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3112A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3112A KR20210063112A KR1020190151616A KR20190151616A KR20210063112A KR 20210063112 A KR20210063112 A KR 20210063112A KR 1020190151616 A KR1020190151616 A KR 1020190151616A KR 20190151616 A KR20190151616 A KR 20190151616A KR 20210063112 A KR20210063112 A KR 2021006311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erosol
- opening
- extraction
- cover
- generat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24F40/465—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induction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 및 수용부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접촉하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추출부는 커버부가 개구를 개방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예들은 커버부 및 추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카트리지 내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열식 궐련 또는 가열식 카트리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수용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용이하게 추출하기 위한 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삽입될 수 있으며, 추출부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이 수용되는 수용부에 탈착될 수 있다.
종래의 추출부는 사용자의 외력이 작용할 경우 수용부로부터 탈착 가능했다. 추출부와 에어로졸 생성 장치 사이의 하우징 사이에 소정의 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소정의 틈을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경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류 패스가 일정하게 유지되기 어려워 향미의 균일성이 감소되었다.
또한, 추출부와 하우징 사이의 소정의 틈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잔여물들이 유입될 수 있다. 잔여물들의 유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내부 구성 요소의 기능을 감소시키거나 내부의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들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접촉하며,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추출부와 인접한 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저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을 향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는 상기 추출부의 외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턱부는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저면부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저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저면부와 접촉하고, 상기 접촉은 상기 상면부와 상기 일 부분 사이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저면부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추출부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추출부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는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는 캠부를 일 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추출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제공한다.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추출부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추출부의 이동에 따라 추출부는 하우징과 긴밀하게 접촉하여 추출부와 하우징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와 상부 하우징의 긴밀한 접촉은 외부 공기가 소정의 틈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류 패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와 하우징이 긴밀한 접촉은 추출부와 하우징 사이의 소정의 틈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잔여물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잔여물들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부 구성 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의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부의 일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부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커버부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의 변위 메커니즘의 일 예시의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커버부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의 변위 메커니즘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부의 일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커버부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커버부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의 변위 메커니즘의 일 예시의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커버부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의 변위 메커니즘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실시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실시예들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구성 요소의“길이 방향”은 구성 요소가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을 따라 연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이때 구성 요소의 일 방향 축은 일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타 방향 축보다 구성 요소가 더 길게 연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상부 하우징(105)에 형성된 개구(115)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하는 수용부(110),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120), 및 수용부(110) 내부에 장착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과 접촉하며, 수용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추출하는 추출부(130)를 포함하되, 추출부(130)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개구(115)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하는 수용부(110)와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0)의 일 측에는 개구(115)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개구(115)를 통하여 수용부(110)에 삽입될 수 있다. 개구(115) 및 수용부(11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때 수용부(110) 또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원기둥 형상의 공동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과 이에 대응되는 개구(115) 및 수용부(11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부 하우징(105)에 형성된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개구(115)를 개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개구(115)를 통하여 수용부(110)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또한 개구(115)를 폐쇄함으로써 수용부(110) 내부에 외부 이물질이 삽입되거나, 수용부(110)의 내부가 외력으로부터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20)는 개구(11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15)를 개방할 수 있다. 개구(115)를 개방한 이후 커버부(120)는 개구(115)로부터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15)를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 방향은 수용부(110)의 길이 방향 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커버부(120)는 힌지(hinge) 운동을 통하여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하우징(105)과 커버부(120) 사이에는 힌지 구조체(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20)는 힌지 구조체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105)에 대하여 힌지 운동함으로써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다. 다만,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 및 폐쇄하는 방법은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수용부(110) 내에 장착되어 탈착 가능한 추출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추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과 접촉하며, 수용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추출할 수 있다.
추출부(130)의 내부에는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추출부(130)의 내부에 형성된 공동은 추출부(13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이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때 공동은 원통형의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추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추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로부터 분리되면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추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의 수용부(110)에 수용된 채 소정 거리 이동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추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히터는 수용부(110)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히터의 열은 수용부(110)로 전달되어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가열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히터는 예를 들어 전기 저항성 히터일 수 있다. 히터에는 전기 전도성 트랙(track)을 포함하고, 전기 전도성 트랙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히터가 가열될 수 있다. 그러나, 히터는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희망 온도까지 가열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희망 온도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기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하여 원하는 온도로 설정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히터는 유도 가열식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히터에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유도 가열 방식으로 가열하기 위한 전기 전도성 코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유도 가열식 히터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서셉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히터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배터리(101)로부터 전력을 공급 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을 가열할 수 있다.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101)는 히터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0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제어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2)는 배터리(101)뿐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어부(102)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삽입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은 각초를 포함하는 각초부(미도시) 및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하는 기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각초는 니코틴을 포함하는 담배(tobacco)일 수 있다. 각초부는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는데, 각초부는 예를 들어 시트(sheet)로 제작될 수도 있고, 가닥(strand)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담배 시트가 잘게 잘린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기재부는 각초부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재부에 포함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은 예를 들어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부(120)의 일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부(120)의 다른 양태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130)의 변위를 보다 상세히 알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추출부(130)는 커버부(120)가 상기 개구(115)를 개방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5)를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구(115)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15)를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개구(115)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추출부(130)는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제 1 위치에서 도 2b에 도시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추출부(130)는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제 2 위치에서 도 2a에 도시된 제 1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는 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추출부(130)의 제 1 위치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으며, 추출부(130)의 제 2 위치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대응되는 위치일 수 있다.
제 2 위치는 제 1 위치에 비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부 하우징(105)에 더 가까운 위치일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추출부(130)는 상부 하우징(105)에 더 가까워지도록 변위되며,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추출부(130)는 상부 하우징(105)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변위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커버부(120)는 추출부(130)와 인접한 저면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120)의 저면부(125)는 추출부(13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접촉할 수 있다. 커버부(120)는 저면부(125)를 통하여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접촉하며 상부 하우징(105)에 형성된 개구(115)를 폐쇄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추출부(130)는 상부 하우징(105)을 향하는 상면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131)는 추출부(130)가 제 1 위치일 때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이격되고,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일 때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접촉할 수 있다.
상면부(13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부 하우징(105)을 향하는 추출부(130)의 일 측 단부일 수 있다. 추출부(130)가 제 1 위치일 때 추출부(130)의 상면부(131)는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이격될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추출부(130)는 제 1 위치일 수 있다. 추출부(130)의 제 1 위치는 추출부(130)의 상면부(131)와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이 서로 이격된 위치일 수 있다.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일 때 추출부(130)의 상면부(131)는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 접촉할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추출부(130)는 제 2 위치일 수 있다. 추출부(130)의 제 2 위치는 추출부(130)의 상면부(131)와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이 서로 접촉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할 때 추출부(130)는 상면부(131)가 상부 하우징(105)과 이격된 제 1 위치에서 상부 하우징(105)과 접촉하는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추출부(130)의 이동에 따라 추출부(130)는 상부 하우징(105)과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추출부(130)와 상부 하우징(105)의 접촉은 개구(115)가 개방되더라도 추출부(130)와 상부 하우징(105)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130)와 상부 하우징(105)의 긴밀한 접촉은 외부 공기가 소정의 틈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류 패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30)와 하우징(105)이 긴밀한 접촉은 추출부(130)와 하우징(105) 사이의 소정의 틈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잔여물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잔여물들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추출부(130)의 상면부(131)는 추출부(130)의 외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턱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턱부(132)는 추출부(130)의 일 측 단부의 외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될 수 있다.
턱부(132)는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일 때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 및 저면부(125)와 접촉할 수 있다.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일 때 추출부(130)는 제 2 위치일 수 있다.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일 때 턱부(132)는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 및 저면부(125)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턱부(132)와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과의 접촉 및 턱부(132)와 저면부(125)의 접촉은 긴밀할 수 있다. 이는 추출부(130)와 하우징(105) 또는 추출부(130)와 커버부(120)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일 때, 추출부(130)의 상면부(131)와 커버부(120)의 저면부(125)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추출부(1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추출부(13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상부 하우징(105)에 가까워지도록 변위될 수 있다. 이때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부(130)의 상면부(131)와 커버부(120)의 저면부(125)는 동일한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추출부(130)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추출부(130)의 상면부(131)는 상부 하우징(105)의 일 부분(1051) 및 저면부(125)와 접촉할 수 있다. 상면부(131)와 일 부분(1051)의 접촉 및 상면부(131)와 저면부(125)의 접촉은 상면부(131)와 일 부분(1051) 사이 및 상면부(131)와 저면부(125)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130)의 변위 메커니즘의 일 예시의 정면도이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는 커버부(120) 및 추출부(130)와 접촉하며,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라 추출부(130)를 변위시키는 연결부(135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추출부(130)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135a)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추출부(130)를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추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커버부(120)의 이동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추출부(130)를 변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부(120)가 슬라이딩함으로써 개구(115)를 개방할 때,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커버부(120)가 슬라이딩하는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135a)는 레버(lever) 형상일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소정 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135a)가 소정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음에 따라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이동할 때 연결부(135a)는 소정 부분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으며, 연결부(135a)의 회전은 추출부(13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상승할 수 있다. 연결부(135a)의 일 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추출부(130)가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때 연결부(135a)의 일 단부는 하강할 수 있다. 연결부(135a)의 일 단부가 하강함에 따라 추출부(130)가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될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1 고정부(1351) 및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2 고정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제 1 고정부(1351)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1351)는 연결부(135a)에 형성된 제 1 돌출부일 수 있다. 제 1 고정부(1351)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을 때 커버부(12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제 1 고정부(1351)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도록 커버부(120)를 가압할 수 있다.
연결부(135a)는 제 2 고정부(1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고정부(1352)는 연결부(135a)에 형성된 제 2 돌출부 일 수 있다. 제 2 고정부(1352)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을 때 커버부(12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제 2 고정부(1352)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도록 커버부(120)를 가압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130)의 변위 메커니즘의 다른 예시의 사시도이다.
다른 예시로서 연결부(135b)는 커버부(120)가 이동할 때 연결부(135b)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연결부(135b)는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를 일 단부에 포함하고, 캠부(1353)는 연결부(135b)의 회전에 따라 추출부(130)를 변위시킬 수 있다.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의 높이는 연결부(135b)의 회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캠부(1353)의 두께는 선형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추출부(130)를 손상하지 않고 추출부(130)와 접촉할 수 있다.
커버부(120)의 슬라이딩은 연결부(135b)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연결부(135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커버부(120)의 슬라이딩에 따른 연결부(135b)의 회전은 예를 들어 커버부(120)와 연결부(135b) 사이에 형성될 수 있는 경사 함몰부와 돌출부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른 연결부(135b)의 회전 방법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의 두께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할 때 회전된 연결부(135b)의 각도에서 가장 두꺼울 수 있다. 캠부(1353)의 두께가 가장 두꺼울 때 캠부(1353)와 접촉하는 추출부(130)는 제 2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의 두께는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할 때 회전된 연결부(135b)의 각도에서 가장 얇을 수 있다. 캠부(1353)의 두께가 가장 얇을 때 캠부(1353)와 접촉하는 추출부(130)는 제 1 위치일 수 있다.
즉,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폐쇄하는 위치에서 개방하는 위치로 슬라이딩하면 연결부(135b)는 연결부(135b)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의 두께는 가장 두껍게 변할 수 있다. 캠부(1353)의 두께가 두껍게 변함에 따라 연결부(135b)는 추출부(130)를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또한, 캠부(1353) 커버부(120)가 개구(115)를 개방하는 위치에서 폐쇄하는 위치로 슬라이딩하면 연결부(135b)는 연결부(135b)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에 따라 추출부(130)와 접촉하는 캠부(1353)의 두께는 가장 얇게 변할 수 있다. 캠부(1353)의 두께가 얇게 변함에 따라 연결부(135b)는 추출부(130)를 제 2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은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라 변위되는 추출부(130)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를 제공한다.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라 추출부(130)는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커버부(120)의 이동에 따른 추출부(130)의 이동은 사용자가 커버부(120)를 이동시킬 때 추출부(130)와 하우징(105)이 서로 긴밀하게 접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출부(130)와 하우징(105) 사이에 소정의 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출부(130)와 상부 하우징(105)의 긴밀한 접촉은 외부 공기가 소정의 틈을 통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정의 틈을 통한 공기의 유입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 내의 기류 패스를 고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관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에서의 추출부(130)와 상부 하우징(105)의 접촉은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기류 패스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생성된 에어로졸의 균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추출부(130)와 하우징(105)이 긴밀한 접촉은 추출부(130)와 하우징(105) 사이의 소정의 틈으로 에어로졸 생성 물품(200)의 잔여물들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잔여물들의 유입이 방지됨에 따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로졸 생성 장치(10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과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1: 배터리
102: 제어부 105: 상부 하우징
1051: 상부 하우징의 일 부분 110: 수용부
115: 개구 120: 커버부
125: 저면부 130: 추출부
131: 상면부 132: 턱부
135a, 135b: 연결부 1351: 제 1 고정부
1352: 제 2 고정부 1353: 캠부
102: 제어부 105: 상부 하우징
1051: 상부 하우징의 일 부분 110: 수용부
115: 개구 120: 커버부
125: 저면부 130: 추출부
131: 상면부 132: 턱부
135a, 135b: 연결부 1351: 제 1 고정부
1352: 제 2 고정부 1353: 캠부
Claims (14)
- 상부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상기 개구를 개방 및 폐쇄하는 커버부; 및
상기 수용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과 접촉하며, 상기 수용부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에어로졸 생성 물품을 추출하는 추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추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할 때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추출부와 인접한 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저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일 부분과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을 향하는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1 위치일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과 이격되고,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과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는 상기 추출부의 외면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하는 턱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저면부와 접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저면부는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가 상기 제 2 위치일 때, 상기 상면부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상기 일 부분 및 상기 저면부와 접촉하고,
상기 접촉은 상기 상면부와 상기 일 부분 사이 및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저면부 사이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 및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며, 상기 커버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키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할 때 상기 추출부를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변위시키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할 때 상기 추출부를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제 1 위치로 변위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는 상기 연결부의 일 단부는 상기 커버부의 이동 방향을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1 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가 상기 개구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도록 유지시키는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커버부가 이동할 때 상기 연결부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추출부와 접촉하는 캠부를 일 단부에 포함하고,
상기 캠부는 상기 연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추출부를 변위시키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616A KR102423896B1 (ko) | 2019-11-22 | 2019-11-22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EP20873380.8A EP3849351A4 (en) | 2019-11-22 | 2020-11-19 | AEROSOL GENERATION DEVICE |
CN202080006205.4A CN113163874B (zh) | 2019-11-22 | 2020-11-19 | 气溶胶生成装置 |
US17/285,734 US12016382B2 (en) | 2019-11-22 | 2020-11-19 | Aerosol generating device |
JP2021525667A JP7174848B2 (ja) | 2019-11-22 | 2020-11-19 | エアロゾル生成装置 |
PCT/KR2020/016380 WO2021101272A1 (en) | 2019-11-22 | 2020-11-19 | Aerosol genera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51616A KR102423896B1 (ko) | 2019-11-22 | 2019-11-22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3112A true KR20210063112A (ko) | 2021-06-01 |
KR102423896B1 KR102423896B1 (ko) | 2022-07-21 |
Family
ID=75581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1616A KR102423896B1 (ko) | 2019-11-22 | 2019-11-22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2016382B2 (ko) |
EP (1) | EP3849351A4 (ko) |
JP (1) | JP7174848B2 (ko) |
KR (1) | KR102423896B1 (ko) |
CN (1) | CN113163874B (ko) |
WO (1) | WO2021101272A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8982A (ko) *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분리형 서셉터 구조를 갖는 히팅 디바이스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849185B2 (en) | 2003-04-15 | 2014-09-30 | Ipventure, Inc. | Hybrid audio delivery system and method therefor |
KR102681871B1 (ko) * | 2021-07-21 | 2024-07-0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2544A (ja) * | 1998-05-28 | 1999-12-07 | Kinki World Kk | 携帯用灰皿 |
US20130167854A1 (en) * | 2010-12-13 | 2013-07-04 | Jong-Soo Shin | Electronic cigarette |
KR20150129366A (ko) * | 2014-05-12 | 2015-11-20 | 신종수 | 전자담배 |
US20170202268A1 (en) * | 2016-01-18 | 2017-07-20 |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
US20180049472A1 (en) * | 2015-02-06 | 2018-02-22 | Philip Morris Products S.A. |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65515A (ja) | 2003-08-26 | 2005-03-17 | Kunifumi Watanabe | 喫煙用具 |
KR100999415B1 (ko) | 2010-02-02 | 2010-12-09 | 이진우 | 보존용기 |
JP5699315B2 (ja) | 2010-08-23 | 2015-04-08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タバコ収納ケース |
KR20120124762A (ko) | 2011-05-04 | 2012-11-14 | 신종수 | 전자담배 |
HUE030095T2 (en) * | 2011-11-21 | 2017-04-28 | Philip Morris Products Sa | Throwing aerosol generating device |
US9913493B2 (en) * | 2014-08-21 | 2018-03-13 | Rai Strategic Holdings, Inc. | Aerosol delivery device including a moveable cartridge and related assembly method |
CN107105766B (zh) * | 2014-12-18 | 2020-05-05 | Jt国际公司 | 气溶胶发生设备的容器 |
KR101874369B1 (ko) | 2016-06-15 | 2018-07-04 | 신종수 | 전자담배 |
EP3991579A3 (en) | 2016-12-16 | 2022-07-20 | KT&G Corporation | Aerosol generation method and apparatus |
KR20180070436A (ko) * | 2016-12-16 | 2018-06-26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방법 및 장치 |
CN206692494U (zh) | 2017-04-18 | 2017-12-01 | 贵州深景意林文化传媒有限公司 | 一种用于生态缸的外置空气及水质过滤的装置 |
CN107713019A (zh) * | 2017-10-26 | 2018-02-23 | 惠州市新泓威科技有限公司 | 具有自动滑盖机构的加热不燃型电子烟具及其控制方法 |
ES2976024T3 (es) * | 2017-10-30 | 2024-07-19 | Kt & G Corp | Dispositivo generador de aerosol y procedimiento de control del mismo |
EP3513666A1 (en) | 2018-01-23 | 2019-07-24 | Philip Morris Products S.a.s. | Container for aerosol-generating articles with extinguishing means |
CN109288130B (zh) | 2018-10-11 | 2023-12-01 | 深圳市新宜康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顶紧装置的低温烟草加热装置 |
KR20220082864A (ko) * | 2019-10-17 | 2022-06-17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개선된 폐쇄 수단을 갖는 충전기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
2019
- 2019-11-22 KR KR1020190151616A patent/KR10242389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11-19 WO PCT/KR2020/016380 patent/WO2021101272A1/en unknown
- 2020-11-19 JP JP2021525667A patent/JP7174848B2/ja active Active
- 2020-11-19 US US17/285,734 patent/US12016382B2/en active Active
- 2020-11-19 CN CN202080006205.4A patent/CN113163874B/zh active Active
- 2020-11-19 EP EP20873380.8A patent/EP3849351A4/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332544A (ja) * | 1998-05-28 | 1999-12-07 | Kinki World Kk | 携帯用灰皿 |
US20130167854A1 (en) * | 2010-12-13 | 2013-07-04 | Jong-Soo Shin | Electronic cigarette |
KR20150129366A (ko) * | 2014-05-12 | 2015-11-20 | 신종수 | 전자담배 |
US20180049472A1 (en) * | 2015-02-06 | 2018-02-22 | Philip Morris Products S.A. | Extractor for an aerosol-generating device |
US20170202268A1 (en) * | 2016-01-18 | 2017-07-20 | Shenzhen First Union Technology Co., Ltd. |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48982A (ko) * | 2021-10-05 | 2023-04-12 | 주식회사 이노아이티 | 분리형 서셉터 구조를 갖는 히팅 디바이스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7174848B2 (ja) | 2022-11-17 |
CN113163874B (zh) | 2023-12-12 |
US20220361569A1 (en) | 2022-11-17 |
KR102423896B1 (ko) | 2022-07-21 |
EP3849351A4 (en) | 2022-01-12 |
US12016382B2 (en) | 2024-06-25 |
JP2022511706A (ja) | 2022-02-01 |
CN113163874A (zh) | 2021-07-23 |
WO2021101272A1 (en) | 2021-05-27 |
EP3849351A1 (en) | 2021-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3896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231228B1 (ko) | 궐련 삽입 감지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방법 | |
EP3179828B1 (en) | Cigarette heating device | |
TWI693900B (zh) | 抽煙系統、供電控制方法以及抽煙系統用的程式產品、一次裝置及二次裝置 | |
EP3632241A1 (en) | Electric heating device easy for taking cigarettes out | |
US20200352229A1 (en) | Aerosol generation device | |
EP3761817B1 (en) |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mechanism | |
US20220264946A1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including extractor for removing aerosol generating article | |
KR20220160111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102423897B1 (ko) | 제1 장치와 제1 장치를 수용하는 제2 장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US11974605B2 (en) | Aerosol generating device providing an aerosol transfer amount and suction resistance | |
KR102624138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KR20220000762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
CN113519908A (zh) | 烟具及其控制方法 | |
US20210352965A1 (en) | Smoking substitute device | |
KR102277019B1 (ko) | 궐련형 전자담배 | |
KR102271275B1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에어로졸 생성 장치용 청소 키트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
EP3787428B1 (en) | Smoking substitute device having a flexible seal between battery and consumable | |
EP3981268A1 (en) | Aerosol generation device | |
KR20240030860A (ko) | 슬라이드 커버 구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
KR20240057551A (ko) | 홀더의 오토 팝업 기능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장치 | |
KR20240033052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전원 유닛,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제어 방법 | |
JP2024533640A (ja) | エアロゾル生成デバイス | |
TW202423324A (zh) | 用於氣溶膠供給裝置之加熱器 | |
KR20230079383A (ko)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