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6204A -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6204A
KR20210056204A KR1020200036387A KR20200036387A KR20210056204A KR 20210056204 A KR20210056204 A KR 20210056204A KR 1020200036387 A KR1020200036387 A KR 1020200036387A KR 20200036387 A KR20200036387 A KR 20200036387A KR 20210056204 A KR20210056204 A KR 2021005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card
basic
learning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638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8115B1 (en
Inventor
송제욱
Original Assignee
송제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제욱 filed Critical 송제욱
Priority to KR1020200036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115B1/en
Publication of KR2021005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2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1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09B19/08Printed or written appliances, e.g. text books, bilingual letter assemblies, ch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udying Korean consonants and vowels, an editorial structure for a Korean alphabet learning tool, and a mini book for learning Korean alphabet, which include a plurality of consonant sound sets divided by consonant sound of Korean alphabet made by different pronunciation organs and display Korean consonants related to consonant sound corresponding to an upper surface,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consonant sound sets includes a plurality of learning cards respectively, and comprise first to fifth consonant sounds sets for displaying Korean consonants related to each consonant sound made at molars, tongue, lips, teeth and throat. Users learn the basic five letters of consonants first, and systematically and sequentially learn the Korean consonants derived from the sam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adding strokes in Korean alphabet and the principle of five consonants. Accordingl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Korean alphabet,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Korean alphabet for infants or foreigners. The learning structure and mini book format can be applied in the same principle to a set for vowel learning to learn vowel creating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ymmetry and composition.

Description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Hangul character and vowel learning method,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nd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본 발명은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각각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하며, 어금니, 혀, 입술, 이 및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각각의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 로 이루어져, 기본 닿소리 다섯 자를 먼저 익히고,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에 따라 이로부터 파생되는 한글 자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고, 이같은 학습구조 실시형태는 모음 학습용 세트에도 동일하게 적용하여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유아나 외국인의 한글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characters and vowels, a structure for editing a Hangul learning tool, and a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and more particularly, Hangul related to touch sound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by dividing by touch sounds of Hangul made by different pronunciation institutions. Includes a plurality of touch sound sets for displaying consonants, respectively, the plurality of touch sound sets, each including a plurality of learning cards, and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each touch sound made in the molars, tongue, lips, teeth and throat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to display; It consists of learning five basic touch sounds first, and then learns the Hangul consonants derived from them in a systematic and sequential manner according to the rule of choke and five consonants, which adds the stroke of Hangul, and the embodiment of this learning structure is also applied to the set for vowel learning. By applying the same scheme to realize the vowel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symmetry and synthesis, the Hangul character and vowel learning method and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Hangul for infants and foreigners based on the principle of Hangul creation. It relates to a structure and a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세상의 모든 문자는 자연발생적 문자, 인위적 문자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한자, 알파벳 같은 문자는 자연발생적으로 생겨서 수천 년간 널리 쓰였다. 대부분의 문자는 한자와 알파벳처럼 자연발생적 문자다. 인위적 문자는 극히 드물며, 대개 작가나 지식인들이 인공적인 글자를 만들기는 했지만 광범위하게 통용되지는 않았다.All characters in the world can be divided into two types: naturally occurring characters and artificial characters. Characters such as Chinese characters and alphabets arise naturally and have been widely used for thousands of years. Most characters are naturally occurring characters like Chinese characters and alphabets. Artificial characters are extremely rare, and although authors and intellectuals usually create artificial characters, they have not been widely used.

전체 국민이 사용하는 인공언어는 한글이 유일하다. 또한 창제시기, 창제자, 창제 목적과 제자 원리가 분명한 것도 한글을 다른 글자와 구분 지을 수 있는 특징이다. 학문적인 것을 떠나서도 그 창제 원리가 애민정신에서 비롯되어 기득권을 위한 게 아니라 백성을 위해 쉽게 배울 수 있는 글자를 한 나라의 왕이 직접 만들었다는 것은 세계사에 유례를 찾아볼 수 없다.Hangul is the only artificial language used by the entire people. Also,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reation period, the founder, the purpose of the creation, and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is the distinctive feature of Hangul from other letters. Apart from academics, there is no analogue in world history that the principle of creation originated from a spirit of love, and that the king of a country made letters that could be easily learned not for vested interests, but for the people.

한글에는 몇 가지 뚜렷한 장점이 있다. 앞서 말했듯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라는 것이다. 한글의 자음에는 조음음성학적인 원리가 그대로 드러나 있다. 조음위치를 분명하게 파악하고 아(어금니), 설(혀), 순(입술), 치(이), 후(목구멍)로 나누고 그 원리로 글자를 만들었다. 소리를 만드는 위치, 방법을 정확히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 원리로 만들어져 무슨 소리인지 알기 쉽다.Hangeul has several distinct advantages. As I said earlier, it is scientific and systematic. In the consonants of Hangeul, the principle of articulation is revealed as it is. The articulation location was clearly identified and divided into ah (molar), tongue (tongue), stern (lip), chi (i), and posterior (throat), and made letters based on that principle. He knew exactly where and how to make the sound. It's made with that principle, so it's easy to know what it's talking about.

글자의 원리가 체계적이고 합리적이며 한글은 소리의 특성을 글자가 보여준다. 예를 들어 영어 같은 경우를 예로 들면 K와G가 서로 소리가 비슷하고 T와 D가 그러하며 P와 B가 그러하지만, 비슷한 소리의 글자들 간에 서로 생김새가 다르고 음성적인 특징이 드러나지도 않는다. The principle of the letters is systematic and rational, and the letter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sounds in Hangeul. For example, in the case of English, for example, K and G sound similar to each other, T and D are the same, and P and B are the same, but the appearance of letters of similar soun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are not revealed.

하지만 한국어의 경우에는 소리가 비슷한 ㄱ, ㅋ, ㄲ처럼 음성적 특징이 비슷한 것끼리 묶여 한 획씩을 더 그은 것이 전부다. 음성학적 이론, 특징을 전부 담고 있는 글자가 바로 우리의 한글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Korean, all things with similar voice characteristics, such as ㄱ, ㅋ, and ㄲ with similar sound, are tied together and drawn one more stroke. Our Hangul is the letter that contains all the phonetic theory and features.

한글의 또 다른 장점은 발음이 다양하지 않다는 것이다. 영어 모음 'A'만 보더라도 'baby', 'bad', 'party'가 다르다. 모음이 다채롭게 발음되어 영어는 덜 진화한 음소문자다. 그에 비해 한글은 영어처럼 변화무쌍하지 않아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대학수준의 교육을 받은 외국인들은 하루 만에 한글을 습득하여 우리말 간판을 읽을 수 있으니 발음이 고정되지 않아 알파벳을 배우고도 읽는 것이 어려운 영어와 달리 한글은 쉬운 문자다.Another advantage of Hangul is that the pronunciation is not diverse. Even if you only look at the English vowel'A','baby','bad', and'party' are different. Because vowels are pronounced in a variety of ways, English is a less advanced phoneme. On the other hand, Hangul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learn because it is not invariant like English. In fact, foreigners who have been educated at the university level can learn Korean language in one day and read Korean signs, so the pronunciation is not fixed, so it is difficult to learn and read the alphabet.

이러한 현대 한글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총 24자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15세기의 훈민정음은 현대 한글에 자음 3자와 모음 1자를 더해 총 28자로 이루어진다. 이 중에서 자음은 목구멍에서 숨이 나올 때 그 숨이 입안 어딘가에 닿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그'라는 글자를 천천히 크게 발음해 보면 'ㄱ'은 자음이고 'ㅡ'는 모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모음 소리를 작게 내면 자음 'ㄱ'의 발음을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This modern Hangul consists of a total of 24 characters with 14 consonants and 10 vowels. In addition, the 15th century Hunminjeongeum consists of a total of 28 characters by adding 3 consonants and 1 vowel to modern Hangeul. Among them, consonant is the sound that is made when the breath comes out of the throat when the breath reaches somewhere in the mouth, and is also called'touching sound'. For example, if you pronounce the letter'that' slowly and loudly, you can see that'ㄱ' is a consonant and'ㅡ' is a vowel. At this time, if the vowel sound is made small,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ㄱ' can be felt more clearly.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음을 발음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ㄱ'이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면 어떻게 'ㄱ'이란 글자가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한글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8 and 9, the shape of a pronunciation organ when a consonant is pronounced is shown. Here, for example, if you check the part marked with'ㄱ', you can see how the letter'ㄱ' was created. In other words, Hangul consonants are made after the shape of a pronunciation organ.

이때, 우리 입안에서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자리는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의 다섯 곳이고, 이러한 다섯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5개의 기본 자가 각각 'ㄱ', 'ㄴ', 'ㅁ', 'ㅅ', 'ㅇ'이다. 'ㄱ'은 어금닛소리(아음)로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ㄴ'은 혓소리(설음)로 혀끝이 윗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ㅁ'은 입술소리(순음)로 입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ㅅ'은 잇소리(치음)으로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ㅇ'은 목구멍소리(후음)로 목구멍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At this time, there are five places in our mouth where the touch sound is made: the molars, tongue, lips, teeth, and throat, and the five basic characters modeled after the shape of these five pronunciation organs are'ㄱ','ㄴ', and'ㅁ These are','ㅅ', and'ㅇ'. 'ㄱ' is a molar sound (a-eum) and the root of the tongue blocks the throat, and'b' is a tongue sound (seol-eum) and the tip of the tongue touches the upper gum, and'ㅁ' is the sound of lips ( It is made from the shape of the mouth with pure tone),'ㅅ' is made with the shape of the teeth with tooth sound (chieum), and'ㅇ' is made with the shape of the throat with the sound of the throat (after tone).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이러한 기본 자를 바탕으로 다른 자음이 만들어졌는데, 그 자음은 가획자로서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이 있고, 훈민정음의 경우 이외에도 이체자 세 자가 더 있다. 즉, 한글 자음은 기본자가 다섯 자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기본 자에서 규칙적으로 확장된 문자로서 간결하고 실용적인 과학적 특성을 가진다.And, as shown in FIG. 10, other consonants were made based on these basic rulers, and the consonants were'ㅋ','ㄷ','ㅌ','ㅂ', and'ㅍ There are','ㅈ','ㅊ', and'ㅎ', and in addition to the case of Hunminjeongeum, there are three more transferees. In other words, Hangul consonants have only five basic characters, and the rest are letters that are regularly expanded from the basic characters, and have concise and practical scientific characteristics.

한편, 한글 모음의 경우, 기본 자인 'ㆍ', 'ㅡ', 'ㅣ'와, 이 세 개의 기본 자를 합성하여 다른 모음이 만들어진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Korean vowels, another vowel is created by combining the basic characters'ㆍ','ㅡ', and'ㅣ' and these three basic characters.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려 할 때 우선적으로 한글의 음소인 자음과 모음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글의 음소는 가획의 원리에 의해 기본 자에 삐침을 더해 만들어진 글자이므로 음소와 음소 간의 구별이 쉽지 않다. 특히, 한글은 알파벳과 마찬가지로 대표적인 표음문자이지만, 조합형이면서 나열형 문자라는 점에서 알파벳과는 상이한 특징을 가진다.When infants or foreigners want to learn Hangeul, education on consonants and vowels, the phonemes of Hangeul, should be given first.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honeme of Hangeul is a character created by adding a beep to the basic character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gazing, so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a phoneme and a phoneme. In particular, Hangul is a representative phonetic character like the alphabet, but it has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the alphabet in that it is a combination type and an array type character.

따라서, 영어 학습시 알파벳을 나열하여 결합하는 방식과 유사한 형태로 된 종래의 학습 편집 구조의 경우, 이러한 한글의 기본 자음과 기본 모음에서 글자가 확장되는 원리를 설명하지 못하므로, 한글을 학습하는 효과가 현저히 저하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의 단순 암기식으로 자음과 모음을 나열하여 소리 내는 법을 연습하거나 또는 단순히 암기식으로 단어를 나열한 교재의 경우, 한글의 원리를 전혀 이해할 수 없어서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배우는데 어려움을 느끼거나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고, 이에 학습 효과가 높지 않은 한계를 가지게 된다.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learning editing structure in a form similar to the method of arranging and combining alphabets when learning English, it is not possible to explain the principle of expanding letters in the basic consonants and basic vowels of Hangul. Is inevitably deteriora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textbook that lists consonants and vowels in a conventional simple memorization method, or simply lists words in a memorization method, it is difficult for infants or foreigners to learn Hangeul because they cannot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angul at all. You feel it or get bored easily, and the learning effect has a limit that is not high.

더욱이 통상의 자음 학습 교재들은 자음을 포함하는 단어 또는 이미지를 부가하여 학습 내용을 뒷받침하게 되는데, 이때 선택되는 대표 단어 또는 이미지가 첫음절 그리고 초성에 학습 대상의 자음이 위치하는 단어나 이미지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학습 내용의 음가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었다.Moreover, in general consonant learning textbooks, words or images containing consonants are added to support the learning contents. At this time, the selected representative words or images are used to use words or images in which the consonants to be studied are located in the first syllable and the initial voice. As a result, it was impossible to accurately recognize the sound value of the learning contents.

국내등록특허 제10-1866148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866148. 국내공개특허 제10-2003-004345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3-0043458. 국내등록특허 제10-1376442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376442. 국내등록특허 제10-1841324호.Domestic registered patent No. 10-18413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한글의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에 의한 자음 제자원리, 및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유아나 외국인에게 학습과정을 통해 한글의 창제 원리를 자연스럽게 익힐수 있도록 한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applying a consonant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Hangul and the five-star consonant principle, and a vowel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symmetry and synthesis, so that effective learning is possibl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learning method for Korean characters and vowels, an editing structure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tools, and a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in particular, for infants and foreigners to learn the original principles of Hangeul naturally through the learning proces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 자음 또는 모음이 지닌 최적화된 음가를 올바르게 구분 인지하고 동시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 자.모음 학습 방법,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characters and vowels, an editing structure for a Hangul learning tool, and a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which allows each consonant or vowel to correctly recognize and simultaneously learn the optimized phonetic values of each consonant or vowel.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한장의 표지 위에,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방향성을 달리하며 4개의 방향으로 분할 표시되고 있는 모음 표지 카드;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에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 및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개방면을 가지고 있는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 일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 및 재출자 카드를 차례로 적층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 위에 다시 모음 표지 카드가 순차 적층되도록 적층 구성하여,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및 최상층의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일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고정하여 한권의 한글 모음 학습용 교재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도구 편집 구조와 이같은 구조를 갖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공한다.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n the cover of a sheet, vowel first group "I, ㅏ, ㅑ", vowel second group "I, ㅓ, ㅕ", vowel third A vowel cover card in which the group "ㅡ, ㅗ, ㅛ", the vowel fourth group "ㅡ, ㅜ, ㅠ" is divided and displayed in 4 directions with different directions; One basic vowel car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to be studied on the lower side; And on the covered surface covering a part of the card, the first investigator "ㆍ" or the reinvestment "..."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is display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In the lower part, a vowel invitation card and a re-entry card having an open surface to expose common elements of each vowel; A basic vowel card with a basic vowel character "-" displayed on the lower one side as the lowest layer, and the vowel first and reinvestment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layer By stacking so that the vowel cover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re-entry card, the initial vowel "ㆍ" or the re-entry "......" of the vowel card and the re-entry card is displayed on the top of the basic vowel card "ㅡ "The vowels used in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 alphabet are completed by combining with the pattern, and the vowel invit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and the vowel cover card on the top layer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ic vowel card are bound provided in one direction. It provides a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leted as a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vowels by fixing the flipping part, and a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having such a structur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n space in which the open sides of the vowel expatri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are cut open o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wind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각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cover card may display one image representing a word having an optimum phonetic value of a vowel to learn at a position where a consonant is entered for each vowe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cover card, the basic vowel card, and the vowel extractor card and the re-entry card are formed of thin paper, and the vowel cover card, the basic vowel card, and the vowel extractor card are stacked up and down. The upper binding portion of the reinvestment card may be fixed with staples or adhesives.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wel cover card, the basic vowel card, and the vowel initial card and the re-entry card are formed of a thick cardboard or plastic plate, and are stacked up and down, a vowel cover card, a basic vowel card, and a vowel candle. The upper binding and turning portions of the investment card and the reinvestment card may be coupled by spring bind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를 포함하는 자음 제자 원리와 구분하여,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에 의해 기본 모음자와 상기 기본 모음자로부터 파생되는 모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도록 하는 한글 모음 학습 방법을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using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basic vowels and the basic vowels are separated from the consonant disciple principle, which includes the principle of adding strokes, and the vowel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ymmetry and synthesis. A method for learning Korean vowels is provided to systematically and sequentially learn vowels derived from the basic vowels.

본 발명에 따르면, 한글의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를 적용한 자음 학습방법과 함께,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한 모음 학습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유아나 외국인이 한글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배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esenting a method for learning consonants using the principle of Hangeul's choreography and the five-star consonant principle, and a method of learning the vowels using the principle of symmetry and synthesis, children and foreigners can learn Hangeul quickly and efficiently. You can expect an effect that can be learn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미니 북에서, 앞 페이지에 해당하는 카드를 뒤집어 한쪽에 단어와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하고 동시에 다른 쪽에는 이러한 단어 및 이미지와 대응하는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여, 앞 페이지를 넘기는 동작만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일 평면 상에 학습내용이 일치하는 학습 콘텐츠와 이미지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글 자음이 포함된 활용 단어 및 이 활용 단어와 시각적으로 매칭되는 이미지를 서로 매칭시키면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습득 속도가 매우 빠른 뿐만 아니라, 유아나 외국인의 경우에도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하여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ni-book, the card corresponding to the front page is turned over so that words and images are displayed on one side, and the Hangul consonants corresponding to these words and images are displayed on the other side, By allowing the learning content and images that match the learning content to be simultaneously unfolded on the same plane provided to the learner by simply turning the previous page, the used words containing the Hangul consonants that the learner wants to learn and the used words are visually matched. Because it is possible to learn while matching images, not only is the learning speed very fast, but also children and foreigners can expec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learn voluntarily with curiosity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Hangeul.

본 발명은 또한,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를 아래쪽에 표시되는 학습대상 한글 자음의 최적 음가를 가진 음절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서, 학습대상 한글 자음 및 모음이 가지고 있는 기본자의 음가를 정확히 이해하고 학습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yllable having an optimal phonetic value of a Hangul consonant to be studied displayed on the lower side of the word or image displayed on the back of two learning cards or cover cards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Hangul consonants and vowels to be studied have It is able to provide the effect of accurately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sound value of a basic pers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1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2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3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4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5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로 각각 제작된 미니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뒷면에 표시되는 단어와 이미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8은 닿소리들이 발생하는 위치를 한 번에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는 훈민정음 자음자 17자의 제자 원리를 나타낸 표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스프링 제본에 의해 제작되는 한글 학습 미니북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전체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일방향 조합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일방향 조합의 겹침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touch sound set of a structure for editing a Hangul lear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touch sound set of a structure for editing a Hangul lear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touch sound set of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showing a fourth touch sound set of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touch sound set of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hotograph showing a mini-book each manufactured with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7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examples of words an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location at which touch sounds occur.
9 is a table showing the principle of discipleship of 17 Hunminjeongeum consonants.
10 to 14 are photographs showing a Hangul learning minibook produced by spring bi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entire case in which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Hangul lear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set for learning basic vowel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plan view of a one-way combination in which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Hangul lear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set for learning basic vowel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overlapping plan view of a one-way combination in which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set for learning basic vowel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인쇄물, 전자출판물 및 웹 상의 화면 또는 동영상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 인쇄물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a structure for editing a Hangul lear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any one of printed materials, electronic publications, and screens or videos on the web. Hereinafter, a printed matt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including'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1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2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3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4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의 제5 닿소리 세트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touch sound set of a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econd touch sound set of a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lan view showing a third touch sound set of a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fourth touch sound set of a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fifth touch sound set of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는, 서로 다른 발음기관에서 만들어지는 한글의 닿소리 별로 각각 구분되어 상면에 해당되는 닿소리들과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하는 복수의 닿소리 세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상하로 적층되도록 배열되는 복수의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한다.1 to 5,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each touch sound of Hangul made by different pronunciation institutions, and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are displayed. Includes a set of multiple touch sounds to enable.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ouch sound sets each include a plurality of learning cards arranged to be stacked up and down.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닿소리 세트는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로 이루어진다. 도 9를 더 참조하면, 제1 닿소리 세트(10)는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ㄱ', 'ㅋ', 'ㄲ'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닿소리 세트(20)는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ㄴ', 'ㄷ', 'ㅌ', 'ㄸ', 'ㄹ'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닿소리 세트(30)는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ㅁ', 'ㅂ', 'ㅍ', 'ㅃ'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4 닿소리 세트(40)는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ㅅ', 'ㅈ', 'ㅊ', 'ㅆ', 'ㅉ'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5 닿소리 세트(50)는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한글 자음 'ㅇ', 'ㅎ'을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lurality of touch sound sets are composed of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10, 20, 30, 40, and 50. With further reference to FIG. 9, the first touch sound set 10 is configured to display touch sounds made from the molars,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Korean consonants'ㄱ','ㅋ', and'ㄲ'. 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is configured to display touch sounds made from the tongue,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Korean consonants'ㄴ','ㄷ','ㅌ','ㄸ', and'ㄹ'. The third touch sound set 30 is configured to display touch sounds made from the lips,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Korean consonants'ㅁ','ㅂ','ㅍ', and'ㅃ'. 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is configured to display touch sounds made from'i',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Korean consonants'ㅅ','ㅈ','ㅊ','ㅆ', and'ㅉ'. The fifth touch sound set 50 is configured to display touch sounds made in the throat,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lay Hangul consonants'ㅇ' and'ㅎ'.

이때,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각각의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가 상면에 표시되는 기본 학습 카드 한 장과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응용 학습 카드를 각각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touch sound sets (10,20,30,40,50) include one basic learning card in which each corresponding basic touch sound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and at least one Each includes more than a chapter of applied learning cards.

그리고, 응용 학습 카드는, 기본 학습 카드(11,21,31,41,51)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과, 덮힘면에 인접하여 기본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 중 공통요소(11a,21a,31a,41a,51a))가 노출되도록 하는 개방 면을 가지며, 응용 학습 카드를 기본 학습 카드 위에 배치시 기본 학습 카드의 기본 닿소리의 공통요소(11a,21a,31a,41a,51a))와 응용 학습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문양이 조합되어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에 가획 또는 병서가 이루어지면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표시되도록 한다.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when placed on the basic learning card (11, 21, 31, 41, 51), a covering surface that covers a part of the basic learning card, and the basic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learning card adjacent to the covered surface. It has an open surface to expose the common elements (11a, 21a, 31a, 41a, 51a) among the touch sounds, and when the applied learning card is placed on the basic learning card, the common elements of the basic touch sound of the basic learning card (11a, 21a, 31a) ,41a,51a)) and the pattern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pplied learning card are combined so that at least one of the traditional sound, the old sound, and the strong sound is displayed while the corresponding basic touch sound is composed of a stroke or a byeongseo.

이때, 응용 학습 카드의 개방 면은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일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카드 중 일부에 형성된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는 설명에서는 개방 면이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투명 창에도 동일한 특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open surface of the applied learning card may be an open space in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cards are cut off, and as another example,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window formed on a part of the card. Hereinafter,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open surface is illustrated as being an open space in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cards are cut, but this can be applied to a transparent window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여기서,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는 동일한 발음 위치에서 발음의 세기 등을 달리하여 다른 소리가 나는 것을 말한다. 이 중 예사소리는 입안의 기압 및 발음 기관의 긴장도가 낮아 약하게 나오는 소리이고, 된소리는 발음 기관의 근육을 긴장시키거나 목소리가 나오는 통로를 폐쇄하여 내는 소리이고, 거센 소리는 기본 닿소리를 보다 입김을 많이 내어 숨이 거세게 나오는 소리이다. 예를 들어, '쁘'와 '프'의 경우 'ㅍ'의 거센소리, 'ㅃ'이 된소리가 된다. 이러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 소리를 나타내는 닿소리는 기본 닿소리에 획을 더하거나 동일한 자음을 병서하여 만든다.Here, yessasori, hunsori, and geosensori mean that different sounds are produced by varying the intensity of pronunciation at the same pronunciation position. Among them, yessa sound is a sound that comes out weakly due to the low pressure in the mouth and the tension of the pronunciation organ, and the deonsori is the sound produced by tensioning the muscles of the pronunciation organ or closing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voice comes out, and the strong sound is a sound that is more breathable than the basic touch sound. This is the sound of breathing out of a lot. For example, in the case of'P' and'P', it becomes the strong sound of'ㅍ' and the sound that became'ㅃ'. Touch sound, which represents such an ordinary sound, an old sound, or a strong sound, is made by adding a stroke to the basic touch sound or by adding the same consonant sound.

본 발명에 의한 한글 자음 학습 방법은,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의 획을 더하는 가획 원리와 자음 5성 원리를 포함하는 자음자 제자 원리에 의해 기본 닿소리 5자와 상기 기본 닿소리 5자로부터 파생되는 자음들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다.The Hangul consonant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based on a consonant disciple principle including a stroke of Hangul and a consonant five-star principle, and the basic touch sound 5 and the basic touch sound 5 Consonants derived from rulers can be learned sequentially.

또한,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기본 학습 카드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응용 학습 카드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10,20,30,40,50) represent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basic learning card and the typical touch sound of the touch sound corresponding to the pattern displayed on the applied learning card. The parts may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to distinguish them from each other.

이때, 기본 닿소리에 해당하는 부분을 표시하는 색상은,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기본 닿소리가 자신을 상징하는 색상으로 표시가 되는 것인데, 'ㄱ'의 경우 나무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ㄴ'의 경우 불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ㅁ'의 경우 흙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ㅅ'의 경우 쇠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ㅇ'의 경우 물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 닿소리 별 색 구분을 통해 한글 창제 원리를 이해하는 동시에 창제 원리에 입각한 효과적인 학습을 기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or representing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 may be determined as a five-bang color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Hangul. In this case, each basic touch sound is displayed in a color that symbolizes itself. In the case of'b', it is blue to symbolize trees, in the case of'b' it is red, which symbolizes soil, and in the case of'ㅁ' It is yellow, in the case of'ㅅ', it is determined as white, which symbolizes iron, and in the case of'ㅇ', it is determined as black, which symbolizes wat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the creation of Hangeul through the color classification for each basic touch sound, and at the same time, effective learning based on the principles of creation can be expected.

도 1을 참조하면, 제1 닿소리 세트(10)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와 제1-1 응용 학습 카드(12)와 제1-2 응용 학습 카드(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닿소리 세트(10)는 발음기관인 어금니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어금니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ㄱ'이고, 이러한 'ㄱ'으로부터 'ㅋ', 'ㄲ'가 파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touch sound set 10 may include a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a 1-1 application learning card 12, and a 1-2 application learning card 13. The first touch sound set 10 allows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made by a molar tooth, which is a pronunciation organ, to be displaye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created in the shape of a molar tooth, the basic letter is'ㄱ', and'ㅋ' and'ㄲ' can be derived from this'ㄱ'.

제1 기본 학습 카드(11)는 상면에 어금니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된다.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displays a Korean consonant'ㄱ', which is a basic character among touch sounds made from molars on the upper surface.

제1-1 응용 학습 카드(12)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ㄱ'에서 공통요소(11a)가 표시된 우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에 개방 면(12a)이 형성되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의 우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1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ㅋ'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The 1-1 applied learning card 12 is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right part where the common element 11a is displayed in the'a' display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when plac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is exposed. An open surface 12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the upper surface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11a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ㅋ'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제1-2 응용 학습 카드(13)는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ㄱ'에서 공통요소(11a)가 표시된 우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에 개방 면(13a)이 형성되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 위에 배치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의 우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1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ㄲ'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1-2 applied learning card 13 is plac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it is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right part where the common element 11a is displayed in the'a' display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is exposed. An open surface 13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it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11a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ㄲ'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이러한 제1 닿소리 세트(10)는 제1 표지 카드(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지 카드(16)에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닿소리 세트(10)의 제1 표지 카드(16)의 상면에는 어금니 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ㄱ'과 '어금닛 소리'라는 글자 및 어금니 위치에 한글 자음 'ㄱ'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first touch sound set 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card 16. The first cover card 16 may display an image of a pronunciation agency in which the basic touch sound is created together with a basic touch sound of the learning object.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card 16 of the first touch sound set 10, the letters'ㄱ' and'molar sound', which are basic characters of the molar sound, and the Korean consonant'ㄱ' are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molar teeth.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같은 제1 닿소리 세트(10)는 또한, 제1 기본 학습 카드(1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1-1, 제1-2 응용 학습 카드(12, 13) 및 제1 표지 카드(16)는 좌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좌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e first touch sound set 10 is also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and the 1-1 and 1-2 applied learning cards 12 and 13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mbined thereon, and the first cover card. (16) is to have the binding turn over unit 100 on the left, and the learning proceeds by turning one sheet to the left with the center of the binding turn over unit 100.

그리고, 제1 기본 학습 카드(1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1-1, 제1-2 응용 학습 카드(12, 13)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first basic learning card 11 and the basic touch sound corresponding to the patterns displayed on the 1-1 and 1-2 applied learning cards 12 and 13, The parts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you can learn the principles of stroke and byeongseo.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ㄱ'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나무(木)를 상징하는 청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ㄱ' is displayed in blue, which symbolizes a tree, among the five room colors based on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and additionally creates an ordinary sound, an old sound, or a strong sound. The stroked portion may be displayed in green.

도 2를 참조하면, 제2 닿소리 세트(20)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와 제2-1 응용 학습 카드(22)와 제2-2 응용 학습 카드(23)와 제2-3 응용 학습 카드(24)와 제2-4 응용 학습 카드(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닿소리 세트(20)는 발음기관인 혀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ㄴ'이고 이러한 'ㄴ'으로부터 'ㄷ', 'ㅌ', 'ㄸ', 'ㄹ'이 파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includes a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a 2-1 applied learning card 22, a 2-2 applied learning card 23, and a 2-3 applied learning card. It may include a learning card 24 and a 2-4 applied learning card 25. 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allows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made by the tongue, which is a pronunciation organ, to be displaye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created after the shape of the tongue, the basic letter is'ㄴ', and'ㄷ','ㅌ','ㄸ', and'ㄹ' can be derived from this'ㄴ'.

제2 기본 학습 카드(21)는 상면에 혀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된다.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Korean consonant'ㄴ', which is a basic character among touch sounds made from the tongue.

제2-1 응용 학습 카드(22)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2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ㄷ'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2-1 applied learning card 22 is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left side where the common element 21a is displayed in'b' display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s exposed. An open surface 22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upper surface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21a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c'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제2-2 응용 학습 카드(23)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3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ㅌ'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2-2 applied learning card 23 is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left side where the common element 21a is displayed in'b' display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s exposed. An open surface (23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t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21a)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T'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제2-3 응용 학습 카드(24)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4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ㄸ'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2-3rd applied learning card 24 is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left side where the common element 21a is displayed in'b' display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s exposed. An open surface (24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upper surface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21a)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ㄸ'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제2-4 응용 학습 카드(25)는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ㄴ'에서 공통요소(21a)가 표시된 좌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좌측에 개방 면(25a)이 형성되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 위에 배치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의 좌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21a)와 조합되어 한글 자음 'ㄹ'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2-4 applied learning card 25 is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the left side where the common element 21a is displayed in'b' display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s exposed. An open surface (25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it is combined with the common element (21a)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so that the Korean consonant'ㄹ'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이러한 제2 닿소리 세트(20)는 제2 표지 카드(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표지 카드(2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닿소리 세트(20)의 제2 표지 카드(26)의 상면에는 혓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ㄴ'과 '혀 소리'라는 글자 및 혀 위치에 한글 자음 'ㄴ'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card 26. On the second cover card 26, an image of a pronunciation agency in which the basic touch sound is generated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basic touch sound of the learning object.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card 26 of 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the Korean consonant'ㄴ', which is the basic character of the tongue, and the character'tongue sound', and the image showing the Korean consonant'b' at the position of the tongue are together. Can be displayed.

이같은 제2 닿소리 세트(20)는 또한, 제2 기본 학습 카드(2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2-1 내지 제2-4 응용 학습 카드(22, 23, 24, 25) 및 제2 표지 카드(26)는 우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우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is second touch sound set 20 is also a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and the 2-1 to 2-4 applied learning cards 22, 23, 24, 25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mbined thereon, and The second cover card 26 has a binding turn over portion 100 on the right side, and the learning proceeds by turning one by one to the right around the binding turning portion 100.

그리고, 제2 기본 학습 카드(2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2-1, 제2-2, 제2-3, 제2-4 응용 학습 카드(22, 23, 24, 25)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And, from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second basic learning card 21 and the patterns displayed on the 2-1, 2-2, 2-3, 2-4 applied learning cards 22, 23, 24, 25 The parts representing the corresponding basic touch sound, yessa sound, old sound, and strong sound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you can learn the principles of gaehok and byeongseo.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ㄴ'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불(火)을 상징하는 적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ㄴ' is displayed in red, which symbolizes fire, among the five room col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creation of Hangul, and additionally makes the yessa sound, the old sound, or the strong sound. The stroked portion may be displayed in green.

도 3을 참조하면, 제3 닿소리 세트(30)는,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 1장의 제3 기본 학습 카드(31)와, ㅂ', 'ㅍ' 및 'ㅃ'이 각각 표시되는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1, 제3-2 및 제3-3 응용 학습 카드(32a,32b, 33a,33b, 34a,34b)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third touch sound set 30 includes on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on which a Korean consonant'ㅁ' is displayed, and a top and bottom 2 in which ㅂ','ㅍ' and'ㅃ' are displayed, respectively. It may include 3-1, 3-2, and 3-3 applied learning cards 32a, 32b, 33a, 33b, 34a, 34b divided into chapters.

제3 닿소리 세트(30)는 발음기관인 입술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는 것이다. 이렇게 입술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ㅁ'이고 이러한 'ㅁ'으로부터 'ㅂ', 'ㅍ', 'ㅃ'이 파생될 수 있다.The third touch sound set 30 displays Korean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made by the lips, which is a pronunciation organ. Among the Korean consonants created after the shape of the lips, the basic letter is'ㅁ', and'ㅂ','ㅍ', and'ㅃ' can be derived from this'ㅁ'.

제3 기본 학습 카드(31)는 상면에 입술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다. Th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displays a Korean consonant'ㅁ', which is a basic character among touch sounds made from lips, on the upper surface.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1 응용 학습 카드(32a,32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 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2a, 32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ㅂ'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3-1 applied learning card (32a, 32b), which is divided into two top and bottom, maintains a superimposed state on th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and is unfolded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around the binding turnover unit (100, 100').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ndependent Hangul consonant'ㅂ' on the upper surface due to the two cards (32a, 32b) that are divided up and down.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2 응용 학습 카드(33a,33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3a, 33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ㅍ'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3-2 applied learning card (33a, 33b), which is divided into two top and bottom, maintains a state superimposed on th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and is unfolded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around the binding turnover unit (100, 100').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ndependent Hangul consonant'ㅍ' on the upper surface due to the two cards (33a, 33b) that are divided up and down.

상하 2장으로 분할되는 제3-3 응용 학습 카드(34a,34b)는 제3 기본 학습 카드(31) 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 양방향으로 펼쳐지는 것인데,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34a, 34b)로 인하여 상면에 독립된 한글 자음 'ㅃ'을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3-3 applied learning card (34a, 34b), which is divided into two top and bottom, maintains a state superimposed on th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and is unfolded in both up and down directions around the binding turnover unit (100, 100'). It is possible to display an independent Hangul consonant'ㅃ' on the upper surface due to the two cards (34a, 34b) that are divided up and down.

이러한 제3 닿소리 세트(30)는 제3 표지 카드(36a,36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표지 카드(36a,36b)는 제본 넘김부(100, 100')를 중심으로 상하로 분할되는 2장의 카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표지 카드(36a,36b)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닿소리 세트(30)의 제3 표지 카드(36a,36b)의 상면에는 입술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ㅁ'과 '입술 소리'라는 글자 및 입술 모양과 함께 한글 자음 'ㅁ'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third touch sound set 30 may further include third cover cards 36a and 36b. In this case, the third cover cards 36a and 36b may be formed of two cards divided up and down around the bookbinding and turning portions 100 and 100'. On the third cover cards 36a and 36b, an image of a pronunciation organ from which the basic touch sound is created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basic touch sound of the learning object. In other word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hird cover cards 36a and 36b of the third touch sound set 30, the Korean consonant'ㅁ', which is the basic character of the lip sound, and the Korean consonant'ㅁ' along with the letters and lips shape The displayed image can be displayed together.

그리고, 제3 기본 학습 카드(3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3-1, 제3-2, 제3-3 응용 학습 카드(32a,32b, 33a,33b, 34a,34b)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기본 닿소리와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And, it corresponds to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third basic learning card 31 and the patterns displayed on the 3-1, 3-2, and 3-3 applied learning cards 32a, 32b, 33a, 33b, 34a, 34b. The parts representing the basic touch sound, the yessa sound, the old sound, and the strong sou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you can learn the principles of gacheok and byeongseo.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ㅁ'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흙(土)을 상징하는 황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ㅁ' is displayed in yellow, which symbolizes soil, among the five room colors based on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and additionally creates an ordinary sound, an old sound, or a strong sound. The stroked portion may be displayed in green.

도 4를 참조하면, 제4 닿소리 세트(40)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와 제4-1 응용 학습 카드(42)와 제4-2 응용 학습 카드(43)와, 제4-3 응용 학습 카드(44)와, 제4-4 응용 학습 카드(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닿소리 세트(40)는 발음기관인 이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ㅅ'이고 이러한 'ㅅ'으로부터 'ㅈ', 'ㅊ', 'ㅆ', 'ㅉ'이 파생될 수 있다.4, 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includes a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 4-1 applied learning card 42, a 4-2 applied learning card 43, and a 4-3 An applied learning card 44 and a 4-4th applied learning card 45 may be included. 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allows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made by the pronunciation organ to be displaye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created in this way, the basic character is'ㅅ', and'ㅈ','ㅊ','ㅆ', and'ㅉ' can be derived from this'ㅅ'.

제4 기본 학습 카드(41)는 상면에 이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한글 자음'ㅅ'이 표시된다. 이때, 'ㅅ'은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우측 아래쪽 부분(41a)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displays the basic Korean consonant'ㅅ' among the touch sounds made therefrom. In this case,'ㅅ' may be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part 41a of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제4-1 응용 학습 카드(42)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로서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42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우측 아래쪽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ㅈ'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The 4-1 applied learning card 42 is a common element 41a display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when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so that the lower right portion where'ㅅ' is displayed is exposed. An open surface (42a) is form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nd when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portion of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combined with the Hangul consonant'ㅅ' to A pattern is displayed on the top so that'ㅈ' is displayed.

제4-2 응용 학습 카드(43)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43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ㅊ'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4-2 applied learning card 43 is dispos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display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placed on the lower side so that the lower right portion where'ㅅ' is displayed is exposed. The open surface 43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of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combined with the Korean consonant'ㅅ' so that the Korean consonant'ㅊ' is displayed. A pattern is displayed on the top.

제4-3 응용 학습 카드(44)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 아래쪽에 개방 면(44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ㅆ'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4-3 applied learning card 44 is dispos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display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o that the lower right portion where'ㅅ' is displayed is exposed. The open surface 44a is form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nd when it is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of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combined with the Korean consonant'ㅅ' to display the Korean consonant'ㅆ'. As much as possible, a pattern is displayed on the top surface.

제4-4 응용 학습 카드(45)는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공통요소(41a) 'ㅅ'이 표시된 우측 아래쪽 부분이 노출되도록 우측 아래쪽에 개방 면(45a)이 형성되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 위에 배치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의 공통요소(41a) 한글 자음 'ㅅ'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ㅉ'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When the 4-4 applied learning card 45 is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display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displayed on the lower right so that the lower right portion where'ㅅ' is displayed is exposed. An open surface (45a) is form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nd when plac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the common element (41a) of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is combined with the Hangul consonant'ㅅ' to display the Korean consonant'ㅉ' As much as possible, a pattern is displayed on the top surface.

이러한 제4 닿소리 세트(40)는 제4 표지 카드(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표지 카드(4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4 닿소리 세트(40)의 제4 표지 카드(46)의 상면에는 잇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ㅅ'과 '잇 소리'라는 글자 및 이가 위치한 부분에 한글 자음 'ㅅ'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cover card 46. On the fourth cover card 46, an image of a pronunciation agency in which the basic touch sound is generated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basic touch sound of the learning object.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cover card 46 of 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the Korean consonant'ㅅ' and'it sound', which are the basic characters of the tooth sound, and the Korean consonant'ㅅ' are displayed in the portion where the tooth is located. Can be displayed together.

이같은 제4 닿소리 세트(40)는 또한, 제4 기본 학습 카드(4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4-1 내지 제4-4 응용 학습 카드(42, 43, 44, 45) 및 제4 표지 카드(46)는 상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also includes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nd the 4-1 to 4-4 applied learning cards 42, 43, 44, 45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mbined thereon, and The fourth cover card 46 is to have a binding turn over portion 100 on the upper side, and progresses learning by turning one by one upwards centering on the binding turn over portion 100.

그리고, 제4 기본 학습 카드(4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4-1, 제4-2, 제4-3, 제4-4 응용 학습 카드(42, 43, 44, 45)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And, from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fourth basic learning card 41 and the patterns displayed on the 4-1, 4-2, 4-3, 4-4 applied learning cards 42, 43, 44, 45 The parts representing the yessasori, the hunsori, and the coarse sounds of the corresponding touch sounds can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the principles of gacheok and byeongseo can be learned.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ㅅ'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쇠(金)를 상징하는 백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ㅅ' is displayed in white, which symbolizes iron (金) among the fivebang colors based on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and additionally creates an ordinary sound, an old sound, or a strong sound. Stroke may be displayed in green

도 5를 참조하면, 제5 닿소리 세트(50)는 제5 기본 학습 카드(51)와 제5-1 응용 학습 카드(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닿소리 세트(50)는 발음기관인 목구멍에서 만들어지는 닿소리들에 관련된 한글 자음이 표시되도록 한다. 이렇게 목구멍의 모양을 본 떠 만든 한글 자음 중 기본 자는 'ㅇ'이고 이러한 'ㅇ'으로부터 'ㅎ'이 파생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ifth touch sound set 50 may include a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and a 5-1 applied learning card 52. The fifth touch sound set 50 allows Hangul consonants related to touch sounds made in the throat, which is a pronunciation organ, to be displayed. Among the Korean consonants created in the shape of the throat, the basic letter is'ㅇ', and'ㅎ' can be derived from this'ㅇ'.

제5 기본 학습 카드(51)는 상면에 목구멍에서 만들어진 닿소리 중 기본 자인 자음'ㅇ'이 표시된다.In the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a consonant'ㅇ', which is a basic character among the touch sounds made in the throat,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제5-1 응용 학습 카드(52)는 제5 기본 학습 카드(51) 위에 배치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에 표시된 공통요소(51a)로서 'ㅇ'이 표시된 하측 부분이 노출되도록 하측에 개방 면(52a)이 형성되고, 제5 기본 학습 카드(51) 위에 배치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의 하측 부분에 표시된 공통요소(51a) 한글 자음 'ㅇ'과 조합되어 한글 자음 'ㅎ'이 표시되도록 상면에 문양이 표시된다.The 5-1 applied learning card 52 is a common element 51a displayed on the 5th basic learning card 51 when placed on the 5th basic learning card 51, so that the lower part marked'ㅇ' is exposed on the lower side. The open surface 52a is formed, and when placed on the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the common element 51a displayed on the lower part of the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is combined with the Hangul consonant'ㅇ', and the Korean consonant'ㅎ A pattern is displayed on the top so that'is displayed.

이러한 제5 닿소리 세트(50)는 제5 표지 카드(56)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이며, 제5 표지 카드(56)에는 학습대상의 닿소리 기본 자와 함께 상기 기본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발음기관의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5 닿소리 세트(50)의 제5 표지 카드(56)의 상면에는 목구멍소리의 기본 자인 한글 자음 'ㅇ'과 '목구멍 소리' 및 목구멍 위치에 한글 자음 'ㅇ'이 표시된 이미지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This fifth touch sound set 50 may further include a fifth cover card 56, and the fifth cover card 56 includes an image of a pronunciation agency in which the basic touch sound is created together with the basic touch sound of the learning object. Can be displayed together. That i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fth cover card 56 of the fifth touch sound set 50, the Korean consonants'ㅇ' and the'throat sound', which are the basic characters of the throat sound, and the image displaying the Korean consonant'ㅇ' at the throat position are displayed together. Can be.

이같은 제5 닿소리 세트(50)는 또한, 제5 기본 학습 카드(51)와 그 위에 순차적으로 포개어져 결합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52) 및 제5 표지 카드(56)는 상측에 제본 넘김부(100)를 가지게 되는 것이며, 제본 넘김부(100)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한장씩 넘기며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This fifth touch sound set 50 is also, the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and the 5-1 applied learning card 52 and the fifth cover card 56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and combined thereon are bound on the upper side. It will have a turn over portion 100, and the learning proceeds by turning one sheet upwards, centering on the binding turn over portion 100.

그리고, 제5 기본 학습 카드(51)에 표시된 기본 닿소리와 제5-1 응용 학습 카드(52)에 표시된 문양에서 해당되는 닿소리의 예사소리, 된소리 및 거센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이 서로 구분되어 가획 및 병서의 원리를 학습할 수 있도록 상이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asic touch sound displayed on the fifth basic learning card 51 and the parts representing the typical touch sound, the old sound, and the strong sound of the corresponding touch sound in the pattern displayed on the 5-1 applied learning card 5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can be displayed in different colors so that you can learn the principle of.

예를 들어, 본 실시 예에서는, 기본 닿소리 'ㅇ'에 해당하는 부분이 한글 창제 원리에 입각한 오방색 중 물(水)을 상징하는 흑색으로 표시되고, 추가로 예사 소리, 된소리 또는 거센소리를 만드는 가획 부분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basic touch sound'ㅇ' is displayed in black, which symbolizes water, among the five room colors based on the Hangul creation principle. The stroked portion may be displayed in green.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로 구성한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5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in which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Hangul lear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set for learning basic vowels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는 한 장의 모음 표지 카드(76), 한 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71),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t 70 for learning a vowel basic character includes one vowel cover card 76, a basic vowel card 71, a vowel first inviter card and a reinvestment card 72, 73. .

모음 표지 카드(76)는, 원기호 ①②③④로 구분되는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표시되고 있다.The vowel cover card 76 is the first group of vowel characters "ㅣ, ㅏ, ㅑ" divided by the original symbol ①②③④, the second group of vowel characters "ㅣ, ㅓ, ㅕ", the third group of vowel characters "ㅡ, ㅗ," ㅛ", vowel 4th group "ㅡ, ㅜ, ㅠ" are displayed in 4 directions.

이때, 모음 표지 카드(76)는, 각 모음자 제1 내지 제4 그룹의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vowel cover card 76 may display one image representing a word having an optimum phonetic value of a vowel to learn at a position where a consonant is entered for each vowel of the first to fourth groups of vowels.

예를 들어, 모음 "ㅡ" 위에는 으앙하고 우는 아기의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ㅗ" 위에는 오리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ㅛ" 위에는 요구르트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ㅜ" 위에는 우산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ㅠ" 위에는 유모차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ㅣ" 앞에는 이불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ㅏ" 앞에는 아이를 상징하는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ㅑ" 앞에는 야구선수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ㅓ" 앞에는 어머니를 상징하는 그림이 표시되고, 모음 "ㅕ" 앞에는 여우 그림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For example, a picture of a crying baby is displayed above the vowel "ㅡ", a picture of a duck above the vowel "ㅗ", a picture of yogurt above the vowel "ㅛ", and an umbrella picture above the vowel "TT". A picture of a baby carriage is displayed above the vowel "ㅠ", a picture of a blanket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vowel "ㅣ", a picture symbolizing a child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vowel "ㅏ", and a picture of a baseball player is displayed in front of the vowel "ㅑ". In front of the vowel "ㅓ", a picture symbolizing mother is displayed, and in front of the vowel "ㅕ", a picture of a fox can be displayed.

기본 모음자 카드(71)는,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71a)에 표시되어 있다.In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 basic vowel character "-" to be learned is displayed on the lower one surface 71a.

모음 초출자 카드(72)는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 "ㅡ"가 표시된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하부 일면(71a)이 노출되도록 개방면(72a)을 가진다.The vowel extractor card 72 displays the initial vowel character "ㆍ"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on the covered surface covering a part of the card so as to be located on the top surface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and the covered surface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mmon element "-" of each vowel has an open surface 72a so that the lower one surface 71a of the basic vowel card 71 is displayed.

모음 재출자 카드(73)는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 "ㅡ"가 표시된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하부 일면(71a)이 노출되도록 개방면(73a)을 가진다.The vowel re-investment card 73 displays a re-investment "..."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on the covered surface covering a part of the card so that it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and the covered surface In the lower part of, the common element "-" of each vowel has an open surface 73a so that the lower one surface 71a of the basic vowel card 71 is displayed.

이때,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개방면(72a, 73a)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도 15는 개방면이 카드 중 일부가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인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는 투명 창에도 동일한 특징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open surfaces 72a and 73a of the vowel invit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72 and 73 may be an open space in a cut-out state or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window. Hereinafter, FIG. 15 illustrates that the open surface is an open space in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cards are cut, but this can be applied to a transparent window with the same characteristics.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들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를 기본 모음자 카드(71) 위에 배치시 초출자 및 재출자 카드(72, 73)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placing these vowel invitation cards and re-entry cards 72 and 73 on the basic vowel card 71, the extruder "·" or the re-entry cards 72 and 73 The investment "..." is combined with the basic vowel "ㅡ" pattern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ard 71 to complete the vowels used in the Hangul composition.

예를 들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ㅡ"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ㅗ"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ㅡ"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ㅛ"이 완성된다. 이때, 모음 표지 카드(76)는 모음 "ㅡ", "ㅛ", "ㅗ"이 표시된 모음자 제3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vowel initial card 72 is stacked on the "-" of the basic vowel card 71, the vowel "ㅗ" is completed, and the vowel re-contributed card on the "-" of the basic vowel card 71 Laminating (73) completes the vowel "f". At this time, in the vowel cover card 76, a third group of vowel characters in which vowels "-", "ㅛ", and "ㅗ" are displayed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ard.

그리고, 모음 표지 카드(76)를 좌측으로 90° 회전시켜 모음 "ㅣ", "ㅓ", "ㅕ"이 표시된 모음자 제1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ㅓ"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ㅕ"이 완성된다.Then, the vowel mark card 76 is rotated 90° to the left so that the first group of vowels marked with the vowels “I”, “ㅓ”, and “ㅕ”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ard. At this time, when the vowel initial investigator card 72 is stacked on the "l"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the vowel "ㅓ" is completed, and the vowel re-investment card 73 on the "ㅣ"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 the vowel "ㅕ" is completed.

그리고, 모음 표지 카드(76)를 더 회전시켜 모음 "ㅣ", "ㅏ", "ㅑ"이 표시된 모음자 제2그룹이 카드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를 적층하면 모음 "ㅏ"이 완성되고,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ㅣ" 위에 모음 재출자 카드(73)를 적층하면 모음 "ㅑ"이 완성된다.Then, the vowel cover card 76 is further rotated so that the second group of vowel characters marked with the vowels "I", "ㅏ", and "ㅑ" is located at the top of the card. At this time, when the vowel initial contribution card 72 is stacked on the "I"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the vowel "ㅏ" is completed, and the vowel re-investment card 73 on the "I"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 Are stacked to complete the vowel "ㅑ".

본 발명에 의한 한글 모음 학습 방법은,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의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적용하여 기본 모음자와 상기 기본 모음자로부터 파생되는 모음들을 체계적이고도 순차적으로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method for learning Korean vowe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diting structure of the Hangul learning tool to systematical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 the basic vowels and the vowels derived from the basic vowels by applying the vowel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ymmetry and synthesis of Hangul. You will be able to learn them sequentially.

현대 한글은 자음 14자와 모음 10자의 총 24자로 이루어지고, 자음과 모음은 자연의 소리를 발음하는 원리와 철학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며, 이 중에서 자음은 발음 기관 또는 발음하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모음은 하늘과 땅, 사람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 모음을 이렇게 만든 것은 하늘은 해와 같은 양성을 나타내고 땅은 달과 같은 음성을 나타내고, 사람은 중성을 나타내므로, 양성은 양성끼리 음성은 음성끼리 어울리는 우리말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Modern Hangeul consists of a total of 24 letters of 14 consonants and 10 vowels, and consonants and vowels are made based on the principles and philosophy of pronouncing the sounds of nature. , Vowels are made in the shape of heaven, earth, and people. The vowels were made in this way to indic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re the sky represents the sun-like positivity, the earth represents the moon-like negative, and humans represent neutrality.

이러한 자음은 목구멍에서 숨이 나올 때 그 숨이 입안 어딘가에 닿으면서 만들어지는 소리로 '닿소리'라고도 한다. 예를 들어 '그'라는 글자를 천천히 크게 발음해 보면 'ㄱ'은 자음이고 'ㅡ'는 모음인 것을 알 수 있다. 이때, 모음 소리를 작게 내면 자음 'ㄱ'의 발음을 더 선명하게 느낄 수 있다.These consonants are also called'touching sounds' as sounds made when breath comes out of the throat when the breath reaches somewhere in the mouth. For example, if you pronounce the letter'that' slowly and loudly, you can see that'ㄱ' is a consonant and'ㅡ' is a vowel. At this time, if the vowel sound is made small, the pronunciation of the consonant'ㄱ' can be felt more clearly.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자음을 발음할 때의 발음 기관의 모양이 나타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ㄱ'이 표시된 부분을 확인하면 어떻게 'ㄱ'이란 글자가 만들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이와 같이 한글 자음은 발음 기관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다.8 and 9, the shape of a pronunciation organ when a consonant is pronounced is shown. Here, for example, if you check the part marked with'ㄱ', you can see how the letter'ㄱ' was created. In other words, Hangul consonants are made after the shape of a pronunciation organ.

이때, 우리 입 안에서 닿소리가 만들어지는 자리는 어금니, 혀, 입술, 이, 목구멍 모두 다섯 곳이고, 이러한 발음 기관 또는 발음하는 모양을 본 떠 한글의 기본 자음 자 5개인 'ㄱ', 'ㄴ', 'ㅁ', 'ㅅ', 'ㅇ'을 만든 것이다.At this time, there are five places in our mouth where the sound of touching is made:'ㄱ','ㄴ', which are five basic consonants of Hangeul based on the shape of the pronunciation organ or pronunciation. They made'ㅁ','ㅅ', and'ㅇ'.

여기서, 어금니 소리 'ㄱ'은 혀 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혓소리 'ㅅ'은 혀끝이 윗 잇몸에 닿는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입술소리 'ㅁ'은 입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잇소리 'ㅅ'은 이의 모양을 본 떠 만든 것이고, 목소리 'ㅇ'은 목구멍의 모양은 본 떠 만든 것이다.Here, the molar sound'ㄱ' is made after the shape of the tongue root blocking the throat, the tongue sound'ㅅ' is made after the shape of the tip of the tongue touching the upper gum, and the sound of lips'ㅁ' is the shape of the mouth. It was made from the shape of the tooth, and the'ㅅ' is made from the shape of the tooth, and the'ㅇ' is made from the shape of the throat.

또한, 한글에서, 받침으로 쓰는 끝소리(종성) 글자는 첫소리(초성) 글자를 가져다 써서 최소의 낱자로 많은 글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몸'과 같은 글자이다. 첫소리 글자, 가운데소리 글자, 끝소리 글자를 모아 쓰는 방식은 가로, 세로 어느 쪽으로든 쓸 수 있고, 뜻을 드러내기에 좋다. In addition, in Hangul, the last sound (single) character used as a base can be made with the smallest number of characters by taking the first sound (initial) character. For example, it is a letter such as'Angle','Body'. The method of combining the initial letter, the middle letter, and the end letter can be written horizontally or vertically, and is good for revealing the meaning.

또한, 한글은 자음과 모음을 합치는 방식 또한 규칙성을 가진다. 자음과 모음의 결합에서 최소한의 규칙성을 지닌 움직임으로 최대의 글자를 만들어 내며, 예를 들어 '고'에서 'ㄱ'을 고정시키고 모음 'ㅗ'를 오른쪽 방향으로 90도씩 회전하면 '가-구-거'가 만들어져 '고, 가, 구, 거'와 같은 글자 체계를 이루게 된다.In addition, Hangul also has regularity in the way consonants and vowels are combined. The combination of consonants and vowels creates the largest letter with minimal regular movement.For example, if'a' is fixed in'go' and the vowel'ㅗ' is rotated 90 degrees to the right,'ga-gu' -Geo' is created to form a writing system such as'Go, Ga, Gu, Geo'.

또한, 'ㄱ, ㄴ, ㅁ, ㅅ, ㅇ'의 소리는 거세지 않은 소리로, 이 기본자 보다 입김을 많이 내어 세게 소리를 내면 거센 소리가 괸다. 이러한 거센 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기본 자에 획이 추가되어 9자를 더 만들고, 또한 기본 자에 자음을 병서하여 된소리가 생성되는 제자 원리를 가진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이러한 기본 자를 바탕으로 다른 자음이 만들어졌는데, 그 자음은 가획자로서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만들어진 'ㅋ', 'ㄷ', 'ㅌ', 'ㅂ', 'ㅍ', 'ㅈ', 'ㅊ', 'ㅎ'이 있고, 훈민정음의 경우 이외에도 이체자 세 자가 더 있다. 즉, 한글 자음은 기본자가 다섯 자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기본 자에서 규칙적으로 확장된 문자로서 간결하고 실용적인 과학적 특성을 가진다.Also, the sound of'ㄱ, ㄴ, ㅁ, ㅅ, ㅇ'is not harsh, and if you breathe more than this basic character and make a hard sound, it will sound strong. In order to express such a strong sound, a stroke is added to the basic ruler to make 9 more characters, and the basic ruler has a disciple principle in which a consonant is created in conjunction with a consonant sound. That is, as shown in Fig. 10, different consonants were created based on these basic rulers, and the consonants were'ㅋ','ㄷ','ㅌ','ㅂ', and'ㅍ There are','ㅈ','ㅊ', and'ㅎ', and in addition to the case of Hunminjeongeum, there are three more transferees. In other words, Hangul consonants have only five basic characters, and the rest are letters that are regularly expanded from the basic characters, and have concise and practical scientific characteristics.

이때, 받침으로 쓰는 끝소리 글자는 첫소리 글자를 가져다 써서 최소의 낱자로 많은 글자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몸'과 같은 글자가 있다. 즉, 한글은 이런 원리에 의해 글자 수가 최소화되므로 쉽게 익힐 수 있게 된다. 덧붙여, 한글은 첫소리 글자, 가운데소리 글자, 끝소리 글자를 합쳐 모아 쓰는 방식이 규칙적이고 실용적이므로, 이러한 원리에 의해 글자를 빨리 쓰고 읽고 쓸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한글을 'ㅎㅏㄴㄱ ㄹ'과 같이 풀어 쓴다면 뜻을 이해하기도 어렵고 이에 학습 속도가 더 느려질 것이다.At this time, the last sound character used as a base can be made by taking the first sound character and making a large number of characters with the smallest number of characters. For example, there are letters such as'Gang' and'Body'. In other words, Hangul can be easily learned because the number of letters is minimized by this principle. In addition, since Hangul is a regular and practical method of combining the first letter, middle letter, and end letter, it is possible to write, read, and write letters quickly by this principle. For example, if you write Hangul like'ㅎㅏㄴㄱ ㄹ', it will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the learning speed will be slower.

이러한 한글의 특징에 근거하여 구성된 본 실시 예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및 후술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이용하여 한글 학습을 진행하면, 훈민정음 창제 원리에 기초한 소리 조합으로 한글이 만들어진 원리를 이해하면서 기본 자음 다섯 자의 소리를 먼저 익히고, 이후 기본 자에서 규칙적인 가획 또는 자음 병서의 원리에 따라 확장되어 파생되는 다른 자음 소리도 쉽고 빠르게 익힐 수 있으며, 동시에 대칭과 합성의 원리에 의한 모음 제자원리를 통해 유아나 외국인도 한글을 빠르게 읽고 쓸 수 있게 된다.When learning Hangul using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constru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Hangul and the Hangul learning mini-book described later, five basic consonants were made while understanding the principle that Hangul was made with sound combinations based on the Hunminjeongeum creation principle. You can learn the sound of the ruler first, and then learn the sound of other consonants that are derived from the basic ruler, which are expanded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regular choking or consonant byeongseo. At the same time, infants and foreigners can learn vowels based on the principles of symmetry and synthesis. You will also be able to read and write Korean quickly.

한편, 이러한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를 이용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제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roduce a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by using this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의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각 닿소리 세트 별로 해당하는 카드들을 적층하여 한 권의 책으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자음의 제자원리인 가획의 원리를 한 눈에 이해하며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made into one book by stacking cards corresponding to each touch sound set. These mini-books for learning Hangul can be taught by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gachaeng, which is a resource for consonants, at a glance.

이때, 제1, 제2, 제3, 제4 및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기본 학습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기본 학습 카드 위에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용용 학습 카드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구성할 수 있으며, 최상층의 응용 학습 카드 위에 적층되는 표지 카드를 각각 한 장씩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touch sound sets (10,20,30,40,50) have at least one dragon learning card on the basic learning card with the basic learning card as the lowest layer. The mini-book for learning Hangul may be configured by sequentially stacking, and each cover card may be stacked on top of the applied learning card.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미니 북은,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의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가 앞뒤 방향성을 가지며,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 또는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어와 이미지는 학습자가 쉽게 연상이 될 수 있는 단어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mini-book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of the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10, 20, 30, 40, 50) have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the cover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are learned on the back side. At least one of a word or an image having an optimal sound value of the target touch sound may be displayed, respectively. In this case, the words and images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words that the learner can easily associate with.

종래의 교재들은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이용한 연상 학습시 해당 소리를 단어의 첫 음절 그리고 단어의 초성에 맞춰 관련된 이미지를 선택하여 표시하게 되는데, 이 경우 해당하는 자음의 음가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에 학습 효과를 저하시키고 혼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Conventional textbooks generally select and display the relevant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syllable of the word and the initial vowel of the word when learning associative using an image. In this case, a problem occurs in that the phonetic value of the corresponding consonant cannot be correctly recognized. This can reduce the learning effect and cause confusion.

이같은 사정을 감안하여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카드의 후면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굳이 단어의 초성에 맞추지 않고 각각의 닿소리에서 가장 최적화된 음가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이미지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In view of this situ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each card does not necessarily match the initial voice of the word, but an image judged to correspond to the most optimized phonetic value in each touch sound was selected and used.

그리고,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어느 한 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100, 100')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고, 상하로 인접한 2개의 학습 카드 또는 표지 카드에서 상측 페이지에 위치한 카드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또는 이미지는 바로 아래쪽 페이지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을 단어의 글자 중 하나의 초성으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어 또는 이미지는 학습대상 닿소리의 최적음가를 가진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ver card, the basic learning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are stacked up and down so that either one or both binding and turning portions 100 and 100' are fixed, and from two learning cards or cover cards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upper page. The word or imag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card is made a Hangul consonant displayed on the immediately lower page as one of the letters of the word. In this case, the word or image may be selected as having an optimal sound value of the target sound.

본 실시 예의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복수의 카드가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에 인쇄되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학습자가 이러한 카드들을 한글 학습 교재로부터 절취하여 분리하고, 사용 방법의 안내에 따라 각 닿소리 세트 별로 구분한 후 순서에 맞게 적층한 다음, 적층된 카드의 어느 한방향 또는 상하 양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100, 100')에 스테플이나 또는 풀질을 하여 줌으로서 5권의 한글 학습용 미니 북으로 만들어 한글 학습 부교재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by printing a plurality of cards on a part of the Hangul learning textbook. In this case, the learner cuts these cards out of the Hangul learning textbook, separates them, divides them for each set of touch sounds according to the instructions on how to use them, stacks them according to the order, and then binds them in either direction of the stacked cards or in both directions. It can be used as an auxiliary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by making it into 5 mini-books for learning Korean by staples or pastes on the flipping parts 100 and 100'.

이와 같이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가 얇은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앞뒤로 적층된 복수의 카드 일단의 넘김부에 해당하는 제본 넘김부(100, 100')에 스테플이나 또는 풀질을 하여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완성될 수 있다.When the mini-book for Hangul learning is provided as a part of the Hangul learning textbook as described above, the cover card, the basic learning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may be made of thin paper, and the binding turns corresponding to the turning part of a group of a plurality of cards stacked back and forth. A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can be completed by stapling or filling the parts 100 and 100'.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닿소리 세트의 경우 좌측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2 닿소리 세트의 경우 우측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3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과 아랫쪽 양방향의 제본 넘김부(100, 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4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하고, 제5 닿소리 세트의 경우 위쪽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로 고정한 것으로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first touch sound set, the left binding turn over part 100 is fixed with a staple, in the case of the second touch sound set, the right binding turn over part 100 is fixed with a staple, and in the case of the third touch sound set, the upper part And, in the case of fixing the binding turn over portion (100, 100') in both directions of the lower side with a staple, in the case of the fourth hitch set, the upper binding turnover part 100 is fixed with a staple, and in the case of the fifth hitch sound set, the upper binding turnover part 100 ) Is illustrated and described as being fixed to a sta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상측 페이지에 위치한 카드가 고정된 제본 넘김부(100, 100')를 축으로 뒤집히면서 펼쳐지게 되고 이때 아래쪽 페이지에 표시되는 한글 자음과 함께 관련된 단어 또는 이미지가 동시에 보여지면서 연상과정을 통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the card located on the upper page is unfolded while flipping the fixed binding turning part (100, 100') along the axis, and at this time, the word or image related to the Hangul consonant displayed on the lower page is shown at the same time, and learning through the association process is performed. It is to make it happen.

예를 들어, 제1 닿소리 세트로 구성된 미니 북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 경우,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를 좌측으로 뒤집으면 좌측에 자음 'ㅋ'의 기본음가로 발음되는 최적음가를 포함하는 크레파스라는 단어와 이미지가 표시되고 우측에는 이러한 단어 및 이미지와 대응하는 한글 자음 'ㅋ'가 표시되어 좌우의 학습내용이 일치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learning using a mini-book composed of the first touch sound set, flipping the 1-2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to the left, it is best pronounced as the basic tone of the consonant'ㅋ' on the left. The word crayon and an image containing the phonetic value are displayed, and the Hangul consonant'ㅋ' corresponding to the word and imag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left and right learning contents are matched.

이에 제1-2 응용 학습 카드를 넘기는 동작만으로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동일 평면 상에 학습내용이 일치하는 학습 콘텐츠와 이미지가 동시에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한글 자음이 포함된 활용 단어 및 이 활용 단어와 시각적으로 매칭되는 이미지를 서로 매칭시키면서 익힐 수 있기 때문에 습득 속도가 매우 빠른 뿐만 아니라, 유아나 외국인의 경우에도 호기심을 가지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by simply flipping the 1-2 applied learning card, the learning contents and images that match the learning contents are simultaneously unfolded on the same plane provided to the learner. Since it is possible to learn words and images that visually match each other, the learning speed is very fast, and children and foreigners can also expec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learn voluntarily with curiosity.

다른 예로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은 한글 학습 교재의 일부로 제공되는 부 교재가 아닌 독립된 교재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 내지 도 14에서와 같이,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이 후자와 같이 독립된 하나의 교재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표지 카드, 기본 학습 카드 및 응용 학습 카드는 두꺼운 판지나 또는 얇은 플라스틱 판 등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고, 앞뒤로 적층된 복수의 카드는 어느 한쪽 또는 상하 양쪽 제본 넘김부(100, 100')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서로 분리되지 않게 결합되어 각각의 닿소리 세트 별로 한글 학습용 미니 북을 구성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s another example, the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may be produced as an independent textbook rather than an auxiliary textbook provided as a part of the Hangul learning textbook. And, as shown in Figs. 10 to 14, when the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is provided as an independent textbook as in the latter, the cover card, the basic learning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are made of a thick cardboard or a thin plastic plate. In the case of a plurality of cards stacked back and forth, one or both of the upper and lower binding and turning portions (100, 100') are combined so that they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spring binding, so that a mini-book for learning Korean can be configured for each touch sound set. I ca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도 7은 표지 카드와 응용 학습 카드의 뒷면에 표시되는 단어와 이미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닿소리 세트(1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끄다'와 촛불이 꺼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ㄲ'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끄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ㄲ'를 학습할 수 있다.7 shows various examples of words an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card and the applied learning card. Referring to FIG. 7,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mini-book consisting of the first touch sound set 10, the word'off' and the image of the candle being turned off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card corresponding to page 1, and thus If you turn one page,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ㄲ' while viewing the large Hangul consonant'ㄲ' on page 2 below and the word'Off' and related images on the back of page 1 at the same time.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크레파스'와 크레파스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ㅋ'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크레파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ㅋ'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s'crapes' and images of crayons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1-2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and if page 2 is turned over, Hangul consonants'ㅋ' and 2 largely displayed on page 3 below.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ㅋ' while viewing the word'crapas'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1-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그네'와 그네를 타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ㄱ'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그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ㄱ'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swing' and the image of riding the swing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1-1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3, and if you turn over page 3, the Korean consonant'a' and the largely displayed Hangul consonant'a' on page 4 below.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ㄱ' while viewing the word'swing'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3 at the same time.

그리고, 제2 닿소리 세트(2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빠르다'와 치타가 달려가는 듯한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ㄹ'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빠르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ㄹ'를 학습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mini-book consisting of the second touch sound set 20, the word'fast' and an image as if a cheetah is running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cover card corresponding to page 1, and if page 1 is turned over, the image below it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ㄹ' while viewing the large Hangul consonant'ㄹ' on page 2 and the word'fast' and related images on the back of page 1 at the same time.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4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뜨다'와 돛단배가 바다 위에 떠 있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ㄸ'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뜨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ㄸ'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back of the 2-4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the word'float' and an image of a sailboat floating on the sea may be displayed.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ㄸ' while watching the word'float'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2 and'ㄸ' at the same time.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트럭'과 트럭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ㅌ'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트럭'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ㅌ'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truck' and the image of the truck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2-3rd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3, and if page 3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ㅌ' and 3 largely displayed on the lower page 4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T' while viewing the word'truck'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드럼통'과 드럼통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ㄷ'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드럼통'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ㄷ'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s'drum' and the image of the drum can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2-2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4, and if page 4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c' and 4 largely displayed on page 5 below.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C' while viewing the word'drum'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5페이지에 해당하는 제2-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느티나무'와 나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5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6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ㄴ'과 5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느티나무'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ㄴ'을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Zelkova' and a tree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2-1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5, and if page 5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b' and 5 largely displayed on page 6 below.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ㄴ' while viewing the word'Zelkova'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그리고, 제3 닿소리 세트(3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예쁘다'와 꽃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ㅃ'와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예쁘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ㅃ'를 학습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mini-book consisting of the third touch sound set 30, the word'pretty' and a flower image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 card corresponding to page 1, and if you turn one page, it will be enlarged on the second page below it.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ㅃ' while viewing the displayed Hangul consonant'ㅃ' and the word'pretty'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1 at the same time.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프로펠라'와 헬리콥터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ㅍ'와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프로펠라'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ㅍ'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f the word'propeller' and helicopter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3-3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and if page 2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ㅍ' and 2 largely displayed on the lower page 3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ㅍ' while viewing the word'propeller'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브로치'과 브로치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ㅂ'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브로치'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ㅂ'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brooch' and the image of the brooch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3-2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3, and if page 3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ㅂ' and 3 largely displayed on the lower page 4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ㅂ' while viewing the word'broch'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3-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오므라이스'와 오므라이스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ㅁ'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오므라이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ㅁ'을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f the words'Omurice' and Omurice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3-1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4, and if you turn page 4, the Korean consonants'ㅁ' and 4, which are largely displayed on page 5 below.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ㅁ' while viewing the word'omurice'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그리고, 제4 닿소리 세트(4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쯔쯔'와 인상 쓰는 표정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ㅉ'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쯔쯔'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ㅉ'를 학습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mini-book consisting of the fourth touch sound set 40, the word'tsutsu' and the image of the expression written on the back of the cover card corresponding to page 1 may be displayed.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ㅉ' while viewing the large Hangul consonant'ㅉ' on the page and the word'Tsutsu'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1, and related images at the same time.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4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쓰다'와 노트 및 연필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ㅆ'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쓰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ㅆ'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write' and an image of a notebook and a pencil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4-4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and if page 2 is turned over, the Hangul consonant'ㅆ' which is largely displayed on page 3 below.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ㅆ' while watching the word'write'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2 and at the same time.

또한, 3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3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셔츠'와 셔츠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3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4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ㅊ'과 3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셔츠'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ㅊ'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shirt' and the image of the shirt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4-3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3, and if page 3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ㅊ' and 3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ㅊ' while viewing the word'shirt'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4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2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렌즈'와 돋보기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4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5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ㅈ'과 4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렌즈'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ㅈ'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lens' and an image of a magnifying glass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side of the 4-2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4, and if page 4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s'ㅈ' and 4 largely displayed on page 5 below. You can learn the Korean consonant'ㅈ' while viewing the word'lens'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또한, 5페이지에 해당하는 제4-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스케이트'와 스케이트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5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6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ㅅ'과 5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스케이트'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ㅅ'를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ds'Skate' and the image of the skate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4-1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5, and if page 5 is turned over, the Hangul consonants'ㅅ' and 5 largely displayed on page 6 below.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ㅅ' while viewing the word'skate'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page at the same time.

그리고, 제5 닿소리 세트(50)로 이루어진 미니 북의 경우, 1페이지에 해당하는 표지 카드의 후면에 단어 '흐르다'와 물이 흐르는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1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2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ㅎ'과 1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흐르다'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ㅎ'를 학습할 수 있다.And, in the case of the mini-book consisting of the fifth touch sound set 50, the word'flow' and the image of flowing water may be displayed on the back of the cover card corresponding to page 1, and if page 1 is turned over, page 2 below it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ㅎ' while viewing the Hangul consonant'ㅎ' largely displayed in and the word'flow'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1 at the same time.

또한, 2페이지에 해당하는 제5-1 응용 학습 카드의 후면에 단어 '으앙'와 아이가 우는 모습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고, 이에 2페이지를 넘기면 그 아래 3페이지에 크게 표시된 한글 자음 'ㅇ'과 2페이지의 후면에 표시된 단어 '으앙' 및 관련 이미지를 동시에 보면서 한글 자음 'ㅇ'을 학습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back side of the 5-1 applied learning card corresponding to page 2, the word'ooh' and an image of a crying child may be displayed. If page 2 is turned over, the Korean consonant'ㅇ You can learn the Hangul consonant'ㅇ' while simultaneously viewing the word'oohang' and related images displayed on the back of page 2 and'.

그리고, 제1 내지 제5 닿소리 세트(10,20,30,40,50)는, 각각의 닿소리 세트 별로 표지 카드와 학습 카드의 전면에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적층 순서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적층 순서는 원 안에 아라비아 숫자가 기재된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시 예를 들어 한글, 기호, 로마자 등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o fifth touch sound sets 10, 20, 30, 40, and 50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ver card and the learning card for each touch sound set. The stacking order may be displayed in a format in which Arabic numerals are written in a circ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hen necessary, it may be changed into various forms such as Hangul, symbols, and Roman characters.

또한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 미니북은, 앞서 한글 학습 도구 편집 구조의 기본 모음자 셋트(70)로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the Hangul learning miniboo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with a basic vowel set 70 of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로 구성한 전체 경우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로 구성한 일방향 조합 평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의 한글 학습도구 편집구조를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로 구성한 일방향 조합의 겹침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FIG. 15 is a plan view showing the entire case in which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owel basic character learning set 70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one-way combination top view in which the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is composed of a vowel basic character learning set 70, and FIG. 17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vowel basic character learning set 70 It shows an overlapping plan view of the combination.

이때, 기본 모음자 카드(71)를 최하층으로 하여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71) 위에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73) 위에 모음 표지 카드(76)가 적층되어,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된다. At this time,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s the lowermost layer, the vowel initial investigator card 72 and the reinvestment card 73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upper reinvestment card 73 The vowel cover card 76 is stacked on the top, so that the first investigator "·" or the reinvestment "..." of the vowel first entry card 72 and the reentry card 73 is display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ard 71 It is combined with the vowel "ㅡ" pattern to complete the vowels used in the composition of Hangul.

또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그리고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는 상부 제본 넘김부(100)가 고정되도록 상하로 적층되는 것이며, 최상층에 위치하는 상기 모음 표지 카드(76)는,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나누어 표시되고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vowel cover card 76,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vowel drawer card 72 and the resubmit card 73 are stacked up and down so that the upper binding turn over unit 100 is fixed, and on the top layer The vowel mark card 76 positioned includes a vowel first group "I, ㅏ, ㅑ", a second vowel group "I, ㅓ, ㅕ", a third group of vowel characters "-, ㅗ, ㅛ", The fourth group of vowels "ㅡ, ㅜ, ㅠ" is displayed in 4 directions.

이때, 일 예로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면,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상부 제본 넘김부(100)는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as an example, when the vowel cover card 76,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vowel invit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72, 73 are formed of thin paper, the vowel cover card 76 stacked up and down ),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upper binding turning part 100 of the vowel initial card and the re-entry card 72 and 73 may be fixed with staples or adhesives.

다른 예로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는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72, 73)의 상부 제본 넘김부(100)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vowel cover card 76,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vowel invit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72, 73 are formed of a thick cardboard or plastic plate, and are stacked up and down. 76),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upper binding turning portion 100 of the vowel initial card and the re-introduced card 72 and 73 may be coupled by spring binding.

먼저, 모음 표지 카드(76)은, 한장의 표지 위에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방향성을 달리하며 4개의 방향으로 분할 표시되고 있다.First, the vowel cover card 76 is the first group of vowel characters "I, ㅏ, ㅑ", the second group of vowel characters "ㅣ, ㅓ, ㅕ", and the third group of vowel characters "ㅡ, ㅗ," ㅛ", vowel 4th group "ㅡ, ㅜ, ㅠ" are divided into 4 directions with different directions.

그리고 가장 하단에 위치하게 되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71)은,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는 하부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를 가진 한장의 카드로 이루어 진다.And the one basic vowel card 71 positioned at the bottom is made of one card having the basic vowel exposed portion 71a at the bottom in which the basic vowel character “-” to be learned is displayed.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71) 위에는, 초출자 카드(72)와 재출자 카드(73)가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로 놓여지게 되는데 이들 초출자 카드(72)와 재출자 카드(73)는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하부로 노출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된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를 가리우지 않도록 개방면(72a)(73a)을 각각 구비하고 있게 된다.On one basic vowel card 71, the first investor card 72 and the reentrance card 73 are sequentially stacked. These first investor cards 72 and reentrance cards 73 are described above. Each of the open surfaces 72a and 73a is provided so as not to cover the basic vowel exposed portion 71a on which the basic vowel character "-" ex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sic vowel card 71 is displayed.

다시말해, 초출자 카드(72)와 재출자 카드(73)는,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개방면(72a)(73a)을 각각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first investor card 72 and the reinvestment card 73 have an initial investor "·" or a reinvestment "..."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 on the covered surface covering a part of the card. The basic vowel character "-" is mark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and open surfaces 72a and 73a ar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vered surface so that common elements of each vowel are exposed.

그러므로 하부 일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71)를 최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72) 및 재출자 카드(73)를 차례로 적층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73) 위에 다시 모음 표지 카드(76)가 순차 적층되도록 구성한 다음, 상하로 적층되는 상기 모음 표지 카드(76), 기본 모음자 카드(71) 및 모음 초출자 카드(72)와 재출자 카드(73)의 상부 제본 넘김부(100)를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하게 되면, 상부의 모음 표지 카드(76)로부터 시작하여 모음 재출자 카드(73)와 초출자 카드(72)를 순차적으로 넘길 때,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가 공통으로 조합되면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one basic vowel card 71 on which the basic vowel character "-" is displayed on the lower side is the lowest layer, and the vowel initial investigator card 72 and the recontribution card 73 are placed on the bottom. The vowel cover cards 76 are stacked in sequence, and the vowel cover cards 76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re-investment card 73 of the upper layer, and then the vowel cover card 76, the basic vowel character card 71 and the vowel extractor are stacked up and down. When the card 72 and the upper binding part 100 of the reentry card 73 are fixed with staples or adhesives, starting from the upper vowel cover card 76, the vowel reentry card 73 When passing the first vowel card 72 in sequence, the basic vowel exposed portion 71a of the basic vowel card 71 is combined in common with the basic vowel “ㅡ” pattern, which is used in the composition of Hangul. You will complete them.

이러한 조합은, 모음 표지 카드(76)에 방향성을 달리하며 4개의 방향으로 분할 표시되고 있는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및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의 펼침 방향을 선택하게 됨으로서 다양하고도 다른 음을 가진 모음들을 완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is combination is a vowel character first group "I, ㅏ, ㅑ", vowel character 2 group "I, ㅓ, ㅕ", vowel character 2 group, which is divided and displayed in four directions with different directions on the vowel mark card 76. Now, by selecting the spread direction of the third group "ㅡ, ㅗ, ㅛ", and the fourth group of vowel characters "ㅡ, ㅜ, ㅠ", vowels with various and different notes can be completed.

즉,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을 상방향으로 하여, 우측으로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모음 재출자 카드(73)와 초출자 카드(72)를 한장씩 순차적으로 넘기게 되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가 공통으로 조합되면서 기본 모음자 "ㅣ"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모음 "ㅣ, ㅏ, ㅑ" 가 완성되는 것이며,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을 상방향으로 하여, 좌측으로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모음 재출자 카드(73)와 초출자 카드(72)를 순차적으로 넘기게 되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가 공통으로 조합되면서 기본 모음자 "ㅣ"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모음 "ㅣ, ㅓ, ㅕ"가 완성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f the vowel re-investment card 73 and the first contributor card 72 are sequentially turned over one by one, with the first group of vowels "I, ㅏ, ㅑ" facing upward and spreading to the right, the basic As the basic vowel exposed portion 71a of the vowel card 71 is combined in common, it is combined with the basic vowel “ㅣ” pattern to complete the Korean vowel “ㅣ, ㅏ, ㅑ”, and the second vowel group “ When the vowel re-entry card (73) and the first investigator card (72) are sequentially turned over with the ㅣ, ㅓ, ㅕ" in the upward direction and unfolded to the left, the basic vowel of the basic vowel card 71 As the character exposed portion 71a is commonly combined, it is combine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ㅣ” pattern to complete the Hangul vowel “ㅣ, ㅓ, ㅕ”.

같은 방법으로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을 상방향으로 하여, 위로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모음 재출자 카드(73)와 초출자 카드(72)를 순차적으로 넘기게 되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가 공통으로 조합되면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모음 "ㅡ, ㅗ, ㅛ"가 완성되는 것이고,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을 상방향으로 하여 아래로 펼쳐지도록 한 상태에서 모음 재출자 카드(73)와 초출자 카드(72)를 순차적으로 넘기게 되면, 기본 모음자 카드(71)의 기본 모음자 노출부(71a)가 공통으로 조합되면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모음 "ㅡ, ㅜ, ㅠ"가 완성되는 것이다. In the same way, if the third group of vowels "ㅡ, ㅗ, ㅛ" is turned upward, and the vowel re-investment card 73 and the first contributor card 72 are sequentially turned over, the basic vowel As the basic vowel exposed portion 71a of the character card 71 is combined in common, the Korean vowel "ㅡ, ㅗ, ㅛ" is completed by combining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pattern, and the vowel 4 group "ㅡ When the vowel re-entry card 73 and the first invested card 72 are sequentially turned over with the ", ㅜ, ㅠ" in the upward direction, the default vowel character of the basic vowel card 71 is exposed. As the parts 71a are combined in common, the Korean vowel "ㅡ, ㅜ, ㅠ" is completed by combining with the basic vowel "ㅡ" pattern.

이같이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모음 기본자 학습용 세트(70)는, 가장 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한장의 표지 위에 4개의 방향으로 분할 표시되고 있는 모음 표지 카드 하부에 적층되는 최소한의 카드를 공통으로 사용하여, 그 표시된 방향성에 따라 하부의 카드를 각기 다른 모음으로 조합하며 최대의 학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et 70 for learning the basic vowel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ositioned on the most surface, and uses a common minimum card stacked under the vowel cover card that is divided and displayed in four directions on a single cover. Thus,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maximum learning effect by combining the lower cards into different vowels according to the indicated direction.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easy to understand. If the implementation by such improvement, change, substitution or addition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appended claims, the technical idea is also considered to belo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제1 닿소리 세트 20: 제2 닿소리 세트
30: 제3 닿소리 세트 40: 제4 닿소리 세트
50: 제5 닿소리 세트 70: 모음 기본자 학습용 셋트
10: first touch sound set 20: second touch sound set
30: third touch sound set 40: fourth touch sound set
50: fifth touch sound set 70: set for learning basic vowels

Claims (7)

한장의 표지 위에,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방향성을 달리하며 4개의 방향으로 분할 표시되고 있는 모음 표지 카드;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에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 및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개방면을 가지고 있는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 일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 및 재출자 카드를 차례로 적층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 위에 다시 모음 표지 카드가 순차 적층되도록 적층 구성하여,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및 최상층의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일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고정하여 한권의 한글 모음 학습용 교재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 도구 편집 구조.
On the cover of one sheet, vowel first group "ㅣ, ㅏ, ㅑ", vowel second group "ㅣ, ㅓ, ㅕ", vowel group 3 "ㅡ, ㅗ, ㅛ", vowel group 4" ㅡ, ㅜ, ㅠ" vowel cover cards that are divided and displayed in four directions with different directions;
One basic vowel car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to be studied on the lower side; And
On the covered surface that covers a part of the card, the first investigator "ㆍ" or the reinvestment "…"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is mark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ed surface The vowel expatriate card and re-entry card having an open surface so that the common elements of each vowel are exposed; Consisting of,
One basic vowel car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 displayed on the lower side is the lowest layer, and the vowel first and re-investment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it, and on the re-investment card on the upper layer. By stacking so that the vowel cover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first vowel card and the re-entry card "ㆍ" or the re-entry "......" are combined with the basic vowel "ㅡ" pattern displayed on the top of the basic vowel card. To complete the vowels used in the composition of Hangul,
The vowel extrac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and the vowel cover card on the top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ic vowel card, are completed as a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vowels by fixing a binding turning part provided in one direction.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개방 면이 절개된 상태의 개방 공간이거나 또는 투명 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n space or a transparent window in a state in which the open sides of the vowel invita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are cut ope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각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도구 편집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vowel cover card,
Hangul learning tool editing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vowel, one image representing a word having an optimum phonetic value of the vowel to be studied is displayed at a location where a consonant is entered.
모음자 제1그룹 "ㅣ, ㅏ, ㅑ", 모음자 제2그룹 "ㅣ, ㅓ, ㅕ", 모음자 제3그룹 "ㅡ, ㅗ, ㅛ", 모음자 제4그룹 "ㅡ, ㅜ, ㅠ" 이 4개의 방향으로 표시되고 있는 한장의 모음 표지 카드;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하부 일면에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 및
카드의 일부 면을 가리우는 덮힘면 상에 기본 모음자 "ㅡ"에 부가되는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를 기본 모음자 "ㅡ" 상면에 위치하도록 표시하고 있고, 덮힘면의 하부에는 각 모음자의 공통요소가 노출되도록 개방면을 가지고 있는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하부 일면에 학습대상이 되는 기본 모음자 "ㅡ"가 표시되어 있는 한장의 기본 모음자 카드를 최하층으로 하여, 그 위에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 및 재출자 카드를 차례로 적층하고, 상층의 재출자 카드 위에 다시 모음 표지 카드가 순차 적층되도록 적층 구성하여,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초출자 "ㆍ" 또는 재출자 "‥"가 기본 모음자 카드의 상면에 표시된 기본 모음자 "ㅡ" 문양과 조합되어 한글 구성에 사용되는 모음들을 완성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기본 모음자 카드 위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상기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 및 최상층의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일방향에 제공되는 제본 넘김부를 고정하여 한권의 한글 모음 학습용 교재로 완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Vowel group 1 "ㅣ, ㅏ, ㅑ", vowel group 2 "ㅣ, ㅓ, ㅕ", vowel group 3 "ㅡ, ㅗ, ㅛ", vowel group 4 "ㅡ, ㅜ, ㅠ""One vowel cover card displayed in these four directions;
One basic vowel car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to be studied on the lower side; And
On the covered surface that covers a part of the card, the first investigator "ㆍ" or the reinvestment "…" added to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is marked to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vowel character "ㅡ", and the lower part of the covered surface The vowel expatriate card and re-entry card having an open surface so that the common elements of each vowel are exposed; Consisting of,
One basic vowel card with the basic vowel character "-" displayed on the lower side is the lowest layer, and the vowel first and re-investment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op of it, and on the re-investment card on the upper layer. By stacking so that the vowel cover cards are sequentially stacked, the first vowel card and the re-entry card "ㆍ" or the re-entry "......" are combined with the basic vowel "ㅡ" pattern displayed on the top of the basic vowel card. To complete the vowels used in the composition of Hangul,
The vowel extraction card and the reentry card and the vowel cover card on the top layer, which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basic vowel card, are completed as a textbook for learning Korean vowels by fixing a binding turning part provided in one direction. A mini book for learning Korea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표지 카드는,
각 모음자 마다 자음이 들어가는 위치에 학습대상 모음자의 최적음가를 가진 단어를 나타내는 이미지가 각각 하나씩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The method of claim 4,
The vowel cover card,
Hangul learning mini-book, characterized in that, for each vowel, one image representing a word having an optimum phonetic value of the vowel to be studied is displayed at a location where a consonant is entered.
제 4 항에 있어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얇은 종이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테플(staple)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The method of claim 4,
The vowel cover card, the basic vowel card, and the vowel first and re-entry card are formed of thin paper, and the vowel cover card, the basic vowel card, and the vowel first and re-entry card are stacked up and down. Hangul learning mini-book, characterized in that fixed with an additional staple (staple) or an adhesive.
제 4 항에 있어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가 두꺼운 판지 또는 플라스틱 판으로 형성되고, 상하로 적층된 모음 표지 카드, 기본 모음자 카드 및 모음 초출자 카드와 재출자 카드의 상부 제본 넘김부가 스프링 제본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학습용 미니 북.
The method of claim 4,
Vowel cover card, basic vowel card, and vowel first and re-entry card are formed of thick cardboard or plastic plates, and are stacked up and down. Hangeul learning mini-book,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inding turning portion is coupled by spring binding.
KR1020200036387A 2019-11-08 2020-03-25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KR1022981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en) 2019-11-08 2020-03-25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en) 2019-11-08 2019-11-08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en) 2019-11-08 2020-03-25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08A Division KR102097249B1 (en) 2019-11-08 2019-11-08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204A true KR20210056204A (en) 2021-05-18
KR102298115B1 KR102298115B1 (en) 2021-09-03

Family

ID=70281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en) 2019-11-08 2019-11-08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KR1020200036387A KR102298115B1 (en) 2019-11-08 2020-03-25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408A KR102097249B1 (en) 2019-11-08 2019-11-08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0972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75B1 (en) * 2021-04-16 2023-03-17 최지원 Hangeul learning material
KR102368473B1 (en) * 2021-09-17 2022-02-28 김연희 Apparatus for studying korean languag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58A (en) 2001-11-28 2003-06-02 배문정 Korean language studying equipment
KR20130047095A (en) * 2011-10-31 2013-05-08 성재만 A hangeul learning device
KR101376442B1 (en) 2012-12-03 2014-03-19 윤혜경 Method for learning korean alphabet using four 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s and apparatus thereof
KR20160118542A (en)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Hangul input method,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education system based on hangul vowe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KR20170129391A (en)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KR101841324B1 (en) 2014-11-21 2018-03-22 최환상 Hangul Education Block And Hangul Education Board For Making The Same And Hangul Education Set Comprising The Same
KR101866148B1 (en) 2017-12-28 2018-07-04 박정선 Mini book and Editorial structure for making the mini boo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629B1 (en) * 2009-11-13 2010-05-11 유영준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character reflected korea tradition standard color
KR20110108835A (en) * 2010-03-30 2011-10-06 박종칠 The card-play using characters
KR200469803Y1 (en) * 2011-11-30 2013-11-13 (주)문화예술에이지 Block-instrument for teaching hangl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3458A (en) 2001-11-28 2003-06-02 배문정 Korean language studying equipment
KR20130047095A (en) * 2011-10-31 2013-05-08 성재만 A hangeul learning device
KR101376442B1 (en) 2012-12-03 2014-03-19 윤혜경 Method for learning korean alphabet using four fundamental arithmetic operations and apparatus thereof
KR101841324B1 (en) 2014-11-21 2018-03-22 최환상 Hangul Education Block And Hangul Education Board For Making The Same And Hangul Education Set Comprising The Same
KR20160118542A (en)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Hangul input method, hangul input apparatus and hangul education system based on hangul vowe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KR20170129391A (en) 2016-05-17 2017-11-27 주식회사 가온한국어 Hangul teaching tool based on hangul character-generative principle
KR101866148B1 (en) 2017-12-28 2018-07-04 박정선 Mini book and Editorial structure for making the mini boo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249B1 (en) 2020-04-06
KR102298115B1 (en)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115B1 (en) Method for studying hangle consonants, editorial structure for studying hangle and mini book studying hangle
US20230290264A1 (en) Interactive Phonics Board
US20100209895A1 (en) Playing Cards with the Added Fun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English Phonics
Hildreth Early writing as an aid to reading
Southcott Sarah Anna Glover: Nineteenth Century Music Education Pioneer
Okell Burmese (Myanmar): An Introduction to the Script
Druce Orality, writing and history: the literature of the Bugis and Makasar of South Sulawesi (introduction to special issue)
US20070269780A1 (en) Learning aid
Ackerman Wandering lines: Robert Grenier's drawing poems
AU2017100758A4 (en) Teaching system
Eubanks Performing mind, writing meditation: Dōgen's fukanzazengi as Zen calligraphy
Crain Ciphers for the Little Folks: A Method of Teaching the Greatest Work of Sir Francis Bacon
Takezaki et al. An Introduction to Japanese Kanji Calligraphy
KR101841324B1 (en) Hangul Education Block And Hangul Education Board For Making The Same And Hangul Education Set Comprising The Same
KR20120027838A (en) A set of learning cards for english phonics
KR100902249B1 (en) Editing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learning teaching materials and characters learning teaching materials using thereof
Khan The Naskh/Nasta'liq Script: An Evaluation of its Native-Foreign Dichotomy, Learnability Issues and Proposals for Reform
Haselberger A'book of drawings' and the'writing pen': Women artists' self-teaching and transnational print culture in early modern Europe
Hanneder Sahib Kaula's Tree of Languages: A multilingual carmen cancellatum from 17th century Kashmir
Center t, JUNE
JP6481442B2 (en) English string memory book
JP2008228816A (en) Printed matter and book
CN103440799A (en) Novel pinyin cards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Summers Lecture on the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delivered in King's College, London, April 13, 1853
KR20220002183U (en) Apparatus for learning HANGU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