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932A -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932A
KR20210068932A KR1020190158549A KR20190158549A KR20210068932A KR 20210068932 A KR20210068932 A KR 20210068932A KR 1020190158549 A KR1020190158549 A KR 1020190158549A KR 20190158549 A KR20190158549 A KR 20190158549A KR 20210068932 A KR20210068932 A KR 20210068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per arm
wiper
adapter
wiper blad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8807B1 (ko
Inventor
현승철
김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캐프
Priority to KR102019015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807B1/ko
Priority to US17/087,782 priority patent/US11827185B2/en
Priority to CN202011300642.5A priority patent/CN112977345A/zh
Publication of KR20210068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3Multi-purpose connections for two or more kinds of arm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8Wiper blades
    • B60S1/3801Wiper blades characterised by a blade support harness consisting of several articulate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6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 B60S1/407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side pin with means provided on the arm for locking the side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0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 B60S1/4009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 B60S1/4016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22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hook-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hook-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hook-shaped end of the arm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a locking element movable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1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side walls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1/4045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 B60S1/404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 B60S2001/4054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detachable intermediate element mounted on the channel-shaped end the element being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co-operating with the channel-shaped end of the arm the intermediate element engaging the back part of the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40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 B60S1/403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 B60S2001/4058Connections between blades and arms for arms provided with a channel-shaped end comprising a separate locking element, e.g. in addition to an intermediat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Ink Je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이퍼 블레이드를 2종 이상의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1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제2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단을 커버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의 전단과 마주하도록 돌출된 제한돌기가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돌기가 가이드 및 걸림되는 그루브가 상기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측돌기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 대비, 상기 내측돌기가 유입되는 외측부로 갈수록 상기 제한돌기에서 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a adaptor for assemble a wiper blade, a wiper blade, a wiper apparatus}
본 발명은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암에 대해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체결력이 보장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 및 한국산업기술진흥원/경북지역사업평가단의 지역특화산업육성사업(융복합R&D, 과제명: 독자적 결합구조의 암&블레이드와 미세속도 제어시스템을 겸비한 와이퍼 모듈 개발)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고유번호: P0002712, 주관기관: (주)캐프, 연구기간: 2019.01.01~2019.12.31].
일반적으로 차량 등에는 윈드실드(windshield)의 표면을 닦아내기 위하여 와이퍼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와이퍼 장치는 와이퍼 모터, 와이퍼 암 및 와이퍼 블레이드 등을 포함하고, 와이퍼 암과 와이퍼 블레이드 사이의 구조적 연결을 위해 어댑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퍼 암은 기단에서 와이퍼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와이퍼 모터에 의해 왕복회동하며, 윈드실드의 사이즈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복수 개로 마련될 경우 서로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는, 어댑터를 통해 와이퍼 암의 말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직선 형태로 구비되고 윈드실드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는 와이퍼 암의 움직임에 의해 윈드실드의 표면을 슬라이드 하면서 닦아낸다.
이와 같은 와이퍼 블레이드는, 차량에 설치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윈드실드에 의해 마찰되어, 사용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마모되거나, 불필요한 소음을 발생시키거나, 표면을 닦아내는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지속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이때 차량의 사용자는 기존의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으로부터 분리해낸 뒤, 어댑터를 이용하여 새로운 와이퍼 블레이드를 체결하게 된다.
그런데 와이퍼 암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와이퍼 암에 적합한 형태의 어댑터가 요구된다. 또한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와이퍼 암에 체결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풍저항 등에도 불구하고 윈드실드에 밀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와이퍼 암의 형상을 고려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를 와이퍼 암에 효과적으로 연결하는 어댑터의 구조에 대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종류의 와이퍼 암이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편리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2종 이상의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1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제2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단을 커버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의 전단과 마주하도록 돌출된 제한돌기가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돌기가 가이드 및 걸림되는 그루브가 상기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측돌기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 대비, 상기 내측돌기가 유입되는 외측부로 갈수록 상기 제한돌기에서 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측돌기가 유입되는 상기 외측부로부터 상기 내측돌기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로; 및 상기 가이드로에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외측부로부터 상기 내측부로 갈수록 상기 락킹부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걸림로는, 상기 가이드로에서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락킹부에 가장 인접한 전단에서 상기 제한돌기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내측돌기에서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전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전방에서 상기 락킹부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 및 후방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의 후단에 걸림되는 탄성레그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락킹부에 체결되는 힌지축; 및 상기 락킹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락킹부의 요철부에 걸림되어 상기 락킹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키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요철부가 외압에 의해 탄성 이동하면 상기 요철부가 상기 걸림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단을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상기 와이퍼 암의 내측면에 맞닿아 내측으로 탄성 인입되는 탄성암이 상기 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암은, 상기 락킹부에 인접한 전단이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전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 또는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 대비 폭이 넓은 제3 종의 와이퍼 암의 체결 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제3 종의 와이퍼 암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겹쳐 배치되는 스페이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스페이서부의 안착을 위한 절개부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겹쳐지는 한 쌍의 레이어부; 및 한 쌍의 상기 레이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절개부에 인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부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이 파여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폭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종의 와이퍼 암의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상기 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며 상기 락킹부와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가 마련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전단이 고리 형태를 갖는 제3 종의 와이퍼 암이 걸리도록 양측면 사이에 곡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체결되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홀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홀을 한꺼번에 관통하는 바 형태의 회전축 또는 상기 힌지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 형태의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과 맞물리는 구성이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에 간섭되지 않도록 그루브 등의 형상을 한정하여, 다수의 와이퍼 암이 문제 없이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참고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 도면들 사이에서 존재할 수 있는 미차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의 부분 사시도이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고로 이하에서 편의상 전방/전단은 도 1에서의 좌측을 의미하고 후방/후단은 도 1에서의 우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하며, 외측은 어댑터(20)를 기준으로 밀착대상(차량의 윈드실드 등)에서 먼 측(도 1의 경우 상측)을 의미하고 내측은 어댑터(20)에서 밀착대상으로부터 가까운 측(도 1의 경우 하측)을 의미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외에도 이하에서 방향성을 갖는 표현들은 도면을 토대로 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이러한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므로, 상기 표현으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가 불필요하게 제한해석되지 않음을 알려둔다.
도 1 등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어댑터(20)를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1) 등에 대해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와이퍼 장치(1)를 포함한다. 와이퍼 장치(1)는 와이퍼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 와이퍼 암(10),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20)(이하 어댑터(20))를 포함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어댑터(20)가 결합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와이퍼 장치(1)가 포함하는 와이퍼 블레이드는,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하여 움직임에 의해 밀착대상의 표면을 클리닝한다. 밀착대상은 차량의 윈드실드일 수 있지만, 이로 한정하지 않고 슬라이딩에 의해 클리닝이 가능한 모든 물체가 밀착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와이퍼 블레이드가 밀착되는 표면은 평면이거나 곡면 등일 수 있고, 와이퍼 블레이드는 밀착대상의 표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와이퍼 블레이드는, V자 단면을 갖고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며 밀착대상의 표면에 직접 밀착하여 표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밀착부재(도시하지 않음)와, 밀착부재에 탄성력을 적용하여 밀착부재의 밀착변이 밀착대상의 표면과 일치하도록 변형시키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와, 탄성부재를 중심으로 밀착부재의 반대편에 마련되는 커버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어댑터(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커버(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와이퍼 블레이드는 종래에 널리 알려져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어댑터(20)는, 와이퍼 블레이드와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으며, 와이퍼 블레이드가 어댑터(20)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면 그 구조를 제한하지 않는다.
와이퍼 암(10)은, 기단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끝단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연결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회전력을 전달해 와이퍼 블레이드에 의한 밀착대상의 클리닝을 구현한다.
와이퍼 암(10)은 암부와 연결부를 갖는다. 암부는 기단에 와이퍼 암(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모터 등)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해 암부의 끝단이 호를 그리며 회전하게 된다.
암부는 기단과 끝단 사이에서 연장된 막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구성을 위하여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그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형상 역시 기단과 끝단을 연결할 수 있으면 다양하게 가능하며,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되거나 휘어진 부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암부는 끝단에 연결부가 결합된다. 연결부는 와이퍼 암(10)을 어댑터(20)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며, 와이퍼 암(1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어댑터(20)는, 2종 이상의 와이퍼 암(10)을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와이퍼 암(10)은 적어도 2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고해 제1 와이퍼 암(10a) 내지 제8 와이퍼 암(10h)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와이퍼 암(10a)은 어댑터(20) 대비 상대적으로 좁은 폭의 암부를 갖고, 암부로부터 연속적으로 동일 폭으로 연장된 연결부를 갖는다. 이때 연결부는 암부와 나란하게 암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었다가 암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휘어진 고리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즉 제1 와이퍼 암(10a)의 연결부는, 평행한 직선 형태의 상부와 하부 및 그 사이를 연결하는 볼록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어댑터(20)와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한 요철이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와이퍼 암(10a)은 어댑터(20)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일 수 있으며, 자세한 체결 방법은 이하에서 후술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와이퍼 암(10b)은 암부가 눕혀진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져서 굽힘에 대비하는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퍼 암(10b)의 연결부는, 암부와 연속적으로 연장되어 암부와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갖되, 기단에 돌출단(101b)이 돌출될 수 있다.
돌출단(101b)은 연결부의 상면 전단에서 절곡 또는 휘어지면서 연장되며 상면보다 폭이 작게 이루어져 후술할 어댑터(20)의 락킹부(22) 내측으로 인입되어 어댑터(20)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와이퍼 암(10b)의 상면에는 개구(103b)가 마련되고 개구(103b)에는 삽입편(104b)이 구비될 수 있는데, 삽입편(104b)은 제2 와이퍼 암(10b)이 어댑터(20)에 삽입될 때 탄성편(2123) 하측으로 인입되면서 탄성편(2123)과 맞물려 제2 와이퍼 암(10b)의 상방 이탈이 억제될 수 있다.
연결부의 측면은, 암부의 측면보다 높이가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연결부의 측면 하단은 암부의 측면 하단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연장된다. 이때 연결부의 측면 하단에서 후단 측은 걸림단(102b)을 구성할 수 있다.
제2 와이퍼 암(10b)은 어댑터(20)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일 수 있는데, 제2 와이퍼 암(10b)은 연결부의 측면 전단변이 어댑터(20)에 마련된 제한돌기(2111)에 맞닿을 때까지 수평으로 움직여 체결될 수 있다. 제2 와이퍼 암(10b)의 전단변이 제한돌기(2111)에 맞닿도록 어댑터(20)에 체결되면, 제2 와이퍼 암(10b)의 걸림단(102b)이 어댑터(20)에 마련된 탄성레그(214)를 넘어서면서, 탄성레그(214)가 제2 와이퍼 암(10b)이 이탈되는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구속하게 된다.
걸림단(102b)은 연결부와 암부 사이에서 단턱을 형성하는 형태이면 충분하고,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는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와이퍼 암(10c)은 암부가 제1 와이퍼 암(10a)과 유사하되, 연결부가 제2 와이퍼 암(10b)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이때 제3 와이퍼 암(10c)의 연결부는, 돌출단(101c)과 걸림단(10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와이퍼 암(10c)의 연결부는, 측면의 전단이 제2 와이퍼 암(10b)과 상이할 수 있다. 제2 와이퍼 암(10b)의 경우 측면의 전단변에 챔퍼(chamfer)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제3 와이퍼 암(10c)은 측면의 전단변이 연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제2 와이퍼 암(10b)과 제3 와이퍼 암(10c) 모두, 제한돌기(2111)에 의해 수평향 움직임의 한계점이 설정될 수 있음은 동일하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제3 와이퍼 암(10c)의 전단변은 제3 와이퍼 암(10c)이 어댑터(20)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때 어댑터(20)에 마련된 제한돌기(2111)에 의하여 움직임이 저지될 수 있고, 또한 제3 와이퍼 암(10c)의 걸림단(102c)이 탄성레그(214)에 의해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3 와이퍼 암(10c)은 제2 와이퍼 암(10b)과 마찬가지로, 좌측 방향으로는 제한돌기(2111)와 전단변이 마주함에 따라 이동이 제한되고, 우측 방향으로는 탄성레그(214)에 걸림단(102c)이 걸려 이동이 제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4 와이퍼 암(10d)은 눕혀진 ㄷ자 단면에서 측면 하단이 내측으로 절곡되거나 휘어진 형태의 암부를 갖고, 암부의 길이 방향 대비 일측으로 편향되도록 치우치게 연장된 연결부를 갖는다.
이때 연결부에는 측면의 하단에 내측으로 절곡된 내측돌기(101d)가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돌기(101d)는 제4 와이퍼 암(10d)이 어댑터(20)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때 어댑터(20)의 제2 가이드로(2112a)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4 와이퍼 암(10d)의 연결부에서 상면에는 개구(102d)가 마련될 수 있으며, 개구(102d)에는 어댑터(20)의 탄성돌부(2122)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제4 와이퍼 암(10d)은, 다른 종류의 와이퍼 암(10)과 대비할 때 연결부 내측의 폭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20)는 스페이서부(24)를 이용하여 제4 와이퍼 암(10d)과 어댑터(20) 사이에 간극이 생겨 체결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5 와이퍼 암(10e)은 제4 와이퍼 암(10d)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다만 제4 와이퍼 암(10d)보다 폭이 좁은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어댑터(20)는 스페이서부(24) 없이 제5 와이퍼암이 체결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6 와이퍼 암(10f)은 제4 와이퍼 암(10d) 또는 제5 와이퍼 암(10e)과 유사할 수 있으며, 다만 연결부의 측면에서 일정 지점에 내측으로 내측돌기(101f)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측돌기(101f)는 어댑터(20)의 제1 가이드로(2112a)를 따라 이동하면서 제6 와이퍼 암(10f)이 체결되도록 할 수 있는데, 후술하겠으나 제1 가이드로(2112a)는 경사진 형태를 갖게 되므로 제6 와이퍼 암(10f)은 어댑터(20)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면서도 제1 와이퍼 암(10a)과는 체결 방향이 다소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제6 와이퍼 암(10f)은 연결부의 측면에서 전단변에 인입부(102f)를 가질 수 있는데, 인입부(102f)는 어댑터(20)의 측면(211)에 마련된 제한돌기(2111)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7 와이퍼 암(10g)은 폭 대비 높이가 큰 형태의 암부를 갖고, 암부에서 연장된 연결부는 폭 방향으로 일측에 연장된 핀(101g)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핀(101g)은 제7 와이퍼 암(10g)이 어댑터(20)에 폭 방향으로 체결될 때 어댑터(20)에 마련되는 관통홀(2113)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제7 와이퍼 암(10g)의 연결부에는, 상측에 덮개부(102g)가 핀(101g)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핀(101g)과 전후 방향으로 어긋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덮개부(102g)는 어댑터(20)의 상면(212)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적어도 1회 절곡된 형태를 가져서 어댑터(20)를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8 와이퍼 암(10h)은 제7 와이퍼 암(10g) 대비 연결부와 암부의 단면 형상에 차이가 있으나, 제 7 와이퍼 암(10)과 유사하게 핀(101h)과 덮개부(102h)를 이용해 어댑터(20)에 체결한다.
제 8 와이퍼 암(10h)의 경우 제7 와이퍼 암(10g)과 대비할 때 덮개부(102h)의 폭이 크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어댑터(20)에 체결할 시 제7 와이퍼 암(10g)을 체결할 때와는 달리 스페이서부(24) 또는 커버부(23)의 사용이 요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등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어댑터(2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20)는, 하측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결합되고 상측에 2종 이상의 와이퍼 암(10)이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와이퍼 블레이드에 2종 이상의 와이퍼 암(10)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어댑터(20)는, 본체부(21), 락킹부(22), 커버부(23), 스페이서부(24), 베이스부(25)를 갖는다.
본체부(21)는, 후술할 베이스부(25) 등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에 간접 결합되거나 또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직접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이 결합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은 제2 와이퍼 암(10b) 내지 제5 와이퍼 암(10e) 등일 수 있으며,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은 제1 와이퍼 암(10a), 제6 와이퍼 암(10f) 등일 수 있다. 참고로 제 ㅇ종의 와이퍼 암(10)이라고 표현하더라도 복수의 와이퍼 암(10)이 아닌 1개의 와이퍼 암(10)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
또한 참고로, 어댑터(20)에는 폭 방향으로 제3 종의 와이퍼 암(10)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종의 와이퍼 암(10)은 제7 와이퍼 암(10g)과 제8 와이퍼 암(10h)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21)는 한 쌍의 측면(211), 상면(212)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되며, 한 쌍의 측면(211)과 상면(212)은 와이퍼 암(10)이 체결될 때 와이퍼 암(10)의 연결부에 의해 적어도 일부분이 덮이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측면(211)과 상면(212)에는 각각 와이퍼 암(10)의 체결 및 이탈 방지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들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이하에서 서술한다.
본체부(21)의 측면(211)에는, 락킹부(22)에 인접한 위치에 제한돌기(2111)가 마련된다. 제한돌기(2111)는 본체부(21)에 수평으로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특히 제3 와이퍼 암(10c) 등)의 연결부의 측면 전단과 마주하도록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의 측면(211)에는 제한돌기(2111) 기준으로 락킹부(22)에서 먼 일측에 제1 그루브(2112)가 마련된다. 제1 그루브(2112)는 본체부(21)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 종의 와이퍼 암(10)(특히 제6 와이퍼 암(10f) 등)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돌기(101f)가 가이드 및 걸림되도록 본체부(21)의 측면(211)에 함몰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에는 측면(211)을 관통하는 관통홀(2113)이 마련될 수 있으며, 관통홀(2113)은 본체부(21)에 폭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종의 와이퍼 암(10)(제7 와이퍼 암(10g), 제8 와이퍼 암(10h) 등)의 핀(101g, 101h)이 삽입될 수 있다.
이때 관통홀(2113)의 크기는 핀(101g, 101h)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마련되고, 관통홀(2113) 내에 삽입된 핀(101g, 101h)은 회전 불가능 혹은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핀(101g, 101h)은 관통홀(2113)에서 빠지기 쉬운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제7 와이퍼 암(10g) 등의 덮개부(102g)로 인해 핀(101g)의 이탈은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의 측면(211)에는, 제한돌기(2111)나 제1 그루브(2112)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일례로 하측 등)에 마련되어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특히 제4 와이퍼 암(10d) 또는 제5 와이퍼 암(10e) 등)의 내측에 마련되는 내측돌기(101d, 101e)가 가이드되는 제2 그루브(2114)가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21)에 마련되는 제한돌기(2111)는 본체부(21)에 체결된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의 수평 방향 인입을 억제하기 위해, 측면(211)에서 일정 높이로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본체부(21)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의 체결 위치가 제한돌기(2111)로 인해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한돌기(2111)로 인해,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이하에서 제6 와이퍼 암(10f)으로 설명함)은 연결부의 전단이 제한돌기(2111)와 상하로 나란한 위치에서는 와이퍼 암(10)의 삽입 과정에서 연결부가 제한돌기(211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1 그루브(2112)를 사용하는 제6 와이퍼 암(10f)을 본체부(21)에 체결하기 위해선, 제1 그루브(2112)와 제한돌기(2111) 사이의 간격이 충분해야 한다.
그런데 본체부(21)에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은 락킹부(22)에 의하여 전단이 덮이면서 체결이 완료되는 것인데, 제1 그루브(2112)가 제한돌기(2111)로부터 충분히 후퇴된 위치에 있게 되면 제6 와이퍼 암(10f)의 전단이 락킹부(22)에 의해 덮이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이나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이 하나의 어댑터(20)로 모두 체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1 그루브(2112)의 형상을 개선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그루브(2112)는,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유입되는 외측부 대비, 내측돌기(101f)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로 갈수록 락킹부(22)를 향해 편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그루브(2112)는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유입되는 가이드로(2112a)와, 가이드로(2112a)에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2112b)를 포함할 수 있는데, 가이드로(2112a)는 내측돌기(101f)가 유입되는 외측부로부터 내측돌기(101f)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면서, 외측부로부터 내측부로 갈수록 락킹부(22)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제1 그루브(2112)에 인입되는 초기의 제6 와이퍼 암(10f)의 위치는, 제1 그루브(2112)의 내측부에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위치했을 때의 제6 와이퍼 암(10f)의 위치보다 후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가이드로(2112a)가 수직하지 않고 경사지게(혹은 휘어지게)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본체부(21)의 제한돌기(2111)를 이용해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의 수평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제한돌기(2111)로 인해 제6 와이퍼 암(10f)의 상하 방향 체결이 방해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그루브(2112)가 락킹부(22)에 가장 인접한 전단(가이드로(2112a)의 내측부)에서 제한돌기(2111) 사이의 거리가,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에서 전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된다.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는 가이드로(2112a)의 외측부로 유입되고 가이드로(2112a)를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제6 와이퍼 암(10f)은 체결 초기 대비 락킹부(22)를 향해 위치가 편향될 수 있다. 이 경우 어댑터(20)에 마련되는 제한돌기(2111)는, 제6 와이퍼 암(10f)의 연결부 측면에 형성된 인입부(102f)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가이드로(2112a)의 내측부에 위치한 이후, 제6 와이퍼 암(10f)은 락킹부(2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내측돌기(101f)가 걸림로(2112b) 내로 인입될 수 있다. 걸림로(2112b)는 가이드로(2112a)에서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걸림로(2112b)에 인입된 내측돌기(101f)로 인해 제6 와이퍼 암(10f)은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또한 제1 그루브(2112)의 가이드로(2112a)는 외측부(상단)에서 내측부(하단)로 갈수록 락킹부(22)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로(2112a)가 연직한 경우 대비 가이드로(2112a)가 경사진 정도 만큼 걸림로(2112b)의 위치가 락킹부(22)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6 와이퍼 암(10f)은 제한돌기(2111)로 인해 어댑터(20)에 체결되는 것이 제한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체결 후 락킹부(22)에 의해 전단이 덮여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된 제한돌기(2111)는 수평 방향으로 어댑터(20)에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의 수평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된 제1 그루브(2112)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걸림로(2112b)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어댑터(20)에 체결되는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의 상하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추가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체부(21)의 측면(211)에는 제2 그루브(2114)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그루브(2114)는 제1 그루브(2112)의 걸림로(2112b)와 유사하게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다. 다만 제2 그루브(2114)는 후단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을 체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 중 제4 와이퍼 암(10d) 또는 제5 와이퍼 암(10e)의 경우, 연결부의 측면 하단에 내측돌기(101d, 101e)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내측돌기(101d, 101e)는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보다 하방에 위치한다.
제4 와이퍼 암(10d) 등은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는데, 이때 제4 와이퍼 암(10d) 등의 내측돌기(101d)는 제2 그루브(2114)로 인입되어 제2 그루브(2114)를 따라 가이드된다.
제4 와이퍼 암(10d)은 제2 그루브(2114)의 내측부가 내측돌기(101d)와 맞닿는 위치 혹은 인접한 위치까지 수평 이동하게 되며, 제4 와이퍼 암(10d)의 상하 이동은 제2 그루브(2114) 내에 위치한 내측돌기(101d)에 의해 제한된다.
또한 락킹부(22)가 제4 와이퍼 암(10d)의 전단을 덮어 제4 와이퍼 암(10d)의 체결력이 추가될 수 있으며, 제4 와이퍼 암(10d)의 수평 방향 이동은 본체부(21)의 상면(212)에 마련되는 탄성돌부(2122)로 인해 제한될 수 있고,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와 같이 본체부(21)는 측면(211)에 제한돌기(2111), 제1 그루브(2112), 제2 그루브(2114) 등을 구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와이퍼 암(10)의 체결에 대비할 수 있으며, 특히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의 수평 방향 체결을 위해 제한돌기(2111)를 두면서도, 제2 종의 와이퍼 암(10)의 상하 방향 체결이 방해받지 않도록, 제1 그루브(2112)가 적어도 일부분이 경사지게 형성할 수 있다.
본체부(21)의 상면(212)에는 절개부(2121)가 마련될 수 있고, 절개부(2121)는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와이퍼 암(10)의 체결 시 사용되는 스페이서부(24)의 안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물론 절개부(2121)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스페이서부(24)는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하여 어댑터(20)에 체결되어, 폭이 넓은 와이퍼 암(10)의 체결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상면(212)에는 탄성돌부(2122)와 탄성편(2123)이 마련될 수 있다. 탄성돌부(2122)와 탄성편(2123)은 상하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전단이 본체부(21)에 연결되고 후단이 자유단으로 마련되는 형태일 수 있다.
탄성돌부(2122)는, 수평 방향으로 본체부(21)에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제4 와이퍼 암(10d), 제5 와이퍼 암(10e) 등)에 마련되는 개구(102d, 102e)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개구(102d, 102e)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다.
탄성돌부(2122)는, 제4 와이퍼 암(10d) 등이 본체부(21)에 삽입될 때 제4 와이퍼 암(10d)의 연결부에 의해 강제로 눌려 있다가, 제4 와이퍼 암(10d)의 개구(102d)에 대응되는 위치에 놓이면서 상방으로 탄성 이동하면서 개구(102d)에 삽입되어, 제4 와이퍼 암(10d)의 수평 방향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탄성편(2123)은, 탄성돌부(2122)에 인접하게 마련될 수 있고, 탄성돌부(2122)와 탄성편(2123)은 전단이 공유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탄성편(2123)은 탄성돌부(2122)의 주변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지만,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탄성편(2123)은 수평 방향으로 본체부(21)에 체결되는 제1 종의 와이퍼 암(10)(제2 와이퍼 암(10b) 등)에 마련되는 삽입편(104b)과 맞물릴 수 있다. 제2 와이퍼 암(10b)이 본체부(21)에 체결될 때 삽입편(104b)은 탄성편(2123)의 하측으로 인입되는데, 탄성편(2123)은 제2 와이퍼 암(10b)의 연결부에 의해 둘러싸여 상방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락킹부(22), 제2 와이퍼 암(10b), 탄성편(2123), 삽입편(104b) 순으로 놓이면서 제2 와이퍼 암(10b)의 상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전방에는 락킹부(22)를 마련하기 위한 힌지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힌지부(213)는 락킹부(22)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고, 힌지축(2131)과 걸림키(2132)를 포함한다.
힌지축(2131)은, 락킹부(22)에 체결되며 힌지중심을 이룬다. 락킹부(22)는 도면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퍼 암(10)을 체결을 구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와이퍼 암(10)의 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213)는 와이퍼 암(10)의 체결을 구현한 상태의 락킹부(22)에 대해, 회전이 억제되도록 하기 위해 걸림키(2132)를 사용할 수 있다. 걸림키(2132)는 락킹부(22)의 회전 각도에 따라 락킹부(22)의 회전면(221)에 마련된 요철부(2211)에 걸림되어 락킹부(22)의 회전을 제한한다.
락킹부(22)는 회전면(221)이 외압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이동하면 요철부(2211)가 걸림키(2132)로부터 이탈되면서, 와이퍼 암(10)의 전단을 노출시키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한 쌍의 힌지부(213) 사이에는 힌지부(213)들을 서로 연결하는 탄성바(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바를 이용해 한 쌍의 힌지부(213)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락킹부(22)의 요철부(2211)와 걸림키(2132) 간의 맞물림이 견고히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락킹부(22)에 대해 탄성바의 탄성력을 이겨내는 외압이 작용하면, 요철부(2211)가 걸림키(2132)에서 벗어나면서 락킹부(2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허용될 것이다.
본체부(21)에서 힌지부(213)의 반대편인 후방에는 탄성레그(214)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레그(214)는 본체부(21)의 후방에서 폭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마련되면서 본체부(21)의 측면(211) 대비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제1 종의 와이퍼 암(10)의 후단에 걸림될 수 있다.
제1 종의 와이퍼 암(10)(특히 제2 와이퍼 암(10b), 제3 와이퍼 암(10c) 등)에는 걸림단(102b, 102c)이 마련될 수 있는데, 제2 와이퍼 암(10b) 등이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되면, 걸림단(102b, 102c)이 탄성레그(214)를 넘어서게 되고, 탄성레그(214)는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걸림단(102b, 102c)의 반대방향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를 위해 탄성레그(214)는, 와이퍼 암(10)이 체결되는 방향의 일면(후면)은 와이퍼 암(10)의 연결부에 의해 자연스럽게 내측으로 눌리기 위해 경사면이나 곡면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반대면(전면)은 와이퍼 암(10)의 체결 해제를 방지하기 위해 수직면 혹은 전면보다 경사가 큰 면 등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한 쌍의 측면(211) 사이에는 곡면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215)는 락킹부(22)의 내면과 마주하도록 볼록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제2 종의 와이퍼 암(10) 중 제1 와이퍼 암(10a)의 체결을 위해 구비된다.
즉 곡면부(215)는 제1 와이퍼 암(10a)의 고리 형태 연결부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와이퍼 암(10a)이 본체부(21)에 체결될 때 제1 와이퍼 암(10a)의 연결부가 곡면부(215)의 상하를 두르도록 결합된다.
또한 본체부(21)의 곡면부(215)는 상방이나 하방이 측면(211)에 의해 막혀 있는 형상을 이룰 수 있으므로, 제1 와이퍼 암(10a)은 연결부가 곡면부(215)를 감싸도록 체결되면서 곡면부(215)에 의해 상방 이동이 저지되는 동시에, 본체부(21)의 측면(211)들에 의해 폭방향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본체부(21)의 하측에는 양측면(211)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홀(216)이 구비될 수 있다. 힌지홀(216)은 어댑터(20)를 와이퍼 블레이드와 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성으로서, 베이스부(25)에 마련되는 바 형태의 회전축(251)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홀(216)은, 도 4 등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다만 개방된 하단의 전후 폭이 회전축(25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축(251)이 힌지홀(216) 내로 강제 삽입된 뒤 이탈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힌지홀(216)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하방이 닫힌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 경우 베이스부(25)에 마련되는 회전축(251)은, 힌지홀(216)에 인입되기 위해 절단된 형태로서 한 쌍의 돌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다만 회전축(251)에서 절단된 부분의 폭은, 한 쌍의 힌지홀(216)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이루어져서, 회전축(251)이 힌지홀(216) 내에 삽입된 후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의 경우 회전축(251)은 한 쌍의 힌지홀(216)을 한꺼번에 관통하는 바 형태인 반면, 도 8의 경우 회전축(251)은 힌지홀(216)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힌지홀(216)과 회전축(251)의 구조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부분(베이스부(25))을 기준으로 본체부(21)가 회전하더라도 본체부(21)의 이탈이 방지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든 사용 가능하다.
본체부(21)에는 탄성암(217)이 마련될 수 있는데, 탄성암(217)은 본체부(21)의 측면(211) 등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어댑터(20)는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 암(10)이 선택적으로 결합 가능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때 와이퍼 암(10)들은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와이퍼 암(10)의 결합을 대비하여 본체부(21)의 폭을 결정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폭이 큰 와이퍼 암(10)의 체결 시 본체부(21)와 와이퍼 암(1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체부(21)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와이퍼 암(10)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하는 탄성암(217)을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돌출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때 탄성암(217)은 상대적으로 폭이 큰 와이퍼 암(10)을 체결할 때 와이퍼 암(10)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인입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폭이 작은 와이퍼 암(10)을 체결할 때 와이퍼 암(10)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인입되는 정도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암(217)은, 락킹부(22)에 인접한 전단이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전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탄성암(217)에서 돌출되는 부분은 와이퍼 암(10)의 연결부 내면과 구조적으로 맞물리는 대신에 단순히 맞닿아 있어서, 와이퍼 암(10)의 연결부가 폭 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줄일 수 있다.
탄성암(217)은 본체부(21)에서 측면(211)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와이퍼 암(10)의 연결부에 밀착되는 구성으로서 캔틸레버 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데, 본체부(21)에 연결되는 일단은 후단으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체부(21)의 측면(211) 각각에 탄성암(217)이 마련될 수 있는데, 한 쌍의 탄성암(217)은 서로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일측의 탄성암(217)은 후단이 구속되고 전단이 자유단인 형태이고, 타측의 탄성암(217)은 전단이 구속되고 후단이 자유단인 형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탄성암(217)은,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 암(10) 중에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스페이서부(24)를 사용해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제4 와이퍼 암(10d) 등) 또는 커버부(23)를 사용해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제1 와이퍼 암(10a) 또는 제8 와이퍼 암(10h) 등)의 경우에는 와이퍼 암(10)의 내면과 맞닿지 않을 수 있다.
락킹부(22)는, 본체부(21)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락킹부(22)는 마치 캡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힌지부(213)에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면(221)을 갖는다. 한 쌍의 회전면(221) 사이에는 커버면(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며, 커버면의 일단이 본체부(21)에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을 덮게 된다.
락킹부(22)의 회전면(221)은 힌지부(213)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일례로 힌지부(213)에 마련되는 힌지축(2131)이 회전면(221)에서 연장되는 힌지요소(223)의 구멍에 삽입되면서 회전면(221)이 힌지축(21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회전면(221)에는 요철부(2211)가 마련되는데, 요철부(2211)는 락킹부(22)의 회전 방향을 따라 요철 부위와 함몰 부위가 인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요철 부위는 앞서 탄성레그(214)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일측이 경사지고 타측이 연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락킹부(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걸림키(2132)는 요철부(2211)의 요철 부위에서 경사진 부분을 타고 넘어가다가 함몰 부위에 안착되고, 걸림키(2132)가 요철부(2211)의 요철 부위에서 연직한 부분에 맞닿아 있게 되어 락킹부(2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다만 회전면(221)에 내측 방향으로 외압을 적용하면(특히 탄성바의 탄성력 이상으로), 요철부(2211)의 요철 부위에서 연직한 부분이 걸림키(2132)와 어긋나게 되어, 락킹부(2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허용될 수 있다.
이때 락킹부(22)의 회전면(221)은 외압이 효과적으로 요철부(2211)에 작용할 수 있도록, 요철부(2211)가 마련된 부분이 마치 버튼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면(221)의 표면에는 돌출요소(2212)가 마련된다. 돌출요소(2212)는 락킹부(22)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락킹부(22)의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물론 하나의 돌출된 구조를 갖는 대신, 사용자가 락킹부(22)를 파지할 수 있도록 회전면(221)에 거칠기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쌍의 회전면(221) 사이의 커버면에는 와이퍼 암(10)의 연결부의 전단을 덮어 와이퍼 암(10)의 이탈을 방지하는 커버요소(222)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요소(222)는 락킹부(22)가 락킹 상태에 놓이면, 어댑터(20)에 결합된 와이퍼 암(10)의 상면 상에 투영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어, 와이퍼 암(10)의 상방 이탈을 방해할 수 있다.
커버요소(222)는 커버면에서 후단으로 연장되면서 회전면(221)보다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커버요소(222)의 양측에는 단차가 형성된다. 이때 커버요소(222) 하측의 단차는, 후술할 커버부(23)의 단차와 맞물릴 수 있다.
회전면(221)에는 힌지요소(223)가 연장될 수 있는데, 힌지요소(223)는 회전면(2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회전면(221) 자체에 구멍이 마련되어 힌지요소(223)가 회전면(221)의 일부분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할 때, 회전면(221)의 하측에 마련되는 힌지요소(223)의 구멍에 힌지부(213)의 힌지축(2131)이 삽입된다. 이때 힌지축(2131)은 베이스부(25)의 회전축(251)에 대해 설명한 내용 중 도 8을 참고해 언급한 부분과 유사하게, 한 쌍의 힌지부(213)에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된 한 쌍의 돌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힌지축(2131)은 힌지요소(223)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은 경사면을 이루도록 챔퍼(chamfer)될 수 있다.
반면 도 10을 참조할 때, 락킹부(22)의 힌지요소(223)는 회전면(2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나 폭 방향으로 중앙에 마련될 수 있고, 힌지부(213)의 힌지축(2131)은 한 쌍의 힌지부(213) 사이에 바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베이스부(25)의 회전축(251)에 대해 설명한 내용 중 도 4를 참고한 부분과 유사할 수 있다. 이때 힌지요소(223)는 바 형태의 힌지축(2131)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절개된 형태를 갖는다.
도 9의 경우 힌지축(2131)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도 10의 경우 힌지축(2131)은 락킹부(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는 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락킹부(22)의 힌지요소(223) 및 힌지축(2131) 등의 형상이나 결합 방식을 상기로 한정하지 않으며, 본체부(21)의 힌지부(213)를 기준으로 락킹부(22)가 힌지 회전될 수 있는 모든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커버부(23)는, 본체부(21)의 양측면(211) 및 상면(212)을 덮도록 본체부(21)에 체결된다. 커버부(23)는 락킹부(22)와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며, 본체부(21)의 관통홀(2113)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231)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부(23)는 전단에 단차가 형성되고, 커버부(23)의 단차는 락킹부(22)에서 커버요소(222)가 돌출 형성됨에 따라 커버요소(222) 하측에 마련되는 단차와 맞물리게 될 수 있다.
커버부(23)는 후술할 스페이서부(24)로는 본체부(21)와 와이퍼 암(10) 간의 간극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즉 와이퍼 암(10)에서 연결부의 폭이 비교적 매우 큰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커버부(23)는 와이퍼 암(10)의 폭이 본체부(21)의 폭보다 작게 이루어져 있을 때, 와이퍼 암(10)이 안착되어 폭 방향으로 이동이 억제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와이퍼 암(10a)의 경우, 본체부(21)에 커버부(23)가 체결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어댑터(20)에 체결 가능하나, 도 11에서와 같이 커버부(23)가 본체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어댑터(20)에 체결될 수 있다. 특히 커버부(23)는 상면에서 폭방향으로 양측이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 상면의 중앙 부분에 골을 형성할 수 있는데, 제1 와이퍼 암(10a)은 커버부(23)의 골 상에 안착되어 폭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는 제8 와이퍼 암(10h)의 경우, 덮개부(102h)의 폭이 본체부(21)를 고정하기엔 적합하지 않을 정도로 클 경우, 커버부(23)가 본체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8 와이퍼 암(10h)의 덮개부(102h)가 커버부(23)를 두르도록 체결될 수 있다.
스페이서부(24)는, 전단이 제한돌기(2111)와 마주하는 와이퍼 암(10)(제3 와이퍼 암(10c) 등)이나 제1 그루브(2112)에 인입되는 내측돌기(101f)를 갖는 와이퍼 암(10)(제6 와이퍼 암(10f) 등) 등과 대비할 때 상대적으로 폭이 넓은 와이퍼 암(10)(일례로 제4 와이퍼 암(10d) 등)의 체결 시, 본체부(21)의 측면(211)과 와이퍼 암(10)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기 위해 본체부(21)의 측면(211)에 겹쳐 배치된다.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의 양측면(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각각 겹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어부(241)를 갖는다. 레이어부(241)는 본체부(21)의 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정한 두께를 갖는 면 형태로 마련되며, 본체부(21)의 측면(211)에 평행하게 놓이면서 본체부(21)의 측면(211)과 와이퍼 암(10)의 내면 사이에 발생할 간극을 해소한다.
이때 레이어부(241)는, 본체부(21)의 측면(211)에 구비되어 와이퍼 암(10)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들과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레이어부(241)는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된 관통홀(2113)에 대응되는 부분이 파여 있거나 관통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물론 관통홀(2113)을 이용해 체결되는 제8 와이퍼 암(10h)의 경우, 덮개부(102h)의 폭이 커서 커버부(23)를 사용할 정도이므로 스페이서부(24)가 본체부(21)에 체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관통홀(2113)을 이용하지만 제8 와이퍼 암(10h)보다 덮개부(102h)의 폭이 작은 제7 와이퍼 암(10g)의 경우, 스페이서부(24)를 유지하면 덮개부(102g)의 체결이 불가할 수 있는 바, 제7 와이퍼 암(10g)을 본체부(21)에 체결할 시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레이어부(241)는, 스페이서부(24)가 본체부(21)에 마련된 상태에서도 체결 가능한 와이퍼 암(10)을 고려하여,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된 와이퍼 암(10) 체결 요소들 간의 간섭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레이어부(241)는, 제4 와이퍼 암(10d) 또는 제5 와이퍼 암(10e)의 내측돌기(101d, 101e)가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제2 그루브(2114)를 노출시킬 수 있다. 즉 레이어부(241)의 하단은 제2 그루브(2114) 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레이어부(241)는 제2 그루브(2114)를 덮지 않게 마련된다.
제2 그루브(2114)의 경우에는 스페이서부(24)가 필요한 와이퍼 암(10)의 결합 시 사용되는 것이므로, 레이어부(241)는 제2 그루브(2114)를 노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만 스페이서부(24)를 사용할 때 결합되는 제4 와이퍼 암(10d)은, 제1 그루브(2112)를 사용하지 않는 것일 수 있고, 제1 그루브(2112)를 사용하는 제6 와이퍼 암(10f) 등의 체결 시에는 스페이서부(24)를 본체부(21)에서 제거해야 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어부(241)는, 제1 그루브(2112)를 덮는 형태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본체부(21)의 측면(211)에 폭 방향으로 탈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부(24)와 본체부(21)의 측면(211) 사이에는 맞물림을 구현할 수 있는 요철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놓인 상태에서 와이퍼 암(10)이 결합되면, 본체부(21)의 측면(211)과 와이퍼 암(10)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탈의 우려가 거의 없다. 따라서 스페이서부(24)와 본체부(21) 간의 결합력은, 와이퍼 암(10)이 본체부(21)에 결합된 상태에서 스페이서부(24)가 아래로 빠져나가지 않을 정도면 충분할 수 있다.
또는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에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의 양측면(211)에 각각 겹쳐지는 한 쌍의 레이어부(2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레이어부(241)를 폭 방향으로 연결하는 다리부(242)를 갖는다. 이때 다리부(242)에 의해 연결되는 레이어부(241) 간의 폭은, 본체부(21)의 폭에 대응되는 형태일 수 있다.
본체부(21)는 상면(212)에 스페이서부(24)의 안착을 위한 절개부(2121)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다리부(242)를 갖는 스페이서부(24)가 본체부(21)에 체결되더라도 스페이서부(24)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높이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페이서부(24)의 다리부(242)는 절개부(2121)에 인입될 수 있다.
물론 스페이서부(24)는, 본체부(21)의 측면(211)과 와이퍼 암(10) 사이의 간극을 메울 수 있다면, 레이어부(241)가 본체부(21)의 측면(211)에 직접 결합되거나, 다리부(242)를 통해 결합되는 것 외에도 어떠한 구조도 사용 가능하다.
참고로 스페이서부(24)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되는 탄성암(217)이 와이퍼 암(10)의 내면과 맞닿지 않을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베이스부(25)는,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된다. 베이스부(25)는 와이퍼 블레이드의 중앙 부분에 고정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커버부(23)재 또는 결합커버의 중앙 부분에 구조적으로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25)는, 본체부(21)의 힌지 중심을 이룬다. 베이스부(25)는 앞서 본체부(21)의 힌지홀(216)을 설명한 부분에서 언급하였듯이, 한 쌍의 힌지홀(216)을 한꺼번에 관통하는 바 형태의 회전축(251) 또는 본체부(21)의 힌지홀(216)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 형태의 회전축(251)을 가지며, 본체부(21)는 베이스부(25)의 회전축(251)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면서 베이스부(25)에 힌지 회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하나의 어댑터(20)에 다양한 종류의 와이퍼 암(10)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고리 형상을 갖는 제1 와이퍼 암(10a)을 본체부(21)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하고자 하는 경우, 본체부(21)에는 커버부(23)가 결합될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와이퍼 암(10a)은 커버부(23)의 사용이 선택적일 수 있다.
제1 와이퍼 암(10a)은 연결부의 끝단이 본체부(21)의 곡면부(215)보다 전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하강하게 되며, 연결부의 상부가 곡면부(215)의 상단과 맞닿거나 인접한 상태에서, 제1 와이퍼 암(10a)은 도면 기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와이퍼 암(10a)의 고리 부분이 본체부(21)의 곡면부(215)에 맞물리게 된다. 제1 와이퍼 암(10a)의 고리 부분의 곡률은 본체부(21)의 곡면부(215)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제1 와이퍼 암(10a)의 곡률이 더 작게 이루어져 곡률 간의 억지끼움으로 제1 와이퍼 암(10a)의 1차 체결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와이퍼 암(10a)의 고리 부분을 곡면부(215)에 안착시킨 뒤, 락킹부(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락킹부(22)의 요철부(2211)는 힌지부(213)의 걸림키(2132)에 걸리면서 락킹부(22)의 회전이 저지되며, 락킹부(22)의 커버요소(222)가 제1 와이퍼 암(10a)의 전단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와이퍼 암(10a)은, 상하 및 수평방향 움직임이 고리 부분과 곡면부(215) 간의 맞물림 및 락킹부(22)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와이퍼 암(10a)의 폭방향 움직임은 앞서 언급한 커버부(23)의 상면에 형성된 골 구조로 인해 저지될 수 있다. 물론 커버부(23)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서도 제1 와이퍼 암(10a)의 폭방향 움직임이 본체부(21) 자체의 구조를 통해 저지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와이퍼 암(10b)의 경우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체결 시 제2 와이퍼 암(10b)의 돌출단(101b)은 락킹부(22)가 덮일 위치에 마련되고, 제2 와이퍼 암(10b)의 걸림단(102b)은 탄성레그(214)에 의해 맞물리며, 전단은 제한돌기(2111)와 마주한다.
또한 제2 와이퍼 암(10b)의 개구(103b)에 마련되는 삽입편(104b)은 본체부(21)의 탄성편(2123) 하측으로 인입되면서 탄성편(2123)과 맞물리는데, 삽입편(104b)과 탄성편(2123)의 맞물림은 개구(103b)를 통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다.
락킹부(2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2 와이퍼 암(10b)의 전단을 커버하는 것은 앞서 도 11에서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2 와이퍼 암(10b)은, 전단을 덮는 락킹부(22) 및 삽입편(104b)과 탄성편(2123)의 맞물림에 의해 상하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걸림단(102b)과 탄성레그(214) 간의 맞물림 및 제한돌기(2111)를 통해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3 와이퍼 암(10c)의 경우 제2 와이퍼 암(10b)과 유사하게 체결된다. 다만 제3 와이퍼 암(10c)의 걸림단(102c)은 경사 형태로 마련되어, 제2 와이퍼 암(10b) 대비 움직임의 제한을 더욱 견고히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와이퍼 암(10c)은, 전단을 덮는 락킹부(22)에 의해 상하방향 움직임이 제한되고, 걸림단(102c)과 탄성레그(214)의 맞물림 및 제한돌기(2111)에 의해 수평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4 와이퍼 암(10d)의 경우 본체부(21)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는데, 제4 와이퍼 암(10d)의 폭이 본체부(21)의 폭보다 비교적 크게 마련되어 본체부(21)의 측면(211)과 제4 와이퍼 암(10d)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간극의 형성 시 와이퍼 암(10)의 폭방향 흔들림이 우려되어 체결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는 본체부(21)에 스페이서부(24)를 체결한 뒤 제4 와이퍼 암(10d)을 본체부(21)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제4 와이퍼 암(10d)에는 개구(102d)가 마련되는데, 제4 와이퍼 암(10d)의 개구(102d)는 본체부(21)의 상면(212)에 마련되는 탄성돌부(2122)에 맞물릴 수 있다. 즉 제4 와이퍼 암(10d)이 수평 방향으로 본체부(21)에 체결되면, 본체부(21)의 탄성돌부(2122)가 제4 와이퍼 암(10d)의 연결부에 의해 눌렸다가 개구(102d) 위치에 놓이면 돌출되면서, 개구(102d) 내로 인입되면서 개구(102d)와 맞물릴 수 있다.
특히 탄성돌부(2122)는, 제4 와이퍼 암(10d)의 체결이 해제되는 방향으로는 강한 억제력을 갖는 형상일 수 있으며, 반대로 제4 와이퍼 암(10d)이 체결되는 방향으로는 탄성적으로 용이하게 가압되어 제4 와이퍼 암(10d)의 결합을 자연스럽게 허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
제4 와이퍼 암(10d)의 연결부에는 내측돌기(101d)가 마련되며, 내측돌기(101d)는 본체부(21) 측면(211)에 마련되는 제2 그루브(2114)를 따라 가이드된다. 제1 그루브(2112)는 스페이서부(24)에 의해 덮이게 되나 제4 와이퍼 암(10d)은 제2 그루브(2114)를 사용하여 체결되면 된다.
제4 와이퍼 암(10d)의 전단은 락킹부(22)의 커버요소(222)에 의해 덮이지만, 제4 와이퍼 암(10d)의 체결 시 락킹부(22)가 간섭되지 않고 커버요소(222) 아래로 제4 와이퍼 암(10d)이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와이퍼 암(10d)은 락킹부(22)를 락킹 상태에 둔 채 본체부(21)에 수평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4 와이퍼 암(10d)의 폭은 락킹부(22)의 폭보다 클 수 있으므로, 락킹부(22)의 회전면(221)의 후단이 제4 와이퍼 암(10d)의 전단과 마주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을 통해 제4 와이퍼 암(10d)은, 수평 방향의 움직임이 탄성돌부(2122)와 개구(102d)의 맞물림 및 락킹부(22)에 의해 저지될 수 있고, 상하 방향의 움직임은 제2 그루브(2114)에 안착된 내측돌기(101d)에 의해 저지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5 와이퍼 암(10e)의 경우 제4 와이퍼 암(10d) 대비 폭이 좁은 것 외에는 동일한 체결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5 와이퍼 암(10e)은 도 14와 달리 스페이서부(24)가 없이 본체부(21)에 체결될 수 있으며, 그 외 내용은 제4 와이퍼 암(10d)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6 와이퍼 암(10f)의 경우 본체부(21)에 상하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제6 와이퍼 암(10f)은 연결부의 내측에 내측돌기(101f)가 마련된다. 다만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는 연결부의 측면에서 하단보다 위쪽에 마련되어, 제2 그루브(2114)에 삽입되지 않는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내측돌기(101f)는 본체부(21)의 측면(211)에 마련된 제1 그루브(2112)에 인입될 수 있다. 다만 제1 그루브(2112)가 수직한 형태로 마련되어 제6 와이퍼 암(10f)을 연직하게 본체부(21)에 체결하고자 하면, 제6 와이퍼 암(10f)의 전단이 본체부(21)에 마련된 제한돌기(2111)에 걸리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21)의 제1 그루브(211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마련됨에 따라, 내측돌기(101f)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 대비, 내측돌기(101f)가 유입되는 외측부로 갈수록 제한돌기(2111)에서 먼 방향으로 후퇴되어 편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제1 그루브(2112)의 외측부에 인입되더라도 제6 와이퍼 암(10f)이 체결 과정에서 제한돌기(2111)에 간섭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제6 와이퍼 암(10f)의 체결 방향은 제1 그루브(2112)의 경사 형태에 대응하여, 수직한 상하 방향이 아니라 경사진 상하 방향일 수 있다.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가 제1 그루브(2112)의 내측부에 위치하게 되면, 제6 와이퍼 암(10f)의 연결부에 마련된 인입부(102f)에 제한돌기(2111)가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6 와이퍼 암(10f)의 체결 시, 본체부(21)의 제한돌기(2111)는 제6 와이퍼 암(10f)의 내측돌기(101f)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제6 와이퍼 암(10f)의 인입부(102f)에 안착된다.
이후 제6 와이퍼 암(10f)은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내측돌기(101f)가 제1 그루브(2112)의 걸림로(2112b) 내로 이동하여, 내측돌기(101f)와 걸림로(2112b) 간의 맞물림으로 인해 제6 와이퍼 암(10f)의 상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물론 락킹 해제 상태에 있던 락킹부(2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락킹 상태가 되어 제6 와이퍼 암(10f)의 전단을 커버함에 따라, 락킹부(22)에 의해 상방 움직임이 제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6 와이퍼 암(10f)은 내측돌기(101f)와 걸림로(2112b)의 맞물림과 락킹부(22)에 의해 상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며, 수평방향 움직임은 제6 와이퍼 암(10f)의 전단이 락킹부(22)와 맞닿으면서 제한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7 와이퍼 암(10g)은 핀(101g)을 포함하며, 본체부(21)에 폭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다. 본체부(21)에는 관통홀(2113)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7 와이퍼 암(10g)은 핀(101g)이 관통홀(2113)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체결된다.
이후 제7 와이퍼 암(10g)에 마련된 덮개부(102g)가 본체부(21)의 상면(212) 등을 감싸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제7 와이퍼 암(10g)은 핀(101g)이 관통홀(2113)에 관통된 상태에서 핀(101g)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덮개부(102g)는 본체부(21)의 폭에 대응되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끝단이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본체부(21)의 측면(211)을 감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덮개부(102g)의 절곡은 핀(101g)과 관통홀(2113) 사이의 체결력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제7 와이퍼 암(10g)의 경우 락킹부(22)에 덮이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락킹부(22)가 락킹 상태에 놓인 채 제7 와이퍼 암(10g)이 본체부(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7 와이퍼 암(10g)의 상하 및 좌우 움직임 모두 핀(101g)과 관통홀(2113)의 체결에 의해 저지되며, 추가로 덮개부(102g)에 의해 폭방향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8 와이퍼 암(10h)은 제7 와이퍼 암(10g)과 유사하게 핀(101h)과 덮개부(102h)를 갖도록 마련된다. 다만 연결부의 형상에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체결 방법은 제7 와이퍼 암(10g)과 유사하다.
제8 와이퍼 암(10h)의 덮개부(102h)는 제7 와이퍼 암(10g) 대비 폭이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덮개부(102h)는 본체부(2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20)는 본체부(21)에 스페이서부(24)를 체결해 제8 와이퍼 암(10h)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본체부(21)에는 커버부(23)가 체결되어 폭을 충분히 확보한 뒤, 제8 와이퍼 암(10h)이 결합되도록 하여 제8 와이퍼 암(10h)의 덮개부(102h)가 어댑터(20)에 적합하게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덮개부(102h)의 폭이 크면 덮개부(102h) 자체의 강도가 문제될 수 있으므로, 덮개부(102h)는 부분적으로 요철 구조를 적용해 변형에 대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8 와이퍼 암(10h)은 핀(101h)과 관통홀(2113)(및 커버부(23)의 개구(231))의 맞물림을 통해 상하 및 수평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되며, 덮개부(102h)를 통해 폭 방향 움직임이 추가로 구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2종 이상의 와이퍼 암(10)들을 결합할 수 있도록 어댑터(20)의 구조 및 형상을 개선하였으며, 특히 수평으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의 전단과 마주하는 제한돌기(2111)를 구비하면서도 상하로 체결되는 와이퍼 암(10)의 결합이 원활하도록 제1 그루브(2112)의 형상을 경사지게 한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와이퍼 장치 10: 와이퍼 암
10a: 제1 와이퍼 암 10b: 제2 와이퍼 암
101b: 고정단 102b: 걸림단
103b: 개구 104b: 삽입편
10c: 제3 와이퍼 암 101c: 고정단
102c: 걸림단 10d: 제4 와이퍼 암
101d: 내측돌기 102d: 개구
10e: 제5 와이퍼 암 101e: 내측돌기
102e: 개구 10f: 제6 와이퍼 암
101f: 내측돌기 102f: 인입부
103f: 개구 10g: 제7 와이퍼 암
101g: 핀 102g: 덮개부
10h: 제8 와이퍼 암 101h: 핀
102h: 덮개부 20: 어댑터
21: 본체부 211: 측면
2111: 제한돌기 2112: 제1 그루브
2112a: 가이드로 2112b: 걸림로
2113: 관통홀 2114: 제2 그루브
212: 상면 2121: 절개부
2122: 탄성돌부 2123: 탄성편
213: 힌지부 2131: 힌지축
2132: 걸림키 214: 탄성레그
215: 곡면부 216: 힌지홀
217: 탄성암 22: 락킹부
221: 회전면 2211: 요철부
2212: 돌출요소 222: 커버요소
223: 힌지요소 23: 커버부
231: 개구 24: 스페이서부
241: 레이어부 242: 다리부
25: 베이스부 251: 회전축

Claims (16)

  1. 와이퍼 블레이드를 2종 이상의 와이퍼 암에 결합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결합되며 수평 방향으로 제1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제2 종의 와이퍼 암이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단을 커버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의 전단과 마주하도록 돌출된 제한돌기가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는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내측에 마련된 내측돌기가 가이드 및 걸림되는 그루브가 상기 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측돌기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 대비, 상기 내측돌기가 유입되는 외측부로 갈수록 상기 제한돌기에서 먼 방향으로 편향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내측돌기가 유입되는 상기 외측부로부터 상기 내측돌기의 유입이 저지되는 내측부를 포함하는 가이드로; 및
    상기 가이드로에서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로는, 상기 외측부로부터 상기 내측부로 갈수록 상기 락킹부를 향해 경사지게 마련되며,
    상기 걸림로는, 상기 가이드로에서 예각을 갖도록 절곡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는,
    상기 락킹부에 가장 인접한 전단에서 상기 제한돌기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내측돌기에서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의 전단 사이의 거리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방에서 상기 락킹부가 회전되도록 마련되는 힌지부; 및
    후방에서 탄성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의 후단에 걸림되는 탄성레그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락킹부에 체결되는 힌지축; 및
    상기 락킹부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락킹부의 요철부에 걸림되어 상기 락킹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걸림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요철부가 외압에 의해 탄성 이동하면 상기 요철부가 상기 걸림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와이퍼 암의 전단을 노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이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에 결합되는 서로 다른 폭을 갖는 상기 와이퍼 암의 내측면에 맞닿아 내측으로 탄성 인입되는 탄성암이 상기 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암은,
    상기 락킹부에 인접한 전단이 자유단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전단이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의 와이퍼 암 또는 상기 제2 종의 와이퍼 암 대비 폭이 넓은 제3 종의 와이퍼 암의 체결 시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과 상기 제3 종의 와이퍼 암 사이의 간극을 보상하기 위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에 겹쳐 배치되는 스페이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면에 상기 스페이서부의 안착을 위한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1.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겹쳐지는 한 쌍의 레이어부; 및
    한 쌍의 상기 레이어부를 연결하며 상기 절개부에 인입되는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어부는,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이 파여 있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폭 방향으로 체결되는 제3 종의 와이퍼 암의 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상기 측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면 및 상면을 덮도록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며 상기 락킹부와 대응되는 폭으로 마련되고 상기 관통홀에 대응되는 부분에 개구가 마련되는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전단이 고리 형태를 갖는 제3 종의 와이퍼 암이 걸리도록 양측면 사이에 곡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15. 밀착대상의 표면에 밀착되는 밀착부재를 갖는 와이퍼 블레이드; 및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체결되는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와이퍼 블레이드에 고정되는 베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힌지 회전되도록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양측면에 각각 마련되는 한 쌍의 힌지홀을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한 쌍의 힌지홀을 한꺼번에 관통하는 바 형태의 회전축 또는 상기 힌지홀에 각각 체결되는 한 쌍의 돌기 형태의 회전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KR1020190158549A 2019-12-02 2019-12-02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KR10233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49A KR102338807B1 (ko) 2019-12-02 2019-12-02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US17/087,782 US11827185B2 (en) 2019-12-02 2020-11-03 Adaptor for assembling wiper blade, wiper blade assembly, and wiper device
CN202011300642.5A CN112977345A (zh) 2019-12-02 2020-11-19 雨刮片组装用适配器、雨刮片组装体和雨刮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49A KR102338807B1 (ko) 2019-12-02 2019-12-02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932A true KR20210068932A (ko) 2021-06-10
KR102338807B1 KR102338807B1 (ko) 2021-12-15

Family

ID=7609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49A KR102338807B1 (ko) 2019-12-02 2019-12-02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827185B2 (ko)
KR (1) KR102338807B1 (ko)
CN (1) CN11297734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25780B1 (fr) * 2021-07-30 2024-05-24 Valeo Systemes Dessuyage Dispositif de connexion entre balai d’essuyage et bras d’entraînement
US11932207B1 (en) * 2023-03-21 2024-03-19 Danyang Upc Auto Parts Co., Ltd. Universal wiper base assembly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556B1 (ko) * 2004-01-30 2012-11-01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섹션 부재 세그먼트 형태의 와이퍼 아암을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유닛의 힌지식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101198352B1 (ko) * 2012-08-29 2012-11-12 유병갑 멀티 어댑터
EP3339114A1 (de) * 2016-12-22 2018-06-27 Robert Bosch GmbH Wis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wischer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04548B2 (en) * 2011-01-21 2015-08-11 Blackbird Technology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management
KR101350277B1 (ko) 2012-01-27 2014-01-14 케이씨더블류 주식회사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및 플랫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JP6217339B2 (ja) * 2013-11-20 2017-10-2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58967A1 (en) * 2014-03-11 2015-09-17 llIinois Tool Works Inc. Universal connector and cover for attachment of a windshield wiper blade with multiple types of windshield wiper arms
CA3009968C (en) * 2015-12-28 2021-07-13 Gos Co. Ltd. Wiper blade adapter assembly
JP6177979B2 (ja) 2016-09-21 2017-08-09 アスモ株式会社 ワイパブレード及びワイパ
FR3056511B1 (fr) * 2016-09-29 2022-01-14 Valeo Systemes Dessuyage Adaptateur constitutif d'un systeme d'essuyag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6556B1 (ko) * 2004-01-30 2012-11-01 발레오 시스뗌므 데쉬야지 섹션 부재 세그먼트 형태의 와이퍼 아암을 윈드실드 와이퍼 블레이드 유닛의 힌지식 구조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
KR101198352B1 (ko) * 2012-08-29 2012-11-12 유병갑 멀티 어댑터
EP3339114A1 (de) * 2016-12-22 2018-06-27 Robert Bosch GmbH Wisch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r wisch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977345A (zh) 2021-06-18
US11827185B2 (en) 2023-11-28
KR102338807B1 (ko) 2021-12-15
US20210162956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16037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102338807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RU254344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рычагом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38112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с его рычагом, а также щетка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рычаг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US9855923B2 (en) Wiper blade
CA2898928C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KR20080014061A (ko) 연결 부재
US10322699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WO2019222189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10096166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아암의 연결장치
WO2013118833A1 (ja) レバー式コネクタ
US20150074934A1 (en) Connection assembly for a wiping system of a motor vehicle
CN111630422A (zh) 用于光纤连接器及适配器的双互锁快门系统
RU2688107C2 (ru) Относящаяся к щетке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переходная система
KR101820592B1 (ko) 와이퍼 블레이드용 어댑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와이퍼 블레이드
KR102338804B1 (ko)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용 어댑터,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US20200257056A1 (en) Light blocking shutter for optical fiber adapter
CA3082366A1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CN108622024B (zh) 用于将风挡擦拭器刮片连接到驱动臂的装置
KR102519459B1 (ko) 와이퍼용 체결기구, 와이퍼 블레이드 조립체 및 와이퍼 장치
US11752977B2 (en) Windshield wiper connector
JP5596089B2 (ja) ワイパーアーム
US11679741B2 (en) Cover for a glazed-surface wiper device
JP2011133655A (ja) 光伝送モジュール
RU2574510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шарнир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между собой рычага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и щетки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