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5399A -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 Google Patents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5399A
KR20210065399A KR1020190154068A KR20190154068A KR20210065399A KR 20210065399 A KR20210065399 A KR 20210065399A KR 1020190154068 A KR1020190154068 A KR 1020190154068A KR 20190154068 A KR20190154068 A KR 20190154068A KR 20210065399 A KR20210065399 A KR 2021006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yster
unit
power
farm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오
Original Assignee
윤지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오 filed Critical 윤지오
Priority to KR102019015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5399A/ko
Publication of KR2021006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539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01K61/55Bas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01K61/65Connecting or mooring device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5/00Transmission of mechanical p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5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ffsh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7Offshore wind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60Fishing; Aquaculture; Aquafarm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풍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 에너지 없이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키는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에 있어서, 부력을 가져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해상풍력을 이용하여 동력이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웜과 웜기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동력전달부에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부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윔기어의 회전축 끝단에 설치된 구동 풀리(Pulley)와 굴 양식부에 연결된 종동 풀리가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굴 양식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굴이 수납되는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키는 굴 양식부;를 포함하는 해상풍력을 위한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Oyster Culture Apparatus Using Offshore Wind Power}
본 발명은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해수면에서 풍력을 이용하여 별도의 전기 에너지 없이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키는,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굴은 사새목 굴과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으로서, 이매패류에 속한다. 굴은 오래 전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는데, 맛과 향이 뛰어나고 인체의 에너지원인 글리코겐과 성호르몬의 활성원인 아연을 풍부하고, 비타민, 미네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흡수와 소화흡수가 빨라 최근 식용으로 더욱 각광방고 있으며, 그에 따라 굴 양식 산업이 점점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다.
굴 양식에 있어서 주기적으로 수면 위로 노출되어서 극한 환경(여름에는 강한 햇볕, 겨울에는 찬 바람)을 겪은 굴은 영양소를 더욱 풍부하게 함유하여 다른 굴에 비해 맛이 우수하고 그 크기도 더 크다.
또한, 수면 위로 노출된 굴은 햇볕의 영향으로 수중에서 굴 표면에 부착된 수중생물 또는 오염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표면을 가져 더욱 상품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굴 양식 환경을 만들어 주기위해, 굴 양식 구조물을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에서 설치하여 만조 때에는 양식중인 굴이 물속에 잠기고, 간조 때에는 굴이 물의 표면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양식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식은 바닷속 바닥에 양식을 위한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우며, 바닷속 바닥이 취약하기 때문에 구조물이 유실될 수 있으며, 조수간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지역적인 제한이 따른다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력을 이용한 종래의 방식은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전기 에너지에 의한 안전사고 및 고장의 염려가 있다.
또한, 굴 양식을 위한 종래의 부유망식 구조물은 여름철에 양성케이지에 부착생물이 대량 부착하여 조류소통을 방해하며, 성장을 저해하거나 폐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부착생물 제거 및 굴 양식용 망의 뒤집기 작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1670호 (2010.12.2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9214호 (2015.02.16.)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37512호 (2014.12.0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기 에너지 공급 없이 바람의 힘을 이용하여 굴 양식 케이지를 해상에서 수면 위와 수면 아래로 순환시킬 수 있는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굴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원을 절감시킬 수 있고, 에너지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 또는 고장의 염려를 없앨 수 있는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굴의 성장이 균일하고, 굴 껍질에 붙은 이물질을 쉽게 떨어뜨릴 수 있으며, 굴 양식 케이지를 손쉽게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뛰어난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는 부력을 가져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동력이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웜과 웜기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동력전달부에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부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윔기어의 회전축 끝단에 설치된 구동 풀리(Pulley)와 굴 양식부에 연결된 종동 풀리가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굴 양식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굴이 수납되는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키는 굴 양식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축의 끝에 방사형으로 연결된 다수개의 속이 빈 반구형체가 풍력에 의해 회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 양식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암으로 지지되는 다각형 지지대, 상기 다각형 지지대에 다수개가 삽입되는 굴 양식 케이지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 양식 케이지의 상부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는 바닷물은 배출시키고 굴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통기공의 구조로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각형 지지대는 서로 대향되는 'ㄷ'형 가이드 레일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굴 양식 케이지는 상측의 좌우측에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굴 양식 케이지의 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다각형 지지대의 가이드 레일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각형 지지대에 상기 굴 양식 케이지가 체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박스는 부력체에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되며, 만약,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에,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 별도의 부력 보조체가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굴 양식 장치와 연결하여 체결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 양식 장치는 해수면에서 별도의 전기 에너지원 공급 없이 풍력을 이용하여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킴으로써, 굴 양식을 위해 사용되는 에너지원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전기 에너지 공급을 위한 별도의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아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 또는 고장의 염려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굴 양식 케이지는 풍력에 의해 순환되어 수납된 굴의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성장이 균일해지고, 껍질에 붙은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굴이 이동하면서 마찰에 의해 껍질의 날카로운 부분이 마모되어서 다루기가 용이해지며, 더 나아가 굴 양식 케이지의 수납 방식을 슬라이드 형식으로 결합하여 작업의 효율성이 뛰어난 것을 이점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에서 동력이 발생하여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의 굴 양식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에서 동력이 발생하여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 양식 장치(10)는 부력체(20), 동력발생부(30), 기어박스(50), 기어박스 내부에 형성된 기어부(40, 도2 참조), 동력전달부(60), 굴 양식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부력체(20)는 상기 굴 양식 장치(10)가 해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플라스틱 또는 폴리우레탄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의 형상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의 판이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된 형상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판형 등의 다양한 형상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부력체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튜브 타입도 가능하다. 이 경우, 부력체의 내부에는 부력을 가지도록 공기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는 공기를 내부로 주입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를 형성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주입구가 수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부력체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주입구에는 탈착이 가능한 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체(20)의 하측 일부는 장기간 해수와 접촉하기 때문에 직사광선 및 습기에 강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동력발생부(30)는 해상풍력을 이용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부분으로서, 동력발생부 회전축(32), 속이 빈 반구형체(34)를 포함하며, 동력발생부(30)는 부력체(20)의 상측 중앙부에 형성되며 바람에 의해 동력이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은 해수면과 수직인 수직축으로, 상측 끝단에 상기 속이 빈 반구형체(34)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바람에 의해 회전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동력발생부(30)는, 수직축인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의 상측 끝단에 다수개의 속이 빈 반구형체(34)가 사방형으로 형성되어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리우스형, 자이로밀형 등으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은 수평축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에는 상기 속이 빈 반구형체가 방사형으로 형성된 구조가 1단이 아니라 2단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1단에 비하여 동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기어부(40)는 동력발생부(30)에서 발생한 동력을 동력전달부(60)에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동력발생부(30)의 하부에 위치하며 웜(44)과 웜기어(46), 웜기어 회전축(42)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웜(44)은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의 하측 끝단에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웜기어(46)는 상기 웜기어 회전축(42)의 중앙에 설치되어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부(40)는 상기 기어박스(50)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기어박스(50)는 외부요인으로부터 상기 기어부(40)를 보호하며,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과 상기 웜기어 회전축(42)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기어박스(50)는 해수에 대한 내염성 및 파랑 등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높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기어박스(50)는 상기 부력체(20)에 고정되어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되며, 만약,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기어박스(50)의 하부에 별도의 부력 보조체(22)가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부력 보조체(22)는 내측에 밀폐된 중공이 형성되거나, 스티로폼과 같은 부유성의 재질로 형성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유롭게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부력 보조체(22)는, 부력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균형추가 적절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 내부에 공기 주입이 가능한 구조체가 부력을 보조하는 것도 가능하며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동력전달부는(60)는 기어부(40)에 의하여 전달된 동력을 굴 양식부(70)로 전달하는 부분으로서, 기어박스(5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동력전달부 회전축(62), 구동풀리(64), 종동풀리(66), 타이밍 벨트(68)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풀리(64)는 상기 웜기어(46)가 중앙에 설치되어있는 상기 웜기어 회전축(42)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종동풀리(66)는 상기 동력전달부 회전축(62)의 일측에 형성되어있으며, 타측은 상기 굴 양식부(70)와 연결되어있다.
즉, 상기 구동풀리(64)는 상기 종동풀리(66)와 상기 타이밍 벨트(68)를 매개로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타이밍 벨트(68)의 내주면에는 상기 구동풀리(64)와 상기 종동풀리(66)의 홈과 동일한 간격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풀리(64)와 상기 종동풀리(66)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바람이 부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속이 빈 반구형체(34)가 회전하며 동시에 상기 동력발생부 회전축(32)이 회전하며, 하부에 설치된 상기 웜(44)과 상기 웜기어(46)가 회전하며, 그로인해 상기 웜기어 회전축(42)의 끝단에 형성된 상기 구동풀리(64)가 구동되며, 상기 타이밍 벨트(68)에 의해 연결된 상기 종동풀리(66)가 홈에 맞물려 함께 회전하여 상기 굴 양식부(70)에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 회전축(62)은, 상기 기어박스(50)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경우, 상기 기어박스(50)의 양측에 설치된 상기 굴 양식부(70)를 함께 회전시켜 동력을 절약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동력전달부를 상기 기어부와 함께 보호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부에 상기 부력 보조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함께 보호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하부에 상기 부력보조체를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굴 양식 장치(10)의 굴 양식부(7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굴 양식 부(70)는 굴이 양식되는 부분으로서, 회전축 하우징(71), 굴 양식 케이지(72), 암(73), 다각형 지지대(74), 그물망 구조(75), 가이드 돌출부(76), 가이드 레일(77), 통기공 구조(78)를 포함한다.
상기 굴 양식부(70) 일측에는 상기 부력체(20)가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기 동력전달부(60)와 연결되어 그로인해 상기 동력전달부 회전축(62)이 회전하며 전달하는 동력으로, 상기 굴 양식 케이지(72)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킨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굴양식부(70)는 상기 부력체(20)와 연결된 일측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 하우징(71)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 하우징(71)은 수직방향으로 잘린 원기둥의 형태가 적절하다.
또한, 상기 회전축 하우징(71)은 상기 부력체(2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탈부착 형식으로도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생략도 가능하다.
실시예로, 일체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되는 일측을 상기 부력체 내부에 형성시켜 상기 회전축 하우징(71)을 생략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부력체와 연결되는 일측은 동력전달부 회전축에 베어링 또는 기어를 결합시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굴 양식부(70)는 상기 다각형 지지대(74)를 지지하도록 동력전달부 회전축(62)에서 상기 암(7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구조가 적절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굴 양식 케이지(72)는 상측 좌우측에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각형 지지대(75)의 일측에 서로 대향하는 'ㄷ'형 가이드 레일을 다수개 형성하여,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각형 지지대(75)에 상기 굴 양식 케이지(72)가 수납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굴 양식 케이지(72) 상측은 상기 그물망 구조(76)로 형성되며, 하측은 해수는 배출시키고 굴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상기 통기공 구조(78)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잠금장치가 굴 양식 케이지와 다각형 지지대 사이에 추가로 형성되어, 수납되어있는 상기 굴 양식 케이지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로 걸이형 잠금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거치부는 상기 다각형 지지대의 상부의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고리는 굴 양식 케이지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쉽게 분리 및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굴 양식 케이지(72)는 해수와 직사광선에 장시간 노출되므로 스테인리스강이나, 해수에 대한 내염성 및 파랑 등 외부 충격에 대한 내충격성이 높은 섬유강화플라스틱(FRP) 혹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으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굴 양식 장치(10)는 상기 부력체(20)의 일측에 연결부(미도시)가 형성되어 다수개를 체결하여 모듈형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 체결방식은 힌지, 고리형상, 연결 프레임, 체인 등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 따르면 굴 양식 장치는, 부력체의 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 브라켓을 볼트 또는 피스로 체결하여, 결합된 고정 브라켓에 의해 일렬 또는 전후좌우로 배열되어 간격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부력체(20)는 돌기가 측면의 일측 또는 양측에 대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굴 양식 장치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므로 충돌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굴 양식 장치는 해수면에서 동작하므로, 계류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굴 양식 장치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로, 계류장치는 싱커와 싱커와 연결되는 탄성력이 있는 계선줄로 구비되며, 계류장치는 일측이 바다 속에 설치되며, 타측은 굴 양식 장치와 연결되어, 파랑에 의한 수위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승강 작동하여 안정적으로 굴 양식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부력체 하측 모서리에는 계류장치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기 결합부는 상기 계류장치의 일종인 계선줄의 일측과 연결되며, 계선줄의 타측은 해저에 설치된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굴 양식 장치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굴 양식 장치(10)는 풍력으로 발생한 동력이 전달되어 굴 양식 케이지(72)가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회전하며, 수납된 굴의 위치가 바뀌기 때문에 성장이 균일해지고, 껍질에 붙은 이물질이 떨어질 수 있으며, 굴이 이동하면서 마찰에 의해 껍질의 날카로운 부분이 마모되어서 다루기가 용이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굴 양식 장치
20 : 부력체
22 : 부력 보조체
24 : 회전축 하우징
30 : 동력발생부
32 : 동력발생부 회전축
34 : 속이 빈 반구형체
40 : 기어부
42 : 웜기어 회전축
44 : 웜
46 : 웜기어
50 : 기어박스
60 : 동력전달부
62 : 동력전달부 회전축
64 : 구동풀리
66 : 종동풀리
68 : 타이밍 벨트
70 : 굴 양식부
71: 회전축 하우징
72 : 굴 양식 케이지
73 : 암
74 : 다각형 지지대
75 : 그물망 구조
76 : 가이드 돌출부
77 : 가이드 레일
78 : 통기공 구조

Claims (7)

  1.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에 있어서,
    부력을 가져 해수면에 부유하는 부력체;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해상풍력을 이용하여 동력이 발생하는 동력발생부;
    상기 동력발생부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동력발생부에서 발생한 동력을 웜과 웜기어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동력전달부에 전달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를 감싸면서 상기 기어부를 외부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 일측 또는 양측에 설치되며, 상기 윔기어의 회전축 끝단에 설치된 구동 풀리(Pulley)와 굴 양식부에 연결된 종동 풀리가 타이밍 벨트(Timing belt)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기어부에서 전달된 동력을 굴 양식부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굴이 수납되는 굴 양식 케이지를 수면위와 수면아래로 순환시키는 굴 양식부;를 포함하는 굴 양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회전축의 끝에 방사형으로 연결된 다수 개의 속이 빈 반구형체가 풍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 양식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다수개의 암으로 지지되는 다각형 지지대,
    상기 다각형 지지대에 다수개가 삽입되는 굴 양식 케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굴 양식 케이지의 상부는 그물망 구조로 형성되며, 하부는 바닷물은 배출시키고 굴은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통기공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각형 지지대는 서로 대향되는 'ㄷ'형 가이드 레일이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굴 양식 케이지는 하부의 좌우측에 가이드 돌출부가 형성되어,
    상기 굴 양식 케이지의 가이드 돌출부가 상기 다각형 지지대의 가이드 레일로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상기 다각형 지지대에 상기 굴 양식 케이지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부력체에 고정되거나 분리되어 형성되며,
    만약, 분리되어 형성된 경우에, 상기 기어박스의 하부에 별도의 부력 보조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일측에는 연결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를 연결함으로써 인접하는 굴 양식 장치와 연결하여 다수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양식 장치.
KR1020190154068A 2019-11-27 2019-11-27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KR20210065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68A KR20210065399A (ko) 2019-11-27 2019-11-27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4068A KR20210065399A (ko) 2019-11-27 2019-11-27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5399A true KR20210065399A (ko) 2021-06-04

Family

ID=76391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4068A KR20210065399A (ko) 2019-11-27 2019-11-27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5399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70B1 (ko) 2010-12-21 2011-10-11 주식회사 씨에버 굴 양식용 구조물
KR20140137512A (ko) 2013-05-22 2014-12-03 고윤호 개체굴 양식용 부유망식 구조물
KR101549214B1 (ko) 2015-02-16 2015-09-02 대한민국 해상용 굴치패 사육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670B1 (ko) 2010-12-21 2011-10-11 주식회사 씨에버 굴 양식용 구조물
KR20140137512A (ko) 2013-05-22 2014-12-03 고윤호 개체굴 양식용 부유망식 구조물
KR101549214B1 (ko) 2015-02-16 2015-09-02 대한민국 해상용 굴치패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4952B1 (en) Rotatable vertical growing system
US20060162667A1 (en) Aquatic habitat and ecological tank
ES2822176T3 (es) Dispositivo de cría en el mar de animales de acuicultura
CA2733040A1 (en) Fishfarming pen
DK181301B1 (en) Offshore Farming System
EP3634122B1 (en) Fish farm
CN108401954A (zh) 一种可旋转海鱼养殖网箱及其水下渔网清洁方法
JP2021500059A (ja) 海で水産養殖動物を飼育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208286193U (zh) 一种可旋转海鱼养殖网箱
JP2021512611A (ja) 貝類養殖装置、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8072922A (ja) 自動対流発生装置
NO20170264A1 (no) Flytende anlegg for behandling og oppdrett av marine organismer, samt en inspeksjon og avlusningsmodul til bruk i et flytende anlegg.
KR20210065399A (ko) 해상풍력을 이용한 굴 양식 장치
BR0315479A (pt) Sistema para criar peixes em mar aberto e métodos para re-flutuar e para equilibrar um sistema de gaiolas de peixes submersas em mar aberto
DK178450B1 (da) Bevægeligt rørformet havbur
JP3535103B2 (ja) 真珠養殖方法とそのシステム
CN116326523A (zh) 风车型海洋牧场网箱
CN107996492B (zh) 一种水产养殖池增氧装置
KR102120444B1 (ko) 수상 및 수중 순환 이동을 통하여 양식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굴 양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굴 양식 시스템
GB2547417B (en) Fish tank and method
WO2007066388A1 (ja) 浮遊式水質改善装置
EP3403494A1 (en) Modular device for maintenance of water quality
KR20190060318A (ko) 지오데식 돔 구조를 이용한 가두리 양식 장치
KR101413449B1 (ko) 표층 및 중층의 물순환효율이 향상된 이중 회전 물순환장치
CN215074784U (zh) 一种水产养殖池一体化管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