑면(251)에 대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것이다. 즉, 차단 리브(253)는 핀치 지점이 원위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과잉-결합력이 제거될 때 리바운드를 방지할 것이다. 상부 클램핑면(252)의 하방으로 경사진 배향과 조합되는 하부 클램핑면(251) 및 차단 리브(253)의 대체로 편평한 배향은 또한 상부 아암(220) 상의 과잉-결합력을 원위 부분(252a)을 중심으로 한 피벗력으로 변환할 것이다. 이러한 피벗력은 상부 클램핑면(252)이 하부 클램핑면(251)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활주할 가능성을 최소화할 것이다.
도 3은 핀치 프로파일을 또한 제공하는 하부 클램핑면(251) 및 상부 클램핑면(252)의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 클램핑면(252)은 상술한 것과 유사하게 대체로 편평한 근위 부분(252b) 및 돌출 원위 부분(252a)을 포함한다. 그러나, 하부 클램핑면(251)은 또한 원위 부분(252a)과 대체로 정렬되지만 원위 부분(252a)에 대해 세장형인 돌출 원위 부분(251b)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252/251)의 대체로 편평한 근위 부분은 원위 부분(252a/251a)이 핀치 지점을 형성하는 동안 튜빙을 압축할 것이다.
도 4는 핀치 프로파일을 또한 제공하는 하부 클램핑면(251) 및 상부 클램핑면(252)의 다른 대안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 클램핑면(251)은 편평하지 않고, 돌출 원위 부분(251a) 이외에 돌출 근위 부분(251b)을 포함한다. 근위 부분(251b)은 원위 부분(251a)보다 상방으로 더 돌출한다. 상부 클램핑면(252)은 돌출 원위 부분(252a)과 돌출 근위 부분(252b)을 포함한다. 오목 부분(252c)이 원위 부분(252a)과 근위 부분(252b) 사이에 형성되며 근위 부분(251b)의 만곡된 형상에 대응하는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근위 부분(251b)은 오목 부분(252c) 내로 삽입되고, 이는 결국 핀치 클램프의 과잉-결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근위 부분(251b)과 오목 부분(252c) 사이 및 근위 부분(251b)과 근위 부분(252b) 사이에는 대체로 일정한 간격이 형성된다. 이러한 일정한 간격은 튜빙이 압축되지만 폐색되지는 않는 채널을 형성한다. 대조적으로, 결합 위치에서, 원위 부분(252a)과 원위 부분(251a) 사이의 간격은 원위 부분(252a/251a) 사이에 핀치 지점이 형성되도록 다른 부분들 사이의 일정한 간격보다 작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 세장형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은 정변위를 제공할 것이고 또한 리바운드를 방지할 것이다. 클램핑면의 원위 단부에 핀치 지점을 위치시키는 핀치 프로파일로 인해 리바운드가 방지된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핀치 클램프는 핀치 프로파일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을 포함한다. 이 핀치 프로파일은 클램핑면의 근위 단부를 향해 튜빙을 압축함으로써 정변위를 제공하며 클램핑면의 원위 단부를 향해 핀치 지점을 위치시킴으로써 리바운드를 방지한다.

Claims (20)

  1. 핀치 클램프이며,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으로서,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되는, 하부 아암;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로서,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말단 단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상부 클램핑면으로서, 상부 클램핑면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 상부 클램핑면; 및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하부 클램핑면으로서, 하부 클램핑면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 하부 클램핑면을 포함하며,
    핀치 클램프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과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 사이의 거리가 상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과 하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 사이의 거리보다 작은 핀치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 클램핑면의 근위 및 원위 부분은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핀치 클램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은 편평하며, 상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은 상부 클램핑면의 편평한 근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핀치 클램프.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고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5. 제4항에 있어서,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은 편평하며, 차단 리브는 하부 클램핑면의 편평한 원위 부분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핀치 클램프.
  6. 제1항에 있어서,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탭; 및
    탭들 사이에서 상부 아암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하는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7. 제6항에 있어서,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는 차단 리브로서, 차단 리브는 하부 클램핑면과 탭 사이에 위치되는, 차단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아암의 에지는 라운딩처리되는 핀치 클램프.
  9.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및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은 돌출 원위 부분을 각각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은 돌출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은 상부 클램핑면의 돌출 원위 부분과 돌출 근위 부분 사이에 오목 부분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2. 제11항에 있어서, 하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은 상부 클램핑면의 오목 부분 내로 삽입되는 돌출 근위 부분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3. 핀치 클램프이며,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으로서,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되는, 하부 아암;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로서,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말단 단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상부 클램핑면으로서, 상부 클램핑면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 상부 클램핑면;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하부 클램핑면으로서, 하부 클램핑면은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갖는, 하부 클램핑면; 및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고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4. 제13항에 있어서, 하부 클램핑면의 근위 및 원위 부분은 편평한 표면을 형성하는 핀치 클램프.
  15. 제14항에 있어서, 차단 리브는 편평한 표면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핀치 클램프.
  16.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의 근위 부분은 편평하며 상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은 상부 클램핑면의 편평한 근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핀치 클램프.
  17. 제13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은 핀치 클램프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하부 클램핑면에 대해 원위 방향으로 하방으로 경사지는 핀치 클램프.
  18. 핀치 클램프이며,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부 아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하부 아암으로서, 하부 아암의 근위 단부는 힌지를 통해 상부 아암의 근위 단부에 커플링되는, 하부 아암;
    하부 아암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말단 단부로서, 말단 단부는 핀치 클램프를 결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부 아암의 원위 단부와 상호작용하는 결합면을 형성하는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말단 단부;
    상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상부 클램핑면으로서, 상부 클램핑면은 편평한 근위 부분 및 편평한 근위 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위 부분을 갖는, 상부 클램핑면; 및
    하부 아암 상에 형성되는 하부 클램핑면으로서, 하부 클램핑면은 편평한 하부 클램핑면을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부 클램핑면은 핀치 클램프가 결합 위치에 있을 때 하부 클램핑면에 대해 원위 방향에서 하방으로 경사지는 핀치 클램프.
  20. 제18항에 있어서,
    하부 아암의 대향 측면들 상에 위치되고 하부 클램핑면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원위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는 핀치 클램프.
KR1020217012993A 2018-10-04 2019-09-19 핀치 클램프 KR2021007102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41382P 2018-10-04 2018-10-04
US62/741,382 2018-10-04
US16/573,709 US11020581B2 (en) 2018-10-04 2019-09-17 Pinch clamp
US16/573,709 2019-09-17
PCT/US2019/051850 WO2020072204A1 (en) 2018-10-04 2019-09-19 Pinch cl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1027A true KR20210071027A (ko) 2021-06-15

Family

ID=70051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2993A KR20210071027A (ko) 2018-10-04 2019-09-19 핀치 클램프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11020581B2 (ko)
EP (1) EP3860702A1 (ko)
JP (2) JP7381571B2 (ko)
KR (1) KR20210071027A (ko)
CN (2) CN116020048A (ko)
AU (1) AU2019355791A1 (ko)
BR (1) BR112021006178A2 (ko)
CA (1) CA3114748A1 (ko)
MX (1) MX2021003821A (ko)
SG (1) SG11202103204VA (ko)
WO (1) WO2020072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3963B2 (en) * 2021-01-19 2023-10-24 Tubetamer, LLC Ambulatory tube support for endotracheal tubing
US20240149044A1 (en) * 2022-11-07 2024-05-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inch clamp device and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869A (en) * 1981-03-12 1982-08-31 Macneill Robert L Tube clamp
US4589626A (en) * 1985-03-13 1986-05-20 Bioresearch Inc. Hose clamp
US8262639B2 (en) 2002-01-31 2012-09-11 Fenwal, Inc. Irreversible flow control clamp
FR2920513B1 (fr) * 2007-09-04 2021-05-28 Fresenius Vial Pince de serrage pour tubulure souple, pompe munie de moyens pour ouvrir une telle pince et set de perfusion muni d'une telle pince.
US20120035553A1 (en) * 2009-03-23 2012-02-09 Gambro Lundia Ab Clamp for closing flexible tubing belonging to medical equipment
JP5804388B2 (ja) * 2011-02-17 2015-11-04 ニプロ株式会社 医療チューブ用クランプ
JP5908898B2 (ja) 2011-05-16 2016-04-26 テルモ株式会社 クランプおよび血液バッグシステム
US9050447B2 (en) 2011-11-23 2015-06-09 Carefusion 303, Inc. Positive bolus clamp
JP5973669B2 (ja) * 2014-06-30 2016-08-23 日機装株式会社 可撓性チューブのクランプ装置
CN107206227B (zh) * 2015-02-03 2021-06-01 日机装株式会社 夹持装置
JP6082433B2 (ja) * 2015-06-22 2017-02-15 日機装株式会社 クランプ装置
WO2017007909A1 (en) 2015-07-07 2017-01-12 Halkey-Roberts Corporation Tubing clamp
US11040186B2 (en) * 2015-10-28 2021-06-2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Pinch clamp device
US9925285B1 (en) * 2017-06-21 2018-03-27 Inikoa Medical, Inc. Disinfecting methods and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60357A1 (en) 2021-08-26
CN112969497B (zh) 2023-02-10
MX2021003821A (es) 2021-05-27
US11484697B2 (en) 2022-11-01
BR112021006178A2 (pt) 2021-06-29
US20230015718A1 (en) 2023-01-19
JP2023181479A (ja) 2023-12-21
SG11202103204VA (en) 2021-04-29
CA3114748A1 (en) 2020-04-09
US11020581B2 (en) 2021-06-01
WO2020072204A1 (en) 2020-04-09
CN112969497A (zh) 2021-06-15
EP3860702A1 (en) 2021-08-11
JP7381571B2 (ja) 2023-11-15
CN116020048A (zh) 2023-04-28
AU2019355791A1 (en) 2021-05-06
US20200109786A1 (en) 2020-04-09
JP2022504345A (ja)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5718A1 (en) Pinch clamp
CA2620020C (en) Devices and methods to facilitate cannulation of an arteriovenous fistula
US10124158B2 (en) Positive bolus clamp
US5423831A (en) Clamp
US11628290B2 (en) Pinch clamp
JP6181286B2 (ja) クランプ装置
JP4922246B2 (ja) ワンタッチクランプ装置
JP2013538649A (ja) 自由流れ防止オクルーダー(antifree−flowoccluder)および呼び水アクチュエータパッド(primingactuatorpad)
CN103391792A (zh) 医疗管夹
US11351354B2 (en) Extension tube clamp providing positive displacement
CN211270959U (zh) 一种组织闭合夹
JP2022540626A (ja) 抗力の減少を促進するカテーテルシステム
CN111050710B (zh) 灌注管
CN107335110B (zh) 止水夹
KR102347245B1 (ko) 커넥터 일체형 클램프 어셈블리
JP7480784B2 (ja) 医療用チューブクランプ
CN219331671U (zh) 导管适配器和脉管接入装置
CN107106760A (zh) 夹套式止流装置
CN211068469U (zh) 一种可防止管路偏离的止流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