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299A -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299A
KR20210054299A KR1020190140259A KR20190140259A KR20210054299A KR 20210054299 A KR20210054299 A KR 20210054299A KR 1020190140259 A KR1020190140259 A KR 1020190140259A KR 20190140259 A KR20190140259 A KR 20190140259A KR 20210054299 A KR20210054299 A KR 2021005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blood sugar
blood glucose
gateway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0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0263B1 (ko
Inventor
강성훈
Original Assignee
(주)인더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더스웰 filed Critical (주)인더스웰
Priority to KR1020190140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263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5Arrangements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 and care services, e.g. by using a telephone net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Nursing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혈당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로 보내주는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를 할 수 있는 혈당측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보내주고, 게이트웨이는 무선통신방식인 LTE 통신이나, 유선통신방식인 이더넷통신으로 서비스 플랫폼으로 전송하며, 서비스 플랫폼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혈당 데이터를 기존에 보관하고 있던 데이터와 통합하여 데이터의 이상 유무나 수치의 높고 낮음 등을 분석하여 응답할 메시지를 도출해내고, 도출된 메시지는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혈당계어댑터로 전달하면, 혈당계 어댑터는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결과를 엘이디표시기(LED Indicator)에 표시함으로써, 측정한 혈당 데이터를 서버로 보내어 데이터를 보관하게 하고, 서버가 분석한 결과를 측정자가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게 하여 측정자가 혈당 수치의 변화를 알게 하여 건강관리를 수월하게 하도록 도모해준다.

Description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ICT-based two-way communication and user blood glucose measuremen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혈당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보내주고, 게이트웨이는 무선통신방식인 LTE 통신이나, 유선통신방식인 이더넷통신으로 서비스 플랫폼으로 보내주며, 서비스 플랫폼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혈당 데이터를 기존에 보관하고 있던 데이터와 통합하여 데이터의 이상 유무나 수치의 높고 낮음 등을 분석하여 응답할 메시지를 도출해 낸 후,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혈당계 어댑터로 전달하여. 혈당계 어댑터가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엘이디표시기(LED Indicator)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혈당 관리가 필요한 사람은 병원이나 보건소에 연락하여 진료 예약을 한 후 예약된 시간에 병원이나 보건소를 직접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다. 혈당 관리 필요 자는 대부분 고연령층이 많아서 그들이 진료를 받기 위해 진료소를 직접 방문하는 것은 여간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진료소를 직접 방문하지 않고 댁내에서 스스로 혈당을 측정하고 그 데이터를 인터넷망을 통해서 병원이나 보건소에 보내고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현재 국내의 원격의료 진단의 기반이 되는 ICT 기술은 세계적인 기술이지만, 혈압, 혈당, 체중 등의 측정 데이터는 병원이나 보건소 등 데이터를 관리하는 진료소로 일방적으로 보내주기만 하고, 측정자에게 실시간으로 분석데이터를 보내 주지는 않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4320호(2016.05.16. 공개) 및 구글, 애플, IBM, 코히어로헬스 등 IT 기업에서 사용자의 지속적인 의료 모니터링을 목적으로 ICT 기술을 이용하고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지속적인 폐기능 추적기술(코히어로헬스), 스마트밴드를 이용하여 생체신호(맥박, 심박, 체온)와 환경적 요인(빛 노출, 소음 수준)을 측정 및 분석하는 소프트웨어가 개발되었다(구글). 일본의 Hitoe사에서 나노 섬유로 구성되어 생체신호(맥박, 심박) 측정이 가능한 속옷을 개발하였으며, 스마트 기기와 연동하여 ICT 기술 기반의 생체 신호 측정,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데이터 분석 통합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IT 기기를 이용한 의료데이터 관리시스템은 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올려줄 뿐이고, 올려준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분석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 주지는 않는다. 또한, 댁내에서 가지고 있는 혈당계가 하나뿐일 때, 복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면 서버에서는 사용자를 구분하여 혈당 데이터를 관리할 수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6-0054320(2016.05.16. 공개)(스마트폰을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혈당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여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무선통신 방식인 BLE(Bluetooth Low Energy)를 통해 게이트웨이로 보내주고, 게이트웨이는 무선통신방식인 LTE 통신이나, 유선통신방식인 이더넷통신으로 서비스 플랫폼으로 보내주며, 서비스 플랫폼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혈당 데이터를 기존에 보관하고 있던 데이터와 통합하여 데이터의 이상 유무나 수치의 높고 낮음 등을 분석하여 응답할 메시지를 도출해 낸 후,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혈당계 어댑터로 전달하여. 혈당계 어댑터가 수신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분석결과를 엘이디표시기(LED Indicator)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은,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계; 상기 혈당계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게이트웨이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혈당계 어댑터; 상기 혈당계 어댑터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혈당 데이터를 보관 및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시 게이트웨이로 보내주는 서비스 플랫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혈당 측정데이터를 수집하여 측정된 혈당 데이터를 혈당계어댑터, 게이트웨이를 통해 이더넷통신으로 서비스 플랫폼으로 보내주며, 서비스 플랫폼은 수신한 혈당 데이터를 기존에 보관하고, 데이터의 변화 추이, 고저 등을 분석하여 응답할 메시지를 도출해 낸 후, 게이트웨이를 통해서 혈당계 어댑터로 전달하여. 혈당계 어댑터가 수신한 응답메시지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려 줌으로써 사용자는 실시간으로 혈당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데이터의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계(10), 상기 혈당계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게이트웨이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혈당계어댑터(20), 상기 혈당계어댑터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30),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혈당 데이터를 보관,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시 게이트웨이로 보내주는 서비스 플랫폼(서버)(40), 혈당계 어댑터의 데이터 송수신 상태를 표시하는 송신표시기(501), 전원 공급 상태를 표시하는 전원표시기(502), 사용자 구분을 위해 혈당 측정시 측정자가 누르는 사용자1 버튼(503), 사용자2 버튼(504)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사용자 구분을 위해 2개의 버튼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구분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더 많은 버튼을 부가하거나 다른 멀티 스위치를 이용하여 많은 수의 사용자를 구분할 수 있음은 당해 분야의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혈당을 측정하고자 하는 사람은 혈당계(10)를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혈당계(10)는 채혈기, 시험지 등을 이용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장치이다. 측정자는 시험지를 혈당계에 꽂고, 채혈기를 이용하여 손가락 끝의 적당한 곳에서 채혈 침으로 채혈한 후 시험지에 대면 시험지가 혈을 빨아들여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값을 전면의 엘시디(LCD) 화면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측정자가 혈당계 어댑터의 잭을 혈당계에 연결하면 혈당계는 잭이 연결된 것을 인식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자동으로 혈당계 어댑터(20)로 보낸다. 측정자는 송신표시기(501)로 데이터가 혈당계 어댑터(20)로 전달된 것을 확인한 후 사용자1 버튼(503)이나 사용자2 버튼(504)을 누른다. 여기서, 혈당을 측정하는 것과 버튼을 누르는 것은 순서가 바뀌어도 된다.
이어, 혈당계 어댑터(20)는 사용자1 버튼(503)이나 사용자2 버튼(504)이 눌러진 것을 인식하면 수신된 혈당 데이터를 무선통신방식을 이용하여 게이트웨이(30)로 보낸다. 게이트웨이(30)는 항시 전원이 켜져 있고 혈당계 어댑터(2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수신대기 상태로 있게 된다. 게이트웨이(30)는 혈당계 어댑터(20)로부터 측정데이터가 수신되면 데이터 오류 등을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인터넷망을 통해 서비스 플랫폼(40)에 자동으로 전달한다.
서비스 플랫폼(40)에서는 게이트웨이(3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보관하고, 기존에 보관하고 있는 데이터와 통합하여 분석한다. 직전에 들어온 데이터와 비교하여 높은지, 낮은지 또는 미리 설정된 기준치를 기초로 측정치가 위험한 수치인지, 아닌지 등을 판단하고 데이터들의 변화 추이 등을 분석하여 혈당계 어댑터(20)에 전달할 응답메시지를 도출해 낸다. 도출된 응답메시지는 실시간으로 게이트웨이(30)를 통해 혈당계 어댑터(20)에 전달한다.
혈당계 어댑터(20)는 혈당을 측정하여 게이트웨이(30)를 거쳐 서비스 플랫폼(40)으로 데이터가 전달된 후 실시간으로 응답메시지를 받게 된다. 수신된 응답메시지를 분석하여 데이터 정상 전달 유무, 측정데이터의 변화 상태 등을 송신표시기(501)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 관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건강관리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절차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설명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 혈당계
20: 혈당계 어댑터
30: 게이트웨이
40: 서비스 플랫폼(서버)
501: 송신표시기(LED)
502: 전원표시기(LED)
503: 사용자1 버튼
504: 사용자2 버튼

Claims (2)

  1. 혈당을 측정하는 혈당계;
    상기 혈당계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게이트웨이로 무선통신방식으로 전달하는 혈당계 어댑터;
    상기 혈당계 어댑터로부터 혈당 데이터를 받아 인터넷망을 통해 서버로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전달받은 혈당 데이터를 보관, 분석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시 게이트웨이로 보내주는 서비스 플랫폼(서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서, 상기 혈당계 어댑터에 복수의 사용자 버튼을 구비하여 하나의 혈당계로 복수의 사용자가 혈당을 측정하고 측정데이터를 별도로 관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1020190140259A 2019-11-05 2019-11-05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102470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59A KR102470263B1 (ko) 2019-11-05 2019-11-05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0259A KR102470263B1 (ko) 2019-11-05 2019-11-05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299A true KR20210054299A (ko) 2021-05-13
KR102470263B1 KR102470263B1 (ko) 2022-11-24

Family

ID=7591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0259A KR102470263B1 (ko) 2019-11-05 2019-11-05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2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385B1 (ko) * 2021-10-21 2022-08-08 김지나 채혈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364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2015171542A (ja) * 2011-03-31 2015-10-01 テルモ株式会社 血糖値データ転送装置及び血糖値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KR20160054320A (ko) 2014-11-06 2016-05-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364A (ko) * 2006-10-19 2008-04-23 주식회사 케이티 댁내 통신망을 이용한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JP2015171542A (ja) * 2011-03-31 2015-10-01 テルモ株式会社 血糖値データ転送装置及び血糖値データ転送プログラム
KR20160054320A (ko) 2014-11-06 2016-05-1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혈당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385B1 (ko) * 2021-10-21 2022-08-08 김지나 채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0263B1 (ko) 202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3166B1 (ko) 건강 상태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EP2574953A1 (en) Method for providing remote health monitoring data and associated system
Hameed et al. Health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arable sensors and cloud platform
US20170209075A1 (en) Measuring device and system for comprehensive screening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N104392404A (zh) 远程高血压管理平台及实现方法
KR101846845B1 (ko) 사물인터넷 기반 독거노인 관리 시스템
KR100883744B1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054299A (ko)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KR20160103571A (ko)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157790A1 (en)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KR20210020335A (ko) 펄스옥시미터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4283900A (zh) 一种测试心率的移动通讯终端
Massot et al. On designing an ubiquitous sensor network for health monitoring
TW201313185A (zh) 健康管理系統
KR20170108266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변량 측정 및 검뇨 방법
CN101518465A (zh) 家庭健康监视系统
CN206007230U (zh) 智能型生理信息检测系统
KR20200056175A (ko) Aal기반 헬스케어 서비스시스템
TWM456794U (zh) 病房雲端系統
KR101645239B1 (ko) 생활 건강을 위한 실감미디어 기반의 원격관리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4854A (ko) 혈당량 분석 기능을 갖는 휴대용 혈액 진단기 및 이를 포함하는 당뇨 관리시스템
CN106256315A (zh) 一种腕式综合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CN107306285A (zh) 一种基于居家健康监测的物联网服务系统
KR20200079406A (ko) Wpan을 기반으로 하는 홈 헬스 케어 시스템
CN105956403A (zh) 大众健康服务系统及其实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