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326A -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326A
KR20210054326A KR1020190140349A KR20190140349A KR20210054326A KR 20210054326 A KR20210054326 A KR 20210054326A KR 1020190140349 A KR1020190140349 A KR 1020190140349A KR 20190140349 A KR20190140349 A KR 20190140349A KR 20210054326 A KR20210054326 A KR 20210054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composition
liquid type
type m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은정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0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326A/ko
Publication of KR20210054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32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8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cheeks, e.g. rou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4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 A61K2800/54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 A61K2800/5422Polymers characterized by specific structures/properties characterized by the charge nonion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터-1을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온과 광에서도 안정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발색, 지속력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nonionic water-soluble polymer}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아이메이크업을 할 수 있는 화장료에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 섀도우, 아이브로우 등이 있다. 이 중 아이섀도우는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하여,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한 분위기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메이크업 제품이다.
메이크업 화장료로 사용되는 아이섀도우는 그 제형에 따라 크게 3가지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는 파우더 타입, 두번째는 크림 타입, 마지막으로 리퀴드 타입이다.
통상적으로 파우더 타입의 경우, 밀착이 떨어지고, 가루 날림이 있어 지속력이 좋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다. 크림 타입의 경우, 장시간이 지나면 크리즈 현상이 나타나며, 유분에 쉽게 지워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리퀴드 타입의 아이섀도우는, 제품 사용 시 내장된 팁을 이용하기 때문에 파우더 타입이나 크림 타입보다 도포가 편리하다. 또한 액상에 가깝기 때문에 피부 결에 따라 잘 밀착되고, 크림 타입에 비해 눈가 유분에 의해 쉽게 번지지 않으며, 도포 후 시간이 경과하면 주름에 끼어 지저분하게 보이는 크리즈 현상이 적은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큰 펄이나 글리터가 포함된 리퀴드 타입 제품의 경우 눈가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피막 형성제가 포함되지 않으면 수분이 날아가면서 펄 날림 현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고 사용하는 점증제에 따라 밀착력, 안정성 및 사용감이 상이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US 9364399 B2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색, 지속력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리퀴드 타입의 메이크업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터-1(Polyether-1)을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는 0.1 중량% 내지 3.0 중량% 포함되는 것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서 보습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4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습제는 또한,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스쿠알란(Squa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글리콜, 스쿠알란, 메틸프로판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3 중량% 내지 0.5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조성물에 피막 형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피막 형성제는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섀도우 또는 블러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밀착, 지속력 및 피부 밀착력이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광 안정성이 개선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터-1(Polyether-1)을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큰 펄이나 글리터가 포함된 리퀴드 타입이며, 큰 펄, 글리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20 내지 3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는, 물을 용매로 하여 투명하고 맑은 수용액이 되는 폴리머를 의미한다. 고형분의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물에 녹아 유사 소성의 흐름성(pseudoplastic flow behavior)을 보이며, 다른 제형 성분들의 작용을 돕는 보조적인 점증제, 유화제, 피막 형성제 및 보습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는, 투명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로서 폴리에터-1(Polyether-1)일 수 있다. 폴리에터-1(Polyether-1)은, 피이지-180(PEG-180), 도독시놀-5(Dodoxynol-5), 피이지-25 트리스타이릴페놀(PEG-25 tristyrylphenol), 및 테트라메톡시메틸글리쿠릴 모노머(tetramethoxymethylglycouril monomer)의 공중합체(copolymer)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0.7 중량% 내지 1.0 중량%의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는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의 고형분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의 양이 지나치게 적어 사용감이 묽고 피부에 밀착되는 정도가 낮아 효과가 없으며, 상기 범위 초과의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가 포함되는 경우, 점도가 높아 끈적여 사용감이 좋지 못하거나 제형을 만드는 공정이 힘들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큰 펄이나 글리터가 포함된 리퀴드 타입으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보습제, 물의 조합으로 리퀴드 타입의 섀도우에 포함된 펄과 글리터의 밀착이 우수하고 지속력 및 광 안정성이 개선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습제는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스쿠알란(Squalane)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보습제는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프로판디올, 스쿠알란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보습제는 1 중량% 내지 4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습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보습의 기능이 저하되며, 반대로 4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거림이 발생하여 조성물의 점도 및 성상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증제로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점증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제한되지 않는다. 점증제의 특정 예로서 잔탄검(xanthan gum),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메타크릴산(polymethacrylic acid), 아가(Agar),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폴리메타크릴산 코폴리머(polyacrylic acid/polymethacrylic acid copolymer),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산/폴리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polyacrylic acid/polyacrylamide copolymer),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폴리메타크릴산/폴리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polymethacrylic acid/polyacrylamide copolymer), 카보머(carbom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알지네이트(alginat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폴리(N,N-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N,N-ethylamino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 유도체(polyvinyl derivatives),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중량% 내지 2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 중량% 내지 0.5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점증제의 양이 지나치게 많아 점도가 높고 끈적임이 발생하여 사용감이 좋지 않으며,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고온 안정성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보습제, 및 물 외에 피막 형성제(film former)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막 형성제란, 피부 또는 모발 위에 피막을 만드는 성분으로서, 용어 “필름 형성제”와 상호교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피막 형성제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공지의 피막 형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피막 형성제의 특정 예로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 acetat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 pyrrolidone: PVP), 암모늄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mmonium acrylate copolymer), 피브이피/에이코신 코폴리머(PVP and Eicosine copolymer), 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ic/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acrylate copolymer), 알킬 아크릴레이트 코폴리머 에멀젼(alkyl acrylate copolymer emulsion),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폴리쿼터늄-4),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0.3 중량% 내지 0.7 중량%, 0.4 중량% 내지 0.7 중량%, 0.3 중량% 내지 0.6 중량%, 0.4 중량% 내지 0.6 중량%, 또는 0.45 중량% 내지 0.55 중량%의 피막 형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피막 형성제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적은 경우 피부 밀착력이 떨어지며, 피막 형성제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지나치게 많은 경우 끈적임 정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리퀴드 타입으로서 아이섀도우 또는 블러셔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당업자의 입장에서 본 발명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실질적인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보습제, 및 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수상부를 교반하는 단계; 상기 수상부에 보습제 및 점증제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색소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 및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혼합하여 교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는 조성물의 점도를 높이기 때문에 색소를 먼저 분산한 후 마지막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상부는 피막 형성제, 정제수, 분산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피막 형성제, 보습제, 점증제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1.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함량에 따른 비교( 실시예 1 및 비교예 1~6)
하기 표 1과 같이, 점증제와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의 함량을 달리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먼저, 방부제를 포함하는 정제수를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점증제로 카보머와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사용하여 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펄 색소를 투입해 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보습제로 메틸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등의 폴리올을 투입하여 10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터-1이 포함된 실시예 1 및 비교예 4~6의 경우, 하기 표 1의 함량만큼 폴리에터-1을 투입한 후 10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여기서 폴리에터-1의 함량은 수용액이 아닌 고형분의 함량을 의미한다. 이후,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1. 분산도 평가
상기 표 1에 따라 제조한 조성물의 분산도를 평가 하였다. 분산도는 조성물 제조 시 분산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 1 및 비교예 3~5의 제형은 분산 정도가 우수하여 화장료로 사용하기에 적당했다. 비교예 6은 점도가 너무 높아 공정이 힘들고 화장료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비교예 1~2의 제형은 분산은 잘 되었으나 점도가 비교적 낮았다.
실험예 1-2. 마찰력 및 밀착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에서 제조한 조성물의 마찰력 및 밀착력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마찰력 및 밀착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5cmⅹ5cm의 인공피부에 동일한 크기와 두께(지름 3.5cm, 50μm)로 각각의 시료 0.05g을 도포하고, 30℃에서 15분간 건조시켰다. 레오미터에 스펀지(7cmⅹ7cm, 두께 3cm)를 깔고, 도포된 인조 피부 위에 티슈를 얹은 후, 압력을 가했다(SUN RHEOMETER, Mode 20, Weight 2kg, Distance 0.3mm, Pin No.15 15mm). 이후, 티슈에 묻어난 각각의 시료의 양을 확인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피부에 밀착되어 도포 후 묻어남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3. 사용감 평가
20~30대 여성 2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5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그 점수들을 평균 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피부에 잘 밀착되고 마찰에도 강해 사용감이 가장 우수하였다. 반면, 비교예 1~2의 경우 사용감이 묽어 피부에 밀착되는 정도가 낮았다. 비교예 3~5는 사용감이 비교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밀착력이 개선 효과가 미미하였으며, 비교예 6는 점도가 너무 높아 화장료가 너무 두껍게 발려 사용감이 좋지 못했다.
실험예 1-4. 제형의 고온 안정성 및 광 안정성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6의 고온 안정성 및 광 안정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하였다.
고온 안정성은 각각의 제형을 투명한 바이알(20ml)에 넣은 후 보관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15 ℃, 25 ℃, 37 ℃, 45 ℃, 및 50 ℃에서 첫 1주일 동안은 일 단위로 관찰하였고, 이후에는 주 단위로 3달 동안 관찰하였다. 3달 이후의 최종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비교예 3~5는 고온에서 모두 안정하고 광 안정성도 개선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 분산이 잘 되며 밀착력이 좋고 광 안정성이 좋은 화장료의 조성을 알 수 있었다. 화장료의 사용감을 좀 더 부드럽게 개선하기 위하여 추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2. 보습제의 종류 및 함량에 따른 비교( 실시예 2 및 비교예 7~10)
상기 실시예 1의 제형에서 사용감이 조금 뻣뻣하여 더 부드럽게 개선하기 위하여 이를 보완하기 위해 폴리올의 종류와 조합을 바꾸어가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폴리올의 함량과 조합을 달리하여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및 피막 형성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방부제를 포함하는 정제수를 상온에서 디스퍼(disper)를 이용하여 300rpm으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 다음, 점증제로 카보머와 하이드록시에칠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코폴리머를 사용하여 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그리고 펄 색소를 투입해 5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보습제로 메틸프로판디올, 1,2-헥산디올 등의 폴리올을 투입하여 1000rpm으로 1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피막 형성제 및 점증효과를 줄 수 있는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로 폴리에터-1을 투입 후 1000rpm으로 10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기포를 제거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7~10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실험예 2-1. 사용감 평가
20~30대 여성 20명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7~10의 조성물의 효과를 비교하도록 하여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각 항목들을 품평한 후 0~5의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고 그 점수들을 평균 내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는 실시예 1보다 부드러운 사용감을 나타내었다(표 3 참조).
반면, 비교예 7~10는 사용감이 묽어 건조가 느렸으며, 비교예 8은 끈적이는 느낌이 강해 사용감이 좋지 못했다.
상기의 결과로,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제형의 경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 점증제 및 보습제를 각각 특정 함량 범위로 포함했을 때 고온과 광에서 안정하고, 사용감 및 밀착력이 우수한 제형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0)

  1.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인 폴리에터-1(Polyether-1)을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는 0.1 중량% 내지 3 중량% 포함되는 것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점증제, 보습제, 및 물을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4 중량%의 보습제를 포함하는 것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5.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카프릴릴 글리콜(caprylyl glycol), 펜틸렌 글리콜(pentylene glycol), 프로필렌 글리콜 (propylene glycol), 글리세린(glycerine),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glyceryl caprylate), 부틸렌 글리콜 (butylene glycol), 1,2-헥산디올(1,2-hexanediol) 및 메틸프로판디올(methylpropanediol), 스쿠알란(Squalan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3 중량% 내지 0.5 중량%의 점증제를 포함하는 것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점증제는, 잔탄검(xanthan gum),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아크릴아마이드(polyacrylamide), 폴리메타크릴산(polymethacrylic acid), 아가(Agar), 폴리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hydroxy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산/폴리메타크릴산 코폴리머(polyacrylic acid/polymethacrylic acid copolymer), 키토산(chitosan), 폴리아크릴산/폴리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polyacrylic acid/polyacrylamide copolymer), 셀룰로오스 에테르(cellulose ether), 폴리메타크릴산/폴리아크릴아마이드 코폴리머(polymethacrylic acid/polyacrylamide copolymer), 카보머(carbomer),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알지네이트(alginat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폴리(N,N-에틸아미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poly(N,N-ethylaminoethyl methacrylate)),), 셀룰로오스(cellulos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비닐 유도체(polyvinyl derivatives),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소듐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코폴리머(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피막 형성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청구항 제8에 있어서,
    상기 피막 형성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0.1중량% 내지 1.0중량% 포함되는,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아이섀도우 또는 블러셔인, 리퀴드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40349A 2019-11-05 2019-11-05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54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49A KR20210054326A (ko) 2019-11-05 2019-11-05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349A KR20210054326A (ko) 2019-11-05 2019-11-05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326A true KR20210054326A (ko) 2021-05-13

Family

ID=75913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349A KR20210054326A (ko) 2019-11-05 2019-11-05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5432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4399B2 (en) 2014-03-21 2016-06-14 L'oreal Water-based gel cosmetic compositions without film for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64399B2 (en) 2014-03-21 2016-06-14 L'oreal Water-based gel cosmetic compositions without film form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2739A (en) Makeup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CN104379123A (zh) 用于个人护理的耐水性聚合物
EP2164447B1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KR20180091370A (ko) 형상기억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46423A (ko)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3633561A (zh) 包含异种的有机增粘剂的水分散剂型的防紫外线用化妆品组合物
US9445982B2 (en) Polymer-based pigment-bearing ink
JP5791424B2 (ja) 水性化粧料組成物
CN111867552B (zh) 化妆品用颜料分散液、使用其的水系液体化妆品
KR20210054326A (ko) 비이온성 수용성 폴리머를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0507594A (zh) 一种化妆水及其制备方法
KR102176704B1 (ko) 무기 점증제 및 유기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JP2016121137A (ja) 化粧料
FR3031038A1 (fr) Produit cosmetique comprenant de l'oxyde de titane
JP2003502355A (ja) 親水性ゲル化剤と特定のフィラーとを含む固形水性ゲル、それを含む組成物及び使用
CN111867547B (zh) 化妆品用颜料分散液、使用其的水系液体化妆品
KR20040066330A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H04173718A (ja) 透明な皮膜型マスカラ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KR100307803B1 (ko) 전처리 활성탄을 함유하는 수분산 제형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2421412B1 (ko) 눈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1895B1 (ko) 비누화 베이스를 포함하는 수성 네일 폴리쉬 조성물
KR102100094B1 (ko) 라텍스 폴리머를 포함하는 티슈오프 타입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578A (ko) 섬유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