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532A -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 Google Patents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532A
KR20210061532A KR1020190149190A KR20190149190A KR20210061532A KR 20210061532 A KR20210061532 A KR 20210061532A KR 1020190149190 A KR1020190149190 A KR 1020190149190A KR 20190149190 A KR20190149190 A KR 20190149190A KR 20210061532 A KR20210061532 A KR 202100615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eather
meteorological
information providing
observ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7181B1 (ko
Inventor
김영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더아이
Priority to KR1020190149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81B1/ko
Publication of KR202100615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5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WMETEOROLOGY
    • G01W1/00Meteorology
    • G01W1/10Devices for predicting weather condi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3/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marine 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Navig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Abstract

연안 해양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부,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관측 정보 제공부;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예측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SERVICE MODEL FOR PROVIDING WEATHER INFORMATION ON COAST AND SHIP NAVIGATION}
본 발명은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에 관한 것이다.
연안구조물 손괴, 연안침수, 유류오염사고 등과 같이 연안에서 발생하는 재해는 해상상태와 해수의 흐름과 깊은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연안해역에서의 정확한 해상상태와 유속의 예측은 해양산업뿐만 아니라 해안지역의 방호 및 해난사고 시 수색구조, 유류확산 추정에서 매우 중요하다.
최근까지 연안 기상의 예측 정확도 향상과 관하여 많은 연구가 있어왔지만, 해양기상 전문 인력 및 해양 수치 예보 모델의 부족 등으로 육상예보관이 해양예보를 예측하고 있어, 연안 기상의 예측 전문성은 육상예보에 비하여 현저하게 뒤떨어진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56723호 (2015.09.23 공개)
본 발명은 복수의 관측소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측소에서 관측 또는 예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연안 해양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부; 상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관측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예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연안 해양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예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관측소 중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된 관측소에서 관측 또는 예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다양한 관측소에서 관측 또는 예측한 기상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기상 정보를 서로 비교하여 항해일의 기상 정보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고, 최적의 항해일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로 상의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예보 모델을 통해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상 정보 제공 서버(10)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상 정보 제공 서버(10)는 데이터베이스(100), 선택부(110), 관측 정보 제공부(120), 예측 정보 제공부(130), 항로 정보 제공부(140), 기상 영상 제공부(150) 및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기상 정보 제공 서버(1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8을 함께 참조하여 도 1을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베이스(100)는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는 복수의 관측소(예컨대, 가덕교 관측소, 강화대교 관측소, 거제도 관측소 등) 별로 측정된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 및 예측 기상 정보 및 관측소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베이스(100)는 제 1 기상 요소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 1 관측소에 의해 측정된 기상 정보를 저장하고, 제 2 기상 요소를 측정하는 복수의 제 2 관측소에 의해 측정된 기상 정보를 복수의 기상 요소 별로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0)는 복수의 관측 지점 별 기상 영상 정보 및 기상 부가 정보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00)는 운항 예정인 여객선 운항 정보(일자, 출입항시각, 여객선명, 선박종류, 운항 항로, 운항 방향, 출항지, 입항지, 항로 구분, 운항 구분(정상, 토에, 비운항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기상 정보 제공 서버(10)는 연안 해상 기상 정보 사이트의 초기 페이지를 통해 연안 해양의 기상 관측 정보를 제공하는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 기상 예측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 기상 영상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205), 기상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기상 부가 제공 인터페이스(207) 및 항로 상의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항로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9)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 중 하나를 선택받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을 수 있다.
도 2 및 3을 함께 참조하면, 선택부(110)는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가 선택된 경우, 연안 해상 기상 정보 사이트의 제 1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관측소 중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고,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관측소에 대한 정보(예컨대, 관측소명) 및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정보(예컨대, 기상 요소 명칭)이 포함된 관측 정보 리스트(301)를 제 1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페이지를 통해 출력된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소마다 지도 상의 출력 여부를 선택받도록 하는 스위치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관측소 별 스위치 버튼의 입력에 따라 관측소가 지도에 표시될지 표시되지 않을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 포함된 복수의 기상 요소마다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의 출력 여부를 선택받도록 하는 스위치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관측소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상세 기상 정보에 대한 기상 요소의 출력 여부를 스위치 버튼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관측소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측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1 페이지를 통해 출력된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소에 대한 정보 중 지도 상에 표시하고자 하는 관측소를 선택받을 수 있고,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관측소를 선택받지 않을 수 있다.
선택부(110)는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1)가 선택된 경우,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관측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관측소(303)가 위치한 지역의 기상 정보를 요약한 기상 요약 정보(305)을 팝업창의 형태로 지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요약 정보(305)는 예를 들어, 관측소(303)가 위치한 지역의 지역명, 기상 관측 일시, 기온 정보(예컨대, 날씨 아이콘 형식으로 출력) 및 풍속 정보, 풍향 정보 및 파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기상 요약 정보(305)에 포함된 상세 보기 버튼(307)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 포함된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하여 선택된 관측소(303)에서 관측된 기상 정보(309)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선택된 관측소(303)에서 관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별 현재 기상 정보 및 선택된 관측소(303)의 위치 정보(예컨대, 선택된 관측소(303)의 위경도 정보, 기준 시간 정보 및 일출일몰 시간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제 1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관측소(303)에서 관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상 요소는 예를 들어, 조위, 파도, 조류(유향/유속), 수온, 염분, 기온, 기압, 바람(풍향/풍속/순간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303) 및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303)에서 관측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정보(309)는 사용자가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서 선택한 기상 요소만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관측 정보 리스트(301)에서 선택하지 않은 기상 요소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2, 도 4a 내지 4c를 참조하면, 선택부(110)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가 선택된 경우, 해상 기상 정보 사이트의 제 2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관측소 중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고,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가 선택된 경우, 복수의 관측소에 대한 정보(예컨대, 관측소명) 및 복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정보(예컨대, 기상 요소 명칭)가 포함된 예측 정보 리스트(401)를 제 2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페이지를 통해 출력된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소에 대한 정보마다 지도 상의 출력 여부를 선택받도록 하는 스위치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관측소 별 스위치 버튼의 입력에 따라 관측소가 지도에 표시될지 표시되지 않을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 포함된 복수의 기상 요소마다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의 출력 여부를 선택받도록 하는 스위치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관측소가 위치한 지역에 대한 상세 기상 정보에 대한 기상 요소의 출력 여부를 스위치 버튼을 통해 선택받을 수 있다.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복수의 관측소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측 정보 제공부(120)는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관측의 위치 정보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 2 페이지를 통해 출력된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 포함된 복수의 관측소에 대한 정보 중 지도 상에 표시하고자 하는 관측소를 선택받을 수 있고, 지도 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관측소를 선택받지 않을 수 있다.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복수의 관측소 각각이 위치한 관측 지점 중 하나의 관측 지점을 지도 상에서 선택한 경우, 선택된 관측 지점에 대응하는 지역의 예측 기상 정보를 요약한 예측 기상 요약 정보(403)를 팝업창으로 지도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예측 기상 요약 정보(403)는 예를 들어, 선택된 관측 지점에 대응하는 지역의 지역명, 예측 기상 일시, 예측 기온 정보(예컨대, 날씨 아이콘 형식으로 출력) 및 예측 풍속 정보, 예측 풍향 정보 및 예측 파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예측 기상 요약 정보(403)에 포함된 상세 보고 버튼(405)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 포함된 복수의 기상 요소 별 선택된 관측 지점에 대응하는 지역에서 예측 기상 정보(407)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선택된 관측 지점의 지역에서 예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별 예상 기상 정보 및 선택된 관측 지점의 위치 정보(예컨대, 선택된 관측소(303)의 위경도 정보, 기준 시간 정보 및 일출일몰 시간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관측소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선택부(110)는 제 2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관측소(409)에서 예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기상 요소는 예를 들어, 조위, 파도, 조류(유향/유속), 수온, 염분, 기온, 기압, 바람(풍향/풍속/순간풍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3)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409) 및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409)에서 예측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측 기상 정보(407)는 사용자가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서 선택한 기상 요소만을 출력하고 사용자가 예측 정보 리스트(401)에서 선택하지 않은 기상 요소는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지도 상에서 조석 예보 지역을 선택받으면, 선택된 조석 예보 지역을 특정 색상의 마커로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선택된 조석 예보 지역에 대한 정보(예컨대, 관측일, 지역명, 위경도 정보, 주소 정보, 조위 시간 및 고저 정보, 인근 바다 갈라짐 시간 및 지역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예측 정보 제공부(130)는 선택된 조석 예보 지역에 대한 주간 조석 예보(411) 및 상세 예측 정보(413)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주간 조석 예보(411)는 사용자가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주의 주간 예보 정보로서, 해당 특정 주의 조위 상세 정보, 양력/음력 시간 정보, 일출/일몰 시간 정보, 물 때 정보, 고저위 정보 등을 텍스트 형식으로 제공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세 예측 정보(413)는 해당 특정 주의 조위 상세 정보, 양력/음력 시간 정보, 일출/일몰 시간 정보, 물 때 정보, 고저위 정보 등이 그래프 형식으로 제공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2, 도 5a 내지 5b를 함께 참조하면,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기상 영상 제공 인터페이스(205)가 선택된 경우, 3 페이지를 통해 위성 영상 정보(503) 및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513)를 포함하는 기상 영상 정보 리스트(501)를 제 3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복수의 관측 지점 중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위성 영상 정보(503) 및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51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 영상 정보를 제 3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위성 영상 정보(503)는 해상풍 영상, 안개 영상 및 수온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513)는 해류 일기도, 수온 일기도 및 염분 일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기상 영상 정보 리스트(501)에서 위성 영상 정보(503)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 위성 영상 정보(503)에 포함된 현재의 해양 날씨에 대한 해상풍 영상(505), 안개 영상(507) 및 수온 영상(509)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 3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검색 조건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입력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해상풍 영상(505), 안개 영상(507) 및 수온 영상(509)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시간 별로 애니메이션 형식(즉, 해상풍, 안개, 수온 중 선택된 하나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경되는 그래픽적으로 보여주는 방식)으로 제 3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기상 영상 정보 리스트(501)에서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513)가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경우,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513)에 포함된 해류 일기도(515), 수온 일기도(517) 및 염분 일기도(519)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 3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기상 영상 제공부(150)는 검색 조건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입력받은 경우, 입력된 검색 조건에 기초하여 해류 일기도(515), 수온 일기도(517) 및 염분 일기도(519)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선택된 영상을 제 3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 도 6a 내지 6b를 함께 참조하면,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기상 부가 제공 인터페이스(207)가 선택된 경우, 제 4 페이지를 통해 생활 해양 예보 지수 정보(603) 및 선박 운항 지수 정보(605)를 포함하는 기상 부가 정보 리스트(601)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 해양 예보 지수 정보(603)는 예를 들어, 해수욕 지수, 스킨스쿠버지수, 바다낚시지수, 바다갈라짐체험지수, 뱃멀리 지수, 갯벌체험지수, 서핑 지수, 요트 지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박 운항 지수 정보(605)는 권역별 선박 운항 지수, 항로별 선박 운항 지수, 항만별 선박 운항 지수, 마리나별 선박 운항 지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복수의 관측 지점 중 사용자 단말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관측 지점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관측 지점에 해당하는 지역의 기상 정보를 팝업창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복수의 관측 지점 중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기상 부가 정보를 제 4 페이지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기상 부가 정보는 선택된 관측 지점의 생활 해양 예보 지수 및 선박 운항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생활 해양 예보 지수 정보(603)에 포함된 해수욕 지수, 스킨스쿠버지수, 바다낚시지수, 바다갈라짐체험지수, 뱃멀리 지수, 갯벌체험지수, 서핑 지수, 요트 지수 중 선택된 서브 지수에 대하여 사용자 단말에 의해 입력된 조건에 기초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날짜 기간 동안,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선택된 생활 해양 예보 지수에 대한 서브 지수의 예보 지수와 함께 기상 특보 발효 상태 정보를 제 4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선박 운항 지수 정보(605)에 포함된 권역별 선박 운항 지수, 항로별 선박 운항 지수, 항만별 선박 운항 지수, 마리나별 선박 운항 지수 중 선택된 서브 지수를 사용자 단말이 설정한 운항 조건(예컨대, 선박의 운항 경로)에 기초하여 단계별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선택된 서브 지수의 예보 지수를 지수 조건(예컨대, 1단계에 해당하는 파랑색(안전), 2단계에 해당하는 노랑색(경고), 3단계에 해당하는 빨강색(위험))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을 표시하여 출력할 수 있다.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는 사용자 단말에 의해 설정된 날짜 기간 동안,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선택된 선박 운항 지수에 대한 서브 지수의 예보 지수와 함께 기상 특보 발효 상태 정보를 제 4 페이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선택부(110)는 항로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209)가 선택된 경우, 제 5 페이지를 통해 선박 운항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운항기상정보 리스트(701)를 출력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항로 선택 인터페이스(703)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선택부(11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박의 운항 날짜, 출발 운항 시간 및 도착 운항 시간을 선택받을 수 있다. 또한, 선택부(11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항로 중 적어도 하나의 항로를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항로 정보 제공부(14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항로 중 선택된 항로 상의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로 정보 제공부(140)는 복수의 관측소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관측소에서 관측된 선택된 항로 상의 현재 기상 정보 및 예측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항로 정보 제공부(140)는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항로 중 선택된 항로의 선박 운항 안전관리지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기상 요소 설정부(미도시)는 기상 요소 설정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6 페이지를 통해 기상 요소에 대한 단위를 설정할 수 있는 기상 요소 설정 입력창(801)을 출력할 수 있다.
선택부(110)는 기상 요소 설정 입력창(801)을 통해 복수의 예보 모델 중 적어도 하나의 예보 모델을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을 수 있다.
기상 요소 설정부(미도시)는 복수의 기상 요소 중 바람, 온도, 기압 각각에 대한 단위를 설정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요소 설정부(미도시)는 바람에 대한 단위를 m/s, kt 및 km/h 중 하나로 설정받을 수 있고, 온도에 대한 단위를 ℃ 및 ℉ 중 하나로 설정받을 수 있고, 기압에 대한 단위를 hPa 및 mmHg 중 하나로 설정받을 수 있다. 이 때, 설정된 바람, 온도, 기압에 대한 단위에 기초하여 기상 정보(관측 기상 정보, 예측 기상 정보)에 포함된 바람, 온도, 기압의 단위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당업자라면, 데이터베이스(100), 선택부(110), 관측 정보 제공부(120), 예측 정보 제공부(130), 항로 정보 제공부(140), 기상 영상 제공부(150) 및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16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기상 정보 제공 서버
100: 데이터베이스
110: 선택부
120: 관측 정보 제공부
130: 예측 정보 제공부
140: 항로 정보 제공부
150: 기상 영상 제공부
160: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

Claims (9)

  1. 연안 해양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선택부;
    상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관측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예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예측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에 대한 정보를 선택받고,
    상기 출발지로부터 상기 목적지까지의 복수의 항로 중 선택된 항로 상의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항로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 정보 제공부는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복수의 관측소의 위치를 지도 상에 표시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된 복수의 관측소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관측소에서 관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제 2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관측소에서 예측된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상기 지도 상에 표시될 기상 요소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선택받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측 지점 중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위성 영상 정보 및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상 영상 정보를 제 3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기상 영상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성 영상 정보는 해상풍 영상, 안개 영상 및 수온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해수 수치 예측 일기도는 해류 일기도, 수온 일기도 및 염분 일기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관측 지점 중 선택된 관측 지점에서의 기상 부가 정보를 제 4 페이지를 통해 제공하는 기상 부가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상 부가 정보는 상기 선택된 관측 지점의 생활 해양 예보 지수 및 선박 운항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서버.
  9. 기상 정보 제공 서버를 통해 연안 해양에 대한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관측소 별 기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및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 중 하나를 선택하고, 복수의 관측소 및 복수의 기상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받는 단계;
    상기 관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1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관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현재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정보 제공 인터페이스가 선택된 경우, 제 2 페이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측소에서 예측된 상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기상 요소에 대한 예측 기상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기상 정보 제공 방법.
KR1020190149190A 2019-11-20 2019-11-20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KR102327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90A KR102327181B1 (ko) 2019-11-20 2019-11-20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190A KR102327181B1 (ko) 2019-11-20 2019-11-20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532A true KR20210061532A (ko) 2021-05-28
KR102327181B1 KR102327181B1 (ko) 2021-11-17

Family

ID=76140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190A KR102327181B1 (ko) 2019-11-20 2019-11-20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7B1 (ko) * 2021-06-25 2022-03-17 주식회사 콤라인 데이터 기반의 선박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762A (ko) * 2011-12-30 2013-08-13 주식회사 시도 기상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1556723B1 (ko) 2013-12-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 항로 결정 장치
KR101812781B1 (ko) * 2016-10-31 2018-01-30 주식회사 웨더아이 연안 기상 정보를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2843A (ko) * 2017-03-08 2018-09-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스킨스쿠버 지수 예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0518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웨더아이 선박의 항로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762A (ko) * 2011-12-30 2013-08-13 주식회사 시도 기상콘텐츠 생성 시스템
KR101556723B1 (ko) 2013-12-20 2015-10-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최적 항로 결정 장치
KR101812781B1 (ko) * 2016-10-31 2018-01-30 주식회사 웨더아이 연안 기상 정보를 예측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02843A (ko) * 2017-03-08 2018-09-18 (주)지오시스템리서치 스킨스쿠버 지수 예보 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20518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웨더아이 선박의 항로 결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467B1 (ko) * 2021-06-25 2022-03-17 주식회사 콤라인 데이터 기반의 선박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7181B1 (ko)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95700B1 (ja) 船舶のルーティング予測システム、及び当該ルーティング予測システムに用いるプログラム
KR102215520B1 (ko) 연안 기상 정보를 포함하는 선박의 항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JP2013134089A (ja) 最適航路計算装置及び最適航路計算方法
KR20160134022A (ko) 북극해 안전운항정보 제공방법
CN110442665A (zh) 极地海域冰情融合显示方法
Życzkowski et al. Review of weather forecast services for ship routing purposes
KR20190054410A (ko) 연안 기상 및 해양정보 관련 빅데이터를 이용한 최적항로제공시스템
Azevêdo et al. Methodology for Maritime Risk Assessment in Ports due to Meteo‐oceanographic Factors: The Case of the port of Suape, Brazil
KR102327181B1 (ko) 연안 해양 및 선박 운항에 대한 기상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 모델
KR102111636B1 (ko) 해황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황정보 제공방법
Cullen et al. Constructing the monsoon: Colonial meteorological cartography, 1844–1944
Bergström et al. Future scenarios for Arctic shipping
Kite-Powell The value of ocean surface wind information for maritime commerce
Gumusay Web-based GIS for safe shipping in Istanbul Bosphorus Strait
Holweg Mariner's guide for hurricane awareness in the North Atlantic basin.
Sakhuja Sailing through the Northern sea rout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roucha et al. Practical aspects of meteorology and oceanography for mariners: A guide for the perplexed
Dumas et al. The potential economic benefits of coastal ocean observing systems: The southeast Atlantic region
Alvarez-Ellacuria et al. An alert system for beach hazard management in the Balearic Islands
Berkson et al. Integrated Ocean Observing System (IOOS®) Supports Marine Operations: A Look from the US Coast Guard
Vidan et al. Meteorological navigation and ECDIS
Alexander et al. S-100 Overlays: A Brave New World?
Yevgeniy et al. METEOROLOGIC SHIP PERFORMANCE OPTIMIZATION SYSTEM IN NAVIGATION
Wu Statistical evaluation of weather patterns on fishing vessel incidents in Atlantic Canada.
Della et al. Optimum ship weather routing using G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