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7290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7290A
KR20210057290A KR1020190143877A KR20190143877A KR20210057290A KR 20210057290 A KR20210057290 A KR 20210057290A KR 1020190143877 A KR1020190143877 A KR 1020190143877A KR 20190143877 A KR20190143877 A KR 20190143877A KR 20210057290 A KR20210057290 A KR 202100572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fastening
lever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선학
신동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7290A/ko
Publication of KR20210057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72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1)는 상대 커넥터(1')와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에는 체결레버(14)가 있고, 상기 체결레버(14)의 레버몸체(16)에는 상대 커넥터(1')의 상대 하우징(40)에 있는 걸림부(42)에 걸어지는 체결턱(18)이 있다. 상기 레버몸체(16)에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단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20)가 있고, 상기 경사부(20)에는 아치형돌부(22)가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아치형돌부(22)나 경사부(20)를 눌러주면 상기 체결턱(18)이 상기 걸림부(42)에서 분리될 수 있게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커넥터와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 하우징에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터미널과 터미널이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결합할 때에는 하우징사이의 결합력, 터미널 사이의 결합력 등을 모두 합친 만큼의 결합력이 필요하다. 하우징 사이의 결합을 위한 체결레버와 걸림부 사이의 결합력도 전체 커넥터 결합력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일반적으로 작업자들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결합할 때,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킨 상태로 하지 않고 하우징의 후단이나 와이어를 잡고 힘을 가한다. 따라서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지 않은 상태로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에 안내되면서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힘까지 전체 체결력에 더해지므로, 체결력의 세기가 더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탄성변형되는 체결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진행하는 경우에는 체결레버의 체결턱과 상대 커넥터 하우징의 걸림부 사이에 유격이 필요하여, 커넥터의 결합 후에 진동에 의한 소음 발생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결레버를 사용하여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하는 경우에 체결레버를 탄성변형시키지 않고 와이어나 하우징에 직접 가해지는 강제 해제력이 일정 크기 이상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턱과 상대 하우징의 걸림부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는 경우도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9-6195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체결레버를 커넥터 결합방향으로 밀더라도 탄성변형이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 사이의 체결을 유지하기 위한 체결레버의 체결턱과 상대 하우징의 걸림부 사이에 유격을 없애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결레버의 체결턱과 상대 하우징의 걸림부 사이의 결합력을 높이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는 터미널공간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일측에 걸어져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유지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레버몸체 후단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선단연결부가 있고, 상기 레버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에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 아치형돌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레버몸체 후단은 상기 하우징과 후단연결부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관통하는 터미널공간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일측에 걸어져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유지하며 후단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있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유격방지공에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을 가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유격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선단연결부가 있고, 상기 레버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부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에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 아치형돌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에 후단연결부를 통해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적어도 하나 이상 가진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체결레버의 후단에 경사부를 두고 작업자가 하우징을 잡고 커넥터를 결합하는 방향으로 밀면 체결레버의 경사부가 밀리면서 체결레버에 탄성변형이 발생하여 체결턱의 위치가 낮아져 상대 커넥터의 걸림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작업자들이 체결레버를 직접 눌러주지 않더라도 커넥터 사이의 결합력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측 커넥터의 선단에 상대 커넥터의 걸림부와 체결레버의 체결턱 사이의 유격을 없앨 수 있도록 안내경사면을 가진 유격방지부를 두었다. 상기 유격방지부의 안내경사면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쪽으로 작업자가 제공하는 힘에 의해 이동하였다가 약간 후퇴하도록 하여 체결레버의 체결턱이 상대 하우징의 걸림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체결레버의 체결턱과 걸림부 사이의 유격이 없어져 진동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레버가 선단에서 하우징에 연결되는 선단연결부는 상기 체결레버의 체결턱을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단연결부의 경사는 체결레버의 체결턱을 상대 하우징의 걸림부에 밀착시키는 역할을 하여 커넥터 사이를 강제로 분리하려는 강제력에 저항할 수 있게 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중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가 상대 커넥터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에서 작업자가 커넥터를 결합할 때 가한 힘에 의해 체결레버가 탄성변형되는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 실시례의 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전후로 관통되게 터미널공간(12)이 있다. 상기 터미널공간(12)에는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 터미널(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일측 외면에는 체결레버(14)가 있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대 커넥터(1')와의 체결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레버(14)는 탄성변형 가능한 것이다. 상기 체결레버(14)는 본 실시례에서는 양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체결레버(14)는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아래에서 설명될 후단연결부(17')가 없을 수도 있다.
상기 체결레버(14)의 골격을 레버몸체(16)가 형성한다. 상기 레버몸체(16)는 본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인 바아 형상이다. 상기 레버몸체(16)의 선단은 하우징(10)에 선단연결부(17)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선단연결부(17)는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되지 않고, 하우징(10)의 후단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체결레버(14)의 체결턱(18)이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강제력이 주어질 때 체결레버(14)가 잘 버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3에서 선단연결부(17)의 전면이 하우징(10)의 표면과 직교하는 가상의 선과 예각(a)을 이루도록 되는 것에서 잘 알 수 있다.
상기 레버몸체(16)의 후단은 하우징(10)의 후단에 후단연결부(17')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선단연결부(17)와 후단연결부(17')에 의해 양단이 하우징(10)에 연결되어 양단지지보 형태가 된다.
상기 레버몸체(16)에는 체결턱(18)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체결턱(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 걸어져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가 체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몸체(16)의 후단은 소정의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 부분을 경사부(20)라고 칭하는데, 상기 경사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을 향해 하향 경사진다. 상기 경사부(20)의 일단부는 상기 후단연결부(17')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몸체(16)의 경사부(20)에는 아치형돌부(22)가 있다. 상기 아치형돌부(22)는 대략 반원형판 형상이다. 상기 아치형돌부(22)는 작업자가 손으로 눌러 힘을 가하는 부분이다. 상기 아치형돌부(22)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후단을 향해 경사지게 된다. 이는 상기 경사부(20)에 상기 아치형돌부(22)가 위치되기 때문이다.
상기 체결레버(16)의 폭방향 양단에 해당되는 하우징(10)의 외면에는 보호리브(24)가 있다. 상기 보호리브(24)는 외부에서 불의의 외력이 체결레버(14)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는 유격방지부(26)가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26)는 상기 체결레버(14)의 선단 전방에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26)는 상기 보호리브(24)의 선단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유격방지부(26)에는 안내경사면(28)이 있다. 상기 안내경사면(28)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데, 상기 안내경사면(28)이 상대 하우징(40)의 일측에 안내되어 상기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40)쪽으로 갔다가 다시 반대방향으로 밀리도록 한다. 이는 상기 안내경사면(28)이 상대 하우징(40)의 일측에 안내될 때, 상기 유격방지부(26)측에 약간의 탄성변형이 발생하도록 하고, 작업자가 하우징(10)을 밀어주는 힘이 없어지면 상기 탄성변형이 복원되도록 하여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40)과 결합을 위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이동은 상기 하우징(10)에 있는 체결레버(14)의 체결턱(18)이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 유격없이 걸어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1)와 결합되는 상대 커넥터(1')의 외관과 골격을 상대 하우징(40)이 형성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구성을 편의상 일부만 도시하고 있다. 상기 상대 하우징(40)도 절연성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내부 일측에 걸림부(42)가 있다. 상기 걸림부(42)는 도 4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체결레버(14)의 체결턱(18)이 걸어지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내부에는 유격방지공(43)이 있다. 상기 유격방지공(43)은 상기 유격방지부(26)의 선단 부분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유격방지공(43)은 상기 유격방지부(26)의 선단이 삽입될 때, 그 내면이 상기 안내경사면(28)을 안내하는데, 상기 유격방지부(26)에 탄성변형이 발생해서 그 복원력으로 유격방지부(26)가 유격방지공(43)에서 역방향으로 빠져나가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원칙적으로,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를 결합할 때, 상기 체결레버(14)의 경사부(20) 또는 아치형돌부(22)를 눌러서 상기 걸림부(42)에 상기 체결턱(18)이 걸리지 않을 위치에 있도록 하고, 상기 커넥터(1)의 하우징(10)을 상대 커넥터(1')의 상대 하우징(40)의 내부로 삽입한다. 참고로 도 5에는 상기 체결레버(14)의 경사부(20) 또는 아치형돌부(22)가 눌러져서 탄성변형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유격방지부(26)의 안내경사면(28)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유격방지공(43) 내면을 따라 최대한 안쪽으로 들어갈 때까지 상기 하우징(10)을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20) 또는 아치형돌부(22)를 누르던 힘을 제거한다.
상기 경사부(20) 또는 아치형돌부(22)를 누르던 힘이 제거되면 상기 체결레버(20)는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체결레버(14)의 체결턱(18)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 걸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유격방지부(26)의 안내경사면(28)이 상대 하우징(40)의 유격방지공(43)의 내면을 따라 안내되면서, 유격방지부(26)가 탄성변형되었다가 상기 하우징(10)의 결합을 위한 힘이 제거되면 복원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은 상기 상대 하우징(40)에 대해 결합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체결턱(18)이 상기 걸림부(42)에 틈새없이 밀착되도록 한다.
한편, 작업자들이 상기 체결레버(14)의 경사부(20)나 아치형돌부(22)에 상기 경사부(20) 하면이 하우징(10) 표면쪽으로 이동하게 눌러주는 힘을 가하지 않고, 상기 체결레버(14)의 후단연결부(17')와 아치형돌부(22) 사이를 손가락으로 잡고 상기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4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밀어서 힘을 가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경사부(20)의 존재와 상기 아치형돌부(22)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1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탄성변형될 수 있다. 물론, 작업자가 정확하게 상기 아치형돌부(22)를 눌러주는 것과 동일하지는 않지만, 상기 하우징(10)이 상대 하우징(4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밀어줌에 의해서 체결레버(14)의 체결턱(18)이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 걸어지지 않고, 걸어지더라도 최소로만 간섭되도록 하여 체결력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 사이의 체결을 해제하는 것은 작업자가 상기 경사부(20) 또는 아치형돌부(22)를 눌러서 상기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되도록 함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되면서, 상기 체결턱(18)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의 걸림부(42)에서 빠져나온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이 상기 상대 하우징(40)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커넥터(1)와 상대 커넥터(1') 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분리된다.
한편, 상기 체결레버(14)의 선단에 있는 선단연결부(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커넥터 1': 상대 커넥터
10: 하우징 12: 터미널공간
14: 체결레버 16: 레버몸체
17: 선단연결부 17': 후단연결부
18: 체결턱 20: 경사부
22: 아치형돌부 24: 보호리브
26: 유격방지부 28: 안내경사면
40: 상대 하우징 42: 걸림부
43: 유격방지공

Claims (9)

  1. 내부를 관통하는 터미널공간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일측에 걸어져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유지하는 체결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레버의 레버몸체 후단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경사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선단연결부가 있고, 상기 레버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 아치형돌부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레버몸체 후단은 상기 하우징과 후단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
  5. 내부를 관통하는 터미널공간에 터미널이 설치되고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탄성변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상대 하우징 일측에 걸어져 상대 커넥터와의 체결을 유지하며 후단에 상기 하우징의 후단 외면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부가 있는 체결레버와,
    상기 하우징의 선단에 구비되어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유격방지공에 안내되는 안내경사면을 가지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유격방지부를 포함하는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골격을 레버몸체가 형성하는데, 상기 레버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는 선단연결부가 있고, 상기 레버몸체의 후단에는 상기 경사부가 형성되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연결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단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는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 아치형돌부가 더 구비되는 커넥터.
  9. 제 5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레버의 후단은 상기 하우징에 후단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 커넥터.
KR1020190143877A 2019-11-12 2019-11-12 커넥터 KR202100572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7A KR20210057290A (ko) 2019-11-12 2019-11-12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877A KR20210057290A (ko) 2019-11-12 2019-11-12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7290A true KR20210057290A (ko) 2021-05-21

Family

ID=7615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877A KR20210057290A (ko) 2019-11-12 2019-11-12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729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1953A (ja) 2017-09-22 2019-04-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61953A (ja) 2017-09-22 2019-04-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及び電気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9733B1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7108542B2 (en) Connector apparatus with a mating detecting member called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KR20020046947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8419462B2 (en) Lever type connector
KR20170120115A (ko) 체결 장치를 구비하는 플러그 커넥터
US6537098B2 (en) Connector fitting construction using resilient force
WO2019082754A1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KR100796028B1 (ko) 커넥터 록킹구조
WO2024094142A1 (zh) 一种位置保持装置及连接器组件
JP2006505104A (ja) フレキシブル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WO2019131372A1 (ja) コネクタ
CN111384643B (zh) 连接器
JP2004146182A (ja) コネクタ
EP2876744A1 (en) Connector with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EP3879637A1 (en) Connector lock structure
KR20210057290A (ko) 커넥터
JP6933941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US9525238B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JP7312360B2 (ja) コネクタ
KR20210084146A (ko) 커넥터 조립체
US20200112126A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KR20200100478A (ko) 커넥터
KR20210055523A (ko) 커넥터
KR200497743Y1 (ko) 압박 부품 및 그 커넥터
JP5821831B2 (ja) コネク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