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9477A -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9477A
KR20210069477A KR1020190159360A KR20190159360A KR20210069477A KR 20210069477 A KR20210069477 A KR 20210069477A KR 1020190159360 A KR1020190159360 A KR 1020190159360A KR 20190159360 A KR20190159360 A KR 20190159360A KR 20210069477 A KR20210069477 A KR 202100694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sickness prevention
display devic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형
문준용
Original Assignee
이순형
문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형, 문준용 filed Critical 이순형
Priority to KR102019015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9477A/ko
Publication of KR20210069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4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3Navigation within 3D models or im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20Editing of 3D images, e.g. changing shapes or colours, aligning objects or positioning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60Rotation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5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two or more images, e.g. averaging or subtr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가상현실 표시장치는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과,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이미지에 멀미방지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멀미방지부를 포함하고, 멀미방지부는 센서모듈에 의해 파악되는 기울기 각도를 기초로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

Description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Control method of virtual reality device for preventing motion sickness and virtual reality device apply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상현실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가상으로 만들어 사용자로 하여금 실제와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가상현실은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상현실을 일정 시간 이상 체험하면 어지러움 또는 멀미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상현실을 체험할 때 발생하는 멀미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일 예는,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이미지에 멀미방지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멀미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미방지부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파악되는 기울기 각도를 기초로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기울기 각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각도를 기초로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가상현실 이미지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각과 귀의 전정기관의 감각을 일치시켜 가상현실 체험시 발생하는 멀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본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가상현실 표시장치(100,200)는 HMD(Head Mounted Display)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가상현실 표시장치(200)는 도 2와 같이 본체(210)에 스마트폰(220)을 끼워서 사용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일 뿐 본 발명은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모든 종류의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상현실 표시장치(300)는 표시부(310), 센서모듈(320), 멀미방지부(330)를 포함한다. 가상현실 표시장치(300)는 이외에도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실시 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멀미방지를 위한 구성 위주로 도시하고 설명한다. 본 실시 예의 멀미방지부(330)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표시부(310)는 가상현실을 표시한다. 가상현실 표시장치(300)가 도 2와 같이 구현된다면 표시부(310)는 스마트폰(210)의 표시부에 해당할 수 있다.
센서모듈(320)은 가상현실 표시장치(300)의 기울기 각도 등을 파악한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320)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센서모듈에 포함되는 센서의 개수 및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멀미방지부(330)는 표시부(310)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이미지에 멀미방지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한다. 가상현실을 이용할 때 귀의 전정기관이 인지하는 기울기와 눈이 인지하는 기울기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어지러움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게임이나 체험의 경우에 가상현실 속에서 이동이 발생하지만, 사용자의 몸은 제자리에 그대로 있을 수 있어 시각과 전정기관의 인식 부조화가 발생할 수 있다.
멀미방지부(330)는 귀의 전정기관과 눈이 인식하는 움직임이 동일하도록 센서모듈을 통해 파악한 표시부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고, 결정한 표시 방향으로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여 전정기관과 눈이 인지하는 움직임이 동일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2의 가상현실 표시장치를 착용한 사용자가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멀미방지부(330)는 멀미방지 이미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시각 감각은 가상현실 이미지에 중첩하여 표시된 멀미방지 이미지를 통해 가상현실 속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다.
멀미방지 이미지(450)는 도 4와 같이 아래 방향을 향하는 반원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멀미방지 이미지(450)는 사각형, 원형, 선, 그림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 멀미방지 이미지는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불투명 또는 반투명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표시부(400,410,420)가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져도 멀미방지 이미지(450,460,470)는 모두 동일한 방향을 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410)가 왼쪽으로 기울어져 수평면과 제1 각도(θ1)를 이루면, 멀미방지부(330)는 멀미방지 이미지(460)를 시계방향으로 제1 각도(θ1)만큼 회전하여 반원이 아래 방향을 향하게 한다. 반대로 표시부(420)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져 수평면과 제2 각도(θ2)를 이루면, 멀미방지부(330)는 멀미방지 이미지(470)를 반시계방향으로 제2 각도(θ2)만큼 회전하여 반원이 아래 방향을 향하게 한다.
가상현실 이미지에 중첩표시된 멀미방지 이미지(450,460,470)는 표시부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하므로, 시각감각은 멀미방지 이미지(450,460,470)의 움직임을 통해 가상현실 속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각과 귀의 전정기관이 인지하는 움직임이 일치하여 멀미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고개를 위아래로 움직일 때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만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멀미방지부(330)는 센서모듈(310)을 통해 파악한 가상현실 표시장치(300)의 위아래 방향의 기울기가 B 범위(510) 내이면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고, B 범위(510)를 벗어나 A,C 범위(500,520)에 위치하면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A,B,C 범위(500,510,520)는 다양하게 설정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멀미방지부(330)는 센서모듈(310)을 통해 가상현실 표시장치(300)의 기울기 각도를 파악한다(S600). 예를 들어, 멀미방지부(330)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가상현실 표시장치(300)가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얼마만큼 기울어졌는지 실시간 파악할 수 있다.
멀미방지부(330)는 실시간 파악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300)의 기울기 각도에 따라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방향을 결정하고(S610), 결정된 표시방향으로 멀미방지 이미지를 가상현실 이미지에 중첩하여 표시한다(S620).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는 방법의 일 예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가상현실을 표시하는 표시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 및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가상현실 이미지에 멀미방지 이미지를 중첩하여 표시하는 멀미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멀미방지부는 상기 센서모듈에 의해 파악되는 기울기 각도를 기초로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는 아래 방향을 향하는 반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방지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표시부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방지부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표시부가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멀미방지부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표시부가 기 정의된 일정 각도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
  6.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센서모듈을 이용하여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기울기 각도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기울기 각도를 기초로 멀미방지 이미지의 표시 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가상현실 이미지에 중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오른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왼쪽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상기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회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가상현실 표시장치가 기 정의된 일정 각도 범위 내인 경우에만 상기 멀미방지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90159360A 2019-12-03 2019-12-03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KR202100694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360A KR20210069477A (ko) 2019-12-03 2019-12-03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9360A KR20210069477A (ko) 2019-12-03 2019-12-03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477A true KR20210069477A (ko) 2021-06-11

Family

ID=76376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9360A KR20210069477A (ko) 2019-12-03 2019-12-03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94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438B1 (ko) * 2022-03-11 2023-05-16 모트렉스(주)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438B1 (ko) * 2022-03-11 2023-05-16 모트렉스(주)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2448B1 (ko) * 2022-03-11 2023-05-16 모트렉스(주)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KR102532443B1 (ko) * 2022-03-11 2023-05-16 모트렉스(주)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954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navigation within virtual reality space using head mounted display
RU2660063C2 (ru) Прерывание в шлеме виртуальной реальности, обусловленное средой, и использование не находящегося в поле зрения объекта недвижимости
CN107111340B (zh) 在虚拟或增强现实场景内进行用户交互的方法和系统
KR102209873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위한 예측적 트래킹에 기반한 인식
JP6540691B2 (ja) 頭部位置検出装置及び頭部位置検出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US10621792B2 (en) Focus control for virtual objects in augmented reality (AR) and virtual reality (VR) displays
CN107430785B (zh) 用于显示三维对象的方法和系统
CN109803734A (zh) 虚拟对象移动
JP556525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2384843B (zh) 动态面板掩膜
CN103149689A (zh) 扩充的现实虚拟监视器
WO2016013272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KR20210069477A (ko)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JP6522092B1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20190114841A1 (en) Method, program and apparatus for providing virtual experience
JP6113337B1 (ja) 表示制御方法および当該表示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20200241633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WO2014069090A1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KR102224057B1 (ko)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JP6198157B2 (ja) プログラム、記録媒体、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JP2019101943A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WO2021106671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713591B1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ならびに、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情報記録媒体
US20240169676A1 (en) Rotational navigation in a virtual environment with a visual reference
KR20240074499A (ko) Xr 디바이스의 시점 기반 콘텐츠 재생 보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