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577A -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577A
KR20210057577A KR1020190144506A KR20190144506A KR20210057577A KR 20210057577 A KR20210057577 A KR 20210057577A KR 1020190144506 A KR1020190144506 A KR 1020190144506A KR 20190144506 A KR20190144506 A KR 20190144506A KR 20210057577 A KR20210057577 A KR 202100575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ufacturing environment
smart plug
power
unit
hybrid gatew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규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주)아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아이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44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577A/ko
Publication of KR2021005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5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or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및 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계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 플러그, 상기 스마트 플러그와 양방향 무선통신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 및 관리자가 제조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시보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Cloud-based manufacturing environment control platform system using smart plug and hybrid gateway}
본 발명은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에너지 및 환경 모니터링을 위해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기계장치에 연결되는 스마트 플러그, 상기 스마트 플러그와 양방향 무선통신하기 위한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 및 관리자가 제조환경을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대시보드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조업에서는 기존의 제조공장에 정보통신기술과 소프트웨어가 융합된 스마트 팩토리 도입을 추진 중이다.
현재의 제조공장은 통신 인프라가 열악하여 각 장비들의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어려움이 있고, 설비별, 센서별 인터페이스가 다양하여 데이터의 통합관리가 어렵다.
또한, 제조공장에서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각 설비별 전력 모니터링을 통한 설비 가동률, 전원 제어, 전기누전 등을 분석해야하지만, 공장 전원은 380V를 사용함으로 일반적으로 220V 전원을 사용하는 모니터링 장치로 설비별 전력 모니터링을 할 수 없고, 전원 배전반에서 설비별 전력 모니터링이 가능하나 고가의 비용을 지불해야한다.
또한, 제조공장에서는 산업재해 등에 대한 관리감독의 강화로 실시간 위험가스 및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문헌 1은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공장 내부를 촬영한 영상의 지능형 영상처리를 통해 공장 내의 특이사항을 관리하고, 안전관리 기능을 유지하며, 객체 추적을 통해 효과적인 조명을 제공하는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다만, 관련문헌 1은 모션감지센서와 조명장치를 제어하여 작업환경을 관제하는 시스템임으로, 제조공장의 각 설비별 전력을 측정할 수 없고, 작업환경의 주변 온도, 가스 등에 대한 데이터를 통합 분석하여 관제할 수 없다.
KR 10-183555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비별 전력모니터링 및 설비 주변의 제조환경 모니터링이 용이하도록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가스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단상 220V, 3상 380V에 사용 가능하도록 2종의 공장용 스마트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환경 내 음영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무선복합 통신방식을 갖는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제조실행시스템(MES) 등과 간단하게 연동되는 빅데이터 기반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 및 예측하여 제조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장치의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n개의 스마트 플러그, 두 개의 무선통신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와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m개의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 상기 공장의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연계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와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분석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대시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스마트 플러그는 컨버터부, 장치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센서부, 상기 전력측정부와 상기 환경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부하전원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는 무선통신 기준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사용하는 제 1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통신 기준으로 WPAN 802.15.4e를 사용하는 제 2무선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가스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단상 220V, 3상 380V에 사용 가능하도록 2종의 공장용 스마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설비별 전력모니터링 및 설비 주변의 제조환경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무선복합 통신방식을 갖는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하여 제조환경 내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제조실행시스템(MES) 등과 간단하게 연동되도록 하고,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 및 예측하므로 제조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의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장치의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n개의 스마트 플러그(100), 두 개의 무선통신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하는 m개의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 상기 공장의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연계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와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분석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 및 관리자가 모니터링하고,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대시보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의 본체 일측에는 단상 220V 또는 3상 380V 콘센트에 체결되는 공장용 플러그와 상기 본체 타측에는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여러 장치들의 플러그가 체결되는 콘센트를 구비한다.
즉,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는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여러 장치들 중 1개와 체결되므로 장치별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는 각종 센서를 구비하여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는 두 개의 무선통신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와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로부터 측정된 상기 장치의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기존에 제조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조실행시스템(MES)과 같은 시스템과 용이하게 연계되고, 상기 제조실행시스템(MES)에 축적된 다량의 데이터는 빅데이터의 기반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SaaS형 클라우드 서버이다. 여기서 SaaS는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PC에 설치하지 않아도 웹에서 소프트웨어를 빌려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말한다.
즉, 관리자의 PC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다면 관리자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의 어플리케이션을 웹에서 다운받아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와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로부터 측정된 상기 장치별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저장한다.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상기 제조실행시스템(MES)에서 추출한 데이터,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저장된 상기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여러 장치의 전력량을 기반으로 장비별 불량률을 예측한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상기 제조실행시스템(MES)에서 추출한 데이터,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저장된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분석한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제품생산 시 설정되는 공정변수와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이후에 최적의 공정변수가 설정될 수 있도록 관리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는 분석된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 중 온도와 습도를 기준으로 작업환경의 위험도를 판별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른 알람을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고,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관리자가 확인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예컨대, 상기 대시보두부(400)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으로 저장된 상기 장치별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예측된 장비별 불량률에 대한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로부터 분석된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에 대한 그래프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최적의 공정변수를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작업환경의 위험도에 따른 알람이 울리도록 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구역, 위험도, 위험수치, 해소방안 등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부(400)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제공된 제어신호는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를 통해서 전송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에 체결되어 있는 장치가 제어 또는 차단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플러그(100)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의 구성도이다.
도 2를 보면,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와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을 보다 자세히 살명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는 컨버터부(110), 장치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120),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센서부(130), 상기 전력측정부(120)와 상기 환경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140) 및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부하전원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는 상기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든 장치 수 또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장치 수만큼 있다.
즉,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는 장치 당 1개씩 체결되고, 전체적으로는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수 또는 모니터링이 필요한 장치 수인 n개가 있을 수 있다.
상기 n개의 스마트 플러그(100)는 측정된 전력량과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데이터를 제공하지 못하는 음역지역이 없도록 최적의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는 무선통신 기준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사용하는 제 1무선 송수신부(210) 및 상기 무선통신 기준으로 WPAN 802.15.4e를 사용하는 제 2무선 송수신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2무선 송수신부(220)는 제 1무선송수신부(210)로부터 전송된 시간당 전력사용량,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데이터가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전송한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는 상기 n개의 스마트 플러그(100)가 음영지역 없이 최적의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도록 m개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해보면, 상기 컨버터부(110)는 교류 단상인 220V 또는 교류 3상인 380V를 직류로 변환한다.
예컨대, 상기 컨버터부(110)는 상기 전력측정부(120)와 상기 부하전원 제어부(150)에 직류 5V로 변환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하고, 상기 환경센서부(130)와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에 직류 3.3V로 변환된 전원이 입력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력측정부(120)는 상기 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와 체결된 장치의 전력량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장치의 전력량을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에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환경센서부(130)는 상기 컨버터부(110)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측정된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에 전송한다.
상기 환경 센서부(130)에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가스 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경 센서부(130)에 의해서 상기 장치 주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배출량, 휘발성 유기화합물 발생량, 가스 발생량 등의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는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의 기준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블루투스 5.0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는 상기 전력측정부(120)에서 측정된 전력량과 상기 환경센서부(130)로부터 측정된 제조환경 데이터를 상기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상기 제 1무선 송수신부(210)에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 1무선 송수신부(210)는 무선 송수신부(140)와 같이 무선통신의 기준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 블루투스 5.0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부하전원 제어부(150)는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를 통해서 상기 대시보드부(400)의 제어부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에 체결되어 있는 장치의 전원을 제어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즉, 관리자가 상기 대시보드부(400)의 디스플레이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300)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모니터링 서비스 또는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장치 또는 구역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차단할 필요성을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대시보드부(400)의 제어부를 동작시킨다.
그러면 상기 대시보드부(400)의 제어부에서 발생된 제어신호는 상기 제 1무선 송수신부(210)에 의해서 무선 송수신부(140)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140)는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부하전원 제어부(150)에 전송하고, 상기 부하전원 제어부(150)는 상기 스마트 플러그(100)에 체결된 장치 또는 여러 스마트 플러그(100)에 체결된 장치들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차단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가스 센서가 내장되어 있고, 단상 220V, 3상 380V에 사용 가능하도록 2종의 공장용 스마트 플러그(100)를 이용하여 설비별 전력모니터링 및 설비 주변의 제조환경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스마트 플러그(100)와 무선복합 통신방식을 갖는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200)를 이용하여 제조환경 내 음영지역을 해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제조실행시스템(MES) 등과 간단하게 연동되도록 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기반으로 데이터를 분석 및 예측하므로 제조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aaS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이용하므로 대시보드부(400)에 소프트웨어 설치 없이 인터넷만 연결되어 있다면 용이하게 접속하고, 제조환경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0.. 스마트플러그
110.. 컨버터부
120.. 전력측정부
130.. 환경센서부
140.. 무선 송수신부
150.. 부하전원 제어부
200..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
210.. 제 1무선 송수신부
220.. 제 2무선 송수신부
300..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
400.. 대시보드부

Claims (7)

  1. 본체 일측에는 220V 또는 380V 콘센트에 체결되는 플러그와 타측에는 공장에서 사용되는 장치의 플러그가 체결되는 콘센트를 구비하고, 상기 장치의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스마트 플러그;
    두 개의 무선통신 기준을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플러그와 양방향으로 통신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측정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송수신하는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
    상기 공장의 제조실행시스템(MES)과 연계되고,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된 상기 전력량과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장치와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분석하는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분석된 데이터를 관리자가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장치의 전력제어 또는 과부하 차단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도록 하는 대시보드부; 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교류인 220V 또는 380V를 직류로 변환하는 컨버터부;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와 체결된 장치의 전력량을 측정하는 전력측정부;
    상기 컨버터부로부터 변환된 직류전원으로 작동하고, 상기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을 측정하는 환경센서부;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력측정부와 상기 환경센서부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무선 송수신부로부터 상기 장치의 전력제어 또는 과부하 차단 지시가 전송되면 상기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부하전원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는
    상기 제조환경에서 사용되는 n개의 장치 수만큼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센서부는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이산화탄소 센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센서, 가스 센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와 무선으로 연결되고, 무선통신 기준으로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사용하는 제 1무선 송수신부; 및
    상기 제 1무선 송수신부와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에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 기준으로 WPAN 802.15.4e를 사용하는 제 2무선 송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는
    스마트 플러그에 의해서 최적의 무선 메쉬 네트워크를 구성되기 위해 m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는
    제품생산 시 설정하는 공정변수와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정보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상기 장치의 불량률을 예측하여 최적의 공정변수를 설정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n개의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측정된 각 장치 주변의 제조환경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빅데이터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n개의 스마트 플러그로부터 측정된 온도와 습도를 기준으로 작업환경의 위험도를 판별하고, 상기 위험도에 따른 알람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KR1020190144506A 2019-11-12 2019-11-12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KR202100575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06A KR20210057577A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506A KR20210057577A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577A true KR20210057577A (ko) 2021-05-21

Family

ID=76157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506A KR20210057577A (ko) 2019-11-12 2019-11-12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57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52B1 (ko) 2016-07-27 2018-03-08 주식회사 바이테크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552B1 (ko) 2016-07-27 2018-03-08 주식회사 바이테크 스마트 팩토리 작업환경 관제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4211B (zh) 一种基于无线网络的污水处理工艺过程监控系统
KR102085655B1 (ko) 전력선 통신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산업용 plc 연동 및 스마트 팩토리 설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a/s 유지보수 방법
CN102591284B (zh) 基于无线传感网络的污水处理工程监控系统
KR102248727B1 (ko) 멀티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전력 IoT 게이트웨이
CN110100212B (zh) 信息处理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20190088581A (ko) Fbd 머신러닝 기반의 동적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060527A1 (en) Edge gateway system with data typing for secured process plant data delivery
CN103440726B (zh) 电气火灾预警信息处理方法和系统
KR20130120657A (ko) 스마트 그리드 연동 장치
US10915081B1 (en) Edge gateway system for secured, exposable process plant data delivery
CN112685195A (zh) 基于微服务技术的无人值守机房管理方法、服务器和系统
CN204515507U (zh) 基于物联网的机电设备运行远程监控管理系统
CN113264449B (zh) 实现智能塔吊的智慧工地物联网协同系统和方法
CN113179291A (zh) 一种物联网安全用电系统
CN112540573A (zh) 具有情境化过程工厂知识库的边缘网关系统
KR20160034023A (ko) 인터넷 기반의 통합 웹 모니터링 시스템
KR20190043668A (ko) Web 플랫폼을 이용한 plc 및 시퀀스 회로 제어 시스템, 그 방법
CN113885408A (zh) 一种远程运维系统
KR20090001509A (ko) 변전소 모니터링 시스템
KR102411824B1 (ko) 인공지능 기반의 공장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7577A (ko) 스마트 플러그와 하이브리드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클라우드 기반의 제조환경 관제 플랫폼 시스템
JP2013047946A (ja) コンピューターネットワークに基づく危険状態監視システム及び危険状態処理サーバー
CN111754001A (zh) 展示三维巡检数据的方法和智能巡检系统
Kim Weather condition double checking in internet SCADA environment
KR20180030333A (ko)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