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797A -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797A
KR20210056797A KR1020190143691A KR20190143691A KR20210056797A KR 20210056797 A KR20210056797 A KR 20210056797A KR 1020190143691 A KR1020190143691 A KR 1020190143691A KR 20190143691 A KR20190143691 A KR 20190143691A KR 20210056797 A KR20210056797 A KR 20210056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cover
frame
coupling point
mounting bracket
s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선동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3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6797A/ko
Priority to US16/905,369 priority patent/US11254267B2/en
Priority to CN202010657743.1A priority patent/CN112776731A/zh
Publication of KR2021005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3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61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covering undersurfaces of vehicles, e.g. wheel ho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2013/0807Arrangements of fasteners or clip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은,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 언더커버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에 대해 이격되는 언더커버 장착부; 및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 및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VEHICLE UNDERCOV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UNDERCOVER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속기, 엔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언더커버를 트럭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트럭은 화물이나 무거운 물건을 운송하기 위한 차량으로, 트럭 프레임은 트럭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사이드레일을 가지며, 한 쌍의 사이드레일은 트럭의 폭방향으로 이격되고, 각 사이드레일은 일정 높이를 가진 웨브(web) 및 웨브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한 쌍의 플랜지(flange)를 가진 C-형상의 빔(beam)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트럭 프레임은 사이드레일들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로스멤버를 가지며, 크로스멤버는 사이드레일들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길이 및 각 사이드레일의 웨브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지고, 이에 각 크로스멤버는 사이드레일들의 웨브들 사이의 빈 공간을 채우도록 구성된다.
엔진, 변속기 등과 같은 파워트레인 컴포넌트(powertrain component)가 트럭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고, 이에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하부를 보호하기 위한 언더커버(undercover)가 장착될 수 있다. 언더커버는 차량의 주행 도중에 지면으로부터 날아오는 돌 등이 변속기, 엔진 등과 같은 파워트레임 컴포넌트를 타격함을 방지하고, 진흙이나 제설제인 염화칼슘 등이 변속기, 엔진 등을 오염시킴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언더커버는 변속기, 엔진 등과 같은 파워트레인 컴포넌트가 트럭 프레임의 아래로 노출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터널 형상을 가지고, 언더커버는 복수의 마운팅브라켓을 통해 트럭 프레임에 장착된다. UREA 탱크, ESS(Emergency Steering System) 등과 같은 다양한 샤시부품들(components)이 언더커버에 인접한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직접적으로 부착된다. 복수의 마운팅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브라켓은 트럭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지 않고 UREA 탱크에 직접적으로 결합됨으로써 다른 샤시부품들과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UREA 탱크에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마운팅브라켓은 다수의 부재가 소요됨에 따라 그 제조비용이 상승할 뿐만 아니라 조립공정이 번거로워질 수 있으므로 언더커버의 오조립 내지 미조립 등이 초래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제동튜브, 연료튜브 등과 같은 튜브가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레일 상에 설치될 때,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브라켓 등)이 부착될 공간을 확보할 수 없으므로 튜브가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배열될 수 없고, 이로 인해 튜브가 사이드레일 상에서 일정각도로 꺽이므로 튜브의 장착품질을 확보할 수 없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변속기, 엔진 등과 같은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를 보호하기 위한 언더커버를 트럭 프레임에 직접적으로 결합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언더커버 바디를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으로,
상기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
상기 언더커버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에 대해 이격되는 언더커버 장착부; 및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 및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프레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는 상기 언더커버 바디에 결합되는 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레일은 수직으로 연장된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플랜지와, 상기 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플랜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의 웨브와 접촉하는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 바디를 향해 융기된 제1비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는 상기 언더커버 바디와 접촉하는 평탄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의 하측플랜지와 접촉하는 제2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상향으로 융기된 제2비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비드는 상기 제1비드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튜브를 상기 연결부에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이 조여지는 조임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언더커버측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와 평행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언더커버측 장착부 및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트럭 프레임의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사이에 장착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로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부와, 상기 바닥부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2사이드부를 가진 언더커버 바디;
상기 제1사이드부의 전방단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제1사이드부의 후방단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제2사이드부의 전방단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후방단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부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트럭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트럭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부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결합되는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프셋될 수 있다.
상기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브라켓은 튜브를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이 조여지는 조임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언더커버 바디의 제1사이드부의 후방단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트럭 프레임의 제1사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의 프레임측 장착부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가 이격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를 트럭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기타 다른 컴포넌트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언더커버 바디의 제2사이드부의 후방단이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에 의해 트럭 프레임의 제2사이드레일에 결합되고,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의 프레임측 장착부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가 이격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를 트럭 프레임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기타 다른 컴포넌트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 이상의 튜브가 스트랩 및 조임홈을 통해 제1 및 제2 후방 마운팅브라켓에 결속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튜브는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의 하측 플랜지 상에서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튜브의 장착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이 언더커버 바디의 후방단 및 제1사이드레일 사이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복수의 튜브가 스트랩들을 통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C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서 화살표 D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화살표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이 언더커버 바디의 후방단 및 제2사이드레일 사이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화살표 E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에서 화살표 F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0에서 화살표 G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언더커버 어셈블리(10)는 언더커버 바디(20)와, 언더커버 바디(20)를 트럭 프레임(30)에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마운팅브라켓(41, 42, 43, 44)을 포함할 수 있다.
트럭 프레임(30)은 트럭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이격된 제1사이드레일(31) 및 제2사이드레일(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사이드레일(31) 및 제2사이드레일(32)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레일(31)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사이드레일(31)은 C형상의 단면 또는 I형상의 단면을 가진 빔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사이드레일(31)은 수직(트럭프레임(30)의 높이방향에 해당됨)으로 연장된 제1웨브(51)와, 제1웨브(51)의 상단에 형성된 제1상측플랜지(53)와, 제1웨브(51)의 하단에 형성된 제1하측플랜지(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사이드레일(32)은 차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2사이드레일(12)은 C형상의 단면 또는 I형상의 단면을 가진 빔일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사이드레일(32)은 수직(트럭프레임(30)의 높이방향에 해당됨)으로 연장된 제1웨브(52)와, 제2웨브(52)의 상단에 형성된 제2상측플랜지(54)와, 제2웨브(52)의 하단에 형성된 제2하측플랜지(56)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크로스멤버(미도시)가 제1사이드레일(11) 및 제2사이드레일(1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외장컴포넌트(미도시)가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 및 제2사이드레일(32)에 브라켓 등을 통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의 외장부컴포넌트는 우레아탱크, ESS(Emergency Steering System), 배터리, 컨트롤러, 쿨링모듈(cooling module), 냉장기(chiller) 들일 수 있다.
변속기, 엔진 등과 같은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들이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 및 제2사이드레일(32) 사이에 브라켓들을 통해 장착될 수 있고,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하부는 트럭 프레임(30)의 아래로 노출될 수 있다.
언더커버 바디(20)는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 및 제2사이드레일(32)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언더커버 바디(20)는 트럭 프레임(30)의 아래로 노출된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하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하부를 보호할 수 있다.
언더커버 바디(20)는 바닥부(23)와, 바닥부(23)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부(21)와, 바닥부(23)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2사이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23)는 트럭 프레임(3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고, 바닥부(23)는 변속기, 엔진 등과 같은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바닥을 커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완충재(24)가 바닥부(23)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의 바닥이 완충재(2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사이드부(21)는 제1사이드레일(31)에 복수의 마운팅브라켓(41, 43)을 통해 장착될 수 있고, 제1사이드부(21)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 등을 회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1개구(21a)를 가질 수 있다.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은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41)을 통해 제1사이드레일(31)에 장착될 수 있고,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은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을 통해 제1사이드레일(31)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사이드부(22)는 제2사이드레일(32)에 복수의 마운팅브라켓(42, 44)을 통해 장착될 수 있고, 제2사이드부(22)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 등을 회피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2개구(22a)를 가질 수 있다.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은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42)을 통해 제2사이드레일(32)에 장착될 수 있고,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은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을 통해 제2사이드레일(32)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 및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은 차량의 전방을 향하는 단부이고,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 및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은 차량의 후방을 향하는 단부이다.
복수의 브라켓(41, 42, 43, 44)는 언더커버 바디(20)의 각 단부(21a, 21b, 22a, 22b)를 해당하는 각 사이드레일(31, 32)에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41)은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과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41)은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 및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하측플랜지(55)에 부합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41)은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81)과, 언더커버 바디(20)의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에 장착되는 언더커버측 장착부(82)과, 프레임측 장착부(8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82)를 연결하는 연결부(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41)은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41a) 및 언더커버 바디(20)의 제1사이드부(21)의 전방단(21a)에 결합되는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1b)를 가질 수 있다.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41a)이 프레임측 장착부(8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1b)이 언더커버측 장착부(82)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41a) 및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1b)는 트럭 프레임(3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고, 이에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41a) 및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1b)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선(X1)은 트럭 프레임(30)의 폭과 평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42)은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과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42)은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 및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하측플랜지(56)에 부합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42)은 트럭 프레임(30)의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91)과, 언더커버 바디(20)의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에 장착되는 언더커버측 장착부(92)과, 프레임측 장착부(9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92)를 연결하는 연결부(9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42)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42a) 및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제2사이드부(22)의 전방단(22a)에 결합되는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2b)를 가질 수 있다.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42a)이 프레임측 장착부(91)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2b)이 언더커버측 장착부(92)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42a) 및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2b)는 트럭 프레임(30)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될 수 있고, 이에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42a) 및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2b)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선(X2)은 트럭 프레임(30)의 폭과 평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은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과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43a) 및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언더커버 바디(20)의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에 결합되는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3b)를 가질 수 있다.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은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61)과, 언더커버 바디(20)의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에 장착되는 언더커버측 장착부(62)과, 프레임측 장착부(6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62)를 연결하는 연결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측 장착부(61)는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프레임측 장착부(61)는 제1웨브(51)와 접촉하는 제1평탄부(61a) 및 제1평탄부(61a)로부터 언더커버 바디(20)를 향해 융기된(raised) 제1비드(61b)를 가질 수 있다.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43a)는 프레임측 장착부(61)의 상단에 형성된 홀 또는 슬롯일 수 있고, 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43a) 및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에 체결됨으로써 프레임측 장착부(61)는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웨브(51)에 장착될 수 있다.
언더커버측 장착부(62)는 제1사이드부(21)의 후방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제1언더커버측 장착부(62)는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과 기밀하게 접촉하도록 평탄할 수 있다.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3b)는 언더커버측 장착부(62)의 하단에 위치된 홀 또는 슬롯일 수 있고, 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3b) 및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에 체결됨으로써 언더커버측 장착부(62)는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63)는 제1사이드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63)는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하측 플랜지(55)와 접촉하는 제2평탄부(63a) 및 평탄부(63a)로부터 상향으로 융기된 제2비드(63b)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연결부(63)의 제2비드(63b)는 프레임측 장착부(61)의 제1비드(61b)에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언더커버측 장착부(62)는 프레임측 장착부(61)에 대해 평행할 수 있고, 연결부(63)는 프레임측 장착부(6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62)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프레임측 장착부(61)가 언더커버측 장착부(62)에 대해 제1사이드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연결부(63)는 제1사이드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43a)은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3b)에 대해 제1사이드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g1)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43a)가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3b)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즉, 프레임측 장착부(61)가 언더커버측 장착부(62) 보다 차량의 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더커버 바디(20)의 제1사이드부(21)의 후방단(21b)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에 의해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에 결합되고, 특히 프레임측 장착부(6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62)가 이격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변속기, 엔진 등)를 트럭 프레임(3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기타 다른 컴포넌트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연결부(63)는 제동튜브, 연료튜브 등과 같은 튜브를 연결부(63)에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66, 67)이 조여지는 하나 이상의 조임홈(64, 65)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은 연결부(63)의 전방단에 형성된 제1조임홈(64) 및 연결부(63)의 후방단에 형성된 제2조임홈(65)을 가질 수 있다. 제1조임홈(64)은 연결부(63)의 전방단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해 돌출한 돌기(64a)에 의해 한정될 수 있고, 제2조임홈(65)은 연결부(63)의 후방단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돌출한 돌기(65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스트랩(66)이 연료튜브(3) 및 제1조임홈(64) 둘레에 조여짐으로써 연료튜브(3)는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연결부(63)에 결속될 수 있다. 이에, 연료튜브(3)가 제1스트랩(66) 및 제1조임홈(64)에 의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연결부(63)에 결속될 수 있으므로 연료튜브(3)는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하측 플랜지(55)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제2스트랩(67)이 2개의 제동튜브(4) 및 제2조임홈(65) 둘레에 조여짐으로써 2개의 제동튜브(4)는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연결부(63)에 결속될 수 있다. 이에, 제동튜브(4)들이 제2스트랩(67) 및 제2조임홈(65)에 의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의 연결부(63)에 결속될 수 있으므로 제동튜브(4)들이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하측 플랜지(55)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 이상의 튜브(3, 4)가 스트랩(66, 67)들 및 조임홈(64, 65)들을 통해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43)에 결속될 수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튜브(3, 4)는 트럭 프레임(30)의 제1사이드레일(31)의 제1하측 플랜지(55) 상에서 제1사이드레일(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고, 이를 통해 튜브(3, 4)의 장착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은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과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은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트럭 프레임(30)의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에 결합되는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44a) 및 체결구,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는 언더커버 바디(20)의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에 결합되는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4b)를 가질 수 있다.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은 트럭 프레임(30)의 제2사이드레일(32)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71)과, 언더커버 바디(20)의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에 장착되는 언더커버측 장착부(72)과, 프레임측 장착부(7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72)를 연결하는 연결부(73)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측 장착부(71)는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프레임측 장착부(71)는 제2웨브(52)와 접촉하는 제1평탄부(71a) 및 제1평탄부(71a)로부터 언더커버 바디(20)를 향해 융기된(raised) 제1비드(71b)를 가질 수 있다.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44a)는 프레임측 장착부(71)의 상단에 위치된 홀 또는 슬롯일 수 있고, 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44a) 및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에 체결됨으로써 프레임측 장착부(71)는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웨브(52)에 장착될 수 있다.
언더커버측 장착부(72)는 제2사이드부(22)의 후방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언더커버측 장착부(72)는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과 접촉하는 평탄부(72a)를 가질 수 있다.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4b)는 언더커버측 장착부(72)의 하단에 위치된 홀 또는 슬롯일 수 있고, 이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구가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4b) 및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에 체결됨으로써 언더커버측 장착부(72)는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에 장착될 수 있다.
연결부(73)는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하측 플랜지(56)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연결부(73)는 제2사이드레일(32)의 제2하측 플랜지(56)와 접촉하는 제2평탄부(73a) 및 제2평탄부(73a)로부터 상향으로 융기된 제2비드(73b)를 가질 수 있다. 특히, 연결부(73)의 제2비드(73b)는 프레임측 장착부(71)의 제1비드(71b)에 연속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이에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의 강성이 강화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언더커버측 장착부(72)는 프레임측 장착부(71)에 대해 평행할 수 있고, 연결부(73)는 프레임측 장착부(7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72)에 대해 직교할 수 있다.
프레임측 장착부(7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72)가 제2사이드레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연결부(73)는 제2사이드레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특히,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44a)은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4b)에 대해 제2사이드레일(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g2)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44a)가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44b)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오프셋될 수 있다. 즉, 프레임측 장착부(71)가 언더커버측 장착부(72) 보다 차량의 후방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언더커버 바디(20)의 제2사이드부(22)의 후방단(22b)이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에 의해 트럭 프레임(30)의 제2사이드레일(32)에 결합되고, 특히 프레임측 장착부(71) 및 언더커버측 장착부(72)가 이격됨으로써 파워트레인 컴포넌트(변속기, 엔진 등)을 트럭 프레임(30)에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 기타 다른 컴포넌트 등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은 제동튜브, 연료튜브 등과 같은 튜브를 결속하는 스트랩(미도시)이 조여지는 하나 이상의 조임홈(74)을 가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44)은 연결부(73)의 후방단에 형성된 조임홈(74)을 가질 수 있다. 조임홈(74)은 연결부(73)의 후방단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해 돌출한 돌기(74a)에 의해 한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더커버 바디(20)의 모든 단부(21a, 21b, 22a, 22b)가 복수의 마운팅브라켓(41, 42, 43, 44)을 통해 트럭 프레임(30)에 장착됨으로써 언더커버 바디(20)의 장착강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언더커버 바디(20)의 조립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언더커버 어셈블리 20: 언더커버 바디
21: 제1사이드부 22: 제2사이드부
23: 바닥부 30: 트럭 프레임
31: 제1사이드레일 32: 제2사이드레일
41: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 42: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
43: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 44: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
51: 제1웨브 52: 제2웨브
53: 제1상측플랜지 54: 제2상측플랜지
55: 제1하측플랜지 56: 제2하측플랜지
61, 71, 81, 91: 프레임측 장착부
62, 72, 82, 92: 언더커버측 장착부
63, 73, 83, 93: 연결부

Claims (14)

  1.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언더커버 바디를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으로,
    상기 트럭 프레임의 사이드레일에 장착되는 프레임측 장착부;
    상기 언더커버 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에 대해 이격되는 언더커버 장착부; 및
    상기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 및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에 결합되는 프레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는 상기 언더커버 바디에 결합되는 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며, 상기 프레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오프셋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레일은 수직으로 연장된 웨브와, 상기 웨브의 상단에 형성된 상측플랜지와, 상기 웨브의 하단에 형성된 하측플랜지를 가지고,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의 웨브와 접촉하는 제1평탄부 및 상기 제1평탄부로부터 상기 언더커버 바디를 향해 융기된 제1비드를 가진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 장착부는 상기 언더커버 바디와 접촉하는 평탄부를 가지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사이드레일의 하측플랜지와 접촉하는 제2평탄부 및 상기 평탄부로부터 상향으로 융기된 제2비드를 가진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비드는 상기 제1비드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튜브를 상기 연결부에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이 조여지는 조임홈을 가지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더커버측 장착부는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와 평행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언더커버측 장착부 및 상기 프레임측 장착부에 대해 직교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9. 트럭 프레임의 제1사이드레일 및 제2사이드레일 사이에 장착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로서,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제1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1사이드부와, 상기 바닥부의 제2가장자리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 제2사이드부를 가진 언더커버 바디;
    상기 제1사이드부의 전방단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제1사이드부의 후방단 및 상기 제1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
    상기 제2사이드부의 전방단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후방단 및 상기 제2사이드레일을 연결하는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에 결합되는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부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제1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트럭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결합되는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전방단에 결합되는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제2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트럭 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일렬로 정렬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제1웨브에 결합되는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1사이드부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제3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3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제2사이드레일의 제2웨브에 결합되는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2사이드부의 후방단에 결합되는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를 가지고,
    상기 제4프레임측 결합포인트 및 상기 제4언더커버측 결합포인트는 상기 제1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오프셋되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1후방 마운팅브라켓 및 상기 제2후방 마운팅브라켓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마운팅브라켓은 튜브를 결속하기 위한 스트랩이 조여지는 조임홈을 가지는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KR1020190143691A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KR20210056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91A KR20210056797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US16/905,369 US11254267B2 (en) 2019-11-11 2020-06-18 Vehicle undercover mounting bracket and vehicle undercover assembly having the same
CN202010657743.1A CN112776731A (zh) 2019-11-11 2020-07-09 车辆下罩安装支架和车辆下罩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691A KR20210056797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797A true KR20210056797A (ko) 2021-05-20

Family

ID=75750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691A KR20210056797A (ko) 2019-11-11 2019-11-11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54267B2 (ko)
KR (1) KR20210056797A (ko)
CN (1) CN112776731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389B2 (ja) * 2007-10-19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アンダーカバー
JP6393336B2 (ja) * 2014-09-04 2018-09-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下部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8978A1 (en) 2021-05-13
US11254267B2 (en) 2022-02-22
CN112776731A (zh) 202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859B2 (en) Trailer with rear impact guard
KR0173068B1 (ko) 차체후부구조 및 그 취부방법
US11110962B2 (en) Rear chassis module for vehicle
US8408566B2 (en) Subframe
US8118350B2 (en) Vehicle body with a floor-side reinforcement
CN109131582B (zh) 车身前部构造
US20190232910A1 (en) Utility vehicle
US8020925B2 (en) Front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US9096274B2 (en) Front structure for vehicle
US10279845B2 (en) Vehicle rear body structure
US8408638B2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20180304937A1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EP3075609B1 (en) Structure for underrun protector
US20120126576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US9758192B2 (en) Underbody structure for absorbing energy to improve roof structure integrity during side impact
US20090115225A1 (en) Cabin Apparatus for Moving Vehicle
US20120126579A1 (en) Reinforced vehicle structure
KR20210056797A (ko) 차량용 언더커버 마운팅브라켓 및 이를 포함한 차량용 언더커버 어셈블리
US20200023694A1 (en) Low Profile Trolley for a Tow Saddle
JP5509265B2 (ja) 車体前部構造
CN211167091U (zh) 副车架总成和车辆
KR102565018B1 (ko) 평판 트레일러용 메인프레임의 추가설비 장착구조
KR102621565B1 (ko) 배터리 장착용 차량 하부 구조
KR102034498B1 (ko) 차체 프레임 연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화물차량
US20160137223A1 (en) Steering suppor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