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820A -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 Google Patents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820A
KR20210068820A KR1020190158316A KR20190158316A KR20210068820A KR 20210068820 A KR20210068820 A KR 20210068820A KR 1020190158316 A KR1020190158316 A KR 1020190158316A KR 20190158316 A KR20190158316 A KR 20190158316A KR 20210068820 A KR20210068820 A KR 202100688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compression
emergency patient
patient
chest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은
최경원
장연정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선일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선일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선일학원
Priority to KR1020190158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8820A/ko
Publication of KR20210068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8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7Manual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4Heart stimulation
    • A61H31/005Heart stimulation with feedback for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1/00Artificial respiration or heart stimulation, e.g. heart massage
    • A61H31/008Supine patient supports or bases, e.g. improving air-way access to the l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88Illumination related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8Audio interfaces, e.g. voice or music controll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위급환자의 명치 주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구비되고 위급환자의 피부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미끄러지는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슈트부재;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부재가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에서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위급환자를 돕는 도움자가 수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명치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슴압박부재; 상기 가슴압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움자가 상기 가슴압박부재를 통해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할 때 상기 도움자에게 가슴압박간격을 안내하도록 압박리듬음을 출력하는 압박리듬음출력부재;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슴압박부재가 상기 명치부분에 정확한 수직압력을 가하면 빛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압박정확도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CHEST COMPRESSION DEVICE FOR CPR}
본 발명은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한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성 심정지는 심실세동이 발생하여 유발되는 경우가 많으며, 심실세동의 가장 중요한 치료는 전기적 제세동이다. 제세동이란 심실세동 환자에게 극히 짧은 순간에 강한 전류를 심장에 통과시켜서 대부분의 심근에서 활동 전위를 유발하여 심실세동이 유지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심실세동을 종료시키고 심장이 다시 정상적인 전기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치료이다.
가슴압박은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인 심폐소생술의 핵심적인 과정으로, 흉골 부위를 양손으로 5~6cm의 깊이가 되도록 눌러 심장을 압박하는 행위이다. 가슴압박은 뇌의 손상을 지연시키고 심장을 마비 상태로부터 회복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다.
가슴압박을 시행하지 않는 경우는 제세동에 의한 생존율이 매분 7~10%씩 감소하며, 목격자에 의한 가슴압박이 시행되면 제세동의 성공률이 분당 3~4% 정도로 감소된다. 즉, 심정지 상황에서 가슴압박을 시행하면 가슴압박 시행 없이 제세동을 할 경우보다 성공 확률이 2~3배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장에서 목격자에 의한 가슴압박이 시행되면 환자의 신경학적 기능도 보다 잘 보전되며, 특히 성인의 심정지 후 5분 이내에 제세동이 시행되면 신경 손상이 거의 없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처럼, 심정지 상황에서 가슴압박은 매우 중요하지만, 가슴압박 방법에 대한 기초 지식이 없는 사람은 위급 상황시 빠른 대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제세동기는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있으나, 가슴압박을 위한 장치는 사용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0404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슴압박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이도 심정지가 발생된 위급환자의 발생시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위한 가슴압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위급환자의 명치 주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저면에 구비되고 위급환자의 피부로부터 상기 커버부가 미끄러지는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슈트부재;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부재가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에서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위급환자를 돕는 도움자가 수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명치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슴압박부재; 상기 가슴압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움자가 상기 가슴압박부재를 통해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할 때 상기 도움자에게 가슴압박간격을 안내하도록 압박리듬음을 출력하는 압박리듬음출력부재;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의 내부 또는 외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슴압박부재가 상기 명치부분에 정확한 수직압력을 가하면 빛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압박정확도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에는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을 노출시키는 명치노출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를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를 덮을 때 상기 명치노출용구멍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두노출용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는 상기 유두노출용 구멍을 상기 위급환자의 유두를 노출시키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명치노출용 구멍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슴압박부재는, 상기 명치노출용구멍을 덮도록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절두된돔 형상을 갖는 측면부, 상기 측면부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 및 상기 측면부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측면부의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압박패드부, 및 상기 압박패드부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를 포함하는 압력형성기; 상기 압력형성기의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측면부 내로 삽입되어 상기 압박패드부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압박패드부 및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 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패드가압기; 및 상기 패드가압기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패드가압기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도움자가 압박을 가하도록 제공되는 누름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상기 슈트부재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를 수납하기 위한 보관박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박스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박스는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압박시 상기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 기도를 확보하는데 사용되고, 이때 상기 위급환자의 목부는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목부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면은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는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에는 일부는 상기 만입부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안쪽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되는 실리콘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에 의하면, 심정지가 발생된 위급환자의 심폐소생술시 가슴압박을 위한 정확한 가슴압박의 위치, 회수, 압박 간격 등의 가슴압박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이도 심정지가 발생된 위급환자의 발생시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위한 가슴압박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관상자로써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서 위급환자의 기도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환자의 목부는 보관상자의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위급환자의 목부의 흔들림 없이 위급환자의 기도 확보 상태를 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슈트부재가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슈트부재 및 가슴압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슈트부재가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히고 심장충격기와 함께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보관박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들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슈트부재가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슈트부재(110), 가슴압박부재(120), 압박리듬음출력부재(미도시),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슈트부재(110)는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을 덮는다. 슈트부재(110)는 커버부(111) 및 미끄럼방지패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11)는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의 명치 주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커버부(111)는 비닐 소재일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커버부(111)의 저면부에 부착되어 구비된다.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커버부(111)가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에 덮힐 때 위급환자의 피부에 접촉되어 커버부(111)가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으로부터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실리콘 소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에는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을 노출시키는 명치노출용 구멍(110a)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를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를 덮을 때 상기 명치노출용구멍(110a)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두노출용 구멍(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유두노출용 구멍(110b)은 커버부(111) 및 미끄럼방지패드(112)의 좌측 및 우측의 단부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장형의 슬릿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상기 유두노출용 구멍(110b)을 상기 위급환자의 유두를 노출시키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명치노출용 구멍(110a)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가슴압박부재(120)는 상기 커버부(1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부재(110)가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에서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되며, 위급환자를 돕는 도움자가 수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명치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슴압박부재(120)는 압력형성기(121), 패드가압기(122) 및 누름패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형성기(121)는 절두된돔 형상을 갖는 측면부(121a), 상기 측면부(121a)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부(121a)의 상단부 및 상기 측면부(121a)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측면부(121a)의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압박패드부(121b), 및 상기 압박패드부(121b)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12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형성기(121)는 명치노출용구멍(110a)을 덮도록 커버부(111)의 상면에 부착된다.
패드가압기(122)는 압력형성기(121)의 측면부(121a)의 상단부로부터 압력형성기(121)의 측면부(121a) 내로 삽입되어 압박패드부(121b)의 상면에 놓이며, 압박패드부(121b) 및 압력형성기(121)의 측면부(121a)의 상단부 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패드가압기(122)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누름패드(123)는 패드가압기(122)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패드가압기(122)의 상단에 결합되고,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도움자가 압박을 가하도록 제공된다. 일 예로, 누름패드(123)는 평면 형상이 원 형상이고 측면에서 볼 때 상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누름패드(123)는 합성수지재일 수 있다.
압박리듬음출력부재는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움자가 상기 가슴압박부재(120)를 통해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할 때 상기 도움자에게 가슴압박간격을 안내하도록 압박리듬음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압박리듬음출력부재는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에 구비되고, 가슴압박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전원스위치, 압박리듬음이 저장된 저장매체, 및 압박리듬음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오디오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는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 또는 외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슴압박부재(120)가 상기 명치부분에 정확한 수직압력을 가하면 빛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는 가슴압박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는 발광부재,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에 직립되게 구비되는 기울기센서, 기울기센서의 변화값, 예를 들어, 평상시 기울기센서의 기울기 수치로부터 수치가 변화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재가 발광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기울기센서의 평상시 수치의 변화가 없는 경우 상기 발광부재의 발광상태를 유지시키는 제어부,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120)의 외부로 노출되고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를 온/오프시키는 전원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슈트부재(110)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120)를 수납하기 위한 보관박스(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박스(150)는 몸체부(151),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151)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갖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상부는 개폐될 수 있다.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는 몸체부(151)의 상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몸체부(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박스(150)는 위급환자의 가슴압박시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 기도를 확보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이때 위급환자의 목부는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 사이에 삽입되어 위급환자의 목부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사용 과정을 설명한다.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슈트부재(110) 및 가슴압박부재(120)가 보관박스(150) 내에 수납되어 공공장소, 예를 들면, 지하철 역사 등에 비치될 수 있다.
위급환자, 즉 심정지된 위급환자의 발생시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가 사용된다.
즉, 위급환자를 발견한 보행자(이하, 도움자라 함)는 주변에 비치된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를 사용하여 위급환자에게 심폐소생술을 시행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위해, 도움자는 먼저 보관박스(150)를 열어서 내부에 수납된 슈트부재(110)를 인출한다. 이때, 가슴압박부재(120)는 슈트부재(110)에 부착된 상태이므로 슈트부재(110)를 인출하면 가슴압박부재(120)도 인출된다.
이어서, 도움자는 위급환자의 상의를 탈의시킨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슈트부재(110)로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을 덮는다. 이때,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위급환자의 피부에 접촉되며, 이에 의해 위급환자의 상체를 덮는 커버부(111)는 위급환자의 상체로부터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슈트부재(110)로 위급환자의 상체 정면을 덮을 때 커버부(111) 및 미끄럼방지패드(112)에 형성된 유두노출용구멍(110b)을 통해 위급환자의 양쪽 유두가 노출되도록 위치시키면 커버부(111) 및 미끄럼방지패드(112)의 명치노출용구멍(110a)은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되게 위치하며, 이에 따라 명치노출용구멍(110a)을 덮어서 배치되어 있는 가슴압박부재(120)도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된다.
이어서, 도움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박스(150)로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서 위급환자의 기도가 열리도록 한다. 이때, 위급환자의 목부는 보관박스(150)의 몸체부(151)의 상면의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 사이로 삽입되어 목부가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움자는 가슴압박부재(120)를 이용하여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한다. 즉, 도움자는 양손을 겹쳐서 깍찌낀 상태로 누름패드(123) 상면에 올린 후 위급환자의 가슴을 향해 누름패드(123)를 수직으로 누른다. 이때, 누름패드(123)가 눌리면서 패드가압기(122)가 가압되어 패드가압기(122)가 하강하며, 하강되는 패드가압기(122)는 패드가압기(122) 아래의 압력형성기(121)의 압박패드부(121b)를 가압하고, 가압되는 압박패드부(121b)는 아래 방향으로 인장되면서 압력형성기(121)의 내의 공기를 팽창시키면서 공기압이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가해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슴압박부재(120)가 수직으로 정확히 하강하면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는 빛을 외부로 발광하거나, 평상시 발광되어 있다가 수직으로 정확히 하강하지 않으면 빛이 꺼지는 형태로 작동하여, 도움자에게 시인될 수 있다.
이후, 도움자가 팔에 힘을 빼면 하강된 가슴압박부재(120) 및 누름패드(123)는 상승하고, 인장된 압박패드부(121b)는 복원된다.
이 과정은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1회 압박 과정에 해당하며, 도움자는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압박리듬음출력부재는 압박리듬음을 출력하며, 도움자는 압박리듬음을 들으면서 박자에 맞추어 위급환자의 가슴을 반복하여 압박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를 이용하면 심정지가 발생된 위급환자의 심폐소생술시 가슴압박을 위한 정확한 가슴압박의 위치, 회수, 압박 간격 등의 가슴압박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이도 심정지가 발생된 위급환자의 발생시 누구나 쉽게 심폐소생술을 위한 가슴압박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관박스(150)로써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서 위급환자의 기도를 확보할 수 있고, 위급환자의 목부는 보관박스(150)의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므로 위급환자의 목부의 흔들림 없이 위급환자의 기도 확보 상태를 쉽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슈트부재 및 가슴압박부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슈트부재가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히고 심장충격기와 함께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슈트부재(110)가 제1 절개홈부(111a) 및 제2 절개홈부(111b), QR코드(111C)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제1 절개홈부(111a) 및 제2 절개홈부(111b), QR코드(111C)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절개홈부(111a) 및 제2 절개홈부(111b)는 슈트부재(110)의 커버부(111)에 형성되며, 심장충격용패드(11)가 위급환자의 피부에 접촉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QR코드(111C)는 커버부(111)의 일측에 인쇄되며, 스마트폰으로 인식되며,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공공장소에 비치되는 심장충격기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슈트부재(110)의 커버부(111)에 형성되는 제1 절개홈부(111a) 및 제2 절개홈부(111b)는 커버부(111)를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에서 위급환자의 피부를 노출시키며, 제1 절개홈부(111a) 및 제2 절개홈부(111b)의 위치에서 심장충격기(10)의 심장충격용패드(11)가 위급환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슈트부재(110)의 일측에는 심폐소생술 안내를 위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스마트폰으로 인식 가능한 큐알코드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심폐소생술에 대한 기초지식이 없는 사람에게 위급환자 발생 현장에서 즉시 심폐소생술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를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의 보관박스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보관박스(150)의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고, 만입부(152a) 및 실리콘블록(1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보관박스(15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보관박스(150)의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는 몸체부(151)의 상면에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보관박스(150)의 몸체부(151)의 상면의 양측에는 몸체부(15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슬라이딩가이드구멍(151a)이 형성되고, 각각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는 상기 슬라이딩가이드구멍(151a)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딩가이드구멍(151a)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바(152b)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면은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는 만입부(152a)가 형성되고, 만입부(152a)에는 실리콘블록(153)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실리콘블록(153)은 일부는 만입부(152a)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의 안쪽면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보관박스(150)로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칠 때 위급환자의 목 둘레에 상관 없이 안정적으로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즉, 보관박스(150)로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칠 때, 위급환자의 목 둘레에 따라서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 간의 거리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좌, 우로 이동시키고, 이때 실리콘블록(153)은 위급환자의 목 둘레에 접촉되어 만입부(152a) 방향으로 수축되면서 위급환자의 목 둘레를 안정적으로 감쌀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관박스(150)를 통해 위급환자의 기도를 확보하고자 할 때 위급환자의 목 둘레에 상관 없이 위급환자의 목부를 지지할 수 있고, 위급환자의 목 둘레가 과도하게 가압되지 않고 소프트한 실리콘블록(153)을 통해 목 둘레를 감싸게 되므로 위급환자의 목부를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위급환자의 목부를 편안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슈트부재(110)의 외부면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가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과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슈트부재(110)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 후에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슈트부재(110)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슈트부재(110)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슈트부재(110)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5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0 ~ 19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5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0.1 몰 및 암포 글리시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보관박스(150)의 외면에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박스(150)을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나 피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방향제 물질과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은 상기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상기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하이퍼리큠 오일(Hypericum oil) 50중량%, 안젤리카 오일(Angelica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하이퍼리큠 오일(Hypericum oil)은 신경통, 근육통, 항울증,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안젤리카 오일(Angelica oil)은 해독 작용, 피부 질환 치료, 살균, 가려움증 완화, 머리를 맑게 하고, 긴장완화 등에 작용 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보관박스(150)에 코팅되므로 보관박스(150)를 살균하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오일 및 방향제 물질의 성분 및 비율을 수치 한정하는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 실패를 거듭하면서 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구성 성분 및 비율에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슈트부재 120 : 가슴압박부재
140 : 압박정확도표시부재 150 : 보관박스

Claims (3)

  1. 위급환자의 명치 주변을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커버부(111) 및 상기 커버부(111)의 저면에 구비되고 위급환자의 피부로부터 상기 커버부(111)가 미끄러지는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112)를 포함하는 슈트부재(110);
    상기 커버부(111)의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슈트부재(110)가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에 덮힌 상태에서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대응되며, 상기 위급환자를 돕는 도움자가 수직 압력을 가하여 상기 명치부분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슴압박부재(120);
    상기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도움자가 상기 가슴압박부재(120)를 통해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을 압박할 때 상기 도움자에게 가슴압박간격을 안내하도록 압박리듬음을 출력하는 압박리듬음출력부재;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120)의 내부 또는 외부 주변에 배치되고, 상기 가슴압박부재(120)가 상기 명치부분에 정확한 수직압력을 가하면 빛이 외부로 발광되도록 구성되는 압박정확도표시부재(140)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에는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을 노출시키는 명치노출용 구멍(110a)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를 상기 위급환자의 상체를 덮을 때 상기 명치노출용 구멍(110a)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유두노출용 구멍(110b)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111) 및 상기 미끄럼방지패드(112)는 상기 유두노출용 구멍(110b)을 상기 위급환자의 유두를 노출시키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명치노출용 구멍(110a)이 상기 위급환자의 명치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슴압박부재(120)는,
    상기 명치노출용구멍(110a)을 덮도록 상기 커버부(111)의 상면에 부착되며, 절두된돔 형상을 갖는 측면부(121a), 상기 측면부(121a)의 내측에서 상기 측면부(121a)의 상단부 및 상기 측면부(121a)의 하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측면부(121a)의 높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압박패드부(121b), 및 상기 압박패드부(121b)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공기통로(121c)를 포함하는 압력형성기(121);
    상기 압력형성기(121)의 상기 측면부(121a)의 상단부로부터 상기 측면부(121a) 내로 삽입되어 상기 압박패드부(121b)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압박패드부(121b) 및 상기 측면부(121a)의 상단부 간의 높이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패드가압기(122); 및
    상기 패드가압기(122)의 상면을 덮도록 상기 패드가압기(122)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도움자가 압박을 가하도록 제공되는 누름패드(123)를 포함하며,
    상기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는,
    상기 슈트부재(110) 및 상기 가슴압박부재(120)를 수납하기 위한 보관박스(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관박스(150)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51); 및
    상기 몸체부(151)의 상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몸체부(151)의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를 포함하고,
    상기 보관박스(150)는 상기 위급환자의 가슴압박시 상기 위급환자의 목부를 받쳐 기도를 확보하는데 사용되고, 이때 상기 위급환자의 목부는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목부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는 상기 몸체부(151)의 상면에서 서로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환자목부유동방지부(152)의 서로 대향하는 안쪽면은 내측으로 만입되게 형성되는 만입부(152a)가 형성되고, 상기 만입부(152a)에는 일부는 상기 만입부(152a)에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안쪽면보다 돌출되게 구비되는 실리콘블록(153)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KR1020190158316A 2019-12-02 2019-12-02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KR202100688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16A KR20210068820A (ko) 2019-12-02 2019-12-02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316A KR20210068820A (ko) 2019-12-02 2019-12-02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820A true KR20210068820A (ko) 2021-06-10

Family

ID=76378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316A KR20210068820A (ko) 2019-12-02 2019-12-02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88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04B1 (ko) 2008-05-07 2016-03-21 졸리페 아베 심폐소생술(cpr)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0404B1 (ko) 2008-05-07 2016-03-21 졸리페 아베 심폐소생술(cpr)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906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PR
US8738130B2 (en) Automated pediatric defibrillator
US8798743B1 (en) Self-contained cardiac response unit
Peberdy et al. Effect of caregiver gender, age, and feedback prompts on chest compression rate and depth
US2004026732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PR
US20020078954A1 (en) Device for monitoring cardiac compression, resuscitation mask and method of applying cardiac compression
KR101798534B1 (ko) 흉부모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심폐소생술 시뮬레이터
US20140099618A1 (en)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simulator enabling repeated defibrillation training
KR20210068820A (ko) 심폐소생술용 가슴압박장치
KR200489560Y1 (ko) 심폐소생술 보조기구
US202202803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ment of chest compressions during cpr
KR200366260Y1 (ko) 심폐소생시술 훈련용 마네킹
EP4138760A1 (en) Resuscitation device
US9446257B2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support mechanism
JP6935170B2 (ja) 救命処置用シート
KIZIL 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USING A MANIKIN
KR102358624B1 (ko) 심폐소생술 인형
RU2610259C1 (ru) Конструкция подголовника
US20230355469A1 (en) Chest com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Romão Preto et al. Rescuer's performance during six minutes of chest compressions in a simulated scenario.
CN210872922U (zh) 一种呼吸科用胸外按压装置
KR20160079324A (ko) 심폐소생 보조기구
Locatelli et al. A comparison of different AEDs features: Lighting, analysis time, CPR prompts
RU2295987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стрессовых расстройств
During Ambulance Transport: A Hemodynamic Study in a Porcine Model of Cardiac Arr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