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452A - Iot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Iot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452A
KR20210065452A KR1020190154209A KR20190154209A KR20210065452A KR 20210065452 A KR20210065452 A KR 20210065452A KR 1020190154209 A KR1020190154209 A KR 1020190154209A KR 20190154209 A KR20190154209 A KR 20190154209A KR 20210065452 A KR20210065452 A KR 20210065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unit
iot
combination
stee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6726B1 (ko
Inventor
백다혜
Original Assignee
백다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다혜 filed Critical 백다혜
Priority to KR1020190154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2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5Apparatus therefor emanating multiple od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2Deodorant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being in a special form, e.g. gel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A61L9/032Apparatu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방향제를 기화시켜 특정 향기가 분산되도록 하는 IOT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향기를 배출하는 방향부(100)와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를 거치하는 거치부(200) 및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조합되어 새로운 향기를 생성되도록 하는 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 조향 장치{PERFUME COMBINATION IOT-APPARATUS}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은 IOT 조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방향제를 기화시켜 특정 향기가 분산되도록 하되, 통신으로 연결되는 IOT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IOT 조향 장치는 방향제를 기화시켜 특정 공간에 방향제의 향기가 확산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대한민국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0890호(2009.10.27. 공개, “탈착식 방향 디퓨져”)에는 건물 실내의 냉,난방 또는 환기를 위한 공기조화 덕트에 연결되어, 실내에 노출되는 상태로 천장부재에 설치되는 디퓨져에 있어서, 상단부가 공기조화 덕트와 연결되는 중공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그 하측에는 외측으로 절곡되는 제1턱부 및 제2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턱부에 상하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탈착공은 원 형태의 삽입구와 원주 방향의 안내홈이 연결되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턱부가 상기 천장부재의 하측부에 고정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고정프레임; 및 연결부재와 조절부재와 개폐부재로 구성되는 통기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턱부의 저면에 상응하는 직경으로, 단면상 'T' 형태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상기 탈착공의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안내홈을 따라 측방으로 유동되도록 상면에 형성되는 외측링과 상기 외측링의 내측 중앙에 위치되도록 다수개의 연결편으로 연결되며, 내부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구비되는 내측링을 포함하여, 상기 외측링과 내측링 사이에는 상기 연결편으로 구획되는 각각의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부재는, 원뿔형상에서 중앙에 중공부가 높이방향으로 관통형성되는 형태로,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편에 상응하도록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의 공간부를 하방에서 덮을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 중앙으로 외표면에는 상기 내측링의 암나사산에 대응되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봉이 일체로 형성된 탈착식 방향 디퓨져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99621호(2019.08.28. 공개, “방향제 분산 장치”)에는 몸체부의 상단에 마련되며 내부에 방향제가 수용된 용기가 투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는 방향 제삽입부와 상기 방향제삽입부의 하단에 연통되어 방향제를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토출시키는 노즐부, 상기 노즐부의 하단에 이격되어 마련되어 상기 노즐부로부터 토출되는 방향제를 수용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가열하는 히팅부를 포함하는 방향제 분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61150호(2019.06.05. 공개, “다향 스마트 디퓨저”)에는 복수의 구획된 카트리지홈이 구비되며, 상단부에 원형을 이루는 레일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카트리지홈에 삽입되되, 하단면에는 열전도체가 구비되고, 방향제가 수용되는 방향용기; 상기 하우징 하단측에 결합되며, 구동모터가 내장되는 받침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통해 수직상방으로 배치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연결 되며, 하나의 배출구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하면을 따라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복수의 레일돌기가 형성되는 회전판, 상기 받침대 상면부에 최소 하나가 마련되며, 상기 열전도체의 하면과 접촉되어 열을 전달하여 상기 열전도체를 가열할 수 있는 발열체; 상기 받침대에 내장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다향 스마트 디퓨저가 개시되어 있다.
이에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둘 이상의 방향제를 선택적으로 분산되도록 하면서, 둘 이상의 향이 혼합되어 새로운 향을 생성하여 분산시킬 수 있는 IOT 조향 장치의 제공을 과제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IOT 조향 장치가 개시(disclosure)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기술은 향기를 배출하는 방향부(100)와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를 거치하는 거치부(200) 및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조합되어 새로운 향기를 생성되도록 하는 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100)는 방향제를 수용하되, 향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쪽이 개방된 방향 용기(110)와 상기 방향 용기(110) 내부에 마련되어, 방향제를 기화시키는 기화부(120) 및 상기 방향 용기(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100)는 상기 방향 용기(110)에서 기화된 향기를 확산시키는 확산 팬(14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는 액체 또는 겔이고, 상기 방향부(100)는 상기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합부(300)는 상기 방향부(100)를 덮도록 마련된 조합 몸체(310)와 상기 방향부(100)와 상기 조합 몸체(31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체류하여 향기가 혼합되는 체류 공간(320) 및 상기 조합 몸체(310)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혼합된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 통로(330)를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조합부(300)는 상기 체류 공간(320)에 마련되어 향기를 단시간에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 날개(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조합부(300)는 상기 방향부(100)를 덮도록 마련된 조합 몸체(310)와 상기 방향부(100)와 상기 조합 몸체(310)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체류하여 향기가 혼합되는 체류 공간(320), 상기 조합 몸체(310)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혼합된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 통로(330) 및 상기 체류 공간(320)에 향기를 단시간에 혼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확산 팬(140)에 의해서 생성되는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혼합 날개(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IOT 조향 장치는 둘 이상의 방향부(100)를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특정 방향부(100)의 향기를 선택할 수 있고, 둘 이상의 향기가 조합부(300)에 체류하면서 서로 혼합되어 새로운 향기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내용은 이후에 보다 자세하게 기술되는 사항에 대해 간략화된 형태로 선택적인 개념만을 제공한다. 본 내용은 특허 청구 범위의 주요 특징 또는 필수적 특징을 한정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IOT 조향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와 방향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문에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도면의 유사한 참조번호들은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도면들 및 청구항들에서 상술하는 예시적인 실시 예들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 예들이 이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 개시되는 기술의 사상이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른 변경들도 가능하다. 당업자는 본 개시의 구성요소들, 즉 여기서 일반적으로 기술되고, 도면에 기재되는 구성요소들을 다양하게 다른 구성으로 배열, 구성, 결합, 도안할 수 있으며, 이것들의 모두는 명백하게 고안되며, 본 개시의 일부를 형성하고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여러 층(또는 막), 영역 및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또는 형상 등은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배치"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배치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형성"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이라고 언급되는 경우,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결합하는 경우는 물론, 이들 사이에 추가적인 구성요소가 개재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 1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IOT 조향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의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방향부의 또 다른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거치부와 방향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IOT 조향 장치를 대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한 IOT 조향 장치는 크게 방향부(100)와 거치부(200) 및 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100)는 도 3에서처럼 방향 용기(110)와 기화부(120) 및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들에 따른 도 4에서처럼 상기 방향부(100)는 확산 팬(140)을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 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들에 따르면 상기 방향부(100)는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 할 수 있다.
도 7에서처럼, 상기 조합부(300)는 조합 몸체(310)와 체류 공간(320) 및 확산 통로(330)를 포함 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예들에 따르면 상기 조합부(300)는 혼합 날개(미도시)를 선택적으로(optionally) 더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조합부(300)는 조합 몸체(310)와 체류 공간(320), 확산 통로(330) 및 혼합 날개(미도시)를 포함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IOT 조향 장치의 전체를 도시한 도 1를 참조한 일 실시예를 참조한 IOT 조향 장치는 크게 방향부(100)와 거치부(200) 및 조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부(100)는 향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향부(100)는 서로 다른 향기를 가진 둘 이상으로 마련된다.
도 2를 참조한 일례로, 방향부(100)는 방향 용기(110)와 기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용기(110)는 방향부(100)는 방향제를 수용하되, 향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쪽이 개방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방향 용기(110)는 액상 또는 겔 또는 왁스 형태의 통상의 방향제를 수용한다. 방향 용기(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방향제가 기화된 향기가 이동된다.
기화부(120)는 방향 용기(110) 내부에 마련되어, 방향제를 기화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화부(120)는 통상의 발열 핀, 선형 또는 면상 발열체로 마련될 수 있다. 기화부(120)는 방향제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부(100)는 방향제를 기화시켜 향기를 확산시키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한 다른 일례로, 방향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 용기(110)와 기화부(120)를 포함하되,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 용기(110)에 마련되는 방향제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온도 감지부(130)는 방향 용기(1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30)는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온도 감지부(130)에 의해서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 기화부(120)가 작동하거나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할 경우에 특정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화부(120)의 동작은 온오프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를 통하여 기화부(120)가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가 특정 온도를 유지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기화부(120)를 동작시키면 기화부(120)는 가열되며 특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 기화부(120)는 방향제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선에서 특정온도보다 더 큰 고온으로 가열된 후 온도가 점차적으로 낮아지는 과정을 통하여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방향제가 일정하게 기화되도록 하는 것이다. 온도 감지부(130)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과열에 의한 파손을 억제하고, 주변 환경에 맞추어 적정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한 다른 일례로, 상기 방향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 용기(110)와 기화부(120)를 포함하되, 상기 방향 용기(110)에서 기화된 향기를 확산시키는 확산 팬(140)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확산 팬(140)은 통사의 팬(pan)으로 마련된다. 확산 팬(140)은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확산 팬(14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 용기(110)의 개방된 부분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확산 팬(140)은 방향 용기(110)에서 외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생성한다. 상기 확산 팬(140)을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기화부(120)에 의해서 방향제가 기화된 향기를 방향 용기(110)에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면서 방향제가 기화된 향기를 외부로 확산한다.
확산 팬(140)은 사용자의 조작이나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일례로, 확산 팬(140)은 방향 용기(110) 내부 또는 방향제의 온도가 특정 온도에 도달한 경우에 동작하도록 미리 프로그램될 수 있다.
한편, 확산 팬(140)의 동작시점은 기화부(120)에 의하여 기화된 방향제의 향기에 의하여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기화부(120)에 의하여 기화되어 방향 용기(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되는 향기에 의하여 확산 팬(140)은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방향 용기(110)의 개방된 부분으로 배출되는 향기에 의하여 회전하는 확산 팬(140)에 마련된 모터(미도시)에는 전압 또는 전류가 발생할 수 있다. 확산 팬(140)에 발생하는 전압 또는 전류는 모터에 마련되는 전압 센서(미도시) 또는 전류 센서(미도시)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이들 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 또는 기준 전류에 도달할 경우에 이를 확산 팬(140)의 동작시점으로 판단하여 확산 팬(140)은 동작될 수 있다.
한편, 확산 팬(140)을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온도 감지부(130) 및 상기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확산 팬(140)은 기화부(150)가 작동할 때에만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방향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 용기(110)와 기화부(120)를 포함하되,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미도시)는 통상의 수위 감지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방향제는 액체 또는 겔 형태로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위 감지부(미도시)는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여 방향제의 잔류 용량을 예측할 수 있다.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방향제가 없을 경우에 기화부(120)의 동작을 강제로 중지할 수 있다.
한편, 수위 감지부(미도시)는 방향부(100)의 사용온도, 사용시간, 사용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통하여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할 수도 있다. 방향부(100)의 사용온도, 사용시간, 사용횟수 및 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기준으로 방향제의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마련될 수 있다. 수위 감지부는 방향부(100)의 사용온도, 사용시간, 사용횟수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감지한 후 이에 대응되는 데이터베이스에 마련되는 방향제 수위 변화에 대한 데이터를 통하여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방향부(1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온도 감지부(130) 및 확산 팬(140)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200)는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를 거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거치부(200)는 둘 이상의 방향부(10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거치부(200)에는 외부의 전력과 연결되어 상기에서 설명된 둘 이상의 방향부(100)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방향부(100)와 거치부(200)의 결합을 위해서 별도의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상기에서 설명된 수용 공간의 상부에 방향부(100)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된 결합 턱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는 방향부(100)의 측면에 상기 결합턱 상부 면에 접하는 걸림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 공간은 방향부(100)가 거치부(200)의 좌측과 우측으로 각각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방향부(100)가 거치부(2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걸림턱이 결합턱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는 방향부(100)가 통상의 볼트방식으로 거치부(2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조합부(300)는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조합되어 새로운 향기가 생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한 일례로, 조합부(300)는 크게 조합 몸체(310)와 체류 공간(320) 및 확산 통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합 몸체(310)는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부(100)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조합 몸체(310)는 상기에서 설명된 거치부(200)의 상단과 측면을 감싸도록 마련되어 거치부(200)에 결합된 방향부(100)를 감싸도록 마련된다.
체류 공간(320)은 상기에서 설명된 방향부(100)와 조합 몸체(310)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체류 공간(320)은 상기에서 설명된 조합 몸체(310) 및 거치부(200) 또는 방향부(100)에 의해서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체류 공간(320)은 상기에서 설명된 서로 다른 향기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방향부(100)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체류한다. 체류 공간(320)은 서로 다른 향기가 체류하면서 혼합되어 새로운 향기가 조합된다.
확산 통로(330)는 상기에서 설명된 조합 몸체(310)의 한쪽에 구멍을 형성하여 마련될 수 있다. 확산 통로(330)는 상기에서 설명된 혼합된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
다른 일례로, 조합부(300)는 상기에서 설명된 조합 몸체(310)와 체류 공간(320) 및 확산 통로(330)를 포함하되, 혼합 날개(미도시)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혼합 날개(미도시)는 통상의 팬(pan)으로 마련될 수 있다. 혼합 날개(미도시)는 상기에서 설명된 체류 공간(320)에 마련될 수 있다. 혼합 날개(미도시)는 체류 공간(320)에 체류 중인 향기를 교반하여 단시간에 혼합되도록 한다.
한편, 혼합 날개(미도시)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날개로 마련될 수 있다. 혼합 날개(미 도시)는 확산 팬(140)에 의해서 생성된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여, 체류 공간(320)에 모인 둘 이상의 향기들을 혼합하여 새로운 향기를 조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IOT 조향 장치는 둘 이상의 방향부(100)를 선택적으로 가동하여 특정 방향부(100)의 향기를 선택할 수 있고, 둘 이상의 향기가 조합부(300)에 체류하면서 서로 혼합되어 새로운 향기를 생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례로, 둘 이상의 방향부(100)를 통하여 둘 이상의 향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비율로 조합하여 새로운 향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방향부(100)의 각각에 마련되는 확산 팬(140)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둘 이상의 방향부(100)에 의하여 배출되는 향기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방향부(100)의 각각의 방향 용기(110)의 개방된 부분 상부, 둘 이상의 방향부(100)의 각각의 확산 팬(140)의 상부, 조합부(300)의 체류 공간(320), 조합부(300)의 확산 통로(33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에는 향기 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향기 감지센서에 의하여 감지되는 향기가 사용자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설정된 향기에 해당하는지를 비교할 수 있다. 제어부는 감지되는 향기가 설정된 향기와 향기의 세기, 조합 비율 등에서 차이가 확인되는 경우 감지되는 향기가 설정된 향기에 부합하도록 기화부(120)의 동작온도, 확산 팬(140)의 회전속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IOT 조향 장치는 통상의 근거리 통신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IOT 조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통상의 앱(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앱(미도시)은 상기 통신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부(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IOT 조향 장치는 앱(미도시)을 통해서 IOT 조향 장치를 켜고 끌 수 있다. 앱을 통해서 다양한 동작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앱(미도시)을 통해서 사용자가 단말기(미도시)를 다양하게 조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미도시)로부터 향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한 카테고리의 세부정보에 대한 추가(additional) 선택 입력 - 상기 추가 선택 입력은 단말이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를 선택 받기 위한 선택 입력영역을 노출하고, 상기 선택 입력영역을 통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함에 따라 노출한, 상기 선택 입력이 수신된 카테고리에 관한 복수의 세부 정보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 입력임-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나 향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선택한 서비스 및 IOT 조향 장치 또는 방향부(100)의 작동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작동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통신장치(미도시)는 수위 감지부(미도시)를 통해서 감지되는 방향부(100)의 사용온도, 사용시간, 사용횟수를 앱(미도시)에 전송한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IOT 조향 장치는 별도의 모터와 발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확산 팬(140)은 외부의 힘에 의해서 동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발전기는 확산 팬(140)에 연결될 수 있다. 확산 팬(140)은 방향부(100)에 의해서 기화된 향기의 흐름에 의해서 회전되고, 그 회전운동이 발전기에 의해서 전기로 변환된다. 변환된 전기는 모터에 전력을 공급된다.
상기로부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이 예시를 위해 기술되었으며, 아울러 본 개시의 범주 및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다양한 변형 예들이 존재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개시되고 있는 상기 다양한 실시 예들은 본 개시된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진정한 사상 및 범주는 하기의 청구항으로부터 제시될 것이다.
100 : 방향부
110 : 방향 용기
120 : 기화부
130 : 온도 감지부
140 : 확산 팬
200 : 거치부
300 : 조합부
310 : 조합 몸체
320 : 체류 공간
330 : 확산 통로

Claims (10)

  1. 향기를 배출하는 방향부;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를 거치하는 거치부; 및
    둘 이상의 상기 방향부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조합되어 새로운 향기를 생성되도록 하는 조합부;
    를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는
    방향제를 수용하되, 향기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쪽이 개방된 방향 용기;
    상기 방향 용기 내부에 마련되어, 방향제를 기화시키는 기화부; 및
    상기 방향 용기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를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부는 상기 방향 용기에서 기화된 향기를 확산시키는 확산 팬을 더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액체 또는 겔이고,
    상기 방향부는 상기 방향제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는
    상기 방향부를 덮도록 마련된 조합 몸체;
    상기 방향부와 상기 조합 몸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방향부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체류하여 향기가 혼합되는 체류 공간; 및
    상기 조합 몸체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혼합된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 통로;
    를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는 상기 체류 공간에 마련되어 향기를 단시간에 혼합되도록 하는 혼합 날개를 더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부는
    상기 방향부를 덮도록 마련된 조합 몸체;
    상기 방향부와 상기 조합 몸체 사이에 마련되되, 상기 방향부에서 배출되는 향기가 체류하여 향기가 혼합되는 체류 공간;
    상기 조합 몸체의 한쪽에 마련되어 상기 혼합된 향기가 외부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하는 확산 통로; 및
    상기 체류 공간에 향기를 단시간에 혼합되도록 마련되되, 상기 확산 팬에 의해서 생성되는 바람에 의해서 회전하는 혼합 날개;
    를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방향부의 동작을 제어한 앱을 더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방향부의 사용온도, 사용시간, 사용횟수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앱에 전송하는 것을 포함하는 IOT 조향 장치.
KR1020190154209A 2019-11-27 2019-11-27 Iot 조향 장치 KR102366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09A KR102366726B1 (ko) 2019-11-27 2019-11-27 Iot 조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209A KR102366726B1 (ko) 2019-11-27 2019-11-27 Iot 조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452A true KR20210065452A (ko) 2021-06-04
KR102366726B1 KR102366726B1 (ko) 2022-02-23

Family

ID=76391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209A KR102366726B1 (ko) 2019-11-27 2019-11-27 Iot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7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410A (ja) * 2008-02-12 2009-08-27 Mizunami Seiki Kk 調香器
KR20160059523A (ko) * 2014-11-18 2016-05-27 주식회사 헬스맥스 향기 분사 장치
KR20170103706A (ko) * 2016-03-04 2017-09-13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JP2019181211A (ja) * 2018-04-17 2019-10-24 株式会社ランド 芳香拡散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9410A (ja) * 2008-02-12 2009-08-27 Mizunami Seiki Kk 調香器
KR20160059523A (ko) * 2014-11-18 2016-05-27 주식회사 헬스맥스 향기 분사 장치
KR20170103706A (ko) * 2016-03-04 2017-09-13 피움랩스 주식회사 방향물질 배출장치
JP2019181211A (ja) * 2018-04-17 2019-10-24 株式会社ランド 芳香拡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6726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1466B1 (en)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using a chemical substance
CN100577006C (zh) 电子液体挥发物扩散器
EP2047179B1 (en) Humidifeir with controlled heated scent mechanism
US9022365B2 (en) Scent diffuser
AU5355500A (en) A device for the controllable transfer of a liquid and an apparatus for dispensing transferred liquids
US20090096118A1 (en) Portable heater and humidifier apparatus
JP2021528172A (ja) 液体物質の蒸気を空気中に分散させるための器具
JP6009666B2 (ja) ファンベースの揮発性物質分配システム
JP2016001147A (ja) 結露試験装置および結露試験方法
JP2009261851A (ja) 香気装置
JP2015097695A (ja) 芳香装置
KR101414822B1 (ko) 방향제 확산장치
KR102366726B1 (ko) Iot 조향 장치
KR20180064727A (ko) 농도가 조절된 향의 다중 자동배출 및 전환이 가능한 향 배출장치
JP2007309610A (ja) 給液装置並びに給液装置を備えた加湿器及び給液装置を備えた暖房機
JP2010130471A (ja) 香り発生装置付き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6285829B1 (en) Radiant electric space heater
JP2017032235A (ja) 暖房機
US2023027771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ffusing a liquid composition
US20240082448A1 (en) Tabletop Scent Dispensing Device
US2024005061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or diffusing volatile substances, especially for dispensing and/or diffusing fragrances and/or active substances
CN217386224U (zh) 车载香氛组件、控制电路、控制终端和车载香氛系统
JP2005052287A (ja) サウナ装置
RU2774136C2 (ru)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и объединенная система с улучшенным управлением увлажнителем
JP2000230734A (ja) ヒータ式加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