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60A -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 Google Patents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60A
KR20210060860A KR1020190148362A KR20190148362A KR20210060860A KR 20210060860 A KR20210060860 A KR 20210060860A KR 1020190148362 A KR1020190148362 A KR 1020190148362A KR 20190148362 A KR20190148362 A KR 20190148362A KR 20210060860 A KR20210060860 A KR 2021006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tch
module
hole
structura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나믹코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나믹코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나믹코어스
Priority to KR1020190148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0860A/ko
Publication of KR2021006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6Dismountable or portable greenhouses ; Greenhouses with sliding roof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07Greenhouses of flexible synthetic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45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ecesses in both frontal surfaces co-operating with an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1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 F16B21/12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 F16B21/125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by separate parts with locking-pins or split-pins thrust into holes radially resilient or with a snap-action member, e.g. elastic tooth, pawl with spring, resilient coil or wi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스템 하우스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듈 구조재의 내측에 래치 유닛이 삽입되고, 모듈 구조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래치 헤드가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구조재 홀과 패널에 형성된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시스템 하우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한쪽 면에 구조재 홀이 형성된 모듈 구조재와,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는 패널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을 결합시키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은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며, 패널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구조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유닛의 타부분이 상기 구조재 홀 및 상기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Latch structure for panel coupling}
본 발명은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스템 하우스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듈 구조재의 내측에 래치 유닛이 삽입되고, 모듈 구조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래치 헤드가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구조재 홀과 패널에 형성된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시스템 하우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채소류, 화훼류, 과수류 등 농작물의 수확시기를 앞당겨서 재배하는 촉성재배나, 또는 고온 열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시설되는 구조물로서, 비닐하우스는 기밀성과 보온력이 높아서 농작물의 생육과 수확시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도에 있어서도 비교적 양호한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유리온실에 비하여 시설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어 비닐하우스를 많이 선호하고 있다.
통상의 비닐하우스는 선재 혹은 봉재의 강재 파이프를 벤딩하여 아치형 프레임을 형성시키고, 이 아치형 프레임을 등간격으로 다수개를 지중에 꽂은 후 그 사이를 수평의 횡간봉을 길게 이음하여 비닐하우스용 골격을 형성하고, 그 위에 비닐을 덮어 터널식 비닐하우스를 구축하였다.
최근, 이러한 비닐 하우스는 태양광패널, 바이오 에너지 패널 등 여러종류의 패널을 선택하여 비닐 하우스의 외측에 결합시킴으로써 농작물의 재배 뿐만 아니라 에너지 생산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하우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시스템 하우스에 각종 패널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결합부재 및 결합장비가 필요하며, 현장에서 패널을 결합하기 위한 시간이 다소 소요되어, 시스템 하우스를 전체적으로 조립하는 작업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4337호(발명의 명칭: 래칭 요소, 공고일: 2013년 6월 13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스템 하우스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듈 구조재의 내측에 래치 유닛이 삽입되고, 모듈 구조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래치 헤드가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구조재 홀과 패널에 형성된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시스템 하우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한쪽 면에 구조재 홀이 형성된 모듈 구조재와,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는 패널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을 결합시키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은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며, 패널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구조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유닛의 타부분이 상기 구조재 홀 및 상기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조재 홀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구조재 홀과 대응되는 갯수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 내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래치 유닛은 각각의 상기 구조재 홀을 적어도 일부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구조재 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 구조재에는 상기 구조재 홀이 형성된 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치 유닛의 한쪽 단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재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시스템 하우스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모듈 구조재의 내측에 래치 유닛이 삽입되고, 모듈 구조재의 외측으로 돌출된 래치 헤드가 패널에 형성된 패널 홀을 관통하여 걸리게 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시스템 하우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패널을 결합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래치 걸림부의 한쪽 단부에 형성된 구조재 결합돌기가 모듈 구조재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제1 돌출부 또는 제2 돌출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됨으로써 패널이 모듈 구조재에 결합되는 면을 변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변형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패널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여러가지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1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는 모듈 구조재(100), 패널(300) 및 래치 유닛(20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구조재(100)는 시스템 하우스의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모듈 구조재(100)는 내측에 후술하는 래치 유닛(200)이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구조재(100)는 상기 패널(300)과의 결합을 위하여 복수개 배치되며, 상기 모듈 구조재(100)를 이루는 면 중 상기 패널(300)과 결합되는 한쪽 면에 후술하는 래치 유닛(200)이 돌출되어 왕복이동할 수 있는 구조재 홀(120)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재 홀(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래치 유닛(200)은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모듈 구조재(100)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110)에 삽입되고,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상기 패널(300)을 결합시키며,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유닛(200)은 스프링(210)과 래치 본체(220)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은 상기 모듈 구조재(100)를 형성하는 면 중 상기 구조재 홀(120)과 마주보는 면과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래치 본체(220)와 결합되어 상기 래치 본체(220)의 왕복이동에 따라 압축 및 원상복귀된다.
상기 래치 본체(220)는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부분은 상기 공간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며,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본체(220)는 래치 걸림부(221)와 래치 헤드(222)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 걸림부(221)는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210)의 타단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래치 걸림부(221)의 폭은 상기 구조재 홀(12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10)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래치 걸림부(221)가 상기 구조재 홀(120)이 형성된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한쪽 면으로 접촉되되, 상기 래치 걸림부(221)가 상기 구조재 홀(120)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한다.
상기 래치 헤드(222)는 상기 래치 걸림부(221),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걸림부(221)와 상기 모듈 구조재(100)가 마주보는 면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구조재 홀(120)을 관통하며, 후술하겠지만, 상기 래치 헤드(222)는 상기 패널(300)을 관통하여 상기 패널(300)이 움직이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상기 패널(300)을 결합시킨다.
상기 패널(300)은 상기 래치 유닛(200)에 의하여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결합되며, 구체적으로 패널 본체(310)와 구조재 결합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본체(310)는 일반적인 태양광패널(300), 바이오 에너지 패널(300)일 수 있으며,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는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결합되도록 상기 패널 본체(3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에는 상기 래치 헤드(222)가 관통할 수 있도록 패널 홀(321)이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패널 본체(310)와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가 결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패널 본체(310)의 상면에는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하부 영역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구조재 이동부(311)가 형성되며,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하부 영역은 상기 구조재 이동부(311)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며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이동 돌출부(322)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재 이동부(311)에 상기 이동 돌출부(322)가 삽입되고, 상기 패널 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가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상기 패널 본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며, 위치 조정이 완료된 이후에 별도의 고정 부재(330)를 통해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310)를 기준으로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모듈 구조재(100)가 이격된 거리가 변동이 생기거나 또는 모듈 구조재(100)가 자바라 타입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패널(300)은 상기 모듈 구조재(100)가 이격된 거리에 구애받지 않고,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10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300)이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이격되어 있다가, 상기 패널(300)이 상기 모듈 구조재(100)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가 상기 래치 헤드(222)를 누르면서 상기 스프링(210)은 압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치 헤드(222) 중 만곡부는 상기 패널(300)의 결합이 시작되는 면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부(110) 내부에 위치한다.
이후 상기 구조재 결합부(320)에 의하여 상기 래치 헤드(222)가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상기 공간부(110)에 모두 삽입되었다가 상기 래치 헤드(222)는 상기 구조재 홀(120)과 상기 패널 홀(321)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상기 패널(300)을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보다 빠르고, 쉽게 시스템 하우스의 외측 또는 내측에 패널(300)을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조재 홀(120)은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유닛(200)은 복수개의 상기 구조재 홀(120)과 대응되는 갯수로 복수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재 홀(120)은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상측 및 하측, 두 영역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공간부(110)의 내측에는 각각의 상기 래치 유닛(200)이 각각의 상기 구조재 홀(120)을 적어도 일부분 관통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래치 유닛(200)의 래치 헤드(222)의 만곡부는 서로 반대방향, 즉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상면 및 하면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 패널(300)이 각각 모듈 구조재(100)의 상면과 하면을 덮도록 상기 모듈 구조재(100)와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가 패널(300), 모듈 구조재(100) 및 래치 유닛(200)을 포함하며, 래치 유닛(200)을 통해 패널(300)과 모듈 구조재(100)가 결합되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부(110)는 제1 공간부(111)와 제2 공간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공간부(111)와 상기 제2 공간부(112)는 상기 구조재 홀(12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며, 이를 통해 상기 패널(300)이 상기 모듈 구조재(100)의 좌우에 각각 결합되어 연속적으로 패널(300)이 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가 패널(300), 모듈 구조재(100) 및 래치 유닛(200)을 포함하며, 래치 유닛(200)을 통해 패널(300)과 모듈 구조재(100)가 결합되는 내용은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제3 실시예에 따른 모듈 구조재(100)에는 상기 구조재 홀(120)이 형성된 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131)와 제2 돌출부(1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래치 걸림부(221)의 한쪽 단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131)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3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힌지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 구조재 결합돌기(221a)가 형성된다.
상기 구조재 결합돌기(221a)가 상기 제1 돌출부(131) 또는 상기 제2 돌출부(132)에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모듈 구조재(100)에 결합되는 패널(300)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모듈 구조재
110: 공간부
111: 제1 공간부
112: 제2 공간부
120: 구조재 홀
131: 제1 돌출부
132: 제2 돌출부
200: 래치 유닛
210: 스프링
220: 래치 본체
221: 래치 걸림부
221a: 구조재 결합돌기
222: 래치 헤드
300: 패널
310: 패널 본체
311: 구조재 이동부
320: 구조재 결합부
321: 패널 홀
322: 이동 돌출부

Claims (4)

  1.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한쪽 면에 구조재 홀이 형성된 모듈 구조재;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는 패널; 및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모듈 구조재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에 삽입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을 결합시키는 래치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패널은,
    패널 본체;와,
    상기 패널 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모듈 구조재와 결합되며, 패널 홀이 형성된 복수개의 구조재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유닛의 타부분이 상기 구조재 홀 및 상기 패널 홀을 동시에 관통함으로써 상기 모듈 구조재와 상기 패널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재 홀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 유닛은 복수개의 상기 구조재 홀과 대응되는 갯수로 복수개로 구성되어 상기 공간부 내측에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래치 유닛은 각각의 상기 구조재 홀을 적어도 일부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구조재 홀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공간부 및 제2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구조재에는 상기 구조재 홀이 형성된 면의 내측면으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래치 유닛의 한쪽 단부에는 상기 제1 돌출부 또는 상기 제2 돌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재 결합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KR1020190148362A 2019-11-19 2019-11-19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KR20210060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62A KR20210060860A (ko) 2019-11-19 2019-11-19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362A KR20210060860A (ko) 2019-11-19 2019-11-19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60A true KR20210060860A (ko) 2021-05-27

Family

ID=76135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362A KR20210060860A (ko) 2019-11-19 2019-11-19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086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37B1 (ko) 2005-04-22 2013-06-13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래칭 요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337B1 (ko) 2005-04-22 2013-06-13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래칭 요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60105B (zh) 一种多个取苗末端执行器的槽型凸轮展合装置
US20220142058A1 (en) Spliced small arch shed frame
KR101441662B1 (ko) 농작물용 비가림 하우스의 지지대
KR20210060860A (ko) 패널 결합을 위한 래치구조
KR101681074B1 (ko) 비닐하우스용 골조 프레임
KR101910239B1 (ko) 작물재배용 거터
KR101522227B1 (ko) 나뭇가지 유인장치
KR20160001598U (ko) 과목이나 밭 작물의 가지 유인 지지구
DK1191846T3 (da) Polyenfungicidholdigt substrat til dyrkning af svampe
JP2002084902A (ja) サクランボの栽培方法
KR102430594B1 (ko) 시스템 하우스 구조겸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하우스
KR20160126661A (ko) 텃밭농업을 위한 모듈결합형 틀 구조
GB2417891A (en) Combinational gardening rack which includes height adjustable frames to allow adjustment thereof based on the growth of a plant(s) thereon
KR102277778B1 (ko) 시스템 하우스 구조겸용 힌지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하우스
KR101416587B1 (ko) 식물의 고설 재배장치
CN216254285U (zh) 一种农业育苗架
SU858658A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 виноградного куста
US3328915A (en) Support rack for tomatoes and peas
KR102580810B1 (ko) 작물 유인 지지구
CN211982919U (zh) 一种一体式平棚架栽培大棚
CN110934022A (zh) 一种快速组装大棚
JP3137421U (ja) 農業用マルチ資材
CN210202738U (zh) 一种农业菌类种植培养装置
CN208739738U (zh) 一种植物培育防护罩
CN205511268U (zh) 一种果蔬栽培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