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77A - Combustor for pellet stove - Google Patents

Combustor for pellet stov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77A
KR20210055377A KR1020190141736A KR20190141736A KR20210055377A KR 20210055377 A KR20210055377 A KR 20210055377A KR 1020190141736 A KR1020190141736 A KR 1020190141736A KR 20190141736 A KR20190141736 A KR 20190141736A KR 20210055377 A KR20210055377 A KR 2021005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ster
bars
layer
combusto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91476B1 (en
Inventor
민경순
이명수
임대은
Original Assignee
민경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경순 filed Critical 민경순
Priority to KR1020190141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476B1/en
Publication of KR2021005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47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1/00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 F23B1/16Combustion apparatus using only lump fuel the combustion apparatus being modified according to the form of grate or other fuel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00Grates with solid bars
    • F23H1/06Grates with solid bars having bars at different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which is formed such that an upper side of an upper combustion chamber (3) is open and a re-discharge part (4) is formed in a lower part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grate bars (5) transversely installed in a horizontal direction to cross the front and rear sides or left and right sides of a body (2). The plurality of grate bars (5) are formed in a double-layered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upper grate bars (5a) installed apart from each other to maintain horizontal spacing (S) larger than the diameter (D) of wooden pellets (10)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ower grate bars (5b)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a position below the upper grate bars (5a)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upper grate bars, and formed to be located on lower sides of middle parts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grate bars (5a), respectively, are arranged in a vertical zigzag pattern.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grate bars (5b) is formed such that inclination spacing (S1) with the upper grate bars (5a), which is adjacent to an upper side, forms spacing (S1<D)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wooden pellets (10).

Description

펠릿 난로용 연소기{Combustor for pellet stove}Combustor for pellet stove {Combustor for pellet stove}

본 발명은 펠릿 난로용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로 하는 펠릿이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동시에 펠릿 연료에 공기가 잘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펠릿 연료가 잘 연소되도록 하였으며, 또한 펠릿 연료를 받쳐주는 로스톨바를 상,하 복수층으로 형성하여 공기 흐름을 좋게 하여 펠릿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이는 동시에 연소 범위를 넓히며, 펠릿 연료가 상부 로스톨바에서 1차 연소한 후 하부 로스톨바에서 2차로 연소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펠릿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고 화력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펠릿 난로용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and more particularly, by supporting the pellets as fuel so that they do not fall out, and at the same time allowing the air to be well supplied to the pellet fuel, the pellet fuel is well combusted, and also supports the pellet fuel. By forming the roaster bar in multiple layers, it improves the air flow to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pellet fuel and at the same time widens the combustion range, and the pellet fuel is first burned in the upper roaster bar and then secondarily burned in the lower roaster bar. As a means, it relates to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which is configured to completely burn the pellet fuel and increase the thermal power.

일반적으로 겨울철에는 기름, 가스, 및 전기 등을 이용한 다양한 난로를 이용하여 실내,외를 난방하고 있다.In general, in winter, indoors and outdoors are heated using various stoves using oil, gas, and electricity.

상기한 난방용 난로는 실내의 온도를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지만, 고유가 등에 의해 난방비용이 비싸지게 되어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고, 특히 기름을 연료로하는 난방용 난로는 연소가스로 인해 대기 오염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The above-described heating stove can keep the indoor temperature warm and is used a lot because it is convenient to use, but the heating cost becomes expensive due to high oil prices, which is economically burdensome. The problem is that air pollution occurs.

그래서 근래에 와서는 임업 폐기물이나 벌채 목 등을 분쇄하여 톱밥으로 만든 후 원기둥 모양으로 압출하는 방법으로 가공되는 목재펠릿(wood pellets)을 대체 에너지로 사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펠릿난로가 제조되고 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various configurations of pellet stoves are being manufactured that use wood pellets as alternative energy, which are processed by crushing forestry wastes or felling trees into sawdust and then extruding them in a cylindrical shape.

종래의 펠릿난로에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펠릿은 비교적 작은 크기로서, 직경은 0.8∼1.5cm, 길이는 2∼4cm 정도의 크기로 제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종래 펠릿난로의 연소실에서 목재펠릿이 빠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동시 연소가 잘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펠릿난료의 연소기에 설치되는 로스톨은 대부분 목재펠릿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의 연소공이 형성되어 있는 단층 구조로 형성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Wood pellets used as fuel in conventional pellet stoves are relatively small in size, and are manufactured in a size of 0.8 to 1.5 cm in diameter and 2 to 4 cm in length, so that the wood pellets do not fall out of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nventional pellet stove. Most of the roasters, which are installed in the combustor of the pellet eggs, which are installed so that the simultaneous combustion that supports them, is well used, are formed in a single-layer structure in which combustion holes having a siz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wood pellets are formed.

그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93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연소구 내부에 경사 가이드 망체를 일정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341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깔대기 타입의 펠릿연소구에 다수의 통풍공이 형성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729126호의 선행기술은 펠릿난로의 로스톨은 연소판이 돔(dome) 형상의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As an example, in the prior art of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1893, the roaster of a pellet st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clined guide mesh is inclined at a certain angle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prior art, the roaster of the pellet stove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number of ventilation holes are formed in the funnel-type pellet combustion tool, and the prior art of the patent stove has a dome shape of the combustion plate. It consists of the structure of.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연소실에 설치되어 목재펠릿 연료를 받쳐주는 로스톨에는 작은 크기로 제조된 목재펠릿이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되게 하는 통풍구 또는 연소구멍이 다수 형성되어 있는 단층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펠릿목재 연료가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완전 연소된 재와 함께 배출 처리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above-described prior art is composed of a single-layer structure in which a number of vents or combustion holes are formed in the roaster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support the wood pellet fuel, while preventing the wood pellets manufactured in small sizes from falling out. Therefore, it has been pointed out as a problem that the pellet wood fuel is discharged together with the completely burned ash without being completely burned.

도 6은 종래 펠릿난로에 사용되고 있는 연소기를 도시한 것으로, 종래 펠릿난로의 연소기(100)는 본체(110)의 연소실(120) 내부에는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펠릿(미도시)의 직경 및 크기(길이)보다 작은 간격(d)이 형성되도록 전,후 또는 좌,우 수평방향을 향해 복수의 로스톨바(130)가 일정간격으로 횡설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110)이 전,후 또는 좌,우 양측에는 연소용 공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복수의 공기유입공(140)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10)의 바닥에는 재배출공(150)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6 shows a combustor used in a conventional pellet stove, in which the combustor 100 of the conventional pellet stove has the diameter and size of wood pellets (not shown) used as fuel in the combustion chamber 120 of the main body 110 ( Length) is composed of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transverse to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horizontal directions so that a distance d smaller than the length) is formed, and the main body 110 is front and rear.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air inlet holes 140 for inducing the inflow of combustion air ar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and a re-exhaust hole 15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110.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펠릿난로에 설치되는 연소기(100)의 본체(100) 내부의 연소실(120)에는 연료인 목재펠릿(미도시)을 받쳐주는 복수의 로스톨바(130)가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횡설되는 단층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130) 위에서 연소하게 되는 목재펠릿(미도시)은 복수의 로스톨바(130) 위에 투입될 때에는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130)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보다 큰 크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복수의 로스톨바(120) 밑으로 빠지지 않고 그 위에서 연소하게 되지만,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점차로 작아지게 되면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채 재와 같이 로스톨바(130) 밑으로 빠지게 되며, 이 같이 재와 같이 로스톨바(130) 밑으로 빠지게 되는 목재펠릿은 완전 연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완전 연소된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the combustion chamber 120 inside the main body 100 of the combustor 100 installed in the conventional pellet stov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supporting wood pellets (not shown) as fuel are constant toward the horizontal direction. Since the wood pellets (not shown) burned o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because they are formed in a single-layer structure intersecting at intervals are put o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Since it has a size larger than the gap (d)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20, it does not fall below and burns thereon. However, when the wood pellets are gradually reduced as the wood pellets are burned, the ash and ash are not completely burned. Likewise, the wood pellets falling under the roaster bar 130 and falling under the roaster bar 130 like ashes are being disposed of as completely burned ash in a state that is not completely burned.

왜냐하면,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설치되는 단층 구조로 된 복수의 로스톨바(130)들은 사이사이에 형성된 간격(d)으로는 연료인 목재펠릿(미도시)이 연소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밑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면서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지만, 연료인 목재펠릿이 단층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로스톨바(130) 위에서 연소됨에 따라 크기가 점차로 작아지게 될 때에는 작아진 목재펠릿이 복수의 로스톨바(130)들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을 통해 밑으로 빠지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연소기(100)의 연소실(120)에서 일부 연소된 목재펠릿이 복수의 로스톨바(130) 사이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간격(d)을 통해 상기 연소실(120) 하측에 형성되어 있는 재배출공(150)으로 재와 같이 떨어지게 되며, 상기 연소실(120) 하측의 재배출공(150)으로 떨어진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채 일부 연소된 목재펠릿은 더 이상 연소하지 못하고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되기 때문이다.Because,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installed in the combustor of the pellet stove prevents the wood pellets (not shown) from being burnt down in a state where the wood pellets (not shown), which are fuel, are not burned with the gap d formed between them The air required for combustion is supplied, but when the size of the wood pellets gradually decreases as the fuel wood pellets are burned o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installed in a single-layer structure, the smaller wood pellets become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It falls downward through the gap (d) formed between them, and in this case, the wood pellets partially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120 of the combustor 100 ar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130. Through the gap (d), it falls like ashes into the cultivation hole 15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0, and part of it without being completely burned away from the cultivation hole 150 on the low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0 This is because the burnt wood pellets can no longer be burned and are disposed of as ash.

따라서 상기와 같이 완전 연소하지 아니한 목재펠릿의 일부가 재와 같이 폐기 처리될 경우에는 연료인 목재펠릿이 낭비되고, 이러한 낭비로 인해 에너지자원의 손실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나타나고 있다.Therefore, when some of the wood pellets that are not completely burned as described above are disposed of as ash, wood pellets as fuel are wasted, and the loss of energy resources increases due to such waste.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6341호(2015. 02. 16.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76341 (2015. 02. 16. Announcement)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1893호(2016. 11. 22. 공고)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81893 (2016. 11. 22. Announcement) 등록특허공보 제10-1729126호(2017. 04. 24. 공고)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29126 (2017. 04. 24. Announc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목재펠릿을 연료로 하는 펠릿난로의 연소기를 구조 개선하여 상기 연소기의 연소실에 설치되는 복수의 로스톨바를 복층 구조로 구성하는 수단으로, 기존의 단층 방식에 비해 공기의 이동면적을 높여 흐름을 좋게 하는 동시에 목재펠릿의 연소 공간을 확장시켜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펠릿난로에 설치된 연소기의 연소실로 투입되는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점차로 크기가 작아지게 되더라도 완전 연소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복수의 로스톨바 밑으로 빠지지 않고 계속 연소되도록 하여 완전 연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목재펠릿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펠릿난로의 연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all the problems encountered in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a combustor of a pellet stove using wood pellets as a fuel, a plurality of roaster bars installed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mbustor are constructed in a multilayer structure. As a mean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single-layer method, the moving area of air is increased to improve the flow, and at the same time, the combustion space of the wood pellets can be expanded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and the wood pellets that are f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combustor installed in the pellet stove It provides a combustor of a pellet stove that can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wood pellets by allowing it to be burned completely without falling under a plurality of roaster bars, even if the size gradually decreases as it is burned. It was invented with a purpos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pursuing the above object,

본체의 전,후측 또는 좌,우측을 가로지르도록 수평방향으로 횡설되는 복수의 로스톨바를 기준하여 상부의 연소실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재배출부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있어서,In the combustor of a pellet stove,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is opened and a re-discharge part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based on a plurality of roaster bars horizontally running across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는 수평방향을 향해 목재펠릿의 직경보다 큰 수평간격을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와;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horizontal gap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ood pellets toward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를 기준하여 상부 로스톨바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 사이사이의 중간부분 하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A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roaster ba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and each formed to be located at a lower side of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를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는 이층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부 로스톨바와의 경사간격이 목재펠릿의 직경보다 작은 간격을 형성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mposed of a two-layer structure arranged in a zigzag upper and lower shap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ation distance between the upper roaster bars adjacent to the upper side forms a gap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wood pellets. It is done.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를 기준하여 하부 로스톨바보다 낮은 위치에는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삼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와,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사층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 각각은 이층 구조로 구성된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와 같이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roaster bar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a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formed in a three-layer structure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 position lower than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lower layer roaster bars formed to form a four-layer structure at regular interva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and a plurality of lower lower layer roaster bars is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layer roaster bars configured in a two-layer structur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또한,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와의 경사간격이 상기 상,하부 로스톨바 사이의 경사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하삼층 로스톨바와의 경사간격이 상기 하부 로스톨바와 하삼층 로스톨바 사이의 경사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three-layer roaster bars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clination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adjacent to the upper side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and the plurality of lower floors Each of the roaster bars is configured such that an inclination interval between the lower and third-layer roaster bars adjacent to the upper side is smaller than an inclination interval between the lower and third-layer roaster bars.

또한, 상기 연소실을 가로지르도록 횡설되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 각각의 양단은 상기 본체의 전,후방 외벽을 관통하여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조립 설치되며, 상기 본체의 전,후방 외벽 각각에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전,후방 로스톨지지판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horizontally crossing the combustion chamber are assembled and installed so as to protrude to a predetermined length through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of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roostol support plates for supporting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are detachably attached.

본 발명에 의하면 연소기 본체의 연소실에 상,하부 이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는 종래의 수평방식으로 형성되는 단층구조의 로스톨바에 비하여 공기의 이동면적을 높여서 공기의 흐름을 좋게 하여 목재펠릿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와 함께 연소실에 투입되는 목재펠릿이 연소됨에 따라 크기가 점차로 작아져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 밑으로 빠지게 되더라도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가 받쳐주게 되므로 상기 연소실에 투입되는 목재펠릿은 완전 연소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 밑으로 배출되지 않게 되므로 목재펠릿의 완전 연소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 하측에 지그재그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삼층 및 하사층 로스톨바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 하측에 공기 이동면적을 더 확대시키는 동시에 공기의 흐름을 향상시켜 목재펠릿의 연소효율을 더욱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고, 나아가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에서 완전 연소되지 아니한 목재펠릿이 완전 연소될 때까지 받쳐주게 되어 목재펠릿을 완전 연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에너지자원의 낭비를 막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formed in a two-layer upper and lower structure in a combustion chamber of a combustor body increase the moving area of air compared to a single-layered roaster bar formed in a conventional horizontal method to improve the flow of air. As the wood pellets inpu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re burned together with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wood pellets, the size of the wood pellets gradually decreases and falls under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but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support it. Since the wood pellets are not discharged under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in a state where they are not completely burned, there is an effect of inducing complete combustion of the wood pellets, and a plurality of lower third layers formed in a zigzag shape under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And the lower layer roaster bar has the effect of further enhancing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wood pellets by further expanding the air movement area under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and at the same time improving the flow of air, and furthermore, complete combustion in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It is effective to prevent waste of energy resources since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burn the wood pellets by supporting them until the unused wood pellets are completely burned.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펠릿난로의 연소기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펠릿난로의 연소기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연소기에 이층구조로 설치되는 상,하부 로스톨바 하측에 복수의 하삼층 및 하사층 로스톨바를 설치한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종래 기술의 펠릿난로 연소기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ustor of a pellet stov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combustor of the pellet stov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lower three-layer and lower-layer roaster bars are install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installed in a two-layer structure in the combus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pellet stove combustor

본 발명에 의한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 specific embodiment of the combustor of a pellet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부호 1은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소기(1)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내부에 형성되는 연소실(3)과, 상기 본체(2)의 바닥에 형성되어 있는 재배출부(4)와, 상기 연소실(3)을 가로지르도록 일정간격으로 횡설되는 복수의 로스톨바(5)를 형성하는 구조로 구성된다.Reference numeral 1 refers to a combustor of a pellet stove, wherein the combustor 1 includes a main body 2 with an open top, a combustion chamber 3 formed inside the main body 2, and the main body 2 It is composed of a structure that forms a re-discharge part 4 formed on the bottom of the unit and a plurality of roaster bars 5 that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cross the combustion chamber 3.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5)를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로 구분 형성하였으며,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각각은 연료인 목재펠릿(10)의 직경(D)보다 큰 수평간격(S)을 이루도록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였으며,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5b) 각각은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사이의 중간부분 하측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되,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부 로스톨바(5a)와의 경사간격(S1)이 연료인 목재펠릿(10)의 직경(D)보다 작은 간격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들은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는 이층구조로 구성한 것에 있다.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5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is a wood pellet 10 which is a fuel. )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achieve a horizontal interval (S) larger than the diameter (D),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s (5b) is located at a lower side of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s (5a). It is formed, but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maintains an inclination gap (S 1 ) with the upper roaster bar (5a) adjacent to the upper side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wood pellets 10 as fuel. In this state,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are configured in a two-layer structure arranged in an upper and lower zigzag pattern.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와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를 각각 형성하되, 상기 복수의 하삼층 및 하사층 로스톨바(5c)(5d) 각각은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와 같이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하부 로스톨바(5b)와의 경사간격(S2)이 상기한 경사간격(S1)보다 작은 간격(S2<S1)으로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하삼층 로스톨바(5c)와의 경사간격(S3)이 상기한 경사간격(S2)보다 작은 간격(S3<S2)으로 형성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다.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plurality of lower third-layer roaster bars (5c) and a plurality of lower-layer roaster bars (5d) so as to be positioned under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wherein the plurality of lower third-layer roaster bars (5d) are formed. And the lower lower layer roaster bars 5c and 5d are arranged in an upper and lower zigzag shape as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5c Is formed with an inclination interval (S 2 )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S 1 ) with the lower roaster bar (5b) adjacent to the upper side (S 2 <S 1 ), and the plurality of lower floor roaster bars (5d) ) Each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clination interval (S 3) with the lower three- layered roaster bar 5c adjacent to the upper side is formed with a smaller interval (S 3 <S 2 )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S 2 ) described above.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각각은 본체(2)의 전,후방 외벽(6a)(6b)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부호 생략)을 통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각각의 양단은 상기 전,후방 외벽(6a)(6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조립구멍을 관통하여 외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하도록 설치된다.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5b) is assembled in a manner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hrough the assembly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6b) of the main body (2). It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protrude to the outside by a certain length through the assembly holes formed in each of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and 6b. do.

또한 상기 본체(2)의 전,후방 외벽(6a)(6b) 각각에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전,후방 로스톨지지판(8a)(8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후방 로스톨지지판(8a)(8b) 각각의 양단은 전,후반 외벽(6a)(6b)에 나사조립되는 조립볼트(81)(82)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된다.In additi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and 6b of the main body 2 has front and rear roaster support plates 8a and 8b that prevent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from being removed. It is formed, and both ends of each of the front and rear roaster support plates 8a and 8b are detachably attached by assembly bolts 81 and 82 that are screwed to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and 6b. .

그리고 상기 연소실(3)에는 본체(2)의 좌,우측 외벽(7a)(7b)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공기유통공(71)(72)을 통해 연소용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ombustion chamber 3 is configured to receive combustion air through the air flow holes 71 and 72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eft and right outer walls 7a and 7b of the main body 2. have.

한편, 본 발명은 펠릿난로의 연소기(1)는 본체(2)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실(3)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로스톨바(5)를 형성하는 상,하부 로스톨바(5a)(5b)의 하측에 도 5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하삼층 및 하사층 로스톨바(5c)(5d)를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도록 추가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bustor 1 of the pellet stove is an upper and lower roaster bar 5a forming a plurality of roaster bars 5 installed so as to cross the combustion chamber 3 formed inside the body 2 A plurality of lower three-layer and lower-floor roaster bars 5c and 5d may be additionally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5b) as shown in FIG. 5 in a zigzag shape.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의 하측에 하부 삼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는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각각은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사이사이의 중간부분 하측에 하나씩 위치하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각각은 그 상측으로 이웃하는 하부 로스톨바(5b)와의 경사간격(S2)이 상기의 경사간격(S1)보다 작은 간격(S2<S1)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A plurality of lower and three-layered roaster bars (5c) formed in a lower three-layer structure under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layer roaster bars (5c) Is formed in a state that is located one at the lower side of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5c is It is formed such that the inclination interval (S 2 ) with the roaster bar (5b) i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S 1 ) above (S 2 <S 1 ).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의 하측에 하부 사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은 그 상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사이사이의 중간부분 하측에 하나씩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은 그 상측으로 이웃하는 하삼층 로스톨바(5c)와의 경사간격(S3)이 상기의 경사간격(S2)보다 작은 간격(S3<S2)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three-layered roaster bars (5d) formed in a lower four-layer structure under the plurality of lower-three-layered roaster bars (5c) is an intermediat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lower-three-layered roaster bars (5c)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lower-three-layered roaster bars (5c). It is formed so as to be located one by one on the lower sid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floor roaster bars (5d) has an inclination interval (S 3 ) with the lower third floor roaster bar (5c) adjacent to the upper side thereof is the inclination interval (S 2 ) It is formed to achieve a smaller interval (S 3 <S 2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상기 펠릿난로의 연소기(1)는 본체(2)의 연소실(3)을 수평상으로 가로지르도록 횡설되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들 사이사이에 형성되는 수평간격(S)은 연료인 목재펠릿(10)의 직경(D)보다 큰 상태인 반면, 목재펠릿(10)의 길이(L)보다는 긴 상태이므로 상기 본체(2)의 연소실(3)에 다량으로 투입되는 목재펠릿(10)들은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일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로 삽입되어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위에 걸린 상태로 투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위에 걸려 있는 상태로 투입되어 연소하게 된다.The combustor (1) of the pellet stove is a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formed on top of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 horizontally crossing the combustion chamber (3) of the main body (2). The horizontal gap (S) formed between them is in a state larg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wood pellets 10 as fuel, but is in a state that is longer than the length (L) of the wood pellets 10. The wood pellets 10 that are injected in a large amoun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 are partially inserted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and caught on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as shown by a virtual line in FIG. 3. It is put in a state, and the other part is put in a state hung o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to be burned.

상기와 같이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및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위에 걸려 있는 상태로 연소하는 목재펠릿(10)들은 연소됨에 따라 원기둥 상태의 직경(D) 및 길이(L)가 점차로 작아지게 되며, 이에 따라 연소되고 있는 일부의 목재펠릿(10)들은 직경(D)이 상부 로스톨바(5a)와 하부 로스톨바(5b) 사이의 경사간격(S)보다 작아질 때까지 연소하게 되며, 또한 일부의 목재펠릿(10)들은 길이(L)가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사이의 수평간격(S)보다 작아지는 상태로 연소하게 될 경우에는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의 수평간격(S)을 통해 밑으로 빠지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사이의 하측 각각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들이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사이의 수평간격(S)을 통해 밑으로 떨어지는 목재펠릿(10)을 받아주게 되므로, 결국 상기 연소실(3)에서 연소하는 목재펠릿(10)은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사이의 경사간격(S1)보다 작아질 때까지 연소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wood pellets 10 that burn while hanging o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and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gradually become cylindrical in diameter (D) and length (L) as they are burned. It becomes smaller, and accordingly, some of the wood pellets 10 being burned burn until the diameter (D) become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S) between the upper roaster bar (5a) and the lower roaster bar (5b). , In addition, when some of the wood pellets 10 are burned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L) is smaller than the horizontal interval (S)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between the upper roaster bars (5a) It falls downward through the horizontal gap (S), and at this time, a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formed one at each lower side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are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Since it receives the wood pellets 10 falling downward through the horizontal gap S between the spaces, the wood pellets 10 bur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3 end up with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 It burns until it becomes smaller than the inclination interval (S 1) between.

따라서 상기 연소기(1)의 본체(2)에 형성되어 있는 연소실(3)에 투입되는 목재펠릿(10)은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위에서 1차적으로 연소된 후 다시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위에서 2차적으로 연소되는 상태이므로 목재펠릿(10)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the wood pellets 10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 formed in the main body 2 of the combustor 1 are primarily burned o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and then again, a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 5b) Since it is secondarily burned from abov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wood pellets 10.

또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소기(1)의 연소실(3)에는 이층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의 하측으로 하삼층 및 하사층 구조로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가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사이의 경사간격(S1)을 통해 하부 로스톨바(5b) 밑으로 떨어지게 되는 일부 연소된 목재펠릿(10)은 곧바로 재배출부(4)로 떨어지지 않고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에 걸린 상태에서 연소하게 되므로 상기 연소기(1)의 연소실(3)에 투입되는 목재펠릿(10)은 연소율이 향상되어 완전 연소를 기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combustion chamber 3 of the combustor 1 has a plurality of lower and lower layers of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formed in a two-layer structure. When the lower third layer roaster bar (5c) and the plurality of lower layer roaster bars (5d) are formed, the lower loss through the inclination gap (S 1 )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5b) Some of the burned wood pellets 10 falling under the toll bar 5b do not immediately fall to the re-distribution unit 4 and are caught in the plurality of lower third layer roaster bars 5c and the plurality of lower third layer roaster bars 5d. Since the combustion is performed, the wood pellets 10 that are put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 of the combustor 1 have an improved combustion rate, so that complete combustion can be expected.

한편, 상기 연소기(1)는 연소실(3)에 이층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와 하삼층 및 하사층으로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에 연소되는 목재펠릿(10)의 재 등이 이물질이 부착되어 이를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연소기(1)의 본체(2) 전,후방 벽면(6a)(6b) 각각에 부착되어 있는 전,후방 로스톨 지지바(8a)(8b)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분리하거나 또는 전,후방 로스톨 지지판(8a)(8b) 모두를 분리하게 되면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와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은 본체(2)에서 분리하여 재 및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 및 세척한 후 재조립하게 되면 상기 연소기(1)를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펠릿난로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므로 연료로 사용되는 목재펠릿(10)을 완전 연소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mbustor 1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installed in a two-layer struct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3, and a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5c installed in a lower third and lower floors. ) And the plurality of lower floor roaster bars (5d), when foreign substances are attached to each of the burned wood pellets (10) and to remove them, the front and rear walls (6a) of the main body (2) of the combustor (1) (6b) Selecting one of the front and rear roaster support bars (8a) (8b) attached to each and separating them, or separating all of the front and rear roaster support plates (8a) and (8b) ,The lower roaster bars (5a) (5b), the plurality of lower third-layer roaster bars (5c), and the plurality of lower-layer roaster bars (5d) ar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2) to cleanly remove and wash ash and foreign substances. When assembled, the combustor 1 can be used not only to extend the service life, but also to improv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pellet stove, so that the effect of completely burning the wood pellets 10 used as fuel can be expect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도면에서는 상기 연소기(1)의 형상을 사각형으로 구성한 것을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연소기(1)는 펠릿난로의 구조 및 형상에 따라 사각형, 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exemplary drawing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combustor 1 is shown in a quadrangular shape, but the combustor 1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le and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 to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pellet stove. hav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펠릿난로의 연소기(1)의 연소실(3)에 투입되는 목재펠릿(10)이 1차 연소된 후 다시 2차 내지 그 이상으로 연소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소기(1)의 연소실(3)에 횡설되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에 부착되는 재 등의 이물질을 깨끗하게 제거 및 세척할 수 있으므로 목재펠릿(1)의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목재펠릿(10)의 완전 연소를 기대할 수 있어 에너지자원의 낭비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the wood pellets 10 inputt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3 of the combustor 1 of the pellet stove to be first burned and then burned again to a second or higher level. It improves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wood pellets (1) because it can cleanly remove and clean foreign substances such as ash adhering to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that run in the combustion chamber (3) of the combustor (1). It can be, and the complete combustion of the wood pellets 10 can be expected, so that the waste of energy resources can be prevented.

1 : 연소기 10 : 목재팰릿
2 : 본체 3 : 연소실
4 : 재배출부 5 : 로스톨바
5a : 상부 로스톨바 5b : 하부 로스톨바
5c : 하삼층 로스톨바 5d : 하사층 로스톨바
6a : 전방 외벽 6b : 후방 외벽
7a : 좌측 외벽 7b : 우측 외벽
71,72 : 공기유통공 8a,8b : 전,후방 로스톨지지판
81,82 : 조립볼트
1: combustor 10: wood pallet
2: main body 3: combustion chamber
4: cultivation part 5: roaster bar
5a: upper roaster bar 5b: lower roaster bar
5c: lower third floor roaster bar 5d: lower third floor roaster bar
6a: front outer wall 6b: rear outer wall
7a: left outer wall 7b: right outer wall
71,72: air distribution hole 8a,8b: front and rear roster support plate
81,82: Assembly bolt

Claims (4)

본체(2)의 전,후측 또는 좌,우측을 가로지르도록 수평방향으로 횡설되는 복수의 로스톨바(5)를 기준하여 상부의 연소실(3) 상방은 개방되고 하부에는 재배출부(4)가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는 펠릿난로의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스톨바(5)는 수평방향을 향해 목재펠릿(10)의 직경(D)보다 큰 수평간격(S)을 유지하도록 이격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와;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를 기준하여 상부 로스톨바(5a)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상부 로스톨바(5a) 사이사이의 중간부분 하측에 각각 하나씩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를 상,하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는 이층구조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부 로스톨바(5a)와의 경사간격(S1)이 목재펠릿(10)의 직경(D)보다 작은 간격(S1<D)을 형성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기.
Based on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5 horizontally running across the front, rear o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2, the upper combustion chamber 3 is open and the re-discharge part 4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In the combustor of the pellet stove configured to be formed,
The plurality of roaster bars 5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maintain a horizontal gap S greater than the diameter D of the wood pellets 1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upper roaster bar (5a)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and each formed to be located below the middle por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upper roaster bars (5a). The lower roaster bar (5b) of the;
It is composed of a two-layer structure arranged in a zigzag upper and lower shape,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has an inclination interval (S 1 ) with the upper roaster bar (5a) adjacent to the upper side is a wood pellet (10)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gap (S 1 <D) smaller than the diameter (D) o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를 기준하여 하부 로스톨바(5b)보다 낮은 위치에는 수평방향을 향해 일정간격을 이루도록 하부 삼층 구조로 형성되는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와,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보다 낮은 위치에 일정간격으로 하부 사층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및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바(5d) 각각은 이층 구조로 구성된 상기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와 같이 지그재그상으로 배열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기.
The method of claim 1,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roaster bar 5b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a plurality of lower three-layer roaster bars 5c formed in a lower three-layer structure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It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lower four layer roaster bars 5d formed to form a lower four-layer structure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lower three-layer roaster bar 5c, and the plurality of lower three-layer roaster bars 5c and a plurality of lower four layers Each of the layer roaster bars (5d) is configured to be arranged in a zigzag manner, such as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configured in a two-layer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하삼층 로스톨바(5c)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복수의 하부 로스톨바(5b)와의 경사간격(S2)이 상기 상,하부 로스톨바(5a)(5b) 사이의 경사간격(S1)보다 작은 간격(S2<S1)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하사층 로스톨(5d) 각각은 상측으로 이웃하는 상기 하삼층 로스톨바(5c)와의 경사간격(S3)이 상기 하부 로스톨바(5b)와 하삼층 로스톨바(5c) 사이의 경사간격(S2)보다 작은 간격(S3<S2)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펠릿난로용 연소기.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and third layer roaster bars 5c has an inclination gap (S 2 ) between the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and 5b with a plurality of lower roaster bars 5b adjacent to the upper side. It is configured to form a smaller interval (S 2 <S 1) than 1 ),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lower layer roasters 5d is an inclined interval (S 3 ) with the lower third layer roaster bar 5c adjacent to the upper side. The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orm a gap (S 3 <S 2 ) smaller than the inclined gap (S 2 ) between the lower roaster bar (5b) and the lower third layer roaster bar (5c).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3)을 가로지르도록 횡설되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각각의 양단은 상기 본체(2)의 전,후방 외벽(6a)(6b)을 관통하여 일정길이로 돌출되도록 조립 설치되며, 상기 본체(2)의 전,후방 외벽(6a)(6b) 각각에는 복수의 상,하부 로스톨바(5a)(5b) 양단을 지지하기 위한 전,후방 로스톨지지판(8a)(8b)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펠릿난로용 연소기.
The method of claim 1,
Both end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5b) horizontally across the combustion chamber (3) pass through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6b) of the main body (2) to a predetermined length. It is assembled and installed so as to protrude, and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roaster bars (5a) (5b) are provided on each of the front and rear outer walls (6a) (6b) of the main body (2). ) (8b) is a combustor for a pellet stov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attached detachably.
KR1020190141736A 2019-11-07 2019-11-07 Combustor for pellet stove KR10229147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36A KR102291476B1 (en) 2019-11-07 2019-11-07 Combustor for pellet stov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36A KR102291476B1 (en) 2019-11-07 2019-11-07 Combustor for pellet stov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77A true KR20210055377A (en) 2021-05-17
KR102291476B1 KR102291476B1 (en) 2021-08-19

Family

ID=76158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36A KR102291476B1 (en) 2019-11-07 2019-11-07 Combustor for pellet stov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47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0068U (en) 2022-07-05 2024-01-12 이현규 Grate for pellet stov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92A (en) * 1992-02-22 1993-09-01 舒学章 A kind of high effective and energy saving boiler with two-layer fire grates
KR20120005853U (en) * 2011-02-10 2012-08-20 김대수 s e l f - a s s e m b l y p e l l e t s t o v e
KR200476341Y1 (en) 2014-03-14 2015-02-16 박종철 Pellet heater
KR200481893Y1 (en) 2015-06-05 2016-11-22 김영수 pellet stove
KR101729126B1 (en) 2016-12-21 2017-04-24 조무구 Combustion equipment for pellet stov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792A (en) * 1992-02-22 1993-09-01 舒学章 A kind of high effective and energy saving boiler with two-layer fire grates
KR20120005853U (en) * 2011-02-10 2012-08-20 김대수 s e l f - a s s e m b l y p e l l e t s t o v e
KR200476341Y1 (en) 2014-03-14 2015-02-16 박종철 Pellet heater
KR200481893Y1 (en) 2015-06-05 2016-11-22 김영수 pellet stove
KR101729126B1 (en) 2016-12-21 2017-04-24 조무구 Combustion equipment for pellet st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476B1 (en) 2021-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442314U (en) Double-boiler barrel transverse type fixed honeycomb fire grate plant fuel steam boiler
US5137010A (en) Combustion grate for pellet fueled stove
US20220214040A1 (en) Pellet burner
KR20210055377A (en) Combustor for pellet stove
ITMN20070023A1 (en) NATURAL DRAFT SOLID FUEL BOILER
DE10236945B4 (en) Portable universal oven
KR101325750B1 (en) The bio boiler with the facility which removes the dust to the automatic
AT15854U1 (en) Mobile radiant heater
CN203068490U (en) Square biological substance combustor
KR20100091766A (en) Boiler for combustion of firewood
CN2398515Y (en) Garbage furnace with manual supply
CN110131733A (en) A kind of burning rack
KR20240000068U (en) Grate for pellet stove
CN214536152U (en) Particle combustor
KR102595491B1 (en) Small (portable) incinerator with high efficiency combustion induction.
CN201724229U (en) Incinerator
CN210435294U (en) High-temperature roasting furnace
JP2005195237A (en) Boiler
US1103557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sustainable fire
KR100961064B1 (en) Warm air production device
KR20240000592U (en)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DE102004009780B3 (en) Burning insert for a closed stove
CN205664429U (en) Hot blast stove
DE202014105041U1 (en) Mobile solid fuel firing system
GB2528677A (en) Gravity supplied natural draft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