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4622A -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 Google Patents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4622A
KR20210064622A KR1020190153044A KR20190153044A KR20210064622A KR 20210064622 A KR20210064622 A KR 20210064622A KR 1020190153044 A KR1020190153044 A KR 1020190153044A KR 20190153044 A KR20190153044 A KR 20190153044A KR 20210064622 A KR20210064622 A KR 202100646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electrode
impulse
output
low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3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5976B1 (ko
Inventor
이정국
Original Assignee
이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20190153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5976B1/ko
Publication of KR20210064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5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5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07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of urogenital or gastrointestinal organs, e.g. for incontinence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회로 소자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110)와, 요실금의 치료 대상인 신체 부위에 닿고, 저주파 발생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저주파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극(T1,T2,T3,T4)과,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복수의 전극(T1,T2,T3,T4)으로 출력되도록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을 제어하는 MCU(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전극(T1,T2,T3,T4) 사이에 연결되고,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에서 임펄스 피크전압를 제거하기 위한 임펄스 제거부(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저주파 자극 과정에서 짧은 순간에 피부에서 느끼는 따끔한 통증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LOW FREQUENCY THERAPY DEVICE FOR URINARY INCONTINENCE}
본 발명은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주파 치료기의 저주파 자극 과정에서 짧은 순간에 피부에서 느끼는 따끔한 통증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주파 치료기는 저주파를 이용하여 인체의 국소부위를 자극하여 근육통이나 신경통과 같은 통증이나 비만을 치료하는 일종의 치료기 내지 의료기기로서, 병원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치료기는 크기가 크고 가격도 비싸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일반 가정에서 사용하기가 어려웠었는데, 많은 사람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면서 최근에는 소형 저주파 치료기와 같은 건강(의료)기기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일반인들에게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전기적인 자극에 의한 치료는, 전류를 이용하여 피부의 말초신경을 자극함으로써 여러가지 원인으로 초래되는 제반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인데, 저주파 전기에 의한 자극을 근육이 수축운동 될 정도로 부여하면 통증을 완화 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이용한 저주파 치료기는 저전압을 이용하여 저주파 발생장치로부터 발생한 저주파가 패드[전극]를 통해서 전극이 부착된 인체의 국소부위를 자극하여 치료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러한 저주파 치료기는 요실금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요실금은 자신의 의지와는 관계없이 요도를 통하여 소변이 나오는 증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기침, 재채기, 크게 웃기, 무거운 것 들기, 줄넘기 등에 의하여 하복부에 압력이 가해지는 행동을 할 때 자신도 모르게 소변이 새어나오는 현상인 복압성 요실금(Stress induced incontinence) 증상이 가장 많다.
이와 같은 요실금의 치료에 최근에는 저주파 치료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요실금의 치료에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민감한 부위인 항문이나 회음부 주변에 전기 자극이 작용되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따끔거리는 매우 기분이 나쁜 통증을 이용자들이 느끼게 되고[도 3의 (a) 참조], 이러한 따끔거리는 순간적인 통증에 의해서 저주파 치료기의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73105호(공개일: 2016년 06월 24일) 문헌2: 등록특허공보 제10-0850725호(공고일: 2008년 08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의 목적은,
첫째, 저주파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히 짧은 시간대(예컨대 ns 대)의 따끔거리는 통증의 원인이 되는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이용자들이 순간적인 따끔거리는 통증이 없이 편안하게 저주파 자극에 의한 요실금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둘째, 환부에 닿는 전극을 4 개로 구성하고, 각 전극마다 출력전압에 포함된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신경을 건드리는 듯한 기분 나쁜 통증의 원인인 임펄스 피크전압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제1,2,3,4 임펄스 필터부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 구성함으로써, 임펄스 피크전압에 의한 통증을 더욱더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출력이 정지된 후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잔류 전압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충격전압을 예방할 수 있어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안전한 저주파 치료 환경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며,
다섯째, 사용자가 정한 값에 해당하는 일정한 값이 유지되는 안정된 전압값 즉, 항상 일정한 출력값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항상 일정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의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며,
여섯째, 과도전압(overvoltage)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정지하여서 안전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일곱째, 출력 레벨을 이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맞게 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여덟째, 이용자가 설정한 전압값에 맞게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전압 및 전류값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아홉째, 사용 과정에서 땀이나, 물에 의해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또는 저주파 치료기의 PCB(Printed Circuit Board)에 이물질 등으로 접촉이 단락 등의 현상에 의해서 큰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장애를 예방하고 또한 이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며,
열 번째,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서 환부 주변을 순차 자극하여서 치료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는, 각 회로 소자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와, 요실금의 치료 대상인 신체 부위에 닿고, 저주파 발생부에 의해서 생성된 저주파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극과, 상기 저주파 발생부에서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복수의 전극으로 출력되도록 저주바 발생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MCU(Mail Control Unit)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와 전극 사이에 연결되고, 저주파 발생부에서 생성된 저주파에서 임펄스 피크전압를 제거하기 위한 임펄스 제거부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저주파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히 짧은 시간대(예컨대 ns 대)의 따끔거리는 통증의 원인이 되는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그 결과 이용자들이 순간적인 따끔거리는 통증이 없이 편안하게 저주파 자극에 의한 요실금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환부에 닿는 전극을 4 개로 구성하고, 각 전극마다 출력전압에 포함된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신경을 건드리는 듯한 기분 나쁜 통증의 원인인 임펄스 피크전압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제1,2,3,4 임펄스 필터부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 구성함으로써, 임펄스 피크전압에 의한 통증을 더욱더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출력이 정지된 후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그리하여 잔류 전압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충격전압을 예방할 수 있고, 그 결고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안전한 저주파 치료 환경을 제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사용자가 정한 값에 해당하는 일정한 값이 유지되는 안정된 전압값 즉, 항상 일정한 출력값만을 출력할 수 있고, 그 결과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항상 일정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의 담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과도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정지하여서 안전한 이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곱째, 출력 레벨을 이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맞게 다단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하여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덟째, 이용자가 설정한 전압값에 맞게 항상 일정하고 정확한 전압 및 전류값만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홉째, 사용 과정에서 땀이나, 물에 의해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또는 저주파 치료기의 PCB에 이물질 등으로 접촉이 단락 등의 현상에 의해서 큰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장애를 예방하고 또한 이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열 번째, 4 개의 전극을 이용하여서 환부 주변을 순차 자극하여서 치료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4 개의 배열 구조를 표현한 전극 구성도이다.
도 3은 출력 파형도로서, 도 3의 (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의한 출력 전압 파형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의한 출력 전압 파형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는, 자극 또는 치료 대상인 신체 부위에 전극(T1,T2,T3,T4)을 접촉하여 저주파의 전자기적 자극을 주어 치료하는 저주파 치료기로서, 각 회로 소자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저주파(예컨대 100 ~ 900 Hz 대의 저주파와, 1000 ~ 1100 Hz의 중주파를 포함하며, 이는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해당되는 주파수대역이다.)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110)와, 요실금의 치료 대상인 신체 부위(예컨대 항문과 회음부 주변 부위)에 닿고, 저주파 발생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저주파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극(T1,T2,T3,T4)과,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복수의 전극(T1,T2,T3,T4)으로 출력되도록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을 제어하는 MCU(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전극(T1,T2,T3,T4) 사이에 연결되고,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에서 임펄스 피크전압(P1)를 제거하기 위한 임펄스 제거부(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저주파 전압을 출력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극히 짧은 시간대(예컨대 ns 대)의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이용자들이 기분 나쁜 순간적인 통증이 없이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임펄스 피크전압(P1)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우에는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펄스 피크전압이 제거되어서 P2로 표시되는 바와 같은 부드러운 파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전극(T1,T2,T3,T4)은 제1 전극(T1)과 제2 전극(T2)과 제3 전극(T3)과 제4 전극(T4)으로 구성되고, 상기 임펄스 제거부(13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1 전극(T1)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2 전극(T2)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2 임펄스 제거부(132)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3 전극(T3)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3 임펄스 제거부(133)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4 전극(T4)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4 임펄스 제거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각 전극(T1,T2,T3,T4)마다 출력되는 임펄스 피크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신경을 건드리는 듯한 기분 나쁜 통증의 원인인 임펄스 피크전압을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1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R1)와, 상기 제1 저항소자(R1)와 제1 전극(T1)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임펄스 필터부(R1,C1)가 복수로 직렬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임펄스 제거부(132)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소자(R2)와, 상기 제2 저항소자(R2)와 제2 전극(T2)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임펄스 필터부(R3,C3)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며, 상기 제3 임펄스 제거부(133)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3 전극(T3)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소자(R3)와, 상기 제3 저항소자(R3)와 제3 전극(T3)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3 캐패시터(C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임펄스 필터부(R3,C3)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며,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4 전극(T4)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소자(R1)와, 상기 제4 저항소자(R4)와 제4 전극(T4)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4 캐패시터(C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 임펄스 필터부(R4,C4)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1 임펄스 필터부(R1,C1)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하고, 제2 임펄스 필터부(R2,C2)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하며, 제3 임펄스 필터부(R3,C3)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하며, 제4 임펄스 필터부(R4,C4)를 각각 복수로 직렬 연결함으로써, 임펄스 피크전압에 의한 통증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제1 전극(T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T1)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1 방전 저항(Rc1)과,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제2 전극(T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T2)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2 캐패시터(C2)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2 방전 저항(Rc2)과,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와 제1 전극(T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전극(T3)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3 캐패시터(C3)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3 방전 저항(Rc3)과,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와 제4 전극(T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T1)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4 캐패시터(C4)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4 방전 저항(Rc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출력이 정지된 후에 남아 있는 잔류 전압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고 그 결과 잔류 전압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예상치 못한 충격전압을 예방할 수 있어서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담보할 수 있고 안전한 저주파 치료 환경을 제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임펄스 제거부(130)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을 상기 제1,2,3,4 전극(T1,T2,T3,T4)으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출력 스위칭부(14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는, 전원공급부에서 출력되는 전압을 출력전압(Va)으로 승압하는 승압부(111)와, 승압부(111)의 출력전압(Va)을 전극(T1,T2,T3,T4)으로 스위칭하는 한 쌍의 메인 스위칭부(11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스위칭부(112)는,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1 메인 스위칭소자(F13)와,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스위칭 온오프하는 제2 메인 스위칭소자(F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스위칭부(14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제1 메인 스위칭 소자(F13)와 제1 임펄스 제거부(131)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을 상기 제1 전극(T1)으로 스위칭하는 제1 출력 스위칭소자(141)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제2 메인 스위칭 소자(F24)와 제2 임펄스 제거부(131)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을 상기 제2 전극(T2)으로 스위칭하는 제2 출력 스위칭소자(142)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3 임펄스 제거부(131)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을 상기 제3 전극(T3)으로 스위칭하는 제3 출력 스위칭소자(143)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4 임펄스 제거부(134)의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MCU(120)의 제어에 따라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을 상기 제4 전극(T4)으로 스위칭하는 제4 출력 스위칭소자(14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MCU(120)는 상기 4 개의 전극(T1,T2,T3,T4) 중에서 적어도 한 쌍 또는 두 쌍이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1,2,3,4 출력 스위칭소자(141,142,143,144)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칭소자는 예컨대 FET(Field Effect Transistor)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전단에 연결되고,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전압인 출력전압(Va)을 피드백(feedback)받고, 피드백받은 출력전압(Va)이 설정된 전압(제1 설정전압)에 도달할 때까지 출력 전압 제어신호(PWM 제어신호)를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출력되는 출력전압(Va)이 설정된 전압(제1 설정전압)으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출력 안정화부(15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일정한 값이 유지되는 안정된 전압값 즉, 항상 일정한 출력값을 출력할 수 있고, 그 결과 저주파 치료기를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항상 일정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어서 제품의 신뢰성의 담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Va)이 최대사용범위인 제한전압(Vc) 이상으로 올라가지 못하도록,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에 연결되고, 출력전압(Va)을 피드백 받고, 피드백된 출력전압(Va)이 설정된 제한전압(Vc)보다 큰 경우에는,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의 출력제어신호의 출력을 정지하여서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을 제한하는 출력 제한부(16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과도전압(overvoltage)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출력을 정지하여서 안전한 이용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제한부(160)는, 출력전압(Va)을 피드백 받고, 피드백된 전압을 전압분배하는 전압분배부(161)와, 기준전압(Vs)을 인가하는 기준전압 인가부(162)와, 상기 기준전압 인가부(162)의 기준전압(Vs)과 상기 전압분배부(161)의 출력 전압을 입력받고, 이들을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출력 전압이 큰 경우에는 제어신호(논리신호 High)를 출력하는 비교부(163)와,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와 비교부(163)에 연결되고, 상기 비교부(163)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의 제어신호의 출력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칭소자(16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과도전압에 대한 안정된 제한(limit)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출력전압값을 설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인 출력값 설정부(190)와,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에 연결되고, 상기 출력값 설정부(190)에서 입력된 전압 레벨 설정값에 따라서, 전압레벨 설정값에 해당하는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서 출력 안정화부(150)로 출력하는 출력 레벨 제어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는 상기 출력 레벨 제어부(170)로부터 수신한 구동 신호에 따른 전압값이 출력되도록 제어신호를 저주파 발생부(11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출력 레벨을 이용자가 자신의 상태에 맞게 다단(예컨대 45 V ~ 120 V의 범위에서 15 단계)으로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그 결과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출력값 설정부(190)에 의해서 설정된 전압값(예컨대 45 ~ 110 V를 15 개 단계로 분할한 값)이 입력되면, 상기 MCU(120)는 이 설정된 값을 출력 레벨 제어부(170)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 레벨 제어부(170)는 설정된 출력 전압값에 해당하는 전압값을 출력 안정화부(150)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MCU(120)는 상기 출력전압(Va)을 피드백받고, 상기 출력 레벨 제어부(170)에 의해서 설정된 출력값이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안정화부(150)의 출력값을 보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출력 안정화부(150)는 항상 일정한 전압만을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 전류를 감지하는 출력전류 감지부(18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MCU(120)는 상기 출력 전류 감지부(180)로부터 수신한 출력전류의 값이 기 설정된 제한전류값보다 큰 경우에는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 과정에서 땀이나, 물에 의해서 단락이 발생하거나, 또는 저주파 치료기의 PCB에 이물질 등으로 접촉이 단락 등의 현상에 의해서 큰 전류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미연에 감지함으로써 제품의 고장이나 장애를 예방하고 또한 이용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저주파 발생부(110)에 연결되는 전류검출 저항(181)과, 상기 전류검출 저항(181)에 연결되어서 전류를 증폭하는 증폭부(18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MCU(120)는, 상기 증폭부(182)의 증폭된 전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4 개의 전극(T1,T2,T3,T4)은 치료 대상인 피부의 주위를 감싸도록 중앙에 치료 영역(S1)이 형성되도록 4 각형 형태로 배열되고, 상기 MCU(120)는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원형으로 회전되는 형태로 순차적으로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4개의 전극(T1,T2,T3,T4)에 순차적으로 저주파가 출력되도록 상기 제1,2,3,4 출력 스위칭소자(141,142,143,144)의 스위칭 온오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4 개의 전극(T1,T2,T3,T4)만으로도 원형으로 자극을 형성할 수 있어서 치료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1,T2,T3,T4 : 전극
110 : 저주파 발생부
111 : 승압부 112 : 메인 스위칭부
120 : MCU
130 : 임펄스 제거부 131 : 제1 임펄스 제거부
132 : 제2 임펄스 제거부 133 : 제3 임펄스 제거부
134 : 제4 임펄스 제거부 R1 : 제1 저항소자
R2 : 제2 저항소자 R3 : 제3 저항소자
R4 : 제4 저항소자 Rc1 : 제1 방전 저항
Rc2 : 제2 방전 저항 Rc3 : 제3 방전 저항
Rc4 : 제4 방전 저항 140 : 출력 스위칭부
141 : 제1 출력 스위칭소자 142 : 제2 출력 스위칭소자
143 : 제3 출력 스위칭소자 144 : 제4 출력 스위칭소자
150 : 출력 안정화부 160 : 출력 제한부
161 : 전압분배부 162 : 기준전압 인가부
163 : 비교부 180 : 출력 전류 감지부
181 : 전류검출 저항 182 : 증폭부
190 : 출력값 설정부

Claims (4)

  1. 각 회로 소자에 동작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서 저주파를 발생하는 저주파 발생부(110)와, 요실금의 치료 대상인 신체 부위에 닿고, 저주파 발생부(110)에 의해서 생성된 저주파를 출력하는 복수의 전극(T1,T2,T3,T4)과,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가 상기 복수의 전극(T1,T2,T3,T4)으로 출력되도록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을 제어하는 MCU(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에 있어서,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전극(T1,T2,T3,T4) 사이에 연결되고, 저주파 발생부(110)에서 생성된 저주파에서 임펄스 피크전압를 제거하기 위한 임펄스 제거부(130)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T1,T2,T3,T4)은 제1 전극(T1)과 제2 전극(T2)과 제3 전극(T3)과 제4 전극(T4)으로 구성되고,
    상기 임펄스 제거부(130)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1 전극(T1)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2 전극(T2)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2 임펄스 제거부(132)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3 전극(T3)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3 임펄스 제거부(133)와,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와 제4 전극(T4)의 사이에 직렬 연결되는 제4 임펄스 제거부(13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1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1 저항소자(R1)와, 상기 제1 저항소자(R1)와 제1 전극(T1)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1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임펄스 필터부(R1,C1)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고,
    상기 제2 임펄스 제거부(132)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된 제2 저항소자(R2)와, 상기 제2 저항소자(R2)와 제2 전극(T2)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2 캐패시터(C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 임펄스 필터부(R3,C3)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며,
    상기 제3 임펄스 제거부(133)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3 전극(T3) 사이에 연결된 제3 저항소자(R3)와, 상기 제3 저항소자(R3)와 제3 전극(T3)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3 캐패시터(C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3 임펄스 필터부(R3,C3)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며,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는,
    상기 저주파 발생부(110)의 출력단과 제4 전극(T4) 사이에 연결된 제4 저항소자(R1)와, 상기 제4 저항소자(R4)와 제4 전극(T4) 사이에 병렬 연결되는 제4 캐패시터(C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4 임펄스 필터부(R4,C4)가 복수로 직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제1 전극(T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T1)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1 캐패시터(C1)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1 방전 저항(Rc1)과,
    상기 제1 임펄스 제거부(131)와 제2 전극(T2)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전극(T2)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2 캐패시터(C2)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2 방전 저항(Rc2)과,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와 제1 전극(T1)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3 전극(T3)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3 캐패시터(C3)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3 방전 저항(Rc3)과,
    상기 제4 임펄스 제거부(134)와 제4 전극(T4)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전극(T1)을 통해서 저주파 출력 후에 상기 제4 캐패시터(C4)에 잔류되어 있는 잔류 전압을 제거하기 위해서 방전하는 제4 방전 저항(Rc4)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실금 치료용 저주파 치료기.
KR1020190153044A 2019-11-26 2019-11-26 저주파 자극기 KR102435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44A KR102435976B1 (ko) 2019-11-26 2019-11-26 저주파 자극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3044A KR102435976B1 (ko) 2019-11-26 2019-11-26 저주파 자극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622A true KR20210064622A (ko) 2021-06-03
KR102435976B1 KR102435976B1 (ko) 2022-08-24

Family

ID=76397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3044A KR102435976B1 (ko) 2019-11-26 2019-11-26 저주파 자극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5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52B1 (ko) * 2021-08-26 2021-11-02 주식회사 코르텍 전기자극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21A (ja) * 1991-12-24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周波治療器
KR200339987Y1 (ko) * 2003-10-02 2004-01-28 이철수 물리치료용 팬티
KR100850725B1 (ko) 2007-01-13 2008-08-06 홍만의 요실금 치료기
KR101356235B1 (ko) * 2012-04-03 2014-01-28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KR20160073105A (ko) 2014-12-16 2016-06-24 이슬기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KR20170128013A (ko) * 2016-05-13 2017-11-22 김진규 저주파 마사지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21A (ja) * 1991-12-24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低周波治療器
KR200339987Y1 (ko) * 2003-10-02 2004-01-28 이철수 물리치료용 팬티
KR100850725B1 (ko) 2007-01-13 2008-08-06 홍만의 요실금 치료기
KR101356235B1 (ko) * 2012-04-03 2014-01-28 전쟌수길 전기자극판 자극체에 주어지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저항 회로
KR20160073105A (ko) 2014-12-16 2016-06-24 이슬기 한방 치료용 경혈 저주파 자극기
KR20170128013A (ko) * 2016-05-13 2017-11-22 김진규 저주파 마사지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0852B1 (ko) * 2021-08-26 2021-11-02 주식회사 코르텍 전기자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5976B1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4540C (en) Electro-nerve stimulator systems and methods
US200901320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omplex bioelectric stimulation signals while conserving power
CN108261607B (zh) 一种用于运动机能调控的功能性经皮神经电刺激装置
US6512955B1 (en) Electrical apparatus for therapeutic treatment
CN110152189B (zh) 能逐渐增加刺激强度的电疗装置
US20160051816A1 (en)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having multiple stimulation channels
KR102435976B1 (ko) 저주파 자극기
JP2010184113A (ja) パルス電気刺激装置
US3295528A (en) Electrical therapeutic equipment
US6450940B1 (en) Magnetic stimulation device
JP2010264242A (ja) 生体電位制御式電位治療器
EP4015032A1 (en) A stimulation generator
KR101597423B1 (ko) 혼합발생 제어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377749B1 (ko) 정전위 및 간섭전류 복합치료기
JP2007195655A (ja) 括約筋全体に適度な電気的刺激を行き渡らせる事が可能な括約筋強化装置
NL2031921B1 (en) An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system for stimulating one or more nerves of a mammal with an electrical signal.
CN115671549B (zh) 一种低功耗的电刺激方法及装置
KR200325871Y1 (ko) 고주파 의료기 회로
WO2021200155A1 (ja) 電気治療器
CN204106847U (zh) 便携式神经刺激装置
JP2015091532A (ja) 干渉低周波治療器
HRP20211548A1 (hr) Uređaj za liječenje organizma koji uključuje postupke kao što je liječenje elektro-analgezijom i/ili liječenje edema
CN204275290U (zh) 一种石墨电疗装置
KR20040000102A (ko) 상이주파수 분지출력형 다용도 치료기
KR20040094652A (ko) 고주파 의료기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