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557A -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557A
KR20210056557A KR1020190143176A KR20190143176A KR20210056557A KR 20210056557 A KR20210056557 A KR 20210056557A KR 1020190143176 A KR1020190143176 A KR 1020190143176A KR 20190143176 A KR20190143176 A KR 20190143176A KR 20210056557 A KR20210056557 A KR 202100565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unit
main body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885B1 (ko
Inventor
정창식
Original Assignee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미텍코리아(주) filed Critical 휴미텍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190143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85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9Monitoring filter perform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필터에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포집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사용중인 필터를 교체해야 되면, 미리 설정된 필터 교체 길이만큼 필터를 정확하게 권취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가 개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는, 사용전 필터(210a)가 권취되는 필터 공급롤(220)과, 사용된 필터(210b)가 권취되는 필터 회수롤(230)과, 사용중인 필터(210)가 상기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될 때 이송 또는 권취가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40,250)와, 상기 필터 회수롤(2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부(260)를 구성하는 필터 이송부(200)와;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정압과 동압을 측정하는 풍량측정계(310)를 구비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필터(210)의 표면을 따라 연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는 필터 거리감지부(400)와;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한 센싱값이나 필터 거리감지부(400)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동력부(26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Automatic filter stimulator that automatically promotes filter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air pressure passing through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한 필터를 남김없이 교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건물 등에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여, 청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덕트시설을 이용하여 공기를 실내공기를 배출시키고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거나 내부공기를 지속적으로 순환시킨다.
한편, 공기를 순환시키는 과정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한 청정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는 덕트시설과 연결된 공기 여과기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여과기에서 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공기 여과기는 크게 케이싱과 필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필터는 장시간 사용으로 공기내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터에 오염물질이 포집되고 포집량이 기준치에 초과되면 공기 여과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따라서, 일정시간 사용 후 교체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관리자가 일일이 직접 교체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졌으나,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동축으로부터 구동모터가 설치되어 구동되는 구동축으로 일정구간씩 권취하면서 필터를 교체하는 방식의 롤필터가 제안된바 있다.
그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롤필터는 롤을 권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 는 구동 모터가 구동축과 일직선으로 연결되어 구동축을 구동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동모터가 필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26149호 (2003년08월29일)에는 권취롤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개의 공기여과기가 배치될 때, 밀착배치가 가능하도록 한 공기 자동권취형 여과기의 구동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첫 번째 종래 기술은 필터의 입력측 및 출력측에 압력의 차가 발생하게 되면 롤필터의 포집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여 필터를 권취시키고, 압력의 차가 일정수준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필터의 권취를 정지시키도록 동작하는데, 이때 롤필터의 상단부에 오염된 부분이 일정 부분 남아 있더라도 롤필터의 입력측 및 출력측 압력차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필터의 권취가 멈추도록 동작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외부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필터의 상부측으로 집중되는 경우에도 필터가 교체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619호 (2012년06월21일)에는 1차 필터를 이용하여 공기 내에 잔존하는 미세먼지의 여과 후 감압발생에 의해 필터가 교체되어야 할 때에, 가이드 롤러부에 형성한 필터 길이감지장치에 의해 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공기와 접촉하는 필터 전체를 교체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필터 자동 교체장치를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한 공기조화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두 번째 종래기술은 일정한 장력을 형성하고 있는 가이드 롤러부의 권취롤 가이드 롤러에 설치된 필터 길이감지장치가 구체적으로 어떤 구성을 갖으며 어떻게 필터의 길이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지를 구체적으로 기재되지 않았기에 첫번째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26149호 (2003년08월2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0619호 (2012년06월21일)
본 발명은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에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포집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사용중인 필터를 교체해야 할 때, 미리 설정된 필터 교체 길이만큼 필터를 정확하게 권취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권취시 이송롤과 권취롤에 권치되어 있는 필터의 두께 또는 권취량에 따라 이송롤에서 이송되어 권취롤에서 권취되는 필터에 걸려있는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에 공급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정류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는, 소정 형상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사용전 필터(210a)가 권취되는 필터 공급롤(220)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사용된 필터(210b)가 권취되는 필터 회수롤(230)과, 상기 본체부(100)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중인 필터(210)가 상기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될 때 이송 또는 권취가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40,25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회수롤(2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부(260)를 구성하는 필터 이송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정압과 동압을 측정하는 풍량측정계(310)를 구비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필터(2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210)의 표면을 따라 연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는 필터 거리감지부(400)와;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한 센싱값이나 필터 거리감지부(400)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동력부(26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필터에 미세먼지나 이물질의 포집량이 기준치를 초과하여 사용중인 필터를 교체해야 할 때, 미리 설정된 필터 교체 길이만큼 필터를 정확하게 권취시킬 수 있어, 일정 기간 공기와 접촉되면서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걸러진 필터를 완벽하게 교체할 수 있다.
둘째, 필터의 이송 및 권취시 이송롤과 권취롤에 권취되어 있는 필터의 두께 또는 권취량에 따라 이송롤에서 이송되어 권취롤에서 권취되는 필터에 걸려있는 텐션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필터의 텐션이 너무 팽팽하거나 느슨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필터에 공급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정류할 수 있어,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을 그뿐만 아니라 불균형적인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어 필터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제어부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보인 필터 거리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보인 필터 텐션조절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보인 풍량측정계의 입력측에서 압력을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제어부분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는 본체부(100), 필터 이송부(200), 센서부(300), 필터 거리감지부(400), 필터 텐션조정부(500), 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과 철판을 통해 제작되는 조립체이며, 상부 프레임(110), 하부 프레임(120), 상부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20)을 서로 연결하는 수직 프레임(130), 그리고 수직 프레임(140)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필터 이송부(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상부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사용전 필터(210a)가 권취되는 필터 공급롤(220)과, 본체부(100)의 하부 프레임(120)에 설치되며, 사용된 필터(210b)가 권취되는 필터 회수롤(230)과, 본체부(100)의 수직 프레임(13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중인 필터(210)가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될 때 권취가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40,250)와, 본체부(100)의 하부 프레임(120)에 설치되어,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필터 회수롤(2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터(261) 및 감속기어(263)를 구비한 제1 동력부(260)로 구성된다.
한편, 센서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수직 프레임(130)과 수직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의 정압과 전압을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풍량측정계(310)와,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본체부(100)의 진동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진동감지센서(320)와, 사용중 필터(210)의 출력측에 위치한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필터 공급롤(210)에서 필터 회수롤(220)에 권취되는 사용된 필터(210b)의 텐션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텐션감지센서(330)와, 필터(210)의 출력측에 위치한 본체부(100)의 수직 프레임(130) 또는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필터(210)의 출력측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온도감지센서(340)와, 필터(210)의 출력측에 위치한 본체부(100)의 수직 프레임(130) 또는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필터링된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습도감지센서(350)로 구성된다.
여기서, 풍량측정계(3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량측정계(310)는,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입력측 및 출력측으로 인가되는 공기를 수용되기 위한 ㄷ자 형상의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과,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해당 지점의 운동에너지와 무관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3,314)와,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해당 지점의 공기의 흐름 속도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공기가 갖는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 동압을 각각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5,316)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3,314),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5,316)로 구성은 전체 필터용량에 따라 가변시킬 수 있으며, 도 5는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며,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의 후면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한편, 필터 거리감지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수직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브라켓(410)과, 사용중 필터(2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브라켓(410)에 장착되며, 필터(210)의 권취시 연동으로 회전되어 사용중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엔코더(420)로 구성된다.
한편, 필터 텐션조정부(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식 및 수동식으로 동시에 구현하거나,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자동식과 수동식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필터 텐션조정부(500)를 자동식으로 구현할 경우에의 구성은, 사용중 필터(210)의 출력측에 위치한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며, 필터 공급롤(210)에서 필터 회수롤(220)에 권취되는 사용중 필터(210)의 텐션을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조절되는 한 쌍의 텐션조절롤러(510,520)와, 한 쌍의 텐션조절롤러(510,520) 중 하측 텐션조절롤러(520)에 연결되도록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며, 필터(210)가 늘어지거나 팽팽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풀리(530)와,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장력 풀리(5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모터(미도시)를 구비한 제2 동력부(540)로 구성된다.
반면, 필터 텐션조정부(500)를 수동식으로 구현할 경우에의 구성은 필터 공급롤(220) 및 필터 회수롤(230)의 측면에 텐션조절용 조임구(550,560)를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필터 공급롤(220) 또는 필터 회수롤(230)의 텐션을 수동으로 조절 할 수 있다.
여기서, 하측 텐션조절롤러(520)가 설치된 수평 프레임(140)에 형성된 설치공 또는 별도로 부착되는 축공(미도시)은 수평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거나 장공의 밑면에 다단홈이 형성되어, 하측 텐션조절롤러(520)의 중심축의 위치를 도 4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수평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300)의 각각의 센서(310~360)에서 감지한 아날로그 형태의 센싱값을 디지털 신호로 각각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변환부(610)와, A/D 변환부(610)에서 출력되는 센싱값 또는 엔코더(420)에서 전달하는 필터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수신하여 상황에 따라 제1 또는 제2 동력부(260,54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620)와, 마이크로프로세서(6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메모리부(6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6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620)는 풍량측정계(310)의 정유격자(311)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6)에서 측정한 정압과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8)에서 측정한 동압을 수신하여, 각각의 정압과 동압을 더한 전압을 계산하고, 메모리부(630)에 미리 설정된 공기의 전압차와 특정 정유격자(311)를 통과하기 전의 입력측 전압과 통과한 후의 출력측 전압차를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구비된 외기도입용 댐퍼(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부(100)의 필터(210)의 입구측으로 유입되는 상태에서, 작업자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자동 권취장치에 전원을 인가한다.
이때, 필터(210)의 입구측으로 유입된 공기를 필터(210)를 관통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이물질이 필터(210)에 부착 또는 흡착되는 방식으로 필터(210)에 포집된다.
한편, 풍량측정계(310)는 필터(210)에 공급되는 공기의 와류현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정류할 수 있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자동 권취장치의 진동이나 소음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균형적인 공기의 흐름을 정류할 수 있어 필터링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3,314)이 설치 지점의 운동에너지와 무관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고,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5,316)가 설치 지점의 공기의 흐름 속도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공기가 갖는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 동압을 각각 측정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620)는 풍량측정계(310)의 설치지점에서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3,314)에서 측정한 필터링 전후의 각각의 정압과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5,316)에서 측정한 필터링 전후의 각각의 동압을 각각 더하여 구한 전압을 계산할 수 있어, 특정 설치 위치의 입력측 전압과 통과한 후의 출력측 전압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전압차(예를 들어, 10 파스칼)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제어부(600)의 마이크로프로세서(620)는 특정 설치지점의 입력측 전압차와 출력측 전압차가 미리 설정된 전압차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터(210)에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의 포집량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판단하고 필터(210)의 교체를 실행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필터이송부(200)의 제1 모터(261) 및 감속기어(263)를 구동시켜 필터 회수롤(2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필터 공급롤(220)에 권취된 사용전 필터(210a)는 가이드롤러(240) 및 텐션조절롤러(250)를 경유하여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되는데, 이때 필터 거리감지부(400)의 엔코더(420)가 사용중인 필터(210)의 표면을 따라 연동으로 회전되어 사용중인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600)는 엔코더(420)가 미리 설정된 길이의 위치에서 필터이송부(200)의 제1 모터(261) 및 감속기어(263)를 정지시켜 사용된 필터(210b)를 모두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시켜, 필터(210)의 교체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필터(210)는 롤 형태로 말려있는 필터원단으로써, 제1 동력부(260)의 구동에 의한 필터 권취롤(230)은 일정한 각속도로 회전이 이루어지지만, 사용하지 않은 사용전 필터(210a)와 사용된 필터(210b)의 권취된 두께에 따라 상대적으로 다른 텐션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필터 권취롤(230)에 감기는 사용된 필터(210b)의 텐션을 강, 중, 약으로 정의할 때, 사용전 필터(210a)와 사용된 필터(210b)의 필터의 권취량의 중량비가 10:0 에서 7:3 까지는 사용전 필터(210a)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크고 사용된 필터(210b)의 중량이 작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필터 권취롤(230)에 감기는 사용된 필터(210b)의 텐션을 강하게 제어하기 위해 제1 동력부(260)를 구동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전 필터(210a)와 사용된 필터(210b)의 필터의 권취량의 중량비가 6:4에서 4:6 까지는 사용전 필터(210a)의 중량과 사용된 필터(210b)의 중량이 유사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중간 세기로 제어하기 위해 제1 동력부(260)를 중간 레벨로 구동시킨다.
그러나, 사용전 필터(210a)와 사용된 필터(210b)의 필터의 권취량의 중량비가 3:7에서 0:10 까지는 사용전 필터(210a)의 중량이 상대적으로 작고 사용된 필터(210b)의 중량이 크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약한 세기로 제어하기 위해 제1 동력부(260)를 상대적으로 강한 레벨로 구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필터 거리감지부(400)의 엔코더(420)가 필터(210)의 표면을 따라 연동으로 회전되어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사용전 필터(210a)의 전체 길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사용전 필터(210a)와 사용된 필터(210b)의 권취량의 중량비를 실시간으로 계산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센서나 구동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필터 권취롤(230)에 걸리는 텐션의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어부(600)는 엔코더(420)에서 전달한 필터(210)의 위치 및 각도정보로부터 사용된 필터(210b)의 권취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데, 제어부(600)는 텐션조절롤러(250)의 양측단의 회전축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가변시켜 필터 권취롤(230)에 걸리는 텐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데, 별도의 모터를 구비하여 필터 권취롤(230)에 걸리는 텐션의 세기를 독립적이면서 차등적으로 적용하여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되는 사용된 필터(210b)가 일측방향으로 쏠리면서 권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부(300)와 제어부(600)는 다른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진동감지센서(320)는 본체부(100)의 진동을 주기적으로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미리 설정된 이상의 진동을 감지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음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온도감지센서(340)는 필터(210)의 출력측 주변의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미리 설정된 이상의 온도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음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습도감지센서(350)는 필터링된 공기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기 때문에 제어부(600)는 미리 설정된 이상의 습도를 감지하는 경우 관리자에게 경고음을 올릴 수 있다.
한편, 제어부(600)는 풍량측정계(310), 진동감지센서(320), 온도감지센서(340), 습도감지센서(350)의 측정 결과가 미리 설정된 기준값의 범위 안에 있을 때에만 필터 자동권취동작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기재한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100 본체부 110 상부 프레임
120 하부 프레임 130 수직 프레임
140 수평 프레임 200 필터 이송부
210a 사용전 필터 210 사용중 필터
220 : 필터 공급롤 230 : 필터 회수롤
210b 사용된 필터 300 센서부
310 풍량측정계 320 진동감지센서
330 텐션감지센서 340 온도감지센서
350 습도감지센서 400 필터 거리감지부
410 브라켓 420 엔코더
500 필터 텐션조정부 510, 520 텐션조절롤러
530 장력 풀리 540 제2 동력부
600 제어부 610 A/D 변환부
620 마이크로프로세서 630 메모리부

Claims (5)

  1. 소정 형상의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사용전 필터(210a)가 권취되는 필터 공급롤(220)과,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사용된 필터(210b)가 권취되는 필터 회수롤(230)과, 상기 본체부(100)에 각각 설치되며, 사용중인 필터(210)가 상기 필터 회수롤(230)에 권취될 때 이송 또는 권취가 원활하게 실행되도록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롤러(240,25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회수롤(230)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동력부(260)를 구성하는 필터 이송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사용중인 필터(21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정류하며,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사용중인 필터(2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정압과 동압을 각각 측정하는 풍량측정계(310)를 구비하는 센서부(300)와;
    상기 필터(210)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장착되며, 상기 필터(210)의 표면을 따라 연동으로 회전되어 상기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는 필터 거리감지부(400)와;
    상기 센서부(300)에서 감지한 센싱값이나 필터 거리감지부(400)의 출력값에 따라 상기 제1 동력부(260)의 구동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300)에는
    본체부(100)의 수평 프레임(140)에 설치되어, 필터 공급롤(210)에서 필터 회수롤(220)로 권취되는 사용된 필터(210b)의 텐션을 감지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하는 텐션감지센서(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10)의 출력측에 위치한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 공급롤(210)에서 상기 필터 회수롤(220)에 권취되는 사용된 필터(210b)의 텐션을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조절되는 한 쌍의 텐션조절롤러(510,520)와;
    상기 한 쌍의 텐션조절롤러(510,520) 중 하측 텐션조절롤러(520)에 연결되도록 상기 본체부(100)에 설치되며, 상기 필터(210)가 늘어지거나 팽팽하지 않도록 미리 설정된 장력을 인가하는 장력 풀리(530)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장력 풀리(53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2 모터를 구비한 제2 동력부(540)로 구성되는 필터 텐션조정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감지부(400)는 상기 필터(210)의 위치, 각도, 회전수 정보를 생성하는 엔코더(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풍량측정계(310)는,
    상기 본체부(100)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입력측 및 출력측으로 인가되는 공기를 수용되기 위한 ㄷ자 형상의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과;
    상기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해당 지점의 운동에너지와 무관한 압력을 각각 측정하는 하나 이상의 제1 및 제2 정압 감지기(313,314)와;
    상기 제1 및 제2 집합관(311,312)에 각각 연결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해당 지점의 공기의 흐름 속도에 의해 생기는 압력으로 공기가 갖는 운동에너지가 압력에너지로 변환된 동압을 각각 측정하는 제1 및 제2 동압 감지기(315,3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KR1020190143176A 2019-11-11 2019-11-11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KR1023248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76A KR102324885B1 (ko) 2019-11-11 2019-11-11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176A KR102324885B1 (ko) 2019-11-11 2019-11-11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557A true KR20210056557A (ko) 2021-05-20
KR102324885B1 KR102324885B1 (ko) 2021-11-11

Family

ID=7614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176A KR102324885B1 (ko) 2019-11-11 2019-11-11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88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793A (ja) * 1993-03-05 1994-09-16 Kubota Corp 気体清浄装置
JP2000262817A (ja) * 1999-03-18 2000-09-26 Tokyo Metropolis 廃液処理装置
KR200326149Y1 (ko) 2003-06-02 2003-09-06 (주)동양공조 자동권취형 공기여과기의 구동장치
KR101160619B1 (ko) 2012-04-20 2012-06-28 (주)동양공조 필터 자동 교체장치를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한 공기조화기
KR20120091756A (ko) * 2011-02-10 2012-08-20 주식회사 태광기계 열 교환형 환기장치의 공기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7793A (ja) * 1993-03-05 1994-09-16 Kubota Corp 気体清浄装置
JP2000262817A (ja) * 1999-03-18 2000-09-26 Tokyo Metropolis 廃液処理装置
KR200326149Y1 (ko) 2003-06-02 2003-09-06 (주)동양공조 자동권취형 공기여과기의 구동장치
KR20120091756A (ko) * 2011-02-10 2012-08-20 주식회사 태광기계 열 교환형 환기장치의 공기 필터장치
KR101160619B1 (ko) 2012-04-20 2012-06-28 (주)동양공조 필터 자동 교체장치를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한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885B1 (ko)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91291A (zh) 一种空调风量自补偿控制方法、控制系统和空调
JP4038352B2 (ja) クリーンルーム
CN103301691B (zh) 卷轴过滤器及其自动控制方法
CN105134669B (zh) 一种纺织厂用负压风机
CN106247563A (zh) 基于双侧压差的空调脏堵检测方法、系统和空调
CN109724127A (zh) 一种可调节风量的吸油烟机及其控制方法
US10653990B2 (en) Airflow controller for ducting
CN109082872A (zh) 一种纺织用金属检测装置
CN111111342B (zh) 过滤组件及过滤网脏堵检测方法
WO2020211297A1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210056557A (ko) 공기조화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전압 차이에 따라 필터를 자동으로 권취하는 필터 자동 권취장치
CN207146620U (zh) 空调器
CN207775542U (zh) 一种织物展边扩幅装置
CN114261828A (zh) 一种数控布料涂层机的边缘去褶皱装置
CN107700805A (zh) 一种智能刷墙机
KR100827791B1 (ko) 크린 벤치의 필터 교환주기 검출방법
US47561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air permeability of a wall-like or sheet-like element
KR101160619B1 (ko) 필터 자동 교체장치를 구비하여 공기 흐름을 개선한 공기조화기
CN206310603U (zh) 风机盘管的转轴自动更换过滤网装置
JP2000121145A (ja) 空気調和機
CN111336679A (zh) 过滤器、风柜机组及空调机组
KR101547971B1 (ko) 전동차용 공기청정기 롤 필터 교환 장치 및 방법
CN212091599U (zh) 一种电梯机房用空气除尘装置
CN110772869B (zh) 循环过滤带检测及调节装置
CN207632204U (zh) 一种具有张力检测的纸张复卷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