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931A -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931A
KR20210062931A KR1020190151191A KR20190151191A KR20210062931A KR 20210062931 A KR20210062931 A KR 20210062931A KR 1020190151191 A KR1020190151191 A KR 1020190151191A KR 20190151191 A KR20190151191 A KR 20190151191A KR 20210062931 A KR20210062931 A KR 202100629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rrc connection
data
user equipmen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65514B1 (ko
Inventor
안춘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151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5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9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9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 교착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고, EPC의 MME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고,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TEM}
아래의 실시예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NSA(non-standalone) 네트워크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5G(generation) NSA(non standalone) 네트워크가 새로 도입됨에 따라 새로운 무선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NR(new radio) 기지국과 기존 LTE 기지국과의 연동 및 제어 기능이 필수적이다. EPC(Evolved Packet Core)에 연결되는 NSA Option 3 구조인 경우,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유리한 NR 기지국에서 베어러 분리(bearer split) 전송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는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 시간동안 유효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 및 유효한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 시간동안 유효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는, 수신된 타겟 패킷의 타겟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가 이전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참조(reference)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시리얼 번호가 상기 참조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패킷을 유효한 패킷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TA 갱신 요청을 상기 MM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ME로부터TA 갱신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구성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사용자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TA 갱신 요청을 상기 MM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ME로부터TA 갱신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구성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기지국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장치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NSA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SCG 분리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핸드 오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특허출원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NSA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일 측면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EPC(Evolved Packet Core)(110), eNB(evolved Node B)(120) 및 gNB(next generation Node B)(13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eNB(120)는 LTE(Long Term evolution) 규격의 기지국이고, gNB(130)는 5G 규격의 기지국일 수 있다.
5G 규격의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gNB(130)만을 이용하는 SA(standalone) 방식과, eNB(120)와 gNB(130)를 함께 이용하는 NSA(non-standalone) 방식이 있다.
EPC(110)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LTE 기지국인 eNB(120) 간의 인터페이스는 S1-C(혹은 S1-MME) 인터페이스로 연동되며, EPC(110)의 S-GW와 eNB(120) 간의 인터페이스 및 EPC(110)의 S-GW와 NR 기지국인 gNB(130) 간의 인터페이스는 S1-U 인터페이스로 연동된다. 즉, MME와 gNB(130) 간의 S1-C 인터페이스는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gNB(130)과 eNB(120) 간의 인터페이스의 프로토콜은 X2-U 및 X2AP를 사용하여 연동될 수 있다. LTE와 NR의 이중 연결(EN-DC) 환경에서, eNB(120)는 MN(Master Node), gNB(130)는 SN(Secondary Node)로 명명될 수 있다.
도시된 점선은 제어 평면(control plane)을 의미하고, 양쪽 화살표를 갖는 경로들(150 및 160)은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의미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EN-DC 환경에서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140)로 전송하기 위해, 분리 베어러(split bearer)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140)로 연결되는 두 개의 경로들(150 및 160)이 설정될 수 있다. 두 개의 경로들(150 및 160)을 통해 사용자 장치(140)로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SCG 분리 베어러를 통해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른, 다운 링크를 기준으로 분리 베어러의 L2 레이어 동작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스케줄링에 따라 PDCP 데이터의 복수의 패킷들이 eNB(210) 및 gNB(220)를 통해 분배되어 전송될 수 있다.
도 3은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연결 관계를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310)와 EPC(330) 간의 NAS(Non-access stratum) 시그널링 연결은 사용자 장치(310) 및 eNB(320) 간의 RRC 연결과 eNB(320) 및 EPC(330) 간의 S1 시그널링 연결을 통해 설립될 수 있다.
도 4는 일 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핸드 오버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복수의 기지국들(410 및 420)은 커버리지들(411 및 421) 각각을 제공할 수 있다. 커버리지들(411 및 421)의 일부가 서로 겹치도록 복수의 기지국들(410 및 420)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장치(430)이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자 장치(430) 및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간에 다운 링크 채널이 설립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 장치(430)에게 가장 효율적인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410)이 사용자 장치(430)와 통신 채널을 설립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410)의 위치 또는 통신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사용자 장치(430)에게 가장 효율적인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기지국이 변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430)에게 기지국(410) 보다 기지국(420)이 더 좋은 무선 통신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경우, 기지국(420)이 사용자 장치(430)과 채널을 설립하기 위해 핸드 오버가 수행된다. 기지국(410)은 소스 기지국이고, 기지국(420)은 타겟 기지국으로 명명될 수 있다.
EN-DC 환경에서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사용자 장치(430)와 기지국 간에 또는 기지국들 간에는 시리얼 번호 상태 전송(SN status transfer) 메시지를 통하여 다음에 전송한 PDCP 패킷의 시리얼 번호를 알려줄 수 있다.
그러나, LTE 핸드 오버 또는 NR 핸드 오버가 수행된 경우, 타겟 기지국에서 PDCP 패킷의 시리얼 번호가 리셋되거나, 이미 전송된 PDCP 패킷에 대한 시리얼 번호가 전송되어, 해당 PDCP 패킷이 폐기(discard)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되는 경우 더 이상 추가적인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데이터 교착 상태가 발생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교착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인터넷 PDN(Public Data Network) 연결을 끊고, 다시 연결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인터넷 PDN을 다시 연결하는 경우 사용자 장치(430)의 IP(Internet protocol) 주소가 변경되고, 인터넷 연결이 초기화되므로 사용자 장치(430)가 다시 데이터를 수신하기 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데이터 교착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DRB(Data Radio Bearer)를 새로 연결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430)의 IP 주소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인터넷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DRB를 새로 연결함으로써 데이터 교착 상태를 해소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을 도시한다.
사용자 장치(502)는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전술된 사용자 장치들(140, 430)에 대응할 수 있다. 기지국(504)는 도 1 내지 4을 참조하여 전술된 eNB(120, 210, 320), gNB(130, 220), 및 복수의 기지국들(410, 420)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할 수 있다. EPC(506)은 도 1 및 3를 참조하여 전술된 EPC(110, 330)에 대응할 수 있다.
데이터 송수신 방법 또는 데이터 교착 상태 해소 방법은, i) 사용자 장치(502)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504)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ii)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기지국(504) 및 사용자 장치(502)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iii) RRC 연결이 설정된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iv) TA가 갱신된 경우, 기지국(504)과 사용자 장치(502)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 사용자 장치(502)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504)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510)를 포함한다.
단계(510)에서, 사용자 장치(510)는 기지국(504)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 패킷들을 포함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10)는 미리 설정 시간(예를 들어, 10초) 동안 유효한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수신된 타겟 패킷의 타겟 시리얼 번호가 이전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참조(reference)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타겟 시리얼 번호가 참조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타겟 패킷을 유효한 패킷으로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510)는 유효한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ii)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기지국(504) 및 사용자 장치(502)와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들(515 내지 530)를 포함한다.
단계(515)에서, 사용자 장치(502)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을 기지국(504)으로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의 메시지 내의 타겟 필드에 데이터 교착 상태를 나타내는 특정한 비트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필드는 예비 필드일 수 있고, 특정한 비트는 '01'일 수 있다.
단계(520)에서, 기지국(504)은 수신한 메시지의 타겟 필드가 데이터 교착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502)로 전송한다.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사용자 장치(502)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기지국(504)에서 해제될 수 있다.
단계(525)에서, 사용자 장치(502)는 RRC 연결 요청을 기지국(504)으로 전송한다.
단계(530)에서, 기지국(504)은 RRC 연결 요청에 기초하여 기지국(504)과 사용자 장치(502) 간에 RRC 연결을 설정한다.
iii) RRC 연결이 설정된 경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의 MME를 통해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들(535 및 540)을 포함한다.
단계(535)에서, 사용자 장치(502)는 TA 갱신 요청을 EPC(506)의 MME로 전송한다. TA 갱신 요청을 수신한 MME는 사용자 장치(502)의 TA를 갱신한다.
단계(540)에서, EPC(506)는 TA 갱신 승인을 사용자 장치(502)로 전송한다.
iv) TA가 갱신된 경우, 기지국(504)과 사용자 장치(502)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아래의 단계들(545 및 550)을 포함한다.
단계(545)에서, 기지국(504)는 RRC 연결 재구성의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502)로 전송한다. RRC 연결 재구성의 메시지를 수신한 사용자 장치(502)는 메시지에 기초하여 RRC 연결을 재구성한다. RRC 연결이 재구성된 경우 인터넷 PDN의 DRB가 새로 연결(또는 할당)되며, 사용자 장치(502)의 데이터 수신이 가능해진다.
단계(550)에서, 사용자 장치(550)는 RRC 연결 재구성 완료의 메시지를 기지국(504)으로 전송한다.
상기의 방법에 따르면, 기존의 인터넷 PDN 자체를 다시 연결하는 것이 아닌, DRB를 새로 할당하는 것이므로 인터넷 연결이 초기화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기까지의 시간이 인터넷 PDN 자체를 다시 연결하는 방법에 비해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장치(502)의 IP 주소가 변경되지 않으므로, 기존의 인터넷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의 구성도이다.
사용자 장치(502)는 통신부(610),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한다.
통신부(610)는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6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A"를 송수신한다라는 표현은 "A를 나타내는 정보(information)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있다.
통신부(610)는 사용자 장치(502) 내의 회로망(circuitry)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10)는 내부 버스(internal bus) 및 외부 버스(external bus)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610)는 사용자 장치(502)와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610)는 인터페이스(interface)일 수 있다. 통신부(6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620) 및 메모리(6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통신부(6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6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6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6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630)는 통신부(6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6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6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데이터 교착을 해소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syntax)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6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사용자 장치(502)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사용자 장치(502)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620)에 의해 실행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도이다.
기지국(504)는 통신부(710),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를 포함한다.
통신부(710)는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부(710)는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710)는 기지국(504) 내의 회로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710)는 내부 버스 및 외부 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통신부(710)는 기지국(504)과 외부의 장치를 연결하는 요소일 수 있다. 통신부(710)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통신부(710)는 외부의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프로세서(720) 및 메모리(73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는 통신부(7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메모리(7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프로세서(720)는 메모리(예를 들어, 메모리(730))에 저장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코드(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세서(720)에 의해 유발된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한다.
메모리(730)는 통신부(710)가 수신한 데이터 및 프로세서(720)가 처리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730)는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데이터 교착을 해소함으로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코딩되어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 가능한 신텍스들의 집합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메모리(730)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 RA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및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730)는 기지국(504)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한다. 기지국(504)를 동작 시키는 명령어 세트는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200: 전자 장치
300: 서버
500: 중계 장치

Claims (23)

  1. 사용자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미리 설정 시간동안 유효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 및
    유효한 패킷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것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 시간동안 유효한 상기 데이터의 적어도 하나의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결정되는 단계는,
    수신된 타겟 패킷의 타겟 시리얼 번호(serial number)가 이전에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의 참조(reference)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겟 시리얼 번호가 상기 참조 시리얼 번호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 상기 타겟 패킷을 유효한 패킷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장치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되는,
    데이터 수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TA 갱신 요청을 상기 MM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ME로부터TA 갱신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구성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수신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0. 사용자 장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상태가 교착 상태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수행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는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RRC 연결 요청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과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되는,
    사용자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를 갱신하는 단계는,
    상기 TA 갱신 요청을 상기 MME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MME로부터TA 갱신 승인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과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구성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 재구성의 완료를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치.
  16. 기지국 및 EPC(Evolved Packet Core)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은,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이 상기 사용자 장치와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연결이 설정된 경우, 상기 EPC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T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과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0. 무선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장치의 데이터의 수신 상태가 교착 상태인 경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의 EPC(Evolved Packet Core)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의 TA(tracking area)가 갱신된 경우, 상기 기지국 및 상기 사용자 장치 간의 RRC 연결을 재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재구성된 RRC 연결을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지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는 복수의 시리얼 번호들을 갖는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패킷들을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는,
    RRC 연결 재설립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RRC 연결 재설립을 거절하는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RRC 연결 요청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RRC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RRC 연결 재설립이 거절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 할당된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에 대응하는 자원이 상기 기지국에서 해제되는,
    데이터 전송 방법.
KR1020190151191A 2019-11-22 2019-11-2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226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91A KR102265514B1 (ko) 2019-11-22 2019-11-2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1191A KR102265514B1 (ko) 2019-11-22 2019-11-2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931A true KR20210062931A (ko) 2021-06-01
KR102265514B1 KR102265514B1 (ko) 2021-06-15

Family

ID=7637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191A KR102265514B1 (ko) 2019-11-22 2019-11-22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51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954A (ko) * 2011-04-11 201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23141A (ko) * 2016-03-23 2018-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5954A (ko) * 2011-04-11 201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80123141A (ko) * 2016-03-23 2018-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5514B1 (ko) 202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35029B1 (en) Gateway sele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optimization
JP7232323B2 (ja) 測位リソース調整方法及びその装置、ネットワークノード、端末並びに基地局
US201502564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seamless sctp failover between sctp servers running on different machines
US10554445B2 (en) Data packet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80332473A1 (en) MTC Service Management Using NFV
EP3481132B1 (en) Anchor gateway switching method, apparatus and system
JP2021514126A (ja) フル構成で接続を再開するための方法、ネットワークノード、無線デバイス、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JP2016535479A (ja) メッセージ処理方法、mme選択方法、および装置
JP6837163B2 (ja) 情報伝送方法および装置
EP3570491B1 (en) Association management method and network node
KR20220131309A (ko) 통신 방법 및 장치
US110578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ownlink data
EP2993957A1 (en) User equipment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system
BR112019009823A2 (pt) método de migração de dados e aparelho
JP2023534851A (ja) 統合アクセスおよびバックホールiabシステムに適用される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WO2021031951A1 (zh) 数据传输方法及相关设备
EP3700291A1 (en) Connec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P3585025B1 (en) Data migration method and apparatus
BR112017008258B1 (pt) Método para estabelecimento de interface, e nó de serviço
KR102243263B1 (ko) 가상 랜 게이트웨이 시스템, 제어 평면 게이트웨이의 동작 방법 및 mme의 동작 방법
EP3876599B1 (en) Data forwar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aster base station and slave base station
KR10226551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1419029B2 (en) Switching method, network element, gateway, base station, framework,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190223233A1 (en) Multi-device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based on epc tunnel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351934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