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956A -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956A
KR20210064956A KR1020190153765A KR20190153765A KR20210064956A KR 20210064956 A KR20210064956 A KR 20210064956A KR 1020190153765 A KR1020190153765 A KR 1020190153765A KR 20190153765 A KR20190153765 A KR 20190153765A KR 20210064956 A KR20210064956 A KR 2021006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ewing machine
sewing
data
p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7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19071B1 (en
Inventor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리인포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3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071B1/en
Priority to JP2020549050A priority patent/JP7140414B2/en
Priority to PCT/KR2019/017661 priority patent/WO2021107251A1/en
Priority to CN201980016939.8A priority patent/CN113179648A/en
Publication of KR2021006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9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10Arrangements for selecting combinations of stitch or pattern data from memory ; Handling data in order to control stitch format, e.g. size, direction, mirror imag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0Control devices responsive to the number of stitches mad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5Needs-based resource requirements planning or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ewing machine operation information and to an electronic device.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cquiring sensing data for a repetitive motion sensed by one sensor unit attached to at least a part of a sewing machine in which a repetitive motion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generating oper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displaying production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a produc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lated to the sewing operation is received; and displaying quality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a quality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lated to the sewing operation is received. Other embodiments are also applicable.

Description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ewing machine job information and an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의류 제조 공장의 경우 수많은 재봉틀이 공정에 따라 배열되고, 각각의 재봉틀이 작업자들에게 할당되어 작업자에 의해 의류 제조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류 제조 공장에서는 각 재봉틀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들을 관리하고, 생산량, 작업량 및 불량률 등과 관계된 생산관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In general, in the case of a garment manufacturing factory, a number of sewing machines are arranged according to a process, and each sewing machine is assigned to a worker to perform a garment manufacturing operation by the worker. In such a garment manufacturing plant, it is necessary to manage the operations performed by each sewing machine, and to perform production management related to the production amount, the amount of work and the defective rate.

이와 같은 생산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공장 내 생산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석하는 생산 관리 자동화를 수행하는 스마트 공정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재봉틀 등의 봉제 기계를 주로 사용하는 제조 공장에서는 봉제 작업의 복잡하고 난해한 작업 특성, 대규모 인력 중심의 제조 현장 특성 등으로 스마트 공정을 실제 현장에 도입하더라도 생산 관리 자동화 결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In order to efficiently perform such production management, a smart process that automatically collects and analyzes production information within the factory is being introduced to automate production management. However, in manufacturing factories that mainly use sewing machines such as sewing machines, the production management automation results are not satisfactory even if the smart process is introduced into the actual field due to the complex and difficult work characteristics of sewing work and the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manpower-oriented manufacturing sites. occurs continuously.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와 같이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을 수행하는 재봉틀의 구성요소에 하나의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se conventional problems attach one sensor to a component of a sewing machine that performs repetitive operations during sewing, such as a needle bar, a thread take-up unit, a transfer unit, and a pulley,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sewing machine job information capable of performing production management through analys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방법은,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재봉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하나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봉제 작업과 관련된 생산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에 대한 품질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cquiring sensing data for the repetitive motion sensed by one sensor unit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wing machine in which a repetitive motion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the sensing data generating work information based on, when a produc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lated to the sewing work is received, displaying production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and when a quality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wing work is received and displaying the checked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또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봉틀의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obtaining the sense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ceiving the sensing data for the repeated oper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attached to any one of a needle bar, a thread take-up, a transfer unit and a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

또한,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바늘이 업 포지션에서 정지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바늘이 정지한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work information, the step of generating the sum data of the bed stop at which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is stopped in the up position based on the sensed data, the total data of all stops where the needle is stopped based on the sensing data and generating sequence data based on the sensing data.

또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반복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패턴, 상기 재봉틀의 배치정보 및 상기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상기 반복 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작업 중인 작업공정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es the steps of deriving a repeating patter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data, the repeating patter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process information and the repetition for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opera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working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working by using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pattern.

또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에서의 작업수량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number of operations in the sewing machine by using the repeating pattern.

또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수량, 상기 재봉틀의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배치된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onfirm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arranged using the number of work, the operat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또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공정별로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봉제 작업 전체에 대한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 of check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wing operation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rocess for each process.

또한,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재봉틀에서의 재봉땀수와 기저장된 목표땀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균일성을 기반으로 불량률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quality informa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mparing the number of stitches in the sewing machine with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stored in advance to confirm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and confirming the defective rate based on the uniformity. characterized.

또한,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준비시간, 상기 재봉틀의 정지시간 및 횟수,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을 포함하는 비교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대상 데이터와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율을 기반으로 작업자 능력치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step of displaying the quality information include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the preparation time of the sewing machine, the stop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of the sewing machine,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width of stitches and the quality of the sewing.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he steps of calling the stored reference data, and comparing the comparison target data with the reference data to check the worker capability based on the matching rate.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전자장치는,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재봉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하나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for acquiring sensing data for the repeated operation sensed by one sensor unit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wing machine in which a repeated operation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generates work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and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check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또한, 통신부는, 상기 재봉틀의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receives the sensing data for the repeated oper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attached to any one of the needle bar, the thread take-up, the transfer unit and the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또한, 제어부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바늘이 업 포지션에서 정지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 상기 바늘이 정지한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 및 순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based on the sensed data,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is stopped in the up pos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generat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total stop data, the total stop data and sequence data of all the needle stops in the up position. .

또한, 제어부는, 상기 순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반복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반복 패턴, 상기 재봉틀의 배치정보 및 상기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상기 반복 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작업 중인 작업공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rives a repeating patter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data, and uses the repeating pattern,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proces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operation and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peating patter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wing machine confirms the working process in operation.

또한, 제어부는, 상기 반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에서의 작업수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repeating pattern to check the number of work in the sewing machine.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작업수량, 상기 재봉틀의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배치된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number of work, the operat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to check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arranged.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공정별로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봉제 작업 전체에 대한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rocess for each process, calculates an average value, characterized in that to check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wing work.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재봉틀에서의 재봉땀수를 확인하는 단계, 기저장된 목표땀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땀수와 상기 목표땀수를 비교하여 확인된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을 기반으로 불량률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onfirming the number of stitches in the sewing machine, checking the pre-stored target number of stitches, and checking the defective rate based on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confirm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stitches with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제어부는,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준비시간, 상기 재봉틀의 정지시간 및 횟수,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을 포함하는 비교대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비교대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율을 기반으로 작업자 능력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generates comparison target data including the preparation time of the sewing machine, the stop time and number of times of the sewing machine,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stitch width and the sewing quality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and a reference stored in advance Comparing the data and the comparison target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orker capability is confirmed based on the matching ra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 작업정보를 이용한 생산관리 방법 및 전자장치는,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와 같이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을 수행하는 재봉틀의 구성요소에 하나의 센서를 부착하고 센서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다 정확한 생산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ewing machine work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e sensor is attached to the components of the sewing machine that perform repetitive operations during sewing, such as the needle bar, the thread take-up unit, the transfer unit, and the pulley. There is an effect that more accurate production management can be per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를 위한 생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봉틀의 바늘대에 센서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봉틀의 풀리에 센서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대한 바늘대의 위치정보의 변화와 그 해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의 작업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 동작에 따른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 동작에 따른 순서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에 따른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장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on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the needle bar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the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2 .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position information of a needle bar with respect to time and an analysis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d stop su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ll stop su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quen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ummed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sequence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view showing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factory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may b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pressions such as “or” and “at least one” may indicate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or “at least one of A and B” may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both A and B.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를 위한 생산관리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재봉틀의 바늘대에 센서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재봉틀의 풀리에 센서가 부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for production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the needle bar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2 . FIG.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nsor is attached to the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shown in FIG. 2 .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생산관리 시스템(100)은 의류 제조 공장 등의 봉제 공장에 배치된 복수의 재봉틀(200) 및 전자장치(500)를 포함한다. 아울러, 복수의 재봉틀(200)은 봉제 공장에서 하나의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복수의 공정마다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 1 to 4 , the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200 and an electronic device 500 disposed in a sewing factory such as a clothing manufacturing factory.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200 may be installed in a plurality for each of a plurality of processes to be passed to produce one product in a sewing factory.

복수의 재봉틀(200a, 200b, 200c)은 각각 센서부(210a, 210b, 210c)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재봉틀(200a, 200b, 200c)을 재봉틀(200)로, 복수의 센서부(210a, 210b, 210c)는 센서부(210)로 기재하기로 한다. 센서부(210)는 가속도 센서, 자석 센서, 광 센서, 진동센서, 적외선 센서 등 재봉틀(200)에서 발생되는 반복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센서부(210)는 봉제 작업 시에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재봉틀(200)의 일부분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부분은 재봉틀(200)의 바늘대(220), 풀리(230), 실채기(240) 및 이송부(250)일 수 있다.The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200a, 200b, and 200c may include sensor units 210a, 210b, and 210c, respective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200a, 200b, and 200c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wing machine 200 and the plurality of sensor units 210a, 210b, and 210c will be referred to as the sensor unit 210 . The sensor unit 21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repetitive motions generated in the sewing machine 200,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 sensor, an optical sensor, a vibration sensor, and an infrared sensor. In addition, the sensor unit 210 may be attached to a part of the sewing machine 200 in which a repeated operation is generated during the sewing operation,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repetitive operation is generated is the needle bar 220 and the pulley 230 of the sewing machine 200 . , the thread take-up 240 and the transfer unit 250 may be.

도 3을 예로 설명하면, 재봉틀(200)의 바늘대(220)에는 자석(310a)과 자석센서(310b)가 부착되어 센서부(210)가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늘대(220)는 바늘이 부착되는 구성으로, 자석(310a)은 바늘대(220)의 끝단에 고정 부착된다. 바늘대(220)는 재봉틀(200)에 의해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바늘대(220)에 부착된 바늘은 바늘대(220)의 상하 운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재봉을 수행한다. 바늘대(220)는 타단이 속이 빈 형태로 구성되어 그 속에 자석(310a)이 삽입되어 고정부착될 수 있다. 자석(310a)과 쌍(pair)을 이루는 자석 센서(310b)는 재봉틀(200)의 몸체 자체에 부착되되, 재봉틀(200)에서 바늘대(220)가 설치되는 공간의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석센서(310b)는 바늘대(220)가 상하 운동을 할 때마다 바늘대(220)의 타단에 고정 부착된 자석(310a)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석(310a)의 자기력의 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자석(310a)이 부착된 바늘대(220)의 상하 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석센서(310b)는 감지된 상하 운동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500)로 전송한다. Referring to FIG. 3 as an example, a magnet 310a and a magnet sensor 310b are attached to the needle bar 220 of the sewing machine 200 to realize the sensor unit 210 . More specifically, the needle bar 220 is a configuration to which the needle is attached, and the magnet 310a is fixedly attached to the end of the needle bar 220 . The needle bar 220 performs a vertical motion by the sewing machine 200 , and the needle attached to the needle bar 220 performs sewing while moving up and down by the vertical motion of the needle bar 220 . The needle bar 220 is configured in a hollow shape at the other end, and a magnet 310a is inserted therein to be fixedly attached. The magnet sensor 310b forming a pair with the magnet 310a may be attached to the body itself of the sewing machine 200 , and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pace in which the needle bar 220 is installed in the sewing machine 200 . The magnet sensor 310b may detect the magnet 310a fixedly attached to the other end of the needle bar 220 whenever the needle bar 220 moves up and down.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needle bar 220 to which the magnet 310a is attached may be detected by using the change i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310a. The magnet sensor 310b transmits sensing data for the sensed vertical mo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500 .

도 4를 예로 설명하면, 재봉틀(200)의 측면에 설치된 풀리(230)에 적외선 센서가 부착되어 센서부(210)가 구현될 수 있다. 풀리(230)는 재봉틀(200)에 구비된 모터(미도시)의 회전력을 전달받아서 바늘대(220)를 움직이도록 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센서부(210)가 적외선 센서로 구현된 경우, 침상(needle up) 상태에서 정지 상태일 때 발광과 수광이 가능한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고, 수광이 반사되도록 반사판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늘의 정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반복적으로 회전되는 풀리(230)의 회전 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재봉틀(200)의 상부에 배치되되, 풀리(23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부(210)는 재봉틀(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고정되기 위해 자석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210)는 풀리(230)의 회전 운동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전자장치(500)로 전송한다. 아울러, 도 4에서 센서부(210)는 재봉틀(200)의 상부에 배치된 것을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풀리(23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라면 재봉틀(200)이 위치한 테이블의 상면에 센서부(2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센서부(210)는 풀리(23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as an example, an infrared sensor may be attached to the pulley 230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wing machine 200 to realize the sensor unit 210 . The pulley 230 is configured to move the needle bar 220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a motor (not shown) provided in the sewing machine 200 . More specifically, when the sensor unit 210 is implemented as an infrared sensor, it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unit and a light receiving unit capable of emitting and receiving light when in a stationary state in a needle up state, and a reflector is provided to reflect the received light. can do. Through this, the stop position of the needle can be confirmed. The sensor unit 210 is disposed above the sewing machine 200 to sense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repeatedly rotated pulley 230 ,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lley 230 . In this way, the sensor unit 2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magnet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to be fixed. The sensor unit 210 detec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pulley 230 and transmits the sensed data to the electronic device 500 . In addition, although it is described as an example that the sensor unit 210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wing machine 200 in FIG. 4 ,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it is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pulley 230 , the sensor unit 2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 where the sewing machine 200 is located, and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210 may rotate the pulley 230 . It is preferable to be placed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detected.

전자장치(500)는 재봉틀(200)에 구비된 센서부(210)로부터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재봉틀(200)의 작업정보,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확인하는 장치로, 컴퓨터, 태블릿 PC, 스마트 폰 등의 전자장치일 수 있다. 전자장치(500)의 동작은 하기의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electronic device 500 is a device for checking work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by using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210 provided in the sewing machine 200, and includes a computer, a tablet PC, It may b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5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6 below.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전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간에 대한 바늘대의 위치정보의 변화와 그 해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change in position information of a needle bar with respect to time and an analysis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장치(500)는 통신부(510), 입력부(520), 표시부(530), 메모리(540) 및 제어부(550)를 포함한다. 5 and 6 , the electronic device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510 , an input unit 520 , a display unit 530 , a memory 540 , and a control unit 550 .

통신부(510)는 재봉틀(200)에 부착된 센서부(2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통신부(510)는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센서부(210)와 RS-232 등의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는 센서부(210)와 직접 연결되어 센서부(210)로부터 직접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510 performs communication with the sensor unit 210 attached to the sewing machine 200 . To this end, 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perform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Wi-Fi (wireless fidelity), Bluetooth (bluetooth), BLE (bluetooth low energy),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and the like, and the sensor unit 210 . Wired communication such as RS-232 and RS-232 can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210 to receive a signal directly from the sensor unit 210 .

입력부(520)는 전자장치(500)의 관리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입력부(520)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입력부(520)는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돔 스위치, 터치패널, 터치 키 및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input unit 520 generates input data in response to an input of a manager of the electronic device 500 . The input unit 520 includes at least one input means. To this end, the input unit 520 may include a keyboard, a mouse, a keypad, a dome switch, a touch panel, a touch key, and a button.

표시부(530)는 전자장치(500)의 동작에 따른 출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를 위해, 표시부(53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디스플레이,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s) 디스플레이 및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530)는 입력부(520)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530 outputs output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500 . To this end, the display unit 530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display,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MEMS). systems) displays and electronic paper displays. The display unit 530 may be combined with the input unit 520 to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메모리(540)는 전자장치(500)의 동작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메모리(540)는 봉제 공장에 배치된 재봉틀(200)의 배치 위치가 저장되고,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전체 공정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540)는 각 공정마다 적합한 SPI(stitches per inch)를 저장한다. 이때, SPI는 1인치 당 땀수를 나타내는 수치로, 메모리(540)는 공정에서의 제품에 대한 재봉 길이와 SPI를 이용하여 산출된 공정별로 적합한 목표땀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40)는 작업을 위한 준비시간, 정지시간 및 횟수,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 등에 대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540 stores operation programs of the electronic device 500 . The memory 540 stores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disposed in the sewing factory, and stores overall process information for products produced in the sewing factory. The memory 540 stores stitches per inch (SPI) suitable for each process. In this case, the SPI is a number representing the number of stitches per inch, and the memory 540 may store the appropriate target number of stitches for each process calculated using the sewing length for the product in the process and the SPI. In addition, the memory 540 may store reference data for the preparation time for the operation, the stop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width of stitches and the quality of sewing.

메모리(540)는 센서부(210)에서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봉틀(200)에서 발생되는 준비시간, 재봉시간, 재봉땀수, 정지시간, 대기시간, 정지횟수 및 정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재봉틀 동작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40)는 확인된 재봉틀 동작 상태를 기반으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 및 순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54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재봉틀(200)의 생산정보, 품질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540 analyzes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210, and the sewing machine including preparation time, sewing time, number of stitches, stop time, standby time, number of stops and stop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wing machine 200 . Algorithms for checking the operating state can be stored. The memory 540 may store an algorithm for confirm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bed stop sum data, all stop sum data and sequence data based on the checked sewing machine operation state. In addition, the memory 540 may store an algorithm for check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제어부(550)는 봉제 작업을 수행하는 봉제 공장에 배치된 재봉틀(200)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센서부(210)에 의해 감지된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부(550)는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봉틀(200)에서 발생되는 반복동작을 기반으로 하는 재봉틀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센서부(210)로부터 도 6(a)와 같은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도 6(a)와 같은 센싱데이터는 센서부(210)가 바늘대(220)에 부착된 경우, 센서부(210)에 의해 획득된 바늘의 움직임에 대한 센싱데이터일 수 있다. 도 6(a)에서 x축은 시간, y축은 바늘 위치로 설정되며, 제어부(550)는 바늘의 위치 예컨대, 바늘의 업 포지션 신호(601)와 바늘의 다운 포지션 신호(602)에 따라 준비시간, 재봉시간, 재봉땀수, 정지시간, 대기시간, 정지횟수 및 정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receives sensing data sensed by the sensor unit 210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disposed in a sewing factory that performs a sew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sewing machine operation state based on the repeated operation generated in the sewing machine 200 based on the received sensing data.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receives the sensing data as shown in FIG. 6(a) from the sensor unit 210 . In this case, the sensing data as shown in FIG. 6( a ) may be sensing data of the movement of the needle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10 when the sensor unit 210 is attached to the needle bar 220 . In FIG. 6( a ), the x-axis is set to time and the y-axis to the needle position, and the control unit 550 controls the needle position, for example, the preparation time according to the needle up-position signal 601 and the needle down-position signal 602, You can check the sewing time, the number of stitches, the stop time, the waiting time, the number of stops, and the stop position information.

제어부(550)는 확인된 업 포지션 신호(601)와 다운 포지션 신호(602)를 기반으로 도 6(b)와 같은 작업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작업정보는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UP STOP), 침하 정지 합산데이터(DN STOP), 재봉땀수(sewing stitches)를 포함할 수 있고,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UP STOP)와 침하 정지 합산데이터(DN STOP)를 결합한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 및 순서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바늘의 움직임이 임계치 예컨대, 2초 이상 존재하지 않을 때 바늘의 위치를 확인하여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UP STOP) 및 침하 정지 합산데이터(DN STOP)를 확인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업 포지션 신호(601)와 다운 포지션 신호(602) 두 가지의 신호를 이용하여 침상과 침하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업 포지션 신호(601)와 다운 포지션 신호(602) 중 어느 하나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침상과 침하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work information as shown in FIG. 6( b ) based on the confirmed up-position signal 601 and the down-position signal 602 . At this time, the work information may include the total bed stop data (UP STOP), the total settlement stop data (DN STOP),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sewing stitches), the bed stop sum data (UP STOP) and the sinking stop sum data (DN) It can include all stop sum data and sequence data combined with STOP).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position of the needle when the movement of the needle does not exist for more than a threshold value, for example, 2 seconds, and confirms the bed stop sum data (UP STOP) and the sink stop sum data (DN STOP).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escribed that the bed and the submerged unit are checked using two signals, the up position signal 601 and the down position signal 602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up position signal is not limited thereto. (601) and the down position signal (602) using only any one of the signal can be confirmed the bed and the submerged.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봉제 작업과 관련된 생산정보를 확인하여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이때, 생산정보는 재봉틀(200) 가동시간, 재봉틀(200) 가동률, 평균 재봉시간, 작업 수량, 제품에 대한 평균 재봉땀수 및 라인 발란싱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표시부(530)에 표시되는 생산정보는 공정별 생산정보와 공장 생산정보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produc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wing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30 . At this time, the production information may include the sewing machine 200 operation time, the sewing machine 200 operation rate, the average sewing time, the number of work,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and line balancing for the product, and the production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530 . may be process-specific production information and factory production inform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작업정보, 재봉틀(200)의 배치정보, 제품의 공정정보를 이용하여 재봉틀(200)이 수행하는 작업이 어떤 공정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의 배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산 제품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작업정보 중 순서데이터를 분석하여 반복 패턴을 도출하고, 도출된 반복 패턴, 재봉틀(200)의 배치정보,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반복 패턴을 비교하여 재봉틀(200)이 작업하는 작업공정이 어떤 공정인지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uses the work informati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check which process the work performed by the sewing machine 200 is included. The control unit 550 may determine what products are produced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 The control unit 550 derives a repeating pattern by analyzing the sequence data among the work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derived repeating patter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work and the repeating pattern. It can be confirmed what kind of work process the sewing machine 200 works.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재봉틀(200)이 작업공정에서의 반복 패턴 수행 횟수를 확인하여 재봉틀(200)에서의 작업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동일한 작업공정에 배치된 복수의 재봉틀에 대한 각각의 작업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재봉틀별 작업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산출된 작업 수량과 각각의 재봉틀의 준비시간, 재봉시간, 정지시간 및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재봉틀별 작업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imes the sewing machine 200 performs a repeating pattern in a work proces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work quantity in the sewing machine 200 . The controller 550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by using the respective job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arranged in the same work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50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by using the calculated quantity of work and the preparation time, sewing time, stop time, and standby time of each sewing machine.

제어부(550)는 상기와 같이 재봉틀(200)의 작업공정, 재봉틀별 작업시간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공정에 배치된 재봉틀에 대한 작업수량, 재봉틀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 등을 확인하여 공정별 생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재봉틀 가동시간은 재봉틀이 동작 시작한 시점부터 동작이 종료된 시점까지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공정별 생산정보를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전체 공정 각각에 생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50 uses the work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200,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etc., to check the work quantity, the sewing machine operating tim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for the sewing machines arranged in the same working process to produce each process. information can be checked. In this case, the sewing machine operating time may mean a time from when the sewing machine starts to operate until the time when the operation end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of the entire processes for the products produced in the sewing factory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process.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봉제 작업과 관련된 품질정보를 확인하여 표시부(530)에 표시한다. 이때, 품질정보는 제품의 불량률 및 작업자의 능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작업공정을 확인하고, 작업공정에서 재봉틀(200)이 수행한 재봉땀수에 대한 평균땀수를 확인한다. 제어부(550)는 확인된 작업공정에 대응되는 공정에서의 목표땀수를 메모리(54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목표땀수와 평균땀수를 비교한다. 제어부(550)는 평균땀수와 목표땀수의 비교결과, 평균땀수의 균일성을 이용하여 불량률을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의 가동 최저속도, 평균속도 및 최고속도를 확인하고, 기저장된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불량률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재봉틀(200)의 평균속도가 기저정된 기준속도보다 임계치 이상 빠르거나 느린 경우 제어부(550)는 재봉 품질이 평균 이하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준비시간, 정지시간 및 횟수,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 등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능력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quality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wing operation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530 . In this case, the quality information may include a defective rate of a product and a worker's ability value.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work proces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and checks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for the sewing stitches performed by the sewing machine 200 in the work process.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in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work process in the memory 540, and compares the confirmed target number of stitches with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defective rate using the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and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and the uniformity of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operating minimum speed, the average speed, and the maximum speed of the sewing machine 200 , compare it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speed, and check the defective rate using the comparison result.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speed of the sewing machine 200 is faster or slower than a threshold value or more than the preset reference speed, the controller 550 may confirm that the sewing quality is below the averag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capability of the operator using the preparation time, stop time and number of times,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width of the stitches and the quality of sewing, etc. confirmed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아울러, 제어부(550)는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 정보 예컨대, 제품의 품목, 디자인 등을 외부 서버(미도시)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50)는 해당 제품을 생산할 때 각 공정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 재봉틀 동작 상태, 작업정보,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외부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550)는 새로운 제품에 대한 생산을 시작하고자 할 때, 외부 서버에 저장된 정보들의 빅 데이터 분석 또는 AI분석을 통해 제품 생산 시에 필요한 공정, 재봉틀 동작 등에 대한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550 may transmit product information, for example, a product item, a design, and the like, produced in a sewing factory to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transmit the sensing data, the sewing machine operation state, work information,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obtained in each process when producing the corresponding product to an external server. Through this, when the control unit 550 intends to start production of a new product, it is possible to derive information on processes, sewing machine operations, etc. required for product production through big data analysis or AI analysis of information stored in an external server. .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생산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701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입력부(520)로부터 생산관리 시작신호의 수신여부를 확인한다. 701단계의 확인결과 생산관리 시작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50)는 703단계를 수행하고, 생산관리 시작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생산관리 시작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Referring to FIG. 7 , in step 701 , the control unit 550 checks whether a production management start signal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520 . As a result of the confirmation of step 701, if the production management start signal is received,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step 703, and if the production management start signal is not received, waits for the reception of the production management start signal.

703단계에서 제어부(550)는 봉제 공장에 구비된 재봉틀(200)에 부착된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를 확인하고, 705단계를 수행한다. 705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정보를 확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에서 봉제 작업 시에 발생되는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센싱데이터는 바늘대(220), 풀리(230), 실채기(240) 및 이송부(250)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일 수 있다. 제어부(550)는 센싱데이터로부터 재봉틀(200)에서 발생되는 준비시간, 재봉시간, 재봉땀수, 정지시간, 대기시간, 정지횟수 및 정지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재봉틀 동작 상태를 확인한다. 그리고 제어부(550)는 확인된 재봉틀 동작 상태를 기반으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 및 순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확인한다. In step 703 ,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sensing data acquired from the sensor unit 210 attached to the sewing machine 200 provided in the sewing factory, and performs step 705 . In step 705,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job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ed data.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receives sensing data for a repeated operation that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in the sewing machine 200 . In this case, the sensing data may be the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sensor unit 210 attached to any one of the needle bar 220 , the pulley 230 , the thread take-up 240 and the transfer unit 250 . The controller 550 checks the sewing machine operation state including the preparation time, the sewing time,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the stop time, the waiting time, the number of stops and the stop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sewing machine 200 from the sensing data. And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the bed stop sum data, all stop sum data and order data based on the checked sewing machine operation state.

이어서 707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입력부(520)로부터 생산정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50)는 709단계를 수행한다. 709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생산정보를 표시부(530)에 표시하고 711단계를 수행한다. 707단계에서 생산정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550)는 711단계를 수행한다. Subsequently, when the control unit 55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production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520 in step 707 ,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step 709 . In step 709, the control unit 550 displays the produc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on the display unit 530, and performs step 711. If the request signal for production information is not received in step 707,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step 711.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작업정보, 재봉틀(200)의 배치정보, 제품의 공정정보를 이용하여 재봉틀(200)이 수행하는 작업이 어떤 공정에 포함되는지 확인한다.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의 배치정보를 기반으로 생산 제품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작업정보 중 순서데이터를 분석하여 반복 패턴을 도출하고, 도출된 반복 패턴, 재봉틀(200)의 배치정보,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반복 패턴을 비교하여 재봉틀(200)이 작업하는 작업공정이 어떤 공정인지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uses the work informati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of the product to check which process the work performed by the sewing machine 200 is included. The control unit 550 may determine what products are produced based o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 The control unit 550 derives a repeating pattern by analyzing the sequence data among the work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derived repeating patter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and the proces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work and the repeating pattern. It can be confirmed what kind of work process the sewing machine 200 works.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이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작업공정에서 반복 패턴 수행 횟수를 확인하여 재봉틀(200)에서의 작업 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동일한 작업공정에 배치된 복수의 재봉틀에 대한 각각의 작업정보를 이용하여 각각의 재봉틀별 작업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산출된 작업 수량과 각각의 재봉틀의 준비시간, 재봉시간, 정지시간 및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재봉틀별 작업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may determine the number of times the sewing machine 200 performs a repeating pattern in a work proces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to calculate the work quantity in the sewing machine 200 . The controller 550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by using the respective job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sewing machines arranged in the same working proces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50 may calculate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by using the calculated quantity of work and the preparation time, sewing time, stop time, and standby time of each sewing machine.

제어부(550)는 상기와 같이 재봉틀(200)의 작업공정, 재봉틀별 작업시간 등을 이용하여 동일한 작업공정에 배치된 재봉틀에 대한 작업수량, 재봉틀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 등을 확인하여 공정별 생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550)는 입력부(520)로부터 수신되는 공정에 대한 생산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50)는 공정별 생산정보를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전체 공정의 생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50 uses the work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200, the working time for each sewing machine, etc., to check the work quantity, the sewing machine operating tim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for the sewing machines arranged in the same working process to produce each process. information can be checked.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550 may extract and display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proces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520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entire process for the products produced in the sewing factory by calculating the average value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each process.

711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입력부(520)로부터 품질정보에 대한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550)는 713단계를 수행한다. 713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품질정보를 표시부(530)에 표시하고 715단계를 수행한다. 반대로, 요청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550)는 715단계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작업공정을 확인하고, 작업공정에서 재봉틀(200)이 수행한 재봉땀수에 대한 평균땀수를 확인한다. 제어부(550)는 확인된 작업공정에 대응되는 공정에서의 목표땀수를 메모리(540)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목표땀수와 평균땀수를 비교한다. 제어부(550)는 평균땀수와 목표땀수의 비교결과로 평균땀수의 균일성을 판단하고, 이를 이용하여 불량률을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의 가동 최저속도, 평균속도 및 최고속도를 확인하고, 기저장된 기준속도와 비교하여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불량률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550)는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준비시간, 정지시간 및 횟수,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 등에 대한 비교대산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어부(550)는 비교대상 데이터와 메모리(540)에 저장된 준비시간, 정지시간 및 횟수,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 등에 대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한다. 제어부(550)는 레퍼런스 데이터와 비교대상 데이터의 일치율을 작업자의 능력치를 확인할 수 있다. In step 711 , when the control unit 550 receives a request signal for quality information from the input unit 520 ,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step 713 . In step 713 , the control unit 550 displays qual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quest signal on the display unit 530 and performs step 715 . Conversely, if the request signal is not received, the controller 550 performs step 715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work proces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and checks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for the sewing stitches performed by the sewing machine 200 in the work process. The control unit 550 checks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in the process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work process in the memory 540, and compares the confirmed target number of stitches with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The control unit 550 determines the uniformity of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and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and uses this to check the defective rat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operating minimum speed, the average speed, and the maximum speed of the sewing machine 200 , compare it with the pre-stored reference speed, and check the defective rate using the comparison result.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comparative data on the preparation time, the stop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width of the stitches and the quality of the sewing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The control unit 550 compares the comparison target data with reference data for the preparation time, the stop time and the number of times,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the stitch width and the sewing quality, etc. stored in the memory 540 .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ability value of the operator with respect to the matching rate between the reference data and the comparison target data.

715단계에서 제어부(550)는 입력부(520)로부터 생산관리를 종료하기 위한 종료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고, 종료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종료신호의 수신을 대기한다. In step 715 , the control unit 550 terminates the process when an end signal for terminating the production management is received from the input unit 520 , and waits for reception of the end signal if the end signal is not received.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순서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의 작업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bed stop su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for explaining all stop sum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for explaining sequence dat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for explaining operation information of a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센서부(210)에서 획득된 센싱데이터는 도 8(a)와 같이 바늘의 움직임에 대응되는 그래프일 수 있다. 제어부(550)는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침상 정지(UP), 침하 정지(DN), 재봉시간 및 재봉땀수(stitches)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도 8(a)와 같이 바늘의 움직임에 대한 그래프에서 도 8(b)와 같이 작업공정에서 이루어진 준비시간(Tp), 작동시간(Tr), 정지시간(Ts), 대기시간(Tw)과 작업공정에서 이루어진 총 재봉땀수(39stitches)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50)는 도 8(b)와 같은 그래프를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8 to 11 , in the controller 550 , the sensed data acquired by the sensor unit 210 may be a graph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of the needle as shown in FIG. 8A .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bed stop (UP), the sink stop (DN), the sewing time and the number of stitches (stitches)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based on the sensed data. The control unit 550 is the preparation time (Tp), the operation time (Tr), the stop time (Ts), the waiting time made in the work process as shown in Fig. 8 (b) in the graph for the movement of the needle as shown in Fig. 8 (a). You can check (Tw) and the total number of sewing stitches (39 stitches) made in the work process. And the control unit 550 may generate a graph as shown in FIG. 8(b) as the bed stop sum data.

제어부(550)는 도 9(a)와 같은 바늘의 움직임에 대한 그래프를 기반으로 도 9(b) 내지 도 9(d)와 같은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한다.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는,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와 침하 정지 합산데이터를 포함한 것이다. 이때, 도 9(a)는 도 8(a)와 동일한 그래프일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a graph for all stop sum data as shown in FIGS. 9(b) to 9(d) based on the graph for the movement of the needle as shown in FIG. 9(a). All stationary summation data includes the bedside stationary summation data and the subsidence stationary summation data. In this case, FIG. 9(a) may be the same graph as FIG. 8(a).

제어부(550)는 도 9(a)와 같은 그래프를 기반으로 도 9(b) 내지 도 9(d)와 같이 작업공정에 포함된 세부공정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50)는 도 9(a)에서 침상 후 재봉을 수행하고 침하되면, 이를 도 9(b)에서와 같이 제1 세부공정으로 확인하고, 준비시간(Tp), 재봉땀수 및 대기시간(Tw)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준비시간(Tp)은 침상 상태, 대기시간(Tw)은 침하 상태일 수 있다. 제어부(550)는 제1 세부공정에 이후에 다시 재봉이 수행되고 침하되면 이를 도 9(c)에서와 같이 제2 세부공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제1 세부공정에서 대기시간(Tw)으로 확인된 상태를 제2 세부공정의 준비시간(Tp)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재봉이 완료된 이후에 침하된 상태를 대기시간(Tw)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2 세부공정의 재봉땀수를 확인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50)는 제2 세부공정에 이후에 다시 재봉을 수행하고 침하되면 이를 도 9(d)에서와 같이 제3 세부공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50)는 제2 세부공정에서 대기시간(Tw)으로 확인된 상태를 제3 세부공정의 준비시간(Tp)으로 확인할 수 있고, 재봉이 완료된 이후에 침하된 상태를 대기시간(Tw)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제3 세부공정의 재봉땀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550 may check the detailed process included in the work process as shown in FIGS. 9(b) to 9(d) based on the graph shown in FIG. 9(a). 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sewing after the needle bed in FIG. 9(a) and sinks, it is confirmed as the first detailed process as in FIG. 9(b), and the preparation time Tp,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and the waiting time (Tw) can be confirmed. In this case, the preparation time Tp may be a bed state, and the standby time Tw may be a subsidence state. The control unit 550 may confirm this as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s shown in FIG. 9(c) when the sewing is performed again after the first detailed process and subside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state confirmed as the standby time Tw in the first detailed process as the preparation time Tp of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nd determine the submerged state after sewing is completed for the standby time Tw ), and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in the second detailed process can be checked. Subsequently, the control unit 550 performs the sewing again after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nd when it sinks, it can be confirmed as the third detailed process as shown in FIG. 9( d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the state confirmed as the standby time Tw in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s the preparation time Tp of the third detailed process, and determine the submerged state after sewing is completed for the standby time Tw ), and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in the third detailed process can be checked.

제어부(550)는 도 10(a)와 같은 바늘의 움직임에 대한 그래프를 기반으로 도 10(b) 내지 도 10(d)와 같은 순서데이터에 대한 그래프를 생성한다. 이때, 도 9(a)는 도 8(a)와 동일한 그래프일 수 있다. 제어부(550)는 도 10(a)와 같은 바늘의 동작을 기반으로 도 10(b) 내지 도 10(d)와 같이 각각의 세부공정에 대응되는 순서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550)는 제1 세부공정으로 확인된 도 9(b)에서 준비시간(Tp)을 제외한 재봉땀수 및 대기시간(Tw)을 도 10(b)와 같이 제1 순서데이터로 생성한다. 제어부(550)는 제2 세부공정으로 확인된 도 9(c)에서 준비시간(Tp)을 제외한 재봉땀수 및 대기시간(Tw)을 도 10(c)와 같이 제2 순서데이터로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550)는 제3 세부공정으로 확인된 도 9(d)에서 준비시간(Tp)를 제외한 재봉땀수 및 대기시간(Tw)을 도 10(d)와 같이 제3 순서데이터로 생성한다.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a graph for the sequence data as shown in FIGS. 10(b) to 10(d) based on the graph for the movement of the needle as shown in FIG. 10(a). In this case, FIG. 9(a) may be the same graph as FIG. 8(a). The control unit 550 may generate sequence data corresponding to each detailed process as shown in FIGS. 10(b) to 10(d) based on the operation of the needle as shown in FIG. 10(a).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and waiting time Tw excluding the preparation time Tp in FIG. 9(b), which is confirmed as the first detailed process, as the first sequence data as shown in FIG. 10(b). .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and waiting time Tw excluding the preparation time Tp in FIG. 9(c), which is confirmed as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s second sequence data as shown in FIG. 10(c). Finally,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and the waiting time Tw excluding the preparation time Tp in FIG. 9(d), which is confirmed as the third detailed process, as third sequence data as shown in FIG. 10(d). do.

제어부(550)는 도 8 내지 도 10의 동작을 통해 센서부(210)에서 수신된 센싱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11과 같은 작업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작업정보는 재봉틀(200)이 수행하는 작업공정에서 발생되는 준비시간(Tp), 재봉시간(Tr1+Tr2+Tr3), 정지시간(Ts1+Ts2), 대기시간(Tw) 및 재봉땀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work information as shown in FIG. 11 by using the sensing data received from the sensor unit 210 through the operations of FIGS. 8 to 10 . At this time, the work information includes the preparation time (Tp), the sewing time (Tr1+Tr2+Tr3), the stop time (Ts1+Ts2), the waiting time (Tw) and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generated in the work process performed by the sewing machine 200. may include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 동작에 따른 합산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봉틀 동작에 따른 순서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and 13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ummed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sequence dat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ew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에서의 재봉 종료가 확인되면 재봉틀(200)에 대한 작업정보를 확인한다. 제어부(550)는 확인된 작업정보를 이용하여 도 12와 같은 합산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도 11에서 확인된 재봉땀수는 총 39땀이었으므로, 제어부(550)는 stitch range가 36~48에 해당하는 count필드에 1을 추가한다. 그리고 제어부(550)는 총 땀수 필드에 도 11에서 확인된 재봉땀수인 39를 더하고, 총 Tp 필드에 도 11에서 확인된 준비시간(Tp)를 더한다. 제어부(550)는 총 Tr필드에 도 11에서 확인된 재봉시간(Tr1+Tr2+Tr3)을 더하고, 총 Ts필드와 총 Tw필드에 각각 도 11에서 확인된 정지시간(Ts1+Ts2)와 대기시간(Tw)를 더한다. 이처럼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에 대한 작업정보를 도 12와 같은 합산데이터 테이블로 생성할 수 있다. 12 to 14 , the controller 550 checks work information for the sewing machine 200 when it is confirmed that sewing in the sewing machine 200 is finished.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a summation data table as shown in FIG. 12 by using the confirmed job information. For example, since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confirmed in FIG. 11 was a total of 39 stitches, the controller 550 adds 1 to the count field corresponding to a stitch range of 36 to 48. Then, the controller 550 adds 39, which is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confirmed in FIG. 11, to the total number of stitches field, and adds the preparation time Tp identified in FIG. 11 to the total Tp field. The control unit 550 adds the sewing time (Tr1+Tr2+Tr3) confirmed in FIG. 11 to the total Tr field, and the stop time (Ts1+Ts2) and waiting time confirmed in FIG. 11 to the total Ts field and the total Tw field, respectively (Tw) is added. As such, the control unit 550 may generate work information for the sewing machine 200 as a summation data table as shown in FIG. 12 .

그리고 제어부(550)는 합산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하여 평균땀수, 평균Tp, 평균Tr, 평균Ts, 평균Tw를 산출하여 평균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평균땀수는 count/총 땀수, 평균Tp는 count/총 Tp, 평균Tr는 count/총 Tr, 평균Ts는 count/총 Ts, 평균Tw는 count/총 Tw로 산출된다. Then, the control unit 550 calculates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the average Tp, the average Tr, the average Ts, and the average Tw using the summed data table to generate the average data table. In this case,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is calculated as count/total stitches, average Tp is count/total Tp, average Tr is count/total Tr, average Ts is count/total Ts, and average Tw is count/total Tw.

제어부(550)는 도 12에서 산출된 평균데이터 테이블을 도 13과 같이 그래프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3(a)는 재봉땀수와 관련된 그래프이고, 도 13(b)는 작업시간과 관련된 그래프이다. 도 13(a)의 x축은 평균땀수고, y축은 count이다. 또한, 도 13(b)의 x축은 평균땀수고, y축은 시간일 수 있으며, y축은 평균데이터 테이블의 평균Tp, 평균Tr, 평균Ts, 평균Tw를 기준으로 그래프가 생성된다. The controller 550 may implement the average data table calculated in FIG. 12 as a graph as shown in FIG. 13 . 13(a) is a graph related to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and FIG. 13(b) is a graph related to working time. In Fig. 13(a), the x-axis is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and the y-axis is the count. In addition, the x-axis of FIG. 13(b) may be the average number of stitches, the y-axis may be time, and the y-axis is the average Tp, the average Tr, the average Ts, and the average Tw of the average data table.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에서 재봉이 정지됨이 확인되면 재봉땀수, 재봉시간, 바늘 정지 위치, 대기시간을 이용하여 도 14와 같은 순서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550)는 30초 이상 바늘이 움직이지 않는 경우를 재봉이 정지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1번에서 10번까지가 재봉틀(200)의 작업공정일 수 있고, 1번에서 3번까지가 제1 세부공정, 4번에서 6번까지가 제2 세부공정, 7번에서 10번까지가 제3 세부공정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550)는 재봉틀(200)에서의 작업이 반복되는 반복패턴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550)는 재봉이 정지될 때마다 순서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하기 때문에 복수의 순서데이터 테이블을 생성한 후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순서데이터 테이블의 분석을 통해 재봉틀(200)이 제1 세부공정, 제2 세부공정, 제3 세부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it is confirmed that sewing is stopped in the sewing machine 200,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a sequence data table as shown in FIG. 14 using the number of stitches, sewing time, needle stop position, and waiting tim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50 may determine that the sewing is stopped when the needle does not move for more than 30 seconds. 14, No. 1 to No. 10 may be the working process of the sewing machine 200, No. 1 to No. 3 are the first detailed process, No. 4 to 6 are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nd No. 7 to 10 may be the third detailed process. Through this, the control unit 550 may check a repeating pattern in which the operation in the sewing machine 200 is repeated. That is, since the control unit 550 generates an order data table whenever sewing is stopped, it is possible to perform analysis after generating a plurality of order data tables. The control unit 550 may confirm that the sewing machine 200 repeatedly performs the first detailed process, the second detailed process, and the third detailed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data table.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정에 따른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장 생산정보를 나타낸 도면이다. 15 is a view showing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view showing factory produc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제어부(550)는 입력부(520)의 입력에 따라 도 15와 같이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전체 공정 중에서 어느 한 공정에 대한 생산정보를 표시부(53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공정에는 작업자 A와 B가 배치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공정에는 제1 세부공정, 제2 세부공정 및 제3 세부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550)는 각각의 작업자에게 할당된 재봉틀(200)에 대한 재봉틀 번호, 재봉틀 종류, 작업자 이름 및 재봉틀(200)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고, 세부공정별로 작업수량(workcount), 재봉틀 가동시간(cycletime) 및 평균 재봉시간(working time) 등을 포함하는 생산정보를 확인하여 표시할 수 있다. 15 and 16, the control unit 55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520, as shown in FIG. 15, production information for any one process among the entire processes for products produced in the sewing factory on the display unit 530. can be displayed In this case, workers A and B are arranged to perform the work in the process, and the process may include a first detailed process, a second detailed process, and a third detailed process. The control unit 550 may display a sewing machine number, a sewing machine type, a worker name, and a position of the sewing machine 200 for the sewing machine 200 assigned to each worker, and a workcount, sewing machine operating time for each detailed process. Production information including (cycletime) and average sewing time (working time) can be checked and displayed.

또한, 제어부(550)는 입력부(520)의 입력에 따라 도 16과 같이 봉제 공장에서 생산하는 제품에 대한 전체 공정(Line 1, Line 2, …Line N)에 대한 생산정보를 표시부(53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550)는 도 15에서와 같이 작업자 각각에 따라 확인된 작업수량(workcount), 재봉틀 가동시간(cycletime) 및 평균 재봉시간(working time)을 공정별로 산출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A와 B작업자가 제1 공정(Line1)에 배치되어 근무하면, 제어부(550)는 A와 B작업자에 대한 생산정보의 평균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값으로 도 16과 같이 제1 공정(Line1)에 대한 생산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50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input unit 520, as shown in FIG. 16,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entire process (Line 1, Line 2, ... Line N) of the product produced in the sewing factory to the display unit 530. can be displayed As shown in FIG. 15 , the control unit 550 may calculate and display the work count, the sewing machine cycletim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working time) for each process identified according to each worker. For example, if workers A and B are placed and worked in the first process (Line1), the control unit 550 calculates the average value of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workers A and B, and a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the first process ( Production information for Line1) can be display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including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8)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재봉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하나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봉제 작업과 관련된 생산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봉제 작업에 대한 품질정보 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확인된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acquiring sensing data for the repetitive motion sensed by one sensor unit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wing machine in which a repetitive motion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generating job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displaying production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operation information when a production information request signal related to the sewing operation is received; and
displaying quality information confirmed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when a quality information request signal for the sewing work is received;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재봉틀의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step of acquiring the sensing data includes: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of receiving the sensing data for the repeated operation acquired by the sensor unit attached to any one of the needle bar, the thread take-up, the transfer unit and the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바늘이 업 포지션에서 정지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바늘이 정지한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순서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step of generating the work information includes:
generating, based on the sensed data, the total data of the bed stop in which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is stopped in the up position;
generating the summation data of all stops at which the needle is stopped based on the sensed data; and
generating sequence data based on the sensing data;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순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반복 패턴을 도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반복 패턴, 상기 재봉틀의 배치정보 및 상기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상기 반복 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작업 중인 작업공정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deriving a repeating patter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data; and
confirming a working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working by using the repeating pattern,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process information on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operation and a comparison result of the repeating pattern;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반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에서의 작업수량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onfirming the number of operations in the sewing machine using the repeating pattern;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수량, 상기 재봉틀의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배치된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hecking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ing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disposed using the number of jobs, the operat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공정별로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봉제 작업 전체에 대한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of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is,
check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wing operation by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ing process for each process;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재봉틀에서의 재봉땀수와 기저장된 목표땀수를 비교하여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균일성을 기반으로 불량률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tep of displaying the quality information includes:
checking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by comparing the number of stitches in the sewing machine with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stored in advance; and
checking a defective rate based on the uniformity;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준비시간, 상기 재봉틀의 정지시간 및 횟수,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을 포함하는 비교대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대상 데이터와 상기 레퍼런스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율을 기반으로 작업자 능력치를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tep of displaying the quality information includes:
generating comparison target data including a preparation time of the sewing machine, a stop time and number of times of the sewing machine,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titches, a stitch width, and a sewing quality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calling pre-stored reference data; and
Comparing the comparison target data and the reference data to check the worker capability based on the matching rate;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comprising a.
봉제 작업 시 반복동작이 발생되는 재봉틀의 적어도 일부분에 부착된 하나의 센서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획득하는 통신부;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업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산정보 및 품질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acquire sensing data for the repetitive motion sensed by one sensor unit attached to at least a portion of a sewing machine in which a repetitive motion is generated during a sewing operation;
a control unit generating job information based on the sensing data and checking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based on the job informat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and quality information;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재봉틀의 바늘대, 실채기, 이송부 및 풀리 중 어느 하나에 부착된 상기 센서부에 의해 획득된 상기 반복동작에 대한 센싱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mmunication unit,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receiving the sensing data for the repeated operation obtained by the sensor unit attached to any one of a needle bar, a thread take-up, a transfer unit and a pulley of the sewing machin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바늘이 업 포지션에서 정지한 침상 정지 합산데이터, 상기 바늘이 정지한 모든 정지 합산데이터 및 순서데이터를 포함하는 작업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s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sensing data for generating work information including the bed stop sum data where the needle of the sewing machine is stopped in the up position, the total stop data of all the stops where the needle is stopped, and order data.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순서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반복 패턴을 도출하고, 상기 반복 패턴, 상기 재봉틀의 배치정보 및 상기 봉제 작업에 포함된 복수의 공정에 대한 공정정보와 상기 반복 패턴의 비교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작업 중인 작업공정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s
A repeating pattern is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quence data, and the sewing machine is operated by using the repeating pattern, the arrangement information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process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processes included in the sewing operation and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repeating pattern.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s,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work process in progress.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복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에서의 작업수량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is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hecking the number of work in the sewing machine by using the repeating pattern.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수량, 상기 재봉틀의 가동시간 및 평균 재봉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재봉틀이 배치된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is
The electronic device for production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ing process in which the sewing machine is disposed is checked using the number of jobs, the operating time of the sewing machine, and the average sewing tim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공정의 생산정보를 공정별로 취합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여 상기 봉제 작업 전체에 대한 생산정보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control unit is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fter collecting the production information of the work process for each process,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to check the production information for the entire sewing work.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봉틀에서의 재봉땀수를 확인하는 단계;
기저장된 목표땀수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재봉땀수와 상기 목표땀수를 비교하여 확인된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을 기반으로 불량률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is
checking the number of stitches in the sewing machine;
checking a pre-stored target number of stitches; and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fect rate is confirmed based on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confirm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with the target number of stitche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업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재봉틀의 준비시간, 상기 재봉틀의 정지시간 및 횟수, 상기 재봉땀수의 균일성, 재봉땀폭 및 재봉 품질을 포함하는 비교대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기저장된 레퍼런스 데이터와 상기 비교대상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율을 기반으로 작업자 능력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산관리 전자장치.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control unit is
Based on the work information, the preparation time of the sewing machine, the stop time and number of times of the sewing machine, the uniformity of the number of sewing stitches, the stitch width and the sewing quality are generated for comparison target data, and the stored reference data and the comparison target data are generated. Production management electronic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by comparing the data to check the worker capability based on the matching rate.
KR1020190153765A 2019-11-26 2019-11-26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KR102319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765A KR102319071B1 (en) 2019-11-26 2019-11-26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JP2020549050A JP7140414B2 (en) 2019-11-26 2019-12-13 PRODUCTION CONTROL METHOD USING SEWING MACHINE WORK INFORMATION AND PRODUCTION CONTROL ELECTRONIC DEVICE
PCT/KR2019/017661 WO2021107251A1 (en) 2019-11-26 2019-12-13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ewing machine work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CN201980016939.8A CN113179648A (en) 2019-11-26 2019-12-13 Production management method using sewing machine work information and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765A KR102319071B1 (en) 2019-11-26 2019-11-26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956A true KR20210064956A (en) 2021-06-03
KR102319071B1 KR102319071B1 (en) 2021-10-29

Family

ID=76128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765A KR102319071B1 (en) 2019-11-26 2019-11-26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140414B2 (en)
KR (1) KR102319071B1 (en)
CN (1) CN113179648A (en)
WO (1) WO2021107251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49B1 (en) * 2022-10-04 2023-03-07 노영인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manage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232U (en) * 1993-11-12 1995-06-17 김택주 Automatic display of production quantity and target quantity of sewing products
KR20170120136A (en) * 2015-02-25 2017-10-30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Quality control of stitching in sewing machines
KR20180064957A (en)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ystem for improving manufacturing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KR101869407B1 (en) * 2017-09-18 2018-06-20 이동훈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roduction information using needle position sensor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96Y2 (en) * 1984-09-20 1994-02-23 ブラザ−工業株式会社 Production management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 a sewing factory
JP4920967B2 (en) * 2005-05-09 2012-04-18 Juki株式会社 Sewing record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JP2009000373A (en) * 2007-06-22 2009-01-08 Juki Corp Production management device of sewing machine
JP2010233827A (en) * 2009-03-31 2010-10-21 Juki Corp Controller of sewing machine
JP5957323B2 (en) * 2012-07-19 2016-07-27 Juki株式会社 Line balance improvement measure providing device, line balance improvement measure extraction method, and line balance improvement measure extraction program
KR101551376B1 (en) * 2014-01-08 2015-09-08 조훈식 Automatic sewing filed for record management is an integrated device
JP7215295B2 (en) * 2019-03-28 2023-01-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sewing mach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232U (en) * 1993-11-12 1995-06-17 김택주 Automatic display of production quantity and target quantity of sewing products
KR20170120136A (en) * 2015-02-25 2017-10-30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Quality control of stitching in sewing machines
KR20180064957A (en) * 2016-12-06 2018-06-15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 System for improving manufacturing integrated process management
KR101869407B1 (en) * 2017-09-18 2018-06-20 이동훈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production information using needle position sensor sig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449B1 (en) * 2022-10-04 2023-03-07 노영인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ion manag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179648A (en) 2021-07-27
JP2022515939A (en) 2022-02-24
JP7140414B2 (en) 2022-09-21
KR102319071B1 (en) 2021-10-29
WO2021107251A1 (en) 2021-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2055B2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management system
CN107924173B (en)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7298275B2 (en) Machine associating method and apparatus
JP4516042B2 (en) Apparatus operating device and apparatus operating method
CN109507943A (en) Automatic interface
KR102319071B1 (en) Method and Electrical Apparatus for Production Management Using Work Information of Sewing Machine
US11585822B2 (en) Method of information transmission, a liquid handling device, and a system
EP2752640A1 (en) Method and program for using gestures to control a coordinate measuring device
JP7093225B2 (en) Seam inspection device
KR20170070643A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facility
JP2005001033A (en) Machining monitor
TWI770031B (en) Method and auxiliary arrangement for adjusting a warp knitting machine
CN109213395A (en) The control method of terminal installation, display system and terminal installation
JP5201336B2 (en) Shape measuring device
JP2006130918A (en) Printer control stand
KR101929292B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CN115943386A (en) Sewing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2115982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llecting work information using needle bar
WO2023089953A1 (en) Monitoring device, setting support device, area setting method, and setting support method
EP4379106A1 (en) Sewing machine and management system for sewing machine
EP4148275A1 (en) Display system,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1028512B2 (en) Sewing machin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CN11150809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00017792A (en) Radio control apparatus in industrial field and control signal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1660248A (en) Extraneous matter detecting device of button hole serg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