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2118A -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2118A
KR20210062118A KR1020190149438A KR20190149438A KR20210062118A KR 20210062118 A KR20210062118 A KR 20210062118A KR 1020190149438 A KR1020190149438 A KR 1020190149438A KR 20190149438 A KR20190149438 A KR 20190149438A KR 20210062118 A KR20210062118 A KR 2021006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main body
air purifi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9621B1 (ko
Inventor
정근용
이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Priority to KR1020190149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62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2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는, 본체와, 본체에 탈착되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필터부를 살균하도록 본체에 구비되며, 필터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빛을 조사하는 필터 살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기를 정화를 위한 필터부를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함은 물론 필터 살균부를 이용하여 회전하는 필터부를 살균처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FILTER ROTARY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를 위한 필터부를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필터 살균부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이다. 일례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는데 사용되며, 공기 흡입구를 통해 강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후 공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기 청정기,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의 이물질을 단순하게 여과하므로, 공기에 포함되는 세균을 살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36176호(공개일:2015.12.07)에는 "공기 청정기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를 회전시키면서 필터 살균부를 이용하여 필터부를 살균하므로, 공기중의 이물질의 제거와 살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살균효과를 향상할 수 있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부를 회전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필터부의 특정부위에 이물질이 집중되어 포집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필터부의 모든 부위에서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어 필터부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키고, 필터부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탈착되며,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살균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빛을 조사하는 필터 살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 살균부가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필터부가 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와 함께 회전하는 턴테이블부와, 상기 턴테이블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필터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회전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턴테이블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턴테이블부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주동기어와,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에 구비되는 연동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필터 살균부는, 상기 필터부의 외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포스트부재와, 상기 포스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로 살균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살균 발광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기 포스트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살균 발광부재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대와, 상기 살균 발광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살균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 및 산란하는 빛 확산면이 형성되는 빛 확산 커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부가 회전되면서 필터 살균부에 의해 살균처리되므로, 이물질의 제거와 공기의 살균이 동시에 이루어져 여과효과와 살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부가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필터부의 특정부위에 이물질이 집중되어 포집되는 현상이 방지되므로, 필터부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키고, 필터부의 교체 주기를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와 필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살균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100)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토출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탈착되며,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120)와, 필터부(120)를 살균하도록 본체(110)에 구비되는 필터 살균부(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 정화를 위한 필터부(120)가 본체(110)에서 회전되면서 필터 살균부(130)에 의해 살균되면서 본체(110)로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여과하므로, 공기의 살균효과 및 여과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필터부(120)가 본체(110)에서 회전하므로, 필터부(120)의 특정부위에만 이물질이 집중되어 포집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필터부(120)의 사용기간 및 수명을 보다 연장할 수 있게 된다.
본체(110)는 필터 살균부(130)가 결합되는 베이스부(111)와, 필터부(120)의 회전을 위하여 베이스부(11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턴테이블부(113)와, 필터부(120)의 회전을 위하여 턴테이블부(113)를 회전시키는 필터회전 구동부(115)와, 필터부(120)를 커버하도록 베이스부(111)에 탈착되는 외부 케이스(117)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1)는 외부 케이스가 탈착되도록 외주면을 따라 케이스 장착홈부(111a)가 형성되며, 중앙부에 턴테이블부(113)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내부에 필터회전 구동부(115)가 결합된다.
또한 베이스부(111)는 상면에 테두리부에 필터 살균부(130)가 결합되는 포스트 결합홈부(111a)가 형성된다. 포스트 결합홈부(111a)에 결합되는 필터 살균부(130)는 나사의 체결을 통해 베이스부(111)에 고정된다.
더하여 베이스부(111)는 중앙부에 턴테이블부(113)가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테이블 안착 함몰부(111b)가 형성되며, 테이블 안착 함몰부(111b)의 일측에 필터회전 구동부(115)와 턴테이블부(113)를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부(111c)가 형성된다.
턴테이블부(113)는 상면이 베이스부(111)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테이블 안착 함몰부(111b)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에 필터부(120)가 탈착된다. 이러한 턴테이블부(113)는 관통홀부(111c)를 통해 필터회전 구동부(115)와 연결되어 필터회전 구동부(115)를 통해 베이스부(111)에서 회전하면서 상면에 안착되는 필터부(120)를 함께 회전시키게 된다.
외부 케이스(117)는 베이스부(111)의 케이스 장착홈부(111d)에 결합되어 필터부(120)를 커버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케이스(117)는 본체(110)의 내부로 외부공기가 흡입되어 토출되도록 측면에 공기 흡입구(117a)가 형성되고, 상면에 공기 토출구(117b)가 형성된다. 이때 공기 흡입구(117a)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가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 및 살균된 후 공기 토출구(117b)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외부 케이스(117)는 상측 내부에 공기 흡입을 위한 송풍팬이 구비된다.
필터회전 구동부(115)는 본체(110)의 베이스부(111)에 구비되는 구동모터(115a)와, 구동모터(115a)의 구동력을 턴테이블부(113)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재(115b)를 포함한다.
동력전달부재(115b)는, 구동모터(115a)에 결합되는 주동기어(115b')와, 주동기어(115b')에 치합되도록 턴테이블부(113)에 구비되는 연동기어(115b'')를 구비하며, 주e동기어(115b')와 연동기어(115b'')가 관통홀부(111c)를 통해 상호 치합된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15b)는 연동기어(115b'')가 턴테이블부(113)의 외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주동기어(115b')와 연동기어(115b'')가 헬리컬 기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량의 필터부(120)가 장착되는 턴테이블부(113)가 구동모터(115a)에 의해 회전될 때 보다 작은 구동력으로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소음의 발생을 줄이기 위함이다.
필터부(120)는 본체(110)의 턴테이블부(113)에 탈착되며, 턴테이블부(113)와 함께 본체(110)에서 회전하면서 공기 흡입구(117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여과 및 살균하게 된다. 특히 필터부(120)는 본체(110)에서 회전되면서 필터 살균부(130)에 의해 살균처리된다.
이러한 필터부(120)는, 공기의 여과를 위한 여과부재(121)와, 여과부재(121)가 턴테이블부(114)과 함께 회전하도록 여과부재(121)에 결합되는 필터지지부재(123)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부(120)는 여과부재(12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여과부재(121)의 하단부 및 상단부에 필터지지부재(123)가 결합되어 여과부재(121)의 형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키게 된다.
여과부재(121)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필터지지부재(123)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그 하면이 턴테이블부(113)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필터 살균부(130)는, 회전하는 필터부(120)를 살균하도록 필터부(120)와 이격되게 본체(110)에 결합되며, 필터부(120)의 외면으로 살균을 위한 빛을 조사하게 된다.
이러한 필터 살균부(130)는 베이스부(111)의 포스트 결합홈부(111a)에 삽입되는 포스트부재(131)와, 포스트부재(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구비되어 살균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살균 발광부재(133)를 포함한다. 이때 필터 살균부(130)는 필터부(120)의 살균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베이스부(111)에 이격되게 2개 구비된다.
포스트부재(131)는 베이스부(111)의 포스트 결합홈부(111a)에 결합되는 메인 지지대(135)와, 살균 발광부재(133)의 보호와 빛 확산을 위하여 메인 지지대(135)에 결합되는 빛 확산 커버바(137)를 구비한다.
메인 지지대(135)는 하단부가 포스트 결합홈부(111a)에 삽입되며, 나사의 체결을 통해 베이스부(111)에 결합된다. 이러한 메인 지지대(135)는 베이스부(111)에 보다 안정되고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면에 나사체결을 위한 나사체결보스(135a)가 돌출 형성되고, 나사체결보스(135a)가 베이스부(111)를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메인 지지대(135)는 내면에 살균 발광부재(133)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결합되고, 빛 확산 커버바(137)가 결합되어 살균 발광부재(133)를 커버 및 보호하게 된다. 이때 메인 지지대(135)의 내면에는 빛 확산 커버바(137)가 내면으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커버장착 장홈부(135b)가 형성되고, 커버장착 장홈부(135b)에 빛 확산 커버바(137)가 삽입되어 나사 체결을 통해 결합된다.
빛 확산 커버바(137)는 살균 발광부재(133)의 자외선 엘이디소자(133a)가 관통하는 소자 관통홀(137a)이 형성되고, 소자 관통홀(137a)의 외측으로 자외선 엘이디소자(133a)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 및 산란하기 위한 빛 확산면(137b)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빛 확산면(137b)은 소자 관통홀(137a)에서 외측으로 확장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필터 살균부(130)는 포스트부재(131)의 길이가 필터부(12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필터부(120)의 상하 모든 부위를 살균처리할 수 있게 된다.
살균 발광부재(133)는 커버장착 장홈부(135b)의 내면에 이격되게 상하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하로 배치되는 살균 발광부재(133)는 자외선 엘이디소자(133a)에서 발광하는 빛이 상호 중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100)를 구동하면 외부 케이스(117)의 송풍팬과 필터회전 구동부(115)의 구동모터(115a)가 작동하면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함과 동시에 필터부(120)가 회전하면서 외부에서 흡입되는 공기가 회전하는 필터부(120)를 통과하면서 여과된다.
그리고 필터 살균부(130)의 살균 발광부재(133)가 작동하면서 필터부(120)로 살균을 위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공기를 필터링하는 필터부(120)를 적외선 살균하게 된다.
한편, 필터부(120)의 회전은 구동모터(115a)가 작동하면서 주동기어(115b')를 회전시키고, 이 주동기어(115b')에 치합된 연동기어(115b'')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턴테이블부(113)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턴테이블부(113)에 안착된 필터부(120)가 회전하면서 공기 흡입구(117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필터링하게 된다.
이처럼 필터부(120)가 본체(1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공기를 여과하게 되면, 필터부(120)에 포집되는 이물질이 필터부(120)의 특정부위에 집중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모든 모부위에서 균일하게 포집된다. 특히 필터부(120)가 필터 살균부(130)에 의해 살균 처리될 때 모든 부위가 살균처리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100)는, 필터회전 구동부(115)에 의해 본체(110)에서 회전하는 필터부(120)를 필터 살균부(130)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살균하므로, 필터부(120)에 의한 이물질 제거와 공기 살균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필터 살균부(130)가 필터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므로, 필터부(120)의 모든 부위를 살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100)는 공기의 정화를 위한 필터부(120)를 필터회전 구동부(130)에 의해 본체(110)에서 회전되면서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므로, 필터부(120)의 특정부위에만 이물질이 집중되어 포집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필터부(120)의 모든 부위에 이물질이 균일하게 포집되므로, 필터부(120)의 사용기간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부(120)의 교체 주기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110 : 본체
111 : 베이스부 113 : 턴테이블부
115 : 필터회전 구동부 117 : 외부 케이스
120 : 필터부 121 : 여과부재
123 : 필터지지부재 130 : 필터 살균부
131 : 포스트부재 133 : 살균 발광부재
135 : 메인 지지대 137 : 빛 확산 커버바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탈착되며, 상기 본체에서 회전하면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를 살균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빛을 조사하는 필터 살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필터 살균부가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필터부가 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와 함께 회전하는 턴테이블부; 및
    상기 턴테이블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구비되는 필터회전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회전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결합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연동하여 상기 턴테이블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턴테이블부을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는 주동기어; 및
    상기 주동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턴테이블부에 구비되는 연동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살균부는, 상기 필터부의 외면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본체에 결합되며, 상기 필터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포스트부재; 및
    상기 포스트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필터부로 살균을 위한 빛을 조사하는 살균 발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부재는,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살균 발광부재가 고정되는 메인 지지대; 및
    상기 살균 발광부재를 커버하도록 상기 메인 지지대에 결합되며, 상기 살균 발광부재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 및 산란하는 빛 확산면이 형성되는 빛 확산 커버바;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20190149438A 2019-11-20 2019-11-20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2299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38A KR102299621B1 (ko) 2019-11-20 2019-11-20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38A KR102299621B1 (ko) 2019-11-20 2019-11-20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2118A true KR20210062118A (ko) 2021-05-31
KR102299621B1 KR102299621B1 (ko) 2021-09-10

Family

ID=76150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438A KR102299621B1 (ko) 2019-11-20 2019-11-20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62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5856A (ko) * 2021-08-09 2021-08-27 주식회사 매봉 소독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KR102359179B1 (ko) * 2021-06-08 2022-02-09 주식회사 레드베리 다기능 공기 정화장치
KR20220100156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20230021830A (ko) * 2021-08-06 2023-02-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의 내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21829A (ko) * 2021-08-06 2023-02-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527B1 (ko) * 2021-10-18 2024-04-0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내부 살균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86B1 (ko) * 2014-08-08 2015-05-04 (주)구츠 자외선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용 광촉매 살균모듈
KR20180068690A (ko) * 2016-12-14 2018-06-22 디케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23212A (ko) * 2017-08-28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86B1 (ko) * 2014-08-08 2015-05-04 (주)구츠 자외선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용 광촉매 살균모듈
KR20180068690A (ko) * 2016-12-14 2018-06-22 디케이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90023212A (ko) * 2017-08-28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0156A (ko) * 2021-01-08 2022-07-15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359179B1 (ko) * 2021-06-08 2022-02-09 주식회사 레드베리 다기능 공기 정화장치
KR20230021830A (ko) * 2021-08-06 2023-02-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의 내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230021829A (ko) * 2021-08-06 2023-02-14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원통형 필터 자동회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기
KR20210105856A (ko) * 2021-08-09 2021-08-27 주식회사 매봉 소독수단이 구비된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621B1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621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101515786B1 (ko) 자외선의 집광 및 확산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용 광촉매 살균모듈
US7674436B1 (en) Portable indoor air purification system
KR101176565B1 (ko) Led 조명 기능이 구비된 천장 부착형 공기청정기
CN111780276B (zh) 一种高效光电循环交替杀菌的空气消毒设备
KR20200133889A (ko) 공기청정기
US20230001040A1 (en) Air sterilizing device
KR20090102359A (ko) 공기 살균 정화기
KR20110077804A (ko) 공기 정화 및 살균장치
KR20170090209A (ko) 공기 살균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20200036140A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2299620B1 (ko) 필터 회전형 공기 청정기
KR200244008Y1 (ko) 공기청정기
KR101584056B1 (ko) 공기청정기
KR20050066353A (ko) 탈취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
KR101192846B1 (ko) 공기살균기
KR20220096596A (ko) 필터 살균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KR102110122B1 (ko) 공기 청정기
KR100654734B1 (ko) 자외선 램프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기 내부 배치구조
KR20220151318A (ko) 헤파필터용 회전형 자외선 살균유닛
CN113803840A (zh) 净化杀菌结构及空气净化器
CN111895538A (zh) 一种具有消毒功能的空气净化装置
CN111609489A (zh) 双风机医用空气消毒与净化一体的净化器
KR102536165B1 (ko) 광촉매 공기청정기
KR102532294B1 (ko) 차량용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