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6389A -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6389A
KR20210066389A KR1020190155580A KR20190155580A KR20210066389A KR 20210066389 A KR20210066389 A KR 20210066389A KR 1020190155580 A KR1020190155580 A KR 1020190155580A KR 20190155580 A KR20190155580 A KR 20190155580A KR 20210066389 A KR20210066389 A KR 202100663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along
ventilation membrane
overl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6146B1 (ko
Inventor
김병곤
전호석
김호성
박소영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주식회사 케이에이티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5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614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6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6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0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 B01D39/12Filter screens essentially made of metal of wire gauze; of knitted wire; of expand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동일한 와이어를 평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 배열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마루와 골이 중첩으로 만나는 부분에 체눈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하는 마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을 제공하고, 마루와 골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5mm 이상 직경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와이어를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함과 동시에, 스폿용접 또는 저항용접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망체를 형성하는 중첩단계와; 상기 망체를 설치 대상물에 대응하여 원형,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망체로 마름질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망체의 테두리를 따라 채널 형상의 마감프레임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기존에 필터망으로 사용되는 메시망 및 타공망에 비해 송풍에너지의 통과 효율 및 안정적인 통풍 기능을 확보하며, 탁월한 내구성과 입자에 의한 막힘 방지 기능을 을 갖는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Blown membrane and that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필터망으로 사용되는 메시망 및 타공망에 비해 송풍에너지의 통과 효율 및 안정적인 통풍 기능을 확보하며, 탁월한 내구성과 입자에 의한 막힘 방지 기능을 갖는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망은 금속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으로 하수구, 배수구, 송유관, 정화조, 정수장 등의 필터에 사용되거나, 석탄, 식품가공, 폐자재, 토목 및 건축 자재 등 입자의 굵기 차이로 선별하는 선별분야에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필터망은 소정의 입자를 제한하여 통과시킬 수 있는 장치로 금속와이어를 직조한 메시망 또는 금속판에 다수의 구멍을 형성한 타공망으로 제공되어 왔다.
상기 메시망은 와이어를 지그재그로 직조한 것으로 이 와이어의 굵기를 선경이라 하고, 와이어의 사이에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을 체눈이라 한다.
이러한, 메시망에 경우 와이어의 선경이 굵어지면 체눈의 넓이가 넓어지고, 반대로 와이어의 선경의 얇아지면 체눈의 넓이가 좁아지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즉, 선별 작업에서는 입자의 굵기에 따라 체눈의 넓이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자만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체눈이 좁아야 하고 이에 따라 선경의 굵기도 매우 작아져야 하지만, 크거나 중량이 있는 입자가 메시망에 타격을 주어 장기간 사용시 메시망이 휘어져 회손되거나, 파손되어 본연의 선별 또는 필터 역할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자주 교체해야 하는 보수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시망 및 타공망에 경우 입자를 통과 시키게 되므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체눈에 걸려 막힘 현상이 발생하므로 수시로 유지보수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은 판재에 복수의 통공을 타공하여 필터망 본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필터망 본체를 일정한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필터망 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간격을 두고 상기 필터망 본체에 기준 접합선을 표시하는 단계; 내부에 체적 공간을 갖는 통 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필터망 본체의 일단부와 타단부가 중첩되도록 상기 필터망 본체를 포밍하는 단계; 및 상기 포밍된 필터망 본체의 타단부가 일단부에 중첩하며 상기 기준 접합선에 일치하도록 상기 포밍된 필터망 본체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망이 타공망으로 형성되는 경우 필터망의 견고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판의 두께와 체눈의 넓이에 따라 타공을 형성해야 하므로 현재까지 미세 구멍을 체눈을 형성하기 어려움이 있으며, 입자가 구멍에 걸려 필터 성능이 저하됨에 따라 자주 세척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자의 굵기에 따른 선별 또는 필터링 등 본연의 필터망의 성능을 가지면서 중량물의 충격에 견고하고, 입자의 굵기에 상관없이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필터망이 요구된다.
KR 10-2015-0060194 A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루와 골이 반복적으로 파형을 갖는 와이어를 평행하게 중첩 배열하여 상기 마루와 골이 만나는 사이에 체눈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선경의 굵기에 상관없이 체눈의 넓이를 조밀하게 형성됨에 따라 기존에 필터망으로 사용되는 메시망 및 타공망에 비해 송풍에너지의 통과 효율 및 안정적인 통풍 기능을 확보하며, 입자의 통과는 차단하면서 공기를 원활하게 통과시켜 입자 걸림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탁월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와 골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동일한 와이어를 평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 배열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마루와 골이 중첩으로 만나는 부분에 체눈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하는 마감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망체는 상기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와 골이 상호 교차되거나, 상기 망체는 상기 와이어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편심되어 상기 와이어가 중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루의 중첩에 의해 사선 방향의 가이드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는 5mm 이상의 굵기를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눈의 넓이는 자유롭게 여러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1mm2 이하로도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통풍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마루와 골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5mm 이상 직경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를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와이어를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함과 동시에, 스폿용접 또는 저항용접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망체를 형성하는 중첩단계와; 상기 망체를 설치 대상물에 대응하여 원형,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망체로 마름질하는 재단단계와; 상기 망체의 테두리를 따라 채널 형상의 마감프레임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선경의 굵기에 상관없이 체눈의 넓이를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 기존에 필터망으로 사용되는 메시망 및 타공망에 비해 송풍에너지의 통과 효율 및 안정적인 통풍 기능을 확보하며, 입자의 통과는 차단하면서 공기를 원활하게 통과시켜 입자 걸림에 의한 막힘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탁월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막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막의 일부 확대 및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막의 조립도.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통풍막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막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동일한 기술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통풍막(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탄, 식품가공, 폐자재, 토목 및 건축 자재 등 입자의 크기 별로 선별하는 선별분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선별하고자 하는 입자는 통과시키지 않고, 공기와 같은 유체를 미세하게 통과시키는 일종에 막을 형성하는 망체(110)와, 이 망체(110)를 테두리를 고정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마감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도 1에 의하면, 상기 망체(1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112)와 골(113)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111)와, 상기 와이어(111)와 동일한 와이어(111)를 평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 배열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마루(112)와 골(113)이 중첩으로 만나는 부분에 체눈(115)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넓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감프레임(120)은 상기 망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할 수 있다.
기존에 망체는 와이어를 직조방식으로 그물을 짜서 체눈을 형성하는 반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망체(110)는 와이어(111) 가닥을 마루(112)와 골(113)이 형성된 파형으로 성형하여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복수의 와이어(111)를 평행하게 중첩하되, 와이어(111)의 마루(112)가 다음 와이어(111)의 골(113)과 만나 그 사이에 체눈(115)이 형성되도록 복수의 와이어(111)를 연속적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망체(110)를 형성하기 위해 각 실시예에 따라 일부 구조에 차이가 있다.
<실시예 1>
도 2에 의하면, 상기 망체(110)는 상기 와이어(111)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112)와 골(113)이 상호 교차하여 체눈(115)이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와이어(111)의 마루(112)의 중심과 다음 와이어(111)의 골(113)에 해당하는 각 중심이 서로 평행하기 일치한 상태로 중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실시예 2>
도 3에 의하면, 상기 망체(110)는 상기 와이어(111)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1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편심되어 상기 와이어(111)가 중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루(112)의 중첩에 의해 사선 방향의 가이드돌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형성과 다르게 와이어(111)의 마루(112)와 다음 와이어(111)의 마루(112)가 만나되, 각각의 마루(112)의 중심이 평하게 일치하는 것이 아니라,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편심될 수 있다.
상기 망체(110)에 적용되는 와이어(111)는 5mm 이상의 굵기를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111)의 중첩으로 인해 형성되는 상기 체눈(115)의 넓이는 상기 와이어(111)의 중첩 배열되어 만나는 마루와 골이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여러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1mm2 이하로도 형성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구성된 본 발명의 통풍막(100)을 석탄의 분쇄물을 선별하는 선별장치(200)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선별장치(200)의 상부에 통풍막(100)을 설치하고, 그 상부에 분쇄물을 올려 통풍막(100)을 진동시키면서, 하부 송풍기(210)로부터 체눈(115)을 통해 공기를 불어 넣어 주면, 석탄 분쇄물 속에 들어 있는 석탄 분과 맥석들을 그들의 비중차이에 의하여 선별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선별장치(200)에 적용되는 경우 와이어(111)의 최대 높이 부분이 마루(112)에 의해 분쇄물의 입자가 통풍막(100)의 통과를 차단하고, 아래 송기기(210)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체눈(115)을 통과하여 골(113)과 마루(112)의 사이에 위치되는 입자를 밀어낼 수 있다.상기한 선별장치 외에 급수관, 송유관의 필터로 사용하거나, 공조기는 물론 건축자재 또는 폐자재 선별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풍막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단계(S100), 중첩단계(S200), 재단단계(S300), 마감단계(S400)를 순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S100)는 통상의 압출기 또는 프레스 등의 성형장치를 통해 마루(112)와 골(113)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5mm 이상 직경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111)을 성형한다.
상기 중첩단계(S200)는 상기 와이어(111)를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함과 동시에, 스폿용접 또는 저항용접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망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재단단계(S300)는 상기 망체(110)를 설치 대상물에 대응하여 원형,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망체(110)로 마름질한다.
즉, 용접을 통해 와이어(111)를 중첩한 후 각 모서리에 남은 돌기 들을 적절히 잘라내어 사각 또는 원형의 넓을 갖는다.
상기 마감단계(S400)는 상기 망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채널 형상의 마감프레임(120)을 설치하여 마감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선경의 굵기에 상관없이 체눈의 넓이를 조밀하게 형성할 수 있어 기존에 필터망으로 사용되는 메시망 및 타공망에 비해 송풍에너지의 통과 효율 및 안정적인 통풍 기능을 확보하며, 탁월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통풍막
110: 망체
111: 와이어
112: 마루
113: 골
115: 체눈
117: 가이드돌부
120: 마감프레임
S100: 성형단계
S200: 중첩단계
S300: 재단단계
S400: 마감단계

Claims (6)

  1. 길이 방향을 따라 마루(112)와 골(113)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와이어(111)와, 상기 와이어(111)와 동일한 와이어(111)를 평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 배열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마루(112)와 골(113)이 중첩으로 만나는 부분에 체눈(115)이 형성되도록 소정의 넓이를 갖는 망체(110)와;
    상기 망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마감하는 마감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체(110)는,
    상기 와이어(111)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112)와 골(113)이 상호 교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망체(110)는,
    상기 와이어(111)를 연속적으로 중첩하되, 상기 마루(112)가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편심되어 상기 와이어(111)가 중첩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마루(112)의 중첩에 의해 사선 방향의 가이드돌부(11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111)는 5mm 이상의 굵기를 갖는 강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눈(115)의 넓이는 상기 와이어(111)의 중첩 배열되어 만나는 마루와 골이 간격에 따라 자유롭게 여러 크기로 형성할 수 있으며, 1mm2 이하로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6. 마루(112)와 골(113)이 길이 방향을 따라 반복되어 소정의 길이를 갖는 5mm 이상 직경의 강선으로 이루어지는 와이어(111)을 성형하는 성형단계(S100)와;
    상기 와이어(111)를 폭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중첩함과 동시에, 스폿용접 또는 저항용접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망체(110)를 형성하는 중첩단계(S200)와;
    상기 망체(110)를 설치 대상물에 대응하여 원형, 사각형 또는 다양한 모양으로 소정의 넓이를 갖는 판 형상의 망체(110)로 마름질하는 재단단계(S300)와;
    상기 망체(110)의 테두리를 따라 채널 형상의 마감프레임(120)을 설치하여 마감하는 마감단계(S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막 제조방법.
KR1020190155580A 2019-11-28 2019-11-28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KR10230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80A KR102306146B1 (ko) 2019-11-28 2019-11-28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5580A KR102306146B1 (ko) 2019-11-28 2019-11-28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6389A true KR20210066389A (ko) 2021-06-07
KR102306146B1 KR102306146B1 (ko) 2021-09-30

Family

ID=76374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5580A KR102306146B1 (ko) 2019-11-28 2019-11-28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61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2043Y1 (ko) * 2002-10-15 2003-01-24 권영철 스크린 철망
KR20040029634A (ko) * 2002-10-01 2004-04-08 안두혁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KR20050025154A (ko) * 2002-07-18 2005-03-11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나선형 막 엘러먼트, 역침투막 모듈 및 역침투막 장치
KR20110078673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 선별용 조립식 스크린 철망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060194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은성 필터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5154A (ko) * 2002-07-18 2005-03-11 오르가노 가부시키가이샤 나선형 막 엘러먼트, 역침투막 모듈 및 역침투막 장치
KR20040029634A (ko) * 2002-10-01 2004-04-08 안두혁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KR200302043Y1 (ko) * 2002-10-15 2003-01-24 권영철 스크린 철망
KR20110078673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골재 선별용 조립식 스크린 철망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150060194A (ko) 2013-11-26 2015-06-03 주식회사 은성 필터망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6146B1 (ko) 2021-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90588B1 (de) Anordnung zum Abscheiden von Grobasche aus einem Rauchgasstrom
US11951421B2 (en) Perforated foil screen assembly
DE102006039238B4 (de) Strömungsmesser
AU2008253590C1 (en) Vibrating screen panel
EP2420309B1 (en) A gas cleaning system having a gas flow rectifier
EP2764976A2 (en) Filter mesh assembly for a plastic extruder filter assembly and method of filtering recycled material
US9930881B2 (en) Corrugated fish screen with continuous flow refugia
CA2371171A1 (en) Screen assembly, vibratory separator and method of screening
EP1140379A1 (en) Screen assembly for use in a vibratory shaker
US6691413B2 (en) Underdrain filtration system with stamped perforations
KR102306146B1 (ko) 통풍막 및 그 제조방법
AU652758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creening panels
US20200230653A1 (en) Screening Material and Screen Assembly
WO2012042327A1 (en) Duct transition arrangement
WO2007028209A1 (en) Screen panel
CN115253402A (zh) 过滤盘段
EP0148289A1 (de) Filterunterdecke zum Ausscheiden und Niederschlagen von Schwebestoffen aus aufsteigender Abluft
GB2287200A (en) Improved Screening Panels
AU2006289664B2 (en) Screen panel
DE4243932A1 (de) Schutzgitter für offene Kanäle
EP4074400A1 (en) Screening apparatus for removing solid material from flowing liquid and associated screening panel
US20230020774A1 (en) Liquid dispersing perforated plate
JP2005344276A (ja) スクリーン式除塵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パネル連結装置
CA2415216A1 (en) Undershot overflow filter
CA2170231A1 (en) Filtration media reten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