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780A -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780A
KR20210066780A KR1020210069761A KR20210069761A KR20210066780A KR 20210066780 A KR20210066780 A KR 20210066780A KR 1020210069761 A KR1020210069761 A KR 1020210069761A KR 20210069761 A KR20210069761 A KR 20210069761A KR 20210066780 A KR20210066780 A KR 202100667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n
information
input
user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311B1 (ko
Inventor
조재형
Original Assignee
(주)아이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쿱 filed Critical (주)아이쿱
Priority to KR1020210069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31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24Touch or pain perception evalu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61B5/225Measuring muscular strength of the fingers, e.g. by monitoring hand-grip for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3Displaying an image simultaneously with additional graphical information, e.g. symbols, charts, function plo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 A61B5/748Selection of a region of interest, e.g. using a graphics tab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47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A61B5/747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in case of emergency, i.e. alerting emergency 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통증관련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통증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감지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압력 입력 및 터치 입력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한다.

Description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THAT PAIN MONITORING}
본 발명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여 통증관련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통증관련 정보를 수치화하며, 이를 기반으로 환자 맞춤형 진단을 구현할 수 있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증이란 신체가 다치거나 병이 생긴 경우, 이를 치료하라는 일종의 경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통증의 발생 원인을 객관적으로 정확히 판단하는 과정은 병든 신체를 치료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신체에 발생하는 통증은 여러 원인에 의해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환자가 보유하고 있는 병 또는 환자의 체질과 같은 환자 고유의 신체적 요인 때문이거나, 주변환경의 영향에 의한 환경적 요인 때문일 수 있다.
환자 고유의 신체적 요인의 경우, 의사가 환자 진료 시 통증 발생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환자 상태변화 및 통증관련 정보를 의사와 환자의 진료 시간 내에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환자에게 통증이 유발되는 신체 부위와 통증의 정도 그리고 통증 발생 시의 부가적인 신체 이상반응 등의 정보와 같은 각종 통증관련 정보를 진료 시 환자의 기억에만 의존하여 획득하는 것은 환자진단에 대한 신뢰성과 객관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더하여, 환경적 요인의 경우, 의사는 환자의 기억에 의한 진술에 의존하게 되므로 기억된 사항의 왜곡이나 오류에 따라 통증 발생 원인을 정확하게 판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은 신체적 그리고 환경적 요인에 근거한 약물 처방에 따라 약물의 오용 및 남용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술한 신체적/환경적 요인에 따른 통증 발생 원인의 추적에 대한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환자가 환자의 갑작스러운 통증 발생 시의 신체적/환경적 요인을 별도의 기록 수단을 통해 기록하도록 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 특허 문헌 1에 따르면,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통증의 깊이를 측정하는 압통 측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특허 문헌 1의 압통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통증을 단순히 측정하는 것이 불과하고, 통증에 대응하여 적절한 적절한 후속조치를 실현하는데는 기술적으로 인식의 한계가 있다. 또한, 선행 문헌 1은, 통증의 발생 원인으로 직접적인 통증의 정도뿐만 아니라 환자의 신체 정보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를 여전히 가지고 있다.
선행 특허문헌 2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증의 세기를 입력하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 특허문헌 2는, 통증의 세기, 통증 부위, 통증의 종류 등 진단에 필요한 다양한 통증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전혀 제안하지 못하고 있다. 즉, 선행 특허문헌 2는, 환자가 통증이 발생하였을 때, 실시간으로 상기와 같은 다양한 통증 정보를 빠르고 손쉽게 입력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 2는, 이와 같이 환자에 의해 입력된 통증 정보들을 진단에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전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편, 눈에 보이지 않는 주관적인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획득된 통증관련 정보를 디지털화/시각화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자세히, 현재 의학적인 통증의 이해는, 객관화, 자료화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개개인의 통증에 대한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기준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도입하여 환자의 통증을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보다 상세히, 일반적으로 환자의 통증에 대한 평가는, 현재까지도 VAS(visual analog scale)을 사용하여 환자의 기억에 의존하며, 일회성의 평가에 머무를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하여, 환자의 통증 변화의 패턴, 시간, 환경과의 관계, 환자 상태 등에 대한 관련성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 들어 만성질환의 폭발적인 증가로 신경통, 관절통, 암성 통증, 혈관질환 통증 등의 다양한 통증을 장기간 호소하는 환자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통증 외에도 수술이나 시술, 약물에 의한 통증, 증상과 급성질환 등에 의해 발현되는 다양한 종류의 통증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통증을 체계적으로 분류하여 진료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하여, 이를 위한 기술의 도입이 필요한 상황이다.
한편, 환자의 통증관련 정보는 다양한 요인의 영향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환자 통증관련 정보가 포함하는 복수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으며, 이를 위한 기술 도입의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10- 0337927 B 10-1852768 B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되는 환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여 환자가 느끼는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수치화하고, 이를 기반으로 해당 통증의 상태에 맞추어진 개인 맞춤형 진단/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데이터를 생성하여 해당 환자의 상태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통증을 느끼는 환자가 손쉽게 통증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환자의 통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환자의 통증 상태를 객관적으로 나타내는 시각화된 정보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환자 진료의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통증관련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통증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감지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압력 입력 및 터치 입력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압력 측정부는, 사용자의 악력에 따라 유동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탄성부재와, 상기 악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감압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상기 압력 측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 상측에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이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원형의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적어도 일부의 외주연에는 상기 압력 측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의 중앙에는 상기 터치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머리를 나타내는 제 1 입력부, 몸통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력부, 왼팔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입력부, 오른팔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입력부, 왼다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5 입력부 및 오른다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6 입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인지를 감지하는 생체감지 센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는, 일시적인 통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트리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버튼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입력된 압력의 세기 및 가압시간에 따른 수치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고, 상기 압력의 세기에 변화에 따라 결정된 수치를 통증 강도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압시간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수치를 점차 증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압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수치를 상기 통증 강도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의 세기에 따른 수치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된 수치를 상기 압력의 세기에 변화에 따라 수정하고, 상기 압력이 소정의 수치 이하될 때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수치를 상기 통증 강도로 결정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의 세기의 변화에 따라서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포함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상기 표시부와 상기 터치 입력부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은, 통증 신체부위, 통증 유형, 부가 이상반응 정보 또는 통증 종류에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대한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한 진료보조 단말의 프로세서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통증 강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회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메인 통증 그래프, 통증 바디맵, 제 1 연관 그래프, 제 2 연관 그래프 및 제 3 연관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메인 통증 그래프는, 복수의 날짜 동안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히트 맵(heat map)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되는 환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고,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해당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통증의 상태에 맞추어진 개인 맞춤형 진단/진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및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각종 요인들과의 관계를 정량화/패턴화한 정보에 기반한 환자 맞춤형 진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환자의 통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정보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환자 진료 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환자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후속조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통증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증정보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정보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각종 통증관련 정보를 환자의 기억에 의한 진술에만 의존하여 발생하는 진단 오류 및 객관성 저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가 입력한 통증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증과 관련된 추가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함으로써, 환자가 일일히 입력하기 어려운 통증관련 정보까지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가 입력한 통증정보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수집하는 통증관련 정보까지 활용하여 통증 모니터링을 위한 시각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통증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고 분석의 객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장치로부터 환자와 관련된 부가적인 생체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통증관련 정보 외의 어떠한 외부적 요인들이 통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함께 파악할 수 있는 다변량 데이터를 통증 진료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그래프 및 차트를 활용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상태를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정보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시각화된 통증관련 데이터의 사용성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의 통증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통증 모니터링을 통한 진료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의 변화와 증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질병 관리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환자에게 처방되는 의약품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해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의료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의 변화와 증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수치화된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알고리즘 개발과 저작권화에 기반한 산업화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데이터 차트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단말(200) 및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의 각 구성요소는, 네트워크(Network)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단말(200) 및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환자는, 통증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사람, 지속적 또는 간헐적인 통증이 유발되는 경험을 겪은 사람 그리고 치료 과정 중에 통증의 경감 정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는 사람일 수 있다.
또한, 환자는, 통증 발생 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하여 통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정보란,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로서, 1)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 2) 기타 통증정보 및 3) 부가 생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는, 환자로부터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및/또는 단말(200)을 통해 입력된 통증관련 정보이며 통증이 발생한 신체부위에 관한 정보인 통증 신체부위 정보, 통증의 세기를 나타내는 통증 강도 정보, 통증의 주기와 관련된 통증 패턴 정보, 통증 유형 정보, 통증 종류 정보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통증 유형이란, 통증감각별 유형에 관련된 정보로서, 예를 들어 통증감각이 '시리다'일 경우, '치아' 유형이 통증 유형으로 제공될 수 있고, 다른 예에서 통증감각이 '콕콕찌르다'일 경우, '복통' 유형이 통증 유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통증 유형은, 체성통, 내장통 또는 신경병증성 통증 등과 같은 카테고리를 기반으로 결정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통증 종류란, 통각성(nociceptive), 염증성(inflammatory), 신경병성(neuropathic) 그리고 기능성(functional) 통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부가 이상반응 정보란, 통증 발생 시 환자에게 동반되는 신체 이상반응에 대한 정보로서 구토감, 어지러움, 우울, 호흡곤란, 피로, 발열 및/또는 경련 등의 증상과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다음으로, 기타 통증정보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기반하여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추가 수집하는 정보로서, 통증 주기 정보, 통증발생 시각정보 및 환자 주변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 및/또는 위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통증 주기 정보란, 환자의 통증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지속통증인지, 단발적으로 발생하는 돌발통증인지 등과 같은 통증의 주기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통증 주기 정보는, 환자로부터 획득된 통증 패턴 정보 등에 기초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기타 통증정보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기초로 수집되어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되는 방식으로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부가 생체정보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디바이스 (Device)로부터 획득되는 환자와 관련된 바이오 정보로서, 수면 및 스트레스 지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부가 생체정보는, 외부 장치로부터 수집되어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되는 방식으로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이 포함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 통증 모니터링 장치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로부터 발현되는 다양한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기록하고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은, 단순히 아픈다는 증상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 예를 들면 심혈관계 증상(부정맥, 심계항진, 두근거림 등), 호흡기계증상(호흡곤란 등) 위장장애증상(속쓰림, 구토, 구역, 연하곤란 등), 신경학적증상(어지러움 등), 정신과적 증상(자살충동, 불안 등), 비뇨기계 증상(배뇨장애, 빈뇨 등)을 모두 포함한다.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로부터 압력 입력 또는 터치 입력 등을 감지하여, 환자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기반하여 수치화 및/또는 이미지화된 통증관련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중증 질환자 또는 거동 불편자를 위한 SOS 호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가 응급상황에 처할 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와 연동되어 SOS관련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가 획득한 GPS 정보 등에 기반하여 긴급호출을 요청하는 SOS 호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단말(200)에 등록된 장치가 될 수 있고, 상기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상기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고유 일련번호나 바코드 등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상기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상기 단말(200)에 등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관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단말(200)의 구성까지 포함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와 직접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전원부(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입력부(11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환자의 다양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구조적인 측면에서 입력부(110)는, 1)터치 입력부 및/또는 2)압력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입력부는, 디스플레이와 입력부가 결합된 터치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고, 환자로부터 통증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로, 터치 입력부는, 환자로부터 환자의 통증 신체부위, 통증 유형 및/또는 통증 종류 등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은, 신체부위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터치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통증 신체부위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터치 스크린은 통증 유형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터치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통증 유형을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은 통증 종류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터치 선택 가능하도록 제공하여, 통증 종류를 입력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측정부는, 환자로부터 입력되는 압력 입력을 기반으로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인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압력 측정부는, 1) 악력감지 타입, 2) 감압식 터치 타입, 3) 휠(wheel) 타입 및 4) 버튼(button) 타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먼저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는, 압력을 계측하는 압력계측부 감압센서를 포함하여, 환자의 손이 압력 측정부를 쥠으로써 가해지는 압력의 강도 및/또는 압력이 가해진 시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압력의 강도 및/또는 압력이 가해진 시간에 따라 사용자가 입력한 통증의 강도(통증의 단계/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측정하면, 측정된 압력의 세기에 비례하여 통증의 강도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는,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시간을 측정하여, 측정된 압력 시간에 따라 통증의 강도가 입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악력이 측정되면 표시부(130)에 통증 강도 수치를 점차 상승하며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의 악력이 제거되는 시점에 표시된 통증 강도 수치를 현재 사용자에게 가해진 통증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악력이 제거되는 시점뿐만 아니라 통증이 지속되는 시간동안 악력이 늘어나고 줄어듦에 따른 악력의 강도를 전송하여 통증지속시간 동안에도 악력의 변화와 통증의 변화를 도식화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측정된 악력의 세기의 비례하여 통증 강도 수치의 상승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빠르고 직관적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느끼는 통증 강도를 입력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통증이 지속적이지 않고 순간적으로 지나가는 경우 (예를 들면, 부정맥 증상 등)은 악력이 가해지는 손잡이를 통해서나 또는 다른 추가 버튼 작동을 통해서 압력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악력의 세기의 비례한 수치를 표시부(130)에 표시하고, 해당 수치를 현재 사용자에게 가해진 통증 강도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입력한 악력의 세기의 변화를 통해 수치를 변화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통증 강도를 수정시킬 수 있다.
이때,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표시부(130)에는, 통증의 세기에 따라 차등된 색상과 얼굴 표정의 변화를 함께 표시됨으로써, 직관적으로 통증의 정도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는, 압력의 세기의 변화를 지속적으로 센싱하여,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지속적인 통증이 있을 때, 사용자는 느껴지는 지속 통증 시간 및 통증의 변화를 악력의 세기를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며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통증의 지속시간과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된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통해 제어부(160)는 별도의 입력 없이도 통증의 유형이나 통증 주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악력감지 타입의 압력 측정부는, 사용자 마다 악력의 세기가 다를 수 있으므로, 초기 악력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가할 수 있는 최대 악력 또는/및 최소 악력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압력값에 따라 통증 강도 결정을 수행하도록 초기 세팅할 수 있다.
또한, 감압식 터치 타입의 악력 측정부는, 터치 패널에 감압식 터치센서가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환자가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감압식 터치 타입의 악력 측정부를 터치하는 압력 및/또는 시간을 감지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휠 타입의 악력 측정부는, 환자에 의해 컨트롤되는 휠의 움직임(예컨대, 회전, 기울기 등)에 따라서 통증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 타입의 악력 측정부는, 환자에 의해 휠이 오른쪽으로 회전되는 경우 통증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왼쪽으로 회전되는 경우 통증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버튼 타입의 악력 측정부는, 환자가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버튼 타입의 악력 측정부에 입력하는 압력 및/또는 시간을 감지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타입의 악력 측정부는, 0~9까지의 숫자를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버튼을 제공할 수 있고, 제공된 복수의 버튼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하여 환자가 가하는 압력과, 해당 압력이 가해지는 시간을 감지하여 통증의 강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악력 측정부는, 감압식의 악력형태뿐만 아니라 버튼을 당기는 장력의 세기를 통해 통증의 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악력 측정부는, 터치형태로 통증을 입력할 수 있는 센서 및/또는 기기를 통증 부위별로 부착하고 해당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을 받아 통증을 입력받음으로써, 통증 부위별로 통증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한편, 기능적인 측면에서 입력부(110)는, 1)통증부위 입력부, 2)통증강도 입력부, 3)통증유형 입력부, 4)통증종류 입력부 및 5)기타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부위 입력부는, 환자로부터 발생한 통증이 해당 환자의 신체 중 어느 부위에서 발생했는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증강도 입력부는, 환자로부터 발현된 통증의 세기(단계, 단위) 즉, 통증의 강약 정보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통증유형 입력부는, 환자에게 발생된 통증에 대한 통증감각별 유형에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증종류 입력부는, 환자에게 발생되는 통증에 대한 통증 종류(예컨대, 통각성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기능성 통증 등)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통증 유형 입력부 및 통증종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환자의 부가 이상반응 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자세히, 통증 유형 입력부 및 통증종류 입력부 중 적어도 하나는, 구토감, 어지러움, 우울, 호흡곤란, 피로, 발열 및/또는 경련 등의 증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환자의 입력을 감지하여 환자의 부가 이상반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기타 입력부는, 상기 기술한 통증부위, 통증강도, 통증유형 또는 통증종류 외에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기타 통증관련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기타 입력부는, 환자가 순간적으로 느끼는 피크(peak)치 통증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는 트리거 버튼(trigger button) 및/또는 환자로부터 입력된 정(正)입력인지, 타 물체 등에 의한 오(誤)입력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생체감지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12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위한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실시예로, 통신부(120)는, 단말(200)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와 통신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데이터(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 등)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통신부(120)는, 1)근거리 통신(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Wireless Fidelity) 등)을 통해 모니터링 단말(200)로 데이터를 송신하고, 상기 모니터링 단말(200)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데이터를 송신함으로써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고, 2)원거리 통신(예컨대, WAN(Wide Area Network) 등)을 통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다이렉트(Direct) 데이터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20)는, 3)GPS, GLONASS 및 다른 글로벌 네비게이션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통한 환자의 통증 입력 시의 해당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에 대한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 통신부(120)는, 획득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200)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200),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부(13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표시부(130)는, 환자의 압력 입력에 따른 통증 신체부위, 통증 강도, 통증 유형 및/또는 통증 종류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0)는,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숫자 및/또는 상징적 아이콘 이미지(예컨대, 얼굴 표정 아이콘 등) 등을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즉, 표시부(130)는, 환자의 통증관련 정보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버튼이 터치 방식인 경우, 상기 입력버튼을 구현하기 위한 터치 패널이 상기 표시부(130)에 내장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인셀 방식, 온셀 방식 등 디스플레이 패널과 터치 패널을 결합한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저장부(140)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 기타 통증정보, 부가 생체정보, 고유 일련번호 및/또는 환자식별 정보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저장부(14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전원부(150)는, 제어부(160)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각 구성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50)는,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6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6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고, 제어부(16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구현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먼저, 도 3a 및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는, 신체 밀착형 디자인에 기초하여 손으로 파지해 압력(즉, 악력)을 가하기 적합한 악력계 형상으로 구현된 통증 모니터링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는, 손으로 파지하여 압력을 가하기 적합한 조약돌 형상의 악력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와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는, 외형적인 측면에서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환자의 사용성을 고려하여 손에 들고 다니거나 수납 가능한 핸디형으로 구현된다는 점은 동일하다. 또한,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와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는, 각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사용성 향상을 위하여, 조작 시 인체의 곡률을 반영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및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는, 외형적인 측면 이외의 각 구성요소에 따른 기능적인 구성 즉,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가 수행하는 기능적인 특징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및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에서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바디부(100a-1, 100b-1), 압력 측정부(100a-2, 100b-2), 생체감지 센서(100a-3, 100b-3), 트리거 버튼(100a-4, 100b-4) 및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부(100a-1, 100b-1)는,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외부에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유닛을 장착/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압력 측정부(100a-2, 100b-2)는, 환자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악력)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압력이 가해지는 가압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압력 측정부(100a-2, 100b-2)를 포함하는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획득된 압력 및/또는 가압 시간에 기반하여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인 통증 강도 및/또는 통증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압력 측정부(100a-2, 100b-2)는, 압력계측부 감압센서 및 생체감지 센서(100a-3, 100b-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압력계측부 감압센서는, 환자의 압력 입력에 따른 악력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해당 악력이 가해진 시간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생체감지 센서(100a-3, 100b-3)는, 압력 측정부(100a-2, 100b-2)에 가해진 압력이 환자로부터 입력된 정(正)입력인지, 타 물체(예컨대, 가방 내 소지품) 등에 의한 오(誤)입력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생체감지 센서(100a-3, 100b-3)는, 신체 외의 타 물체 등에 의한 잘못된 입력으로 인하여 통증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생체감지 센서(100a-3, 100b-3)는, 실시예에 따라 금속 정전식 센서로 구현되어, 압력 측정부(100a-2, 100b-2)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트리거 버튼(100a-4, 100b-4)은, 환자로부터 순간적으로 발현되는 피크(peak)치 통증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 버튼(100a-4, 100b-4)을 포함하는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압력 측정부(100a-2, 100b-2)를 통해 통증 강도와 통증 패턴을 획득하는 도중에 트리거 버튼(100a-4, 100b-4)을 통한 환자의 피크치 통증 정보를 입력받은 경우, 통증 강도와 통증 패턴에 소정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보다 정확한 통증 강도 및 통증 패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환자로부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인 통증 신체부위, 통증 유형 및 통증 종류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환자로부터 부가 이상반응 정보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자세히,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통증 신체부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신체 형상 및/또는 명칭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신체 형상 및/또는 명칭에 대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신체부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통증 유형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체성통, 내장통 및/또는 신경병증성 통증 등과 같은 카테고리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유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통증 종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각성(nociceptive), 염증성(inflammatory), 신경병성(neuropathic) 그리고 기능성(functional) 통증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종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은, 부가 이상반응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를 통해 구토감, 어지러움, 우울, 호흡곤란, 피로, 발열 및/또는 경련 등의 증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부가 이상반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환자가 손을 이용하여 악력을 입력하기 용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감압센서를 이용해 환자의 악력에 따른 통증의 정도를 측정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표시 및 입력받음으로써, 통증 발생 시 환자가 직관적으로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사용해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입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악력입력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악력 입력에서 자유로운 엄지 손가락은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을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형태를 가져, 다양한 통증 정보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자세히, 도 3a를 보면, 제 1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의 바디부(100a-1)는 파지에 용이한 형태로, 일측에는 압력이 가해지면 바디부(100a-1) 내로 인입되는 압력 측정부(100a-2)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바디부(100a-1) 내에는 압력 측정부(100a-2)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며, 압력 측정부(100a-2)에는 바디부(100a-1)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바디부(100a-1)와 압력 측정부(100a-2)를 파지한 상태에서 압력을 가하면 탄성부재에 악력이 전달되어 악력에 따른 압력이 감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가 수축됨에 따라 압력 측정부(100a-2)가 바디부(100a-1) 내로 인입되고, 악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가 탄성변형하여 다시 압력 측정부(100a-2)가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a-1)의 상측에는 터치 스크린(100a-5)이 배치되어,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통해 터치 입력이 가능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보면, 제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b)의 바디부(100b-1)는 원형 구조를 가지며, 외주연의 적어도 일부에는 압력 측정부(100b-2)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압력 측정부(100b-2)의 일측을 손바닥으로 파지하게 되고 타측은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손가락과 손바닥을 통해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력 측정부(100b-2)에 악력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 측정부(100b-2)는, 고무와 같은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압력 측정부(100b-2) 내부에는 탄성부재가 더 배치되어, 탄성부재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악력에 따른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b-1)의 중앙에는 터치 스크린(100b-5)이 배치되어, 사용자는 압력 측정부(100b-2)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을 통해 터치 스크린(100b-5)에 터치 입력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례이다.
도 5a 및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는, 신체부위를 직관적으로 인식하도록 형상화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는, 바디부(100c-1),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 및 기타 입력부(100c-5)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바디부(100c-1)는,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의 외관을 형성하며, 내외부에 통증 모니터링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유닛을 장착/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환자로부터 발생한 통증이 해당 환자의 신체 중 어느 부위에서 발생했는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신체부위별로 매칭되는 복수의 버튼을 제공하여 통증 신체부위 정보에 대한 환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자세히,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의 일면에는, 통증부위 입력부(100c-2)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복수의 신체부위 각각을 나타내는 복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좀더 자세히, 도 5a를 참조하면,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머리를 나타내는 제 1 입력부, 몸통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입력부, 왼팔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3 입력부, 오른팔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4 입력부, 왼다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5 입력부 및 오른다리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제 6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환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이 통증을 느끼는 신체부위를 복수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매칭시켜 손쉽게 입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통증부위 입력부(100c-2)는, 환자가 복수의 입력버튼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가압 시간을 획득하여 통증 모니터링 장치가 통증 패턴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통증부위 입력부(100c-2)의 복수의 입력버튼은, 내부에 발광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환자가 통증을 느끼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버튼을 눌렀을 때, 발광부가 켜지도록 동작하여 환자가 자신이 입력한 통증 신체부위가 어디인지를 정확하게 파악시킬 수 있다.
즉, 환자는 이러한 통증부위 입력부(100c-2)를 통해 자신이 통증을 느끼는 신체부위를 세부적으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증강도 입력부(100c-3)는, 환자에게 발생한 통증의 강도 즉, 통증의 강약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른 통증강도 입력부(100c-3)는, 통증강도 입력을 위한 복수의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강도 입력부(100c-3)는, 통증의 수치 범위를 1 내지 9로 정의할 때, 1 내지 9에 매칭된 각각의 통증 수치 입력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한번의 입력으로 통증의 수치를 정하여 통증 강도를 편리하게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환자로부터 통증 유형, 통증 종류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을 통해 통증 유형, 통증 종류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환자의 입력을 받을 수 있고, 환자의 통증정보와 관련된 각종 정보를 그래픽 이미지로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터치 패널을 통해 체성통, 내장통 및/또는 신경병증성 통증 등과 같은 카테고리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유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터치 패널을 통해 통각성(nociceptive), 염증성(inflammatory), 신경병성(neuropathic) 그리고 기능성(functional) 통증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종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터치 패널을 통해 구토감, 어지러움, 우울, 호흡곤란, 피로, 발열 및/또는 경련 등의 증상에 대한 카테고리를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카테고리에 기반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부가 이상반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통증부위 입력부(100c-2)가 배치된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의 일면의 타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터치 패널) 방식 또는 버튼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환자가 짧게 입력버튼을 누르면 표시부(130)에 표시된 메뉴 등이 변경될 수 있고, 환자가 길게 입력버튼을 누르면 일정시간마다 통증 강도, 통증 발생시점 정보 등의 숫자가 증감할 수 있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하나의 통합 입력부로서, 통증 신체부위에 매칭된 입력버튼을 누르는 시간에 따라 통증의 세기를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환자가 입력버튼을 길게 누르는 것을 종료하면 통증강도, 통증 발생시점 그리고 상기 통증 발생시점으로부터 입력버튼을 누르는 것을 종료한 시점까지의 통증 지속시간 등과 관련된 숫자 정보가 저장부(140)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입력버튼에 복수 회에 걸쳐 압력 입력을 받을 수 있고, 압력을 가하는 시간 차이에 반비례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환자가 입력버튼을 복수 회에 걸쳐 압력을 가하되 대략 1초의 시간 간격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의 통증은 대략 0.5초의 시간 간격으로 압력을 가하는 경우보다 통증의 강도가 더 약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압력을 가하는 시간 차이에 비례하여 통증의 강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는, 환자가 입력버튼에 복수 회에 걸쳐 압력을 가하고, 기 설정 시간 동안 입력버튼의 조작이 없는 경우, 첫 회의 압력을 가한 시간으로부터 마지막 압력을 가한 시간까지의 시구간을 통증이 발생한 시구간, 즉 통증의 지속 시간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는 상기 입력버튼이 터치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입력버튼에 압력을 가하는 행위는 표시부(130)에 터치를 하는 행위가 될 수 있다.
한편, 기타 입력부(100c-5)는, 통증과 관련된 입력 외의 전원 on/off, 소리 조절 및/또는 표시방식 선택 입력 등의 각종 설정관련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는, 신체부위,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하는 방식 등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환자로부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입력받음으로써, 통증 발생 시 환자가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하게 할 수 있다.
- 단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단말(200)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인 스마트 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태블릿 PC(tablet PC),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및 스마트 글라스(smart gla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고정형 단말인 데스크 탑 PC,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울트라북(ultrabook)과 같은 퍼스널 컴퓨터 등과 같이 유/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200)의 모습을 나타내는 일례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이러한 단말(200)은, 데이터 통신부(210), 프로세서(22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 환자 단말)과 진료보조 단말(200-2, 의료인 단말)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모니터링 단말(200-1)은, 주로 환자가 사용하는 단말(200)일 수 있고, 진료보조 단말(200-2)은, 주로 환자를 진료하는 의사의 단말(200)일 수 있다.
여기서 모니터링 단말(200-1)과 진료보조 단말(200-2)은, 사용하는 주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200)이 수행하는 기능적 특징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을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통하여 이하에서 기술되는 단말(100)의 기능적 특징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단말(100)이 주체가 되어 후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한다고 설명하나, 상기 기술과 같이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후술되는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라면 자명하게 받아들일 것이다.
자세히, 먼저 모니터링 단말(200-1)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기반하여 기타 통증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의 통증 발생시점 정보를 기초로 통증발생 시각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 및/또는 위치 등)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의 통증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통증 주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타 통증정보를 수집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집된 기타 통증정보를 해당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여 갱신된 통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갱신된 통증정보를 생성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갱신된 통증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여 환자(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갱신된 통증정보를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송신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에 활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말(200)이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하고, 기타 통증정보를 수집해 통증정보를 갱신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송신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가 상기 기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것이다.
더하여, 다른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프로그램으로 구현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독출하여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진료보조 단말(200-2)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통증 데이터 차트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통증 데이터 차트란, 환자의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차트로서, 각종 그래프 및/또는 히트 맵(heat map) 등의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정보를 시각화한 정보일 수 있다.
이때, 히트 맵이란, 색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일정한 이미지 상에 열분포 형태의 비쥬얼한 그래픽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래프로서, 실시예에서 히트 맵은, 가로축을 날짜, 세로축을 시간으로 설정한 그래프 상에 색 및/또는 모양으로 통증정보의 요소(예컨대, 통증 강도 등)를 표시한 그래프일 수 있다.
즉, 통증 데이터 차트는, 환자의 통증정보를 시각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관련 상태를 쉽고 직관적으로 인식 및 분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란, 의료관련 이미지, 동영상, 애니메이션 또는 텍스트들의 조합으로 형성되어, 단말(200)을 통해 디스플레이되어 의료상담을 보조하는 자료이다.
자세히,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의료상담을 보조하기 위한 시청각 자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시청각 자료는, 통증 관리 콘텐츠, 당뇨병 관리 콘텐츠, 질병진단 콘텐츠, 치료방법 콘텐츠, 약물상담 콘텐츠, 진료비용 콘텐츠, 보험 정보 콘텐츠, 서명 콘텐츠, 기타 콘텐츠 및 전술한 콘텐츠들을 통합한 의료상담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에는, 환자의 통증정보, 신체기관 이미지, 질병 정보, 치료법 이미지, 치료법 정보, 약물 복약방법, 약물 정보 및 보험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이미지나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의료상담 콘텐츠을 작성하는데 사용되는 청각 정보도 보조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료관련 데이터(Electric Health Record, EHR)들을 기초로 생성된 시각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병원 서버나 병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수신한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진료보조 단말(200-2)에서 의사의 선택에 따라서 상담에 활용되도록 표시되며, 진료보조 단말(200-2)은 선택된 복수의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의사가 상담에 활용하기 쉽게 정렬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는, 다양한 방식의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의료 상담내용 및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된 의료상담 콘텐츠가 생성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자세히, 의료상담 콘텐츠란, 전술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사용자(의료인)에 의해 입력된 상담내용이 추가되어 생성된 콘텐츠이다. 즉, 의료상담 콘텐츠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상담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의료상담 콘텐츠 생성을 위해, 진료보조 단말(200-2)에서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들로 구성된 의료상담 콘텐츠 작성 화면이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되고,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에 상담내용이 입력되어 의료상담 콘텐츠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상담자가 필기, 음성, 편집 또는 영상을 입력하도록 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 상에 사용자의 필기입력을 감지하는 필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담 보조 이미지를 표시하면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하여 진료보조 단말(200-2)은, 터치스크린(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녹음하여 녹음된 상담음성을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와 매칭함으로써 상담내용을 입력하는 음성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진료보조 단말(200-2)은, 통증 데이터 차트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상의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의료상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통증 데이터 차트를 표시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 의료상담 콘텐츠는, 단말(200)에서 획득된 환자의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직접 생성될 수도 있고, 외부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 획득될 수도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술과 같이 진료보조 단말(200-2)에서 출력되는 통증 데이터 차트를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가 출력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 통증 모니터링 서버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및/또는 단말(200)과 연동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먼저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모니터링 단말(200-1)로부터 통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통증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생체정보(수면 및 스트레스 지수 정보 등)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획득된 부가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갱신된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각종 그래프 및/또는 히트 맵 등의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정보를 시각화한 정보인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데이터 차트를 메인 통증 그래프, 통증 바디맵, 제 1 연관 그래프, 제 2 연관 그래프 및 제 3 연관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한 설명은, 이하에서 후술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통증정보를 수신하여 환자별로 저장하고, 부가 생체정보를 획득하며,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등 일련의 동작을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에서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단말(200) 및/또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에서 상기 기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것이다.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제어부(160)를 통하여 상기 기술한 동작을 직접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모니터링 단말(100-1)로부터 통증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통증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수신된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생체정보(수면 정보, 스트레스 지수 정보 및/또는 환경 정보(온도, 습도, 날씨 및/또는 위치 정보 등))를 수신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부가 생체정보는, 운동정보, 수면정보, GPS 정보를 측정하는 유닛이 포함된 장치의 경우, 통증 모니터링 장치 자체에 의해서도 측정 및 획득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획득된 부가 생체정보를 모니터링 단말(200-1)로부터 수신된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갱신된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각종 그래프 및/또는 히트 맵 등의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정보를 시각화한 정보인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데이터 송수신부(310), 데이터 처리부(320) 및 데이터베이스(33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송수신부(310)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 단말(200), 외부 장치 및/또는 외부 서버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주고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처리부(32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처리부(320)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베이스(330)는,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330)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3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먼저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환자의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입력부(110)를 통하여 환자의 통증 신체부위, 통증 강도, 통증 패턴, 통증 유형, 통증 종류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 따라서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환자의 압력(악력) 입력에 의하여 획득된 압력(악력)의 정도 및/또는 가압 시간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인 통증 강도 및/또는 통증 패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2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a, 100b)는, 터치 스크린(100a-5, 100b-5)을 통한 환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서, 통증 신체부위, 통증 유형, 통증 종류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제 3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c)는, 디스플레이(터치 패널) 방식 또는 버튼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구현되는 통증부위 입력부(100c-2), 통증강도 입력부(100c-3) 및 통증부가정보 입력부(100c-4)에 대한 환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통증 강도, 통증 패턴, 통증 신체부위, 통증 종류, 통증 유형 및 부가 이상반응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입력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모니터링 단말(200-1)로 송신할 수 있다.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로부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S103)
계속해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기초로 기타 통증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기타 통증정보를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여 해당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105)
즉,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집된 기타 통증정보를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갱신된 통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자세히,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신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기초로 통증발생 시각 정보, 주변 환경정보, 통증 주기 등을 포함하는 기타 통증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의 통증 발생시점 정보를 기초로 통증발생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10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주변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 및/또는 위치 등)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의 통증 패턴 정보에 기초하여 통증 주기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기타 통증정보를 수집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집된 기타 통증정보를 해당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갱신된 환자 통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단말(200-1)은, 환자가 입력한 통증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증과 관련된 추가정보(예컨대, 통증발생 시각 정보, 주변 환경정보 등)를 자동으로 수집함으로써, 환자가 일일이 입력하기 어려운 통증관련 정보까지 통증정보에 포함하여 활용할 수 있으며, 보다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통증 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보조하여 환자진료의 객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통증정보에 기타 통증정보를 추가하여 통증정보를 갱신한 모니터링 단말(200-1)은, 갱신된 통증정보를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갱신된 통증정보를 수신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수신된 통증정보를 환자별로 데이터베이스(330)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S105)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부가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수집된 부가 생체정보를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여 해당 통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S107)
예를 들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이 포함하는 디바이스 이외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환자의 수면 정보 및/또는 스트레스 지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수집된 수면 정보 및/또는 스트레스 지수 정보를 해당 환자의 통증정보에 추가하여 통증정보 갱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부가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통증정보에 활용함으로써, 통증관련 정보 외의 어떠한 외부적 요인들이 환자의 통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함께 파악할 수 있는 다변량 데이터를 통증 진료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통증정보를 갱신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갱신된 통증정보를 기초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할 수 있다. (S109)
자세히 도 8을 참조하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각종 그래프 및/또는 히트 맵 등의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정보를 시각화한 정보인 통증 데이터 차트를 메인 통증 그래프, 통증 바디맵, 제 1 연관 그래프, 제 2 연관 그래프 및 제 3 연관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메인 통증 그래프를 통증 시간, 날짜 및/또는 세기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표시한 히트 맵 방식의 그래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통증 그래프는, 가로축이 통증 날짜, 세로축이 통증 시간, 그래프에 표시된 점 또는 원형바 형태의 표시 항목이 통증 강도, 통증 지속시간 및/또는 통증 날짜를 결정하는 히트 맵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인 통증 그래프는, 히트 맵 일측에 통증정도별 컬러 맵핑 가이드를 배치하여 통증 강도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바디맵을 통해 환자의 신체 중 어느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는지를 나타내는 통증 발생부위 분포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바디맵에서 특정 부위를 지정하게 되면 메인 통증 그래프와 연계되어 히트 맵에 해당 부위의 통증값만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즉, 통증 바디맵은, 메인 통증 그래프와 함께 통증 데이터 차트에 표시되어 어느 부위의 통증이 언제 어느정도로 발생하였는지를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정보 중 주요 데이터(예컨대, 통증 시간, 날짜 및/또는 세기 등)를 추출해 분석하여 별도의 제 1 연관 그래프를 생성해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연관 그래프는, 통증정보의 주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생성된 최고통증 변동 추이 그래프 및/또는 지속통증 변화 그래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정보 주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통증이 단기 급성 통증인지, 아니면 장기 만성 통증으로 발전 중인지를 확인할 수 있는 매일의 최고 통증값을 그래프로 표시한 최고통증 변동추이 그래프를 통증 데이터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정보 주요 데이터를 분석하여, 환자의 전일부터 당일의 지속통증의 추이가 어떠한지를 볼 수 있는 지속통증 변화 그래프를 점 그래프 형식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획득된 통증정보의 주요 데이터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생성된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상태를 보다 소상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부가 생체정보를 중심으로 제 2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획득된 환자의 수면 정보 및/또는 스트레스 지수 정보 등과 같은 부가 생체정보를 기반으로, 수면 그래프 및/또는 스트레스 그래프를 생성해 통증 데이터 차트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통증정보의 기타 통증정보를 중심으로 제 3 연관 그래프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자세히,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기반하여 추가 수집된 통증발생 시각정보 및 환자 주변 환경정보(온도, 습도, 날씨 및/또는 위치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타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날씨별 통증 빈도 그래프 및/또는 시간대별 통증 부위 그래프를 생성해 통증 데이터 차트로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날씨별 통증 빈도 그래프는, '비/습도, 풍량, 낮은기온, 심한 일교차' 등의 날씨에 따른 통증 발생 빈도 통계를 두어, 해당 날씨가 통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여러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시간대별 통증 부위 그래프는, 신체 부위별로 어떤 시간대에 통증이 심해지는지를 파악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부가 생체정보 및/또는 기타 통증정보에 기초한 제 2 연관 그래프 및/또는 제 3 연관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주요 요인과 외부 요인을 중심으로 환자 상태를 인지하여 다각화된 시선으로 통증 진료를 수행하게 할 수 있으며, 보다 광범위한 정보 활용을 통해 환자의 통증 상태를 포괄적으로 분석하게 할 수 있고, 환자 진료의 객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통증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증정보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정보인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게 할 수 있으며, 환자의 통증 상태를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한 통증 모니터링 서버(300)는,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진료보조 단말(200-2) 및/또는 모니터링 단말(200-1)로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증 데이터 차트를 수신한 진료보조 단말(200-2) 및/또는 모니터링 단말(200-1)은, 수시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그래픽 이미지로 제공할 수 있다. (S111, S113)
특히, 진료보조 단말(200-2)은, 수신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출력할 수 있다.
자세히, 진료보조 단말(200-2)은, 단말(20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및/또는 외부 서버와의 연동으로 동작하는 의료상담 보조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증 데이터 차트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진료보조 단말(200-2)은, 통증 데이터 차트를 표시하는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를 통해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상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의료인의 입력을 기반으로 생성되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진료보조 단말(200-2)은, 통증 데이터 차트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시각화된 통증관련 데이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의 통증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통증 모니터링을 통한 진료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상황에서 발현되는 환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고, 환자가 느끼는 통증 및 해당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수치화된 데이터를 생성하며, 이를 기반으로 해당 통증의 상태에 맞추어진 개인 맞춤형 진단/진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및 환자의 통증과 관련된 각종 요인들과의 관계를 정량화/패턴화한 정보에 기반한 환자 맞춤형 진단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획득된 환자의 통증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시각화된 정보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환자 진료 시 보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진단결과를 도출할 수 있어 환자진료의 질을 향상시키고 적절한 후속조치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통증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통증정보를 이용하여 시각화된 정보를 생성해 제공함으로써, 복수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구현하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환자의 통증관련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각종 통증관련 정보를 환자의 기억에 의한 진술에만 의존하여 발생하는 진단 오류 및 객관성 저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가 입력한 통증정보를 기초로 해당 통증과 관련된 추가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함으로써, 환자가 일일히 입력하기 어려운 통증관련 정보까지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가 입력한 통증정보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수집하는 통증관련 정보까지 활용하여 통증 모니터링을 위한 시각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광범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환자의 통증상태를 분석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고 분석의 객관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통증 모니터링 시스템 이외의 장치로부터 환자와 관련된 부가적인 생체정보를 수집함으로써, 통증관련 정보 외의 어떠한 외부적 요인들이 통증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함께 파악할 수 있는 다변량 데이터를 통증 진료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각종 그래프 및 차트를 활용한 시각화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통증 상태를 보다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정보를 의료상담 보조 콘텐츠 및/또는 의료상담 콘텐츠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시각화된 통증관련 데이터의 사용성을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향상시킬 수 있고, 환자의 통증 상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수 있으며, 통증 모니터링을 통한 진료의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의 변화와 증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질병 관리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환자에게 처방되는 의약품의 사용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해 예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회-의료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은, 환자의 통증의 변화와 증상의 변화를 모니터링하여 수치화된 데이터로 관리함으로써,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알고리즘 개발과 저작권화에 기반한 산업화의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사용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통증관련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통증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감지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압력 입력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 상기 표시부 및 제어부가 배치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일부영역은 상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는 유동 가능한 형태의 악력계 형상을 가지,
    상기 악력계 형상의 바디부 일부영역의 내부에는 상기 압력 측정부가 배치되고,
    상기 압력 측정부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사용자의 파지 압력 입력에 따라서 수축되고, 상기 사용자의 파지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변형에 따라 배출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수축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의 파지 압력의 세기를 측정하여 상기 압력 입력을 감지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탄성 부재부가 배치된 영역의 타측 영역에는 상기 사용자의 파지를 감지하는 생체감지 센서가 배치된
    통증 모니터링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를 통해 입력된 압력의 세기간에 따른 수치를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여 표시하고, 상기 압력의 세기에 변화에 따라 결정된 수치를 통증 강도로 결정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압력의 세기의 시간에 흐름에 따른 변화를 감지하여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에 포함시키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진료보조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진료보조 단말은, 시간에 흐름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6. 사용자의 통증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을 모니터링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사용자의 통증관련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
    통증관련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 및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의 압력 입력을 감지하는 압력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압력에 따라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입력부는, 일시적인 통증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트리거 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트리거 버튼을 통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생성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는, 사용자의 악력에 따라 유동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탄성부재와, 상기 악력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에 가해진 압력을 측정하는 감압 센서를 포함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가 배치되는 바디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는 상기 압력 측정부가 배치되며,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는 상기 표시부가 배치된
    통증 모니터링 장치.
  9. 통증 모니터링 장치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한 진료보조 단말의 프로세서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통증 강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복수회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순차적으로 누적하여 상기 사용자의 통증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복수의 날짜 동안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하나의 그래프로 나타낸 메인 통증 그래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바디맵, 제 1 연관 그래프, 제 2 연관 그래프 및 제 3 연관 그래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통증 그래프는,
    복수의 날짜 동안 누적된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히트 맵(heat map)으로 나타낸 그래프인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2. 통증 모니터링 장치에서 획득된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수신한 진료보조 단말의 프로세서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통증 모니터링 장치로부터 시간에 흐름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를 나태는 통증 강도 변화패턴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통증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통증정보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사용자의 통증정보를 기반으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통증 데이터 차트를 출력하는 단계는,
    시간에 흐름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에 흐름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 나타내는 그래프는,
    일 지속 통증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가 입력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을 도식화한 그래프인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 지속 통증 시간 동안에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일 지속 통증 시간동안 입력한 압력의 세기 변화를 감지된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 강도의 변화패턴에 따라서 통증의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증 모니터링 장치를 이용한 통증 모니터링 방법.
KR1020210069761A 2019-05-13 2021-05-31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452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761A KR102452311B1 (ko) 2019-05-13 2021-05-31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519A KR102261453B1 (ko) 2019-05-13 2019-05-13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210069761A KR102452311B1 (ko) 2019-05-13 2021-05-31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19A Division KR102261453B1 (ko) 2019-05-13 2019-05-13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780A true KR20210066780A (ko) 2021-06-07
KR102452311B1 KR102452311B1 (ko) 2022-10-07

Family

ID=732892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19A KR102261453B1 (ko) 2019-05-13 2019-05-13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20210069761A KR102452311B1 (ko) 2019-05-13 2021-05-31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519A KR102261453B1 (ko) 2019-05-13 2019-05-13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666272B2 (ko)
EP (1) EP3954275A4 (ko)
KR (2) KR102261453B1 (ko)
CN (1) CN113950281A (ko)
WO (1) WO20202309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394B1 (ko) 2021-06-25 2023-10-05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준정적 접촉으로 유발되는 통증 임계치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
WO2023237749A1 (en) * 2022-06-10 2023-12-14 Xie Yaqi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in
GB202208551D0 (en) * 2022-06-10 2022-07-27 Xie Yaqil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pain
EP4344617A1 (en) * 2022-09-27 2024-04-03 Koninklijke Philips N.V. Pain detection
EP4344618A1 (en) * 2022-09-27 2024-04-03 Koninklijke Philips N.V. Pain monitoring
PL442529A1 (pl) * 2022-10-14 2023-05-15 Uniwersytet Mikołaja Kopernika W Toruniu Adapter dolorymetryczny do dynamometru dłonioweg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927B1 (ko) 1998-12-30 2002-1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비트라인형성방법
KR20040090321A (ko) * 2003-04-17 2004-10-2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압통 측정 장치
KR20140094912A (ko) * 2013-01-23 2014-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생체신호 센서
KR20170020049A (ko) * 2015-08-13 2017-0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89727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58818B1 (ko) * 2018-11-16 2019-07-02 성주은 개인 맞춤형 통증 관리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29195B1 (en) * 2000-09-08 2003-03-04 James B. Eberlein Pain migration tracking and display method
US8750971B2 (en) * 2007-05-24 2014-06-10 Bao Tran Wireless stroke monitoring
US8021298B2 (en) 2007-06-28 2011-09-20 Psychological Applic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pain depth
US20110066078A1 (en) * 2009-09-14 2011-03-17 Artann Laboratories, Inc. Pain monitor for a patient undergoing a medical procedure
CA2775775C (en) * 2009-10-02 2018-11-13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ultimodal automated sensory testing system
WO2011079966A1 (de) * 2009-12-28 2011-07-07 Msy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und messen von schmerzen
AT509443A1 (de) 2010-02-12 2011-08-15 Ait Austrian Inst Technology Verfahren zur objektivierten bestimmung und messung von schmerzen
EP2543317B1 (de) * 2011-07-06 2016-10-12 Msys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rfassen der Handkraft oder des Handdrucks
KR101263184B1 (ko) * 2012-05-29 2013-05-10 최수연 환자 상태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WO2014134631A1 (en) * 2013-03-01 2014-09-04 Virtusense Technologies Palpation evaluation or diagnosis device, system, and method
JP6721607B2 (ja) * 2015-01-10 2020-07-15 デュレン、デボラ 患者の治療と転帰の診断と検証のための、自律神経機能の測定方法および装置
SG11201707273YA (en) * 2015-03-24 2017-10-30 Ares Trading Sa Patient care system
US11363985B2 (en) * 2015-04-17 2022-06-21 Nanolum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ain tracking
US9981131B2 (en) * 2015-11-19 2018-05-29 Pacesetter,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spinal cord stimulation parameters based on patient feedback
WO2017088047A1 (en) * 2015-11-24 2017-06-01 Bakker Ryan M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physical recovery
US20170242965A1 (en) * 2016-02-24 2017-08-24 Rewire Ltd. Dynamic interactive pai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EP3219257B1 (en) 2016-03-18 2019-02-13 Bromm, Boris Device for measuring a pressure force
KR101930427B1 (ko) * 2017-06-07 2018-12-18 장원석 치과시술용 통증 모니터링 및 피드백 시스템
CN208243549U (zh) * 2017-06-28 2018-12-18 江苏爱朋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疼痛表情采集及处理装置
JP2019010414A (ja) 2017-06-30 2019-01-2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端末装置、痛み記録システム、痛み記録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241191B2 (en) * 2018-02-05 2022-02-08 Andru Zeller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pai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927B1 (ko) 1998-12-30 2002-11-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비트라인형성방법
KR20040090321A (ko) * 2003-04-17 2004-10-22 학교법인연세대학교 압통 측정 장치
KR20140094912A (ko) * 2013-01-23 2014-07-3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 생체신호 센서
KR20170020049A (ko) * 2015-08-13 2017-02-2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통증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89727A (ko) * 2016-01-27 2017-08-0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852768B1 (ko) 2016-01-27 2018-04-27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통증 모니터링 서비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1958818B1 (ko) * 2018-11-16 2019-07-02 성주은 개인 맞춤형 통증 관리 방법 및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epeutic Digital Talking Hand Grip Exerciser, amazon, https://www.amazon.com/Carepeutic-Digital-Talking-Hand-Exerciser/dp/B009QV5J6E?th=1(2013.11.)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0944A (ko) 2020-11-23
WO2020230952A1 (ko) 2020-11-19
CN113950281A (zh) 2022-01-18
KR102261453B1 (ko) 2021-06-07
US11666272B2 (en) 2023-06-06
EP3954275A1 (en) 2022-02-16
EP3954275A4 (en) 2023-05-24
US20220202361A1 (en) 2022-06-30
KR102452311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2311B1 (ko) 통증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US202100290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sponse calibration
US8702238B2 (en) Interactive medical diagnosing with portable consumer devices
CN109310317A (zh) 用于自动医学诊断的系统和方法
CN109475351B (zh) 任务执行顺序决定系统以及任务执行方法
CN109313817A (zh) 用于生成医学诊断的系统和方法
CA2702402A1 (en) Personalized management and monitoring of medical conditions
JP2019091498A (ja) 回答の較正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Szydło et al. Mobile and wearable devices in an open and universal system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CN105377121A (zh) 插入部位决策支持系统和方法
US2022012537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Characterizing Pain
US20190214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care service
WO201808728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handgrip strength assessment using pressure-sensitive elements
CN109310330A (zh) 用于医学器械患者测量的系统和方法
Pagiatakis et al. Intelligent interaction interface for medical emergencies: Application to mobile hypoglycemia management
Aziz et al. Wearable IoT Devices in Rehabilitation: Enabling Personalized Precision Medicine
US20140122541A1 (en) Apparatus for collecting lifelog data and method thereof
Condell et al. Finger movement measurements in arthritic patients using wearable sensor enabled gloves
JP2020017120A (ja) 診断支援装置、診断支援方法及び診断支援プログラム
WO2022249111A1 (en) Stroke rehabilitation therapy predictive analysis
WO201704409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fine motor behavior
US1151721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lectro-meridian diagnostics
Alfikri A Comprehensive mHealth System for Chronic Low Back Pain Assessment: Development, Evaluation, and Exploration for Future Works
KR20220068005A (ko) IoT 디바이스 연동 인지재활 서비스 제공 방법
El-Gayar et al. A mHealth architecture for diabetes self-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