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974A - 공기 청정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청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974A
KR20210066974A KR1020190155311A KR20190155311A KR20210066974A KR 20210066974 A KR20210066974 A KR 20210066974A KR 1020190155311 A KR1020190155311 A KR 1020190155311A KR 20190155311 A KR20190155311 A KR 20190155311A KR 20210066974 A KR20210066974 A KR 20210066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tage
unit
dust
fin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규호
이재호
이상길
차우병
박진호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플라즈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플라즈마텍 filed Critical (주)플라즈마텍
Priority to KR102019015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6974A/ko
Publication of KR20210066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24F8/19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by filtering using high volt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1Pretreatment of the gases prior to electrostatic precipitation
    • B03C3/014Addition of water; Heat exchange, e.g.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82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Abstract

공기 청정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미세 액적을 공급하여 조대화시키는 액적 공급부;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되,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복수의 구리 페어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리 페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격막을 포함하는 1단 하전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되, 9~11m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는 2단 집진부; 상기 2단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미세먼지가 집진되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1단 하전부에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 모듈과, 상기 2단 집진부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청정 장치{AIR PURIF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청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세먼지는 여러 가지 성분을 가진 대기 중 부유물질로서, 자동차나 선박의 배기가스, 공장이나 화력 발전소의 매연 등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의해 실내가 오염됨과 동시에 사람이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기관지염, 폐암 발생 등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미세먼지의 발생을 줄이고,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대중들이 밀집하는 지하철 역사 같은 곳은 출퇴근 시간대 미세먼지 농도가 최대 200㎍/m3까지 배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 성능의 개선에 따라 오존의 발생이 문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인식에 따라 본 발명의 발명자는 공기 청정 장치를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하고, 특허 등록(10-1992743호)을 받은 바 있다.
그러나, 한쪽 전극에서 이상방전이 발생하여 오존량이 증가하고 집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보여 개선된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3-0010657호 (2013.01.29.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1992743호 (2019.06.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미세먼지의 효율적인 집진과 함께 오존 배출량을 저감할 수 있는 개선된 공기 청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미세 액적을 공급하여 조대화시키는 액적 공급부;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되,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복수의 구리 페어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리 페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격막을 포함하는 1단 하전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되, 9~11m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는 2단 집진부; 상기 2단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미세먼지가 집진되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1단 하전부에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 모듈과, 상기 2단 집진부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미세먼지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적 공급부는, 주파수 2.3~2.5 MHz의 진동자를 사용하여 액적의 평균 크기 2.4~2.6㎛의 액적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단 하전부는, 직경 0.2mm인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상기 구리 페어가 상기 격막 사이에 4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2단 집진부는, 상기 각 평판의 두께가 0.6mm이며, 상기 복수의 평판을 이용하여 판대판 방전에 의해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기에 미세액적을 공급하여 미세먼지를 하전시키고, 판대판 방전에 의해 집진하며, 2개의 전극에 각각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집진 성능 및 오존 배출량의 저감 성능을 크게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양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기류 분산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분산부의 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1단 하전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2단 집진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에 공기 유입 시 시간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로부터 공기 배출 시 시간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공기 청정 장치로부터 공기 배출 시 습식 상태 하에서 시간에 따른 오존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이루어지다(made of)"는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양 측면에서 각각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기류 분산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류 분산부의 격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1단 하전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의 2단 집진부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그리고,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0)는 공기 유입부(110), 액적 공급부(120), 기류 분산부(130), 1단 하전부(140), 2단 집진부(150), 세정부(160), 공기 배출부(170),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공기 청정 장치(100)는, 공기(Air)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110),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미세 액적(droplet)을 공급하여 조대화시키는 액적 공급부(120),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부(130),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며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복수의 구리 페어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리 페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격막을 포함하는 1단 하전부(140),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며 9~11m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는 2단 집진부(150), 상기 2단 집진부(150)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부(160), 상기 미세먼지가 집진되어 제거된 청정 공기(Clean Air)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170), 상기 1단 하전부에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 모듈(181)과, 상기 2단 집진부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 모듈(182)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180)를 포함한다.
이러한 공기 청정 장치(100)를 통해 1단 하전 및 2단 집진 방식으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습식 방식으로 오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1단 하전부(140) 및 2단 집진부(150)에 각각 전원을 공급하여 한쪽 전극에서 이상방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오존량이 증가하고 집진 성능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때, 공기 유입부(110), 액적 공급부(120), 기류 분산부(130), 1단 하전부(140), 2단 집진부(150), 세정부(160), 공기 배출부(170), 전원 공급부(180)는 각각 모듈화되어 배치됨으로써, 설치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처정 장치(100)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100A, 100B, 100C) 내에 각 구성요소들을 적절히 배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공기 유입부(110), 액적 공급부(120), 기류 분산부(130), 1단 하전부(140), 2단 집진부(150), 세정부(160), 공기 배출부(170), 전원 공급부(180) 등을 모듈화하고, 각 구성요소들을 배치할 수 있다.
일례로, 공기 유입부(110), 액적 공급부(120)를 제1 하우징(100A) 내에 배치하며, 제2 하우징(100B)에 기류 분산부(130), 1단 하전부(140), 2단 집진부(150), 세정부(160)를 각각 배치하고, 제3 하우징(100C)에 공기 배출부(170), 전원 공급부(180)를 배치할 수 있다.
즉, 공기 유입을 위한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하부의 제1 하우징(100A)에 배치하고, 집진 및 세정을 위한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중간의 제2 하우징(100B)에 배치하며, 공기 배출을 위한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은 제3 하우징(100C)에 배치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하우징(100A)의 하단에는 공기 청정 장치(100)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바퀴(105) 등을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1단 하전부(140) 및 2단 집진부(150)에 각각 전원을 별도로 공급하기 위해, 2개의 전원 공급 모듈(181, 182)을 가진 전원 공급부(180)를 제3 하우징(100C)에 배치하여 액적 공급부(120), 세정부(160) 등에 의한 수분 영향을 차단하고, 상단에 위치시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공기 유입부(110)는 공기가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 유입부(110)의 내부에서 분산 및 확산된다. 공기 유입부(110)에서 분산 및 확산되는 공기는 액적 공급부(120)로 이동한다.
또한, 공기 유입부(110)는 미세먼지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구(112)가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12)를 통해 미세먼지, 수분 등을 용이하게 배출하기 위해 공기 유입부(110)의 하면은 상기 배출구(112)를 향해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액적 공급부(120)는 공기 유입부(110)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초미세먼지 등 입자를 조대화시키기 위해, 미세 액적(fine droplet)을 공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액적 공급부(120)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미세 액적을 분사하거나 또는 미세 노즐을 이용하여 미세 액적을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액적 공급부(120)는 주파수 2.3~2.5 MHz의 진동자를 사용하여 액적의 평균 크기 2.4~2.6㎛의 액적을 공급할 수 있다. 평균 크기 2.4~2.6㎛의 미세 액적을 공급함으로써, PM 10 이하 입자의 조대화할 수 있다.
기류 분산부(130)는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여기에서, 기류 분산부(130)가 하전 시에 (-)극을 형성함으로써, 미세먼지의 입자들을 효율적으로 하전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분산부(130)는 공기가 통과하며 하전 시에 (-)극을 형성하는 금속 메쉬망(132)과, 상기 금속 메쉬망(132)이 설치되는 격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격판에 설치된 금속 메쉬망(132)을 통해 공기가 통과함으로써,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균일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금속 메쉬망(132) 및 격판(134)에 의해 기류의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유입부(110)에서 유입된 공기가 금속 메쉬망(132)를 통하여 일정하게 유속 0.8~1m/s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기류 분산부(130)는 1단 하전부(140)의 상부에도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류 분산부(130)가 1단 하전부(14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류 분산부(130)가 1단 하전부(14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기류 분산부(130)가 1단 하전부(140)의 상하부에 모두 위치할 수도 있다.
금속 메쉬망(132)은 1단 하전부(140)에 (+) 전압이 인가된 경우에 (-)극의 역할을 하며, 상기 금속 메쉬망(132)은 격판(134)에 설치된다. 상기 금속 메쉬망(132)은 격판(134)에 다단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메쉬망(132)은 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구리와 같은 금속뿐만 아니라, 구리 도금 같은 합성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격판(134)은 격자 공간을 형성하며, 내부식성이 강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격판(134)이 전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전 시 금속 메쉬망(132)과 함께 격판(134)이 (-)극을 형성하여 원활한 하전에 유리하다. 상기 격판(134)은 금속 메쉬망(132)의 설치 편의성 등을 위해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세정부(160)에서 분사되는 액체에 의해 격판(134) 등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이 있다.
1단 하전부(140)는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킨다. 구체적으로, (+) 전압의 출력에 의해 1단 하전부(140)에 양방전이 적용되며, 이에 따라 1단 하전부(140)는 하전 시에 (+)극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1단 하전부(140)는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복수의 구리 페어(142)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142)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리 페어(14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격막(144)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단 하전부(140)는 2개의 구리 와이어를 꼬아 형성되며 하전 시에 (+)극을 형성하는 복수의 구리 페어(142)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142)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격막(144)을 포함한다. 구리 페어(142)가 꼬인 와이어(Twist wire)를 적용하여 이루어져 (+) 출력의 양방전에 의해 하전이 이루어지고, 1단 하전부(140)의 상부에서 2단 집진부(150)에 의해 판대판 방전을 하여 집진이 이루어지므로, 집진 성능을 가지면서 오존의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구리 페어(142)는 2개의 구리 와이어를 꼬아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리 페어(142)는 직경 0.2mm인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될 수 있다. 구리 재질의 꼬인 와이어를 적용함으로써, 전기가 흐를 때 전자들이 구리 와이어의 외곽으로 흐르게 되어 미세 입자들의 하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단선일 경우 끊어질 우려가 있는데 반해, 2가닥을 꼬아 텐션(Tension)을 줄 수 있고, 전자 배출 면적을 넓힐 수 있다.
여기에서, 구리 와이어의 직경이 0.2mm일 때, 전자들이 와이어의 외곽으로 잘 흐르게 되어 미세 입자들의 하전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구리 와이어 굵기를 최대한 가늘게 함으로써 낮은 전압을 인가하여 오존량을 줄이고 하전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격막(144)은 복수의 구리 페어(142) 간 간섭을 방지한다. 이러한 격막(144)은 소정 두께를 가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격막(144)은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각 격막(144) 사이에 4줄의 구리 페어(142)가 설치될 수 있고, 구리 페어(142)와 격막(144) 간 간격이 12~12.5mm일 수 있다. 이때, 각 구리 페어(142) 간 간격은 10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금속 메쉬망(132)를 통하여 일정한 유속 0.8~1m/s로 흐르던 공기가 보다 빠른 속도로 1단 하전부(140)를 통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금속 메쉬망(132)를 통과하여 유입된 공기는 상기 1단 하전부(140)의 각 구리 페어(142) 사이 및 상기 구리 페어(142)와 격막(144) 사이를 유속 1.2~1.5m/s로 통과한다.2단 집진부(150)는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한다.
또한, 2단 집진부(150)는 9~11m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152)을 포함한다. 이러한 평판(152)은 소정 두께를 가진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152)은 0.6m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평판(152)은 (+) 출력의 전압의 인가에 따라, 인접한 두 평판(152) 중 하나의 평판(152a)은 양극이 되고, 다른 하나의 평판(152b)은 음극이 된다. 특히, 두 평판(152) 간 간격은 7~15mm 간격인 것이 바람직하다. 펄스 전압 인가 시 두 평판(152) 간 간격이 7mm 이하인 경우, 물에 의해 단락(short)이 될 수 있다. 또한, 펄스 전압 인가 시 두 평판(152) 간 간격이 15mm 이상인 경우, 집진 성능이 크게 저하된다.
복수의 평판(152)을 7~15mm 간격으로 설치하고, (+) 출력의 펄스 전압을 인가하여 두 인접한 평판(152) 중 하나의 평판(152a)은 양극이 되고, 다른 하나의 평판(152b)은 음극이 되어 양극 및 음극이 교대로 배치되고, 판대판 방전에 의해 1단 하전부(140)에서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평판(152)을 10mm 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 10 mm 간격으로 복수의 평판(152)을 설치함으로써, 공기 청정 장치(100)의 구동 시 유입되는 수분을 포집할 경우에 형성되는 물방울에 의한 통전 현상 또는 스파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1단 하전부(140) 및 2단 집진부(150) 모두 (+) 출력의 양방전을 적용하여 1단 하전부(140)에서의 하전 및 2단 집진부(150)에서의 판대판 방전을 통해 오존 배출을 최소화하고, 집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세정부(160)는 2단 집진부(150)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한다. 이러한 세정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세정 노즐이 2단 집진부(150)의 상부에 위치하여 세정수를 분사하여 2단 집진부(150)의 평판(152) 표면에 있는 이물을 세정하게 된다. 2단 집진부(150)를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하는 세정수는 기류 분사부(130) 및 1단 하전부(140)의 각 구성요소도 세척하게 된다.
공기 배출부(170)는 미세먼지가 집진되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된다. 이러한 공기 배출부(170)는 2단 집진부(150) 및 세정부(16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고르게 분산 배출하는 2단의 배출 디퓨저(171, 172)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 디퓨저(171, 172)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단면 직경이 작아지는 부분을 가져 공기를 분산 흡입시킬 수 있다. 이때, 하단의 배출 디퓨저(171)는 내부에 필터(171a)가 설치되어 공기 중의 미세먼지를 한 번 더 걸러낼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배출부(170)는 공기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측면에 송풍기(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175)에 의해 2단의 배출 디퓨저(171, 172)에서 공기의 유속이 더 빠르게 증가한다.
전원 공급부(180)는 1단 하전부(140)에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 모듈(181)과, 2단 집진부(150)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 모듈(182)을 포함한다.
제1 전원 공급 모듈(181)은 1단 하전부(140)에 연결되어 1단 하전부(140)에 (+)전압을 가해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1단 하전부(140)에서 일정하게 미세입자들 외에 초미세입자들까지 효율적으로 하전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전압 공급에 의해 수분에 의한 스파크 및/또는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전원 공급 모듈(182)은 2단 집진부(150)에 연결되어 펄스 전압을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전원 공급 모듈(182)은 2단 집진부(150)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한다. 제2 전원 공급 모듈(182)이 2단 집진부(150)에 (+)전압을 가해 펄스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2단 집진부(150)에서 미세입자들 외에 초미세입자들까지 순간적으로 전압을 가할 수 있다. 또한, 펄스 전압 공급에 의해 수분에 의한 스파크 및/또는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전원 공급 모듈(181, 182)에서, 펄스 전압의 주파수 범위가 20kHz 이하 또는 26kHz 이상일 경우, 펄스 전압의 노이즈가 발생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100)는 미세먼지, 오존에 관련된 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모듈(미도시)과, 액적 공급부(120), 기류 분산부(130), 1단 하전부(140), 2단 집진부(150), 세정부(160), 전원 공급부(180) 등에 대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정보 획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의 감지모듈은 오존, 미세입자 등의 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의 측정모듈은 제1 및 제2 전원 공급 모듈(181, 182)의 전압 변화, 펄스 주파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에 공기 유입 시 시간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로부터 공기 배출 시 시간에 따른 초미세먼지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11은 공기 청정 장치로부터 공기 배출 시 습식 상태 하에서 시간에 따른 오존의 농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장치를 제작하여 초미세먼지 및 오존의 농도를 확인하였다. 초미세먼지의 농도는 공기 청정 장치의 공기 유입부와 공기 배출부를 비교하였고, 오존 농도는 미세 액적을 공급한 습식 상태에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지 분석기(광산란법)을 통하여 입구와 출구의 초미세 먼지 농도를 측정하고, 오존 측정 장비(UV 방식)를 통하여 출구에서 오존을 동시에 측정하였다.
액적 공급부(120)의 경우, 2.4 MHz의 출력의 진동자를 적용하여 평균 크기 2.5 ㎛의 액적을 공급하였다.
또한, 1단 하전부(140)의 경우, 0.2mm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구리 페어(142)를 제작하여 배치하며, 4줄의 구리 페어(142)를 SUS304 재질의 두께 1.5 mm 격막(144) 사이에 배치하였다. 구리 페어(142)와 격막(144) 사이 간격은 12~ mm이다. 여기에서, 1단 하전부(140)에 가해지는 직류 펄스 전압은 8.4 kV이며, 주파수는 25 kHz이다.
또한, 2단 집진부(150)의 경우, SUS304 재질의 두께 0.6 mm 평판(152)을 양극과 음극 간격 10 mm로 하여 배치하였다. 이때, 10mm 간격을 적용하여 펄스 전압을 안정적으로 인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2단 집진부(150)에 가해지는 펄스 전압은 7.0 kV이며, 주파수는 25 kHz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입 측의 경우, 최대 유입 농도 420 ㎍, 최소 유입 농도 148.6 ㎍, 평균 유입 농도 269 ㎍이다. 또한, 배출 측의 경우, 최대 배출 농도 15.3 ㎍, 최저 배출 농도 3.5 ㎍, 평균 배출 농도 8.7 ㎍이다.
이러한 초미세먼지의 농도 감소는 공기 청정 장치(100)의 전극 역할을 위해, 하단의 1단 하전부(140)로 구리 재질의 꼬인 와이어 2개를 적용하여 구리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입자들의 하전을 충분히 시킬 수 있고, 상단의 2단 집진부(150)의 평판(152)의 전극에 원활하게 포집이 가능한 것에 기인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존 최대 배출량 16.6 ppb, 최소 배출량 13.1 ppb, 평균 배출량 14.5 ppb이다. 대기의 오존이 평균 6.5 ppb 정도 이므로, 미세 액적을 공급하는 습식에서 오존이 평균 6.5 ppb로 배출되는 오존이 약 8 ppb에 불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미세 액적을 유입되는 공기에 공급하는 습식 방식을 도입할 경우, 평균 오존 배출량이 약 8 ppb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여 습식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오존 저감에 효과가 있다.
이는 가습되는 미세 액적 형태의 수분에 의해 발생되는 오존 일부가 용해되어 수분 입자 형태로 2단 집진부(150)에 포집되기 때문이다.
또한, 미세 액적을 공급할 경우, 2단 집진부(150)에서 수분 입자가 포집되어 아래로 흐르면서 집진된 미세먼지 일부를 세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장시간 이상의 가동에서도 초기의 집진 성능을 유지할 수 있어, 습식 방식이 오존 저감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 저감에서도 효과적이다. 이때, 수분이 포집되어 응집될 경우 2단 집진부(150)에서 전극 간 거리가 가까워지면 단락의 위험이 발생될 수 있으나, 펄스 전압을 공급하여 장시간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펄스 전원이 아닐 경우, 잦은 방전의 중단과 화재의 발생 위험의 가능성이 있게 된다. 이때, 1단 하전부(140) 및 2단 집진부(150)에 각각 별도의 전원 공급 모듈(181, 182)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펄스 전압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전원 공급 모듈을 한 개로 2개의 1단 하전부(140) 및 2단 집진부(150)에 적용할 경우에 전압 및/또는 전류가 한쪽으로 치우치게 되어 한 쪽 전극에서 이상 방전이 발생하여 오존량이 증가하고 집진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공기 청정 장치
110: 공기 유입부 120: 액적 공급부
130: 기류 분산부 140: 1단 하전부
150: 2단 집진부 160: 세정부
170: 공기 배출부 180: 전원 공급부

Claims (5)

  1.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부;
    상기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에 미세 액적을 공급하여 조대화시키는 액적 공급부;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켜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류 분산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미세 액적에 의해 조대화된 미세먼지를 하전시키되,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복수의 구리 페어 및 상기 복수의 구리 페어 간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구리 페어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격막을 포함하는 1단 하전부;
    (+) 출력에 의한 양방전을 적용하여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되, 9~11mm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평판을 포함하는 2단 집진부;
    상기 2단 집진부에 집진된 미세먼지를 주기적으로 세정하는 세정부;
    상기 미세먼지가 집진되어 제거된 청정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부; 및
    상기 1단 하전부에 8.0~8.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공급하는 제1 전원 공급 모듈과, 상기 2단 집진부에 7.0~7.5kV, 20~25kHz 펄스 전압을 공급하는 제2 전원 공급 모듈을 포함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부는,
    상기 미세먼지가 수분과 함께 배출되는 배출구가 하면에 형성되는, 공기 청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적 공급부는,
    주파수 2.3~2.5 MHz의 진동자를 사용하여 액적의 평균 크기 2.4~2.6㎛의 액적을 공급하는, 공기 청정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1단 하전부는,
    직경 0.2mm인 구리 와이어 2가닥을 꼬아 형성되는 상기 구리 페어가 상기 격막 사이에 4개씩 설치되는, 공기 청정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단 집진부는,
    상기 각 평판의 두께가 0.6mm이며, 상기 복수의 평판을 이용하여 판대판 방전에 의해 상기 하전된 미세먼지를 집진하는, 공기 청정 장치.
KR1020190155311A 2019-11-28 2019-11-28 공기 청정 장치 KR20210066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11A KR20210066974A (ko) 2019-11-28 2019-11-28 공기 청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311A KR20210066974A (ko) 2019-11-28 2019-11-28 공기 청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974A true KR20210066974A (ko) 2021-06-08

Family

ID=7639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311A KR20210066974A (ko) 2019-11-28 2019-11-28 공기 청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6974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657A (ko) 2011-07-19 2013-01-29 김영대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KR101992743B1 (ko) 2018-11-28 2019-06-27 (주)플라즈마텍 공기 청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0657A (ko) 2011-07-19 2013-01-29 김영대 다중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네트워크 동기화된 3d 렌더 방식을 이용하는 비디오 월 시스템
KR101992743B1 (ko) 2018-11-28 2019-06-27 (주)플라즈마텍 공기 청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743B1 (ko) 공기 청정 장치
CN103949343B (zh) 空气净化装置
CN1232355C (zh) 集尘装置及空调装置
US7101424B2 (en) Ionizer and use thereof in an exhaust gas purifying system for moisture-laden gases
US8465575B2 (en) Dust collector
KR101375468B1 (ko) 전기 집진 장치
US8657937B2 (en) Dust collector
CN107790286A (zh) 一种具有自适应和自清洁功能的静电除尘装置及除尘方法
US4553987A (en) Continuously rinsed electric dust collector
CN108339665A (zh) 室外新风和室内空气细颗粒电凝并方法与装置
KR10103261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
KR101064488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CN106179753B (zh) 静电集尘器结构
JP2008006371A (ja) 集塵装置
US20230140445A1 (en) Electrostatic separator
KR20210066974A (ko) 공기 청정 장치
KR100871601B1 (ko) 단일 고전압 인가 방식의 고유속용 전기집진장치 및 이의전기집진방법
CN106622669B (zh) 一种用于静电除尘设备的电极板模块及静电除尘设备
CN112892870A (zh) 一种放电结构及除尘装置及空气净化器
JP2018008045A (ja) プラズマ浄化モジュール
KR20210116747A (ko) 지하철역사의 공기정화 시스템
CN114543220B (zh) 一种空气净化器
RU65403U1 (ru) Очиститель-ионизатор воздуха
CN113578530A (zh) 空气净化组件及空气净化设备
JP7196550B2 (ja) 空気清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