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8520A -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8520A
KR20210068520A KR1020217013011A KR20217013011A KR20210068520A KR 20210068520 A KR20210068520 A KR 20210068520A KR 1020217013011 A KR1020217013011 A KR 1020217013011A KR 20217013011 A KR20217013011 A KR 20217013011A KR 20210068520 A KR20210068520 A KR 20210068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ion
pusher rod
electrolytic
flexible member
electrolytic s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7482B1 (ko
Inventor
리 송
위안이 구오
빙 첸
멍치 창
이쿤 브루스 왕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이크로포트 뉴로테크 (상하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6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8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27Type of occlusion
    • A61B17/12031Type of occlusion complete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09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 A61B17/12109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 A61B17/12113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occluder in a blood vessel within an aneury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61B17/1215Coils or wires comprising additional materials, e.g. thrombogenic, having filaments, having fibers, being co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61F2/962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 A61F2/96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having an outer sleeve with relative longitudinal movement between outer sleeve and prosthesis, e.g. using a push 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17/12131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occluding device
    • A61B17/1214Coils or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98Material properties expandable upon contact with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942Material properties hydrophi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2022Occluding by internal devices, e.g. balloons or releasable wires
    • A61B2017/1205Introduction devices
    • A61B2017/12054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 A61B2017/12063Details concerning the detachment of the occluding device from the introduction device electrolytically detach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9Markers, e.g. radio-opaque or breast lesions markers
    • A61B2090/3966Radiopaque markers visible in an X-ray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Neuro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전기적 분리 매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전기적 분리 매커니즘은 전기적 분리기와의 매칭에 이용되어 이식물의 전기적 분리를 달성한다. 전기적 분리 매커니즘은 이식물, 분리부(103), 전도부(101) 및 흡수부(102)를 포함한다. 전해질을 흡수한 이후, 흡수부(102)는 분리부(103)와 음극 전도부가 전도 연결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어, 전기적 분리 동작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전기적 분리 장치가 오랜 시간과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시도를 요구한다는 현 문제를 극복한다. 전기 분리 장치는 전기적 분리 매커니즘을 이용하여, 카데터(301)의 원위 개구 밖으로 분리부(103)를 밀어낼 필요 없이, 분리부(103)가 카데터(301) 내부에서 전기적 분리를 거치도록 하고, 카데터(301)의 원위 개구에서 밖으로 너무 멀리 연장되는 이식물에 의해 일어나는 위험을 피하고, 카데터(301)가 타겟 동맥류로부터 밀려나는 문제를 피하고, 이식 프로세스에서 전기적 분리 장치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본 발명은 의료 기구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전해 분리 메커니즘 및 전해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개강 내 혈관 기형은 혈관에서 비정상적인 변화에 의해 발생한 혈관의 벽에서 종양 같은 돌출부(bulge)이다. 특히, 두개강 내 동맥류를 가진 환자에 대해 갑작스러운 혈압 상승이 발생하는 경우, 동맥류는 파열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장애 또는 치명적인 출혈을 일으킨다. Guglielmi 분리가능 코일을 사용한 두개강 내 동맥류의 치료는 1991년에 처음 보고되었다. 그 이후, 재료와 치료 장비의 발전과 함께, 코일-기반 색전술은 두개강 내 동맥류를 위한 제1 순위 치료법이 되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마이크로카데터(10), 푸셔로드(20), 전도성 와이어(30), 코일(40) 및 분리가능 조인트(31)를 포함하는 종래 전해 분리가능 코일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마이크로카데터(10)의 원위 개구(12)는 동맥류의 목에 가까이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푸셔 로드(20)는 마이크로카데터(10) 내에 삽입되고, 전도성 와이어(30)는 푸셔 로드(20)내에 차례대로 배치된다. 전도성 와이어(30)의 근위 단부는 외부의 분리 장치(도시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원위 단부는 분리가능 조인트(joint)(31)를 통하여 코일(40)과 연결된다. 푸셔 로드(20)의 원위 단부는 원위 단부가 곡선의 두개강 내 혈관을 더 부드럽고 더 쉽게 통과하도록 구성된 탄성 부재(21)를 제공받는다. 마이크로카데터(10)는 그 원위 단부에서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11)을 가지고, 탄성 부재(21)는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2)을 가진다. 의사는 푸셔로드(20)가 그 안으로 전진하는 동안, 마이크로카데터에서 현재 어디에 위치되었는지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11, 22) 사이의 관찰된 위치관계에 기초하여, 코일(40)이 동맥류의 루멘에 진입했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40)은,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11, 22)이 함께 뒤집어진 글자 T와 같은 형태를 정의하는 경우, 보통 분리된다. 즉,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2)이 마이크로카데터(10)의 원위 단부를 향해 이동하고,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11)을 완전히 통과하는 경우에만, 분리가능 조인트(31)가 원위 개구(12)에서 마이크로카데터(10) 밖으로 연장되고, 혈액, 분리가능 조인트(31)의 전해 분리를 허용하는 환경과 접촉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그렇게 해야, 분리가능 조인트(31)가 코일(40)을 분리하도록 전력 공급(energized)될 수 있다. 그러나, 발명자는 마이크로카데터(10)와 푸셔 로드(20)의 저항력으로 인해, 뒤집어진 T형 구성이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11, 12)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도, 분리가능 조인트(31)가 원위 개구(12)에서 마이크로카데터(10) 밖으로 완전히 밀려나지 않는 가능성이 여전히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경우, 의사는 코일(40)이 성공적으로 분리될 수 있기 전에, 여러 차례 시도해야 한다. 더욱이, (혈액- 및 혈전-관련 요인으로 인하여 무작위 전해 분리 환경을 형성하는) 혈액과 접촉한 이후, 전해 분리를 위한 환경이 불안정함에 따라, 이는 분리에 매우 오랜 시간이 요구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분리가능 조인트(31)가 원위 개구(12)에서 마이크로카데터(10) 밖으로 지나치게 연장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원위 개구(12)로부터 돌출된 푸셔 로드(20)의 부분과 분리가능한 조인트(31)가 동맥류를 찌르거나 심지어는 파열시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푸셔 로드(20)를 사용하여 마이크로카데터(10)의 원위 개구(12) 밖으로 분리되지 않은 코일(40)을 전진시키는 경우, 코일(40)의 근위 단부를 포함하는 전체 분리 구역은 가끔 동맥류의 루멘으로부터 마이크로카데터(10)의 제거(dislodgement)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소위 "반동" 효과(recoil effect)는 때로는 위험하다.
따라서, 종래 전해 분리가능 코일의 전해 분리에 요구되는 마이크로카데터에서 분리가능 조인트의 위험할 수 있는 연장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전해 분리 메커니즘 및 전해 분리 장치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해 분리 메커니즘 및 전해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고, 이는 종래 전해 분리 장치의 이용에서 발생하는 마이크로카데터 밖으로의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연장 및 낮은 분리 신뢰성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위의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이식물(implant)의 전해 분리를 달성하도록 전해 분리 장치와 협력하기 위한 전해 분리 메커니즘에 의해 얻어지고, 이는
이식물;
이식물에 결합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분리 부재 - 분리 부재는 전력 공급되고, 전해로 용해되며, 이로써 이식물과 분리 부재 사이의 결합을 제거함 -;
전기 전도 부재; 및
흡수 부재
를 포함하고,
전기 전도 부재는 제1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양극성 전도 요소- 양극성 전도 요소는 분지 부재의 근위 단부와 결합된 원위 단부 및 전해 분리 장치의 양극단자와 결합되는 근위 단부를 가짐-; 및 전해 분리 장치의 음극 단자와 결합되는 근위 단부를 가지는 음극성 전도 요소- 음극성 전도 요소는 제1 절연 요소에 의해양극성 전도 요소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됨-를 포함하고,
흡수 부재는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분리 부재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서 전기 전도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는 하이드로겔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는 분리 부재를 둘러쌀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는 나선형 구조 또는 분리 부재 상에 슬리브된 중공 튜브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는 분리 부재 상의 코팅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하이드로겔 재료는 셀룰로오스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 젤라틴 조절 하이드로겔; 키토산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히알루론산 및 그 변형 형태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N-메틸피롤리돈)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스터-기반 하이드로겔;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올레핀 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카복실산 모노머로부터 얻은 교차결합 팽창가능 폴리머;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일 수 있다.
위의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된 전해 분리 장치에 의해 얻어지고, 이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전해 분리 장치는 카데터; 및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근위 단부와 결합된 푸셔 로드를 더 포함하고, 전해 분리 메커니즘과 푸셔 로드 각각은 카데터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푸셔 로드는 카데터와 협력하여 타겟 위치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전달한다.
선택적으로, 푸셔 로드는 그 원위 단부에서 플렉서블 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여기서 푸셔 로드가 플렉서블 부재에 의해 전해 분리 메커니즘에 결합된다.
선택적으로, 푸셔 로드 및 플렉서블 부재 각각은 중공 구조일 수 있고, 전기 전도 부재는 푸셔 로드 및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되고, 음극성 전도 요소는 제2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되어 푸셔 로드를 플렉서블 부재로부터 절연하고, 음극성 전도 요소는 제2 절연 요소로부터 노출되고 흡수 부재에 의해 분리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원위 단부를 가진다.
선택적으로, 푸셔 로드 및 플렉서블 부재 각각은 중공 구조일 수 있고, 양극성 전도 요소는 푸셔 로드와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되며, 푸셔 로드 및 플렉서블 부재는 함께 음극성 전도 요소로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 및 플렉서블 부재는 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흡수 부재는 플렉서블 부재의 원위 단부 상에 위치된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의 근위 단부는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수 부재의 원위 단부는 플렉서블 부재의 원위 단부로부터 플렉서블 부재 밖으로 돌출된다.
선택적으로, 흡수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전체적으로 수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플렉서블 부재는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을 가지고 카데터는 그 원위 단부에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을 가질 수 있고,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 각각은 방사선비투과 재료로 제조된다.
제공된 전해 분리 메커니즘 및 전해 분리 장치는 다음의 이익을 제공한다.
첫째,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전해 분리 메커니즘 내 흡수 부재는 분리 부재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유지하여, 이로써 분리 부재의 전해 용해를 허용하는 안정적인 전해 분리 환경을 생성할 것이다. 이 설계로, 전기 전도 부재가 전력 공급된 경우, 양극성 전도 요소에 결합된 분리 부재는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할 것이고, 전해 용해되어 결과적으로 분리 부재로부터 그리고 전체 전해 분리 메커니즘으로부터 이식물을 분리할 것이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면, 흡수 부재가 분리 부재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를 유지할 수 있고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안정된 전해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전해 분리 신뢰성이 얻어질 수 있고, 종래 전해 분리 장치의 오랜 분리 시간 및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가 극복될 수 있고, 안전한 분리의 향상된 신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전해 분리 장치가 위에서 논의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하므로, 카데터 내에서 분리 부재의 전해질 분리를 허용하여, 그 원위에서 개구로부터 카데터 밖으로 분리 부재를 밀어낼 필요 없이, 즉, 분리 부재가 전해질과 접촉하여 안정적인 미세순환 전해 분리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물의 전해 분리가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카데터 내 어디에서든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원위 개구로부터 카데터 밖으로의 이식물의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연장의 문제와 "반동" 효과의 발생을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전해 분리 장치의 이식동안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셋째, 전해 분리 장치의 실제 동작에서, 전해질을 포함하는 생리식염수 등은 카데터로 한방울씩 추가되어, 전해질이 항상 흡수 부재에 이용 가능함을 보장하며, 따라서 분리 부재의 전해 분리를 허용하는 안정적인 미세순환 환경을 유지한다. 종래 전해 분리 장치로 오랜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를 극복하고, 안전한 분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푸셔 로드가 원위 단부를 향해 전진하는 경우, 이식물의 전해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형광투시법 영상에서 "뒤집어진 T형"의 형성을 확인할 필요없이, 의사의 동작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해 분리는 푸셔 로드가 바람직한 위치로 밀어진 후에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배열은 다양한 수술 조건과 복잡한 수술 환경을 다루기 위한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더 나은 이해를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임의의 방식으로 그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당업자들에 의해 인정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전해 분리가능 코일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가 그 원위 단부에서 제공되는 푸셔 로드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고, 이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스프링으로 제조한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이는 플렉서블 부재의 원위측 상에 전체적으로 배치되고, 플렉서블 부재와 오버랩핑되지 않는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이는 플렉서블 부재 밖으로 돌출된 원위 단부와 플렉서블 부재 내에서 수용된 근위 단부를 가지는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고, 이는 플렉서블 부재에 전체적으로 삽입되는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고, 이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코팅으로 제조한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고, 이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튜브로 제작한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도 9는 a-a 선을 따라 얻은 도 8의 튜브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다른 목적, 이점 및 특징은 참조 도면과 함께 판독될 몇몇 특정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질 것이다. 오직 개시된 실시예의 설명에서 편리함과 명확성을 용이하게 하려는 의도로, 규모를 나타낼 필요없이 도면은 매우 단순화된 형태로 제공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또한, 도면에서 도시된 구조는 보통 실제 구조의 일부이다. 특히, 도면이 분명한 강조를 가지는 경향이 있음에 따라, 종종 상이한 규모로 도시된다.
여기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단수 형태("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서술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언급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리고,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것과 같이, "또는" 이라는 용어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서술되지 않는 한, 일반적으로 "및/또는"을 포함하는 의미로 이용된다. "근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의사에게 더 가까운 물체의 단부를 지칭하고, "원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병변에 더 가까운 단부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핵심 개념은 전해 분리 장치와 협력하기 위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이식물의 전해 분리를 허용하는 것이며, 이는 이식물(implant), 분리 부재, 전기 전도 부재 및 흡수 부재를 포함한다. 선행기술과 비교하면, 흡수 부재는 전해질을 흡수하고, 이로써 음극성 전도 요소와 도전성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신뢰가능한 전해 분리를 보장하며, 이로써 종래의 전해 분리 장치로 오랜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를 극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해 분리 메커니즘, 카데터 및 푸셔 로드를 포함하는 전해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 실제 동작에서, 분리 부재는 카데터 내에서 전해로 분리될 수 있고, 카데터의 원위 개구에서 카데터 밖으로 분리 부재를 밀어낼 필요를 없앤다. 분리 부재가 전해질과 접촉되어, 이식물이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카데터 내 어디에서든 전해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는 미세순환 전해 분리 환경을 생성한다는 점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카데터 밖의 이식물의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연장을 예방하고 "반동" 효과의 발생을 피함으로써, 이식 동안 전해 분리 장치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신체로의 이식물의 이식 동안, 환자의 신체에 가하기에 적합한 생리식염수 또는 다른 전해 용액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카데터를 채우는 것으로, 흡수 부재가 항상 전해질을 흡수하도록 하고, 분리 부재는 항상 전해 분리를 위한 미세 순환 환경을 가지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종래 전해 분리 장치와 연관된 오랜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를 예방하고, 결과적으로 분리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형광투시 영상에서 "뒤집어진 T와 같은" 형태를 확인할 필요없이 카데터의 원위 단부를 향하여 푸셔 로드의 전진 동안, 언제든지 전해 분리가 완료될 수 있기 때문에, 의사의 동작이 더 쉬워질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제시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와 그것의 원위 단부에서 제공되는 푸셔 로드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개략적인 예시이다. 도 9는 a-a 선을 따라 취득한 도 8의 튜브의 개략적인 횡단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은 혈관 기형, 특히 두개강 내 동맥류의 색전술에 이용될 수 있고, 이식물, 분리 부재(103), 전기 전도 부재(101) 및 흡수 부재(102)를 포함한다. 이식물은 타겟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이식물은 혈관 기형의 색전술을 위해 구성된 코일(104)일 수 있다. 분리 부재(103)는 일 단부에서 코일(104)에 결합되고, 분리 부재(103)가 전해로 용해되는 경우, 코일(104)과 분리 부재(103) 간의 결합은 제거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부재(103)는 Mg(마그네슘), Zn(아연), Fe(철) 등과 같은, 생체적합성 활성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물론, 분리 부재(103)는 선택적으로 마그네슘 아연 합금, 마그네슘 철 합금, 스테인리스 강 등과 같은 생체적합성 합성 합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 전도 부재(101)는 양극성 전도 요소 및 음극성 전도 요소를 포함하고, 이들은 서로 분리되어 있으며, 양극성 전도 요소는 제1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된다. 양극성 전도 요소의 원위 단부는 분리 부재(103)의 타단부에 결합되고, 양극성 전도 요소의 근위 단부는 외부 전해 분리 장치의 양극 단자에 결합된다. 음극성 전도 요소의 근위 단부는 외부 전해 분리 장치의 음극 단자와 결합된다. 양극 및 음극 단자를 가진 외부 전해 분리 장치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에서 전기 분해를 발생하는 데 요구되는 전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외부의 전해 분리 장치는 종래의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의 상세한 설명은 불필요하다고 간주된다. 제1 절연 요소는 양극성 전도 요소를 음극성 전도 요소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흡수 부재(102)는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분리 부재(103)의 전해 용해가 가능하게 한다. 흡수 부재(102)는 음극성 전도 요소, 분리 부재(103) 또는 양극성 전도 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이는 전해질 용액을 화학적으로 흡수하거나 팽창하도록 구성되어, 전해질 용액이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성의 용이함을 위해, 흡수 부재(102)는 음극성 전도 요소, 분리 부재(103) 및 양극성 전도 요소 중 하나 또는 코일(104)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전해질을 흡수하고 요구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전체 전해 분리 장치 내에서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푸셔 로드(201) 또는 플렉서블 부재(202)에 결합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양극성 전도 요소는 음극성 전도 요소로부터 전도성 와이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과 같이, 전도성 와이어 및 그것을 커버하는 제1 절연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 부재(103)는 양극성 전도 요소와 결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는 전기 전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흡수 부재(102)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전기 전도가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식물은 스텐트, 인공 판막, 폐색기 또는 다른 중재적 치료를 위한 삽입용 기구일 수도 있으므로, 코일(10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흡수 부재(102)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하고, 분리 부재(103)가 전해로 용해될 수 있는 전해 분리 환경을 생성한다. 전기 전도는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 또는 연결에 의해 제공되지 않고, 흡수 부재(102)에 의해 흡수되는 전해질에 의해 제공된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즉,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는 전해질에 의해 만들어진다. 전해질은 예컨대, 혈액 내에서, 생리 식염수 또는 다른 생체 적합성 전해 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흡수 부재(102)는 이러한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전기 전도가 되어 분리 부재(103) 및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도전성을 형성할 것이다. 분리 부재(103)가 양극성 전도 요소와 결합되므로, 전기 전도 부재(101)가 전력 공급되는 경우, 분리 부재(103)는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분리 부재(103)는 애노드(anode)로서 전해로 용해되어 코일(104)과 분리 부재(103) 간의 결합을 제거할 것이다. 분리된 코일(104)은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떠나고, 동맥류의 루멘에서 혈전 형성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면, 전해질을 흡수한 경우, 흡수 부재(102)가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를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보다 신뢰가능한 전해 분리가 달성될 수 있고, 불안정한 전해 환경으로 인한 종래 전해 분리 코일에 대한 긴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 또한, 안전한 분리의 향상된 신뢰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종래 전해 분리 코일이 가진 낮은 분리 신뢰성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흡수 부재(102)는 전해질을 흡수하거나 팽창하여, 전해 용액이 분리 부재를 음극성/양극성 전도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재료 또는 화학적 흡수 속성을 가진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드로겔 재료는 수분을 흡수하는 경우, 팽창하고 매우 좋은 수분 보유 속성을 가진 폴리머를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 재료는 천연 폴리머 및 합성 유기 폴리머에 기초한 하이드로겔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재료는 특히, 셀룰로오스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 젤라틴 조절 하이드로겔; 키토산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히알루롬산 및 그 변형 형태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N-메틸피롤리돈)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스터-기반 하이드로겔;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 올레핀 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카복실산 모노머로부터 얻은 교차결합 팽창가능 폴리머;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흡수 부재(102)는 하이드로겔 재료로 많은 가능한 형태 중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프링(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처럼 나선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고, 이는 분리 부재(103) 상에 권취되고,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음극성 전도 요소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 섬유 또는 필라멘트는 분리 부재(103) 상에서 마이크로-스프링으로 감길 수 있다. 즉, 스프링은 분리 부재(103) 상에서 전체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분리 부재(103) 상의 마이크로-스프링은 성긴 회전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이는 한편은 분리 부재(103)를 전해질에 노출시키고 다른 한편은 마이크로-스프링의 팽창을 수용하기 위한 여유분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이드로겔 섬유 또는 필라멘트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팽창하고, 분리 부재(103) 및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부재(102)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분리 부재(103) 상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102')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 재료는 분리 부재(103)의 표면(바람직하게는, 외부 표면)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코팅은 분리 부재(103)의 표면의 일부 또는 전체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재료로 제조된 코팅(102')은 또한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팽창하고,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접촉할 수 있어, 이로써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만들어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부재(102)는 하이드로겔 재료를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102'')로 제작할 수 있다. 튜브(102')는 분리 부재(103)를 둘러싸고 슬리브되어 있다. 튜브(102'')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보통 원,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사각형,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톱니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삼각형의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면의 형태는 다각형 또는 불규칙적일 수도 있다. 튜브(102'')는 전해질을 흡수한 경우, 팽창할 수 있고,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접촉할 수 있어,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전해 분리 장치는 카데터(301) 및 푸셔 로드(201)를 더 포함한다. 전해 분리 메커니즘 및 푸셔 로드(201) 둘 다는 카데터(301)에서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푸셔 로드(201)는 카데터(301)와 협력하여 동맥류의 루멘과 같은, 환자의 신체 내의 타겟 위치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함에 따라, 분리 부재(103)는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에서 개구로부터 카데터 밖으로 분리 부재(103)를 밀어낼 필요없이 카데터(301) 내에서 전해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 부재(103)가 전해질과 접촉하여 코일(104)이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카데터(301)의 어디에서든지 분리되도록 허용하는 미세 순환 전해 분리 환경을 생성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는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에서 개구 밖으로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코일(104)의 연장을 예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일(104)은 원위 단부(303) 주위의 카데터(301)의 부분 내에서 전해로 분리될 수 있고, 이로써 코일(104)이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에서 개구 밖으로 연장되는 경우, 코일과 같은, 분리 부재로 동맥류의 루멘의 벽에 의해 가해지는 저항력의 작용이 발생함에 따라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에서 개구를 동맥류의 루멘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에 의해 발생하는 "반동" 효과 문제를 피한다. 결과적으로, 전해 분리 장치의 이식 동안, 향상된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해 분리 장치가 두개강 내 동맥류를 치료하는 데에 이용되는 경우, 이러한 색전 코일(104)을 복수 개 이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코일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전해로 분리되면, 이후 전해로 분리될 다음 코일은 원위 단부(303)에 있는 개구로부터 카데터 밖으로 이미 분리된 코일을 동맥류의 루멘으로 밀 수 있다. 코일(104) 그 자체가 탄성이기 때문에, 분리된 그들 중 첫번째가 동맥류의 루멘으로 성공적으로 진입하지 않으면서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 주변에 위치되는 경우, 두번째 코일은 푸셔 로드(201)의 작용에 따라 동맥류의 루멘 말단으로 그것을 밀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동" 효과의 증진된 예방이 달성될 수 있고, 전해 분리 장치의 이식 동안,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푸셔 로드(201)는 플렉서블 재료로 제조되거나 플렉서블 구조를 가지는 플렉서블 부재(202)의 원위 단부에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스프링으로서 구조화될 수 있다. 또한, 플렉서블 부재(202)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과 결합되어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밀 수 있다. 플렉서블 부재(202)는 더 높은 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푸셔 로드(201)의 원위 단부에 제공되며, 이는 부분이 굽은 두개강 내 혈관을 통과하기 더 쉽도록 만든다.
전해 분리 장치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푸셔 로드(201) 및 플렉서블 부재(202)는 모두 중공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푸셔 로드(201)는 스테인리스 강 중공 튜브로서 구현될 수 있고, 플렉서블 부재(202)는 스테인리스 강 스프링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전기 전도 부재(101)는 두 개의 전도성 와이어로 구성된다. 즉, 양극성 및 음극성 전도 요소는 모두 전도성 와이어이다. 이러한 전도성 와이어는 모두 푸셔 로드(201)에 삽입될 수 있고, 절연층으로 각각 코팅될 수 있다. 즉, 전해 분리 메커니즘에서 양극성 전도 요소를 코팅하는 제1 절연 요소에 더하여, 음극성 전도 요소는 양극성 및 음극성 전도 요소를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제2 절연 요소로 코팅될 수 있다. 음극성 전도 요소는 분리 부재(103)에 가까운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이는 제2 절연 요소로부터 노출되고, 전해질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102)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흡수 부재(102)는 음극성 전도 요소와 분리 부재(103)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전도 부재(101)는 제3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된다. 즉, 양극성 전도 요소를 커버하는 제1 절연 요소와 음극성 전도 요소를 커버하는 제2 절연 요소에 더하여, 이들 모두 푸셔 로드(201)로부터 전기 전도 부재(101)의 전기 절연을 더 보장하는 제3 절연층에 의해 추가적으로 커버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양극성 전도 요소만이 푸셔 로드(201)와 플렉서블 부재(202)에 삽입될 수 있고, 푸셔 로드(201)와 플렉서블 부재(202)는 함께 음극성 전도 요소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플렉서블 부재(202)는 분리 부재(103)와 가까운 원위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전해질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102)와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흡수 부재(102)는 푸셔 로드(201) 및 플렉서블 부재(202)로 구성된 음극성 전도 요소와 분리 부재(103)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수도 있다. 양극성 전도 요소를 커버하는 제1 절연 요소는 플렉서블 부재(202)로부터 푸셔 로드(201)의 전기 절연을 보장할 수 있다. 외부 전해 분리 장치가 전기 전도 부재(101)에 전류를 공급하는 경우, 전류는 양극성 전도 요소를 통하여 전해 분리 장치의 양극 단자에서 분리 부재(103)로 흐르고, 이후 전해질을 흡수하는 흡수 부재(102)를 통하여 플렉서블 부재(202)로 흐르고, 이후 플렉서블 부재(202)를 통하여 푸셔 로드(201)로 흐르고, 최종적으로 푸셔 로드(201)를 통하여 전해 분리 장치의 음극 단자로 흘러, 전류 회로가 형성될 것이다. 전류의 작용 하에서, 분리 부재(103)는 전기 화학적으로 부식되고 부러져, 결과적으로 코일(104)이 분리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흡수 부재(102)와 플렉서블 부재(202)는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흡수 부재(102)는 플렉서블(202)의 원위 단부와 더 가까이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 방향을 따른 흡수 부재(102)와 플렉서블 부재(202) 사이에 중첩이 없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 부재(102)는 플렉서블 부재(202)의 원위측에 배치될 수 있고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 방향을 따라 그 안에서 어떠한 중첩없이 플렉서블 부재(202)로부터 오프셋될 수 있다. 이는 두 전도성 와이어로 구성된 전기 전도 부재(101)의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서, 제2 절연 요소로부터 노출된 음극성 전도 요소의 부분과 분리 부재(103)는 모두 흡수 부재(10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 부재(102)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팽창할 것이고 제2 절연 요소로부터 노출된 음극성 전도 요소의 부분 및 분리 부재(103) 둘 다와 접촉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흡수 부재(102)는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부재(102)는 플렉서블 부재(202)에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흡수 부재(102)의 근위 단부는 플렉서블 부재(202)에 수용될 수 있으며, 흡수 부재(102)의 원위 단부는 플렉서블 부재(202)의 원위 단부로부터 플렉서블 부재(202)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흡수 부재(102)는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부재(202)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서, 흡수 부재(102)는 플렉서블 부재(202)에 전체적으로 삽입되어 흡수 부재(102)가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부재(202)와 완전히 중첩될 수 있다. "완전히 중첩되었다"는 용어는 플렉서블 부재(202)가 흡수 부재(102)의 길이보다 더 길거나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축방향에서 흡수 부재(102)의 총 길이를 커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부재(202)의 축 방향을 따라 플렉서블 부재(202)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흡수 부재(102)의 배열은 푸셔 로드(201) 및 플렉서블 부재(202)로 구성된 음극성 전도 요소의 경우에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 흡수 부재(102)는 분리 부재(103)만을 수용하고, 플렉서블 부재(202)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따라서, 흡수 부재(102)가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팽창할 것이고 음극성 전도 요소의 컴포넌트로서 구성되는 플렉서블 부재(202)와 분리 부재(103) 둘 다에 접촉하여 그들 사이에 전기 전도를 형성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흡수 부재(102)는 하이드로겔 섬유로 제조된 마이크로-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고, 플렉서블 부재(202)는 스테인리스 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마이크로-스프링은 스테인리스 강 스프링 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배열될 수 있고, 분리 부재(103)는 차례로 마이크로-스프링 내에서 둘러쌀 수 있다.
특히,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푸셔 로드(201)는 예컨대, 스테인리스 강으로 제조되고, 음극성 전도 요소로 구성된 고체 로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기 전도 부재(101)의 양극성 전도 요소는 제1 절연 요소로 커버되는 전도성 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체 푸셔 로드 내에 삽입되기 보다, 전기 전도 부재(101)는 고체 푸셔 로드에 관하여 방사상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전기 전도 부재(101)는 예컨대, 본딩, 글루잉 등에 의해 고체 푸셔 로드에 대한 다수의 지점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고체 푸셔 로드는 또한, 그 원위 단부에서 플렉서블 부재가 제공되어, 원위 단부가 구불구불한 혈관을 지나기 더 부드럽고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분리 부재(103)는 플렉서블 부재(202)에 관하여 방사상으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고, 흡수 부재(102)는 선택적으로 고체 하이드로겔 재료 또는 화학적 흡수 성분을 가진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흡수 부재(102)의 반대편 단부는 분리 부재(103) 및 플렉서블 부재(202) 각각에 접촉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흡수 부재(102)는 또한, 분리 부재(103)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분리 부재(103)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부재(202)에 삽입될 수도 있다.
도 2와 함께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하게는, 플렉서블 부재(202)는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203)을 가질 수 있고, 카데터(301)는 그 원위 단부(303)에서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302)을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03, 302) 모두 방사선 비투과성 재료로 제조되어, X-Ray 하에 그 위치를 보여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203)은 플렉서블 재료(202)의 나머지 재료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고, 플래티넘 또는 다른 금속과 같은, 높은 방사선 비투과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X-Ray 형광 투시법 모니터링 하에, 카데터(301)의 원위 단부(303)에 관한 플렉서블 부재(202)의 위치와 거리는 모니터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는 의사가 코일(104)의 전해 분리를 위한 적절한 시기를 결정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에서 정의된 전해 분리 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방법 또한 제공되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스텝 i: 환자의 신체(예컨대, 혈관 기형의 부근) 내 타겟 위치로 카데터를 밀고, 흡수 부재(102)에 의해 흡수될 수 있는 생리 식염수를 카데터(301)의 근위 단부로 지속적으로 한 방울씩 추가함;
스텝 ii: 미리 정해진 분리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카데터(301)의 원위 단부를 향해 푸셔 로드(201)를 밈;
스텝 iii: 분리 부재(103)가 전해로 용해되도록 전기 전도 부재(101)를 전력 공급함; 및
스텝 iv: 분리 부재(103)의 전해 용해의 결과로서, 분리 부재(103)로부터 코일(104)의 분리, 혈관 기형의 루멘으로 코일(104)의 진입, 그리고 그곳에서 색전술을 행함.
구체적으로, 스텝 i에서 의사는 생리 식염수를 카데터(301)에 지속적으로 추가하는 한편, 푸셔 로드(201)를 조작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분리 부재(103) 상에 위치된 흡수 부재(102)는 생리 식염수를 흡수하고 팽창하여, 분리 부재(103)가 계속해서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접촉하고, 분리 부재(103)의 전해 분리를 허용하는 전도성 환경을 생성한다. 마이크로카데터의 밖으로 밀어낸 후에만 전해 분리를 하도록 혈액 등에서 전해질과 분리가능한 조인트의 충분한 접촉을 보장할 수 있는 선행기술 접근법과 비교하여,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흡수 부재(102)는 밀고 전진하는 동안, 전해질에 노출될 수 있고 전해질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는 선행기술과 비교하여 전해 분리를 위한 더 나은 전도 환경을 보장할 수 있어, 그 결과 전해 분리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복수의 전해 분리 시도의 필요를 피할 수 있다.
스텝 ii에서, 미리 정해진 분리 위치는 환자의 상태에 따를 수 있고, 일반적으로 자신의 경험에 기초한 의사에 의해 결정된다.
스텝 iii에서, 전기 전도 부재(101)는 전류로 전력 공급되어 전류가 외부 전해 분리 장치의 양극 단자에서 음극성 전도 요소로 흐르고, 더 나아가 양극성 전도 요소, 분리 부재(103), 생리 식염수를 지나 전해 분리 장치의 음극 단자로 흐르고, 이로써 전류 회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류의 작용 하에, 분리 부재(103)는 전해로 용해되어, 코일(104)을 분리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스텝 ii에서, 푸셔 로드(201)가 원위 단부를 향해 밀리므로,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03, 302) 사이의 거리가 X-ray 영상에 의해 모니터링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03, 3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크지 않게 될 때, 푸셔 로드(201)의 밀림은 정지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거리는 수술절차의 요건 및 전해 분리 장치의 구조에 의존할 수 있다. 의사는 X-ray영상을 통하여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302)에 관한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203)의 거리와 위치를 모니터링함으로써, 푸셔 로드(201)의 현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고, 미리 정해진 분리 위치와 비교할 수 있다. 분리 부재(103)와 전해질의 충분한 접촉이 카데터(301) 밖으로 분리 부재를 밀어낼 필요없이 코일(104)의 전해 분리가 가능하도록 보장될 수 있으므로, 코일(104)이, 카데터의 밖으로의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연장과 "반동" 효과의 위험없이 전해로 분리될 수 있음이 효과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밀림 동작의 향상된 안정성이 이루어질 수 있고, 선행 기술과 연관된 코일의 분리에 대한 형광투시법 영상에서 확인된 "뒤집어진 T형" 구성이 요구되는 문제가 극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텝ii에서, 전기 전도 부재(101)는 푸셔 로드(201)가 원위 단부를 향해 밀리는 경우 또는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203, 302) 사이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보다 더 크지 않고, 푸셔 로드(201)가 정지되는 경우 중 하나의 경우에, 전력 공급될 수 있다. 흡수 부재(102)는 카데터(301)로 한방울씩 추가되는 생리 식염수 또는 혈액과 접촉하는 경우, 팽창하고 (혈액 또는 생리식염수에서 흡수된) 전해질을 유지할 것이다. 따라서, 분리 부재(103)의 전기 분해를 가능하게 하는 미세순환 환경이 항상 있어, 종래 전해 분리 코일과 연관된 오랜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되는 문제를 극복하고, 안전한 분리의 향상된 신뢰성을 이룬다고 보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푸셔 로드(201)의 밀림은 전해 분리 메커니즘이 카데터의 원위 단부(303)에 가까워지는 경우, 정지될 수 있고, 이후 전해 분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해 분리 이후 코일(104)은 원위 단부(303)에서 카데터의 개구 주위에 있을 수 있다. 이는 미리 정해진 색전술 위치에서 코일(104)의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복수의 코일(104)이 이식되도록 요구되는 경우, 전해 분리는 카데터(301) 내에서 일어날 수 있고, 이전에 분리된 코일(104)은 수술 절차에 의한 요구에 따라 순차적으로 분리될 다음 코일(104)에 의해 밀려날 수 있다. 형광투시법 영상에서 "뒤집어진 T형"의 형성을 확인할 필요없이, 전해 분리가 카데터(301)내에서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 방법은 푸셔 로드(201)가 원위 단부를 향해 밀리는 동안, 의사가 전해 분리를 시작하게 함으로써, 의사의 동작을 더 쉽게 할 수도 있다. 물론, 푸셔로드(201)가 바람직한 위치로 전진된 이후, 전해 분리가 일어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배열이 다양한 수술 조건과 복잡한 수술 환경을 처리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에서,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흡수 부재는 분리 부재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 전기 전도를 유지하여 분리 부재의 전해 용해를 허용하는 안정된 전해 분리 환경을 생성할 것이다. 이러한 설계로, 전기 전도 부재가 전력 공급된 경우, 양극성 전도 요소에 결합된 분리 부재는 음극성 전도 요소와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고, 전해로 용해되어 결과적으로 분리 부재로부터 그리고 전체 전해 분리 메커니즘으로부터 이식물을 분리하고 타겟 위치에 배치될 것이다. 선행 기술과 비교하면,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흡수 부재가 분리 부재와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의 전기 전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향상된 전해 분리 신뢰성이 얻어질 수 있고, 기존의 전해 분리 장치의 오랜 분리 시간 및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가 극복될 수 있고, 안전한 분리의 향상된 신뢰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가 위에서 논의된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통합하므로, 분리 부재의 전해 분리가 카데터 내에서 허용되고, 카데터의 원위에서 개구 밖으로 분리 부재를 밀어낼 필요가 없어, 즉, 분리 부재가 전해질과 접촉하여, 안정된 미세순환 전해 분리 환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이러한 방식으로 이식물의 전해 분리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카데터 내 어디에서든 일어날 수 있으며, 따라서, 그 원위 개구로부터 카데터 밖으로 이식물의 위험할 수 있는, 지나치게 긴 길이의 연장의 문제와 "반동" 효과의 발생을 예방하고, 전해 분리 장치의 이식동안 안정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해 분리 장치의 실제 동작에서, 생리식염수는 카데터로 주입되어 흡수 부재가 이용할 수 있는 전해질이 항상 있는 것을 보장하고, 이는 분리 부재의 전해 분리를 허용하는 안정된 미세순환 환경을 유지한다. 기존의 전해 분리 장치로 오랜 분리 시간과 복수의 분리 시도가 요구된다는 문제를 극복하고, 안전한 분리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푸셔 로드(201)가 원위 단부를 향해 전진하는 경우, 이식물의 전해 분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형광투시법 영상에서 "뒤집어진 T형"의 형성을 확인할 필요없이, 의사의 동작을 더 쉽게 만들 수 있다. 복수의 배열이 다양한 수술 조건과 복잡한 수술 환경을 처리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조합될 수 있다.
위에서 나타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일부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어떠한 의미에서도 그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위의 교시에 기초하는 당업자에 의한, 임의의 및 모든 변화와 수정은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범위 내에 포함된다.
10: 마이크로카데터
11: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
12: 원위 개구
20: 푸셔 로드
21: 탄성 부재
22: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
30: 전도성 와이어
31: 분리가능 조인트
40: 코일
101: 전기 전도 부재
102: 흡수 부재
102': 코팅
102'': 튜브
103: 분리 부재
104: 코일
201: 푸셔 로드
202: 플렉서블 부재
203: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
301: 카데터
302: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
303: 카데터의 원위 단부

Claims (14)

  1. 이식물(implant)의 전해 분리를 달성하도록 전해 분리 장치와 협력하기 위한 전해 분리 메커니즘으로서,
    상기 이식물;
    상기 이식물에 결합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분리 부재 - 상기 분리 부재는 전력 공급되고 전해로 용해되며, 이로써 상기 이식물과 상기 분리 부재 사이의 상기 결합을 제거함 -;
    전기 전도 부재; 및
    흡수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전도 부재는,
    제1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되는 양극성 전도 요소 - 상기 양극성 전도 요소는 상기 분리 부재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원위 단부 및 상기 전해 분리 장치의 양극단자에 결합되는 근위 단부를 가짐 -; 및
    상기 전해 분리 장치의 음극 단자에 결합되는 근위 단부를 가지는 음극성 전도 요소 - 상기 음극성 전도 요소는 상기 제1 절연 요소에 의해 상기 양극성 전도 요소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됨 - 를 포함하고,
    상기 흡수 부재는, 전해질을 흡수하는 경우, 상기 분리 부재와 상기 음극성 전도 요소 사이에서 전기 전도를 제공하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하이드로겔 (hydrogel) 재료로 제조되는, 전해 분리 매커니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분리 부재를 둘러싸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나선형 구조 또는 상기 분리 부재 상에 슬리브된 중공 튜브인, 전해 분리 메커니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분리 부재 상에 코팅되는, 전해 분리 메커니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재료는 셀룰로오스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 젤라틴 조절 하이드로겔; 키토산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히알루론산 및 그 변형 형태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비닐 알코올)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N-메틸피롤리돈)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폴리에스터-기반 하이드로겔;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교차결합 하이드로겔; 올레핀 결합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중합 가능한 불포화 카복실산 모노머로부터 얻은 교차결합 팽창가능 폴리머;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파생물에 기초한 하이드로겔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인, 전해 분리 메커니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전해 분리 장치로서,
    카데터; 및
    상기 전해 분리 메커니즘의 근위 단부에 결합된 푸셔 로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해 분리 메커니즘과 상기 푸셔 로드 각각은 상기 카데터에 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푸셔 로드는 상기 카데터와 협력하여 타겟 위치로 상기 전해 분리 메커니즘을 전달하는, 전해 분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로드는 그 원위 단부에서 플렉서블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푸셔 로드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의해 상기 전해 분리 메커니즘과 결합되는, 전해 분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로드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 각각은 중공 구조이고, 상기 전기 전도 부재는 상기 푸셔 로드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되고, 상기 음극성 전도 요소는 상기 푸셔 로드를 상기 플렉서블 부재로부터 절연하도록 제2 절연 요소에 의해 커버되고, 상기 음극성 전도 요소는 상기 제2 절연 요소로부터 노출된 원위 단부를 가지며, 상기 흡수 부재에 의해 상기 분리 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한, 전해 분리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로드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 각각은 중공 구조이고, 상기 양극성 전도 요소는 상기 푸셔 로드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되며, 상기 푸셔 로드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음극성 전도 요소인, 전해 분리 장치.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 및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축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의 원위 단부 상에 위치되는, 전해 분리 장치.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수용된 근위 단부를 가지고, 상기 흡수 부재는 플렉서블 부재의 원위 단부 밖으로 돌출된 원위 단부를 가지는, 전해 분리 장치.
  13.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부재는 상기 플렉서블 부재에 전체적으로 수납되는, 전해 분리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부재는 제1 방사선비투과 섹션을 가지고, 상기 카데터의 원위 단부는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방사선비투과 섹션 각각은 방사선비투과 재료로 제조되는 것인, 전해 분리 장치.
KR1020217013011A 2018-09-30 2019-09-20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KR102597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170257.6A CN110960280A (zh) 2018-09-30 2018-09-30 电解脱机构以及电解脱装置
CN201811170257.6 2018-09-30
PCT/CN2019/106824 WO2020063455A1 (zh) 2018-09-30 2019-09-20 电解脱机构以及电解脱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8520A true KR20210068520A (ko) 2021-06-09
KR102597482B1 KR102597482B1 (ko) 2023-11-03

Family

ID=6995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3011A KR102597482B1 (ko) 2018-09-30 2019-09-20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338243A1 (ko)
EP (1) EP3858262B1 (ko)
JP (1) JP2022511996A (ko)
KR (1) KR102597482B1 (ko)
CN (1) CN110960280A (ko)
WO (1) WO20200634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49718B (zh) * 2020-06-05 2024-01-26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解脱装置、解脱系统及解脱方法、治疗装置
CN112274207B (zh) * 2020-12-29 2021-04-09 北京泰杰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电解脱输送装置
CN114246711A (zh) * 2021-12-02 2022-03-29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推送杆、解脱装置及医用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9662A (ja) * 2000-06-08 2004-04-02 マイクル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脈管内流量変更・脈管補強具
JP2014087643A (ja) * 2007-05-18 2014-05-15 Stryker Corp 医療インプラントの分離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21023A1 (en) * 2003-07-23 2005-01-27 Scimed Lif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ly determining position and detachment of an implantable device
US7645292B2 (en) * 2003-10-27 2010-01-12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Vaso-occlusive devices with in-situ stiffening elements
EP2405830A2 (en) * 2009-03-13 2012-01-1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Electrical contact for occlusive device delivery system
JP6061432B2 (ja) * 2011-06-03 2017-01-18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塞栓インプラント及び動脈閉塞のためのシステム
US10499980B2 (en) * 2013-03-14 2019-12-10 Spiration, Inc. Flexible RF ablation needle
CN110013284B (zh) * 2013-09-03 2022-04-15 马建录 可植入装置的拆离机构
EP4000685A1 (en) * 2013-11-14 2022-05-25 RM2 Technology LLC Systems, and apparatuses for tissue ablation using electrolysis and permeabilization
EP3082660B1 (en) * 2013-12-20 2020-01-22 Microvention, Inc. Device delivery system
US9999413B2 (en) * 2015-01-20 2018-06-19 Neurogami Medical, Inc. Micrograft for the treatment of intracranial aneurysms and method for use
CN206355094U (zh) * 2016-10-20 2017-07-28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植入物输送系统
CN209136755U (zh) * 2018-09-30 2019-07-23 微创神通医疗科技(上海)有限公司 电解脱机构以及电解脱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09662A (ja) * 2000-06-08 2004-04-02 マイクル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脈管内流量変更・脈管補強具
JP2014087643A (ja) * 2007-05-18 2014-05-15 Stryker Corp 医療インプラントの分離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63455A1 (zh) 2020-04-02
US20210338243A1 (en) 2021-11-04
EP3858262A4 (en) 2021-11-24
JP2022511996A (ja) 2022-02-01
KR102597482B1 (ko) 2023-11-03
EP3858262B1 (en) 2022-11-16
EP3858262A1 (en) 2021-08-04
CN110960280A (zh) 2020-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4145B2 (ja)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JP5794586B2 (ja) 医療インプラントの分離システム
US10478192B2 (en) Detachment mechanisms for implantable devices
JP4129351B2 (ja) 複数の脱着点を有する血管閉塞部材アセンブリ
KR102597482B1 (ko) 전기적 분리 메커니즘 및 전기적 분리 장치
JP4057776B2 (ja) 取り外し可能な動脈瘤ネックブリッジ(ii)
JPH07265431A (ja) 生体内留置部材を有する医療用ワイヤー
CA2897596C (en) Electrolytic and mechanical detachment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CA2897593C (en) Electrolytic detachment elements for implant delivery systems
EP2997911B1 (en) A vasculature occlusion device detachment system with tapered corewire and heater activated detachment
CN209136755U (zh) 电解脱机构以及电解脱装置
CN117322939A (zh) 栓塞弹簧圈系统
US8021371B2 (en) Medical w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