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266A -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266A
KR20210058266A KR1020190145505A KR20190145505A KR20210058266A KR 20210058266 A KR20210058266 A KR 20210058266A KR 1020190145505 A KR1020190145505 A KR 1020190145505A KR 20190145505 A KR20190145505 A KR 20190145505A KR 20210058266 A KR20210058266 A KR 20210058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er
photo
face
unit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9987B1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김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영 filed Critical 김재영
Priority to KR1020190145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9987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9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06K9/0022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07C9/25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 G07C9/25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 recogni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05Language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출근 또는 퇴근을 위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한 근로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근로자의 얼굴만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역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 근로자별 출근 및 퇴근 기준사진이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되는 기준사진 저장부; 및 상기 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또는 퇴근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출근 또는 퇴근 기준사진들과 비교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식별 판단하는 근로자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얼굴부분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분;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는 얼굴 가림 판단부분; 및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근로자의 얼굴부분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 이하일 경우에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킨다.

Description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WORKER'S ACCESS MANAGEMENT APPARATUS FOR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본 발명은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간 및 사진에 대한 출입 정보를 생성하며, 관리 서버 및 단말과 함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는 경영 정보 시스템(MIS)의 한 종류로서, 기업의 제반 요소를 통합하고 기업 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기업 내의 모든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궁극적으로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통합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현재,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은 회계, 원가, 영업, 구매, 자재, 생산, 품질, 설비, 자금, 투자, 프로젝트 관리 부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관리 및 재무 효율의 확연한 상승을 보임은 물론이고, 업무 결과 및 경영 성과의 개선 수준에 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중 근로자의 출근 및 퇴근에 관한 근태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경우,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에 관한 출입 정보 혹은 근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근태 관리기와 같은 출입 관리 장치가 요구된다.
근로자의 출입을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내 별도의 장치는 가장 단순하게는 신호 입력 모듈만을 갖춘 번호 입력 수단 형태에서부터 근로자의 출근 혹은 퇴근 시의 화상 이미지를 획득하여 이를 기반으로 출입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촬영 모듈을 갖춘 형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관리하는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얼굴 인식 기능을 구비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6363호의 "얼굴 인식에 의한 출입관리장치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경우, 단순히 근로자별 출근 또는 퇴근 시의 시간 및 사진에 대한 출입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관리하고, 관리 서버에 별도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해두는 정도에서만 그쳐 실질적으로 작업현장에 적용하여 사용하기에는 근로자의 촬영상태, 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의 상태 등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출입 정보의 획득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경우, 작업현장을 출근 또는 퇴근하는 근로자 중심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지 못해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으며, 순차적으로 근로자들이 출근시간과 퇴근시간에 집중적으로 출입 관리장치에 출입정보 생성을 위해 모여들 경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이 지체되는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출근 사진 및 퇴근 사진과 같은 출입 정보에 기반이 되는 이미지의 생성 시 근로자의 촬영상태, 촬영장치를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더욱 개선된 상태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출입 정보를 생성함에 따라 출입 정보의 생성 및 근로자 식별에 기준이 되는 정보가 더욱 정확한 상태로 갱신되어 자동 반영될 수 있는 기술을 갖춘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현장을 출근 또는 퇴근하는 근로자 중심의 사용 인터페이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출근 또는 퇴근 시 많은 근로자들이 출입 정보 생성을 이용하더라도 빠르고 효율적으로 관리 작업의 과정들이 진행되어 장치 이용에 많은 시간을 소요하지 않아도 되는 기술을 갖춘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의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 별 출근 사진과 출근 시간 또는 퇴근 사진과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 내 저장 관리되는 정보의 이용이 가능한 관리단말과 함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있어서, 출근 또는 퇴근을 위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한 근로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근로자의 얼굴만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역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되는 기준사진 저장부; 및 상기 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들과 비교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식별 판단하는 근로자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얼굴부분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분;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는 얼굴 가림 판단부분; 및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근로자의 얼굴부분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 이하일 경우에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킨다.
여기서,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을 초과할 경우,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의 출력을 위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을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수신하여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설정된 알림정보 표시영역에 생성된 알림정보를 출력 표시하는 알림정보 표시부분;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크기에 대한 인식 범위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인식 범위 최소값 이상 및 기준 인식 범위 최대값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인식 범위 판단부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근로자의 얼굴부분과 상기 촬영부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인식 거리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최대 인식 거리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인식 거리 판단부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는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근로자의 이름 및 국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 판단부를 통해 식별 판단되는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국적에 대응되는 언어를 판단하여, 해당 언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대응언어 판단부분;을 포함하는 출력 언어 변경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출력 언어 변경부는, 근로자의 출력 언어 변경을 위한 선택적 신호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언어 변경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언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언어 변경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근로자의 식별 판단에 기준이 되는 출근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매번 촬영되는 출근 또는 퇴근 사진과의 인식율 비교를 통해 높은 인식율 순으로 설정된 개수만큼 남도록 자동 갱신되어, 지속적인 출입이 이루어질수록 더욱 높은 인식율을 갖춰 얻어진 사진이 기준사진으로 이용될 수 있다.
둘째, 근로자의 출근 또는 퇴근 시 촬영되는 영상의 선명도를 측정하여, 일정 수준의 선명도를 갖추기 전까지는 출근 또는 퇴근사진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셋째, 근로자가 촬영 시 마스크 혹은 헬멧과 같이 얼굴의 일부를 가리는 수단을 착용하고 있을 시, 이를 감지하여 해당 수단의 해제를 요구하는 알림정보를 출력하고, 해당 수단의 해제가 이루어진 시점에 한해 출근 또는 퇴근 사진의 생성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넷째, 출근 또는 퇴근 사진의 생성을 위한 인식되는 근로자의 얼굴부분에 대한 인식 범위 및 거리를 관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어, 필요에 따라 더욱 명확한 얼굴 인식이 요구되거나 더욱 빠른 얼굴 인식이 요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섯째, 근로자의 국적을 자동으로 인지하여, 해당 국적에 대응되는 언어를 기반으로 문자, 영상, 음성 등의 정보 혹은 표시가 디스플레이부 혹은 스피커부와 같은 정보 출력의 구성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근로자의 촬영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표시되는 얼굴 인식 영역과 연동되어 디스플레이부 화면상 타 영역에 기준사진, 분석정보, 식별정보, 알림정보 등과 같은 각종 정보의 출력 표시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일곱째, 근로자의 촬영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표시되는 얼굴 인식 영역이 근로자의 움직임에 따라 위치 혹은 크기가 변화할 시, 디스플레이부 화면상 타 영역에 표시되는 기준사진, 분석정보, 식별정보, 알림정보의 표시 영역 역시 대응되어 변화하여 근로자의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표시된 정보들에 대한 시인성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덟째, 처음 작업현장을 찾은 근로자의 경우 즉각적으로 식별정보의 미등록을 감지하여, 손쉽게 근로자가 식별정보에 관한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식별정보 및 기준사진의 생성 및 저장 등록이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각 영역 및 정보의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기준사진 갱신부를 통한 기준사진 저장부 내 저장된 정보의 갱신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얼굴 가림 판단부분을 통한 얼굴 가림 판단 및 알림정보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인식영역 표시부와 정보 표시부의 인식 및 표시 영역의 대응 변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관한 설명>
먼저, 본 발명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의 구성도 및 도3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근로자 근무시간 제어기능을 구비한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 관리 서버(120) 및 관리 단말(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와 관리 서버(120), 관리 서버(120)와 관리 단말(13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고 있어 상호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로 전체 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시에 따라서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와 관리 단말(130)이 관리 서버(120)를 통한 중계 장치 없이 직접적으로 상호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여 상호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상태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작업현장(wp)에 설치되어 근로자의 출, 퇴근 시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별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는 단말 장치로서, 실시에 따라 근로자별 식별코드의 입력 또한 출, 퇴근 시 얼굴 촬영과 같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관리 서버(120)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로부터 생성된 출입정보가 수신되며, 수신된 출입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별 당일 근무시간 및 누적 근무시간에 대한 근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관리 단말(130)은 관리 서버(120)에 접속해 출입정보 및 근태정보는 수신하여 이용함으로써, 관리자가 언제 어디서든 해당 정보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는 근로자의 등록 및 식별 등에 필요한 각종 정보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와 같은 신호 입력부(110K)와 캠 혹은 카메라와 같은 촬영 모듈로 마련되는 촬영부(110C), 디스플레이와 같이 시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영상출력 모듈로 마련되는 디스플레이부(110D) 및 스피커와 같이 청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음성출력 모듈로 마련되는 스피커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에 따라서는 신호 입력부(110K)와 디스플레이부(110D)가 터치 스크린으로 통합 형성되어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 일측에 설치되어 정보 입, 출력이 터치 스크린 상에서 모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더 나아가,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는 관리 서버(120)와 관리 단말(13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구축하여 상호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통신 모듈로 마련되는 통신부(110T)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근로자는 작업현장(wp)에 출근 또는 작업현장(wp)으로부터 퇴근시, 작업현장(wp) 입구에 설치된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의 촬영부(110C)를 통해 자신의 출, 퇴근 사진 및 출,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에 생성 기록 시킨다.
실시에 따라서는 근로자 자신의 신분을 대표하는 주민번호, 관리번호, 운전면허번호 등과 같은 식별코드를 키패드 혹은 터치스크린과 같은 신호 입력부(110K)에 입력한 뒤, 승인되면 촬영부(110C)를 통한 촬영이 진행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생성부(111), 기준사진 저장부(112), 근로자 판단부(113), 인식율 분석부(114a), 기준사진 갱신부(114b), 선명도 분석부(115b), 사진 생성 제어부(115b), 인식영역 표시부(116), 정보 표시부(117), 출력 언어 변경부(118), 문자 인식부(119) 및 출입정보 생성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우선, 촬영부(110C)는 출근 또는 퇴근을 위해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한 근로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수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사진 생성부(111)는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근로자의 얼굴(F)만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역(T1)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종래와 같이 무분별하게 바로 얼굴을 인식하여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사진 생성을 위한 조건을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진 생성부(111)는 얼굴 인식부분(111a),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 인식 범위 판단부분(111c), 인식 거리 판단부분(111d), 사진 생성부분(111e)을 포함한다.
여기서, 얼굴 인식부분(111a)은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얼굴부분을 인식한다.
또한,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 내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는데, 인식 영역 내 인식된 근로자의 얼굴부분을 차지하는 부분을 분석하여 근로자가 촬영 시 마스크 혹은 안전모 등의 별도의 착용 수단(H)을 착용하고 있거나 의도적으로 얼굴을 가린 경우 등을 판단하여 이와 같은 얼굴 가림을 해제할 것을 근로자에게 인지시킨다.
구체적으로,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은 도5와 같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 내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F)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 인식 영역(T1) 내 얼굴(F)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 이하일 경우에 한해 아래 설명될 사진 생성부분(111e)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을 초과할 경우,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의 출력을 위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생성하여 아래 설정될 알림정보 표시부분(117d)에 전송한다.
따라서 근로자는 촬영부(110C)를 통해 출근 또는 퇴근 시 얼굴을 촬영하여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여 기준사진의 갱신 혹은 출입 정보의 생성 및 관리서버(120)의 전송과 같은 과정이 진행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마스크 혹은 안전모 등의 별도의 착용 수단(H)은 착용을 해제한 후 맨 얼굴로 촬영을 진행해야한다.
또한, 인식 범위 판단부분(111c)은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크기에 대한 인식 범위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인식 범위 최소값 이상 및 기준 인식 범위 최대값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 한해 아래 설명될 사진 생성부분(111e)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 경우, 출근 또는 퇴근 시 얼굴을 촬영하여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는 촬영부(110C)와의 거리를 좁혀 인식 범위를 넓히거나, 거리를 넓혀 인식 범위를 좁혀 기 설정된 기준 인식 범위 최소값 이상 및 기준 인식 범위 최대값 이하의 수준을 갖춘 크기의 근로자 얼굴 인식영역(T1)이 마련되도록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사진 생성부분(111e)의 기능이 비활성화되어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생성 자체가 발생되지 않는다.
아울러, 인식 거리 판단부분(111d)은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의 근로자의 얼굴부분(F)과 촬영부(110C)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인식 거리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최대 인식 거리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에 한해 아래 설명될 사진 생성부분(111e)의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사진 생성부(111)의 일측에는 별도의 거리센서가 구비되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의 근로자의 얼굴부분(F)과 촬영부(110C) 간의 이격 거리를 더욱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허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식 거리 판단부분(111d)은 촬영부(110C)을 통해 촬영된 영상의 분석을 통해 촬영된 근로자 대상과 촬영부(110C) 간의 거리를 유추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 경우, 출근 또는 퇴근 시 얼굴을 촬영하여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고자 하는 근로자는 인식 거리 판단부분(111d) 내 기 설정된 최대 인식 거리가 길면 길수록 먼 거리에서도 얼굴의 인식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생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진 생성부분(111e)은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근로자의 얼굴부분(F)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구성으로, 무작정 활성화 상태를 지속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해 통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 내 영상을 분석하여 판단된 얼굴(F)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 이하이거나, 인식 범위 판단부분(111c)을 통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크기에 대한 인식 범위가 기 설정된 기준 인식 범위 최소값 이상 및 기준 인식 범위 최대값 이하의 수준 내로 마련됨이 판단되거나. 인식 거리 판단부분(111d)을 통해 얼굴 인식부분(111a)을 통해 인식된 영역(T1)의 근로자의 얼굴부분(F)과 촬영부(110C)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인식 거리가 기 설정된 최대 인식 거리 이하인 경우에 한해 활성화 된다.
다음으로, 기준사진 저장부(112)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되며,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 각각의 인식율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의 구성이다.
여기서,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저장 관리되는 형태는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근로자의 이름 및 국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I)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 관리되는 형태를 띤다.
더욱 구체적으로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의 분류 기준이 되는 식별정보(I)는 근로자의 이름, 부여된 별도의 ID코드, 생년월일, 주민등록 번호, 전화번호, 성별, 국가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어, 근로자별 식별이 해당 정보를 통해 가능하다.
따라서 기준사진 저장부(112) 내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로자가 최초 입력하여 생성한 식별정보(I)를 기준으로 각각의 저장공간(112a)이 구획되어 있고, 해당 저장공간(112a) 내에는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기준 사진들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으로, 근로자 판단부(113)는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분석하여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들과 비교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식별 판단하는 구성으로.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 근로자 판단부분(113b),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부분(113c), 문자 인식부 활성화 부분(113d) 및 식별정보 생성부분(113e)을 포함한다.
여기서,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은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분석을 통해 해당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기 저장 및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우선적으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근로자 판단부분(113b)은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 등록되어 있음이 판단될 시 활성화되어,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식별 판단한다.
다시 말해, 근로자 판단부분(113b)은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과 이에 대응되는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들을 비교하여 해당 근로자가 맞는지 여부를 최종적으로 확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근로자 판단부분(113b)은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 및 등록되어있지 않음이 판단될 경우,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과 대응되는 근로자가 최초 방문한 상태임을 인지하여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부분(113c) 및 문자 인식부 활성화 부분(113d)을 활성화함으로써, 근로자가 직접 식별정보를 입력하거나 식별정보가 표시된 수단을 문자인식을 통해 자동으로 읽어내 식별정보가 생성되도록 한 뒤, 해당 식별정보에 페어링되는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기준사진으로 하여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부분(113c)은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 판단될 시 활성화 되어, 디스플레이부(110D) 상에 근로자의 식별정보 생성을 위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 표시되도록 한다.
이 경우, 해당 근로자는 디스플레이부(110D) 상에 출력된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10D) 상에 터치 가압을 하거나 신호 입력부(110K)에 정보를 직접 입력하여 식별정보가 생성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문자 인식부 활성화 부분(113d)은 등록여부 판단부분(113a)을 통해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 및 등록되어 있지 않음이 판단될 시 아래 설명될 문자 인식부(119)를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식별정보 생성부분(113e)은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부분(113c)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10D) 상에 출력 표시된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근로자의 식별정보 생성을 위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짐에 따라, 입력되는 신호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식별정보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을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 등록시킨다.
실시에 따라, 식별정보 생성부분(113e)은 문자 인식부 활성화 부분(113d)을 통해 활성화된 문자 인식부(119)가 추출한 문자를 기반으로 근로자의 식별정보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을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 등록시킬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문자 인식부(119)는 스캐닝 혹은 이미지 촬영을 통해 신분증 혹은 카드와 같은 대상에 기록된 문자만을 추출하는 OCR 기반의 문자 인식 모듈로서, 근로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식별정보 표시수단을 촬영하여 식별정보 표시수단에 표시된 문자만을 인식하여 식별정보에 기반이 되는 문자만을 추출한다.
여기서, 식별정보 표시수단이라 함은 예를 들어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회사ID카드 등을 의미하며, 문자 인식부(119)는 촬영한 이미지 내 문자만을 추출하여 식별정보 생성부분(113e)이 식별정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문자 인식부(119)는 안착 공간에 근로자가 제공한 자신의 식별정보 표시수단을 촬영 혹은 스캐닝하여 해당 수단의 식별정보가 표시된 면에 대한 이미지를 생성하는 문자 인식용 촬영부분(119a) 및 생성된 이미지 내 문자를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과 같은 문자 인식 기술을 이용해 추출하여 데이터화 하는 문자 추출부분(119b)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인식율 분석부(114a)는 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인식율을 분석하는 구성으로, 이미지의 인식율은 촬영을 수행하는 시간, 조도, 인물, 주변 배경 등에 따라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매번 촬영을 통해 생성되는 사진 이미지의 인식율 정보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기준 사진의 갱신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 인식율 분석부(114a)는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인식 영역 내 근로자 얼굴 이미지를 푸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 공식을 이용해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한 뒤, 고주파 통과 필터를 적용해 저주파 영역을 제외시키고 고주파 영역 만을 선별한 뒤, 그 중 선명한 영역의 수 혹은 범위를 기반으로 수치화를 통해 인식율을 도출해 낼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인식율 도출방법은 하나의 예에 해당하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인식율 측정방법 중 하나를 기준으로하여 일괄적인 수치화를 이루어냄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기준사진 갱신부(114b)는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된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 판단된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 중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과 비교해 인식율이 낮은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을 삭제함과 동시에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으로 갱신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사진 갱신부(114b)는 만약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가 4일 경우, 4장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을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식별정보(I)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 관리하게 되는데,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 판단된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 중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P5)과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식별정보(I)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P1, P2, P3, P4)의 인식율을 비교하게 된다.
이 경우,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식별정보(I)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P1, P2, P3, P4) 중 3번 째에 해당하는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P3)의 인식율이 87로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 판단된 근로자의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 중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P5)의 인식율인 90보다 낮기 때문에, 3번 째에 해당하는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P3)은 삭제되고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P5)이 기준사진으로 갱신된다.
다른 예로, 기준사진 갱신부(114b)는 기준사진 저장부(112) 내에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적어도 2개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되지 않은 상태일 시, 인식율 분석부(114a)를 통해 분석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해당 사진의 인식율에 대한 정보와 함께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으로 저장시킨다.
다음으로, 선명도 분석부(115a)는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중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인식되는 근로자의 얼굴 영역(T1) 내 흔들림 정도에 대한 선명도를 분석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선명도 분석부(115a)는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 중 사진 생성부(111)를 통해 인식되는 근로자의 얼굴 영역(T1) 내 영상에 대한 윤곽선 검출(Edge Detection), 이미지 미분, 코너 추출, 허프 라인 변환, 특징점 추출, 이미지 히스토그램 등의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해 영상의 흔들림 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속 분석한다.
만약, 흔들림의 정도가 과해지면 그것은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기반으로 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상태에도 영향을 미치고, 근로자의 식별 결과는 물론이고, 근로자의 출입정보를 관리함에 상당한 문제가 발생한다.
다음으로, 사진 생성 제어부(115b)는 선명도 분석부(115a)를 통해 분석되는 선명도와 기 설정된 최소 선명도 기준값을 비교하여 사진 생성부(111)를 통한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의 생성여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사진 생성 제어부(115b)는 선명도 분석부(115a)를 통해 분석되는 선명도가 기 설정된 최소 선명도 기준값 이상으로 마련될 경우에 사진 생성부(111)의 인식된 근로자의 얼굴영역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 생성 기능을 활성화시킨다.
또한, 사진 생성 제어부(115b)는 선명도 분석부를 통해 분석되는 선명도가 기 설정된 최소 선명도 기준값 미만으로 마련될 경우에 사진 생성부(111)의 인식된 근로자의 얼굴영역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 생성 기능을 비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사진 생성부(111)를 통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 생성의 기능은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의 흔들림 정도가 안정화되어야 가능하다.
다음으로, 인식영역 표시부(116)는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사진 생성부(112)를 통해 인식되는 근로자의 얼굴부분에 해당하는 인식 영역(T1)을 표시한다.
정보 표시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기준사진, 분석정보, 식별정보, 알림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출력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기준사진 표시부분(117a), 분석정보 표시부분(117b), 식별정보 표시부분(117c) 및 알림정보 표시부분(117d)을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사진 표시부분(117a)은 도2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W) 내 인식영역 표시부(116)를 통해 표시되는 인식 영역(T1) 외부 일측에 설정된 기준사진 표시영역(T2)에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기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 중 하나를 출력 표시한다.
더욱이, 기준사진 표시부분(117a)은 근로자가 출근 시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을 수행할 경우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중 인식율이 가장 높은 출근 기준사진을 기준사진 표시영역(T2)에 출력 표시한다.
또한, 기준사진 표시부분(117a)은 근로자가 퇴근 시 촬영부(110C)를 통해 촬영을 수행할 경우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기 저장된 퇴근 기준사진 중 인식율이 가장 높은 퇴근 기준사진을 기준사진 표시영역(T2)에 출력 표시한다.
다음으로, 기준사진 표시부분(117a)은 인식영역 표시부(11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D)에 출력 표시되는 인식 영역(T1)이 근로자의 움직임에 의해 실시간으로 위치 및 인식 영역 크기에 대한 인식 범위가 변화하는 것에 대응되어 기준사진 표시영역(T2) 또한 위치 및 표시 영역 크기에 대한 표시 범위가 변화한다.
구체적으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D)에 출력 표시되는 기존의 인식 영역(T1) 및 기준사진 표시영역(T2)이 근로자의 움직임에 따라 인식 영역(T1)의 위치가 변하고, 크기에 해당하는 인식 범위가 변할 경우, 기존의 인식 영역(T1)과 변화된 인식 영역(T1')간의 중심점 기준 위치변화 정도와 축소 혹은 확대된 인식 범위의 정도가 기존의 기준사진 표시영역(T2)과 변화된 기준사진 표시영역(T2')간에도 대응되어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인식 영역(T1) 대비 기준사진 표시영역(T2)의 위치 및 크기 변화에 따른 특징은 아래 설명될 분석정보 표시영역(T3) 식별정보 표시영역(T4)에도 그대로 적용 가능하다.
다음으로, 분석정보 표시부분(117b)은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W) 내 인식영역 표시부(116)를 통해 표시되는 인식 영역(T1) 외부 일측에 설정된 분석정보 표시영역(T3)에 선명도 분석부(115a)를 통해 분석되는 선명도를 출력 표시한다.
그리고 식별정보 표시부분(117c)은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W) 내 인식영역 표시부(116)를 통해 표시되는 인식 영역 외부 일측에 설정된 식별정보 표시영역(T4)에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 판단되는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식별정보를 출력 표시한다.
마지막으로, 알림정보 표시부분(117d)은 얼굴 가림 판단부분(111b)을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수신하여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설정된 알림정보 표시영역(T5)에 생성된 알림정보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 표시한다.
출력 언어 변경부(118)는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 문자의 언어를 자동 혹은 선택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 대응언어 판단부분(118a) 및 출력 언어 변경부분(118b)을 포함한다.
여기서, 대응언어 판단부분(118a)은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 판단되는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국적에 대응되는 언어를 판단하여, 해당 언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식별정보 내 근로자의 국가에 대한 정보를 입력시킨 후, 해당 근로자의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기준사진 저장부(112)에 식별정보와 출근 기준 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이 저장되어진 경우, 추후 근로자가 출근 또는 퇴근을 위해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110)을 이용하고자 할 때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해당 근로자가 식별되는 과정에서 식별정보 내 근로자의 국가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정보 및 인터페이스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근로자의 국적이 중국으로 판단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10D) 및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W) 내 분석정보, 식별정보, 알림정보 내 문자 및 소리는 중국어를 기준으로 출력된다.
그 뿐만 아니라, 출력 언어 변경부분(118b)는 근로자의 출력 언어 변경을 위한 신호 입력부(110K)상의 선택적 신호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언어 변경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언어를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부(110D)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한다.
즉, 신호 입력부(110K)를 이용하여 근로자는 자신이 원하는 언어를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110D) 및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W) 내 분석정보, 식별정보, 알림정보 내 문자 및 소리가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출입정보 생성부(미도시)는 근로자 판단부(113)를 통해 식별된 해당 근로자의 출근 사진과 출근 시간 또는 퇴근 사진과 퇴근 시간에 대한 근로자별 출입정보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출입정보 생성부(미도시)가 생성하는 출입정보는 근로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근로자의 출근 사진, 퇴근 사진, 출근 시간 및 퇴근 시간에 대한 정보가 페어링되어 하나의 정보 단위를 이루게 되며, 통신부(110T)를 통해 관리 서버(120)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
110 :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110C : 촬영부
111 : 사진 생성부
111a : 얼굴 인식부분
111b: 얼굴 가림 판단부분
111c : 인식 범위 판단부분
111d : 인식 거리 판단부분
111e : 사진 생성부분
112 : 기준사진 저장부
113 : 근로자 판단부
113a : 등록여부 판단부분
113b : 근로자 판단부분
113c : 식별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활성화 부분
113d : 문자 인식부 활성화 부분
113e : 식별정보 생성부분
114a : 인식율 분석부 114b : 기준사진 갱신부
115a : 선명도 분석부 115b : 사진 생성 제어부
110D : 디스플레이부 116 : 인식영역 표시부
117 : 정보 표시부
117a : 기준사진 표시부분
117b : 분석정보 표시부분
117c : 식별정보 표시부분
117d : 알림정보 표시부분
118 : 출력 언어 변경부
118a : 대응언어 판단부분
118b : 출력 언어 변경부분
110T : 통신부 110K : 신호 입력부
119 : 문자 인식부
119a : 문자 인식용 촬영부분
119b : 문자 추출부분
120 : 관리 서버
130 : 관리 단말

Claims (6)

  1. 작업현장에 설치되어 출, 퇴근하는 근로자의 얼굴 촬영을 통해 근로자 별 출근 사진과 출근 시간 또는 퇴근 사진과 퇴근 시간에 대한 출입정보를 생성하도록 마련되며, 생성된 출입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관리서버 내 저장 관리되는 정보의 이용이 가능한 관리단말과 함께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에 있어서,
    출근 또는 퇴근을 위해 상기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의 일정 범위 내로 접근한 근로자를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근로자의 얼굴만을 인식하여 인식된 영역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각각 적어도 2개 이상의 기 설정된 기준사진 수만큼 저장되는 기준사진 저장부; 및
    상기 사진 생성부를 통해 생성되는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출근 기준사진 또는 퇴근 기준사진들과 비교함으로써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를 식별 판단하는 근로자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분석하여 근로자의 얼굴부분을 인식하는 얼굴 인식부분;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영상을 분석하여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는 얼굴 가림 판단부분; 및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 내 근로자의 얼굴부분에 대한 근로자별 출근 사진 또는 퇴근 사진을 생성하는 사진 생성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 이하일 경우에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은 얼굴의 가림정도를 판단하여, 인식 영역 내 얼굴의 가림정도가 기 설정된 최소 가림정도 수준을 초과할 경우,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의 출력을 위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촬영부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이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얼굴 가림 판단부분을 통해 생성된 알림정보 출력 요구신호를 수신하여 얼굴의 가림을 해제하도록 경고하는 알림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내에 설정된 알림정보 표시영역에 생성된 알림정보를 출력 표시하는 알림정보 표시부분;을 포함하는 정보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크기에 대한 인식 범위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기준 인식 범위 최소값 이상 및 기준 인식 범위 최대값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인식 범위 판단부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진 생성부는,
    상기 얼굴 인식부분을 통해 인식된 영역의 근로자의 얼굴부분과 상기 촬영부 간의 이격 거리에 대한 인식 거리를 판단하여, 기 설정된 최대 인식 거리 이하의 수준 내로 판단될 경우 한해 상기 사진 생성부분을 활성화시키는 인식 거리 판단부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는 근로자별 출근 기준사진 및 퇴근 기준사진이 근로자의 이름 및 국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기준으로 분류되어 저장 관리되며,
    상기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는,
    상기 기준사진 저장부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근로자 판단부를 통해 식별 판단되는 출근 또는 퇴근을 하고자 하는 근로자의 국적에 대응되는 언어를 판단하여, 해당 언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대응언어 판단부분;을 포함하는 출력 언어 변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언어 변경부는, 근로자의 출력 언어 변경을 위한 선택적 신호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언어 변경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신호에 대응되는 언어를 기준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각종 정보 또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도록 하는 출력 언어 변경부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1020190145505A 2019-11-14 2019-11-14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10232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05A KR102329987B1 (ko) 2019-11-14 2019-11-14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505A KR102329987B1 (ko) 2019-11-14 2019-11-14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266A true KR20210058266A (ko) 2021-05-24
KR102329987B1 KR102329987B1 (ko) 2021-11-22

Family

ID=76152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505A KR102329987B1 (ko) 2019-11-14 2019-11-14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99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16A (ko) * 2000-05-16 2001-11-28 함영국 지문인식과 얼굴추출에 의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KR20110006062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미래인식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KR20130083049A (ko) * 2011-12-28 2013-07-22 (주)에스제이기획 전자방명록 장치
JP2016099939A (ja) * 2014-11-26 2016-05-30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顔認識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16A (ko) * 2000-05-16 2001-11-28 함영국 지문인식과 얼굴추출에 의한 출입 통제 장치 및 방법
KR100802510B1 (ko) * 2007-10-17 2008-02-12 서진정보통신주식회사 근로자 근태정보와 연계된 전사적자원관리시스템
KR20110006062A (ko) * 2009-07-13 2011-01-20 주식회사 미래인식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KR20130083049A (ko) * 2011-12-28 2013-07-22 (주)에스제이기획 전자방명록 장치
JP2016099939A (ja) * 2014-11-26 2016-05-30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顔認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9987B1 (ko) 202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60154B2 (ja) システム、異常判定装置及び方法
US20080010079A1 (en) Printing device, printing system, print control method and print control program for use therein
US10956715B2 (en) Decreasing lighting-induced false facial recognition
US20130163823A1 (en) Image Capture and Recognition System Having Real-Time Secure Communication
US20140369567A1 (en) Authorized Access Using Image Capture and Recognition System
KR102345825B1 (ko) 안면 인식을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06228168A (zh) 卡片图像反光检测方法和装置
JP2007272320A (ja) 入場管理システム
KR101554174B1 (ko) 공항 보안 구역 출입 통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084914B1 (ko) 차량번호 및 사람 이미지의 인덱싱 관리시스템
JP2004259253A (ja) 本人認証装置
JP5423740B2 (ja) 映像提供装置、映像利用装置、映像提供システム、映像提供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22198174A1 (en) Systems and methods of detecting mask usage
JP2014154129A (ja) 装備認識システム
JP2019028559A (ja) 作業分析装置、作業分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292980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102292978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102329987B1 (ko)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20170132914A (ko) 사진 이미지 일치 여부에 따른 신원 확인 시스템 및 신원 확인 방법
JP2013077067A (ja) 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方法、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装置及び顔認証データベース管理プログラム
CN211294018U (zh) 基于ai一脸通的终端认证系统
US20220036114A1 (en) Edge detection image capture and recognition system
WO2018042549A1 (ja) 被写体情報表示システム、被写体情報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31343B2 (ja) 画像処理装置、処理制御方法および処理制御プログラム
JP2020191585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