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369A - 이유식 용기 - Google Patents
이유식 용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58369A KR20210058369A KR1020190145716A KR20190145716A KR20210058369A KR 20210058369 A KR20210058369 A KR 20210058369A KR 1020190145716 A KR1020190145716 A KR 1020190145716A KR 20190145716 A KR20190145716 A KR 20190145716A KR 20210058369 A KR20210058369 A KR 202100583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baby food
- lid
- storage space
- inner contain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00—Details of bottles or ja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 B65D77/0493—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and retained at a distance of the inner side-wall of the outer container, e.g. within a bottle neck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유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이유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되는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를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뚜껑들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이유식을 일정시간 동안 보냉 또는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유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유식을 수용할 수 있고 이유식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일 때 데울 수 있는 이중 구조로 된 이유식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아나 유아들이 초기에는 모유나 분유만으로 필요한 영양을 얻을 수 있으나 생후 6개월 정도가 되면 모유나 분유만으로는 충분한 영양공급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아기에게 연하고 소화가 잘 되는 반고형 상태의 음식을 주어 부족한 영향을 보충하고, 고형 상태의 음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하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때 아기에게 주는 음식이 이유식이다.
한편, 아기를 데리고 외출하는 경우 미리 냉장 보관한 이유식을 이유식 전용 용기에 담아 휴대하게 되는 데, 이때 이유식이 상온에서 변질되지 않도록 보냉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이는 경우에는 따뜻하게 데울 필요가 있다.
하지만, 외출시 이유식을 데울 수 있는 상황이 충족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보냉 상태로 보관된 차가운 이유식을 아기에게 먹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996921(2019.07.01.)호는 이유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용물이 담기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를 덮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면에 구비되는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용기부 본체 상부와 측부를 덮고 탄성 재질인 커버부 본체와, 상기 커버부 본체 상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관통공 및 제2관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개폐부는 판체 형상이고 탄성 재질인 개폐부 본체와, 상기 개폐부 본체 저면에 하향 돌출되는 고정 바아 및 출입 바아를 포함하여, 상기 개폐부가 고정 바아를 중심으로 상향 변형되면서 커버부를 오픈하여 커버부를 분리하지 않고도 전자 레인지에 투입하여 가열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진할 수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8743(2015.11.05.)호는 휴대용 이유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 내벽에 스토퍼 홈이 마련된 베이스 바디, 및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이유식이 저장되며 외벽에 주름부가 마련된 이유식 보관부를 포함하고, 주름부에는 스토퍼 홈에 걸리는 스토퍼 로드가 마련되고, 이유식 보관부에 외력을 가하면 베이스 바디의 내부에서 주름부가 접히면서 수축되어 이유식 보관부에 저장된 이유식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유식을 수용할 수 있고 이유식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일 때 데울 수 있는 이중구조로 된 이유식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용기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여 내부용기에 담겨지는 이유식의 온도유지를 쉽게 할 수 있고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유식을 데우거나 분유를 타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이유식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용기에 담겨 진 이유식을 데울 수 있는 이유식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이유식 용기는 이유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되는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를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뚜껑들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이유식을 일정시간 동안 보냉 또는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개구에 상기 복수의 뚜껑 중 내부 뚜껑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용기는 표면 상에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이유식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용량 눈금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된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개구에 상기 복수의 뚜껑 중 외부 뚜껑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외부 용기는 표면 상에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용량 눈금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뚜껑들은 상기 내부 용기를 밀폐하는 내부 뚜껑과 상기 외부 용기를 밀폐하는 외부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뚜껑의 중심부에 상기 내부 뚜껑이 관통되어 결합되어 뚜껑 조립체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뚜껑의 표면 높이가 상기 외부 뚜껑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뚜껑이 상기 뚜껑 조립체의 파지부를 이루고, 상기 외부 뚜껑에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 마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뚜껑들은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뚜껑과 상기 외부 뚜껑이 서로 나사 체결되고 상기 내부 뚜껑이 상기 내부 용기와 서로 나사 체결되고 상기 외부 뚜껑이 상기 외부 용기와 서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들 중에서, 이유식 용기는 하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내부 용기에 담겨진 이유식을 데우는 발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는 이유식을 수용할 수 있고 이유식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고 아기에게 이유식을 먹일 때 데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는 내부용기와 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구성되어 용기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고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이용하여 용기에 담겨지는 이유식의 온도유지를 쉽게 할 수 있고 저수 공간에 저장된 물을 이유식을 데우거나 분유를 타는 데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는 발열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용기에 담겨 진 이유식을 데울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는 유아들과 함께 외출 및 여행 시 이유식 휴대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늘 따뜻한 이유식을 유아들에게 제공하여 이유식의 섭취에서부터 보관에 이르기까지 이유식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와 발열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외부용기 뚜껑에 물 배출 마개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내부용기 뚜껑에 이유식 수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결합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와 발열체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외부용기 뚜껑에 물 배출 마개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내부용기 뚜껑에 이유식 수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분해 사시도 및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100)는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의 이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 각각에는 용기 밀폐형 뚜껑(130,14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원통 형상이면서 상부가 개구된 상태로 내부에 이유식을 수용하는 이유식 수용 공간(111)을 형성할 수 있다. 내부 용기(110)은 원통 형상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그 외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유식 수용 공간(111)에는 이유식 이외에도 물이나 다른 음식 등을 담는 별도의 용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110)는 내벽 및 외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이유식 수용 공간(111)에 담겨지는 이유식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용량 눈금자(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110)는 개구된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뚜껑(130)과 결합하는 제1 결합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결합부(115)는 내부 용기(110)의 개구된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115a) 형태로 구성하여 뚜껑(130)과 나사(screw) 결합할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외부 용기와 별도로 뚜껑(130)과 결합되어 하나의 용기 세트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용기(110)는 플라스틱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 용기(120)는 내부 용기(110)을 보호하는 커버 역할을 하면서 내부 용기(110)와의 사이에 물이 저장되는 저수 공간(121)을 형성할 수 있다. 외부 용기(120)는 내부 용기(11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에 내부 용기(110)가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저수 공간(121)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으며, 이때 물은 온도에 따라 내부 용기(110)에 담겨진 이유식을 보온 또는 보냉하는 매질로 이용될 수 있다.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은 또한, 이유식을 데울 때에 사용될 수 있고 아기의 분유를 탈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용기(110)은 직경이 대략 7㎝ 정도이고, 외부 용기(120)은 직경은 대략 9㎝ 정도로 형성되어 상호 결합시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 사이의 갭을 통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수 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120)는 내벽 및 외벽 중 적어도 한 곳에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게 용량 눈금자(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120)는 상부에 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를 통해 내부 용기(110)가 삽입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용기(120)는 개구된 상부를 밀폐할 수 있게 뚜껑(140)과 결합하는 제2 결합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부(125)는 외부 용기(120)의 개구된 상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사산(125a) 형태로 구성하여 뚜껑(140)과 나사(screw) 결합할 수 있다. 외부 용기(120)에 삽입된 내부 용기(110)는 내부 용기(110)와 결합되는 뚜껑(130)이 외부 용기(120)와 결합되는 뚜껑(140)에 결합되면서 외부 용기(120) 내부에서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용기(120)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열을 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뚜껑(130)은 내부 용기(11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덮개로, 내부 용기(110) 및 외부용기(120)와 결합되는 뚜껑(140)과 각각 결합하는 제3 결합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결합부(131)는 내주면 및 외주면을 따라 각각 나사산(131a,131b)을 형성할 수 있고 내주면에 내부 용기(110)를 결합하고 외주면에 뚜껑(140)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3 결합부(131)는 내주면 나사산(131a)과 내부 용기(110)의 제1 결합부(115)에 형성된 나사산(115a)을 통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제3 결합부(131)는 외주면 나사산(131b)과 뚜껑(140)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130)은 내부 용기(110)의 상부측 개구에 결합되는 내부 뚜껑으로만 사용할 수 있고 이때 내부 용기(110)가 외부 용기(120)가 결합되는 뚜껑(140)에 결합되게 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130)은 제3 결합부(13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파지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파지부(133)는 내부 용기(110)로부터 뚜껑(130)의 개폐 조작을 위한 손잡이로, 제3 결합부(131)가 내부 용기(110)와 결합시 뚜껑(140) 보다 일정높이 높게 돌출 형성하여 파지가 용이할 수 있다.
뚜껑(140)은 외부 용기(120)의 상부 개구를 밀폐하는 덮개로, 외부 용기(120)와 결합하는 제4 결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4 결합부(141)는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41a)을 형성할 수 있고 외부 용기(120)의 제2 결합부(125)에 형성된 나사산(125a)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140)은 중심부에 관통공(143)이 형성되어 관통공(143)을 통해 내부 용기(110)와 뚜껑(13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뚜껑(140)은 관통공(143)의 내벽 둘레를 따라 형성된 나사산(143a)을 통해 내부 용기(110) 또는 뚜껑(130)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뚜껑(140)의 관통공(143)은 뚜껑(130)의 파지부(133)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뚜껑(140)은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 사이의 형성된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을 배출하는 물 배출 마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물 배출 마개(145)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뚜껑(140)에는 저수 공간(121)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 측정 센서를 설치하여 저수 공간(121)에 저장된 물을 이용할 때 이유식을 데우거나 분유를 탈 때 물의 온도를 쉽게 확인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는 뚜껑들(130,140)과의 결합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때, 용기에 담겨 진 내용물들이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 부위에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패킹부재를 개재하여 결합 긴밀성을 높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 그리고 뚜껑들(130,140) 사이는 나사산을 형성한 나사 결합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부 용기(110)와 외부 용기(120)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뚜껑들(130,140)의 대응되는 부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홈에 걸림턱이 걸려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유식 용기(10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 뚜껑(140)의 관통공(143)에 형성된 나사산(143a)에 내부 뚜껑(130)의 제3 결합부(131)에 형성된 나사산(131a)을 나사 결합하여 하나의 뚜껑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내부 뚜껑(130)은 뚜껑체에서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다. 내부 용기(110)는 제1 결합부(115)에 형성된 나사산(115a)을 뚜껑체를 형성하는 내부 뚜껑(130)의 제3 결합부(131)에 형성된 나사산(131b)과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뚜껑체에 결합된 내부 용기(110)를 외부 용기(120) 내부에 삽입시킨 후 외부 용기(120)의 제2 결합부(125)에 형성된 나사산(125a)과 뚜껑체를 형성하는 외부 뚜껑(140)의 제4 결합부(141)에 형성된 나사산(141a)과 나사 결합하여 이중 구조의 밀폐형 이유식 용기를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부 용기(110)과 외부 용기(120)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이유식 용기(100)에서는, 내부 용기(110)에 이유식을 담을 경우 저수 공간(121)에 일정용량의 차가운 물 또는 따뜻한 물을 저장하여 이유식을 일정시간 동안 보냉 또는 보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은 외부 용기(120)에 형성된 눈금 표시자(123)를 통해 쉽게 분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와 발열체의 체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유식 용기(100)는 저면에 발열체(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용기에 담겨진 이유식을 데울 수 있다. 이유식 용기(100)는 발열체(200)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분리 가능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열체(200)는 충전식 전지(210), 전원을 "온(ON)/오프(OFF)"하여 발열을 조작하는 스위치(220), 발열부(230) 및 충전단자(24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열체(200)는 사용자의 스위치(220) 조작에 따라 충전식 전지(21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부(230)를 통해 발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열부(230)는 발열체(200)의 상부에 다수개의 열선들을 매설하여 전원 공급시 열을 생성하여 발열체(200)의 상부에 올려진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100)의 저면을 가열시킬 수 있다. 발열체(200)의 발열 동작에 의해 이유식 용기(100)의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이 데워지면서 내부 용기(110)에 담겨진 이유식에 열이 전달되어 이유식이 데워질 수 있다. 여기에서, 충전단자(230)는 USB 포트 및 전원 플러그를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로 구성될 수 있고 충전식 전지(210)를 충전할 수 있다.
한편, 저수 공간(121)에 저장된 데워진 물은 이유식을 데우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분유를 타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물의 온도는 온도 측정 센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외부용기 뚜껑에 물 배출 마개의 오픈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100)는 외부용기(120)를 밀폐하는 외부 뚜껑(140)에 물 배출 마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물 배출 마개(145)는 외부 용기(120) 내부에 내부 용기(110) 삽입시 이들 사이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는 저수 공간(121)에 저장되는 물이 외부 뚜껑(140) 밖으로 흘러나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물 배출 마개(145)는 개폐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필요시에만 "오픈(open)"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물 배출 마개(145)는 슬라이드 구조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밀면 배출구(147)가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 밀면 배출구(147)가 폐쇄되어 배출구(147)가 개방된 상태에서 이유식 용기(100)를 일정각도로 기울이면 저수 공간(121)에 저장된 물이 배출구(147)로 배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이유식 용기에서 내부용기 뚜껑에 이유식 수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100)는 내부 용기(110)를 밀폐하는 내부 뚜껑(130)에 이유식 수저(300)를 결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내부 뚜껑(130)의 하면에 끼움홈부(135)를 형성하여 이유식 수저(300)의 단부를 억지끼움 형태로 끼워 이유식 수저(300)를 별도로 챙기지 않아도 이유식 용기(100)와 함께 보관할 수 있다. 여기에서, 끼움홈부(135)는 이유식 수저(300)가 분리되지 않도록 일정깊이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유식 용기(100)는 외부 용기(120) 내부에 내부 용기(110)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이유식 전용 용기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외부 용기(120)에 수용된 이유식 전용 용기를 손쉽게 들어낼 수 있게 내부 뚜껑(130)의 끼움홈부(135)에 압축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뚜껑들(130,140)이 닫힌 밀폐상태에서, 압축부재를 통해 외부 용기(120)에 수용된 이유식 전용 용기의 상면을 가압하여 압착한 후 뚜껑들(130,140)을 외부 용기(120)로부터 분리시 압력에 의해 이유식 전용 용기가 분리되지 않고 뚜껑(130)과 함께 들어올려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데워진 이유식 전용 용기를 손쉽게 꺼낼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이유식 용기
110: 내부 용기 111: 이유식 수용 공간
113,123: 용량 눈금자
115: 제1 결합부 115a: 나사산
120: 외부 용기 121: 저수 공간
125: 제2 결합부 125a: 나사산
130 : 내부 뚜껑
131: 제3 결합부 131a,131b: 나사산
133: 파지부 135: 끼움홈부
140 : 외부 뚜껑
141: 제4 결합부 141a: 나사산
143: 관통공 143a: 나사산
145: 물 배출 마개 147: 배출구
200: 발열체
210: 충전식 전지 220: 발열 조작 스위치
230: 발열부 240: 충전단자
300: 이유식 수저
110: 내부 용기 111: 이유식 수용 공간
113,123: 용량 눈금자
115: 제1 결합부 115a: 나사산
120: 외부 용기 121: 저수 공간
125: 제2 결합부 125a: 나사산
130 : 내부 뚜껑
131: 제3 결합부 131a,131b: 나사산
133: 파지부 135: 끼움홈부
140 : 외부 뚜껑
141: 제4 결합부 141a: 나사산
143: 관통공 143a: 나사산
145: 물 배출 마개 147: 배출구
200: 발열체
210: 충전식 전지 220: 발열 조작 스위치
230: 발열부 240: 충전단자
300: 이유식 수저
Claims (8)
- 이유식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용기;
상기 내부 용기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결합되는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저수 공간을 형성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를 각각 밀폐하는 복수의 뚜껑들을 포함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이유식을 일정시간 동안 보냉 또는 보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개구에 상기 복수의 뚜껑 중 내부 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표면 상에 상기 이유식 수용 공간에 수용되는 이유식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용량 눈금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상기 내부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된 내부 용기와의 사이에 상기 저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측 개구에 상기 복수의 뚜껑 중 외부 뚜껑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표면 상에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의 용량 상태를 시각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용량 눈금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뚜껑들은
상기 내부 용기를 밀폐하는 내부 뚜껑과 상기 외부 용기를 밀폐하는 외부 뚜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뚜껑의 중심부에 상기 내부 뚜껑이 관통되어 결합되어 뚜껑 조립체를 형성하되 상기 내부 뚜껑의 표면 높이가 상기 외부 뚜껑의 표면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내부 뚜껑이 상기 뚜껑 조립체의 파지부를 이루고,
상기 외부 뚜껑에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 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뚜껑들은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내부 뚜껑과 상기 외부 뚜껑이 서로 나사 체결되고 상기 내부 뚜껑이 상기 내부 용기와 서로 나사 체결되고 상기 외부 뚜껑이 상기 외부 용기와 서로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유식 용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유식 용기의 하면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저수 공간에 저장되는 물을 가열하여 상기 내부 용기에 담겨진 이유식을 데우는 발열체를 더 포함하는 이유식 용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716A KR102303280B1 (ko) | 2019-11-14 | 2019-11-14 | 이유식 용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45716A KR102303280B1 (ko) | 2019-11-14 | 2019-11-14 | 이유식 용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58369A true KR20210058369A (ko) | 2021-05-24 |
KR102303280B1 KR102303280B1 (ko) | 2021-09-16 |
Family
ID=7615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45716A KR102303280B1 (ko) | 2019-11-14 | 2019-11-14 | 이유식 용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03280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7053A (ko)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 밀폐용기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278Y1 (ko) * | 2002-02-06 | 2002-05-11 | 전한실업주식회사 | 보온 젓병 |
KR101224626B1 (ko) * | 2010-11-18 | 2013-01-22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탕기 |
KR200478743Y1 (ko) | 2015-07-24 | 2015-11-11 | 김혜령 | 휴대용 이유식 용기 |
KR101996921B1 (ko) | 2018-05-02 | 2019-10-01 | 주식회사 본메레 | 이유식 용기 |
-
2019
- 2019-11-14 KR KR1020190145716A patent/KR1023032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75278Y1 (ko) * | 2002-02-06 | 2002-05-11 | 전한실업주식회사 | 보온 젓병 |
KR101224626B1 (ko) * | 2010-11-18 | 2013-01-22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자동 수위 조절이 가능한 중탕기 |
KR200478743Y1 (ko) | 2015-07-24 | 2015-11-11 | 김혜령 | 휴대용 이유식 용기 |
KR101996921B1 (ko) | 2018-05-02 | 2019-10-01 | 주식회사 본메레 | 이유식 용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67053A (ko) | 2021-06-11 | 2022-12-20 |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 밀폐용기커버 및 그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03280B1 (ko) | 2021-09-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02739B2 (en) | Heat transfer apparatus and container | |
US6123065A (en) | Feeding bottle | |
US4287943A (en) | Heat insulating box | |
EP1609454A1 (en) | Insulated food containers | |
CN104619598A (zh) | 可堆叠容器系统 | |
KR102128745B1 (ko) |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 |
US11141022B2 (en) | Container unit comprising two containers | |
US6943323B2 (en) | Battery operated self heating thermos container | |
US20120085724A1 (en) | Insulated reusable self-warm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 |
KR20210058369A (ko) | 이유식 용기 | |
US20200121047A1 (en) | Lunch Container | |
KR102376066B1 (ko) |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 |
US20170094721A1 (en) | Sip N Soothe | |
KR200483275Y1 (ko) | 즉석식품 복합포장 용기 | |
CN210883293U (zh) | 隔热容器 | |
KR200483377Y1 (ko) | 분말, 곡물과 같은 식품류 사용 편의성을 갖춘 트위스트캡 보관용기 | |
CN204812521U (zh) | 一种保温饭盒 | |
CN207940667U (zh) | 一种液体加热容器 | |
CN219770674U (zh) | 一种防水式食品包装桶 | |
US20170203907A1 (en) | System for maintaining desired heated or cooled beverage for extended duration | |
CN221679566U (zh) | 一种食品饮料瓶 | |
CN111110032A (zh) | 一种自热式水瓶 | |
CN211269830U (zh) | 易操作温热杯 | |
KR200386109Y1 (ko) | 가요성 용기 | |
GB2172395A (en) | Insulated container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