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0592U -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 Google Patents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0592U
KR20240000592U KR2020220002311U KR20220002311U KR20240000592U KR 20240000592 U KR20240000592 U KR 20240000592U KR 2020220002311 U KR2020220002311 U KR 2020220002311U KR 20220002311 U KR20220002311 U KR 20220002311U KR 20240000592 U KR20240000592 U KR 202400005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wood
pellets
unit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2000231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태창
Original Assignee
손태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태창 filed Critical 손태창
Priority to KR2020220002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0592U/en
Publication of KR202400005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0592U/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3/00Heaters not covered by group F24B1/00, e.g. charcoal braz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Abstract

본 고안은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중립을 위한 대표적 산림바이오매스 재생 에너지로서 화석 연료의 대체안으로 규정된 목재 펠릿을 이용함으로써,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고, 연소 과정에서 각종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해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목재 펠릿의 목질이 연소되며 발열이 이루어지는 10 시간의 시간과, 이 후 탄화된 숯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긴 발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으로 빠르게 연소되기 보단 적절하고 균일한 열량으로 보다 길고 연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연료 보충 없이도 야외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장시간 제공해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보장하고, 난로 관리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 목재 난로의 단점인 강제 배기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되는 점, 난로 구입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고중량물로서 쉽게 이동설치가 어려운 점, 연료통의 크기가 소량으로서 연소시간이 짧은 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재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More specifically, by using wood pellets, which are designated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as a representative forest biomass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Not only is it clean, there is no risk of depletion, it can be recycled without pollution, and i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various toxic gase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llowing it to be used in large quanti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harming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wood pellets By securing a relatively long heating time of 10 hours in which the wood burns and generates heat, and then heat is generated by carbonized charcoal, rather than burning quickly at high temperature, longer and continuous combustion with an appropriate and uniform amount of heat is achieved. By providing sufficient heat for winter concrete curing at outdoor construction sites for a long time without additional fuel supplementation, it ensures the quality of concrete curing, dramatically reduces the cost of stove maintenance, and eliminates the need for forced heat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existing wood stoves. Regarding wood pellet stoves to solve the following issues: the essential need for an exhaust device, the relatively high cost of purchasing a stove, the difficulty in moving and installing it as a heavy object, and the short combustion time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fuel tank. will be.

Description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본 고안은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소중립을 위한 대표적 산림바이오매스 재생 에너지로서 화석 연료의 대체안으로 규정된 목재 펠릿을 이용함으로써,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고, 연소 과정에서 각종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해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목재 펠릿의 목질이 연소되며 발열이 이루어지는 10 시간의 시간과, 이 후 탄화된 숯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긴 발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으로 빠르게 연소되기 보단 적절하고 균일한 열량으로 보다 길고 연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연료 보충 없이도 야외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장시간 제공해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보장하고, 난로 관리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 목재 난로의 단점인 강제 배기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되는 점, 난로 구입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고중량물로서 쉽게 이동설치가 어려운 점, 연료통의 크기가 소량으로서 연소시간이 짧은 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재 펠릿 난로에 관한 것이다.This invention relates to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More specifically, by using wood pellets, which are designated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as a representative forest biomass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Not only is it clean, there is no risk of depletion, it can be recycled without pollution, and i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various toxic gase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llowing it to be used in large quanti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harming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wood pellets By securing a relatively long heating time of 10 hours in which the wood burns and generates heat, and then heat is generated by carbonized charcoal, rather than burning quickly at high temperature, longer and continuous combustion with an appropriate and uniform amount of heat is achieved. By providing sufficient heat for winter concrete curing at outdoor construction sites for a long time without additional fuel supplementation, it ensures the quality of concrete curing, dramatically reduces the cost of stove maintenance, and eliminates the need for forced heating, which is a disadvantage of existing wood stoves. Regarding wood pellet stoves to solve the following issues: the essential need for an exhaust device, the relatively high cost of purchasing a stove, the difficulty in moving and installing it as a heavy object, and the short combustion time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fuel tank. will be.

콘크리트는 5℃ 이하에서는 화학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동절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구조물의 중앙에 난로 등을 설치하여 실내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내부의 수분이 동결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내부에서 원활한 화학반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Concrete does not undergo curing because chemical reactions do not occur below 5℃, so after pouring concrete in winter, install a stove in the center of the structure to maintain a constant indoor temperature to prevent moisture inside the concrete from freezing. In addition, we ensure that a smooth chemical reaction occurs inside the concrete.

이때, 콘크리트의 양생에 따른 열 손실량을 수학적, 과학적으로 계산하여 손 실되는 열량을 보충해야 하므로, 균일하게 열량을 공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 순히 많은 열을 발생시키는 난로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정확한 열 손실량을 계산함과 아울러 열 손실량을 최소화시키는 난로를 피워야 최소의 비용으 로 최대효과를 거둘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mount of heat loss due to curing of concrete must be calculated math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to compensate for the amount of heat lost, so it is necessary to supply heat evenly. Therefore, it is not advisable to simply use a stove that generates a lot of heat. You must calculate the exact amount of heat loss and light a stove that minimizes the amount of heat loss to achieve the maximum effect at the minimum cost.

예컨대,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시 주변 온도를 대략 5℃ 이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것이 좋으며, 이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는 콘크리트의 양생 화학반응이 이루어지지 않고, 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빠른 수분 건조에 의해 양생 후 표면에 크랙 발생이나 표면이 거칠어지는 등의 하자발생을 유발한다.For example, when curing concrete in the winter, it is recommended to keep the surrounding temperature constant at approximately 5℃ or higher. At temperatures lower than this, the curing chemical reaction of concrete does not occur, and if the temperature is too high, the surface after curing is damaged due to rapid moisture drying. It causes defects such as cracks or roughening of the surface.

따라서, 현장에서는 높은 열에너지를 제공하는 난로 보단, 균일한 온도로서 장기간 발열이 유지될 수 있는 난로를 필요로 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field, there is a need for a stove that can maintain heat generation at a uniform temperature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a stove that provides high thermal energy.

한편, 동절기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하여 사용하는 난로는 대부분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현장 주변에 있는 드럼통 등의 철재용기를 가공하여 난로를 형성하고, 여기에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시킴으로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도록 하고 있는 정도에 불가하다.Meanwhile, most stoves used for curing concrete in the winter are manufactured and used directly on site. Steel containers such as drums located around the site are processed to form a stove, and fuel is injected into the stove for combustion,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ambient temperature. It is impossible to prevent the temperature from falling below this level.

이때 사용되는 연료 역시 다양한 연료를 사용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등유, 메탄올, 숯탄, 야자숯, 대나무 숯 등을 이용한 난로가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At this time, various fuels are used. For example, stoves using kerosene, methanol, charcoal, coconut charcoal, bamboo charcoal, etc. are being used.

그러나 이러한 연료를 연소시킬 때에는 대략 4~5시간마다 보충해주어야 하는 번 거로움이 있었기 때문에, 그로 인해, 작업자들이 철수한 야간에 연속적인 콘크리트 양생을 위해서는 난로에 연료를 보충해주기 위한 추가적인 인력배치가 불가피 하여 인건비 상승의 원인이 되었다.However, when burning this fuel, it was inconvenient to replenish it approximately every 4 to 5 hours, so it was inevitable to deploy additional manpower to replenish fuel in the stove for continuous concrete curing at night when workers withdrew. This caused an increase in labor costs.

이와 같이, 연료를 주기적으로 보충하는 이유는, 한 번에 많은 양의 연료를 투입하여 연소시키면 연소시간이 늘어나기는 하지만, 다량의 연료가 동시에 연소할 경우에 발생하는 고열로 인해 콘크리트 양생이 문제가 발생할 수 있 기 때문이다. 또한, 많은 양의 연료를 한번에 연소시킬 경우, 산소량 부족으로 인해 불완전연소가 발생함은 물론 발화온도가 급격하게 낮아져 연속적인 연소가 이 루어지지 않거나 불이 꺼지는 현상이 발생한다.In this way, the reason for periodically replenishing fuel is that although burning a large amount of fuel at once increases the combustion time, concrete curing becomes a problem due to the high heat generated when a large amount of fuel is burned at the same time. Because it can happen. In addition, when a large amount of fuel is burned at once, incomplete combustion occurs due to insufficient oxygen, and the ignition temperature drops rapidly, preventing continuous combustion or the fire goes out.

따라서, 연료를 사용하는 난로의 경우, 적정량의 고체연료를 주기적으로 보충해 줄 필요 없이, 콘크리트의 연속적인 양생이 가능하도록 긴 연소시간을 가지는 난로의 기술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 the case of stoves that use fuel, there is an active demand for technology development of stoves with a long combustion time to enable continuous curing of concrete without the need to periodically replenish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또한, 기후변화협약(UNFCCC)이나 유엔 산하 정부간협의체(IPCC)에서는 대기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등유, 메탄올, 숯탄, 야자숯, 대나무 숯 등의 대체에너지로서 산림바이오매스 사용을 권고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and the United Nations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recommend the use of forest biomass as an alternative energy source to prevent air pollution, such as kerosene, methanol, charcoal, palm charcoal, and bamboo charcoal. .

대표적으로 목재 펠릿은 나무의 가공 과정에서 원목으로 사용되지 못하는 부위나, 홍수, 산사태, 지진 등과 같은 각종 자연 재해와 같은 불측의 사유로 원목으로 가공되지 못하는 나무를 이용해 제조하는 친환경 산림바이오매스 소재로서, 통상, 대기 중에 탄소를 흡수해서 성장하고 나무가 베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된 탄소를 온실가스 통계로 산정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목재 펠릿 역시, 연료를 태울 때는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탄소중립 연료임을 인정받은바 있다.Typically, wood pellets are an eco-friendly forest biomass material manufactured using parts that cannot be used as logs during the processing process or trees that cannot be processed into logs due to unforeseen reasons such as various natural disasters such as floods, landslides, earthquakes, etc. , Normally, the carbon generated in the process of growing and cutting down trees by absorbing carbon from the atmosphere is calculated as greenhouse gas statistics, so these wood pellets are also recognized as carbon-neutral fuel because they are not considered to emit carbon when burning fuel. I have received it.

따라서, 이러한 목재 펠릿을 주로 이용한 난로의 기술개발이 적극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n activ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stoves mainly using wood pellets.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47437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6-0047437

본 고안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탄소중립을 위한 대표적 산림바이오매스 재생 에너지로서 화석 연료의 대체안으로 규정된 목재 펠릿을 이용함으로써,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고, 연소 과정에서 각종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해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목재 펠릿의 목질이 연소되며 발열이 이루어지는 10 시간의 시간과, 이 후 탄화된 숯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긴 발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으로 빠르게 연소되기 보단 적절하고 균일한 열량으로 보다 길고 연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연료 보충 없이도 야외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장시간 제공해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보장하고, 난로 관리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 목재 난로의 단점인 강제 배기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되는 점, 난로 구입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고중량물로서 쉽게 이동설치가 어려운 점, 연료통의 크기가 소량으로서 연소시간이 짧은 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목재 펠릿 난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is desig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by using wood pellets, which are designated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as a representative forest biomass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and are clean and free from depletion. Not only that, but it is also pollution-free and recyclable, and it suppresses the generation of various toxic gase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allowing it to be used in large quanti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causing harm to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the wood of wood pellets burns and generates no heat. By ensuring a relatively long heat generation time of 10 hours and then heat generation by carbonized charcoal, it ensures longer and more continuous combustion with an appropriate and uniform amount of heat rather than rapid combustion at a high temperature, without the need for additional fuel replenishment. At outdoor construction sites, sufficient heat required for winter concrete curing is provided for a long time to ensure the quality of concrete curing, and the cost of stove maintenance can be dramatically reduced. In addition, a forced exhaust device, which is a disadvantage of existing wood stoves, must be provide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ood pellet stove to solve the following problems: the purchase cost of the stove is relatively high, the fact that it is difficult to move and install as a heavy product, and the combustion time is short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fuel tank.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challenges described above, and it is obvious that other technical challenges may be derived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 하단이 개방된 통형 구조로서 내부로 수용된 펠릿의 연소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관통구 및 흡입구가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펠릿의 연소에 따른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상기 연소부의 상단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입구는, 상기 관통구에서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연소부의 하단 부분 까지 연속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ing a support part; A combustion uni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forms a combustion space for pellets received therein,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suction ports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n exhaust uni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and discharging combustion gas resulting from combustion of pellets,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op of the combustion unit, and the plurality of inlet ports are configured to discharge combustion gases from the combustion s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take ports formed continuously from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the bottom to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section.

또한, 상기 관통구의 관통 면적은 제1 흡입구의 관통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enetration area of the through hole is larger than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rst suction port.

또한, 상기 연소부와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연소부 상부에 안착 지지하는 지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upport cover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unit and the exhaust unit to seat and support the exhaust unit o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 하단이 개방된 통형 구조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ommunication member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pen top and bottom ends and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통부재의 상단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을 연통부재 상단에서 이격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includes a heat sink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to the top; and a plurality of brackets supporting the heat sink at a distance from the upp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본 고안은 탄소중립을 위한 대표적 산림바이오매스 재생 에너지로서 화석 연료의 대체안으로 규정된 목재 펠릿을 이용함으로써,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고, 연소 과정에서 각종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해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목재 펠릿의 목질이 연소되며 발열이 이루어지는 10 시간의 시간과, 이 후 탄화된 숯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긴 발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으로 빠르게 연소되기 보단 적절하고 균일한 열량으로 보다 길고 연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연료 보충 없이도 야외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장시간 제공해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보장하고, 난로 관리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 목재 난로의 단점인 강제 배기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되는 점, 난로 구입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고중량물로서 쉽게 이동설치가 어려운 점, 연료통의 크기가 소량으로서 연소시간이 짧은 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This design is a representative forest biomass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By using wood pellets, which are defined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it is not only clean and free from depletion, but also enables pollution-free regeneration, and eliminates the release of various toxic gases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heat, it can be used in large quanti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causing harm to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the wood of the wood pellets burns and generates heat for 10 hours, and then the heat is generated by carbonized charcoal. By securing a relatively long heating time to ensure longer and more continuous combustion with an appropriate and uniform amount of heat rather than rapid combustion at high temperatures, sufficient heat required for winter concrete curing at outdoor construction sites is provided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additional fuel supplementation, thereby curing concrete. It guarantees quality and allows the cost of stove maintenance to be dramatically reduced.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wood stoves are that they must be equipped with a forced exhaust device, the purchase cost of the stove is relatively expensive, and it is easy to install as a heavy product. It provides the advantageous effect of solving problems such as difficulty in mobile installation and short combustion time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fuel tank.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고안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is way are natural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scribed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designer is aware of it, s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all effects that the designer understands or exists. It should not be accepted as written.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explicit sentence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 pertains can achieve such effect through this specification. If it is an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as an effect, it should be viewed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전체적인 외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지지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지지판의 평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하단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의 지지커버 부위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exterior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exploded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front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in the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or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planar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plate.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bottom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winter construction site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support cover portion of the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construction site in winter, realizing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The purpos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come clearer through the following examples in conjunction with the attached drawings. The following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and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examples.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pecific disclosed form,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Terms such as first and/or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 Likewise,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called the first component.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also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immediately between” or “adjacent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implemented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and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a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is specif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No.

본 고안에 따른 난로는 야외, 특히, 야외 공사 현장에서 타설된 콘크리트의 양생을 위한 난방을 수행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연료로는 바람직하게, 목재 펠릿을 서서히 연소시킴으로써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량을 긴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t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provide heating for curing concrete poured outdoors, especially at an outdoor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wood pellets are preferably used as fuel to slowly burn to produce sufficient heat required for curing concrete. It can be provided continuously over a long period of time.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에 따른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지지부(100), 연소부(20), 지지커버(30) 및 배출부(4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which has achieved carbon neutral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nsists of a support part 100, a combustion part 20, and a support cover 30, as shown in Figures 1 to 3. ) and a discharge unit 40.

먼저, 연소부(20)는 지지부(100)의 상부에 결합된 상태로 내부로 펠릿을 수용할 수 있는 통형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로는 수용된 펠릿의 연소공간(21)을 구성할 수 있다.First, the combustion unit 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100 and has a cylindrical structure capable of receiving pellets inside, forming a combustion space 21 for the pellets received therein.

연소부(20)는 상, 하단이 개방 형성된 원통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연소부(20)의 개방된 하단에는 지지부(100)가, 개방된 상단에는 배출부(40)가 각각 연결 결합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20 may have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and a support unit 10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lower end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a discharge unit 40 may be connected to the open upper end of the combustion unit 20. there is.

연소부(20)에 수용된 펠릿은 상부에서부터 착화가 이루어져 하향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착화 초기 단계, 연소공간(21) 내의 상부 펠릿의 연소반응을 시작으로, 적층된 펠릿의 착화 연쇄작용에 따라, 하부로 점차 연소 부위가 이동되면서 연소부(20)의 전체적인 부분에서 방열작용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The pellets accommodated in the combustion unit 20 are ignited from the top to enable downward combustion. Starting with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the combustion reaction of the upper pellet within the combustion space 21, according to the ignition chain reaction of the stacked pellets, As the combustion part is gradually moved to the lower part, heat dissipation can be gradually achieved in the entire combustion part 20.

연소부(20)에는 복수의 관통구(22)와 흡입구가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구(22)와 흡입구는 펠릿의 연소를 위한 공기의 공급 또는, 연소열의 방출 등의 작용을 수행한다.In the combustion unit 20,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and an intake port may b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through holes 22 and the intake port may provide functions such as supplying air for combustion of pellets or releasing combustion heat. Perform.

특히, 상기 관통구(22)와 흡입구는 연소 초기 단계에서는 연소공간(21)에 수용된 상부측 펠릿의 착화반응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하고, 착화가 이루어진 후 이어지는 연소 중기 및 말기 단계에서는 연소 유지는 가능토록 하되 빠른 연소반응을 억제해 연소시간을 적절히 지연시킴으로써 총 연소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In particular, the through hole 22 and the intake port are designed to more effectively induce the ignition reaction of the upper pellets accommodated in the combustion space 21 in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and to maintain combustion in the middle and end stages of combustion following ignition.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total combustion time to be extended by suppressing the rapid combustion reaction and appropriately delaying the combustion time.

이를 위해, 관통구(22)는 연소부(20)의 상단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복수 개가 등간격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2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관통구(22)는 펠릿의 초기 착화시 연소공간(21)의 최상단으로 공기를 빠르게 급기시키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며, 펠릿의 원활한 착화를 고려해 제1 흡입구(23)의 관통 면적에 비해 큰 관통 면적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through hole (22) serves to quickly supply air to the top of the combustion space (21) during the initial ignition of the pellets, and has a larger penetration area than that of the first intake port (23) in consideration of smooth ignition of the pellets. to be able to have

예컨대, 관통구(22)의 관통 면적은 단위 펠릿이 충분히 빠져나갈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되, 연소공간(21) 내에 수용된 펠릿이 관통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일 없도록, 최초 펠릿의 충전시 관통구(22)가 형성된 높이 이하로 펠릿을 충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penetration area of the through hole 22 is preferably set to a size that allows a unit pellet to sufficiently escape, but the pellets contained in the combustion space 21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22. To prevent this, it is preferable to fill the pellets below the height at which 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when initially charging the pellets.

펠릿의 착화 후 연소가 개시되면 연소공간(21) 내 고온의 상승 기류에 따라 관통구(22)로 흡입되는 공기 유량은 작아지게 되며, 연속 연소를 위한 주된 급기는 제1 흡입구(23)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When combustion begins after ignition of the pellets, the air flow rate sucked into the through hole 22 decreases due to the high temperature rising air current in the combustion space 21, and the main air supply for continuous combustion is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3. It can be done.

관통구(22)와 제1 흡입구(23) 모두 원형의 형태로 타공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펠릿의 종류, 사용 목적, 현장 상황 등에 따라 적절히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Both the through hole 22 and the first suction port 23 may have a perforated structure in a circular shape, but of course, they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depending on the type of pellet, purpose of use, site situation, etc.

제1 흡입구(23)는 상기 관통구(22)에서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연소부(20)의 하단 부분 까지 연속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intake port 23 may be formed continuously from a position spaced a certain distance downward from the through hole 22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unit 20.

제1 흡입구(23)는 관통구(22)의 하부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개시되며, 이때, 관통구(22)와 최상단의 제1 흡입구(23) 사이에는 어떠한 타공도 형성되지 아니한 제1 미형성 구간(1Ez)이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inlet 23 starts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through-hole 22 by a certain distance, and at this time, the first micro-hole is not formed between the through-hole 22 and the first inlet 23 at the uppermost level. A formation section 1Ez may be provided.

제1 미형성 구간(1Ez)에서는 연소부(20)의 외면이 펠릿을 사방으로 밀폐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펠릿으로 향하는 공기의 공급량이 상대적으로 희박해지는 구조가 갖춰진다.In the first non-formation section 1Ez, since the outer surface of the combustion section 20 is configured to seal the pellets in all directions, a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pellets is relatively rare.

즉, 펠릿이 하방으로 연소가 점차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소 부위가 제1 미형성 구간(1Ez)으로 진입하게 되면 제1 미형성 구간(1Ez)에서는 상대적으로 연소반응을 지연시킬 수 있게 되는 한편, 제1 흡입구(23)를 통한 공기 공급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펠릿의 불완전 연소 내지 완전 소화를 방지할 수 있는 선에서 단지, 연소 속도를 천천히 지연시킬 정도의 안전한 연소가 보장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process where the combustion of the pellet gradually progresses downward, when the combustion site enters the first non-formation section (1Ez), the combustion reaction can be relatively delayed in the first non-formation section (1Ez). Since the air supply through the first intake port 23 can be continuously provided, a structure is provided to ensure safe combustion just enough to slowly delay the combustion speed in order to prevent incomplete combustion or complete extinguishment of the pellets. You will lose.

제1 미형성 구간(1Ez)의 상하 높이는, 관통구(22)를 원형의 형태로 가정하였을 때 적어도, 관통구(2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height of the first unformed section 1Ez is preferably formed to be at least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22, assuming that the through hole 22 has a circular shape.

제1 흡입구(23)는 상기 제1 미형성 구간(1Ez)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 시작하여 연소부(20) 하단까지 연이어 형성된 통공들을 의미할 수 있다.The first intake port 23 may refer to through holes formed continuously from the point where the first unformed section 1Ez ends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section 20.

제1 미형성 구간(1Ez) 아래로 연소 진행 단계에 따라 연소부(20)를 연소 초기단(1Bz), 연소 중기단(2Bz) 및 연소 말기단(3Bz)의 구간으로 임의 구획할 수 있고, 각각의 단 구간에 복수의 제1 흡입구(23)를 배치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combustion progress stage below the first unformed section (1Ez), the combustion section 20 can be arbitrarily divided into sections of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1Bz), the middle stage of combustion (2Bz), and the end stage of combustion (3Bz), A plurality of first intake ports 23 may be arranged in each stage section.

특히, 연소가 진행이 될수록 펠릿 상부로 연소 부산물인 재(숯)가 적층이 되고, 이러한 재 부분에서는 부피가 대략 50% 정도 감소하며,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짐에 따라, 통기성이 저하되고, 재 자체가 제1 흡입구(23)를 폐색하게 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In particular, as combustion progresses, ash (charcoal), a combustion by-product, is deposited on the upper part of the pellet, and the volume of this ash portion decreases by approximately 50%. As the density relatively increases, breathability decreases and the ash itself The possibility of blocking the first intake port 23 also increases.

연소 초기 단계에서는 연소공간(21) 내 전체적인 부분에 걸쳐 펠릿 사이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기 때문에 펠릿이 적층되어 있다 하더라도 통기성이 보장되고 펠릿이 제1 흡입구(23)를 완전하게 폐색하지 아니하여, 제1 흡입구(23)를 통한 원활한 급기가 가능한 구조가 된다. In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voids exist between the pellets throughout the entire combustion space 21, so even if the pellets are stacked, breathability is guaranteed and the pellets do not completely block the first intake port 23, so the first intake port 23 is not completely blocked. 1 It has a structure that allows smooth air supply through the intake port (23).

따라서, 연소 초기단(1Bz)에서는 급기량을 상대적으로 줄여 펠릿이 빠르게 연소되는 것을 적절히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Therefore, at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1Bz), the amount of air supplied is relatively reduced to appropriately suppress rapid combustion of pellets.

반면,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연소 중기 및 연소 말기 단계에서는 펠릿의 연소에 따른 부산물인 재가 펠릿 상부에 밀도 있게 적층이 되어 제1 흡입구(23)를 폐색하게 되므로, 연소 지연을 넘어서는 불완전 연소 내지 소화를 야기시킬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combustion progresses, in the middle and end stages of combustion, ash, which is a by-product of combustion of the pellets, is densely deposited on the top of the pellets and blocks the first intake port 23, resulting in incomplete combustion or extinguishment beyond combustion delay. can cause.

즉, 연소가 진행될 수록 급기량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펠릿 연소의 특성상 연소부(20)의 하부로 갈수록 연소 불씨가 점차 약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연소 중기단(2Bz)에서 연소 말기단(3Bz)으로 갈수록 급기량을 키워주기 위한 구성으로서, 후술 될 지지부(100)를 통해 목재 펠릿 하부에서 공기의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 펠릿의 불완전 연소와 소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other words, due to the nature of pellet combustion, where the amount of air supply inevitably decreases as combustion progresses, the combustion embers gradually become weaker as they move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section 20, so the combustion embers gradually weaken from the middle stage of combustion (2Bz) to the end stage of combustion (3Bz). It is a configuration to increase the amount of air supply as it goes further, and allows air to be supplied from the bottom of the wood pellets through the support part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incomplete combustion and digestion of the pellets.

탄화된 재(숯)의 경우 공기 유입이 적더라도 연소가 지속될 수 있기 때문에, 연소부(20) 측면에서 공기 공급이 원활하지 아니하더라도 연소 과정에서 계속 연소되어 발열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case of carbonized ash (charcoal), combustion can continue even if there is a small amount of air inflow, so even if the air supply is not smooth from the side of the combustion unit 20, it can continue to burn and generate heat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한편, 각각의 단 구간 사이에는 전술한 제1 미형성 구간(1Ez)과 동일한 작용을 수행하도록 제1 흡입구(23)가 타공되지 아니한 제2, 3 미형성 구간(2Ez,3Ez)이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second and third unformed sections 2Ez and 3Ez in which the first suction port 23 is not perforated may be provided between each stage section to perform the same function as the above-mentioned first unformed section 1Ez. there is.

이때, 제2 미형성 구간(2Ez)은 연소 초기단(1Bz)과 연소 중기단(2Bz) 사이에 마련되고, 제3 미형성 구간(3Ez)은 연소 중기단(2Bz)과 연소 말기단(3Bz)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cond unformed section (2Ez) is provided between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1Bz) and the middle stage of combustion (2Bz), and the third unformed section (3Ez)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stage of combustion (2Bz) and the end stage of combustion (3Bz). ) can be arranged between.

즉, 펠릿의 연소 부위가 연소 초기단(1Bz), 연소 중기단(2Bz), 연소 말기단(3Bz)에 위치하게 될 경우엔 연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연소 부위가 각각의 단 구간 사이에 마련된 제2, 3 미형성 구간(2Ez,3Ez)으로 진입하게 되면 해당 위치에서는 연소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In other words, if the combustion part of the pellet is located at the initial stage of combustion (1Bz), the middle stage of combustion (2Bz), or the end stage of combustion (3Bz), combustion occurs smoothly, while the combustion part is located between each stage. When entering the second and third unformed sections (2Ez, 3Ez) provided in , combustion delay occurs at that location.

다시 말해, 펠릿의 하향 연소 과정에서 연소의 유도와 지연을 교번적으로 구현시키게 됨으로써 펠릿의 불완전 연소 내지 완전한 소화를 방지하는 선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펠릿의 연소 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by alternately inducing and delaying combustion in the downward combustion process of the pellets, the combustion time of the pellets can be increased more effectively in the line of preventing incomplete combustion or complete digestion of the pellets.

한편, 연소 말기단(3Bz)으로 갈수록 착화된 펠릿의 불씨가 약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제2, 3 미형성 구간(2Ez,3Ez)에서 기소화를 방지하기 위한 일환으로, 제3 미형성 구간(3Ez)으로 갈수록 구간의 상하 높이를 작게 구성하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embers of the ignited pellets tend to weaken toward the end of combustion (3Bz), as part of preventing ignition in the 2nd and 3rd non-formation sections (2Ez, 3Ez), the third non-formation section (2Ez, 3Ez) 3Ez), the upper and lower heights of the sections should be made smaller.

예컨대, 제1 미형성 구간(1Ez)보다 제2 미형성 구간(2Ez)의 상하 높이를 작게 하고, 제2 미형성 구간(2Ez)보다 제3 미형성 구간(3Ez)의 상하 높이를 작게 하여, 연소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연소 지연이 점진적으로 짧은 시간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the vertical height of the second unformed section 2Ez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unformed section 1Ez, and the vertical height of the third unformed section 3Ez is mad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unformed section 2Ez, In the process of combustion, combustion delay is gradually achiev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다음으로, 지지부(100)는 연소부(2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support unit 100 serves to support the combustion unit 20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ground.

아울러, 지지부(100)는 연소부(20)를 지지하는 역할 외에도, 연소부(20)의 연소공간(21)과 연통하여 개방된 연소공간(21)의 하부를 향해 급기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In addition,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combustion unit 20, the support unit 100 communicates with the combustion space 21 of the combustion unit 20 to allow air to be supplied toward the lower part of the open combustion space 21. Perform.

이를 위해, 지지부(100)는 크게, 하우징(110) 및 지지판(1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pport unit 100 may be largely illustrated as including a housing 110 and a support plate 120.

하우징(110)은 내부가 빈 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2 흡입구(111)가 관통 형성되어 내부로 공기를 급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housing 11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interior, and a plurality of second inlet ports 111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supply air into the housing 110.

하우징(11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연소부(20) 하단을 받치는 상부받침(112)과,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받침(113)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An upper support 112 supporting the lower end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a lower support 113 supported on the ground may be extend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using 110, respectively.

하우징(110) 내부에는 하우징(110) 내부 상단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격판(114)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격판(114)에 의해 구획된 격판(114) 상부 공간을 충전공간(116), 하부 공간을 유입공간(117)이라 한다.Inside the housing 110, a diaphragm 114 may be provided to vertically divide the upper space inside the housing 110. At this time, the upper space of the diaphragm 114 divided by the diaphragm 114 is used as the charging space 116. , The lower space is called the inflow space (117).

격판(114)에는 복수 개의 제1 연통공(115)이 타공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충전공간(116)과 유입공간(117)이 서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first communication holes 115 may be perforated in the diaphragm 114 so that the charging space 116 and the inlet space 117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에 따라, 제2 흡입구(111)를 통해 하우징(110) 내부,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공간(117)으로 유입된 공기는 격판(114)을 통과해 충전공간(116)으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air flowing into the housing 110 through the second intake port 111, preferably into the inflow space 117, may pass through the diaphragm 114 and flow into the charging space 116.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2 흡입구(111) 주변으로는 제2 흡입구(111)의 개폐량을 조절하기 위한 레버가 설치되어 상기 유입공간(117)으로 향하는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a lever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 of the second inlet 111 is installed around the second inlet 111 to control the amount of air heading into the inlet space 117.

상부받침(112)의 상단 둘레에는 지지판(120)을 지지하는 제1 지지턱(118)이 마련될 수 있으며, 후술 될 지지판(120)은 상기 제1 지지턱(118)에 안착될 수 있다.A first support ledge 118 may be provided around the upper end of the upper support 112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120, and the support plate 1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seated on the first support ledge 118.

지지판(120)은 얇은 판상의 구성으로서 하우징(110)의 격판(114)에서 평행하게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로 제1 지지턱(118)에 안착될 수 있다.The support plate 120 is a thin plate-shaped structure and can be seated on the first support jaw 118 in a state that is spaced a certain distance upward from the diaphragm 114 of the housing 110 in parallel.

지지판(120)은 개방된 연소부(20) 하단에 위치하여 연소공간(21) 내 채워진 펠릿을 지지함으로써 펠릿이 충전공간(116) 내로 낙하하지 못하도록 한다.The support plate 120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open combustion section 20 and supports the pellets filled in the combustion space 21 to prevent the pellets from falling into the charging space 116.

지지판(120)에는 복수 개의 제2 연통공(121)이 타공되어 지지한 펠릿 하방으로 지지부(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통하도록 할 수 있다.A plurality of second communication holes 121 may be perforated in the support plate 120 to allow air flowing into the support portion 100 to pass underneath the supported pellet.

연소가 진행됨에 따라, 펠릿 위에 쌓인 재의 양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재가 제1 흡입구(23)를 폐색하는 문제, 재의 밀도에 의해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로 연소공간(21) 내 급기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데, 이때, 연소부(20)를 지지한 지지부(100) 측에서 공기를 흡입해 펠릿 직하방으로 공급을 가능케 함으로써 연소 말기 단계에서 불꽃이 쉽게 꺼지지 않고 충분한 화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As combustion progresses, the amount of ash accumulated on the pellet gradually increases, and as a result, the air supply action in the combustion space 21 is prevented due to the problem of ash blocking the first intake port 23 and the problem of lowering ventilation due to the density of the ash. This cannot be done smoothly. At this time, the support part 100 that supports the combustion part 20 sucks air and supplies it directly below the pellets, so that the flame is not easily extinguished at the end of combustion and sufficient fire power can be generated. Let it happen.

특히, 지지판(120) 상부에 지지된 펠릿은 지지판(120)을 통해 충전공간(116)을 침범하지 아니하게 되므로, 유입공간(117)은 물론 상기 충전공간(116) 역시 빈 공간으로서 유지되어 항시 공기가 충진된 상태가 갖춰지게 된다. 이에, 충전공간(116)에 충전된 공기가 지지판(120)을 통과해 펠릿에 연속적으로 공급이 가능해지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상부 재가 쌓이더라도 펠릿의 효율적인 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pellets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late 120 do not invade the charging space 116 through the support plate 120, not only the inflow space 117 but also the charging space 116 is maintained as an empty space at all times. A state filled with air is established. Accordingly, a structure is provided in which the air charged in the charging space 116 passes through the support plate 120 and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pellets, so that efficient combustion of the pelle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 upper ash accumulates.

다음으로, 지지커버(30)는 연소부(20)와 배출부(4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40)를 연소부(20) 상부에 안착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Next, the support cov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section 20 and the discharge section 40 and plays the role of seating and supporting the discharge section 40 on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section 20.

지지커버(30)는 연소부(20) 상단 둘레에 안착되는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연소가스, 화염, 열기 등을 통과시킬 수 있도록 제3 연통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연통공(31) 주변으로는 제2 지지턱(32)이 마련되어 배출부(40)를 안착 지지할 수 있다.The support cover 30 has a circular ring shape that is seated around the top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31 may be formed in the center to allow combustion gas, flame, heat, etc. to pass through. A second support protrusion 32 is provided arou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31 to seat and support the discharge unit 40.

배출부(40)는 상기 지지커버(30) 상에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고정 체결되지 아니하고 단순히 제2 지지턱(32)에 안착되도록 하여, 펠릿의 충전이나 이동설치를 위해 지지커버(30)로부터 손쉽게 착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discharge part 40 is not fixedly fastened to the support cover 30 through a separate fixing means, but is simply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jaw 32, so that the support cover 30 is used for filling or moving the pellets. Make it easy to attach and detach from.

다음으로, 배출부(40)는 연소부(20)의 상부에 결합되며 펠릿의 연소에 따른 연소가스를 정해진 방향으로 배출하고 또한, 화염의 확산을 방지함과 아울러, 연소열에 의한 방열작용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한다.Next, the discharge unit 4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discharges combustion gas resulting from combustion of pellets in a designated direction, prevents the spread of flame, and performs a heat dissipation function by combustion heat. plays a role in

이를 위해, 배출부(40)는 크게, 연통부재(41), 방열판(42) 및 브라켓(43)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discharge unit 40 may be largely illustrated as including a communication member 41, a heat sink 42, and a bracket 43.

연통부재(41)는 상, 하단이 개방된 원통형 구조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출구(44)가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The communication member 41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pen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44 are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배출구(44)를 통해 연소부(20)에서 발생된 연소가스, 열기 등이 적절히 배출될 수 있으며, 화염이 발생한 경우 연통부재(41) 자체가 화염을 외부에서 커버하여 화염의 확산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배출구(44)를 통해 화염의 간접 노출을 구현하여 야간 은은한 조명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한다.Combustion gases, heat, etc.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unit 20 can be properly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44, and when a flame occurs, the communication member 41 itself covers the flame from the outside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lame. However, indirect exposure of the flame is implemented through the outlet 44 to create a soft lighting atmosphere at night.

연통부재(41)의 하단은 상기 지지커버(30)의 제2 지지턱(32)에 안착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upport jaw 32 of the support cover 30.

방열판(42)은 상기 연통부재(41)의 상단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어 개방된 연통부재(41) 상단을 일부 가로막도록 마련된다.The heat sink 42 is dispos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to partially block the open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이때, 방열판(42)은 연통부재(41)의 상단을 완전히 밀폐시키는 것이 아니라, 연통부재(41) 상단에서 상부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도록 해 연통부재(41) 상단으로 연소가스 등이 무리 없이 배출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heat sink 42 does not completely seal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but is spaced apart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at a certain distance, so that combustion gases, etc. can flow to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without difficulty. Allow it to be discharged.

특히, 방열판(42)은 충분한 면적을 가지도록 하여 열기를 사방을 향해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 및 확산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heat sink 42 has a sufficient area so that heat can be more effectively dissipated and diffused in all directions.

예컨대, 방열판(42)은 적어도, 연소부(20)를 원통형이라 가정하였을 때 연소부(20)의 최대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태를 갖추도록 해 열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사방으로 퍼트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combustion unit 20 is cylindrical, the heat sink 42 has a disk shape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maximum diameter of the combustion unit 20, so that heat can be spread in all directions more effectively. Have a structure.

방열판(42)은 복수의 브라켓(43)을 통해 연통부재(41) 상단에서 이격 지지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의 브라켓(43)은 적어도 2 개 이상이 등각도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해 연통부재(41)와 방열판(42) 사이 공간을 과도하게 밀폐하지 아니하도록 한다.The heat sink 42 can be supported at a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41 through a plurality of brackets 43. At this time, at least two of each bracket 43 are arranged at an equal angle to maintain the communication member 41. ) and the heat sink (42). Make sure not to seal the space excessively.

한편, 연소부(20)와 연통부재(41)의 외측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a handle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mbustion unit 20 and the communication member 41.

정리하면, 본 고안은 탄소중립을 위한 대표적 산림바이오매스 재생 에너지로서 화석 연료의 대체안으로 규정된 목재 펠릿을 이용함으로써,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고, 연소 과정에서 각종 유독가스의 발생을 억제해 환경과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아니하면서도 장기간에 걸쳐 대량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목재 펠릿의 목질이 연소되며 발열이 이루어지는 10 시간의 시간과, 이 후 탄화된 숯에 의해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대적으로 긴 발열시간을 확보하여 고온으로 빠르게 연소되기 보단 적절하고 균일한 열량으로 보다 길고 연속적인 연소를 보장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연료 보충 없이도 야외 건설현장에서 동절기 콘크리트 양생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장시간 제공해 콘크리트 양생 품질을 보장하고, 난로 관리에 소요되는 코스트를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기존 목재 난로의 단점인 강제 배기 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되는 점, 난로 구입비가 상대적으로 고가인 점, 고중량물로서 쉽게 이동설치가 어려운 점, 연료통의 크기가 소량으로서 연소시간이 짧은 점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In summary, this design is a representative forest biomass renewable energy for carbon neutrality. By using wood pellets, which are defined as an alternative to fossil fuels, it is not only clean and free from depletion, but also allows for pollution-free regeneration, and enables various types of energy during the combustion process. By suppressing the generation of toxic gases, it can be used in large quantities ove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causing harm to the environment and the human body. In particular, the wood pellets burn for 10 hours to generate heat, and then the carbonized charcoal By securing a relatively long heating time during which heat is generated, it ensures longer and more continuous combustion with an appropriate and uniform amount of heat rather than rapid combustion at a high temperature,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heat needed for curing concrete in the winter at an outdoor construction site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additional fuel supplementation. It ensures the quality of concrete curing and dramatically reduces the cost of stove maintenance.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wood stoves are that they must be equipped with a forced exhaust device, the purchase cost of the stove is relatively high, and It provides the advantageous effect of solving problems such as the difficulty of easy movement and installation as a heavy object, and the short combustion time due to the small size of the fuel tank.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it will be well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mention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technical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ttached patent claim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지지부
20: 연소부
30: 지지커버
40: 배출부
100: support part
20: Combustion unit
30: Support cover
40: discharge part

Claims (5)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 하단이 개방된 통형 구조로서 내부로 수용된 펠릿의 연소공간을 형성하며 복수의 관통구 및 흡입구가 둘레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는 연소부; 및
상기 연소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펠릿의 연소에 따른 연소가스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관통구는 상기 연소부의 상단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흡입구는,
상기 관통구에서 하부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연소부의 하단 부분 까지 연속 형성되는 복수의 제1 흡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
support part;
A combustion uni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unit, has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forms a combustion space for pellets received therein, and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suction ports formed through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It includes an exhaust uni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unit and discharges combustion gases resulting from combustion of pellets,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along the upper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mbustion section,
The plurality of intake ports are,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winter construction site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comprising: a plurality of first suction ports continuously formed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hrough hol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downwar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mbustion sec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의 관통 면적은 제1 흡입구의 관통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
In claim 1,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winter construction site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etration area of the penetration hole is larger than the penetration area of the first intake por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와 배출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부를 연소부 상부에 안착 지지하는 지지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
In claim 2,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winter construction site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cover installed between the combustion unit and the discharge unit to seat and support the discharge unit on top of the combustion unit.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 하단이 개방된 통형 구조로서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의 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는 연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
In claim 3,
The discharge part,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construction sites in the winter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comprising a cylindrical structure with open upper and lower ends and a communication member through which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are form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연통부재의 상단에서 상부로 일정 거리 이격 배치되는 방열판; 및
상기 방열판을 연통부재 상단에서 이격 지지하는 복수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중립을 실현한 동절기 건설현장 콘크리트 양생용 목재 펠릿 난로.
In claim 4,
The discharge part,
a heat sink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and
A wood pellet stove for curing concrete at a winter construction site that realizes carbon neutrality,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rackets that support the heat sink at a distance from the top of the communication member.
KR2020220002311U 2022-09-28 2022-09-28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KR20240000592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11U KR20240000592U (en) 2022-09-28 2022-09-28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20002311U KR20240000592U (en) 2022-09-28 2022-09-28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0592U true KR20240000592U (en) 2024-04-05

Family

ID=90652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20002311U KR20240000592U (en) 2022-09-28 2022-09-28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0592U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37A (en) 2016-02-11 2016-05-02 신동호 Pail can type of cure the concreted surface or stove for heat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7437A (en) 2016-02-11 2016-05-02 신동호 Pail can type of cure the concreted surface or stove for heat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4879A1 (en) Pellet burning fire pit
EP1884262B1 (en) Dispersion burner for firefighter training
CA1284767C (en) Fireplace gas burner assembly
US9651262B1 (en) Low emission woodstove
KR20110010431U (en) Non power wood pellet stove
KR20240000592U (en) Wood pellet stove for concrete curing capable of carbon neutral
US20190383491A1 (en) Pellet stove
US10408459B2 (en) Pellet stove with basket adjustment
KR101204250B1 (en) Smokingless stove using wood
ES2391359T3 (en) Element and procedure for a fire ignition system
EP2679908A2 (en) Stove with additional airflow
US4232653A (en) Wood-burning furnace
US20040031479A1 (en) Portable artificial campfire device
JP2018021738A (en) Heater
KR20210055377A (en) Combustor for pellet stove
KR101147289B1 (en) Stove with Boiler Function
LT5652B (en) Boiler furnace
KR20160067328A (en) Wood pellet stove
KR20150006393A (en) Firepower
JP2010230186A (en) Pellet stove and combustion case for firewood used for the same
KR20060134634A (en) Fireplace
JP2010019470A (en) Small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and stove provided with small solid fuel combustion apparatus in combustion chamber
US20180291298A1 (en) Slow-burning log
KR200478782Y1 (en) A Portable firewood stove
JP6032653B2 (en) Rooster and wood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