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9902A -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 Google Patents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9902A
KR20210059902A KR1020190147291A KR20190147291A KR20210059902A KR 20210059902 A KR20210059902 A KR 20210059902A KR 1020190147291 A KR1020190147291 A KR 1020190147291A KR 20190147291 A KR20190147291 A KR 20190147291A KR 20210059902 A KR20210059902 A KR 20210059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irritation
extract
sprout
sprout barley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4148B1 (ko
Inventor
이호
김철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이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 filed Critical 이호
Priority to KR1020190147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1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59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9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의하여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추출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성분의 추출 방법은 새싹보리 건조 분말로부터 폴리알코올계 용매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A Method for Extracting an Effective Component from a Barley Sprout and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a Skin Irritation}
본 발명은 폴리 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의하여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추출된 기능성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가장 바깥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표피, 표피 아래의 결합조직인 진피 및 피하조직의 3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체의 표면을 구성하고 몸을 보호하며 촉각과 몸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피부는 외부로부터 해로운 세균 또는 박테리아가 몸속으로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어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가진 피부가 내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자극을 받아 방어기능이 약화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피부가 손상되어 건조해지거나 염증반응을 일으켜 이상 현상이 나타낼 수 있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이상 현상이 미리 방지될 필요가 있다. 피부는 수많은 화학적, 물리적 환경에 노출되어 있고, 예를 들어 세제, 화학제품, 황사, 미세먼지 또는 자외선과 같은 자극에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극에 의하여 가려움(itching), 따가움(stinging), 화끈거림(burning), 홍반(erythema),부종(edema) 또는 이와 유사한 피부 부작용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 자극의 완화를 위한 조성물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특허공개번호 10-2014-0071738는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화장물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등록번호 10-2018-0003664는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용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한다. 피부의 염증반응은 물리적 자극이나 화학물질, 세균 등과 같은 요인에 의해 피부가 손상될 때 이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면역세포와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이 관여한다. 대표적인 염증 유도 사이토카인으로는 IL-6(Interleukin-6), IL-8(Interleukin-8) 또는 IL-1β(Interleukin-β)과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호흡을 통하여 몸으로 유입되는 산소가 산화과정을 거치면서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활성 산소는 생체조직을 공격하고 세포를 손상시키는 독성을 유발하여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을 제공한다. 암, 동맥경화, 당뇨병, 간염, 아토피, 뇌졸중, 신장염 등과 같이 우리 몸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대부분은 활성산소와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성산소는 항산화제에 의하여 제거될 수 있고, 항산화제로 비타민 C, 비타민 E, 라이코펜,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또는 플라보노이드와 같은 것이 공지되어 있다. 보리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서 용도로는 식량, 사료 또는 공업원료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리 잎은 특히 면역기능, 피부 미백, 동맥경화, 당뇨, 항산화, 항염증, 간장보호, 고혈압, 비만 또는 혈당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새싹보리는 항산화 능력이 우수한 사포나린, 루토나린 또는 이소비텍신과 같은 다양한 폴리페놀 화합물과 면역기능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는 다당류를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새싹보리와 관련하여 피부미백 및 피부노화, 주름개선에 대한 효능에 대해서는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지만 피부자극 완화에 관한 기능성은 아직 보고된 바 없다. 그러나 발명자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새싹보리는 추출 방법에 따라 피부자극완화에 유용한 성분이 추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추출된 유효 성분은 화장료 소재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에서 개시되지 않은 새로운 피부자극완화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선행기술 1: 특허공개번호 10-2014-0071738(코스맥스 주식회사, 2014.06.12. 공개)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선행기술 2: 특허공개번호 10-2018-0003664(코스맥스 주식회사, 2018.01.10. 공개)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새싹보리로부터 피부자극완화에 유효한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 및 그에 의하여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자극완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성분의 추출 방법은 새싹보리 건조 분말로부터 폴리알코올계 용매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은 새싹보리 건조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건조 분말을 폴리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키는 단계; 교반이 된 혼합물을 압착하는 단계; 및 압착에 의하여 획득된 용액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폴리알코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은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은 새싹보리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자목련싹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은 폴리알코올계 용매에 의하여 새싹 보리로부터 피부 자극 완화에 유효한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다양한 형상의 화장료의 소재로 적용되어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성분의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염증 관련인자인 IL-6의 생성량 감소 효과에 대한 시험 결과를 도시한 것이고, 도 2에서 LPS : Lipopolysaccharide, LPS-0.5 : Lipopolysaccharide+0.5% 1,3-BG Ext., LPS-1 : Lipopolysaccharide + 1% 1,3-BG Ext., LPS-1.5 : Lipopolysaccharide + 1.5% 1,3-BG Ext., LPS-1.5 : Lipopolysaccharide + 2% 1,3-BG Ext.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의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한 NO 생성 감소 효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2에서 LPS : Lipopolysaccharide, LPS-0.5 : Lipopolysaccharide+0.5% 1,3-BG Ext., LPS-1 : Lipopolysaccharide + 1% 1,3-BG Ext., LPS-1.5 : Lipopolysaccharide + 1.5% 1,3-BG Ext., LPS-1.5 : Lipopolysaccharide + 2% 1,3-BG Ext.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성분의 항 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이 추출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은 새싹보리 건조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P11); 건조 분말을 폴리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키는 단계(P12); 교반이 된 혼합물을 압착하는 단계(P13); 및 압착에 의하여 획득된 용액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P14)를 포함한다.
새싹보리는 보리에서 싹을 틔운 후 5 내지 20 ㎝가 되도록 자란 어린잎이 될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새싹보리가 준비될 수 있다. 수확된 새싹보리는 세척이 될 수 있고, 자연 건조 또는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온풍 건조가 될 수 있다. 건조가 된 새싹보리의 수분 함량은 1 내지 15 wt%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8 내지 12 wt%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건조가 된 새싹보리는 분쇄기에서 분쇄가 되어 분말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P11). 새싹보리가 분말 형태로 만들어지면(P11), 폴리알코올계 용매가 준비될 수 있다. 폴리알코올계 용매는 예를 들어 1,3-부틸렌글라이콜, 헥실렌글라이콜, 에톡시다이클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또는 알킬디올계 용매가 될 수 있다. 용매는 폴리알코올계로 형성되거나, 물과 폴리알코올계 용매가 혼합된 형태 또는 물, 알코올 및 폴리알코올계 용매가 혼합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는 탄소수가 1 내지 7이 되는 폴리알코올 용매가 되거나, 탄소 수가 1 내지 7이 되는 폴리알코올과 물이 혼합된 용매가 될 수 있다. 혼합 용매의 경우 중량비로 폴리알코올에 대한 물의 비율이 10 내지 90 wt%, 바람직하게 20 내지 40 wt%, 가장 바람직하게 25 내지 35 wt%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혼합 용매는 물, 알코올 및 폴리알코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물에 대한 알코올의 비율은 10 내지 90 wt%가 되면서 폴리알코올에 대한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의 양은 위에서 제시된 양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추출 용매가 준비되면, 새싹보리 분말이 용매에 투입되어 유효 성분이 추출될 수 있다(P12). 추출 용매의 양은 건조 분말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w/w)가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8 내지 12(w/w)가 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건조 분말이 추출 용매에 투입되면서 교반이 될 수 있고, 혼합 용액의 온도가 60 내지 100 ℃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제시된 온도에서 추출은 12 내지 72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 24 내지 36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추출 과정에서 추출 용매는 100 ℃에 비하여 낮은 온도로 유지될 필요가 있고, 만약 100℃ 이상이 되면 갈색화 반응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추출 용매의 온도는 90 ℃ 이하로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다만 물과 혼합된 경우 온도에 관계없이 이와 같은 갈색화 반응이 억제될 수 있다. 혼합 용매에서 새싹보리의 유효 성분이 추출되면(P12), 추출된 유효 성분이 분리될 수 있다(P13). 분리는 압착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부직포로 이루어진 분리 백에 혼합 용액이 수용될 수 있고, 분리 백에 2 내지 100 bar의 압력이 가해져 유효 성분이 액체와 함께 분리될 수 있다(P13).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효 성분이 분리가 되면 여과 또는 원심 분리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유효 성분이 획득될 수 있다(P14). 이와 같이 유효 성분이 여과 또는 원심 분리에 의하여 획득되면, 감압 농축에 의하여 물이 증발될 수 있다. 여과는 적어도 1회가 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2회 또는 4회에 걸쳐 서로 다른 투과 특성을 가지는 여과지에 의하여 여과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유효 성분이 획득되면(P14), 획득된 유효 성분은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다양한 화장료의 소재로 사용될 수 있다(P15).
아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방법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된다.
실시 예 1: 새싹보리로부터 추출물의 제조
건조 가공된 새싹보리 분말이 준비되었고, 추출을 위하여 새싹보리 건조물 10g에 1,3-부틸렌글라이콜 100g을 첨가한 후 8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혼합 용액을 부직포를 사용하여 압착을 하고 1차 여과한 후 여과지로 2차 여과하여 투명한 갈색 액체 84.6g을 얻었다.
실시 예 2: 새싹보리로부터 1,3-부틸렌글라이콜 30% 수용액 추출물 제조
실시 예 1과 동일한 새싹보리 건조물 10g에 1,3-부틸렌글라이콜 30 wt% 수용액 100g을 첨가한 후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부직포를 사용하여 압착을 하고 1차 여과하였다. 그 후 여과지로 2차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면서 물을 증발시켜 투명한 갈색 액체 67.2g을 얻었다.
안정성 시험 1
추출 성분에 대한 안정성 시험이 이루어졌고, 이를 위하여 새싹보리의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45℃에서 12주 동안 보관하고 외관, 색상 및 pH의 변화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육안 및 pH meter로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약 2개월의 기간이 지나도 외관 및 pH에 변화를 보이지 않아 안정하다는 것을 나타냈었고 결과는 아래와 같다.
저장기간(주) 외관 색상 pH
1 액상 갈색 6.4
2 액상 갈색 6.4
3 액상 갈색 6.3
4 액상 갈색 6.4
6 액상 갈색 6.2
8 액상 갈색 6.3
10 액상 갈색 6.4
12 액상 갈색 6.4
<새싹보리 추출물의 45℃에서 저장 기간별 외관, 색상 및 pH 변화>
* 45℃에서 저장
* pH는 5% 수용액에서 측정
안정성 시험 2
새싹보리의 1,3-부틸렌글라이콜 30% 수용액 추출물이 45℃에서 12주 동안 보관되었고, 외관, 색상 및 pH의 변화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육안 및 pH meter로 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약 2개월의 기간이 지나도 외관 및 pH에 변화를 보이지 않아 안정함을 알 수 있었고 결과가 표 2로 제시되었다.
저장기간(주) 외관 색상 pH
1 액상 갈색 5.8
2 액상 갈색 5.8
3 액상 갈색 5.7
4 액상 갈색 5.8
6 액상 갈색 5.6
8 액상 갈색 5.7
10 액상 갈색 5.8
12 액상 갈색 5.8
<새싹보리 추출물의 45℃에서 저장 기간별 외관, 색상 및 pH 변화>
* 45℃에서 저장
* pH는 5% 수용액에서 측정
효능 시험
효능 1: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한 염증 관련인자인 IL-6의 생성량 감소 효과
Human mast cell line(HMC-1)을 이용하여 염증 발생을 촉진하는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도하면서 새싹보리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염증관련 인자인 IL-6의 생성량을 시험하였고, 시험 결과가 도 2로 제시되었다. 1 wt%의 조성물을 첨가했을 때 IL-6의 생성량은 약 56% 정도가 감소되어 염증 발생을 크게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능 2: LPS(Lipopolysaccharide)에 의한 NO 생성 감소 효과
NO, HNO2, ONOO- 같은 활성 질소종(reactive nitrogen species, RNS)은 염증 반응 시 대식세포, 호중구 및 다른 면역세포들의 면역반응으로 다량 생성되고, 이와 함께 활성 산소종(reactive oxi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 염증 반응의 중요한 인자인 NO 생성 저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RAW 264.7 cell을 이용하여 LPS(Lipopolysaccharide)로 NO 생성을 유도한 뒤 본 새싹보리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가 시험되었고, 도 3으로 제시되었다. 조성물 0.5 wt%를 첨가했을 때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1.5% 첨가했을 때에는 약 73% 정도가 감소되었다.
효능 3: 항 알레르기 효과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p-Phenylenediamine(PPDA)을 allergen으로 사용하여 β-hexosaminidase 방출 저해에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시험하였고, 결과가 도 4로 제시되었다. 새싹보리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의 처리 농도가 증가할수록 β-hexosaminidase 생성이 낮아져 1 wt% 첨가하는 경우 57 %의 생성 저해율을 나타내었고, 2 wt% 첨가하는 경우 32.1%의 생성 비율을 나타내어 항 알레르기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효능 4: 피부자극 완화효과의 평가
피부자극 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피시험자 10명을 대상으로 상박에 도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피부자극을 유도하기 위하여 2 wt% SLS(Sodium LaurylSulfate)를 사용하여 피부자극을 유도한 후 새싹보리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을 동량의 SLS와 함께 5 wt%로 피부에 도포하고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 추출물 모두에서 SLS에 의한 피부자극을 매우 크게 완화시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구 분 적 요
피험자 10명 (27~45세) 남성 4명 여성 6명
시험량 0.04mL
시험방법 피험자의 상박에 Finn-chamber를 이용하여 2% SLS로 자극을 유도한 후 5% 정제수와 각각의 새싹보리 추출물을 도포하여 자극완화 정도를 확인
< 인체 Patch test와 관련된 피험자의 성별 및 시험방법>
구분
피험자
피부 자극에 대한 완화 정도
시료 1 (SLS 2% + DW 5%) 시료 2(SLS 2% + 추출물 5%)
++ + ± - ++ + ± -
1
2
3
4
5
6
7
8
9
10
<피험자의 상박에 나타난 피부 자극에 대한 완화 정도>
- : 피부자극 음성, ± : 의심스러운 피부자극, + : 피부자극 약함, ++ : 피부자극 강함
효능 5: 젖산에 의한 피부자극에 대하여 1,3-부틸렌글라이콜 추출물의 자극완화
부직포(2cm x 2cm)에 피부 자극원으로서 20 wt% 젖산 0.5g을 흡수시켜 눈 밑(Y존) 양쪽 옆에 부착한 뒤 2분 후 제거하고 추출물 3 wt% 및 B회사 제품 0.5g을 흡수시켜 젖산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추출물은 피부 자극을 거의 대부분 완화를 시켰으나 대조구는 100%, A회사 제품은 약 30% 정도가 피부 자극을 그대로 나타내었다.
구분 자극 정도
- ± + ++ +++
추출물 7 3
A회사 제품 4 3 2 1
대조구 5 5
<젖산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 시험>
- : 피부자극 음성, ± : 의심스러운 피부자극, + : 피부자극 약함, ++ : 피부자극 강함, +++ : 피부자극 아주 강함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된 새싹보리 추출물이 피부자극 완화를 위한 화장료의 소재로 사용되었고,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화장료가 제조될 수 있다.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새싹보리 추출물은 0.3 내지 3.0 wt%가 첨가되었다.
화장료 1: 가용성 화장료
성분 A: 정제수, EDTA-2Na, Allantoin, Glycerin,β-Glucan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성분 B: Sodium Hyaluronic acid, 황금뿌리 추출물, 쌀 추출물, 병풀 추출물, 쇠비름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성분 C: MSE-G, HCO-60, 향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및, 새싹보리 추출물
화장료 2: 로션과 같은 유화 화장료
성분 A: 정제수, EDTA-2Na, Allantoin, Butylene Glycol, Glycerin, β-Glucan, BST-physiological lipid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및 새싹보리 추출물
성분 B: OLIVEM1000, 아마인유, 달맞이꽃 오일, BT-O, 호호바오일, CEH, Lanette 16, Lanette 18, GMS 205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성분 C: 정제수 또는 Xanthan Gum
성분 D: 병풀 추출물 0.5 내지 2.0 wt%, Fish collagen, 자목련싹 추출물 0.5 내지 2.0 wt%, MSE-G, Vexxon-EGF, 흑미추출물, Hyaluronic acid, 향료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성분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위에서 시험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효과를 나타내었고, 특히 병풀 추출물 및 자목련싹 추출물이 추가되며 효과가 10 내지 50 %가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추출물은 다양한 종류의 화장료 소재로 사용될 수 있고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은 폴리알코올계 용매에 의하여 새싹 보리로부터 피부 자극 완화에 유효한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다양한 형상의 화장료의 소재로 적용되어 피부 자극 완화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도록 한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P11: 새싹 보리 건조 분말 준비 P12: 폴리알코올 첨가 및 교반
P13: 압착 및 유효성분 추출 P14: 여과 및 추출물 획득
P15: 화장료 제조

Claims (5)

  1. 피부 자극 완화를 위한 성분의 추출 방법에 있어서,
    새싹보리 건조 분말로부터 폴리알코올계 용매로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새싹보리 건조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건조 분말을 폴리알코올을 포함하는 용매에 투입하여 교반을 시키는 단계;
    교반이 된 혼합물을 압착하는 단계; 및
    압착에 의하여 획득된 용액으로부터 기능성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알코올은 1,3-부틸렌글라이콜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4. 청구항 1 내지 3 중 하나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5. 청구항 1 내지 3 중 하나로부터 추출된 성분, 병풀 추출물 및 자목련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KR1020190147291A 2019-11-18 2019-11-18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KR102354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91A KR102354148B1 (ko) 2019-11-18 2019-11-18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291A KR102354148B1 (ko) 2019-11-18 2019-11-18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9902A true KR20210059902A (ko) 2021-05-26
KR102354148B1 KR102354148B1 (ko) 2022-01-20

Family

ID=76137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291A KR102354148B1 (ko) 2019-11-18 2019-11-18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14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738A (ko) 2012-12-04 2014-06-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664A (ko) 2016-06-30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4A (ko) * 2017-03-02 2018-09-12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1738A (ko) 2012-12-04 2014-06-12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03664A (ko) 2016-06-30 2018-01-10 코스맥스 주식회사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01124A (ko) * 2017-03-02 2018-09-12 (주)유앤아이제주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148B1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1046B1 (ko) 천연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0502B1 (ko) 로즈마리, 감국, 목련꽃,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산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2007004771A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 available ingredient the extracts of equisetum arvense l.
CN110420143A (zh) 一种含有九品香水莲花提取物的凝露及其制备方法
CN111568833A (zh) 一种舒缓敏感肌肤的组合物、多效补水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184427B1 (ko) 곰보배추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16489B1 (ko) 상동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4432225A (zh) 一种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1676292B1 (ko) 다시마, 오크라 및 참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354148B1 (ko) 새싹보리 유래 기능성 성분의 추출 방법 및 이에 의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 조성물
CN109010572A (zh) 一种具有防晒增效及抗衰老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20093251A (ko) 십장생(十長生) 관련 천연물(솔싹, 영지버섯, 알부틴,녹용, 자라, 게르마늄, 로얄제리, 홍삼, 연어알 및레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CN111481487B (zh) 一种含石豆兰提取物的美白护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2007314462A (ja) 外用剤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158950B (zh) 一种天然植物保湿面膜原液及其制备方法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8114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상태 개선 및 모발 볼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0696B1 (ko) 천연물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미용 조성물
KR100444196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약용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화장료 조성물
CN104173271A (zh) 一种普通念珠藻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