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5373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5373A
KR20210055373A KR1020190141731A KR20190141731A KR20210055373A KR 20210055373 A KR20210055373 A KR 20210055373A KR 1020190141731 A KR1020190141731 A KR 1020190141731A KR 20190141731 A KR20190141731 A KR 20190141731A KR 20210055373 A KR20210055373 A KR 20210055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
mobile terminal
terminal device
display
comma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화영
최승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5373A/ko
Publication of KR20210055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5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1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characterized by the use of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API] libra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GUI를 랜더링하기 위한 명령어 셋을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 GUI와 동일한 GUI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DISPLAY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MOBI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은 직관적으로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제공하며, 이러한 방송 영상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TV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대표적인 일례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서버에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를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영상 서비스는 유투브에서 제공하는 영상 서비스일 수 있다. 이 때, 영상 서비스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영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존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리모컨 등을 통해 제어 가능하다. 최근의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 포함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는 직관적이고 다양하다. 따라서, 리모컨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것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관적으로 제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연 없는 제어가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은 GUI를 랜더링하기 위한 명령어 셋을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된 GUI와 동일한 GUI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랜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복수의 명령어를 수신하는 통신부, 싱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를 랜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a), 프로세서가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c),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계 (c)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를 랜더링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경우 시간 지연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 내의 유후 모바일 단말 장치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제1 GUI의 형상과,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표시되는 제2 GUI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UI 내의 복수의 영역의 순서를 변경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컨대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방송 수신 기능에 충실하면서도 인터넷 기능 등이 추가되어, 수기 방식의 입력 장치, 터치 스크린 또는 공간 리모콘 등 보다 사용에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리고, 유선 또는 무선 인터넷 기능의 지원으로 인터넷 및 컴퓨터에 접속되어, 이메일, 웹브라우징, 뱅킹 또는 게임 등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다양한 기능을 위해 표준화된 범용 OS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예를 들어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하므로,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네트워크 디스플레이 장치, HBB 디스플레이 장치, 스마트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 OLED 디스플레이 장치 등이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이동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 장치,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10),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40), 디스플레이부(150), 오디오 출력부(160), 전원 공급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111), 복조부(112)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 방송 수신부(110)는 튜너(111)와 복조부(112)는 구비하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일 수도 있다.
또한, 방송 수신부(110)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다중화부(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다중화부는 복조부(112)에서 복조된 신호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다중화할 수도 있다. 그 밖에, 방송 수신부(110)는 역시 도시되진 않았으나, 역다중화부(de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는 다중화된 신호를 역다중화하거나 복조부(112)에서 복조된 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역다중화할 수 있다.
튜너(111)는 특정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를 튜닝한다. 특정 RF 방송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와 대응된다. 또한, 튜너(111)는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IF: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 혹은 베이스밴드(baseband)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튜너(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인 RF 방송 신호를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인 RF 방송 신호를 아날로그 베이스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모두 처리할 수 있다. 튜너(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8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111)는 싱글 캐리어(single carrier) 또는 멀티플 캐리어(multiple carrier)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111)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로 튜닝 및 수신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튜너(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12)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거나,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복조부(112)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 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 수 있다.
복조부(112)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영상을,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음성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지털 장치(100)와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 사이의 인터페이싱 환경을 제공한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ray), 게임 디바이스, 카메라, 캠코더(Camcorder), 컴퓨터(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폰, 블루투스 디바이스(Bluetooth device), 클라우드(Cloud) 등과 같은 외부 디바이스 등과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미지, 영상, 음성 등 데이터를 포함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한다. 제어부(180)는 처리된 이미지, 영상, 음성 등을 데이터 신호를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지털 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디지털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지털 장치(10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다른 디지털 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셋톱-박스(STB)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고, 셋톱-박스(STB)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는 인접하는 외부 장치 내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application list)을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80) 또는 저장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디지털 장치(100)를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유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와의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통신 규격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디지털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특히, 디지털 장치(100)에 저장된 일부의 컨텐트 데이터를 미리 등록된 다른 디지털 장치 중 선택된 디지털 장치에 송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접속된 네트워크 또는 접속된 네트워크에 링크된 다른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웹 페이지에 접속하고, 해당 서버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그 외,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트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프로바이더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트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firmware)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인터넷 또는 컨텐트 프로바이더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데이터들을 송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는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open)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13)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을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33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후술하여 설명하는 다양한 플랫폼(platform)을 저장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장치(100)는 저장부(13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트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30)는 제어부(180)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8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80)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IR)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제어 장치(190)와 연결되고, 원격제어 장치(190)에서 전송된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를 원격제어 장치(5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전원 키, 채널 키, 볼륨 키, 설정치 등의 로컬 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센싱하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8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80)의 신호를 센싱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센싱부(미도시)는,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튜너(111), 복조부(112)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60)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하여 외부 출력 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역다중화부, 영상 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디지털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튜닝(tuning)하도록 튜너(11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지털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지털 장치(100) 내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소정 채널 선택 명령에 따라 선택한 채널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튜너(111)를 제어한다. 그리고 선택한 채널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처리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 또는 음성 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수신한 외부 장치 영상 재생 명령에 따라서, 외부 장치로부터의 영상 신호 또는 음성 신호가 디스플레이부(150) 또는 오디오 출력부(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8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튜너(111)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컨텐트를 재생하도록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컨텐트는, 디지털 장치(100) 내에 저장된 컨텐트 또는 수신된 방송 컨텐트 또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입력 컨텐트일 수 있다. 컨텐트는, 방송 영상, 외부 입력 영상, 오디오 파일, 정지 영상, 접속된 웹 화면 및 문서 파일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애플리케이션 보기 항목에 진입하는 경우, 디지털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더불어,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다운로드 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관련된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3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고,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그대로 또는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스트림 형태로 부호화되어 제어부(180)로 입력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8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50)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들은 차례로 또는 동시에 업데이트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방송 채널의 내용을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 G, 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50)는 PDP 디스플레이, LCD 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일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60)는, 제어부(18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성 출력부(160)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하기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센서, 음성 센서, 위치 센서, 동작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센싱부(미도시)가 디지털 장치(100)에 더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에서 감지된 신호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해 제어부(318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를 촬영하는 촬영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8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싱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를 각각 또는 조합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70)는 디지털 장치(100)의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8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부(150)와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6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7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0)가 다수의 백라이트 램프(backlight lamp)를 구비하는 액정 패널로서 구현되는 경우, 휘도 가변 또는 디밍(dimming) 구동을 위해, PWM(Pulse Width Modulation) 동작 가능한 인버터(inverter)(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디지털 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의 ATSC 방식 또는 DVB 방식의 디지털 방송 신호의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장치(100)는 도시된 구성 중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을 생략하거나 반대로 도시되진 않은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달리, 튜너와 복조부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또는 외부 장치 인터페이스부를 통해서 컨텐트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한편, 디지털 장치(100) 중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 수신 기능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장치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 폰과 유사하게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일례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고,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각각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에서 설명한 내용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에 설치되는 소규모 네크워크 시스템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모바일 단말 장치(2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일례로, 스마트 TV일 수 있으며, 동영상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한편,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복수의 외부 서버와 인터넷 등을 통해 통신 연결된다.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일례로, 스마트 폰일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통신 연결된다.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 장치(2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제1 통신부(211), 제1 디스플레이부(212), 제1 메모리(213) 및 제1 프로세서(214)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통신부(211)는 복수의 외부 서버 및 모바일 단말 장치(220)와 통신 연결된다. 이 때, 통신부(211)는 복수의 외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 및 모바일 단말 장치(220)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을 위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 표준들 또는 통신 방식은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5G 네트워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212)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영상 내지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 메모리(213)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메모리(213)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모바일 단말 장치(220)가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214)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로세서(214)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제1 프로세서(214)는 제1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GUI 매니저을 포함할 수 있다. GUI 매니저는 GUI의 요소들을 직접 생성하고 전체 및 부분을 업데이트한다. 또한, GUI 매니저는 그래픽을 처리하고, 윈도우(Window)를 처리하고, 동영상을 처리하고, 오디오를 출력한다.
제1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제1 프로세서(214) 내에는 GUI 구현부,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 및 제1 제어부가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듈은 소정의 코드 및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GUI 구현부는 GUI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서 셋(set), 즉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한다.
여기서, 복수의 명령어 각각은 GUI를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명령어일 수 있다. 일례로, API 명령어는 OpenGL, OpenCL 등의 표준 API이거나, 자체로 정의한 API 및 명령어와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된다.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를 랜더링한다. 즉,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복수의 명령어를 입력으로 받아 화소 데이터로 구성된 최종 GUI를 구현한다.
제1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제2 통신부(221), 제2 디스플레이부(222), 제2 메모리(223) 및 제2 프로세서(224)를 포함한다.
이하, 각 구성 요소 별로 그 기능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통신부(221)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통신 연결된다. 이 때, 통신부(211)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와의 통신을 위한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 통신부(221)는 다른 디지털 장치와 통신 연결될 수도 있고, 다른 디지털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22)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유기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OLED)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22)는 사용자에게 영상 내지 동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2 디스플레이부(222)는 터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제2 메모리(223)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고,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메모리(223)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하며,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제2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상기한 제1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대응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제2 프로세서(224)는 중앙처리장치,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로세서(224)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특히, 제2 프로세서(224)는 제2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제2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제2 프로세서(224) 내에는 제2 디스플레이 구현부 및 제2 제어부가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제2 통신부(221)에서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를 랜더링한다. 즉, 제2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복수의 명령어를 입력으로 받아 화소 데이터로 구성된 최종 GUI를 구현한다.
제2 제어부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제어한다.
이하, 아래의 도면을 참조하여 모바일 단말 장치(220)가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하는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의 동작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10) 및 모바일 단말 장치(220)를 포함한다. 이 때, 왼쪽에 도시된 단계들이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제어 방법과 대응되고, 오른쪽에 도시된 단계들이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제어 방법과 대응된다.
이하, 각 단계 별로 수행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50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통신 연결된다. 즉, 통신 연결는 제1 통신부(211)와 제2 통신부(221)를 통해 수행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WiFi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단계(S504)에서, 제1 프로세서(214)는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한다.
단계(S504)는 제1 프로세서(214) 내의 GUI 구현부를 통해 수행되며, 복수의 명령어는 GUI를 구현하기 위한 API 명령어일 수 있다.
단계(S506)에서, 제1 통신부(211)는 복수의 명령어를 제2 통신부(221)로 전송한다.
한편, 제1 프로세서(214)는 복수의 명령어를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고, 제1 통신부(211)는 변환된 복수의 명령어를 제2 통신부(221)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단계(S508)에서, 제1 프로세서(214)는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를 랜더링한다.
단계(S508)는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랜더링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모델로부터 영상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단계(S510)에서, 제2 프로세서(224)는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를 랜더링한다.
한편, 제1 GUI와 제2 GUI는 상기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랜더딩되었다. 따라서, 제1 GUI의 형상과 제2 GUI의 형상은 동일하다.
단계(S512)에서, 제1 디스플레이부(212)는 제1 GUI를 표시한다. 그리고, 단계(S514)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222)는 제2 GUI를 표시한다. 이 때, 단계(S512)와 단계(S514)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1 디스플레이부(212)에서 표시되는 제1 GUI의 형상과,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서 표시되는 제2 GUI의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동일한 형상의 GUI가 제1 디스플레이부(212) 및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 표시된다.
요컨대, GUI 구현부는 GUI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명령어를 동시에 제1 통신부(212) 및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로 전달한다. 제1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전달된 복수의 명령어를 즉시 렌더링하고, 동시에 제2 디스플레이 구현부는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를 즉시 렌더링한다.
즉, 제1 통신부(211)를 통한 복수의 명령어의 전송 과정과, 제1 GUI를 랜더링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고, 복수의 명령어가 수신되는 즉시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서 제2 GUI를 렌더링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10)에서 수행되는 제1 GUI의 랜더링 과정과,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서 수행되는 제2 GUI의 랜더링 과정은 동시에 수행된다.
단계(S516)에서, 제2 디스플레이부(222)는 사용자로부터 제2 GUI의 일부분의 터치와 대응되는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상기한 터치는,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 표시된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포인팅 터치와,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키패드의 특정 부분을 터치하는 키패드 터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단계(S518)에서, 제2 통신부(221)는 생성된 이벤트 신호를 제1 통신부(212)로 전송한다.
단계(S520)에서, 제1 프로세서(214)는 수신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터치된 제2 GUI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제1 GUI의 일부분을 선택한다.
단계(S522)에서, 제1 프로세서(214)는 상기한 제1 GUI의 일부분의 선택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한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제어는 상기 대응되는 제1 GUI의 일부분에 표시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일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 때,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제1 디스플레이부(212)에는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제1 GUI가 구현되고,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도 제1 디스플레이부(212)에 구현된 제1 GUI와 동일한 형상의 제2 GUI가 구현된다. 사용자는 제2 GUI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제1 GUI 자체를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1 GUI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시간 지연이 발생하지 않고,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10)를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는 서로 동일한 GUI가 표시되고,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화면으로 대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화면을 터치하듯이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화면을 터치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하고 직관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10)가 제1 GUI 자체를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전송하는 경우 대용량의 데이터가 전송되는데,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210)와 모바일 단말 장치(220)의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이 작은 경우 시간 지연이 더 심하게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제1 GUI 자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제1 GUI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의 명령어를 전송한다. 따라서, 시간 지연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복수의 명령어만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전송하고, 제1 GUI와 함께 표시되는 메인 동영상은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제2 GUI를 표시하며, 메인 동영상은 표시하지 않는다. 일례로, 메인 동영상이 표시되는 부분은 블랙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메인 동영상을 캡쳐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제1 이미지를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제1 이미지 및 제2 GUI를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화면과 더 유사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메인 동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감소된 메인 동영상을 모바일 단말 장치(220)로 더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감소된 메인 동영상 및 제2 GUI를 제2 디스플레이부(222)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일례로,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이 넓은 경우 메인 동영상의 크기를 일정 크기로 감소시키고,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이 좁은 경우 메인 동영상의 크기를 일정 크기보다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 단말 장치(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10)의 화면과 더욱더 유사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1 GUI 및 제2 GUI 각각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한다. 이 때, 복수의 영역은 제1 GUI 및 제2 GUI 각각의 제1 부분에 배치되며,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대응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10)는 모바일 단말 장치(220)에서 수신된 기 설정된 기간 동안의 복수의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실시간으로 이벤트 신호를 입력받는데, 동일한 위치에 터치를 수행하는 이벤트 신호가 수차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동일한 위치와 대응되는 영역(710)에 배치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로세서(214)는 복수의 영역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일례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제1 프로세서(214)는 복수의 영역(710) 중에서, 기 설정된 기간 동안 수신된 복수의 이벤트 신호 중 사용자가 가장 많이 터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711)을 제1 부분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다른 일례로서, 제1 프로세서(214)는 영역(710)의 터치 횟수와 비례하여 내림 차순으로 영역(710)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가장 많이 터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710)은 최좌측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가장 적게 터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710)은 최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반도체 기록소자를 포함하는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외부의 장치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Claims (14)

  1.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랜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통한 상기 복수의 명령어의 전송 과정과, 상기 제1 GUI를 랜더링하는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복수의 명령어가 수신되는 즉시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상기 제2 GUI를 렌더링하는 과정이 수행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 각각은 GUI를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명령어인,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메인 동영상과 상기 제1 GUI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함께 표시되고,
    상기 메인 동영상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되지 않고,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2 GUI만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메인 동영상과 상기 제1 GUI는 함께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의 메인 동영상을 캡쳐하여 제1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이미지 및 상기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메인 동영상과 상기 제1 GUI는 함께 표시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의 대역폭에 기초하여 상기 메인 동영상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감소된 메인 동영상을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감소된 메인 이미지 및 상기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서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사용자의 상기 제2 GUI의 일부분의 터치와 대응되는 이벤트 신호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GUI의 일부분과 대응되는 상기 제1 GUI의 일부분을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 각각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대응되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복수의 상기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벤트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영역의 위치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은 상기 제1 GUI 및 상기 제2 GUI 내에서 제1 부분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이벤트 신호 중 상기 사용자가 가장 많이 터치한 부분과 대응되는 영역을 상기 제1 부분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복수의 명령어를 수신하는 통신부;
    싱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를 랜더링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2 G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인, 모바일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GUI의 랜더링 과정과, 상기 프로세서의 제2 GUI의 랜더링 과정은 동시에 수행되는, 모바일 단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명령어 각각은 GUI를 구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API 명령어인, 모바일 단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명령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메인 동영상과 관련된 데이터를 함께 수신하되, 상기 데이터는 상기 메인 동영상을 캡쳐한 제1 이미지 또는 상기 메인 동영상의 크기가 감소된 동영상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이미지 또는 상기 감소된 동영상을 상기 제2 GUI와 함께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모바일 단말 장치.
  14. 통신부를 통해 모바일 단말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단계 (a);
    프로세서가 복수의 명령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통신부가 상기 복수의 명령어를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c);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단계 (c)와 동시에 상기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1 GUI를 랜더링하는 단계; 및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1 G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된 복수의 명령어에 기초하여 제2 GUI가 상기 모바일 단말 장치에서 랜더링되어 표시되고, 상기 제1 GUI는 상기 제2 GUI와 동일한 형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41731A 2019-11-07 2019-11-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KR20210055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31A KR20210055373A (ko) 2019-11-07 2019-11-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1731A KR20210055373A (ko) 2019-11-07 2019-11-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5373A true KR20210055373A (ko) 2021-05-17

Family

ID=76158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1731A KR20210055373A (ko) 2019-11-07 2019-11-0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53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431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텐츠 관리방법
KR10169973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KR10150786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이용한 광고 컨텐츠 제작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0402141B2 (en) Method for application extension and image display apparatus using same
US9762953B2 (en) TV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10310702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bject displayed on a screen and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311248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비디오 데이터 처리 방법
CN109429097A (zh)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KR20160026075A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6169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데이터 처리 방법
KR102116727B1 (ko) 멀티비전 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09415A (ko) 외부 입력장치와 컨텐츠 연동이 가능한 영상표시장치
US20230049905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21005537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모바일 단말 장치
KR102221294B1 (ko) 멀티미디어 디바이스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583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1007793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20382419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51674B1 (ko)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코드를 처리하는 디지털 수신기 및 그 제어 방법
US11917233B2 (en) Display device and a remote controller controlling same
KR2022003419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23004158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1930238B2 (en) Display device, and infrared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60083737A (ko) 영상표시장치 및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KR2021007392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과, 단말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