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774A -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 Google Patents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774A
KR20210058774A KR1020210059263A KR20210059263A KR20210058774A KR 20210058774 A KR20210058774 A KR 20210058774A KR 1020210059263 A KR1020210059263 A KR 1020210059263A KR 20210059263 A KR20210059263 A KR 20210059263A KR 20210058774 A KR20210058774 A KR 20210058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wormwood
sanitary napkin
artemisia annu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9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신
박대진
Original Assignee
정무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무신 filed Critical 정무신
Priority to KR1020210059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8774A/ko
Publication of KR2021005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14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anti-microb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84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bsorbent pads
    • A61F13/840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 A61F2013/8408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 A61F2013/8435Additives, e.g. for odour, disinfectant or pH control with odour control with plant deri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은 개똥쑥(Artemisia annua) 100 중량부를 용매 30~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MANUFACTURING METHOD FOR ARTEMISIA ANNUA EXTRACT AND ARTEMISIA ANNUA EXTRACT MANUFACTURE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향이 우수하고, 항균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리대라 함은 월경혈이나 냉대하와 같은 여성의 분비물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생리대는 질내에 삽입하는 체내형과 질외부에 밀착되는 체외형이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생리대는 내의의 내면에 접착되어 질외부에 밀착되는 체외형에 관한 것이다.
한편, 여성의 월경시에 분비되는 월경혈은 생리혈과 셀룰로오스성 물질 및 점액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월경혈은 생리대의 생리혈 흡수패드에 의하여 흡수되지만 흡수된 상태로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각 종의 세균이 번식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되어 위생적으로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생리대의 위생 상태는 대단히 중요한 것이며, 월경혈 및 분비물의 흡수와 함께 세균번식의 방지는 생리대의 필수사항이라 할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티슈에 사용되는 표백 성분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연구 결과가 알려짐에 따라, 방부제 및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포함하지 않는 생리대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개똥쑥(Artemisia annua)은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항암효과가 뛰어난 아르테미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외에 당뇨, 면역력 강화, 피로회복, 혈액순환, 간기능 개선, 피부질환 등에도 뛰어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편백(Chamaecyparis obtusa)은 구과목 측백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며, 일본이 원산지인 온난대 기후대 식물이다. 편백에는 천현 항균 물질로 알려진 피톤치드(phytoncide)의 발생량이 다른 식물에 비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련(Kobus magnolia)은 한국 및 일본 등에 분포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10m 정도의 높이로 자라며 수피는 회백색으로 매끄러운 편이고 껍질눈이 있으며, 구충 및 두통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대나무(Bambusoideae)는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벼과, Poaceae) 대나무아과(Bambusoideae)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의 총칭이다. 대나무는 화본과 식물로 세계적으로 약 280여종이 알려져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약 70종의 대나무 종류가 자생 또는 재배되고 있다. 대나무의 종류에는 솜대, 왕대(참죽), 맹종죽(죽순대), 오죽, 반죽, 섬대, 해장죽(신우대), 갓대, 조릿대, 산죽, 이대 등 11종의 대표적인 품종이 있다. 이러한 대나무에는 유기산, 식이섬유, 탄닌, 벤조후란 등이 함유되며, 항산화 작용, 혈전용해활성, 지질저하작용 등의 기작이 보고되어 있다.
다음은 일반적인 생리대의 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생리대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선 단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생리대(10)는 피부에 접촉되어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부시트(12), 내부시트(12)와 동일한 크기 및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부시트(12)와 융착 결합되는 불투과성의 외부시트(14), 내부시트(12)와 외부시트(14)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부시트(12)를 투과한 생리혈 등의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패드(16), 흡수패드(16)와 내부시트(12)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삽입 고정되어 흡수패드(16) 및 외부시트(14)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내의 내면과의 접착을 통해 생리대(10)를 고정시키는 접착부(18)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생리대(10)에서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패드(16)는 내부시트(12)와 외부시트(14) 사이의 적정한 위치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부시트(12)와 외부시트(14)의 가장자리 부분이 열융착에 의해 결합된다. 이처럼 구성된 생리대(10)는 내부시트(12)를 통해 투과된 분비물을 흡수패드(16)를 통해 흡수하게 된다. 한편, 생리대(10)에는 플랩(20)이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러한 플랩(20)은 사용시 내의의 가랑이 부분 외측에서 접히도록 구성되며, 의류에 접착될 수 있도록 플랩(20)의 하부면에 접착부(22)가 제공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생리대는 단순히 분비물을 흡수하는 흡수패드와 내외부시트로 이루어져 있어 세균의 번식으로 인하여 위생상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생리혈이 생리대의 흡수패드에 흡수되어 장시간 지속됨으로써 각 종의 세균이 번식하기에 유리한 환경이 되어 위생적으로나 냄새 등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존의 생리대(10)는 흡수층과 카바가 단순평면의 시트구조인 관계로, 카바가 둔부의 굴곡된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밀착되지 못하고 카바와 둔부사이에 틈새가 존재했다. 그래서, 생리혈이 많은 경우 또는 취침시에는 생리혈과 분비물을 카바에서 전부 흡수하지 못하고 틈새를 통해 생리대(10)의 밖으로 누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누워 있거나 활동이 많은 날에는 둔부의 굴곡을 따라 생리혈이 흐르기 때문에, 착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위생상 불결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리대가 들뜨지 않도록 흡수층 및 카바를 단순평면이 아닌 중앙부위를 굴곡형상으로 만들려는 많은 시도가 있었다. 그러나, 이렇게 생리대의 카바와 흡수층을 굴곡형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이 매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생리대는 하루에 5 ~ 7회 정도 패드를 갈아주어야 완전히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처럼 가격이 고가인 굴곡형상의 생리대는 기능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부족하여 널리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실용신안공보 제20-0282492호에서는 기존 생리대의 중앙 흡수부위에 보조흡수패드를 부착하여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생리혈과 분비물의 흡수효과를 향상시켜 생리혈이 많은 날 또는 취침시에도 편안하게 사용가능한 생리대를 제공하는 고안을 하였다.
즉, 도 3,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 고안의 보조흡수패드(20)는 원통형의 길쭉한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보조흡수패드(20)의 길이는 기존의 생리대(10)에 접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기존의 생리대(10)와 비슷한 길이를 가지며, 폭은 둔부의 굴곡에 삽입되어 밀착될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즉, 보조흡수패드(20)는 2cm 정도의 직경과 20~30cm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흡수패드(20)의 양끝단은 원통형상을 갖지 않고 압착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보조흡수패드(20)는 생리대 착용자의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직접 접촉하는 표면카바와, 이 표면카바의 내부에 내장되어 생리혈을 흡수하여 보관하는 보조흡수층으로 구성한다. 이때, 표면카바는 착용자의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직접 접촉하는 상면카바(21)와, 기존 생리대(10)의 카바(11)와 접하는 배면카바(23)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조흡수패드를 부착하더라도 부패방지를 위하여 방부제를 사용하여야 하였고, 이는 여성의 질에는 아주 좋지 않은 영향을 주게 되었던 것이다.
특히, 월경혈이나 냉대하의 발생시 여성들은 대부분 고통을 호소하게 되는 데, 특히 흡수된 분비물로 인하여 생리대에 세균의 번식이 발생하게 되면 이로 인하여 부인병은 물론, 고통이 더욱 크게 수반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인 생리대의 경우에는 분비물로 인하여 냄새가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줄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냄새로 인한 불쾌감은 물론, 이로 인하여 청결상에도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 보관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을 개선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은 개똥쑥(Artemisia annua) 100 중량부를 용매 30~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추출액은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물 30~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20분~50분 동안 2차 가열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는 향, 보관성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부직포를 구비한 생리대는 흡수패드가 착용자의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밀착하여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생리혈과 분비물을 신속히 흡수함으로 생리혈이 많은 날 또는 취침시에도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생리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인 종래 일반적인 생리대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보조흡수패드를 구비한 생리대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생리대를 선A-A를 따라 절취한 단면도
도 5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리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인 본 발명의 생리대의 A-A선의 단면도
도 7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추출은 개똥쑥의 꽃, 줄기,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용매 30~1000 중량부에 첨가하여 1~10일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거나, 8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개똥쑥은, 0.1~10mm 의 크기로 분쇄한 분쇄물의 형태로 용매에 투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물 30~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20분~50분 동안 2차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 추출하여 수득한 개똥쑥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100℃로 가열하여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투명성이 우수하여 생리대에 적용할 수 있다.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는 흡수패드; 및 내부시트, 외부시트, 상기 흡수패드에에 침지된 혼합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혼합 조성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추출물 0.1~3 중량%, 보존제 0.1~3 중량% 및 잔량의 정제수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정제수는 92~99.8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100)는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부시트(110), 내부시트(110)의 외부에 융착되는 불투과성의 외부시트(120) 및 내부시트(110)와 외부시트(12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부시트(110)를 투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생리혈 흡수패드(130)로 이루어지고, 그 상부에 액상의 개똥쑥 추출물을 증착시킨 부직포(140)를 부착시킨 구조이다.
개똥쑥 추출물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개똥쑥(Artemisia annua) 을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된다.
예를 들면 상기 용매 추출은 개똥쑥의 꽃, 줄기, 뿌리 및 종자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용매 30~1000 중량부에 첨가하여 1~10일 동안 상온에서 숙성하거나, 80~100℃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개똥쑥은, 0.1~10mm 의 크기로 분쇄한 분쇄물의 형태로 용매에 투입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는 물,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헥산 및 탄소수 1~10의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사용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에 사용되는 알코올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펜탄올, 헥사놀 등의 저급 1가 알코올, 1,2-펜탄디올, 1,5-펜탄디올, 헥산디올, 헵탄디올, 옥탄디올, 데칸디올 등의 중급 2가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 저급 3가 알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물 30~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20분~50분 동안 2차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용매 추출하여 수득한 개똥쑥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100℃로 가열하여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개똥쑥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투명성이 우수하여 생리대에 적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개똥쑥 추출물은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 포함된다. 상기 개똥쑥 추출물을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향과, 방부 및 항염 효과가 저하되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생리대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3~2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보존제
상기 보존제는 인체에 무해하면서,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안정 및 보습 역할을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헥실렌 글리콜(hexylene glycol)은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 및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laurylpyridinium chloride)는 상기 혼합 조성물의 점도 및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며 피부에 적용시 피부 보습효과를 부여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caprylhydroxamic acid)는 상기 혼합 조성물이 변질을 방지하면서,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은 항균효과를 가지며, 피부 보습 및 컨디셔닝 효과를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capryl glyceryl ether)는 본 발명의 항균성과 함께 제형안정성을 확보하는 목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C12-C14 alkyl diaminoethyl glycine hydrochloride)는 본 발명의 보존성 및 제형안정성 확보를 위해 포함된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는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3~3:0.5~5:2~4:1~5:0.5~3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로 포함시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피부에 적용시 자극을 주지않고, 피부 안정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는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0.1~3 중량% 포함된다. 상기 보존제를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며, 본 발명의 생리대를 피부에 적용시 피부 자극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1~1 중량%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보존제 및 개똥쑥 추출물은 1:2~1:8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제형안정성이 우수하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향이 우수하며, 피부 안정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3~1:6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혼합 조성물 전체중량에 대하여,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 0.1~3 중량%, 목련(Kobus magnolia) 추출물 0.1~3 중량% 및 대나무(Bambusoideae) 추출물 0.1~3 중량% 중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을 더 포함시,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생리대의 향이 우수하고, 피부 안정 및 보습화 효과가 우수하면서,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편백 추출물은 편백의 잎, 가지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목련 추출물은 목련의 꽃, 가지 및 줄기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대나무는 대나무의 잎, 줄기, 뿌리 및 죽봉령 중 하나 이상의 부위를 포함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편백 추추물, 목련 추출물 및 대나무 추출물은,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를 용매 추출하여 추출액을 각각 제조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득될 수 있다. 상기 용매 추출은, 전술한 개똥쑥 추출물을 이용한 추출액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조건에서, 상기 편백, 목련 및 대나무에 포함된 유용 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되며, 투명성이 우수하여 생리대에 적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예서 편백 추출물, 목련 추출물, 대나무 추출물 및 개똥쑥 추출물은 1:0.5~1:1~2:3~5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시 본 발명의 혼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인체에 무해하고,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상기 성분 사이에 상승효과가 우수하여 향이 우수하고, 피부 안정 및 보습화 효과가 우수하면서, 항염 및 항균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는 향 및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여 보관성이 우수하고, 항균, 항염 및 살균 효과가 우수하며, 방부제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피부 자극이 없고, 인체에 무해하며, 친환경성이 우수하고, 생산성 및 경제성이 우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개똥쑥 추출물 제조: 개똥쑥(Artemisia annua)의 줄기 및 잎을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30분 동안 2차 가열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개똥쑥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2) 편백 추출물 제조: 편백(Chamaecyparis obtusa)의 잎, 줄기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백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편백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편백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편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3) 목련 추출물 제조: 목련(Kobus magnolia)의 꽃잎, 줄기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련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목련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목련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목련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4) 대나무 추출물 제조: 대나무(Bambusoideae)의 잎, 줄기 및 뿌리를 건조한 다음, 분쇄하여 5mm 크기의 분쇄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나무 분쇄물 100 중량부를 물 500 중량부 및 에탄올 500 중량부를 혼합한 용매에 침지하고, 80℃에서 30분 동안 가열 후 여과하여 대나무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대나무 추출액을 증류기에 투입하고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여 투명한 대나무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5) 보존제: 헥실렌 글리콜, 라우릴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카프릴 하이드록사믹 애씨드, 카프릴릴 글리콜, 카프릴 글리세릴 에테르 및 C12-C14 알킬 디아미노에틸 글리신 하이드로 클로라이드를 1:0.5:1:2:2:1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실시예 1
상기 개똥쑥 추출물 1 중량%, 보존제 0.2 중량% 및 정제수 98.8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 다음에, 티슈 원단(폴리에스테르 및 레이온을 포함하는 혼방 섬유)을 상기 혼합 조성물에 침지하여,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편백 추출물 0.5 중량%, 목련 추출물 1 중량%, 개똥쑥 추출물 1 중량%, 보존제 0.2 중량% 및 정제수 97.3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편백 추출물 0.5 중량%, 목련 추출물 1 중량%, 대나무 추출물 0.5 중량%, 개똥쑥 추출물 1.5 중량%, 보존제 0.3 중량% 및 정제수 96.2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험결과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3의 경우 개똥쑥 추출물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보다는 투명성과, 향, 보습성 및 기호도가 우수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상기 개똥쑥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기스는 물 100% 중 2~2.5% 정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 가장 좋은 상태로 나타났고, 이의 혼합비율은 진한 향을 원하거나 냄새 제거를 신속히 하기를 원하는 제품과, 옅은 향을 원하거나 냄세가 그다지 나지 않는 사람의 종류를 구분하여 상, 중, 하 3가지 종류로 나눌 경우에는 상기 비율에서 0.5% 정도의 차이를 두면 적절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은 본 발명의 구조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5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리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는 도 5인 본 발명의 생리대의 A-A선의 단면도이며, 도 7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100)는 액상의 개똥쑥 추출물을 증착시킨 부직포(140)를 생리혈 흡수패드(130)에 부착시킨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100)는 분비물을 투과시키는 투과성의 내부시트(110), 내부시트(110)의 외부에 융착되는 불투과성의 외부시트(120) 및 내부시트(110)와 외부시트(120) 사이에 삽입 고정되어 내부시트(110)를 투과한 분비물을 흡수하는 생리혈 흡수패드(130)로 이루어지는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흡수패드(130)의 상부에 액상의 개똥쑥 추출물을 증착시킨 부직포(140)를 부착시켜 생리대 착용자의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내부시트(110)는 피부촉감이 좋은 천연재질을 사용하는데, 생리혈의 흡수혈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한번 흡수된 생리혈은 밖으로 다시 베어나오지 않는 것이 어야 한다. 그러므로, 내부시트(110)의 표면을 계면활성제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외부시트(120)는 흡수패드(130)에서 수용하고 있는 생리혈이 새어 나오지 못하도록 불투과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부시트(120)은 인체에 무해한 특수재질의 폴리에틸렌계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흡수패드(130)는 내부시트(110)와 외부시트(120) 내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인체의 질구로부터 배출된 생리혈을 다량 흡수하여 보관하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강한 흡수력과 가벼운 소재가 사용되는데, 일예로서 신소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상의 개똥쑥 추출물을 증착시킨 부직포(140)는 생리대 착용자의 회음부와 항문 주위에 직접 접촉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흡수패드와 동일하게 신소재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생리대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블록도에 ㄷo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개똥쑥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액기스를 추출하게 된다(S100).
그리고, 추출과정에서 혼합될 수 있는 찌꺼기를 정제한다(S200).
그리고, 상기 개똥쑥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기스에 물을 0.5~1% 정도 혼합한다(S300).
또한, 상기 개똥쑥 등의 소재를 이용한 물을 혼합한 혼합물을 잘 섞이도록 가열하여 중탕한다(S400).
그리고, 상기 개똥쑥 등의 소재를 이용한 액기스를 부직포(필요시 흡수패드)에 합침하거나 도포한다(S500).
상기 부직포를 흡수패드에 올려 놓고 내부시트와 외부시트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한다(S600).
상기와 같이 부직포를 별도의 공정으로 하여 제조하여 간편한 공정으로 개선할 수도 있고, 흡수패드 자체에 액상의 개똥쑥 액기스를 도포하여 생리대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 : 보조흡수패드
21 : 상면카바
22 : 보조흡수층
23 : 배면카바
100 : 생리대
110 : 내부시트
120 : 외부시트
130 : 흡수패드
140 : 부직포

Claims (3)

  1. 개똥쑥(Artemisia annua) 100 중량부를 용매 30~1000 중량부에 투입하고 가열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증류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냉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은 상기 개똥쑥 100 중량부를 물 30~500 중량부에 투입하고 100℃에서 30분~1시간 동안 1차 가열한 다음, 70~80℃에서 20분~50분 동안 2차 가열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3. 제1항 및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KR1020210059263A 2017-09-26 2021-05-07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KR20210058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9263A KR20210058774A (ko) 2017-09-26 2021-05-07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3820A KR102253630B1 (ko) 2017-09-26 2017-09-26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KR1020210059263A KR20210058774A (ko) 2017-09-26 2021-05-07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20A Division KR102253630B1 (ko) 2017-09-26 2017-09-26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774A true KR20210058774A (ko) 2021-05-24

Family

ID=6616515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20A KR102253630B1 (ko) 2017-09-26 2017-09-26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KR1020210059263A KR20210058774A (ko) 2017-09-26 2021-05-07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820A KR102253630B1 (ko) 2017-09-26 2017-09-26 개똥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36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3925A1 (de) 2021-05-06 2022-11-10 SK Hynix Inc.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0381A (ko) 2019-08-14 2021-02-24 김영창 보리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생리대 제조방법
WO2022092453A1 (ko) 2020-10-30 2022-05-05 주식회사 엑티브온 폴리라이신 및 카프릴릴글리세릴에터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용 보존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5651Y1 (ko) * 2005-10-10 2006-01-11 주식회사 퓨어린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101399667B1 (ko) * 2012-02-17 2014-05-30 재단법인 산청한방약초연구소 천연 항포진 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79990B1 (ko) * 2012-12-27 2020-05-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수용성 정유 및 그 용도
KR101283050B1 (ko) * 2013-03-04 2013-07-05 신일수 위생 용품의 제조방법
KR101626575B1 (ko) * 2015-10-12 2016-06-01 김미순 친환경 항균제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용 항균 물티슈
KR101742280B1 (ko) * 2016-06-08 2017-05-31 (주) 신우피앤씨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펄프 위생흡수용품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3925A1 (de) 2021-05-06 2022-11-10 SK Hynix Inc.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 halbleiterspeicher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630B1 (ko) 2021-05-21
KR20190035047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58774A (ko) 개똥쑥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개똥쑥 추출물
KR100606452B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CN205286721U (zh) 一种预防保健型纸尿裤
CN101427988B (zh) 含金缕梅科植物提取液脂质体湿巾
KR101848601B1 (ko) 일회용 위생 티슈
KR102366247B1 (ko)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KR101337816B1 (ko) 여성용 일회용 흡수용품
CN113616844B (zh) 一种可降低异味的卫生巾及其生产工艺
KR200405651Y1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KR101402682B1 (ko) 티트리 및 명반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085567B1 (ko) 수분해성 친환경 생리대
CN111991146A (zh) 一种具有中药材的抗菌肽卫生巾制造方法
KR100387420B1 (ko)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100930135B1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2160854B1 (ko) 생체적합성 흡수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생리대
CN206809394U (zh) 一种护翼型抑菌净味卫生护垫
EP0376761B1 (fr) Article d'hygiène féminine à usage externe et son procédé de fabrication
KR20170142270A (ko) 부인병 예방과 항균 기능이 탁월한 황칠나무 추출액 패치가 구비된 생리대
KR20120096701A (ko) 한방 생리대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210152217A (ko) 항아토피성을 구현하는 속옷
KR20170017184A (ko) 한방조성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흡수제품
CN104511046A (zh) 睡莲提取物制备妇女经期抗菌护理垫
TWM357964U (en) Absorbing article added with natural anti-bacterial pow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