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0377A - Indicator-type door lock - Google Patents
Indicator-type door loc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60377A KR20210060377A KR1020210057874A KR20210057874A KR20210060377A KR 20210060377 A KR20210060377 A KR 20210060377A KR 1020210057874 A KR1020210057874 A KR 1020210057874A KR 20210057874 A KR20210057874 A KR 20210057874A KR 20210060377 A KR20210060377 A KR 2021006037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indicator
- display
- display member
- handle shaf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1/00—Locks with visible indication as to whether the lock is locked or unlocked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3—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dicator-type door lock capable of display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to the outside.
일반적으로 건물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를 락킹(잠금)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다. In general, a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in a building as a device for locking (locking) a door in order to restrict the access of outsiders.
이러한 도어락 장치는 도어의 내부에 매립되거나 도어의 외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종래의 도어락에는 도어의 락킹 및 해정을 위해 실내측 핸들 및 실외측 핸들에 연결되는 부품들을 포함하며, 예들 들어 부품은 모티스일 수 있다. Such a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in a state that is embedded in the door o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In addition, a conventional door lock includes parts connected to an indoor handle and an outdoor handle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and for example, the part may be a mortise.
한편 도어락은 모티스뿐만 아니라, 도어의 실외측에 설치되어 모티스를 작동시키기 위한 디지털 부품과, 도어의 락킹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키 조작부품을 포함한다. Meanwhile, the door lock includes not only the mortise, but also a digital part installed on the outdoor side of the door to operate the mortise, and a key operation part for releasing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종래의 도어락의 하나의 예로서, 레버형 도어락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레버형 도어락은 실내 공간(예를 들어 방이나 욕실 등)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설치된다. A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door lock, a lever type door lock is disclosed, which is installed to control access to an indoor space (for example, a room or a bathroom).
이러한 레버형 도어락은 실내측 레버(핸들) 또는 실외측 레버(핸들) 중 어느 하나를 회동시키면 도어락의 래치 작동체가 작동되고, 래치볼트를 도어 프레임에 설치된 스트라이크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도어락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In such a lever-type door lock, when either the indoor lever (handle) or the outdoor lever (handle) is rotated, the latch actuator of the door lock is operated, and the latch bolt can be inserted or removed from the strik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You can set or unlock the door lock.
최근 들어 기술의 발전과 함께 기존의 도어락도 지속적으로 발전되고 있다. 특히, 침입자에 의한 도어의 무단 개방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은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며, 아울러 사용자 편리성을 개선하는 기술도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도어락 장치의 보안성능과 함께 장치의 소형화 및 사용 편의성 증대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the existing door lock is also continuously developed. In particular, a technology for preventing unauthorized opening of a door by an intrud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a door lock device, and a technology for improving user convenience is also an important factor. In particular, there is an increasing demand for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and increase in ease of use along with the security performance of the door lock device.
<선행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2018-0003019호(공개일자: 2018년 10월 19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외부에서 사용자가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도어락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는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icator-type door lock that allows a user to intuitively check the lock state of the door lock from the outside, and also miniaturizes the door lock device.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해정을 위한 핸들부와 잠금을 위한 누름버튼을 구비한 핸들축; 상기 핸들축이 장착된 구동체; 전면에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가 형성된 본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일정반경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 인디케이터 부재; 및 상기 핸들축 내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핸들축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를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는, 상기 도어락 본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단일 표시부재, 및 상기 도어락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단일 표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핀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 구동부재는, 상기 누름버튼에 의해 상기 핸들축 내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캠 포스트가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캠부의 상기 캠 포스트를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를 일측으로 선회시키는 구동핀이 장착된 핀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handle shaft having a handle portion for unlocking and a push button for locking; A driving body on which the handle shaft is mounted; A door lock body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ing body, comprising a main body cov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to the outside; An indicator member installed to be pivotable in a predetermined radius inside the door lock body and exposed through the display portion; And a swing driving member positioned in the handle shaft and rotated inside the handle shaf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pivot the indicator member, wherein the indicator member includes a single one end pivotably mounted on the door lock body. A display member and a pin spring fixed to the door lock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single display member, and the pivoting driving member is moved in a linear direction within the handle shaft by the push button, and at least on the front surface thereof. A cam portion in which one cam post is formed, and at least one guide rib guided along the cam post of the cam portion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ncludes a pin rotation unit equipped with a driving pin for turning the indicator member to one side. An indicator type door lock is provided.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 커버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관통영역으로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가 노출되어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rough which a partial area of the main body cover is penetrated, and the indicator member may be exposed to the penetrating area of the display unit for display.
상기 도어락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문자가 마련된 표시판이 장착되고, 상기 표시판의 전방에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것일 수 있다. In the door lock body, a display panel on which at least one indicator character is provided may be mounted, and the indicator member may be pivotably mount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평판형의 인디케이터 부재를 설치하여 누름버튼을 누르면 인디케이터 부재가 표시부를 통해서 외부에 노출되어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서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누름버튼의 누름력을 핸들축에서 회전력으로 전환시켜 인디케이터 부재를 구동시키는 구조를 이용하여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flat-type indicator member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lock body and the push button is pressed, the indicator member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pla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t works. In addition, by using a structure that drives the indicator member by converting the pressing force of the push button from the handle shaft to the rotational force, there is an effect of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인디케이터 부재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인디케이터 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구동체와 도어락 본체의 분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구동체의 분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캠부와 핀 회전부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구동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분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용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용도,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용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용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분해도, 및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의 사용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indicator member of the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an indicator member of the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of a driving body and a door lock body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n exploded view of a driving body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B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a cam portion and a pin rotation portion of the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driving body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view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use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diagrams of use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and 13 are diagrams of use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view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15 and 16 are diagrams of use of an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appropriate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their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technical terms and scientific terms used have th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a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provided as examples in order to sufficiently conve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present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b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ele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herever possible.
<제1 실시예><First Exampl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도어락은 구동체(50)의 양측으로 제1 핸들축(52)과 제2 핸들축(53)이 장착된다. 도어락의 잠금 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누름버튼(55)이 제1 핸들축(52)의 말단에 장착된다. 도어락 본체(20)는 구동체(50)의 전방에 장착된다.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로 구성된 인디케이터 부재(30)는 도어락 본체(20)의 전방에 장착된다. 또한 본체커버(10)가 도어락 본체(20)에 장착되는데 본체커버(10)에는 표시부(12)가 형성된다. 1 to 4, in th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a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 부재(30)는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하도록 구성된다. Specifically, the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부(12)가 본체 커버(10)의 전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표시부(12)는 도 3과 같이 본체 커버(10)의 전면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때 표시부(12)는 문자(예컨데 'CLOSED')를 본체커버(10)의 전면에 새기고, 이를 파내어 형성된다. A
또한 도어락 본체(20)의 전면에는 제1 장착공(21)과 제2 장착공(22)이 형성되고, 제1 장착공(21)에는 제2 표시부재(30b)의 제1 연결공(35)이 볼트(B1)를 통해 장착되어 제2 표시부재(30b)가 도어락 본체(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제2 장착공(22)과 제1 표시부재(30a)의 제2 연결공(33)은 볼트(B1)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표시부재(30a)도 도어락 본체(20)에 스윙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a
여기서 제1 표시부재(30a)는 대략 반호 형상을 갖는 평판형 부재로 구성되며, 이와 대응하는 형태(동일한 형상)로 제2 표시부재(30b)도 구성된다. 또한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연결공(32,36)을 선회점으로 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된다. 이를 위해 제1 연결공(32)과 제2 연결공(36)에는 볼트(B1)가 장착된다. Here, the
한편 제1 표시부재(30a)에는 연결단(31)이 형성되고, 이 연결단(31)에는 핀 스프링(70)의 지지단(73)이 안착된다. 여기서 핀 스프링(70)은 탄성력을 갖는 금속재질의 핀을 절곡하여 도 3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구성하고 인디케이터 부재(30)에 고정시켜 장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핀 스프링(70)에는 볼트(B1)가 각각 관통하여 고정되는 제1 연결영역(71)과 제2 연결영역(72)이 대략 원형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한 핀 스프링(70)의 제2 연결영역(72)에는 절곡된 지지단(73)이 형성된다. 이때 지지단(73)은 인디케이터 부재(30)의 제1 표시부재(30a)의 연결단(31)에 안착된다. 따라서 핀 스프링(70)의 지지단(73)과 제1 표시부재(30a)의 연결단(31)은 서로 탄성지지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Meanwhile, a
즉, 인디케이터 부재(30)의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장착공(21,22)에 마운트된 볼트(B1)를 통해 선회가능하다. 이때,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외력이 가해진 개방된 상태로부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닫혀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경우, 핀 스프링(70)의 지지단(73)은 탄성력에 의해 휘어진 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원되고, 마찬가지로 인디케이터 부재(30)의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도 원상태(닫혀진 상태)로 복귀된다.That is, the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각각 도어락 본체(20)의 제1 장착공(21)과 제2 장착공(22)에 볼트(B1)를 통해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이때 제1 표시부재(30a)의 제1 연결공(32)과 제2 표시부재(30b)의 제2 연결공(36)이 볼트(B2)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표시부재(30b)의 제1 연결공(35)과 도어락 본체(20)의 제1 장착공(21)을 볼트(B1)로 서로 연결되어서, 제2 표시부재(30b)를 도어락 본체(20)에서 일정각도로 선회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제1 표시부재(30a)의 제2 연결공(33)을 관통하는 볼트(B1)가 제2 장착공(22)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표시부재(30a)도 도어락 본체(20)에서 일정각도로 선회가능하다. In addition, a bolt B1 penetrating through the
한편 제1 표시부재(30a)의 제1 연결공(32)과 제2 표시부재(30b)의 제2 연결공(36)에는 볼트(B2)가 설치되고, 그리고 예를 들어 제1 표시부재(30a)가 제2 연결공(33)을 선회점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제2 표시부재(30b)는 제1 연결공(35)을 선회점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선회된다. 즉 제1 표시부재(30a)의 제1 연결공(32)과 제2 표시부재(30b)의 제2 연결공(36)은 볼트(B2)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따라서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연동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선회된다. Meanwhile, a bolt B2 is installed in the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구동 본체(50)에는 제1 핸들축(52)과 제2 핸들축(53)이 각각 연결되는데, 도 5a를 참조하면 누름버튼(55)을 누르면 제1 튜브(52a)에서 누름버튼(55)의 누름단부(81)가 캠부(91)를 제1 튜브(52a)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캠부(91)의 외주면에는 가이드핀(P2)이 형성되어, 도 4와 같이 가이드핀(P2)은 안내공에 따라서 제2 핸들축(53)의 길이방향으로 안내되고 이를 통해 캠부(91)의 직선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4 to 6, a
도 5b를 참조하면, 한 쌍의 캠 포스트(91c,91d)가 캠부(91)의 전방에 일정길이로 연장 및 돌출된다. 이 캠 포스트(91c,91d)의 내측에는 캠면(91c',91d')이 각각 형성된다. Referring to FIG. 5B, a pair of cam posts 91c and 91d extend and protrude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front of the
또한 핀 회전부(92)가 캠 포스트(91c,91d)의 전방으로 삽입된다. 이때 핀 회전부(92)는 그의 내측면에 그것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리브(92c,92d)를 가지며, 이 가이드 리브(92c,92d)는 캠 포스트(91c,91d)의 캠면(91c',91d')에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드된다. 또한 핀 회전부(92)에는 가이드 리브(92c,92d)의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핀 결합공(92h)이 형성되고, 이 핀 결합공(92h)에는 구동핀(P1)이 설치된다. Further, the
즉, 누름버튼(55)이 눌러지면 캠부(91)가 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캠 포스트(91c,91d)의 캠면(91c',91d')에 핀 회전부(92)의 가이드 리브(92c,92d)가 맞닿은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캠부(91)가 점차 전진되면 캠면(91c',91d')을 따라 핀 회전부(92)의 한 쌍의 가이드 리브(92c,92d)가 안내된다. 따라서 도 5b의 (b)와 같이 핀 회전부(9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또한 도 5a와 같이 스프링(S2)이 캠부(91)와 핀 회전부(92) 사이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누름버튼(55)이 눌러지면 스프링(S2)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캠부(91)가 이동되고, 반대로 누름버튼(55)에 대한 누름력이 해제되면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캠부(91)는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즉 도 5b의 (b) 상태로부터 (a) 상태로 캠부(91)가 이동하게 된다. 이와 반대의 경우에는 도 5b의 (a) 상태에서 (b) 상태와 같이 회전 부재(92)는 캠 포스트(91c,91d)의 캠면(91c',91d')을 따라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A, a spring S2 is installed between the
이와 같이 캠부(91)의 직선이동이 핀 회전부(92)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하는 구성을 통해, 누름버튼(55)이 눌러지면 도 2와 같이 구동핀(P1)이 연결된 핀 회전부(9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핀 회전부(92)의 회전에 의해 구동핀(P1)이 인디케이터 부재(30)를 서로 벌어진 상태로 작동시킨다.In this way, the linear movement of the
즉, 누름버튼(55)이 눌러지면 핀 회전부(92)가 일측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핀 회전부(92)의 구동핀(P1)에 맞닿은 제1 표시부재(30a)의 연결단(31)이 아래로 선회된다. 따라서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도 2와 같이 벌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That is, when the
한편 도 5a에서 제2 튜브(53a)에는 핀 회전부(92)의 구동핀(P1)이 일정반경으로 이동되도록 안내공(53h)이 형성되고, 제2 튜브(53a)는 고정부재(50b)의 전방에 연결되고, 이 제2 튜브(53a)의 내부에 키 실린더(95)가 설치된다. 또한 제2 튜브(53a)의 전방에는 핸들 잠금체(96)가 연결되고, 이 핸들 잠금체(96)의 전방에 핸들부(51)가 설치된다. 이때 핸들 잠금체(96)는 누름버튼(55)을 누를 경우 외부의 핸들부(51)의 회전을 락킹(잠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커버(97), 누름 포스트(98), 및 스프링(S1)을 구비한 고정블럭(99)이 제공되어, 고정블록(99)을 통해 핸들 잠금상태를 해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레버형 도어락에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구성이므로 상세한 작동 설명은 생략한다. Meanwhile, in FIG. 5A, a
또한 캠부(91)와 핀 회전부(92)의 사이에 스프링(S2)이 끼워지고, 제1 튜브(52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핀 회전부(92)는 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버튼(55)이 눌러진 상태로부터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pring S2 is fitted betwe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은 실내에서 누름버튼(55)을 누르면 캠부(91)가 이동되어 핀 회전부(92)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핀 회전부(92)의 구동핀(P1)은 제2 튜브(53a)의 안내공(53h)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도 2와 같이 구동핀(P1)이 제1 표시부재(30a)의 연결단(31)을 밀어내면 제1 표시부재(30a)는 도 2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이때 제2 표시부재(30b)도 제1 표시부재(30a)와 같이 연동하여 일정반경으로 선회하게 된다. In the indicator-type door 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서로 벌어진 상태로 각각 스윙하여 표시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소정의 색상(예를 들어 적색)으로 착색될 수 있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서로 벌어져서 표시부(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된 상태에서는 본체커버(10)의 표시부(12)를 통해 외부에 각각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노출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에서 표시부(12)를 육안으로 보게 되면 적색의 'CLOSED'의 문구를 확인할 수 있어 현재 도어락이 잠금된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2, the
반대로 실내에서 핸들부(51)의 조작(즉 핸들 잠금체(96)의 해정작용)에 의해 누름버튼(55)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구동핀(P1)은 원상태로 복귀되고, 더 이상 제1 표시부재(30a)를 누르는 외력(지지력)이 남아 있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오므려진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표시부(12)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벗어난다. 따라서 본체 커버(10)의 표시부(12)의 'CLOSED'에서 적색이 사라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의해 외부의 사용자에게 도어락의 해정된 상태를 인지시킬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제2 실시예><Second Example>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로 구성된 인디케이터 부재(30)이외에 도어락 본체(20)의 전방에 표시판(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구체적으로 표시판(60)은 녹색의 원형판으로 제공되고, 그의 측면에는 제1 관통구(61)와 제2 관통구(62)가 형성된다. 또한 그의 상하부에는 'OPEN'으로 표시된 문자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또한 문자 'CLOSED'가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에 각각 기재된다(도면에는 미도시). Specifically, the
한편 본체 커버(10)의 전방에는 일정면적으로 표시 개방부(11b,12b)가 형성된다.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구동부재(50)의 구동핀(P1; 도 4)에 의해 일정반경으로 각각 선회되어 서로 벌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Meanwhile,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표시부재(30a,30b)가 벌려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표시판(60)의 일부가 표시 개방부(11b,12b)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육안으로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표시판(60)의 'OPEN'이 표시 개방부(11b,12b)를 통해 나타나게 된다(도 8의 (b) 참조). Accordingly, when the first and
반면 구동부재(50)의 누름버튼(55)을 눌러서 실내의 잠금상태가 설정된 경우, 구동부재(50)의 구동핀(P1)이 선회되고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는 서로 벌려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2 참조). 이 경우 이들 부재(30a,30b)가 각각 표시판(60)의 표시문자 'OPEN'을 덮게 되고, 인디케이터 부재(30)의 표시문자 'CLOSED'가 표시 개방부(11b,12b)를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도 8의 (a) 참조). On the other hand, when the indoor lock state is set by pressing the
<제3 실시예><Third Example>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본체 커버(10)에는 'CLOSED'로 표시된 표시부(12a) 이외에 'OPEN'으로 표시된 보조 표시부(12b)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보조 표시부(12b)는 본체 커버(10) 상에 문자 'OPEN'을 새기고, 이를 파내어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the
이 경우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작동하여 서로 벌려진 상태로 선회된 경우에는, 그들은 본체 커버(10)에 'CLOSED'로 표시된 표시부(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지만(도 9의 (b) 참조), 평소 상태(잠금해제 상태)에서는 이들은 'OPEN'으로 표시된 보조 표시부(12b)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다(도 9의 (a) 참조). 따라서 이러한 방식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육안으로도 도어락의 잠금 해제 상태를 보다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제4 실시예><Fourth Exampl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판(60)의 상부 측에 'OPEN'의 제1 문자(M1)를 제공하고, 제1 표시부재(30a)의 전면에 'CLOSED'라는 제2 문자(M2)를 제공한다. 또한 본체 커버(10)의 상부 측에 표시 개방부(11a')를 형성한다. 10 and 11,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irst letter M1 of'OPEN'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1의 (a)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도 11의 (b)와 같이 제2 문자(M2)가 표시 개방부(11a')를 통해 노출된다. 반대로 도 10의 (a)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도 10의 (b)와 같이 표시 개방부(11a')를 통해 제1 문자(M1)가 노출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제5 실시예><Fifth Example>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 표시부재(30b')에는 인디케이터 영역(35s)이 제공되고, 본체 커버(10)의 전면에는 하나의 표시 개방부(13a)가 제공된다. 이때 인디케이터 영역(35s)은 제2 표시부재(30b')의 종단에서 일정면적으로 연장된 형태로 제공된다. 12 and 13, an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13의 (a)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서로 벌어진 상태에서는, 도 13의 (b)와 같이 표시 개방부(13a)를 통해 인디케이터 영역(35s)이 노출된다. 반대로 도 12의 (a)와 같이 제1 표시부재(30a')와 제2 표시부재(30b')가 서로 오므려진 상태에서는, 도 12의 (b)와 같이 표시 개방부(13a)를 통해 표시판(60')의 일부가 노출된다.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실내에서 도어락이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었는지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heck whether the door lock is locked or unlocked indoors with the naked ey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디케이터형 도어락은 도어락 본체(20)와 본체 커버(10)의 사이에 평판 형상의 인디케이터 부재(30)를 설치한 구조이다. 이 구조를 통해 도어락의 잠금상태 및 잠금해제상태를 외부로 쉽게 표시할 수 있고, 도어락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indicator-type door 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flat-shaped
<제6 실시예><Sixth Example>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 부재로서 단일 표시부재(30c)가 제공된다. Referring to FIG. 14, in this embodiment, a
구체적으로 도어락 본체(20)의 전방에 표시판(60)이 장착되고, 표시판(60)의 전방에 단일 표시부재(30c)가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본체 커버(10)에는 하나의 표시 개방부(13a)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the
여기서 도어락 본체(20)에는 제1 장착공(21)과 제2 장착공(22)이 형성된다. 또한 표시판(60)에는 제1 장착공(21)과 제2 장착공(22)에 대응하도록 제1 관통구(61)와 제2 관통구(62)가 형성된다. 또한 단일 표시부재(30c)의 선단에는 인디케이터 영역(35s)이 형성되고, 단일 표시부재(30c)의 말단에는 단일 연결공(33a)이 형성된다. Here, a first mounting
한편 핀 스프링(70)은 복수의 볼트(B1)를 통해 도어락 본체(20)에 고정된다. 즉 핀 스프링(70)의 제1 연결영역(71)과 제2 연결영역(72)에 각각 볼트(B1)가 삽입되는데, 이때 하나의 볼트는 표시판(60)의 제1 관통구(61)를 통과하고, 또 하나의 볼트는 단일 표시부재(30c)의 단일 연결공(33a), 및 표시판(60)의 제2 관통구(6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도어락 본체(20)의 제1 장착공(21)과 제2 장착공(22)에 각각 체결된다. Meanwhile, the
이에 따라 단일 표시부재(30c)는 단일 연결공(33a)을 지점으로 일정각도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핀 스프링(70)은 지지단(73)이 단일 표시부재(30c)의 연결단(31)을 탄성지지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단일 표시부재(30c)가 도 16과 같이 일측방향으로 선회된 상태에서도 핀 스프링(70)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15를 참조하면 단일 표시부재(30c)가 선회되지 않는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본체 커버(10)의 표시 개방부(13a)를 통해 표시판(60)의 전면의 일부가 노출된다(도 15의 (b) 참조).Referring to FIG. 15, in a general state in which the
도 16을 참조하면 도 15의 상태에서 단일 표시부재(30c)가 시계방향으로 선회되면 본체 커버(10)의 표시 개방부(13a)를 통해 단일 표시부재(30c)의 인디케이터 영역(35s)이 노출된다(도 16의 (b) 참조). Referring to FIG. 16, when th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인디케이터 부재로서 단일의 표시부재(30c)를 적용함으로써 구조를 보다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can be further simplified by applying a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will be possible to implement it with any number of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invention.
10: 본체 커버
20: 도어락 본체
30: 인디케이터 부재
30a: 제1 표시부재
30b: 제2 표시부재
30c: 단일 표시부재
31: 연결단
50: 구동 본체
91: 캠부
92: 핀 회전부10: body cover
20: door lock body
30: absence of indicator
30a: first display member
30b: second display member
30c: single display member
31: connection end
50: drive body
91: cam part
92: pin rotator
Claims (3)
상기 핸들축이 장착된 구동체;
전면에 도어락의 잠금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부가 형성된 본체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의 전방에 설치된 도어락 본체;
상기 도어락 본체의 내부에 일정반경으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표시부를 통해 노출된 상태를 이루는 인디케이터 부재; 및
상기 핸들축 내에 위치되고 상기 누름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핸들축의 내부에서 회전되어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를 선회시키는 선회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는, 상기 도어락 본체에 일단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단일 표시부재, 및 상기 도어락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단일 표시부재를 탄성지지하는 핀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선회 구동부재는, 상기 누름버튼에 의해 상기 핸들축 내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며 전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캠 포스트가 형성된 캠부, 및 상기 캠부의 상기 캠 포스트를 따라 안내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리브가 내주면에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를 일측으로 선회시키는 구동핀이 장착된 핀 회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형 도어락.A handle shaft having a handle portion for unlocking and a push button for locking;
A driving body on which the handle shaft is mounted;
A door lock body provided in front of the driving body, comprising a main body cover provided with at least one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locked state of the door lock to the outside;
An indicator member installed to be pivotable in a predetermined radius inside the door lock body and exposed through the display portion; And
It is located in the handle shaft and includes a turning drive member that rotates inside the handle shaft when the push button is pressed to pivot the indicator member,
The indicator member includes a single display member having one end pivotally mounted on the door lock body, and a pin spring fixed to the door lock body to elastically support the single display member,
The pivoting driving member includes a cam portion that moves in a linear direction within the handle shaft by the push button and has at least one cam post formed on its front surface, and at least one guide rib guided along the cam post of the cam portion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An indicator-type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comprises a pin rotation unit equipped with a driving pin for turning the indicator member to one side.
상기 표시부는 상기 본체 커버의 일부 영역이 관통된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표시부의 관통영역으로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가 노출되어 표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형 도어락.The method of claim 1,
The display portion is provided in a shape through which a partial area of the main body cover is penetrated,
The indicator type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member is exposed to the penetrating area of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display.
상기 도어락 본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표시문자가 마련된 표시판이 장착되고,
상기 표시판의 전방에 상기 인디케이터 부재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디케이터형 도어락.The method of claim 2,
In the door lock body,
A display plate with at least one indicator is mounted,
The indicator type door lo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icator member is pivotably mount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7869 | 2019-11-18 | ||
KR20190147869 | 2019-11-18 | ||
KR1020200055386A KR102291961B1 (en) | 2019-11-18 | 2020-05-08 | Indicator-type door lock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55386A Division KR102291961B1 (en) | 2019-11-18 | 2020-05-08 | Indicator-type door lock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60377A true KR20210060377A (en) | 2021-05-26 |
KR102291966B1 KR102291966B1 (en) | 2021-08-23 |
Family
ID=76137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57874A KR102291966B1 (en) | 2019-11-18 | 2021-05-04 | Indicator-type door loc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1966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9482A (en) * | 1992-10-16 | 1994-05-20 | 제이. 브루스 후프네글 | Cylindrical lock set |
KR101458754B1 (en) * | 2012-09-13 | 2014-11-05 | 박덕훈 | Door lock with opening protection when using Room and use Notification |
-
2021
- 2021-05-04 KR KR1020210057874A patent/KR102291966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9482A (en) * | 1992-10-16 | 1994-05-20 | 제이. 브루스 후프네글 | Cylindrical lock set |
KR101458754B1 (en) * | 2012-09-13 | 2014-11-05 | 박덕훈 | Door lock with opening protection when using Room and use Notifica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1966B1 (en) | 2021-08-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4502810B (en) | Indicator type door lock | |
JP5425198B2 (en) | Window locking device | |
US20110289987A1 (en) | Door lock assembly having push/pull handles | |
US6535380B1 (en) | Portable computer with an unlatching member movable in either of two opposite directions to permit opening of a computer lid | |
US8266934B2 (en) | Keyed cylinder assembly for door lock | |
US5819562A (en) | Door lock having multiple locking bolts | |
KR20200123755A (en) | Locking device having Push-Pull Door Lock | |
US20240076903A1 (en) | Door lock with indicator | |
KR102452891B1 (en) | locking device for window | |
KR101771196B1 (en) | Handle shaft for mortise | |
KR20210060377A (en) | Indicator-type door lock | |
KR20210060294A (en) | Indicator-type door lock | |
KR100516150B1 (en) | Door lock device lever assembly | |
KR102136225B1 (en) | Indicator type door lock | |
KR100293030B1 (en) | Handle for Panel Board | |
AU663140B2 (en) | Window-lock and lever-type lock | |
KR100734032B1 (en) | Automatic un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type door-lock | |
KR20110008451U (en) | Door Lock Device Having Clutch Structure | |
KR200407877Y1 (en) | Automatic unlocking device for an electric type door-lock | |
JP3710883B2 (en) | Door handle device | |
KR100514116B1 (en) | Locking device for electric type door-lock | |
JP3621923B2 (en) | Lock structure | |
KR200226727Y1 (en) | Handle for Panel Board | |
KR20180092373A (en) | Push-pull door lock device | |
JP4750387B2 (en) | Lock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