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671A -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 Google Patents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671A
KR20210062671A KR1020217011764A KR20217011764A KR20210062671A KR 20210062671 A KR20210062671 A KR 20210062671A KR 1020217011764 A KR1020217011764 A KR 1020217011764A KR 20217011764 A KR20217011764 A KR 20217011764A KR 20210062671 A KR20210062671 A KR 2021006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ifier
diode
circuit
phas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6729B1 (ko
Inventor
프란츠 파일쉬프터
마르틴 괴츤베르거
마누엘 브루너
Original Assignee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비테스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1006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6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6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2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converters located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30AC to D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tifi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류 전류 단자(WA), 적어도 2개의 평활 커패시터(C1, C2), 구성 디바이스(KV) 및 정류기(GR)를 포함하는,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ES)를 위한 충전 회로(LS)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교류 전류 단자(WA)는 상기 정류기를 통해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연결된다.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상기 정류기(GR)를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에 연결한다.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선택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류 전류 단자는 다이오드 회로(DE)를 통해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연결된 중성 전도체 단자(N)를 갖는다.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서로 병렬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S1, S3)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직렬로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제공된 다이오드(DS)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본 발명은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기 구동부를 갖는 차량, 즉 순수 전기 구동부를 갖는 차량, 및 하이브리드 차량은 특히 축전지 형태의 전기 에너지 저장소를 갖는다. 외부 수단으로 상기 저장소를 충전할 수 있기 위해 교류 전류 연결부를 갖는 이러한 유형의 차량이 있다. 이 교류 전류 연결부는 차량을 충전하기 위해 공공 공급 그리드와 같은 AC 그리드의 에너지를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차량은 "플러그인 차량"이라고도 한다.
한편으로 에너지 저장소는 기술적인 이유로 DC 전압으로 충전되어야 하여서 정류가 필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에너지 저장소의 동작 또는 정격 전압과, 교류 전압 또는 교류 전압으로부터 생성된 정류 전압 레벨 사이에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3상 전류의 더 높은 상호 연결 계수를 통해 충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위해 단상 또는 다상 교류 전압으로 차량의 에너지 저장소를 동일하게 충전할 수 있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요구 사항에 더하여, 전류 운반 용량 및 정격 전압의 관점에서 모두 적합한 대응하는 충전 회로용 반도체 및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비용을 고려해야 한다. 특히, 이 비용에 비추어 경제적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 차량의 에너지 저장소를 충전할 수 있는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과제이다.
본 목적은 청구항 1의 충전 회로를 통해 달성된다. 추가 특징, 실시예, 특성 및 장점은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충전 회로는 구성 디바이스에 의해 선택적으로 병렬로 또는 직렬로 서로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평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정류기는 교류 전류 단자에 연결되어 있어, 교류 전류 단자를 평활 커패시터(정류 포함)에 연결한다. 교류 전류 단자 및 이에 따른 정류기는 상이한 수의 (다양한) 위상, 예를 들어, 단상 또는 3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한 상호 연결 요소(알려진 바와 같이 위상의 수, 즉 사용되는 위상이 서로 오프셋된 전류의 수에 직접 의존함)가 발생한다. 그 결과 상이한 상호 연결 요소로 인해 정류기 또는 교류 전류 단자가 상이한 수의 위상으로 동작할 때 평활 커패시터에서 상이한 전압 레벨이 발생한다.
평활 커패시터의 선택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 구성으로 인해 평활 커패시터를 경제적으로 (즉, 상대적으로 낮은 정격 전압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활화될 전압 또는 정류기의 동작에 따라 커패시터를 조정하여 최적화할 수 있다. (낮은 정류 전압에 대응하는) 단상 동작을 의미하는 단상 전압의 경우, 높은 커패시턴스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방식으로 병렬 구성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반면에 (교류 전류 단자 또는 정류기의) 다상 동작의 경우 단상 작동에 비해 더 큰 (정류) 전압의 경우 직렬 구성이 사용되어서, 각각의 커패시터는 평활화를 위해 전체 전압의 일부만을 받게 된다.
교류 전류 단자의 중성 전도체를 각 구성에 적절히 연결하기 위해 다이오드 회로가 제공된다. 교류 전류 단자의 중성 전도체 단자는 이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구성 디바이스 자체는 정류기를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하여서,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다상 동작에서 다이오드 회로는 교류 전류 단자의 위상의 성분을 비대칭으로 전환하여 필터링에 사용된다. 따라서 다상 동작 또는 직렬 구성에서 다이오드 회로는 원치 않는 구성 요소를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단상 동작을 의미하는 비대칭 동작에서, 다이오드 회로는 중성 전도체를 전환기 또는 복귀 전도체로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교류 전류 단자의 위상 단자 중 하나의, 복수의 또는 모든 위상 단자가 교류 전류 시스템의 하나의 위상 또는 동일한 위상을 받지만, 중성 전도체는 일반적으로 230V 교류 전류 그리드의 단상 소비자와 같이 복귀 전도체를 형성한다. 따라서 다이오드 회로의 다이오드는 (병렬) 연결된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을 허용하여 이들로 복귀 전도 경로(또는 순방향 전도 경로)를 완성한다. 다이오드 회로는 중성 전도체 단자와 구성 디바이스 사이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특히 다이오드 회로는 이를 위해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직렬 회로는 중성 전도체 단자에 대한 상호 연결과 관련됨). 다이오드 회로는 중성 전도체 단자로부터 시작하여 구성 디바이스까지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가 이 경우 중성 전도체 단자와 구성 디바이스 사이에 반대 방향으로 중성 전도체 단자에 대해 (직렬로) 연결된다.
상기 언급된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중성 전도체 단자를 연결하면 평활 커패시터를 분할시켜, 특히 고전압에서도 최대 전압이 최대 정류 전압보다 낮은 커패시터로 동작할 수 있다. 직렬 회로로 분할하는 것을 통해 각각의 평활 커패시터는 정류된 전압의 일부만을 받는다. 따라서 평활 커패시터는 더 낮은 정격 전압 또는 최대 전압에 맞게 크기 조정될 수 있어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이오드 회로를 사용하면 스위치 없이 중성 전도체 단자를 연결할 수 있다. 교류 전류 단자 또는 정류기의 다상 사용의 경우 연결은 비대칭 성분을 전환하는 데 사용되는 반면, (교류 전류 단자 또는 정류기의) 단상 동작에서 다이오드 회로는 구성 디바이스(그리고 최종적으로 에너지 저장 단자)와 단상 전위 사이에 연결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를 위한 충전 회로가 설명되며, 여기서 충전 회로는 교류 전류 단자, 적어도 2개의 평활 커패시터, 구성 디바이스 및 정류기를 포함한다. 교류 전류 단자는 정류기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구성 디바이스는 정류기를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한다. 즉, 구성 디바이스는 정류기와 평활 커패시터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정류기는 구성 디바이스를 통해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구성 디바이스는 평활 커패시터를 선택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평활 커패시터는 제1 스위치 상태에서 평활 커패시터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고 (직렬 구성에 대응하는) 제2 상태에서 직렬로 서로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교류 전류 단자는 중성 전도체 단자를 포함한다. 이것은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구성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따라서 중성 전도체 단자는 다이오드 회로를 통해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구성 디바이스는 중성 전도체 단자와 평활 커패시터 사이에 제공된다.
다이오드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이들 다이오드는 구성 디바이스의 상이한 연결 지점에 연결된다(스위치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 회로의 다이오드 중 하나의, 복수의 또는 모든 다이오드는 중성 전도체 단자에 연결되거나 연결된다. 이 적어도 하나의 다이오드는 중성 전도체 단자와 구성 디바이스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고, 특히 구성 디바이스 내의 연결 지점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회로의 다이오드는 또한 중성 전도체가 이 다이오드에 연결되거나 이들 다이오드(특히 이들의 연결 지점)가 중성 전도체 단자에 연결되기 때문에 중성 전도체 다이오드라고도 불릴 수 있다. 다이오드 회로는 하프 브리지(half-bridge)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중성 전도체 단자(즉, 중성 전도체)는 하프 브리지 내의 연결 지점에 연결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다이오드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정류기 회로로 설계된다. 여기서 다이오드 회로는 중성 전도체가 연결되는 중간 지점을 포함할 수 있는 하프 브리지 형태의 다이오드 브리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 회로에 의해 형성된 정류기 회로는 연결 지점의 형태로 교류 전류측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교류 전류측은 중성 전도체 단자에 연결된다. 다이오드 회로로 형성된 정류기 회로는 구성 디바이스에 연결된 (및 이에 따라 커패시터에도 연결된) 직류 전류측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정류기 회로는 전파 정류기 회로이다.
다이오드 회로는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다이오드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된다. 중성 전도체 단자에 대여 상이한 다이오드는 (순방향 전도 방향 또는 역방향 바이어스 방향으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다. 2개의 다이오드 중 제1 다이오드는 중성 전도체 단자를 제1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 중 제2 다이오드는 중성 전도체 단자를 제2 평활 커패시터에 연결할 수 있다. 중성 전도체 단자에서 보았을 때, 2개의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도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따라서 2개의 반파(half-wave)는 다이오드에 의해 전도되며, 여기서 상이한 다이오드는 상이한 극성의 반파를 (커패시터로) 전도한다. 평활 커패시터와 다이오드 사이의 연결은 평활 커패시터에 각 다이오드를 직렬로 상호 연결한다. 이를 통해 단상 및 다상 충전을 위해 동일하게 설계된 다이오드 회로를 특히 경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구성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를 포함한다. 폐쇄되면 이는 평활 커패시터를 병렬로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는 평활 커패시터 사이에 병렬 연결을 수립한다. 구성 디바이스는 (폐쇄될 때) 평활 커패시터를 직렬로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다이오드(또는 일반적으로 다이오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순방향 전도 방향에서 다이오드는 평활 커패시터를 직렬로 서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구성 디바이스는 2개의 제1 스위치와 제1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2개의 제1 스위치는, 폐쇄될 때 평활 커패시터를 병렬 회로로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병렬 스위칭 요소라고도 할 수 있다. 또한, 구성 디바이스는, 순방향 전도 방향에서 평활 커패시터를 직렬로 서로 연결하기 때문에 직렬 스위칭 요소라고도 할 수 있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제1 스위치와 다이오드는 직렬로 특히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된다. 이 직렬 회로는 정류기의 다른 전위에 연결된다. 즉, 2개의 제1 스위치와 다이오드는 정류기와 병렬로 연결된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된다. 스위치와 다이오드는 정류기의 다른 전위에 연결된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된다. 다이오드는 제1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된다. 다이오드는 제1 스위치 사이에 제공된다. 다이오드는 스위치를 (직렬로) 서로 연결한다. 다이오드는 정류기의 직류 전압측의 전위에 대해 역 바이어스 방향으로 연결된다. 추가 스위치가 없는 실시예에서, 구성 디바이스의 2개의 제1 스위치는 또한 2개의 스위치 또는 2개의 구성 스위치라고 지칭될 수 있다. 구성 디바이스의 다이오드는 구성 디바이스의 일부이기 때문에 구성 다이오드라고 지칭될 수 있다.
제1 스위치는 직렬 회로의 맥락에서 다이오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1 스위치는 정류기의 상이한 전위에 직접 연결된 단자를 포함한다. 이 맥락에서 정류기의 전위는 정류기의 직류 전압측을 의미하는 직류 전압 전위를 의미한다. 다이오드는 2개의 제1 스위치를 서로 연결한다. 다이오드는 제1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고 제1 스위치는 2개의 전위에 직접 연결되므로 다이오드는 전위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제1 스위치를 통해 연결된다. 정류기의 전위는 교류 전류 단자의 전압과 관련 상호 연결 계수에서 발생하는 정류된 전압에 대응한다. 다른 전위는 특히 양 전위 및 음 전위이지만 접지 전위 및 양 전위일 수도 있다.
충전 회로는 바람직하게는 구성 디바이스에 제어 방식으로 연결된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구성 디바이스에는 스위치가 장착된다. 제어 장치는 제어 방식으로 스위치에 연결된다. (충전 제어 디바이스용) 병렬 구성 상태에서 제어 장치는 평활 커패시터를 정류기의 2개의 상이한 전위 사이에 각각 연결하는 구성 디바이스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만을 폐쇄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제어 장치는 폐쇄될 때 평활 커패시터를 병렬로 서로 연결하는 (따라서 또한 2개의 다른 전위에 연결되는) 구성 디바이스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만을 폐쇄하도록 설계된다. 병렬 구성 상태에서 각각의 평활 커패시터는 2개의 다른 전위 사이에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2개의 다른 전위 사이의 전체 전위차 또는 전압을 수신한다.
제어기는 교류 전압 단자의 단상뿐만 아니라 다상 점유 상태를 확인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기는 대안적으로 정류기의 단상 및 다상 사용 상태를 확인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어 장치는 또한 대안적으로 충전 회로의 단상 또는 다상 요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도록 설계된다. 즉, 제어 장치는 (교류 전류 단자 또는 정류기의) 단상 상태와 다상 상태를 구별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제어기는 단상 상태 중 하나에서 병렬 구성으로 평활 커패시터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제어 장치는 또한 다상 상태 중 하나에서 직렬 구성으로 평활 커패시터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계되었다.
제어 장치는 대안적으로, 정류된 전압이 정류기의 직류 전류측에 존재하고 미리 정해진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평활 커패시터를 직렬로 (구성 디바이스에 의해) 서로 연결하고, 전압이 임계 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평활 커패시터를 (다시 구성 디바이스에 의해) 병렬로 서로 연결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따라서 커패시터마다 정류된 전압의 일부만을 얻기 위해) 증가된 상호 연결 인자(즉, 1을 초과하는 상호 연결 인자)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 훨씬 더 증가된 전압에서도 평활 커패시터를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는 정류기의 정류된 전압을 임계 값과 비교하는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임계 값은 바람직하게는 커패시터의 설계에 의해 결정된 미리 정해진 마진만큼 커패시터의 최대 전압 아래에 놓인다.
또한, 충전 회로가 복수의 직류 전압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이들 변환기는 각각 클록 스위칭 장치와 중간 회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제1 직류 전압 변환기의 중간 회로 커패시터는 제1 평활 커패시터로 형성된다. 제2 직류 전압 변환기의 중간 회로 커패시터는 제2 평활 커패시터로 형성된다. 따라서 평활 커패시터는 상이한 직류 전압 변환기의 중간 회로 커패시터로 사용된다. 평활 스위칭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제어 가능한 스위치, 특히 2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하며, 이들 스위치는 요소의 교번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직류 전압 변환기는 임시 저장 요소로서 인덕터(또는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직류 전압 변환기는 바람직하게는 클록 스위칭 유닛의 상류 또는 하류에 연결된 변환기 인덕터를 포함한다. 직류 전압 변환기는 승압, 강압 또는 동기식 변환기로 설계될 수 있다. 직류 전압 변환기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직류 전압 변환기는 직류 전류 단자에 연결된 단자를 포함한다. 직류 전류 단자는 (충전 회로에) 에너지 저장소를 연결하기 위해 구성된다. 여기서 직류 전압 변환기의 단자는 병렬로 서로 연결된다. 따라서 직류 전압 변환기는 충전 시 병렬로 동작하고, 전달되는 전류는 직류 전류 단자에서 함께 추가된다. 양 단자와 음 단자가, 예를 들어, 단자로 제공되며, 여기서 직류 전압 변환기 또는 이의 양 전위는 양 단자에 연결된다. 이는 음 단자 또는 접지 단자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정류기는 제어 가능한 정류기일 수 있다. 제어 가능한 정류기는 교류 전류 단자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정류기 유닛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지만 코일과 같은 전용 에너지 저장소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정류기는 대안적으로 역률 보정 필터일 수 있다. 이것은 인덕터(예를 들어, 코일)를 통해 교류 전류 단자에 연결된 제어 가능한 정류기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인덕터는 역률 보정 필터의 맥락에서 임시 에너지 저장소를 형성한다. 교류 전류 단자의 각 위상은 자체 (직렬 연결) 인덕터를 통해 정류기 유닛에 연결된다.
충전 회로, 및 이 충전 회로의 직류 전류 단자를 통해 충전 회로에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소를 포함하는 차량 전기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직류 전압 변환기가 제공되지 않으면 (에너지 저장소에 연결되기 위한) 직류 전류 단자는 중간 평활 커패시터가 위치된 곳의 양단 전위를 의미하는 정류기의 직류 전압측에 직접 연결된다.
도 1은 (차량측) 에너지 저장소에 연결된 충전 회로의 일 실시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충전 회로(LS)는 3상 단자(L1 내지 L3) 및 중성 전도체 단자(N)를 갖는 교류 전류 단자(WA)를 포함한다. 이들 단자는 정류기(GR)의 교류 전류측에 연결된다. 정류기(GR)는 다이오드를 갖는 정류기 유닛(GE), 및 상류에 연결된 (각각의 위상을 갖는) 3개의 인덕터(I1 내지 I3)를 포함한다. 인덕터(I1 내지 I3)는 교류 전류 단자(WA)를 정류기 유닛(GE)에 연결하고, 특히 교류 전류 단자의 상이한 위상 단자(L1 내지 L3)를 정류기 유닛(GE)에 연결한다. 정류기 유닛(GE)은 다이오드 형태 또는 특히 제어 가능한 트랜지스터 형태의 정류기 요소만을 포함한다. 상류에 연결된 각각의 위상을 갖는 인덕터(I1 내지 I3)는 정류기 유닛과 함께 역률 보정 필터를 형성하고, 이는 정류 기능에 더하여 고조파 감쇠 및/또는 역률 보정 및/또는 승압과 같은 기능을 실현하는 정류기(GR)를 의미한다.
정류기(GR)는 교류 전류측과 반대되는 직류 전류측(GS)을 포함한다. 따라서 정류기(GR)는 교류 전류 단자(WA)를 한 쌍의 평활 커패시터(C1 및 C2)의 2개의 각 단부에 연결한다. 제1 다이오드(D1) 및 제2 다이오드(D2)를 포함하는 다이오드 회로(DE)가 제공된다. 이들 다이오드는 연결 지점을 통해 직렬로 서로 연결되며, 이 연결 지점에는 중성 전도체 단자(N)가 연결된다. 이 연결 지점으로부터 보면 다이오드(D1 및 D2)는 구성 디바이스(KV)에 (순방향 전도 방향과 반대로) 연결된다.
구성 디바이스(KV)는 다이오드(DS)와 2개의 스위치(S1 및 S2)의 직렬 회로를 포함한다. 이들은 직렬로 서로 연결된다. 결과 직렬 회로는 정류기(GR)의 직류 전류측에 연결된다. 스위치(S1 내지 S3)의 이 직렬 회로는 특히 일 단부에서 양 전위(P+) 및 음 전위(P-)에 연결된다. 양 전위(P+)와 음 전위(P-)는 정류기(GR) 또는 정류기(GR)의 직류 전류측(GS)의 직류 전압 전위이다. 스위치(S1 내지 S3)의 직렬 회로 및 이에 따라 구성 디바이스(KV)는 전위(P-, P+)에 (구성 디바이스(KV)의 단부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이오드(DS)는 스위치(S1 및 S2)를 서로 연결한다. 스위치(S1 및 S2)는 각각 2개의 전위 중 하나에 영구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S1)는 양 전위(P+)에 연결되고 스위치(S2)는 음 전위(P-)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1 및 D2)의 직렬 회로는 스위치(S1 및 S2)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S)와 병렬로 연결된다.
즉, 다이오드 회로(DE)는 다이오드(DS)와 병렬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회로(DE)는 전파 정류(full-wave rectification), 특히 단상 동작을 위한 다이오드 브리지를 형성한다. 다이오드 회로(DE)에서 다이오드의 연결 지점은 중성 전도체(N)에 연결된다.
스위치(S1)와 다이오드(DS) 사이의 연결 지점은 제1 평활 커패시터(C1)에 연결된다. 다이오드(DS)와 스위치(S2) 사이의 연결 지점은 제2 평활 커패시터(C2)에 연결된다. 따라서 평활 커패시터(C1 및 C2)는 다이오드(DS)가 전도 상태가 아닐 때에만 서로 직렬로 연결된다. 스위치(S1 및 S2)가 폐쇄되면 커패시터(C1 및 C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단 하나의 위상만이 연결되면 1의 상호 연결 계수가 발생하고 커패시터(C1 및 C2)는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교류 전류 단자(WA)가 3상으로 사용되면(여기서 위상 단자(L1 내지 L3)가 3상 전류 시스템의 다른 위상에 연결되면), 상호 연결 계수는 1을 초과하게 되고, 커패시터(C1 및 C2)는 구성 디바이스(KV)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다. 그 결과 (커패시터의 전압 분할로 인해) 평활화된 전압의 절반만이 각각의 커패시터(C1 및 C2)에 걸쳐 발생한다. 따라서 각각의 커패시터(C1 및 C2)는 3상 동작에서 최대 전압보다 낮은 정격 전압으로 크기 정해질 수 있다. 평활 커패시터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공칭) 커패시턴스 및/또는 동일한 정격 전압을 갖는다.
단상 동작에서, 중성 전도체(N)는 3상 시스템의 대응하는 단자에 연결될 수 있는 반면, 위상 단자(L1 내지 L3) 또는 위상 단자(L2)만이 (또는 위상 단자(L1 및 L2)만이) 연결 가능한 네트워크의 하나의 동일한 위상에 연결된다. 이 경우 상호 연결 요소는 1이 된다. 하나 초과의 위상 단자(L1 내지 L3)가 연결 가능한 교류 네트워크의 동일한 위상에 연결되면, 관련 단자(L1, L2, L3)는 이에 따라 서로 연결된다. 서로에 대해 위상이 오프셋된 위상 전류가 사용되지 않거나 위상 오프셋이 있는 위상 단자가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이는 단상 동작이라고도 한다. 단상 동작에서는, 단자(L1, L2 및 L3)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위상에 연결되어(즉, 서로 연결되어) 정류기(GR)의 모든 위상이 전류 흐름에 기여할 수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평활 커패시터(C1 및 C2) 또는 정류기(GR)의 직류 전압측은 충전 회로(LS)의 직류 전류 단자(GA)인 에너지 저장소(ES)에 직접 연결된다. 여기서 에너지 저장소(ES)는 반드시 충전 회로의 일부일 필요는 없지만 충전 회로가 제공되는 차량 전기 네트워크의 추가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2개의 직류 전압 변환기(GW1, GW2)를 포함하는 직류 전압 변환기 유닛(WE)이 제공된다. 전압 변환기(GW1, GW2) 각각은 스위칭 유닛(SE1, SE2)을 포함한다. 직류 전압 변환기의 클록 스위칭 요소가 이들뿐만 아니라 코일과 같은 임시 에너지 저장소(여기서는 상징적으로 도시됨)에 제공된다. 직류 전압 변환기에 속하는 중간 회로 커패시터는 커패시터(C1 및 C2)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제1 직류 전압 변환기(GW)는 중간 회로 커패시터인 커패시터(C1) 및 스위칭 유닛(SE1)으로 형성된다. 직류 전압 변환기(GW2)는 대응하여 스위칭 유닛(SE2) 및 커패시터(C2)로 형성된다.
제어 장치(C)는 제어 방식으로 스위치(S1 및 S2)에 연결된다. 제어 장치(C)는 제어 장치가 정류기(GR)의 활성 (다른) 위상의 수에 관한 신호를 획득할 수 있는 입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신호는 교류 전류 단자의 점유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이거나, 정류기(GR)의 활성 및 위상 오프셋 위상 수를 나타내는 신호이거나, 단상 또는 다상 동작을 수행하는 명령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으며, 여기서 마지막으로 언급된 신호는 (다른) 위상의 수를 나타낸다. 다른 실시형태에서, 제어 장치(C)는 이 경우 (커패시터(C1 및 C2)의) 직렬 동작을 위한 구성 디바이스(KV)를 제공하기 위해 정류기의 직류 전류측에서 전압을 획득하고 이로부터 전압이 임계 값보다 큰지 여부를 추론하도록 설계된다. 전압이 임계 값보다 낮으면 커패시터(C1 및 C2)의 총 커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구성 디바이스가 이러한 커패시터의 병렬 상호 연결로 설정된다.
직류 전압 변환기 유닛(WE)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거기에 존재하는 직류 전압 변환기(GW1, GW2) 또는 스위칭 유닛(SE1, SE2)은 직류 전류 단자(GA)측을 의미하는 출력에서 서로 병렬로 연결된다. 그러나 변환기의 직렬 연결도 가능하다. 갈바닉 전도성 또는 갈바닉 절연 또는 절연 변환기는 변환기(GW1, GW2)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직류 전류 단자(GA)측의 상호 연결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도 1은 충전 회로(LS) 및 이에 연결된 에너지 저장소(ES)를 포함하는 차량 전기 네트워크로 볼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된다. 에너지 저장소(ES)는 축전지, 특히 리튬 기반 축전지일 수 있다. 에너지 저장소(ES)는 바람직하게는 견인 축전지이다. 충전 회로는 특히 적어도 1kW, 5kW, 10kW 또는 50kW의 전력을 위해 설계되었다. 이것은 3상 시스템에 연결되었을 때 전력과 관련된다.

Claims (9)

  1.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ES)를 위한 충전 회로(LS)로서,
    교류 전류 단자(WA), 적어도 2개의 평활 커패시터(C1, C2), 구성 디바이스(KV), 및 상기 교류 전류 단자(WA)를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연결시키는 정류기(GR)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상기 정류기(GR)를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에 연결하고,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선택적으로 병렬 또는 직렬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교류 전류 단자는 다이오드 회로(DE)를 통해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연결되는 중성 전도체 단자(N)를 포함하며,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서로 병렬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스위치(S1, S3)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직렬로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제공된 다이오드(DS)를 포함하는, 충전 회로(LS).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디바이스(KV)는 상기 정류기(GR)의 상이한 전위(P+, P-)에 연결된 직렬 회로로 서로 연결된 2개의 제1 스위치(S1, S3) 및 다이오드(DS)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스위치(S1, S3)는 상기 다이오드(DS)를 통해 상기 직렬 회로 내에서 서로 연결되는, 충전 회로(LS).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회로(DE)는, 상기 중성 전도체 단자(N)에 연결되는 교류 전류측을 포함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연결되는 직류 전류측을 포함하는 정류기 회로로 설계되는, 충전 회로(LS).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 회로(DE)는 적어도 2개의 다이오드(D1, D2)를 포함하고, 이 중 적어도 제1 다이오드(D1)는 상기 중성 전도체 단자(N)를 제1 평활 커패시터(C1)에 연결하고, 이 중 적어도 제2 다이오드(D2)는 상기 중성 전도체 단자(N)를 제2 평활 커패시터(C2)에 연결하는, 충전 회로(LS).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 제어 방식으로 연결되는 제어 디바이스(C)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에는 스위치(S1, S2)가 장착되고, 상기 제어 장치(C)는,
    (i) 병렬 구성 상태에서,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상기 정류기(GR)의 상이한 두 전위(P+, P-) 사이에 각각 연결하는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들(S1, S2)만을 폐쇄하고,
    (ii) 직렬 구성 상태에서, 병렬 구성 상태에서 폐쇄된 상기 구성 디바이스(KV)의 스위치 또는 스위치들(S1, S2)을 개방된 상태로 제공하도록 설계된, 충전 회로(LS).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C)는, 상기 교류 전류 단자(WA)의 단상 및 다상 점유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정류기(GR)의 단상 및 다상 사용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충전 회로의 단상 또는 다상 요구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획득하도록 설계되고, 상기 제어 장치(C)는 상기 평활 커패시터(C1, C2)를 상기 단상 상태 중 하나에서 병렬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고, 다상 상태 중 하나에서 직렬 구성으로 서로 연결하도록 설계된, 충전 회로(LS).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각각 클록 스위칭 유닛(SE1, SE2) 및 중간 회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복수의 직류 전압 변환기(GW1, GW2)를 포함하고, 제1 직류 전압 변환기(GW1)의 중간 회로 커패시터는 제1 평활 커패시터(C1)로 형성되고, 제2 직류 전압 변환기(GW2)의 중간 회로 커패시터는 제2 평활 커패시터(C2)로 형성된, 충전 회로(LS).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변환기(GW1, GW2)는 상기 에너지 저장소(ES)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직류 전류 단자(GA)에 연결된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직류 전압 변환기(GW1, GW2)의 단자는 서로 병렬로 연결된, 충전 회로(LS).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GR)는 상기 교류 전류 단자(WA)에 직접 연결된 제어 가능한 정류기 유닛(GE)을 포함하는 제어 가능한 정류기이고, 또는 상기 정류기(GR)는 인덕터(I1 내지 I3)를 통해 상기 교류 전류 단자(WA)에 연결된 제어 가능한 정류기 유닛(GE)을 포함하는 역률 보정 필터인, 충전 회로(LS).
KR1020217011764A 2018-09-24 2019-09-17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KR1025867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216233.6A DE102018216233A1 (de) 2018-09-24 2018-09-24 Ladeschaltung für einen fahrzeugseitig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DE102018216233.6 2018-09-24
PCT/EP2019/074846 WO2020064429A1 (de) 2018-09-24 2019-09-17 Ladeschaltung für einen fahrzeugseitigen elektrischen energiespeich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671A true KR20210062671A (ko) 2021-05-31
KR102586729B1 KR102586729B1 (ko) 2023-10-10

Family

ID=6798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1764A KR102586729B1 (ko) 2018-09-24 2019-09-17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60218B2 (ko)
KR (1) KR102586729B1 (ko)
CN (1) CN112703654A (ko)
DE (1) DE102018216233A1 (ko)
WO (1) WO20200644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5448A2 (de) 2018-10-15 2020-04-15 Prodrive Tech Bv Mehrphasige Umrichtertopologie für mehrphasigen und einphasigen Betrieb.
DE102020204336B4 (de) 2020-04-03 2022-01-13 Vitesco Technologies GmbH Fahrzeugseitige Hochvolt-Ladeschaltung und Fahrzeugbordnetz
DE102020215784A1 (de) * 2020-12-14 2022-06-15 Vitesco Technologies GmbH Fahrzeugladeschaltung mit Gleichrichtereinrichtung, Zwischenkreiskondensator und Vor-/Entladeschaltung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433A1 (en) * 2006-01-17 2007-07-19 Masao Katooka Power supply apparatus
JP2011239527A (ja) * 2010-05-07 2011-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変換回路
US20120087163A1 (en) * 2010-10-06 2012-04-12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Power supply apparatus
WO2016105343A1 (en) * 2014-12-22 2016-06-30 Volvo Truck Corporation Three phase charger accommodating wide input voltage range with flexible single phase input options
DE102016123924A1 (de) * 2016-12-09 2018-06-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dulare Leistungselektronik zum Laden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41755B1 (de) * 2011-06-29 2014-04-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Antriebs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DE102017208360B4 (de) * 2017-05-18 2022-01-27 Vitesco Technologies GmbH Ladestation für konduktiv ladbare Fahrzeuge und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elektrischem Strom zwischen einer Ladestation und einem Fahrzeugbordnetz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5433A1 (en) * 2006-01-17 2007-07-19 Masao Katooka Power supply apparatus
KR20070076438A (ko) * 2006-01-17 2007-07-24 가부시키가이샤 산샤덴키세이사쿠쇼 전원 장치
JP2011239527A (ja) * 2010-05-07 2011-11-24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変換回路
US20120087163A1 (en) * 2010-10-06 2012-04-12 Sansha Electric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Power supply apparatus
WO2016105343A1 (en) * 2014-12-22 2016-06-30 Volvo Truck Corporation Three phase charger accommodating wide input voltage range with flexible single phase input options
US20180041061A1 (en) * 2014-12-22 2018-02-08 James McLaughlin Three Phase Charger Accommodating Wide Input Voltage Range With Flexible Single Phase Input Options
DE102016123924A1 (de) * 2016-12-09 2018-06-1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Modulare Leistungselektronik zum Laden eines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47271A1 (en) 2021-11-11
KR102586729B1 (ko) 2023-10-10
CN112703654A (zh) 2021-04-23
DE102018216233A1 (de) 2020-03-26
US11760218B2 (en) 2023-09-19
WO2020064429A1 (de)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7552B2 (ja) エネルギー貯蔵器を充電するための装置
CN109311409B (zh) 具有逆变器、蓄能器、电机和直流电流传输端子的车辆车载电网
KR102586729B1 (ko) 차량측 전기 에너지 저장소용 충전 회로
US20170144551A1 (en) Track-bound vehicle converter
KR102586728B1 (ko) 차량측 저장 전기 에너지 소스용 충전 회로
CN111697847B (zh) Weissach整流器组件
KR20190026845A (ko) 차량 전기 시스템, 충전 시스템, 충전소 및 전기 에너지를 송신하기 위한 방법
US20210159784A1 (en) Device for coupling electrical grids
CN112041193B (zh) 用于传输电功率至车载电网的电储能器的方法和车载电网
US2022022724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an electric battery vehicle
CN110896245A (zh) 车辆电源装置
WO2013186996A1 (ja) 電力変換装置
CN112292797A (zh) 车辆侧充电电路
CN112074432A (zh) 用于车辆的单相或多相交流充电的交流电压充电装置和方法
KR102601772B1 (ko) 차량-측면 충전 디바이스
KR20210018598A (ko) 차량용 전력 변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406435B1 (ko) 그리드 유형에 무관한 효율적인 dc 링크 처리를 위한 장치
US114404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board charger with a pulsating buffer
KR20210029801A (ko) 차량 측 충전 회로
JP6953634B2 (ja) Dc/dcコンバータを備える車両充電器
KR20230088793A (ko) 직류 단자와 교류 단자를 갖는 충전 회로 및 충전 회로를 갖는 차량 전기 시스템
KR20220124798A (ko) 충전 및 가열 회로 및 충전 및 가열 회로를 갖는 차량 전기 시스템
KR101387239B1 (ko) 전력 변환 장치
CN112243565A (zh) 用于电动车辆的四臂npc转换器以及包括这种转换器的双向充电器
US20230143719A1 (en) Vehicle Power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