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736A -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736A
KR20210065736A KR1020190154827A KR20190154827A KR20210065736A KR 20210065736 A KR20210065736 A KR 20210065736A KR 1020190154827 A KR1020190154827 A KR 1020190154827A KR 20190154827 A KR20190154827 A KR 20190154827A KR 20210065736 A KR20210065736 A KR 2021006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opening
cover
driving device
prot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5580B1 (ko
Inventor
김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90154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5580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 컴퓨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도난,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개방을 위한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셔터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COMPUTER BODY PRO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 컴퓨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도난,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컴퓨터는 개인 생활뿐만 아니라 업무영역에서도 필수품이며, 빈번하게 사용딘다. 이러한 컴퓨터는 메인보드, 메모리, 그래픽카드, 하드디스크, 전원과 같은 각 기능 구성이 케이스 내부에 수납 및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는 용도에 따라 다른 성능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 각 구성을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들은 성능이 높아질 수록 고가의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문에, 도난, 고의적인 소손으로부터 구성품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다양한 정보에는 개인정보 또는 업무비밀과 같이 사용자 외의 타인에게 공개 또는 제공되면 안되는 정보들을 다수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정보는 전술한 하드디스크에 저장된다.
때문에, 도난이나 의도적인 접근에 의해 정보가 누출될 수 있으며, 이는 도난과 함께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45258호(공개일 2001. 06. 05.)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 컴퓨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도난, 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개방을 위한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셔터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는 인증이 이루어진 사용자에 대해 컴퓨터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도난, 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보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 1의 셔터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인증모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를 구비하는 컴퓨터 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보호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케이스 보호 장치(10)는 본체(11), 인증모듈(20), 셔터부(30), 전원부(60) 및 제어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1)는 내부에 컴퓨터의 구성인 전원부, 메인보드, 그래픽카드, 메모리카드, 하드디스크, 인터페이스와 같은 구성을 수납하고, 본체(11)를 관통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단자에 의해 외부전원,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와 같은 장치와 연결된다.
특히, 본체(11)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12) 외에도 인증모듈(20)과 셔터부(30)가 마련된다. 본체(11)는 플라스틱과 금속이 혼합되거나, 금속에 의해 제조되며,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1)는 측면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측을 개방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셔터부(30)는 이 개구부을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인증모듈(20)은 셔터부(30)를 구동할 수 있는 사용자인지 확인하기 위해 본체(11)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된다. 인증모듈(20)은 사용자의 지문, 패턴,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정보를 입력받아 제어부(5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인증모듈(20)은 입력패드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하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셔터부(30)는 본체(11)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해 개구부를 개방하며 평시에는 개구부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셔터부(30)는 본체(11) 내부에 동작을 위한 구성이 설치되고, 개구부를 여다는 셔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셔터부(3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원부(60)는 인증모듈(20), 셔터부(30) 및 제어부(5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부(60)는 컴퓨터의 전원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별도로 외부전원과 직접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보호장치(10)에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60)는 배터리(6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터리(61)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전원부(60)는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외부전원에 의해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함과 아울러, 배터리(61)를 충전한다. 그리고 전원부(60)는 외부전원이 단절되는 시점에서는 배터리(61)에 저장된 전력을 보호장치(10)에 공급하게 된다. 때문에, 전원부(60)는 컴퓨터의 전원을 외부전원의 공급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할 뿐, 컴퓨터의 전원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전원부(60)로 구성된다.
더불어, 전원부(60)에 의한 전원공급은 인증모듈(20)의 동작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인증모듈(20)의 설명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50)는 인증모듈(20)의 인증결과에 따라 셔터부(30)의 개방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50)는 인증모듈(20)로 입력된 인증정보가 권한자의 인증정보인 경우 셔터부(30)의 구동부를 구동하여 본체(10)의 개구부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50)는 배터리(61)의 충방전을 관리하기 위해 전원부(60)의 전력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셔터부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셔터부(30)는 셔터구동부(35), 셔터(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셔터구동부(35)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전원부(6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31), 기어(32), 샤프트(33) 및 레일(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31)는 회전동력을 생성한다.
기어(32)는 모터(31)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샤프트(33)에 전달하여 샤프트(33)를 회전시킨다.
샤프트(33)는 기어(32)에 결합되고 개구부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된다. 이 샤프트(33)에는 셔터(40)의 결합부재(41)가 결합된다. 샤프트(33)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결합부재(41)는 샤프트(33)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는 구조의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 결합부재(41)는 너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례로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레일(34)은 개구부의 타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샤프트(33)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이 레일(34)은 단면 형상이 일측이 개구되거나, 길이방향으로 따라 연속적인 홈 또는 슬릿이 형성된 파이프, 각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레일(34)는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봉 형태의 것일 수 있다. 아울러, 레일(34)은 본체(11)를 절곡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레일(34)에는 셔터(40)의 가이드부재(42)가 결합 또는 안착된다. 즉, 샤프트(33)의 회전에 의해 셔터(40)가 이동하는 경우 타측을 가이드부재(42)가 레일(34)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셔터(40)는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벽체이다. 셔터(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식으로 형성되어 신장 또는 수축된다. 이때, 일단의 모서리에는 결합부재(41)와 가이드부재(42)가 결합된다. 이를 통해 셔터(40)는 결합부(41)가 샤프트(33)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33)를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접히거나 펼쳐지게 되어 개구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이를 위해 셔터(40)는 벨로우즈 방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금속판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구성도리 수 있다.
이를 위해 셔터(40)의 타단 모서리에는 고정부재(43a, 43b: 43)에 의해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타단이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제어부(50)는 인증모듈(20)을 통해 사용자의 인증이 이루어지는 경우 모터(31)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전원과 함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셔터(40)가 개방될 수 있게 한다.
도 4는 도 1의 인증모듈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모듈(20)은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인증모듈(20)은 본체(11)에 마련되는 설치위치에 마련된다. 이러한 인증모듈(20)은 덮개(21), 구동장치(22), 입력인터페이스(23) 및 컨트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덮개(21)는 입력인터페이스(23)를 사용시에만 개방하고 미사용시 보호하는 역할함과 아울러 인증모듈(20)의 동작을 위한 스위치 역할을 한다. 즉, 덮개(21)는 사용자가 동작시키는 경우 인터페이스를 개방함과 아울러 인증모듈(20) 및 셔터(30)에 전원 공급을 개시하도록 하는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덮개(21)는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일부 개방하는 경우 덮개(21)에 연결된 구동장치(22)에 의해 자동으로 나머지 구간을 개방한다. 이때 일부 개방 구간이 트리거로 동작하고, 컨트롤러(24)가 덮개(21)와 연결된 구동장치(22)의 회전을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감지하면, 나머지 구간은 구동장치(22)를 구동하여 개방하게 된다.
구동장치(22)는 모터와 같은 수단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장치(22)에 의해 발생되는 전기력은 컨트롤러(24)에 전달된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22)는 회전에 의해 전기력을 생성하는 DC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구동장치(22)는 컨트롤러(24)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하여 덮개(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게 된다.
입력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로부터 인증정보가 입력된다. 인증정보는 지문, 번호, 드래그 패턴과 같은 것일 수 있으며, 인증정보에 따라 입력인터페이스(23)의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인터페이스(23)는 지문인식장치, 번호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입력인터페이스(23)는 덮개(21)의 개방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입력되는 인증정보를 제어부(50)에 전달하게 된다.
컨트롤러(24)는 인증모듈(2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컨트롤러(24)는 대기상태에서 전원부(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덮개(21)의 동작을 감지하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트롤러(24)는 덮개(21)의 움직임에 따라 구동장치(22)로부터 신호가 발생되면, 구동장치(22)에 전원을 공급하여 덮개(21)가 입력인터페이스(23)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러(24)는 인증모듈(20)이 동작함을 제어부(50)에 전달하여 제어부(50)가 인증정보 확인 및 셔터(30)를 동작시킬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보호장치 11: 본체
20: 인증모듈 30: 셔터
31: 모터 32: 기어
33: 샤프트 34: 레일
41: 결합부재 42: 가이드부재
35: 셔터구동부 50: 제어부
60: 전원부 61: 배터리

Claims (5)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셔터;
    상기 셔터의 개방을 위한 인증정보를 입력받는 인증모듈;
    상기 인증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도록 상기 셔터의 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벨로우즈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보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모터;
    상기 모터와 기어에 의해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개구부의 일측면을 따라 설치되며 나사산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와 다른하게 상기 개구부의 타측면을 다라 설치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상기 셔터의 일측 종단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셔터가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보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모듈은
    상기 본체에 상기 개구부와 별도로 형성되는 개구를 덮거나 열도록 설치되는 덮개;
    상기 덮개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를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덮개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며,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인터페이스 및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컴퓨터 본체 보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덮개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체 전원을 공급하여 감지된 이동방향으로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본체 보호 장치.
KR1020190154827A 2019-11-27 2019-11-27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KR102275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27A KR102275580B1 (ko) 2019-11-27 2019-11-27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827A KR102275580B1 (ko) 2019-11-27 2019-11-27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736A true KR20210065736A (ko) 2021-06-04
KR102275580B1 KR102275580B1 (ko) 2021-07-09

Family

ID=76391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827A KR102275580B1 (ko) 2019-11-27 2019-11-27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558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866B1 (ko) * 1997-11-20 2000-05-01 윤종용 공조기기
KR20000024249A (ko) * 2000-02-01 2000-05-06 박근배 컴퓨터 보안장치 및 그에 따른 보안방법
JP2001055878A (ja) * 1999-08-17 2001-02-27 I S T:Kk 横開き式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10045258A (ko) 1999-11-04 2001-06-05 이의일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KR20080023494A (ko) * 2006-09-11 2008-03-14 (주)아자코리아일렉트론 컴퓨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5866B1 (ko) * 1997-11-20 2000-05-01 윤종용 공조기기
JP2001055878A (ja) * 1999-08-17 2001-02-27 I S T:Kk 横開き式シートシャッター
KR20010045258A (ko) 1999-11-04 2001-06-05 이의일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KR20000024249A (ko) * 2000-02-01 2000-05-06 박근배 컴퓨터 보안장치 및 그에 따른 보안방법
KR20080023494A (ko) * 2006-09-11 2008-03-14 (주)아자코리아일렉트론 컴퓨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5580B1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931B2 (en) Table with electrical ports
US20090002927A1 (en) Electronic apparatus
WO2009147889A1 (ja) 携帯端末用カバー
US10579159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tegrated device actuator monitoring
JPWO2007007640A1 (ja) 運転許可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搭載した機械
JPH10187317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キーボード制御装置
US10058003B1 (en) Electronic device storage apparatus with an enhanced self-locking mechanism in communication with a slidable cover
CN101510243A (zh) 一种数据安全保护装置及安全支付设备
KR102275580B1 (ko)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EP1927985A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200036453A (ko)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하여 데이터 보호 기능을 갖는 데이터 저장 수단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06028263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20140237271A1 (en) Controlling energizing range of mobile electronic device
US6442019B1 (en) Computer having a built-in mouse rack
US10579158B2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predictive key retraction and extension actuation
CN101470462A (zh) 折叠式电子装置
JP2011190572A (ja) 自己発電型個人認証システム
US20130141021A1 (en) Motor control circuit and keyboard assembly having same
US10222872B1 (en) Information handling system integrated device key actuator
TWM626598U (zh) 折疊式電子裝置
KR20030019115A (ko) 지문 인증 장치
US10579095B2 (en) Goods processing apparatus having a pivotable display
US10503285B1 (en) Retractable touchpad button bumper
JP6055008B2 (ja) 携帯型情報処理装置、その磁気ディスク装置保護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可能なプログラム
CN102081718A (zh) 具有感应式掀盖功能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