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416A -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416A
KR20210062416A KR1020190150626A KR20190150626A KR20210062416A KR 20210062416 A KR20210062416 A KR 20210062416A KR 1020190150626 A KR1020190150626 A KR 1020190150626A KR 20190150626 A KR20190150626 A KR 20190150626A KR 20210062416 A KR20210062416 A KR 20210062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ne dust
coupling portion
guide ro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0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662B1 (ko
Inventor
정지홍
정다호
Original Assignee
정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홍 filed Critical 정지홍
Priority to KR1020190150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566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는, 망을 구비하여 새시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 하측 및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된 미세먼지필터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에 결합되는 제2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접철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FINEDUST NET APPARATUS HAVING INSECT NET}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새시에 결합되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건물의 개구부에 설치되어 외부와의 차단 및 개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창호에는 창짝의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와 같은 해충의 실내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창틀프레임에 방충망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충망은 창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설치된다. 예컨대, 실외측으로 개방되는 여닫이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내측에 방충망이 롤스크린 방식으로 설치되고, 미서기 창호에는 창틀프레임의 실외측에 마련된 별도의 레일에 방충망프레임이 슬라이딩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실내 공간을 창호로 밀폐하여 장시간 생활할 경우, 실내공간에는 각종 먼지, 미생물, 실내 건축재에서 배출되는 각종 오염물질(포름알데히드, 휘발성 유기물, 석면가루, 라돈) 등이 공기중에 부유하게되며, 이들은 호흡기 질병과 각종 알레르기를 유발하고, 두통, 기침, 피부병, 암 등의 질병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실내와 외부를 통풍시켜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환기과정에서 창호를 열게 되면 외부의 먼지, 날벌레가 침입할 뿐 아니라 공기중의 중금속 등이 실내로 유입되어 오히려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최근에는 아파트나 주상복합건물 또는 사무실 등의 창호에, 창호를 열지 않고서도 실내에 대한 환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연환기구가 설치되고 있으며, 그 예로는 특허등록 제1393572호, 등록특허 제 1521415호 등이 있으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주로 실내 공기와 실외공기를 순환시키는데 목적이 있는 것으로, 공기중의 미세먼지 및 먼지내 중금속 등을 흡착하기 위한 구성이 없어, 미세먼지 및 중금속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환기를 시키면서도 방충 및 미세먼지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형태의 외관을 갖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구조를 갖으며, 복합적인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는, 망을 구비하여 새시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 하측 및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된 미세먼지필터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에 결합되는 제2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접철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접철될 때, 상기 미세먼지필터의 접철을 유도하는 가이드봉이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은 상기 제1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타측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결합부는, 전력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의 타측에 형성된 접촉부를 당겨 상기 미세먼지필터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는 필터교체가 용이하고 미세먼지필터를 접을 수 있어 보다 쉽게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봉을 이용하여 미세먼지필터에 집진된 미세먼지나 분진을 보다 용이하게 털어낼 수 있으므로, 필터의 교체주기를 늘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봉과 전자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100)는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40)을 구비한다.
제1 프레임(110)은 새시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새시는 창의 틀을 포함한 금속제 창호를 말한다. 제1 프레임(110)은 망(120)을 구비하는데, 여기서 망(120)은 일종의 방충망으로서 실내로 일정 크기 이상의 곤충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망(120)은 제1 프레임(110)에 교체가능하게 결합된다. 망(120)을 고정하는 봉 형상의 제1 고정부(111)는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홈은 제1 고정부(1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홈의 상면에 망(120)이 위치할 때, 제1 고정부(111)를 가압하면 홈에 망(120)과 제1 고정부(111)가 삽입되면서 망(120)이 제1 프레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고정부(111)를 제1 프레임(11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망(120)과 제1 프레임(11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의 외측에 모헤어(130)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0)은 제1 프레임(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프레임(140)은 제1 프레임(110)의 상측, 하측 및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40) 간의 결합은 끼움결합방법이나 스크류 등을 이용한 결합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0)은 미세먼지필터(160)를 구비하는데, 제1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미세먼지필터(160)는 항균 기능을 갖는 황토, 쑥, 솔잎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성분이 함유된 수용액에 염색되어 유해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기능을 갖는 동시에, 용이하게 미세먼지나 분진을 집진할 수 있도록 천 재질로 형성된다.
미세먼지필터(160)을 고정하는 봉 형상의 제2 고정부(150)는 제2 프레임(14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제2 고정부(150)는 고무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홈은 제2 고정부(15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홈의 상면에 미세먼지필터(160)가 위치할 때, 제2 고정부(150)를 가압하면 홈에 미세먼지필터(160)와 제2 고정부(150)가 삽입되면서 미세먼지필터(160)가 제2 프레임(140)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고정부(150)를 제2 프레임(140)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미세먼지필터(160)와 제2 프레임(140)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40) 사이에는 모헤어(141)가 형성되어 제1 프레임(110)과 제2 프레임(140) 사이로 미세먼지나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제1 프레임(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140)만을 도시한 것이다. 미세먼지필터(160)을 고정하는 제3 고정부(241)는 도시한 바와 같이 각지게 형성되어 미세먼지필터(160)를 고정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달리, 미세먼지필터(160)를 사이에 두고 제3 고정부(241)와 제2 프레임(140)이 3중으로 면접촉을 하는 구조이다. 이로 인해, 보다 견고하게 미세먼지필터(160)가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100)에서 제2 프레임(140)은 고정되는 제1 멤버(243)와 제1 멤버(243)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제2 멤버(244)를 구비한다. 제2 멤버(244)는 제1 멤버(243)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접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결합부(270)가 형성된다. 결합부(270)는 유연한 재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140)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이용해 용이하게 제2 멤버(244)를 접철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가이드봉과 전자석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1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프레임(340)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에서 제2 프레임(340)은 고정되는 제1 멤버(343)와 제1 멤버(343)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제2 멤버(344)를 구비한다. 제2 멤버(344)는 제1 멤버(343)에 접철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접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결합부(345)가 형성된다. 결합부(345)는 경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부(345)는 제1 멤버(343)와 제2 멤버(344)가 서로 접촉하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345)가 제1 멤버(343)와 제2 멤버(344)가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제1 멤버(343)와 제2 멤버(344)가 서로 접촉하는 부분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프레임(340)에는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이를 이용해 용이하게 제2 멤버(344)를 접철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340)이 접철될 때, 미세먼지필터(360)의 접철을 유도하는 가이드봉(390)이 상부의 제1 결합부와 하부의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봉(390)을 경계로 미세먼지필터(360)가 접혀질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봉(390)의 일측이 제1 결합부에 고정되고, 가이드봉(390)의 타측이 제2 결합부에 고정되거나 제2 결합부에 대해 상대이동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대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제2 결합부는 전자석부(392)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석부(392)는 철심(392a)과 철심의 둘레를 감싸는 코일(392b)을 구비하고,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되면 철심이 자석의 성질을 띄면서 가이드봉(390)에 형성된 금속재질의 접촉부(391)를 당기게 된다. 전력의 공급여부에 따라 철심의 자화여부가 결정되고, 이에 따라 접촉부(391)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가이드봉(390)은 탄성있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전류가 공급되면, 자화된 철심을 향해 가이드봉(390)이 이동하였다가 전류의 공급이 차단되면 가이드봉(390)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봉(390)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가이드봉(390)의 왕복이동에 따라 가이드봉(390)이 미세먼지필터(360)를 두드리게 되어, 미세먼지필터(360)에 묻어있는 미세먼지나 분진을 털 수 있게 된다.
가이드봉(390)의 작동은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의 신호를 감지하여 기설정된 제어신호를 전자석부(392)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타이머와 제어부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센서는 일 예로 아두이노 미세먼지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신부를 구비하여 미세먼지 정보를 수집하여 제어부에 신호를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4)

  1. 망을 구비하여 새시에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1 프레임의 상측, 하측 및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에 형성된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된 미세먼지필터를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멤버;
    상기 제1 멤버에 결합되는 제2 멤버; 및
    상기 제1 멤버와 상기 제2 멤버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멤버와 제2 멤버를 접철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프레임이 접철될 때, 상기 미세먼지필터의 접철을 유도하는 가이드봉이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의 일측은 상기 제1 결합부에 고정되고, 상기 가이드봉의 타측은 상기 제2 결합부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는,
    전력의 공급 여부에 따라 상기 가이드봉의 타측에 형성된 접촉부를 당겨 상기 미세먼지필터를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KR1020190150626A 2019-11-21 2019-11-21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KR102385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26A KR102385662B1 (ko) 2019-11-21 2019-11-21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0626A KR102385662B1 (ko) 2019-11-21 2019-11-21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416A true KR20210062416A (ko) 2021-05-31
KR102385662B1 KR102385662B1 (ko) 2022-04-11

Family

ID=76150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0626A KR102385662B1 (ko) 2019-11-21 2019-11-21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56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051A (ko) * 2009-12-24 2011-06-30 김명근 기밀형의 길이조절 가능한 방범겸용 방충문
KR20190007752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 차단용 탈부착식 방충망
KR101966959B1 (ko) * 2018-09-17 2019-04-08 주식회사 에어테크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4051A (ko) * 2009-12-24 2011-06-30 김명근 기밀형의 길이조절 가능한 방범겸용 방충문
KR20190007752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 차단용 탈부착식 방충망
KR101966959B1 (ko) * 2018-09-17 2019-04-08 주식회사 에어테크 규격화된 탈부착식 초미세먼지 필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5662B1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8368Y1 (ko)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100754926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190025270A (ko) 창문형 환기 필터장치
JP5828571B1 (ja) 防虫複合網戸
US9182137B1 (en) Low profile, high volume, filtered window fan
KR102385662B1 (ko) 미세먼지 방충망 장치
KR101114889B1 (ko) 창호용 통풍장치의 개폐 조절기
KR101870497B1 (ko) 착탈식 창호용 섬유 또는 필터부재
KR20050078248A (ko)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KR102163687B1 (ko) 방충망 장치
KR101987419B1 (ko) 기능성 창호
KR101971168B1 (ko) 환기용 공기 청정기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창호 시스템
CN209385034U (zh) 适用于翻转式窗户的纱窗以及带有该纱窗的窗户
KR101132145B1 (ko) 롤 방충망의 개폐수단을 갖는 창호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KR102630278B1 (ko) 청소기능을 구비한 롤타입 방충망장치
CN205678852U (zh) 一种窗式空气过滤阀
KR200350098Y1 (ko) 환기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창틀 구조
JP3263001B2 (ja) 換気装置
KR20210049289A (ko) 창짝 개폐 연동형 방충망이 구비되는 창호
KR200319626Y1 (ko) 방충망 어셈블리
KR101957679B1 (ko) 미세먼지 차단 스크린 창
KR101959833B1 (ko)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
KR102432393B1 (ko) 방진 및 방충 기능이 선택적으로 가변되는 창호시스템
CN209942696U (zh) 一种多用途纱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