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800A -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0800A
KR20210060800A KR1020190148244A KR20190148244A KR20210060800A KR 20210060800 A KR20210060800 A KR 20210060800A KR 1020190148244 A KR1020190148244 A KR 1020190148244A KR 20190148244 A KR20190148244 A KR 20190148244A KR 20210060800 A KR20210060800 A KR 2021006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ation
information
user
patch
bl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8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13699B1 (ko
Inventor
장원석
박상은
오현경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48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3699B1/ko
Priority to PCT/KR2020/016186 priority patent/WO2021101216A1/ko
Publication of KR2021006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8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3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42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 A61B8/4209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 A61B8/4236Details of probe positioning or probe attachment to the patient by using holders, e.g. positioning frames characterised by 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6Devices, other than using radiation, for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 determining position of probes within or on the body of the patient
    • A61B5/065Determining position of the probe employing exclusively positioning means located on or in the probe, e.g. using position sensors arranged on the prob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2Assessing bladder functions, e.g. incontinence assessment
    • A61B5/204Determining bladder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for measuring urological functions restricted to the evaluation of the urinary system
    • A61B5/207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 A61B5/208Sensing devices adapted to collect urine adapted to determine urine quantity, e.g. flow, volu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08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 A61B8/0833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 A61B8/085Detecting organic movements or changes, e.g. tumours, cysts, swellings involving detecting or locating foreign bodies or organic structures for locating body or organic structures, e.g. tumours, calculi, blood vessels, nod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Abstract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는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하는 연결부, 상기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조절부 및상기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하는 배뇨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POSITIONING OPTIMIZATION DEVICE AND METHOD OF PATCH TYPE ULTRASONIC SENSOR FOR MOBILE-BASED BLADDER MONITORING}
본원은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립선 수술 등으로 인해 배뇨장애를 겪고있는 환자, 뇌졸증 뇌성마비, 파킨스씨병 등의 뇌질환 및 척수 손상환자 등은 자의적으로 배뇨를 제어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방광 충만 정도를 모니터링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방광 충만 정도를 비침습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 기술이 부재하며, 모니터링 기술과 관련하여 그 개발 수준이 마땅치 않은 실정이다. 뿐만 아니라, 배뇨장애를 겪는 환자의 경우, 요의감과 수분 섭취량에 따른 배뇨의 관리가 중요하나, 비침습적으로 모니터링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배뇨장애 환자의 배뇨 관리 또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 1601215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방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의 부착 위치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뇨 장애별 배뇨 관리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배뇨 관련 상태에 따라, 배뇨를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는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하는 연결부, 상기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하는 배뇨 정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하고, 상기 요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포함하되, 상기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상기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상기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분 정보, 상기 요의 정보 및 상기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상기 권고 배뇨 주기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상기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하되,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신 이미지, 상기 골반 이미지 및 상기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은, 입력부가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연결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조절부가 상기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배뇨 정보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하고, 상기 요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포함하되, 상기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가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상기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상기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분 정보, 상기 요의 정보 및 상기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상기 권고 배뇨 주기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출력부는 상기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상기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하되,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신 이미지, 상기 골반 이미지 및 상기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방광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초음파 센서의 부착 위치의 정확성을 제고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배뇨 장애별 배뇨 관리 모델을 통해 사용자의 배뇨 관련 상태에 따라, 배뇨를 관리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방광 정보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수분 정보의 입력에 따른 잔뇨량 출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방광 위치 검출을 위한 가이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방광내 잔뇨량 알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 데이터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일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 알람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시스템은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 초음파 패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는 사용자의 방광용적에 기초하여 배뇨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배뇨 장애에 따라 적합한 배뇨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100)는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 단말(300)과 연동하는 별도의 장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의 형태의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 초음파 패치(200) 및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단말 및 서버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유, 무선의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3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데스크탑 컴퓨터, 스마트 TV 등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초음파 패치(200)는 사용자의 복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복부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bladder capacity) 및 잔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방광용적은 방광내에 어느 정도의 요를 축적할 지를 나타내는 지표를 의미하며, 초음파 패치(200)는 초음파를 통해 사용자의 방광 내에 잔뇨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패치(200)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는 입력부(110), 연결부(120), 위치 조절부(130), 배뇨 정보 생성부(140), 출력부(150) 및 카메라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사용자 정보 및 방광 정보 입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수분 정보의 입력에 따른 잔뇨량 출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입력부(110)는 사용자 정보로서, 식별자(ID), 성명, 생년월일, 성별, 체중, 배뇨 장애 증상, 방광 측정 간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초음파 패치(200)와 연결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방광 정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후술하는 초음파 패치(200)에 의한 초음파로부터 측정되어 자동입력 될 수 있다. 배뇨 장애 증상에는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 행태 장애 및 유뇨증에 의한 배뇨장애 및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입력부(110)는 상기 배뇨장애 증상 중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수분 정보는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 및 수분 량에 따라 방광에는 소변이 누적될 수 있고, 초음파 패치(200)에 의해 방광내 잔료량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요의 정보는 현재 잔뇨량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를 정형화된 데이터로 표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주기적으로 방광 정보를 초음파 패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잔뇨량의 상태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의도에 의해 수동적으로 현재 방광용적 및 잔뇨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측정 아이콘을 클릭하면 수동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방광 위치 검출을 위한 가이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결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200)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초음파 패치(200)에 의해 사용자의 방광용적 및 잔뇨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초음파 패치가 방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복부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는 보다 정확한 초음파 패치(200)의 포지셔닝을 위해 초음파 패치(200)의 부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130)는 초음파 패치(200)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방광에 대응하는 복부 영역에 초음파 패치(20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치골을 시작점으로 하여 초음파 패치(2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연결부(120)는 치골에 위치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패치(200)가 이동됨에 따라 변화하는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고, 출력부(150)는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출력부(150)는 초음파 영상을 실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조절부(130)는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조절부(130)는 치골에서 이동을 시작하는 초음파 패치(200)가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이동을 가이드하는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정보는 초음파 패치(200)를 통한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장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치골에서부터 파악된 장기의 위치를 고려하여 초음파 패치(200)의 이동을 제시하는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현재 초음파 패치(200)가 치골 영역에 위치한 경우, 위치 조절부(130)는 초음파 영상으로부터 초음파 패치(20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고, 초음파 패치(200)를 상측(복부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명령을 포함하는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조절 정보는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에 대해서도 이동을 제시할 수 있다. 초음파 영상을 통해 초음파 패치(200)가 방광에 대응하는 복부 영역에 위치함이 감지되면, 위치 조절부(130)는 초음파 패치(200)를 해당 영역에 부착하라는 메시지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조절부(130)는 보다 정확한 방광 위치에 초음파 패치(200)가 부착될 수 있도록 카메라부(16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사용자의 신장(身長)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부(160)는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위치 조절부는 전신 이미지, 골반 이미지 및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평균 신장은 모든 사용자들의 평균 신장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의 성별과 신장에 대응하는 평균 신장과 신장별 방광 위치에 대한 정보가 다양한 사용자들에 의해 사전에 누적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키가 180cm인 사용자들의 평균적인 방광위치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초음파 패치(200)를 조절하려는 사용자의 신장을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의 방광의 예상 위치가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위치 조절부(130)는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분석하여서도 방광의 예상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동일한 신장을 가진 사용자라 하더라도 신체 비율이 상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방광의 위치 또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이미지를 통한 2차적인 위치 추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로부터 골반의 위치, 다리 길이, 고간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 위치에 기반하여 방광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 조절부(130)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 예측된 방광의 위치와 이미지 분석에 따라 예측된 방광 위치를 조합하여 하나의 방광 위치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측된 방광 위치는 예측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해당 위치를 방광에 대응하는 위치를 찾기 위한 시작점으로 설정하여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방광에 대응하는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 데이터를 도식화한 도면이고, 도 8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일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배뇨량을 일간, 주간 월간 단위의 그래프를 생성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일간 그래프에서는 하루 시간대별 배뇨량 및 수분 섭취량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150)는 주간별 배뇨 일지, 사용자 설정 기간 별 배뇨 일지를 출력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배뇨량, 요의강도, 수분 섭취량, 수분 종류, 잔료량을 시간별로 기록한 배뇨 일지를 출력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배뇨량, 요의강도, 수분 섭취량, 수분 종류, 잔료량을 시간별로 기록한 배뇨 일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배뇨 관리 모델별로 배뇨 일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보다 뒤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초음파 패치(200)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수분 정보, 요의 정보 및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배뇨 데이터는 배뇨 일지와 동일하기 이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권고 배뇨 주기는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수분을 섭취하고 배뇨하는 배뇨 패턴에 따라 적절한 배뇨 시기를 알리는 배뇨 주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배뇨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경우, 각 장애에 따라 적합한 배뇨 주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배뇨 알람 설정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방광용적 및 잔뇨량을 측정하는 주기를 설정하고, 잔뇨량의 알람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권고 배뇨 주기를 수동으로 설정할 수 있고, 수분 섭취 알람의 주기를 설정할 수 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배뇨 장애별로 배뇨 관리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 행태 장애 및 유뇨증에 의한 배뇨장애 및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 각각의 배뇨 관리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배뇨 관리 모델 각각을 설명하면,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 관리 모델은 연속/수동 방광 측정, 측정치 표시, 배뇨 권장 알림, 요의 강도 기록, 수분 섭취 기록, 수분 권장량 알림, 배뇨일지 작성의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 관리 모델은 연속/수동 방광 측정, 측정치 표시, 배뇨권장 알림 수분 섭취 기록, 일 수분 섭취 제한, 야간 수분 섭취 제한, 배뇨일지 작성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행태 장애 및 유뇨증에 의한 배뇨장애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 관리 모델은 연속/수동 방광 측정, 측정치 표시, 배뇨권장 알림, 요의 강도 기록, 수분 섭취 기록, 수분 권장량 알림, 배뇨일지 작성의 프로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각 배뇨 관리 모델별로 배뇨를 권장하는 배뇨 기준을 포함하고, 배뇨 관리 모델별로 권장하는 도뇨법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뇨 관리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모든 배뇨 관리 모델에서 수분 섭취의 입력은 공통적이다. 이뇨작용과 방광 자극에 의해 하부요로기능에 문제가 있는 경우 음료의 섭취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배뇨 장애 종류와 관계 없이 수분 섭취의 입력이 공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수분 섭취와 관련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가이드 정보는 카페인 섭취를 하루 200mg미만으로 제한하고, 알코올 섭취는 금지하며, 탄산음료, 아스파탐과 기타 인공감미료 등의 섭취를 제한해야 한다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정보는 과도한 수분 섭취의 제한은 소변의 농도가 짙어져 방광 점막을 자극하여 요절박과 빈뇨를 유발하므로 적정량의 수분을 섭취해야한다는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정보는 텍스트 또는 이미지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의 방광내 잔뇨량 알림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배뇨량, 요의강도, 수분 섭취량, 수분 종류, 잔료량을 시간별로 기록한 배뇨 일지를 출력할 수 있다. 각 배뇨관리 모델별로 배뇨 일지를 생성하기 위한 흐름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의 경우, 사용자가 수분을 섭취하고, 섭취한 수분의 종류와 섭취량을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하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수분의 종류와 섭취량을 기록할 수 있다. 이후, 초음파 패치(200)를 통해 소변의 축적을 모니터링하고, 소변 축적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받으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초음파 패치(200)를 통해 검출된 방광내 소변의 양을 도 6과 같이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관리 모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배뇨 기준(즉, 소변의 양을 의미하며, 각 배뇨관리 모델별로 배뇨 기준의 소변의 양이 상이할 수 있다.)과 검출된 소변의 양을 비교하고, 요의 강도를 고려하여 검출된 소변의 양이 기준 소변의 양 미만인 경우, 배뇨 대기 정보를 출력하고, 검출된 소변의 양이 기준 소변의 양 이상인 경우 배뇨 지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의 배뇨 후, 실시간으로 측정된 배뇨량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배뇨량, 요의강도, 수분 섭취량, 수분 종류, 잔료량을 시간별로 기록한 배뇨 일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배뇨 일지를 통해 사용자의 요의 강도와 잔뇨량을 이용하여, 전립선증에 의한 배뇨장애의 현황 또는 개선 정도가 파악될 수 있다.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는 뇌와 방광의 경로의 문제로 배뇨 근육에 이상이 발생한 질병을 의미한다.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관리 모델의 경우, 사용자가 수분을 섭취하고, 섭취한 수분의 종류와 섭취량을 사용자 단말(300)을 통해 입력하면,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상기 수분의 종류와 섭취량을 기록한다. 이 때,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배뇨장애 증상 중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 선택시, 일일 수분 섭취량을 2000cc로 제한하고, 야간 수분 섭취를 제한하는 가이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초음파 패치(200)를 통해 소변의 축적을 모니터링하고 축적된 소변 양에 기초하여 배뇨 지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신경인성 방광에 의한 배뇨장애의 경우, 간헐적 도뇨법을 통해 소변이 배출될 수 있다.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도뇨 후, 실시간으로 측정된 도뇨량을 자동적으로 기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도뇨량, 요의강도, 수분 섭취량, 수분 종류, 잔료량을 시간별로 기록한 배뇨 일지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유뇨증에 의한 배뇨장애의 배뇨관리 모델의 경우, 전술한 전립선증에 의핸 배뇨장애의 배뇨관리 모델과 동일한 프로세스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유뇨증은 생후 5세 이후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질병인 것이므로, 전립선증에 의핸 배뇨장애의 배뇨관리 모델의 배뇨 기준과는 상이할 수 있다
도 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의 흐름은 앞선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9를 통해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1010에서 입력부(110)는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10)는 사용자 정보로서, 식별자(ID), 성명, 생년월일, 성별, 체중, 배뇨 장애 증상, 방광 측정 간격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초음파 패치(200)와 연결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하고, 요의 정보는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포함하되,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입력될 수 있다.
단계 S1020에서 연결부(120)는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200)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단계 S1030에서 위치 조절부(130)는 초음파 패치(200)의 위치가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음파 패치(200)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사용자의 신장, 즉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60)는 사용자의 신장을 촬영하고, 입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받으며, 상기 위치 조절부(130)는 전신 이미지, 상기 골반 이미지 및 상기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1040에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초음파 패치(200)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수분 정보, 요의 정보 및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배뇨 정보 생성부(140)는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권고 배뇨 주기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상기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설명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110: 입력부
120: 연결부
130: 위치 조절부
140: 배뇨 정보 생성부
150: 출력부
160: 카메라부
200: 초음파 패치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5)

  1.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에 있어서,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하는 연결부;
    상기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조절부; 및
    상기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하는 배뇨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하고,
    상기 요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포함하되,
    상기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상기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상기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분 정보, 상기 요의 정보 및 상기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상기 권고 배뇨 주기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상기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촬영하는 카메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하되,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신 이미지, 상기 골반 이미지 및 상기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8.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부가 초음파 패치 부착 대상 사용자의 방광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에 대한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연결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체에 초음파를 조사하여 방광용적 및 방광내 잔뇨량을 측정하는 초음파 패치와 연결되어 초음파 조사에 따른 사용자의 방광 위치를 수신하는 단계;
    위치 조절부가 상기 초음파 패치의 위치가 상기 사용자의 방광에 대응하도록 위치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배뇨 정보 생성부가 상기 사용자 정보, 수분 정보 및 요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배뇨를 권고하는 배뇨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섭취한 수분의 종류 및 수분의 량을 포함하고,
    상기 요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느끼는 요의 강도를 포함하되,
    상기 방광 정보는 사용자의 방광 크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 또는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된 방광의 크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출력부가 상기 초음파 패치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방광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가 인체에 부착된 위치부터 조사된 초음파의 범위 내에 상기 방광이 대응되도록 하는 위치로 상기 초음파 패치를 이동시키는 상기 위치 조절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초음파 패치로부터 사용자의 배뇨량에 대한 배뇨량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분 정보, 상기 요의 정보 및 상기 배뇨량 정보에 기초하여 1일 최대 배뇨량 및 최소 배뇨량, 1일 배뇨 횟수, 1일 수분섭취량을 누적하여 1일당 배뇨 데이터를 산출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뇨 정보 생성부는,
    상기 1일 배뇨 데이터에 기초하여 1일당 권고 배뇨 주기를 산출하되,
    상기 권고 배뇨 주기는 상기 사용자의 배뇨 장애 증상을 고려하여 산출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권고 배뇨 주기를 출력하고, 상기 권고 배뇨 주기에 따라 배뇨를 알리는 알람을 출력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카메라부가 상기 사용자의 신장을 촬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신장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카메라부는 상기 사용자의 전신 이미지 및 골반 이미지를 촬영하되,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전신 이미지, 상기 골반 이미지 및 상기 신장 정보와 평균 신장에 따른 방광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골반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추천 시작점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방법.
  15. 제8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148244A 2019-11-19 2019-11-19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을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102313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44A KR102313699B1 (ko) 2019-11-19 2019-11-19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을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PCT/KR2020/016186 WO2021101216A1 (ko) 2019-11-19 2020-11-17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8244A KR102313699B1 (ko) 2019-11-19 2019-11-19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을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800A true KR20210060800A (ko) 2021-05-27
KR102313699B1 KR102313699B1 (ko) 2021-10-15

Family

ID=7598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8244A KR102313699B1 (ko) 2019-11-19 2019-11-19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을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3699B1 (ko)
WO (1) WO202110121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825A (ko) * 2020-11-03 2022-05-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광 모니터링 장치 및 방광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008309A (ko) * 2021-07-07 2023-01-16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내 요량 측정용 초음파 스캐너
KR102528242B1 (ko) * 2022-03-18 2023-05-03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방광용적을 측정하는 의료영상장치 및 의료영상장치의 동작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247B1 (en) * 1998-06-01 2003-06-17 Alcor Medical Instruments, Inc. Device for monitoring bladder urine distension in patients, and a method thereof
KR20070031285A (ko) * 2004-03-31 2007-03-19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초음파 요량 센서
KR20070105097A (ko) * 2006-04-25 2007-10-30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JP2016043273A (ja) * 2014-08-26 2016-04-0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器及び超音波尿量測定器における超音波プローブの位置決め方法
JP2016127971A (ja) * 2014-08-26 2016-07-1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システム
JP2017535378A (ja) * 2014-11-27 2017-11-30 ユーエムシー ユトレヒト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の変化をシグナリングする装着可能な超音波装置
JP2018528041A (ja) * 2015-07-27 2018-09-27 ユニヴァーシティ・オブ・セントラル・ランカシャー 膀胱ステータス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20092812A (ja) * 2018-12-12 2020-06-18 トリプル・ダブリュー・ジャパン株式会社 尿量推定用探触子、及びそれを用いた尿量推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02973B2 (en) * 2015-05-06 2020-03-31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Non-invasive detection of the backflow of urine
CN107613879B (zh) * 2015-06-12 2020-07-31 三W日本株式会社 尿量推定装置和尿量推定方法
US10685249B2 (en) * 2016-04-12 2020-06-16 GOGO Band, Inc. Urination prediction and monitoring
KR101874613B1 (ko) * 2016-07-07 2018-07-04 (주)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내 요량 측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9247B1 (en) * 1998-06-01 2003-06-17 Alcor Medical Instruments, Inc. Device for monitoring bladder urine distension in patients, and a method thereof
KR20070031285A (ko) * 2004-03-31 2007-03-19 도꾸리쯔교세이호진 상교기쥬쯔 소고겡뀨죠 초음파 요량 센서
KR20070105097A (ko) * 2006-04-25 2007-10-30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 진단용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초음파 진단 방법
JP2016043273A (ja) * 2014-08-26 2016-04-0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器及び超音波尿量測定器における超音波プローブの位置決め方法
JP2016127971A (ja) * 2014-08-26 2016-07-14 大塚メディカルデバイス株式会社 超音波尿量測定システム
JP2017535378A (ja) * 2014-11-27 2017-11-30 ユーエムシー ユトレヒト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人間または動物の身体の変化をシグナリングする装着可能な超音波装置
JP2018528041A (ja) * 2015-07-27 2018-09-27 ユニヴァーシティ・オブ・セントラル・ランカシャー 膀胱ステータスを推定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20092812A (ja) * 2018-12-12 2020-06-18 トリプル・ダブリュー・ジャパン株式会社 尿量推定用探触子、及びそれを用いた尿量推定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825A (ko) * 2020-11-03 2022-05-10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방광 모니터링 장치 및 방광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방법
KR20230008309A (ko) * 2021-07-07 2023-01-16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방광내 요량 측정용 초음파 스캐너
KR102528242B1 (ko) * 2022-03-18 2023-05-03 (주) 엠큐브테크놀로지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방광용적을 측정하는 의료영상장치 및 의료영상장치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01216A1 (ko) 2021-05-27
KR102313699B1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739252B (zh) 泌尿事件检测、跟踪和分析
KR20210060800A (ko) 모바일 기반 방광 모니터링를 위한 패치형 초음파센서의 포지셔닝 최적화 장치 및 방법
AU2014374016B9 (en) Ultra-wideband radar and algorithms for use in dog collar
EP2890344B1 (en) Method and mobile applications using cross-sharing database for monitoring use of hygiene products
CA2907167A1 (en) Veterinarian user interface for monitoring health and wellness of an animal
FI127689B (en) Arrangement for knee diagnostics
EP3483606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health monitoring program
CN106821383B (zh) 生活状态监测系统
CN105117583A (zh) 基于群体生理数据的个人健康分析系统
KR102211824B1 (ko) 방광 모니터링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광 모니터링 방법
WO2019131732A2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KR101774752B1 (ko) 근골격계 질환을 진단 및 관리하는 디지털 헬스시스템
WO2018207711A1 (ja) 健康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健康モニタリング方法および健康モニタリングプログラム
CN109979570A (zh) 具有x光检测功能的急救用手持诊断设备及诊断方法
Lee et al. Continuous body impedance measurement to detect bladder volume changes during urodynamic study: A prospective study in pediatric patients
Ahmari et al. BioMeSensi: a wearable multi-sensing platform for bio-medical applications
Dunne Machine Learning Applied to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for the Improved Management of Nocturnal Enuresis
Waldenström et al. Variation in position and volume of organs at risk in the small pelvis
US11617536B1 (en) System and method to measure pain levels of patients following surgery
JP7398849B1 (ja) プログラム、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排便シート
Ramu et al. Implantable bladder fullness sensor
CN113876490A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介质
CN106021954A (zh) 一种基于云计算技术的智慧医疗系统
Dunne Machine learning applied to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KR20210151404A (ko) 배뇨상태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