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385B1 - 채혈기 - Google Patents

채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385B1
KR102430385B1 KR1020210141149A KR20210141149A KR102430385B1 KR 102430385 B1 KR102430385 B1 KR 102430385B1 KR 1020210141149 A KR1020210141149 A KR 1020210141149A KR 20210141149 A KR20210141149 A KR 20210141149A KR 102430385 B1 KR102430385 B1 KR 10243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forming part
unit
coupling
bl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나
김현정
Original Assignee
김지나
김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나, 김현정 filed Critical 김지나
Priority to KR1020210141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385B1/ko
Priority to KR1020220024330A priority patent/KR102430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61B5/15134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 A61B5/15136Bladeless capillary blood sampling devices, i.e. devices for perforating the skin in order to obtain a blood sample but not using a blade, needle, canula, or lancet, e.g. by laser perforation, suction or pressurized fluids by use of radiation, e.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58Strips for collecting blood, e.g. absorb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847Communication to or from blood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data related to laboratory analysis, e.g. patient specimen analysi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rmat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혈기로서, 전면에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화면출력부; 상단에 위치하여 혈액을 검사하는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 상기 전원 버튼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며 '혈당측정모드, 체온측정모드 또는 채혈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버튼, 상기 모드 버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드 버튼에 의해 채혈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채혈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버튼 및 레이저 채혈을 수행하도록 입력하는 레이저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강도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채혈 강도에 따라 맞닿은 사용자의 채혈부위를 레이저 채혈하는 채혈부; 및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모드 버튼에 의해 '체온측정모드'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채혈기{Blood collector}
본 발명은 채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혈당 측정기들은 바늘을 이용하여 손가락에 상처를 내어 채혈을 하며, 고분자를 이용하여 효소를 전극 표면에 고정한 센서 부위에 혈액을 흡수시켜 혈당량을 측정한다.
당뇨병 환자들은 주기적인 혈당 측정을 통해서 정상적인 혈당치 (글루코오스 농도 약 100mg/dl)를 유지하는 것이 상당히 중요한데 혈당치 관리 과정에서 큰 부담을 가지게 되어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한 혈당 측정 장치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하여 따로 휴대하여야 하며, 자신의 혈당 측정 결과를 저장하여 관리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44930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극저통 미세 레이저로 통층과 2차 감염 우려가 없으며, 바늘 구입이 필요없어 비용과 의료 폐기물 걱정이 없는 채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전면에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화면출력부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는, 상단에 위치하여 혈액을 검사하는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 상기 전원 버튼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며 '혈당측정모드, 체온측정모드 또는 채혈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버튼, 상기 모드 버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드 버튼에 의해 채혈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채혈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버튼 및 레이저 채혈을 수행하도록 입력하는 레이저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강도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채혈 강도에 따라 맞닿은 사용자의 채혈부위를 레이저 채혈하는 채혈부; 및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모드 버튼에 의해 '체온측정모드'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면출력부는, 충전량, 채혈 강도, 체온 또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검사 완료된 혈액의 혈당값이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혈기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포함하는 혈당 정보를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혈당에 따른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채혈기와 통신하여 상기 채혈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혈당 정보에 포함된 혈당값의 수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주의사항을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기록저장부; 상기 혈당 정보에 따라 현재 혈당값에 따른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검진부; 상기 분석검진부에서 분석한 검진 경과와 현 상태를 저장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사용자별 혈당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혈당 정보를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인쇄물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인쇄 모드 또는 단말기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출력 모드 중 인쇄 출력 모드가 입력되는 경우, 내장된 용지에 상기 건강 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지지부는, 'H'빔의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 부위가 상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타측에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2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4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홈을 구비한 결합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지지부재가 설치된 반대측 측면에 배치되는 서브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지지부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압을 완충하도록 맞닿는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상호 대칭되게 계단 형태로 가공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끼워지도록 역'T'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형성부;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돌출부;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형성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홈; 및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타측 계단 형태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너비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정면상 전면이 개방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결합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충격 완화에 의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동 안내 및 하중 분산 지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일측 부위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측 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씩 가공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은, 전면에 전면에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화면출력부가 구비되어 있는 채혈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은, 상기 채혈기와 통신하여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포함하는 혈당 정보를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혈당에 따른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키오스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채혈기는, 상단에 위치하여 혈액을 검사하는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부; 충전량, 채혈 강도, 체온 또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검사 완료된 혈액의 혈당값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 상기 전원 버튼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며 '혈당측정모드, 체온측정모드 또는 채혈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버튼, 상기 모드 버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드 버튼에 의해 채혈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채혈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버튼 및 레이저 채혈을 수행하도록 입력하는 레이저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강도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채혈 강도에 따라 맞닿은 사용자의 채혈부위를 레이저 채혈하는 채혈부; 및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모드 버튼에 의해 '체온측정모드'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채혈기와 통신하여 상기 채혈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혈당 정보에 포함된 혈당값의 수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주의사항을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기록저장부; 상기 혈당 정보에 따라 현재 혈당값에 따른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검진부; 상기 분석검진부에서 분석한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저장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사용자별 혈당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혈당 정보를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키오스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인쇄 모드 또는 단말기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출력 모드 중 인쇄 출력 모드가 입력되는 경우, 내장된 용지에 상기 건강 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지지부는, 'H'빔의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 부위가 상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타측에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2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4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홈을 구비한 결합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지지부재가 설치된 반대측 측면에 배치되는 서브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지지부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압을 완충하도록 맞닿는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상호 대칭되게 계단 형태로 가공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끼워지도록 역'T'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형성부;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돌출부;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형성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홈; 및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타측 계단 형태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너비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정면상 전면이 개방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결합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충격 완화에 의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동 안내 및 하중 분산 지지,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일측 부위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측 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씩 가공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채혈기는 극저통 미세 레이저로 통층과 2차 감염 우려가 없으며, 바늘 구입이 필요없어 비용과 의료 폐기물 걱정이 없다.
또한, 채혈기와 통신하는 관리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여 제공함으로 사용자는 비교적 간편하게 자신의 단말기 또는 인쇄물을 통해 건강 관리를 할 수 있다.
또한, 키오스크 모듈의 하단에는 완충 효능을 갖는 본체지지부를 구비함으로서 열에 의한 신축이나 외력에 의한 길이 방향 이동과, 외력에 의한 측방향 등에 대해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어 더욱 안전하게 키오스크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체지지부의 내부에 위치한 내부완충모듈은 간단한 체결구조로 조립이 쉽고, 내구성이 좋으며, 지지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지지부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지지부재 또는 본체지지부의 파손에 따른 교체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형성부가 노후된 경우에는 승강부에 체결된 중앙형성부만 손쉽게 교체할 수 있고, 승강부가 타원으로 형성됨으로서 빈번한 외압에 따른 완충작용으로 승강부의 상하이동이 많은 경우에도 승강부는 회전되지 않고, 또한 유격됨이 없이 지속적인 상하이동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압 발생 시 프레임내부의 공기가 압축되어 승강부의 일측에 형성된 이물질 제거홀을 통해 중앙형성부로 공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중앙형성부에 부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미만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미만,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100)는 스트립 삽입부(110), 화면출력부(130), 조작부(150), 채혈부(170) 및 체온측정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트립 삽입부(110)는 상단에 위치하여 혈액을 검사하는 혈당 측정기 검사지를 의미하는 스트립(300)이 삽입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30)는 충전량, 채혈 강도, 체온 또는 상기 스트립(300)에 의해 검사 완료된 혈액의 혈당값이 출력될 수 있다.
조작부(15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157), 상기 전원 버튼(157)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며 '혈당측정모드, 체온측정모드 또는 채혈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버튼(151), 상기 모드 버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드 버튼에 의해 채혈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채혈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버튼(153, 155) 및 레이저 채혈을 수행하도록 입력하는 레이저 버튼(159)을 포함할 수 있다.
채혈부(170)는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150)의 강도 버튼(153, 155)에 의해 입력되는 채혈 강도에 따라 맞닿은 사용자의 채혈부위를 레이저 채혈할 수 있다.
체온측정부(190)는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150)의 모드 버튼(151)에 의해 '체온측정모드'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 버튼(157)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10)은 채혈기(100), 관리서버(500) 및 키오스크 모듈(700)을 포함할 수 있다.
채혈기(10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며 설명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관리서버(500)는 채혈기와 통신하여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포함하는 혈당 정보를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혈당에 따른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관리서버(500)는 통신부(510), 기록저장부(530), 분석검진부(550), 정보제공부(570) 및 데이터베이스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채혈기(100)와 통신하여 상기 채혈기(100)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기록저장부(530)는 통신부(510)에 의해 수신된 상기 혈당 정보에 포함된 혈당값의 수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주의사항을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분석검진부(550)는 혈당 정보에 따라 현재 혈당값에 따른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
정보제공부(570)는 분석검진부(550)에서 분석한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저장할 수 있고, 후술하는 데이터베이스부(590)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한 정보와 상기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590)는 사용자별 혈당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혈당 정보를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키오스크 모듈(700)은 디스플레이부(710), 송수신부(730), 출력부(750), 본체부(770) 및 본체지지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710)는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인쇄 모드 또는 단말기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730)는 관리서버(500)와 통신하여 건강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부(710)로 입력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출력부(750)는 디스플레이부(710)를 통해 출력 모드 중 인쇄 출력 모드가 입력되는 경우, 내장된 용지에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인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체부(770)는 디스플레이부(710), 송수신부(730) 및 출력부(750)로 전원을 공급하고, 디스플레이부(710)에 제공되는 화면 및 출력부(750)의 출력 여부를 제어할 수 있고, 내장된 용지의 잔여량에 따라 용지의 충전 여부를 디스플레이부(710)로 출력할 수도 있다.
본체지지부(790)는 본체부(770)의 하단에 위치하여 본체부(770)를 지지할 수 있으며, 2개의 지지부재(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를 연결하여 결합할 때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압과, 열 또는 기타 외력에 늘어나는 신축을 완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지지부(790)의 하단에는 본체지지부(790)를 전후좌우로 이동 가능한 바퀴 등의 이동부재(780)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모듈(700)의 본체지지부(790)는 2개의 지지부재들이 맞닿는 측부들을 상호 대칭되게 계단 형태로 가공하고, 일측 지지부재의 계단 형태 부위에 제1 결합형성부(7913)를 장착하면서 타측 지지부재의 계단 형태 부위에 제2 결합형성부(7923)를 장착하며, 제1 결합형성부(7913)의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의 돌출부(7914)를 길이 방향으로 장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7914)는 일부위가 제1 결합형성부(7913)로부터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위가 제2 결합형성부(7923)의 하면에 닿음으로써, 지지부재가 충격에 의한 측방향 또는 신축에 의한 길이 방향으로 움직일 때 마찰력이 발생하는 접촉부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는 계단 형태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 결합형성부(7913) 또는 제2 결합형성부(7923)가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측방 외압을 완충하기 위한 본체지지부에서는 둥근 형상의 돌출부(7914)가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됨으로써, 외압에 의해 움직이는 지지부재의 측방 이동을 원활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신축을 완충하기 위한 본체지지부에서는 돌출부(7914)가 지지부재의 폭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신축 변형 또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 등의 지지부재 이동을 원활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7914)는 제1 결합형성부(7913)에 장착되어 제2 결합형성부(7923)와 최소로 접촉하면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상의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고, 다른 예로 구슬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지지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2개의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결합지지부재(793)을 배치한 후, 양측 지지부재에 각 볼팅 체결이나 나사 체결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본체지지부(790)로, 제1 지지부재(791), 제2 지지부재(792), 결합지지부재(793)과 서브지지부재(79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부재(791)는 일정 길이를 갖는 지지부재로, "H"빔 일 수 있고, 중공이거나 속이 찬 원형 또는 사각형을 포함한 다각형의 파이프 형태의 빔일 수도 있다. 이 제1 지지부재(791)는 일측 부위가 측면상 대략 높이에 대해 상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계단 형태로 인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계단형성부(7911), 제1 계단형성부(7911)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 계단형성부(791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3 계단형성부(7912)는 수직 또는 경사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부재(791)는 제1 결합형성부(7913), 돌출부(7914), 제1 결합홈(7915)과 제2 결합홈(791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결합형성부(7913)는 후술되는 제2 지지부재(792)의 제2 결합형성부(7923)에 끼워지는 부재로, 제1 계단형성부(7911)의 하면에 배치되고, 제1 결합홈(7915)을 관통하여 체결되는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체결부재에 의해 제1 지지부재(79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제1 결합형성부(7913)는 제2 결합형성부(7923)에 끼워져 상방 또는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해 정면상 대략 역"T"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결합형성부(7913)의 하부는 대략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의 돌출부(7914)가 형성되어지고, 돌출부(7914)의 일부위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정면상 하부 일부위가 개방된 원형 형태로 가공된 원형홈(7917)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914)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제1 지지부재(791)이 제2 지지부재(792)에 대해 충격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이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제1 결합형성부(7913)과 후술된 제2 결합형성부(7923) 간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7914)는 제1 지지부재(791)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제1 결합형성부(7913)의 원형홈(7917)에 억지끼움 또는 헐거운 끼움으로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또, 제1 결합홈(7915)은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결합부재가 제1 지지부재(791)를 관통하여 제1 결합형성부(7913)와 결합될 수 있도록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결합홈(7916)은 결합지지부재(793)의 제3 결합홈(7931)을 관통한 볼트나 너트 등을 포함한 결합부재가 체결 되도록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에 가공될 수 있다. 이 제2 결합홈(7916)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792)는 제1 지지부재(791)의 일측부와 연결하여 결합되는 부재로, 제1 지지부재(79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일 수 있고, 이 외에 제1 지지부재(791)와 결합될 수 있는 형태이면 전혀 다른 형태여도 무방하다.
이 제2 지지부재(792)는 제1 지지부재(791)와 결합되는 일측부에 측면상 대략 높이에 대해 하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제1 지지부재(791)에 가공된 계단 형태에 대응하여 상호 맞춤 결합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이 계단 형태로 인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계단형성부(7921), 제2 계단형성부(7921)의 양측에 수직으로 제4 계단형성부(7922)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4 계단형성부(7922)는 수직 또는 경사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부재(792)는 제2 계단형성부(7921)의 상면에 고정된 제2 결합형성부(7923)와, 결합지지부재(793)의 제3 결합홈(7931)이 결합(체결)되는 제2 결합홈(7916)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결합홈(7916)은 제1 지지부재(791)에 가공된 제2 결합홈(7916)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형성부(7923)는 제1 결합형성부(7913)가 수평방향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가공된 부재이며, 제2 결합형성부(7923)는 제1 결합형성부(7913)가 역"T"자로 형성되는 경우, 정면상 전면(前面)이 개방되고, 상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제2 결합형성부(7923)의 폭은 제2 결합형성부(7923)와 제1 결합형성부(7913)가 끼워진 상태에서 양측 측면들 간에는 임의의 소정 폭을 갖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고, 이는 측방에서 외력이 가압되면 제1 지지부재(791)가 제2 지지부재(792)에 대해 약간의 유동이 발생하면서 완충시키기 위함이다.
물론, 제2 결합형성부(7923)의 내면에는 제2 결합형성부(7923)의 하부 일부위만 접촉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가 제1 결합형성부(7913), 돌출부(7914)와 제2 결합형성부(7923)를 통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지지부재(791) 또는 제2 지지부재(792)에 측방의 외압이 가해지면, 제2 결합형성부(7923) 내의 제1 결합형성부(7913)가 외압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외압을 완충시키게 될 수 있다.
이때, 제1 결합형성부(7913)의 이동시 마찰력이 돌출부(7914)로 인해 최소화되어 보다 부드러운 이동이 보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사용 예에서는 제1 지지부재(791)의 일측부가 계단 형태가 아닌 경우에도 제1 지지부재(791)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제1 결합형성부(7913)를 설치하고, 제2 지지부재(792)의 일측면에 연장하듯 제2 결합형성부(7923)를 설치하여 제1 결합형성부(7913)를 제2 결합형성부(7923)에 삽입하여 끼워 장착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돌출부(7914)의 배치 및 기능은 상술된 바와 같다.
결합지지부재(793)는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의 일면을 연결하여 장착되어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120) 간의 끼움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재이다.
이 결합지지부재(793)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에 가공된 제2 결합홈(7916)과 볼트나 너트를 포함한 결합(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가공된 제3 결합홈(7931)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결합홈(7931)은 제1 지지부재(791)측 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씩 또는 적어도 한 쌍씩 가공되고, 결합지지부재(793)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이다.
이로 인해,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의 길이 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측방의 외압에 의해 제1 지지부재(791)가 제2 지지부재(792)에 대해 측방으로 이동할 때 이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물론, 제3 결합홈(7931)은 결합지지부재(793)를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에 체결하도록 가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결합홈(7931)은 제1 지지부재(791)측 부위에만 가공될 수도 있고, 이때 제2 지지부재(792)측 부위에 적어도 1개의 일반 체결구가 가공되면서 결합지지부재(793)가 제2 지지부재(792)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지지부재(794)는 제1 지지부재(791)와 제2 지지부재(792)가 장착된 상태에서 결합지지부재(793)가 설치된 반대측 측면에 배치되어 충격완화 또는 신축에 의한 제1 지지부재(791) 또는 제2 지지부재(792)의 이동시, 이동을 안내 및 하중을 분산 지지하고,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서브지지부재(794)는 일단측 부위가 제2 지지부재(792)에 고정되어 제1 지지부재(791)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서브지지부재(794)는 제1 지지부재(791)에 고정되어 결합지지부재(793)측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결합지지부재(793)와 제1 지지부재(791)가 체결되면 서브지지부재(794)가 제1 지지부재(791)의 일면, 일례로 하면과 접촉하여 제2 지지부재(792)에 대한 제1 지지부재(791)의 처짐 방지를 조력하고, 하중을 분산 지지하며, 위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크 모듈(700)의 하단에 위치한 본체지지부(790)의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의 사이에는 내부완충모듈(600)이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내부완충모듈(600)은 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끼움 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프레임(610), 프레임의 내측홈(612)상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되는 승강부(620), 승강부(620)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630), 프레임(610)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는 하부형성부(640)와, 승강부(620)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중앙형성부(6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610) 상부면에 형성된 상단형성부(615)는 중앙형성부(650)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돌설된 돌설안내부재(616)가 형성되고, 승강부(62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완충모듈(600)을 설명하면, 프레임(610)은 내측 하부 일측에 제1 나사산(613)이 형성된 내측홈(612)상의 중공의 외측형성부(611)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외측형성부(611)의 상부면에는 중앙형성부(650)의 하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중앙이 절개되고, 외부 양단은 중앙형성부(650)의 파손방지를 위해 중앙형성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돌설된 돌설안내부재(616)가 형성된 상단형성부(615)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설안내부재(616)는 고강도의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형성부(61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형성부(615)의 하부면은 승강부(620)의 상부 외주면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승강부(620)는 외측형성부(611)의 하부 내측홈을 통해 삽입되어 후술하는 이물질 제거홀(626)의 상부홀(627)이 일측에 형성된 상부면의 양단(621)이 외측형성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단형성부의 하부면(617)에 접하도록 내설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에는 중앙형성부(650)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부(651)가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622)이 형성되고, 삽입홈(622)의 일측에는 중앙형성부(650)가 체결되도록 체결홈(62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면에는 스프링부(630)의 상부면이 삽입되는 제1 스프링 삽입홈(624)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환 상의 외주홈(625)에는 밀폐부재(628)가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62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타원 형상의 승강부(620)가 상하 이동되는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만큼 외측형성부(611)의 내측의 내측홈(612)상의 상부도 타원 형상의 타원부(614)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타원 형상의 타원부(614)는 승강부(620)의 상면부터 하부형성부(640)의 상면까지의 공간이다.
또한, 승강부(620)의 상부 양단(621)에는 승강부(620)가 프레임(610) 하방으로 이동시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중앙형성부(650)의 일측면으로 토출되어 중앙형성부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형성부(650)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진 이물질 제거홀(626)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부(630)는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프링이 사용되며, 외측형성부(611)의 내측홈(612)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부면이 승강부의 제1 스프링 삽입홈(624)에 삽입되어 접하도록 내설될 수 있다.
하부형성부(640)는 외측형성부(611)의 내측홈(612)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어 프레임의 제1 나사산(613)과 대응하는 상부 외주면에 제2 나사산(641)이 형성되어 프레임 내측 외주면의 하부 제1 나사산(613)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면의 중앙에는 스프링부(630)의 하부면이 삽입되어 접하는 제2 스프링 삽입홈(642)이 형성될 수 있다. 중앙형성부(650)는 승강부(620)의 상부 삽입홈(622)에 하부면 삽입부(651)가 삽입되어 체결부재(653)로 체결도록 반구형의 몸체 상단면의 일측에 체결부재 삽입홈(65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완충모듈은 프레임의 외측형성부(611)는 2개의 지지부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외압에 의하여 제1 지지부재와 제2 지지부재가 사이에 위치한 내부완충모듈(600)의 중앙형성부(650)를 압입하게 될 수 있다.
중앙형성부 상부면을 압입하는 힘에 의해 하부에 구비된 승강부(6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내설된 스프링부(630)가 압축되고, 동시에 승강부(620)의 외주면상의 밀폐부재(628)가 외측형성부(611)의 내주면을 따라 밀폐하며 하강되면서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고, 동시에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승강부(620)의 이물질 제거홀(626)의 상부홀(627)을 통해 중앙형성부의 외측 방향으로 토출되어 외측에 묻은 이물질이 청소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승강부(620)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형성부(611)의 타원 형상의 타원부(614)를 따라 수없이 상하이동이 반복되더라도 유격없이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외압이 가해지는 것이 중지되면, 동시에 압축된 스프링부(630)가 복원하고 승강부(620)가 상승하면서 승강부의 외주면상의 밀폐부재(628)가 내주면을 따라 밀폐하며 상승되면서 유입된 이물질을 상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00: 채혈기

Claims (3)

  1. 전면에 혈당 수치를 출력하는 화면출력부가 구비되어 있는, 채혈기에 있어서,
    상단에 위치하여 혈액을 검사하는 스트립이 삽입되는 스트립 삽입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버튼, 상기 전원 버튼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며 '혈당측정모드, 체온측정모드 또는 채혈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버튼, 상기 모드 버튼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여 상기 모드 버튼에 의해 채혈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채혈 강도를 조절하는 강도 버튼 및 레이저 채혈을 수행하도록 입력하는 레이저 버튼을 포함하는 조작부;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강도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채혈 강도에 따라 맞닿은 사용자의 채혈부위를 레이저 채혈하는 채혈부; 및
    후면에 위치하여 상기 조작부의 모드 버튼에 의해 '체온측정모드'가 입력된 후 상기 전원 버튼이 입력되는 경우, 소정의 거리에 있는 사용자의 체온을 측정하는 체온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충전량, 채혈 강도, 체온 또는 상기 스트립에 의해 검사 완료된 혈액의 혈당값이 출력하고,
    상기 채혈기는,
    사용자의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포함하는 혈당 정보를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별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 혈당에 따른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와 통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채혈기와 통신하여 상기 채혈기에 저장된 사용자의 혈당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혈당 정보에 포함된 혈당값의 수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주의사항을 의료기관으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하는 기록저장부;
    상기 혈당 정보에 따라 현재 혈당값에 따른 검진 결과와 현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검진부;
    상기 분석검진부에서 분석한 검진 경과와 현 상태를 저장하여 상기 건강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정보제공부; 및
    사용자별 혈당 정보를 분류하고, 상기 혈당 정보를 혈당 측정 기준, 혈당 측정 시간, 혈당 측정 날짜 및 혈당값을 사용자별로 누적하여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사용자에게 인쇄물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 모듈과 통신하고,
    상기 키오스크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개인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인쇄 모드 또는 단말기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화면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관리서버와 통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상기 출력 모드 중 인쇄 출력 모드가 입력되는 경우, 내장된 용지에 상기 건강 정보를 인쇄하여 제공하는 출력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송수신부 및 상기 출력부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는 본체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건강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H'빔의 형태로 형성되며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측 부위가 상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1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3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의 일측과 연결하여 결합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타측에 대응되도록 하방향으로 높이가 감소하는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수평으로 형성되는 제2 계단형성부 및 상기 제2 계단형성부의 양측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4 계단형성부를 포함하는 제2 지지부재;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와 체결되도록 형성된 제3 결합홈을 구비한 결합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지지부재가 설치된 반대측 측면에 배치되는 서브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측방에서 가해지는 외압을 완충하도록 맞닿는 일측부 또는 타측부가 상호 대칭되게 계단 형태로 가공된 제1 지지부재 및 제2 지지부재를 연결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 지지부재는,
    체결부재에 의해 장착되며 상기 제1 계단형성부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지지부재에 끼워지도록 역'T'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결합형성부;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하단 방향으로 둥근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장착된 돌출부;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형성부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1 결합홈; 및
    볼트 또는 너트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관통하여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타측 계단 형태의 부위에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결합형성부의 너비에 맞추어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형성부가 내부에 수용 가능하도록 정면상 전면이 개방되며 상면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제2 결합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에 형성된 상기 제2 결합홈과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상기 제3 결합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제2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가 충격 완화에 의하여 이동되는 경우, 이동 안내 및 하중 분산 지지, 결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서브지지부재는,
    일측 부위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상기 제1 지지부재 측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측 부위에 양측으로 하나씩 가공 형성되어 상기 결합지지부재의 폭 방향으로 길이가 긴 슬롯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3 결합홈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2 지지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본체지지부는,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사이에 내부완충모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내부완충모듈은,
    상기 제1 지지부재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내부 공간에 끼움 결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홈 상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되며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승강부;
    상기 승강부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스프링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나사 체결되는 하부형성부; 및
    상기 승강부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체결되는 중앙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부면에 형성된 상단형성부가 상기 중앙형성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돌설된 돌설안내부재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 일측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내측홈 상의 중공의 외측형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형성부는,
    상부면에 상기 중앙형성부의 하부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중앙이 절개되며, 외부 양단은 상기 중앙형성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상기 중앙형성부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돌설된 상기 돌설안내부재가 형성된 상기 상단형성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상단형성부는,
    하부면이 상기 승강부의 상부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하부 내측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부면의 양단이 상기 외측형성부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상단형성부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내설되고,
    상부면에는 상기 중앙형성부의 하부면에 형성된 삽입부가 삽입 체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는 상기 중앙형성부가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의 상부면이 삽입되는 제1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형성된 환 상의 외주홈에는 밀폐부재가 체결되고,
    상기 외측형성부는,
    타원 형상의 상기 승강부가 상하 이동되는 거리와 대응하는 길이만큼 상기 내측홈 상의 상부도 타원 형상의 타원부로 형성되고,
    상기 타원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면부터 상기 하부형성부의 상면까지의 공간을 의미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부 양단에 상기 프레임의 하방으로 이동 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중앙형성부의 일측면으로 토출되어 상기 중앙형성부에 묻은 이물질이 제거되도록 상기 중앙형성부의 일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진 이물질 제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상기 내측홈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고, 상부면이 상기 승강부의 제1 스프링 삽입홈에 삽입되어 접하도록 내설되고,
    상기 하부형성부는,
    상기 외측형성부의 상기 내측홈의 하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프레임의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상부 외주면에 제2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내측 외주면의 하부 제1 나사산에 나사 체결되고,
    상부면의 중앙에는 상기 스프링부의 하부면이 삽입되어 접하는 제2 스프링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형성부는,
    상기 승강부의 상부 삽입홈에 하부면 삽입부가 삽입되어 체결부재로 체결되도록 반구형의 몸체 상단면의 일측에 체결부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완충모듈은,
    상기 중앙형성부 상부면을 압입하는 힘에 의해 하부에 구비된 상기 승강부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내설된 상기 스프링부가 압축되고, 동시에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상의 상기 밀폐부재가 상기 외측형성부의 내주면을 따라 밀폐하며 하강되면서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를 압축하고, 상기 프레임 내부의 공기가 상기 승강부의 상기 이물질 제거홀의 상부홀을 통해 상기 중앙형성부의 외측 방향으로 토출되어 외측에 묻은 이물질이 청소되고,
    상기 내부완충모듈은,
    외압이 가해지는 것이 중지되면, 동시에 압축된 상기 스프링부가 복원하고, 상기 승강부가 상승하면서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상의 밀폐부재가 내주면을 따라 밀폐하며 상승되면서 유입된 이물질을 상부로 배출하는, 채혈기.

  2. 삭제
  3. 삭제
KR1020210141149A 2021-10-21 2021-10-21 채혈기 KR10243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49A KR102430385B1 (ko) 2021-10-21 2021-10-21 채혈기
KR1020220024330A KR102430379B1 (ko) 2021-10-21 2022-02-24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149A KR102430385B1 (ko) 2021-10-21 2021-10-21 채혈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330A Division KR102430379B1 (ko) 2021-10-21 2022-02-24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385B1 true KR102430385B1 (ko) 2022-08-08

Family

ID=8282658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149A KR102430385B1 (ko) 2021-10-21 2021-10-21 채혈기
KR1020220024330A KR102430379B1 (ko) 2021-10-21 2022-02-24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330A KR102430379B1 (ko) 2021-10-21 2022-02-24 채혈기와 연동되는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03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582224B (zh) * 2024-01-19 2024-04-02 佳木斯大学 一种医疗病理检测用批量式采血器及使用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87A (ko) * 2005-04-08 2006-10-13 (주)아이소텍 무통 레이저 채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20080103503A (ko) * 2006-03-22 2008-11-27 파나소닉 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성분 농도 측정 장치
KR20110030383A (ko) * 2009-09-15 2011-03-23 김종환 비접촉식 무통 피부 천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혈당측정장치
KR101593885B1 (ko)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KR102144930B1 (ko) 2018-03-09 2020-08-14 (주)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KR20210054299A (ko) * 2019-11-05 2021-05-13 (주)인더스웰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882B1 (ko) 2011-11-28 2013-07-12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정보 연동을 통한 혈당 관리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87A (ko) * 2005-04-08 2006-10-13 (주)아이소텍 무통 레이저 채혈장치 및 이를 이용한 혈당측정장치
KR20080103503A (ko) * 2006-03-22 2008-11-27 파나소닉 주식회사 바이오 센서 및 성분 농도 측정 장치
KR20110030383A (ko) * 2009-09-15 2011-03-23 김종환 비접촉식 무통 피부 천공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혈당측정장치
KR101593885B1 (ko) * 2015-08-31 2016-02-12 표옥근 충격 및 신축 완충 결합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완충형 스카이워크
KR102144930B1 (ko) 2018-03-09 2020-08-14 (주)라메디텍 레이저 채혈기
KR20210054299A (ko) * 2019-11-05 2021-05-13 (주)인더스웰 Ict기반의 양방향 통신과 사용자 관리가 가능한 혈당측정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379B1 (ko) 202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0385B1 (ko) 채혈기
CA2443318C (en) Integrated lancet and bodily fluid sensor
JP6407715B2 (ja) 薬剤用量レジメンを経時的に最適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1035839B1 (ko) 일체로된 랜스를 가지는 센서
US6428488B1 (en) Dual riser/dual capillary viscometer for newtonian and non-newtonian fluids
CA2303010A1 (en) Integrated system including medication delivery pen, blood monitoring device, and lancer
US20070191696A1 (en) Microneedle arrays with atr sensor
CN101727540A (zh) 用以监测药物输送装置操作的方法,电子模组及药物输送系统
CA2447025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in vivo monitoring of a localized response via a radiolabeled analyte in a subject
US20020014111A1 (en) Single riser/single capillary blood viscometer using mass detection or column height detection
WO1995013524A2 (de) Urinmessgerät und verfahren zum ermitteln der dichte von urin
CN102574622A (zh) 用于测试元件的储存容器
CN102639065B (zh) 光测量系统、用于该系统的便携式光测量装置及康复计划方法
KR100249588B1 (ko) 생체 신호 검출 장치
CN101389270B (zh) 提供针对探针的恒定接触压力的机构
US7789829B2 (en) Sensor system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blood
EP2834620A1 (en) Noninvasive measurement of analyte concentration using a fiberless transflectance probe
EP1134561B1 (en) Optical volume sensor
JP3767449B2 (ja) 無侵襲生体計測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血糖測定装置
CN111781368B (zh) 一种便携式血糖计及其使用方法
Rais-Bahrami et al. Continuous blood gas monitoring using an in-dwelling optode method: comparison to intermittent arterial blood gas sampling in ECMO patients
CN101563606A (zh) 化验传感器盒
RU2096985C1 (ru) Датчик с низким уровнем шума и способ регистрации энергии
US20180338747A1 (en) Fluid output measurement device and method
KR20190093942A (ko) 뇌혈류의 산소포화도 농도 측정을 위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