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909A -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909A
KR20210061909A KR1020200028460A KR20200028460A KR20210061909A KR 20210061909 A KR20210061909 A KR 20210061909A KR 1020200028460 A KR1020200028460 A KR 1020200028460A KR 20200028460 A KR20200028460 A KR 20200028460A KR 20210061909 A KR20210061909 A KR 20210061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loading
list
slot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022B1 (ko
Inventor
류광렬
김태광
Original Assignee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949,58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147038A1/en
Publication of KR20210061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3Resource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이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은,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슬롯 관리부; 및 상기 슬롯 관리부로부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선적 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Ro-Ro Cargo Shipment Planning}
아래의 실시예들은 로로선 화물의 선적 계획을 자동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은 화물을 적재한 트럭이나 트레일러 또는 일반 차량을 수송하는 화물선으로,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화물이 자가동력으로 직접 승하선할 수 있는 선박이다.
로로선의 화물은 크게 자동화 화물과 고정 화물로 분류한다. 자동화 화물이란 자가동력으로 선적이 가능한 화물로 자동차, 트럭 등의 화물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에, 고정 화물은 자가동력으로 선적할 수 없어 지게차와 같은 장비로 선적해야 하는 화물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89953호는 이러한 로로선의 적재 순서 및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총 적재량을 최대로 할 수 있는 로로선의 적재 순서 및 위치 결정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기재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18-0089953호
실시예들은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도록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결정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선적할 화물이 항구로 들어오면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적재 위치를 결정하며 그러한 위치가 없으면 대기하도록 제안함으로써, 최대한 재취급 작업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화물의 선적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적재 위치를 결정하여 선적 비용을 줄이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은,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슬롯 관리부; 및 상기 슬롯 관리부로부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선적 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그래프는 선박의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롯 관리부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선적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슬롯 관리부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선적 결정부는, 상기 슬롯 관리부로부터 상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상기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은,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그래프는 선박의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선적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상기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적할 화물이 항구로 들어오면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적재 위치를 결정하며 그러한 위치가 없으면 대기하도록 제안함으로써, 최대한 재취급 작업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화물의 선적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적재 위치를 결정하여 선적 비용을 줄이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로선의 화물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의 선적 경로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 작업 진행 중의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을 자동화하는 기술로, 선적할 화물이 항구로 들어오면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적재 위치를 결정하며 그러한 위치가 없으면 대기할 것을 제안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화물을 선적하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로선의 화물 배치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로선의 화물은 사전에 계획된 화물 배치도에 따라 선적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 배치도는 화물의 종류에 따라 선적 위치를 지정해 놓은 것으로, 화물이 선적되었을 때 선박의 안정성과 적재 효율성 등을 기관에 검토 받아 승인된 것이다. 현장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화물 배치도를 갖고 있으며 예약된 화물을 가장 많이 실을 수 있는 배치도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약된 화물이 항구로 들어오면 현장 실무자는 화물 배치도를 확인하고 선적 위치를 지정하며, 그 화물은 지정된 위치로 이동되어 적재된다. 이 때, 현장 실무자는 최대한 재취급 작업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화물의 선적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적재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재취급 작업이란 미리 적재된 화물 때문에 지금 적재하려는 화물의 선적이 불가능한 경우, 미리 적재된 화물을 현재 화물 선적이 가능하도록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는 작업이다. 이러한 작업이 많아지면 선적 시간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선적 비용도 늘어나므로 최대한 재취급 작업 수를 줄여야 한다.
화물의 선적 대기 시간은 화물이 선적되기 전에 항구에서 기다리는 시간으로, 현장 실무자가 지금 선적이 되면 추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될 경우 그 화물을 대기시킬 수 있다. 이 또한 화물 선적 대기 시간이 늘어날수록 선적 시간이 늘어나므로 최대한 줄여야 선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200)은 경로 탐색부(210), 슬롯 관리부(220) 및 선적 결정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경로 탐색부(210)는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탐색부(210)는 사전에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생성한 경로 그래프를 가지고 있으며,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 탐색부(210)는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로 그래프는 선박의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슬롯 관리부(220)는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슬롯은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지칭한다. 이 때, 슬롯 관리부(220)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슬롯 관리부(220)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선적 결정부(230)는 슬롯 관리부로부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적 결정부(230)는 슬롯 관리부(220)로부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보관하고 있으며,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은,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S110),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S120), 및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은 도 2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을 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은 경로 탐색부, 슬롯 관리부 및 선적 결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단계(S110)에서, 경로 탐색부(210)는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로 탐색부(210)는 사전에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생성한 경로 그래프를 가지고 있으며,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슬롯 관리부(220)는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슬롯 관리부(220)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슬롯 관리부(220)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선적 결정부(230)는 슬롯 관리부로부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적 결정부(230)는 슬롯 관리부(220)로부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보관하고 있으며,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화물의 선적 경로 궤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경로 탐색부는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그래프는 정점과 간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경로 탐색부는 선박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연결함으로써 경로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다.
화물의 이동 가능 여부는 화물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화물의 이동궤적은 배지에 곡선을 따른다고 가정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간선은 이동궤적 도형을 계산하여 보관하고 있어서 만약 어떤 슬롯에 화물이 적재되면 그 슬롯과 겹치는 간선은 삭제되어 그 후의 화물의 선적 경로(410)는 적재된 슬롯을 피해가도록 계산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 작업 진행 중의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슬롯 관리부는 일 실시예에 따른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이 동작하면서 변하는 슬롯 상황에 따라 변하는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모든 슬롯은 자기 자신까지 도달하는 경로, 자기 자신에 화물이 적재됨으로써 경로를 변경해야 하는 다른 슬롯의 목록과 같은 정보를 담고 있다.
이와 같이, 슬롯 관리부는 슬롯마다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적재 상황이 변할 때마다 이를 갱신할 수 있다. 또한, 슬롯 관리부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을 슬롯 목록을 가지고 있으며, 이 또한 역시 적재 상황이 변할 때마다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롯 관리부는 어떤 슬롯에 화물이 적재되면 이로 인해 갱신이 필요한 다른 슬롯의 경로를 경로 탐색부에 요청하여 갱신함으로써 최신 슬롯 정보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슬롯 관리부는 이러한 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화물을 적재했을 때 재취급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슬롯의 “자기 자신에 화물이 적재됨으로써 경로를 변경해야 하는 다른 슬롯의 목록”이 비어 있는 슬롯들로 목록을 구성하여 계산되는데, 이는 곧 슬롯에 화물이 적재되어도 다른 모든 슬롯까지의 선적 경로가 존재함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 슬롯 목록을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이라고 부르며, 실제로 선적 작업이 진행되면서 기록한 이 목록의 슬롯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선적 결정부는 슬롯 관리부로부터 최신의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받아 소지하고 있으면서,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그 결과를 출력할 수 있다. 선적 결정부는 만약 요청한 화물의 적재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으면 대기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에 따르면 선적할 화물이 항구로 들어오면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적재 위치를 결정하며 그러한 위치가 없으면 대기하도록 제안함으로써, 최대한 재취급 작업이 일어나지 않으면서도 화물의 선적 대기 시간을 줄이기 위해 신중하게 적재 위치를 결정하여 선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1.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에 있어서,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경로 탐색부;
    상기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슬롯 관리부; 및
    상기 슬롯 관리부로부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선적 결정부
    를 포함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 탐색부는,
    상기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그래프는 선박의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관리부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선적 경로를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관리부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적 결정부는,
    상기 슬롯 관리부로부터 상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상기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
  6. 로로선(ro-ro ship, roll-on/roll-off)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시스템을 통한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에 있어서,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화물 배치도 상의 적재 지점을 나타내는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선적 경로를 관리하고,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선적할 화물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 배치도를 이용하여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는 단계는,
    상기 화물의 선적 경로를 계산하기 위해 상기 화물 배치도로부터 경로 그래프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그래프는 선박의 진입 지점과 화물의 적재 지점에 정점을 생성하고, 화물의 이동이 가능한 정점과 정점 사이를 간선을 생성하여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화물의 적재 상황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각 슬롯의 화물이 도달할 수 있는 상기 선적 경로를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는 단계는,
    현재의 상황에서 화물이 적재되어도 재취급 작업이 발생하지 않는 슬롯 목록을 계산하여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생성하며, 적재 상황이 변경될 때마다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갱신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화물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참조하여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최적의 적재 대상 슬롯 목록을 전달받아, 화물이 선적 여부 및 선적 위치를 요청할 때마다 결과를 출력하고, 요청한 상기 화물의 적재 대상 슬롯이 목록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기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KR1020200028460A 2019-11-20 2020-03-06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KR102332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949,580 US20210147038A1 (en) 2019-11-20 2020-11-04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cargo shipment planning for ro-ro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466 2019-11-20
KR20190149466 2019-11-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909A true KR20210061909A (ko) 2021-05-28
KR102332022B1 KR102332022B1 (ko) 2021-11-30

Family

ID=76140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460A KR102332022B1 (ko) 2019-11-20 2020-03-06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0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274A (ko) * 2008-05-01 2009-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KR20110058389A (ko) * 2009-11-26 2011-06-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KR20130093253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089953A (ko) 2017-02-02 2018-08-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로선의 적재 순서 및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5274A (ko) * 2008-05-01 2009-11-05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개별 컨테이너 적하순서 계획 방법
KR20110058389A (ko) * 2009-11-26 2011-06-01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컨테이너의 유출 작업 특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장치위치 결정 방법
KR20130093253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80089953A (ko) 2017-02-02 2018-08-10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로선의 적재 순서 및 위치 결정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022B1 (ko) 202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7211B2 (en) Operation of a multi-slice processor with an expanded merge fetching queue
CN102652304A (zh) 预测并避免乱序微处理器中的操作数-存储-比较冒险
JP6927644B2 (ja) 最適経路決定装置及び最適経路決定プログラム
US10929803B2 (en) Augmented reality based cargo loading optimization
KR20110100381A (ko) 재구성 가능 프로세서 및 그 제어 방법
US20200349509A1 (en) Determining an optimal route for logistics delivery
KR20170133120A (ko) 컨테이너 이미지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85513B1 (ko) 로로선 화물 최적 선적 계획 수립 방법 및 시스템
US11282156B2 (en) Transportation planning apparatus, transportation planning system, and transportation planning method
KR20210086400A (ko) 인공지능 기반의 지능형 배차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2021014703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cargo shipment planning for ro-ro ship
WO2009081525A1 (ja) 輸送計画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332022B1 (ko) 로로선 화물 선적 계획 자동화 방법 및 시스템
Gschwind et al. Branch-cut-and-price for scheduling deliveries with time windows in a direct shipping network
KR102664608B1 (ko) 아이템 피킹 정보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20077575A (ko) 운송자의 경로, 시간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최적화된 물품 운송 방법
US20070233362A1 (en) Manufacturing facility control system
JP2021043947A (ja) 最適経路決定装置及び最適経路決定プログラム
KR102544350B1 (ko) 인공 지능을 이용한 화물 장치 및 리핸들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45997B1 (ko) 분산 파일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플랫폼의 태스크 스케줄링 방법,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420926B1 (ko) 오더 피킹 최적화 방법
US201600554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empty container reposition resistant to disruptions
CN113359821B (zh) 基于车辆与无人机协同作业的路径规划方法及系统
US2022013508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tomated guided vehicle
WO2020110273A1 (ja) 経路探索支援装置、経路探索支援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