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2438B1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32438B1 KR102532438B1 KR1020220030475A KR20220030475A KR102532438B1 KR 102532438 B1 KR102532438 B1 KR 102532438B1 KR 1020220030475 A KR1020220030475 A KR 1020220030475A KR 20220030475 A KR20220030475 A KR 20220030475A KR 102532438 B1 KR102532438 B1 KR 1025324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ion sickness
- moving
- screen
- virtual object
- induc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01000003152 motion sickness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16776 visual percep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1720 vestib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8813 Naus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771 cogn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027 ear inn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03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93 nausea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47 perce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28 refl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2—Head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미 저감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0: 디스플레이 110: 화면
120: 원경 영역 130: 근경 영역
200: 증강현실 이미지 250: 가상현실 이미지
260: 실제 현실 이미지
300: 제1 관성 측정 장치(IMU) 400: 카메라
500: 제어부
600: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HMD) 610: 제2 관성 측정 장치(IMU)
900: 가상 오브젝트
1000: 이동 공간
1100: 차량 1110: 측면 윈도우
Claims (11)
- 이동 공간 내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장치가 사용자의 멀미를 저감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버스 환경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의 화면에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구현된 가상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 공간의 물리적 운동 상태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물리적 운동 상태를 분석하여 멀미 유발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생성된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멀미 유발 상황에 대응하여 상기 화면 상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멀미 유발 상황으로 판단한 경우, 복수의 멀미 유발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멀미 유발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화면 상의 소정의 영역으로 또는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가상의 오브젝트를 이동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화면에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의 이미지를 출력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멀미 유발 모드가 동적 시각 인지 및 정적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화면의 영역을 원경(遠景) 영역 및 근경(近景) 영역으로 나누고,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원경 영역의 일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공간은 차량의 내부 공간이고,
상기 화면은 상기 차량의 측면 윈도우의 내측면으로 구현되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멀미 유발 모드가 동적 시각 인지 및 정적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차량의 운행 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상인 경우, 상기 가상 오브젝트를 상기 원경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 방법.
-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선정된 멀미 유발 모드가 동적 시각 인지 및 정적 신체 상태를 나타내는 제1 모드인 경우,
상기 근경 영역의 적어도 일부의 투광도(透光度)를 저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미 저감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0475A KR102532438B1 (ko) | 2022-03-11 | 2022-03-11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696A KR102532443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703A KR102532448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30475A KR102532438B1 (ko) | 2022-03-11 | 2022-03-11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2696A Division KR102532443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703A Division KR102532448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2438B1 true KR102532438B1 (ko) | 2023-05-16 |
Family
ID=8654576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30475A Active KR102532438B1 (ko) | 2022-03-11 | 2022-03-11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703A Active KR102532448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696A Active KR102532443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2703A Active KR102532448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KR1020220182696A Active KR102532443B1 (ko) | 2022-03-11 | 2022-12-23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증강현실 또는 가상현실 구현을 위한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3) | KR10253243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0973A (ko) * | 2018-11-23 | 2020-06-02 |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
KR20210063460A (ko) * | 2016-09-23 | 2021-06-01 | 애플 인크. | 몰입형 가상 디스플레이 |
KR20210069477A (ko) * | 2019-12-03 | 2021-06-11 | 이순형 |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
-
2022
- 2022-03-11 KR KR1020220030475A patent/KR102532438B1/ko active Active
- 2022-12-23 KR KR1020220182703A patent/KR102532448B1/ko active Active
- 2022-12-23 KR KR1020220182696A patent/KR102532443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63460A (ko) * | 2016-09-23 | 2021-06-01 | 애플 인크. | 몰입형 가상 디스플레이 |
KR20200060973A (ko) * | 2018-11-23 | 2020-06-02 | 주식회사 쓰리디아이 | Vr 모션 플랫폼을 위한 멀미저감 방법 및 장치 |
KR20210069477A (ko) * | 2019-12-03 | 2021-06-11 | 이순형 | 멀미방지를 위한 가상현실 표시장치의 제어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가상현실 표시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532443B9 (ko) | 2024-07-18 |
KR102532443B1 (ko) | 2023-05-16 |
KR102532448B9 (ko) | 2024-07-18 |
KR102532448B1 (ko) | 2023-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862049B1 (en) | Reactive user interface for head-mounted display | |
US10108018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captured by a mobile apparatus | |
US9703100B2 (en) | Change nature of display according to overall motion | |
WO2016017062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for motion sickness prevention in an image display system | |
EP3123282B1 (en) | Head-mounted display relative motion compensation | |
US9164588B1 (en) | Wearable computing device with gesture recognition | |
CN111182940B (zh) | 在车辆中无晕动症地观看数字式内容 | |
US9274599B1 (en) | Input detection | |
JP5483761B2 (ja) | 映像出力装置、立体映像観察デバイス、映像提示システム、および映像出力方法 | |
AU2018285543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 reality motion sickness prevention | |
JP6675209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ユーザガイド提示方法 | |
KR102346386B1 (ko) | 차량에서 사용 가능한 헤드 착용 시각적 출력 디바이스용 모바일 센서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방법 | |
CN111103688A (zh) | 一种防晕眩设备、系统和方法 | |
JP2017111515A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警告提示方法 | |
CN106338828A (zh) | 车载增强现实系统、方法和设备 | |
JP2022121443A (ja) | 情報処理装置、ユーザガイド提示方法、および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 |
KR102532438B1 (ko) | 가상 오브젝트를 활용한 이동공간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멀미 저감 방법 및 그 장치 | |
JP6634654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警告提示方法 | |
JP7080373B2 (ja) | 情報処理装置および警告提示方法 | |
US12205502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US20240196045A1 (en) | Video display system, observ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US11487355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 |
KR102224057B1 (ko) | 관전 영상의 자동제어를 이용한 부하 감소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 | |
JP2019057009A (ja) |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 |
CN119998761A (zh) | 设置有360度图像视点位置识别单元的信息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1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1223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302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3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3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