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0236A -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0236A
KR20210070236A KR1020207035016A KR20207035016A KR20210070236A KR 20210070236 A KR20210070236 A KR 20210070236A KR 1020207035016 A KR1020207035016 A KR 1020207035016A KR 20207035016 A KR20207035016 A KR 20207035016A KR 20210070236 A KR20210070236 A KR 20210070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baudioside
glucosylated
mono
terpene glycoside
terp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35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단-팅 인
이-민 왕
셴-원 간
Original Assignee
피르메니히 에스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르메니히 에스아 filed Critical 피르메니히 에스아
Publication of KR2021007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5/00Compounds containing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hetero atoms of saccharide radicals
    • C07H15/20Carbocyclic rings
    • C07H15/24Condensed 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ings
    • C07H15/256Polyterpen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3/00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 C07H13/02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 C07H13/08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esterified by carb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or by organic acids, e.g. phosphonic acids by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ying carboxyl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6Terpene glycos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HSUGARS; DERIVATIVES THEREOF; 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C07H1/00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of sugar derivatives
    • C07H1/06Separation; Purification
    • C07H1/08Separation; Purification from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CBEER; PREPARATION OF BEER BY FERMENTATION; PREPARATION OF MALT FOR MAKING BEER; PREPARATION OF HOPS FOR MAKING BEER
    • C12C5/00Other raw materials for the preparation of beer
    • C12C5/02Additives for beer
    • C12C5/026Beer flavour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24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 C12N9/2402Hydrolases (3)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3.2) hydrolysing O- and S- glycosyl compounds (3.2.1)
    • C12N9/2405Glucanases
    • C12N9/2434Glucanases acting on beta-1,4-glucosidic bonds
    • C12N9/2437Cellulases (3.2.1.4; 3.2.1.74; 3.2.1.91; 3.2.1.150)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produced by the action of a carbohydrase (EC 3.2.x), e.g. by alpha-amylase, e.g. by cellulase, hemicellulas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2/00Hydrolases acting on glycosyl compounds, i.e. glycosylases (3.2)
    • C12Y302/01Glycosidases, i.e. enzymes hydrolysing O- and S-glycosyl compounds (3.2.1)
    • C12Y302/01004Cellulase (3.2.1.4), i.e. endo-1,4-beta-glucanas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예컨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또는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로부터 추출된 이러한 특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식품 성분, 향미료, 및 감미료로서의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섭취가능한 조성물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특정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이러한 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관련 출원의 교차-참조>
본 출원은 2018년 9월 29일에 출원된 PCT 출원 번호 PCT/CN2018/108654의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는 그 전문이 본원에 제시된 바와 같이 참조로 본원에 포함된다.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terpene glycosides), 예컨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Stevia rebaudiana Bertoni),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Rubus suavissimus), 또는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Siraitia grosvenorii)로부터 추출된 이러한 특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식품 성분, 향미료, 및 감미료로서의 이러한 화합물의 용도, 및 관련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섭취가능한 조성물뿐만 아니라 특정 식물 공급원으로부터 이러한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공정을 제공한다.
미각 시스템(taste system)은 외계의 화학 조성물에 대한 감각 정보를 제공한다. 미각 전달(taste transduction)은 동물에서의 화학적으로 유발된 감각의 보다 정교한 형태 중 하나이다. 미각의 신호전달은 단순한 후생동물로부터 가장 복잡한 척추동물에 이르기까지 동물계 전반에서 발견된다. 포유동물은 5 개의 기본 미각 요소: 단맛, 쓴맛, 신맛, 짠맛, 및 감칠맛(umami)을 갖는 것으로 여겨진다.
단맛은 당분이 풍부한 식품을 먹는 경우에 가장 일반적으로 인지되는 미각이다. 포유동물은 일반적으로 과도한 경우를 제외하고 단맛을 기분 좋은 감각으로 인지한다. 칼로리 감미료, 예컨대 자당(수크로오스) 및 과당(프룩토오스)은 단맛 물질의 전형적인 예이다. 다양한 무-칼로리 및 저-칼로리 대체물이 존재하지만, 이러한 칼로리 감미료는 여전히 섭취시에 식료품이 단맛의 인지를 유도하는 주요 수단이다.
대사 장애 및 관련 질환, 예컨대 비만, 당뇨병, 및 심혈관 질환은 전세계적으로 주요 공중 보건 문제이다. 그리고, 거의 모든 선진국에서 그 유병률은 놀라운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칼로리 감미료는 다양한 포장 식품 및 음료 제품에 포함되어 이들이 소비자에게 보다 입맛에 맞게 만들기 때문에 이 추세에 대한 주요 원인이다. 여러 경우에서, 무-칼로리 및 저-칼로리 대체물은 수크로오스 또는 프룩토오스를 대신하여 식품 및 음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화합물은 칼로리 감미료와 상이한 단맛을 부여하고, 많은 소비자들은 이들을 적합한 대안으로서 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화합물은 특정 제품에 내포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일부 경우에서, 이는 칼로리 감미료에 대한 부분적 대체재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이의 조금의 존재도 다수의 소비자에게 불쾌한 떫은맛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저-칼로리 감미료는 여전히 그것의 채택에 대한 특정 극복과제에 직면해 있다.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예컨대 스테비아(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추출물로부터의 스테비올 글리코사이드, 블랙베리 잎(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Rubus suavissimus) 추출물로부터의 루부소사이드(rubusoside), 및 나한과(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추출물로부터의 모그로사이드(mogrosides)는 천연 저-칼로리 감미료이다. 그러나, 다수의 다른 저-칼로리 당 대체물과 같은 이러한 생성물은 쓴맛, 지속되는 뒷맛(lingering aftertaste), 또는 감초 향미와 같은 부정적인 맛 속성을 갖는다. 트랜스글루코실화는 이러한 부정적인 맛 속성의 일부를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다수의 현재 개시된 글루코실화된 저-칼로리 감미료는 그것의 폭넓은 채택을 방해하는 부정적인 맛 속성을 지속적으로 나타낸다. 이에 따라, 부정적인 맛 속성의 보다 효과적인 완화를 제공할 수 있는 글루코실화된 제품 및 트랜스글루코실화 방법을 개발할 지속적인 필요성이 존재한다.
요약
제1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β-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셀룰라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와 반응시켜 테르펜 글리코시딜 반응물 및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반응물과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 중 하나 사이에 하나의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단계.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반응은 수용성 조성물을 배양(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이다.
제2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β-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셀룰라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와 반응시켜 테르펜 글리코시딜 반응물 및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반응물과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 중 하나 사이에 하나의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단계.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반응은 수용성 조성물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이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방법은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불쾌한 감초맛을 감소시킨다.
상기 관점의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레바우디오사이드 F, 레바우디오사이드 G, 레바우디오사이드 M, 둘코사이드 A,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그의 혼합물. 일부 이러한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레바우디오사이드 A이다.
상기 관점의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셀로비오스이다.
제3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제4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2
제5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3
제6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4
제7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제 1 또는 제 2 관점의 공정에 따라서 제조된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제3 관점의 화합물, 또는 제4 관점의 화합물, 또는 제5 관점의 화합물, 또는 제6 관점의 화합물이다. 상기 태양 중 임의의 것의 추가의 태양 일부에서, 조성물 중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킨다. 일부 이러한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조성물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기 위한 유효량으로 조성물에 존재한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향미 제품이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자연 발생된 조성물이 아니다.
제8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조성물, 예컨대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향미를 변형시키기 위한 제3 내지 제6 관점의 화합물 중 임의의 것, 또는 제7 관점의 임의의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추가의 태양에서, 상기 용도는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단맛을 향상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다른 태양에서, 상기 용도는 섭취가능한 조성물의 쓴맛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지속되는 감초 맛을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의 일부 태양에서, 상기 조성물은 감미료, 예컨대 비-칼로리 또는 칼로리 감미료를 포함한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 및 방법의 다양한 태양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기 도면이 제공된다.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 제공되며, 임의의 바람직한 조성물 또는 바람직한 방법을 기술하거나, 또는 청구된 발명의 범위에 대한 임의의 제한의 공급원으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1은 기질로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셀로비오스와 함께 셀룰라아제에 의해 효소적으로 생성된 생성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2는 기질로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셀로비오스를 사용하여 셀룰라아제에 의해 효소적으로 생성된 생성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3은 기질로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및 셀로비오스를 사용하여 셀룰라아제에 의해 효소적으로 생성된 생성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다.
도 4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하기 설명에서, 실시될 수 있는 특정 태양을 참조하며, 이는 예로써 설명된다. 이러한 태양은 당업자가 본원에 기재된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되며, 다른 태양이 이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제공된 관점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적합한 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시적인 태양의 하기 설명은 이에 따라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지지 않으며, 본원에 제공된 다양한 관점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 정해진다.
방법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β-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셀룰라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와 반응시켜 테르펜 글리코시딜 반응물 및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반응물과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 중 하나 사이에 하나의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단계.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반응은 수용성 조성물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이다.
특정 관련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불쾌한 맛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를 포함한다: (a) β-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셀룰라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와 반응시켜 테르펜 글리코시딜 반응물 및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반응물과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 중 하나 사이에 하나의 β-1,4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단계.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반응은 수용성 조성물을 인큐베이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이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방법은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불쾌한 감초맛을 감소시킨다.
일부 태양에서, 본 개시내용은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레바우디오사이드 F, 레바우디오사이드 G, 레바우디오사이드 M, 둘코사이드 A,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또는 그의 임의의 혼합물의 글루코실화된 형태를 생성하기 위한 효소 공정을 제공한다.
일부 태양에서, 효소 공정에 대한 출발 물질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의 추출물, 또는 대안적으로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식물의 추출물들, 또는 대안적으로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식물의 추출물이다. 일부 태양에서, 식물 추출물은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한다.
예를 들어, 예시적으로,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는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레바우디오사이드 F, 레바우디오사이드 G, 레바우디오사이드 M, 둘코사이드 A, 및 스테비올비오사이드를 포함하는 다수의 디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한다. 또 다른 예로, 루부소사이드는 루부소사이드로 지칭되는 단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실질적으로 함유하는 블랙베리 잎(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으로부터 수득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루부소사이드는 스테비아 잎에서도 적은 양으로 발견될 수 있다. 루부소사이드는 스테비아 잎(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의 추출물에서도 발견될 수 있다.
일부 다른 태양에서, 효소 공정을 위한 출발 물질은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들의 추출물, 또는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식물들의 추출물, 또는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식물의 추출물로부터 정제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일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레바우디오사이드 F, 레바우디오사이드 G, 레바우디오사이드 M, 둘코사이드 A,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및 그들의 혼합물.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및 루부소사이드.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레바우디오사이드 A이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미국특허 제8,257,948호에 개시된 출발 물질이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PCT 공개번호 제WO 2017/089444호에 개시된 출발 물질이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PCT 공개번호 제WO 2013/019050호에 개시된 출발 물질이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출발 물질은 유럽특허출원 공개번호 제3003058호에 개시된 출발 물질이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방법은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aqueous composition)(예를 들어, 수용성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이러한 일부 태양에서, 상기 방법은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기 위해 수용성 조성물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글리코사이드(glycoside)"는 하나 이상의 당 단위가 화학 구조의 하나 이상의 부위에서 공유 결합되는 유기 화합물을 지칭한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수용성 용액이다. 일부 이러한 태양에서, 담체(carrier)는 탈이온수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은 아세트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수용성 조성물은 임의의 적합한 pH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4.0 내지 pH 7.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4.0 내지 pH 6.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용액의 pH는 pH 4.0 내지 pH 5.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5.0 내지 pH 7.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6.0 내지 pH 7.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4.0, 또는 4.1, 또는 4.2, 또는 4.3, 또는 4.4, 또는 4.5, 또는 4.6, 또는 4.7, 또는 4.8, 또는 4.9, 또는 5.0, 또는 5.1, 또는 5.2, 또는 5.3, 또는 5.4, 또는 5.5, 또는 5.6, 또는 5.7, 또는 5.8, 또는 5.9, 또는 6.0, 또는 6.1, 또는 6.2, 또는 6.3, 또는 6.4, 또는 6.5, 또는 6.6, 또는 6.7, 또는 6.8, 또는 6.9, 또는 7.0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의 pH는 pH 5.0이다.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임의의 적합한 농도로 수용성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루코사이드는 0.005 g/mL 내지 0.5 g/mL, 또는 0.02 g/mL 내지 0.2 g/mL, 또는 0.04 g/mL 내지 0.12 g/mL 범위의 농도로 수용성 조성물에 함유된다.
임의의 적합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이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β-1,4 결합에 의해 연결된 2 개의 β-글루코오스 분자를 갖는 환원당이다.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셀로트리오스, 셀로테트라오스, 셀로펜타오스, 및 셀로헥사오스.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셀로덱스트린이다.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셀룰로오스, 또는 이의 유도체이다. 일부 태양에서,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셀로비오스(cellobiose)이다.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은 임의의 적합한 농도로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 중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농도는 1 wt% 내지 40 wt%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용액 중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농도는 2 wt% 내지 30 wt%, 또는 5 wt% 내지 20 wt%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 중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농도는 0.005 g/mL 내지 0.5 g/mL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 중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농도는 약 0.04 g/mL이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대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비는 임의의 적합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에서의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대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비는 100:1 내지 1:100, 또는 10:1 내지 1:10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수용성 조성물에서의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대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비는 약 1:1이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한다. 대안적으로, 일부 태양에서, 트랜스글루코시다아제는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수행하고, 이에 의해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공유 결합된 하나 이상의 글루코오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한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첨가된 다수의 글루코오스 잔기는 예를 들어 반응 시간, 반응 온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농도,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농도 등과 같은 파라미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기질로서 셀로비오스를 사용하여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수행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고, 여기서 2 개의 글루코오스 단위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첨가된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무세포 배양액(cell-free culture broth), 농축액 무세포 배양액, 분무 건조된 또는 냉동 건조된 무세포 배양액, 또는 고순도 단백질의 형태이다. 유리 및 고정화 효소 제제(free and immobilized enzyme preparations)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구조적으로 그리고 기계적으로 차이가 나는 여러 가지 다른 종류의 셀룰라아제가 적합하다. 용어 "셀룰라아제(cellulase)"와 관련된 동의어, 유도체 및 특정 효소는 엔도-1,4-베타-D-글루카나아제(베타-1,4-글루카나아제, 베타-1,4-엔도글루칸 하이드로라아제, 엔도글루카나아제 D, 1,4-(1,3,1,4)-베타-D-글루칸 4-글루카노하이드로라아제), 카르복시메틸 셀룰라아제(CMCase), 아비셀라아제, 셀루덱스트리나아제, 셀룰라아제 A, 셀루로신 AP, 알칼리 셀룰라아제, 셀룰라아제 A 3, 9.5 셀룰라아제, 베타-글루코시다아제, 셀루로오스 1,4-베타-셀로비오시다아제 및 판셀라아제 SS를 포함한다.
셀룰라아제는 임의의 적합한 농도로 함유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베타-글루코실 당 화합물의 그램당 0.2 내지 0.4 의 범위의 단위의 농도로 수용성 조성물에 함유된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2 mg/mL 내지 200 mg/mL의 범위의 농도로 수용성 용액에 함유된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약 40 mg/mL의 농도로 수용성 조성물에 함유된다.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중량% 양에 대한 효소의 중량% 양의 비는 0.1 % 내지 500 %, 또는 10 % 내지 200 %, 또는 50 % 내지 150 %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는데 충분한 시간 및 온도로 인큐베이션된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임의의 적합한 온도가 인큐베이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온도는 30 ℃ 내지 90 ℃, 또는 70 ℃ 내지 90 ℃의 범위이다. 일부 태양에서, 온도는 약 60 ℃이다. 일부 태양에서, 온도는 약 37 ℃이다.
인큐베이션은 임의의 적합한 기간 동안 실시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시간은 24 시간 이상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다른 태양에서, 상기 시간은 24 시간 이하이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시간은 24 시간, 또는 23 시간, 또는 22 시간, 또는 21 시간, 또는 20 시간, 또는 19 시간, 또는 18 시간, 또는 17 시간, 또는 16 시간, 또는 15 시간, 또는 14 시간, 또는 13 시간, 또는 12 시간, 또는 11 시간, 또는 10 시간, 또는 9 시간, 또는 8 시간, 또는 7 시간, 또는 6 시간, 또는 5 시간, 또는 4 시간, 또는 3 시간, 또는 2 시간, 또는 1 시간이다. 일부 태양에서, 상기 시간은 약 24 시간이다.
일부 태양에서, 인큐베이션 단계 이후,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은 추가로 처리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처리는 예를 들어 불활성화 단계 및/또는 정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단리되거나 또는 정제된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정제 단계의 비제한적인 예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농축, 단리 및/또는 정제, 또는 반응 혼합물로부터의 고형물의 제거를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일부 태양에서, 고형물은 여과, 원심분리,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기술과 같은 수단에 의해 반응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태양에서, 탄수화물은 흡착 수지, 침전, 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다른 기술을 사용하여 혼합물로부터 제거된다. 일부 태양에서, 추가의 처리는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에서, 셀룰라아제는 열의 적용에 의해 불활성화된다. 일부 태양에서, 셀룰라아제는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시키는데 충분한 온도로 반응 혼합물을 가열함으로써 불활성화시킨다. 일부 관점에서, 온도는 약 100 ℃이다.
미국특허 제8,257,948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정제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PCT 공개 번호 제WO 2017/089444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정제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PCT 공개 번호 제WO 2013/019050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정제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유럽특허출원 공개번호 제3003058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정제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미국특허 제8,257,948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불활성화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PCT 공개 번호 제WO 2017/089444호는 본원에 개시된 방법의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단리하거나 또는 정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불활성화 단계의 일부 예를 개시한다.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5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6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7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8
일부 태양에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화학식 I의 화합물, 화학식 II의 화합물, 화학식 III의 화합물, 및 화학식 IV의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화학식 I 내지 IV의 상기 화합물은 또한 각각 "화합물 I," "화합물 II," "화합물 III," 및 "화합물 IV"로 지칭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스테비오사이드,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B,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C,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D,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E,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F,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G,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M,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둘코사이드 A,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루부소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스테비오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B,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C,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D,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E,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F,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G,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M,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둘코사이드 A,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루부소사이드,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이다.
감미료(sweeteners) 또는 감미 증강제(sweetness enhancers)
본원에 기재된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다양한 향미 제품에서 감미 증강제, 향미 증강제, 맛 차폐제, 또는 감미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기 위한, 상기 관점 및 태양의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지속되는 맛을 차폐하기 위한,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용도를 제공한다.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태양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향미 제품에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지속되는 맛을 차폐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향미 제품의 지속되는 맛을 차폐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향미 제품에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유효한 양으로 향미 제품에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특정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향미 제품의 지속되는 맛을 차폐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방법은 향미 제품의 지속되는 맛을 차폐하는데 유효한 양으로 향미 제품에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첨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부 태양에서,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은 약 40 ppm, 예컨대 30 ppm 내지 50 ppm, 또는 20 ppm 내지 60 ppm, 또는 10 ppm 내지 70 ppm이다. 일부 태양에서,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은 40 ppm 미만이다. 일부 관점에서,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은 40 ppm 초과이다. 일부 태양에서, 향미 제품의 단맛을 부여하거나, 향상시키거나, 개선하거나, 또는 변형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은 0 내지 1000 ppm이다.
일부 관점에서, 본 개시내용은 하기를 포함하는 향미 제품을 제공한다: (상기 관점 및 태양의)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식품재료 염기(foodstuff base), 여기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4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β-1,4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적합한 식품재료,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음료 또한 본원에 제공된다. 본 개시내용의 목적을 위해, "식품재료 염기"는 식용 제품, 예를 들어 식품 또는 음료를 의미한다. 따라서, 본원에 제공된 향미 제품은 기능성 배합물뿐만 아니라 원하는 식용 제품에 상응하는 임의의 추가의 유익한제제(benefit agent), 예를 들어, 세이보리 큐브(savory cube), 및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향미 유효량을 포함한다. 일부 관점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대안적으로, 일부 관점에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셀로비오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이다.
본원에 제공된 조성물 및 방법은 식품 또는 음료 제품(food or beverage products)에서의 용도를 갖는다. 식품 제품이 미립자 또는 분말형 식품인 경우, 건조 입자가 건조-혼합에 의해 이에 용이하게 첨가될 수 있다. 전형적인 식품 제품은 즉석 스프 또는 소스, 조식용 시리얼, 분유, 유아식, 분말형 음료, 분말형 초콜릿 음료, 스프레드(spread), 분말형 시리얼 음료, 츄잉검, 발포정, 시리얼 바(cereal bar), 및 초콜릿 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분말형 식품 또는 음료는 물, 우유 및/또는 쥬스, 또는 다른 수성 액체로의 제품의 재구성 이후에 섭취되는 것으로 의도될 수 있다.
식품 제품은 조미료(condiments), 구운 식품(baked goods), 분말 식품, 베이커리 충전물(bakery fillings) 및 액체 유제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조미료는 비제한적으로 케첩, 마요네즈, 샐러드 드레싱, 우스터 소스(Worcestershire sauce), 과일-향미 소스, 초콜릿 소스, 토마토 소스, 칠리 소스, 및 머스타드를 포함한다.
구운 식품은 비제한적으로 케이크, 쿠키, 패스트리, 빵, 도넛 등을 포함한다.
베이커리 충전물은 비제한적으로 낮은 또는 중성의 pH 충전물, 높은, 중간 또는 낮은 고형물 충전재, 과일 또는 우유 기반(푸딩 유형 또는 무스 유형) 충전물, 고온 또는 저온 구성 충전물 및 무지방 내지 고지방 충전물을 포함한다.
유체 유제품은 비제한적으로, 예를 들어 우유, 아이스크림, 소르베 및 요거트와 같은 비냉동, 부분 냉동 및 냉동 유체 유제품을 포함한다. 음료 제품은 비제한적으로, 콜라, 레몬-라임, 루트 비어(root beer), 헤비 시트러스(heavy citrus)("듀 타입(dew type)"), 과일향 및 크림 소다를 포함하는 탄산 소프트 음료; 분말 소프트 음료뿐만 아니라 액체 농축액, 예컨대 파운틴(fountain) 시럽 및 코디얼(cordial); 커피 및 커피 기반 드링크, 커피 대체물 및 시리얼 기반 음료; 건조 혼합 제품뿐만 아니라 즉석 음용 차(허브 및 찻잎 기반)를 포함하는 차; 과일 및 식물성 주스 및 향첨가 주스 음료뿐만 아니라 주스 드링크, 넥타르(nectar), 농축액, 펀치 및 "에이드"; 감미 및 가향 음용수(둘 다 탄산 및 비발포성); 스포츠/에너지/건강 음료; 맥주 및 맥아 음료, 사이다 및 와인(비발포성, 스파클링, 보강 와인 및 와인 쿨러(wine cooler))을 포함하는 알콜 음료와 비알콜 및 다른 저알콜 제품; 가열(인퓨전, 저온살균, 초고온, 옴 가열(ohmic heating) 또는 상업적 무균 살균) 및 고온 충전 패키징을 사용하여 처리된 다른 음료; 및 여과 또는 다른 보존제 기법을 통해 제조된 냉각 충전된 제품을 포함한다.
식품재료 또는 음료의 구성성분의 특징 및 유형은 본원에서 보다 상세한 설명이 보장되지 않으며, 이는 어떤 경우에도 완전하지 않고, 당업자는 그의 일반 지식에 기초하여 그리고 제품의 특징에 따라 이들을 선택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가 다양한 상술한 제품 또는 조성물에 혼입될 수 있는 비율은 폭넓은 범위의 값 내에서 변화된다. 이 값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본 기술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향미 공동-성분, 용매 또는 첨가제와 혼합되는 경우, 향미용 제품의 특성 및 원하는 관능적 효과뿐만 아니라 주어진 염기에서의 공동-성분의 특성에 좌우된다.
향미 조성물의 경우에서, 전형적인 농도는 이들이 혼입되는 소비자 제품의 중량 기준으로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대략 약 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또는 심지어 그 초과이다. 이들보다 낮은 농도, 예를 들어 대략 0.001 중량% 내지 0.5 중량%도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가 향미 제품에 혼입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백분율은 제품의 중량에 상대적인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본원에 제공된 일부 관점에 따른 방법에 의한 출발 물질로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를 사용하는 모노 β-1,6-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화합물(화합물 I 및 II)의 생성
레바우디오사이드 A(0.5 g) 및 셀로비오스(0.5 g)를 실온에서 12 ml NaOAc-HOAc(pH = 5.0, 0.2 M)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이후, 0.5 g 메타플러스 L110(DSM)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이후 37 ℃로 가열하였고,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시켜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였다. 반응은 30 분 동안 100 ℃에서 반응 혼합물을 인큐베이션시켜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서 종결되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UPLC-UV에 의해 분석하였고,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동정하였다(도 1 참조). 동정된 혼합물을 분취-LC를 통해 정제하였다. 혼합물 내의 화합물은 혼합물 중 각각 3.7 % 및 4.0 %의 농도로 화합물 I 및 II로서 동정하였다.
별도의 시험에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0.5 g) 및 셀로비오스(0.5 g)를 실온에서 12 ml NaOAc-HOAc(pH = 5.0, 0.2 M)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이후, 0.5 g 셀룰라아제(Aladdin)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이후 37 ℃로 가열하였고,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시켜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였다. 반응은 30 분 동안 100 ℃에서 반응 혼합물을 인큐베이션시켜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서 종결되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UPLC-UV에 의해 분석하였고,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동정하였다(도 2 참조). 동정된 혼합물을 분취-LC를 통해 정제하였다. 혼합물 내의 화합물은 혼합물 중 각각 3.2 % 및 2.6 %의 농도로 화합물 I 및 II로서 동정하였다.
별도의 시험에서, 레바우디오사이드 A(0.5 g) 및 셀로비오스(0.5 g)를 실온에서 12 ml NaOAc-HOAc(pH = 5.0, 0.2 M) 완충액에 용해시켰다. 이후, 0.5 g 셀루클라스트(Novozymes)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이후 37 ℃로 가열하였고, 효소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24 시간 동안 37 ℃에서 인큐베이션시켜 트랜스글루코실화 반응을 진행시킴으로써,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생성하였다. 반응은 30 분 동안 100 ℃에서 반응 혼합물을 인큐베이션시켜 셀룰라아제를 불활성화시킴으로서 종결되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UPLC-UV에 의해 분석하였고,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통해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에 연결된 단일 글루코실 잔기를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동정하였다(도 3 참조). 동정된 혼합물을 분취-LC를 통해 정제하였다. 혼합물 내의 화합물은 혼합물 중 각각 3.2 % 및 2.6 %의 농도로 화합물 I 및 II로서 동정하였다.
도 4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6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H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7은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13C NMR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실시예 2: 화합물 I 및 II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관능 특성
화합물 I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생성하였다. 조성물은 30 ppm의 최종 농도가 되도록 4 % w/w 수크로오스 용액에 용해시켰다. 맛 특성(단맛, 감초맛 및 단맛 지속)을 위해 시험 용액뿐만 아니라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D 또는 레바우디오사이드 M을 포함하는 샘플을 8 명의 숙련된 사람의 패널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09
모든 샘플은 30 ppm에서 단맛이었고, 여기서 수크로오스는 다른 성분(제품)보다는 지속되는 맛이 약하다. 레바우디오사이드 M은 다른 샘플에 비해 감초맛이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데이터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이 감미료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 다른 시험에서, 화합물 I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생성하였다. 조성물을 4 % w/w 수크로오스 용액에 용해시켰다. -5 내지 5(-5는 효과 없음을 의미하고, 5는 매우 강한 효과를 의미하고, 0은 (i) 4 % w/w 수크로오스 용액을 함유하는 참조 수용액의 강도임) 등급으로 맛 특성(단맛, 감초맛 및 단맛 지속)에 대해 8 명의 숙련된 사람의 패널이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Figure pct00010
30 ppm의 용량에서, 화합물 I는 지속되는 감초맛과 단맛에 대한 어떤 유의미한 영향 없이 4 % 수크로오스 염기 (95 %의 신뢰 수준에서)에서 단맛 강도를 상당히 향상시켰다.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D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M과 같은 다른 샘플과 비교했을 때, 화합물 I는 레바우디오사이드 D와 비슷한 효과를 보였지만 레바우디오사이드 A (단맛과 지속되는 단맛 향상) 및 레바우디오사이드 M (단맛, 감초맛 및 지속되는 단맛 모두 향상)보다는 나았다.

Claims (15)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Figure pct00011
  2.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Figure pct00012
  3.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Figure pct00013
  4.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Figure pct00014
  5.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제조 방법으로서,
    (a) β-글루코실 당 화합물,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및 셀룰라아제 효소를 포함하는 수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및
    (b) 셀룰라아제 효소의 존재 하에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을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와 반응시켜 테르펜 글리코시딜 반응물 및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반응물과 하나 이상의 β-글루코실 당 반응물 중 하나 사이에 β-1,6 글루코사이드 결합을 갖는,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조성물을 인큐베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조성물이 수용성 용액인 제조 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β-글루코실 당 화합물이 셀로비오스인 제조 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스테비오사이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레바우디오사이드 B, 레바우디오사이드 C, 레바우디오사이드 D, 레바우디오사이드 E, 레바우디오사이드 F, 레바우디오사이드 G, 레바우디오사이드 M, 둘코사이드 A,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루부소사이드, 스테비아 레바우디아나 베르토니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루부스 수아비스시무스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시라이티아 그로스베노리 식물에서 발견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스테비오사이드,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B,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C,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D,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E,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F,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G,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M,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둘코사이드 A,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모노 β-1,6 글루코실화된 루부소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스테비오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A,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B,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C,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D,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E,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F,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G,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레바우디오사이드 M,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둘코사이드 A,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스테비올비오사이드, 모노 β-1,6 셀로비오실화된 루부소사이드, 또는 그들의 임의의 혼합물인 제조 방법.
  11.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인 제조 방법.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인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13. 향미 제품의 향미 변형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2항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향미 조성물에 도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변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향미 제품의 단맛을 향상시키는 방법인 변형 방법.
  15. 담체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12항의 글루코실화된 테르펜 글리코사이드를 포함하는 향미 제품.
KR1020207035016A 2018-09-29 2019-09-25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KR202100702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08654 2018-09-29
CNPCT/CN2018/108654 2018-09-29
PCT/EP2019/075784 WO2020064788A1 (en) 2018-09-29 2019-09-25 Terpene glycos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236A true KR20210070236A (ko) 2021-06-14

Family

ID=6813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35016A KR20210070236A (ko) 2018-09-29 2019-09-25 테르펜 글리코사이드 유도체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976091B2 (ko)
EP (1) EP3781583A1 (ko)
JP (2) JP2022501309A (ko)
KR (1) KR20210070236A (ko)
CN (1) CN112351988A (ko)
BR (1) BR112020023597A2 (ko)
WO (1) WO20200647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23480B (zh) * 2020-04-16 2022-03-04 江南大学 一种莱鲍迪苷e的晶型x、其制备方法和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57948B1 (en) 2011-02-17 2012-09-04 Purecircle Usa Method of preparing alpha-glucosyl Stevia composition
WO2011090709A1 (en) * 2009-12-28 2011-07-28 The Coca-Cola Company Sweetness enhancer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for use
KR20130014227A (ko) 2011-07-29 2013-02-07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신규한 α-글루코실 스테비오사이드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3974628B (zh) 2012-05-22 2019-04-05 谱赛科有限责任公司 高纯度的甜菊醇糖苷
US9752174B2 (en) * 2013-05-28 2017-09-05 Purecircle Sdn Bhd High-purity steviol glycosides
GB201310060D0 (en) 2013-03-15 2013-07-17 Tate & Lyle Americas Llc Redistribution of mogrol glyoside contact
DK3003058T4 (da) 2013-06-07 2023-07-24 Purecircle Usa Inc Stevia-ekstrakt indeholdende udvalgte steviolglycosider som aroma-, salt- og sødmeprofilmodifikator
US9522929B2 (en) * 2014-05-05 2016-12-20 Conagen Inc. Non-caloric sweetener
JP6997084B2 (ja) 2015-11-24 2022-02-03 フイルメニツヒ ソシエテ アノニム グルコシル化テルペングリコシド
EP3471559A4 (en) 2016-06-17 2020-04-08 Cargill, Incorporated STEVIOL GLYCOSIDE COMPOSITIONS FOR ORAL USE OR USE
JP2019534027A (ja) 2016-11-14 2019-11-28 ピュアサークル ユーエスエ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ステビア由来分子、そのような分子を得る方法、及びその使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351988A (zh) 2021-02-09
BR112020023597A2 (pt) 2021-04-13
JP2024056814A (ja) 2024-04-23
US11976091B2 (en) 2024-05-07
EP3781583A1 (en) 2021-02-24
JP2022501309A (ja) 2022-01-06
US20210261593A1 (en) 2021-08-26
WO2020064788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9887B2 (en) Swee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monk fruit extract and rebaudiosides A and B
US11896036B2 (en) Glucosylated terpene glycosides
US20220264925A1 (en) Phloretin
JP2024056814A (ja) テルペングリコシド誘導体およびその使用
EP3823469B1 (en) Sweetener formulations and uses
EP3138411A1 (en) Stevia-containing food and beverage compositions
US11919920B2 (en) Terpene glycos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WO2022206689A1 (en) Sweetener and flavoring compositions prepared by glycosylated mogrosides or monk fruit extracts, method of making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210147892A1 (en) Terpene glycoside derivatives and uses thereof
CN113226058A (zh) 姜酚化合物及其作为风味改良剂的用途
CN117529237A (zh) 含有甜叶菊糖甙的组合物,其制备方法及用途
CN114901081A (zh) 丙二酰基甜菊醇糖苷及其可食用用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