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4108A -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4108A
KR20210054108A KR1020190139698A KR20190139698A KR20210054108A KR 20210054108 A KR20210054108 A KR 20210054108A KR 1020190139698 A KR1020190139698 A KR 1020190139698A KR 20190139698 A KR20190139698 A KR 20190139698A KR 20210054108 A KR20210054108 A KR 202100541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ift lever
transmission
controll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54108A/ko
Priority to US16/814,565 priority patent/US11028919B2/en
Publication of KR20210054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60W10/113Stepped gearings with two input flow paths, e.g. double clutch transmission selection of one of the torque flow paths by the corresponding input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2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driveline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36Rever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 F16H61/68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 F16H61/688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stepped gearings without interruption of drive with two inputs, e.g. selection of one of two torque-flow paths by clu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50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 F16H63/502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for smoothing gear shi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75Clutch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3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vehicle conditions or values, not covered by groups B60W2510/00 or B60W2520/00
    • B60W2530/13Mileage
    • B60W2530/14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2Clutches
    • B60W2710/027Clutch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1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08Electric propulsion units
    • B60W2710/08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18008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Y2300/18033Rever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2059/366Engine or motor spe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68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 F16H59/70Inputs being a function of gearing status dependent on the ratio established
    • F16H2059/708Sensing reverse gear, e.g. by a reverse gear switc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025Final output mechanisms for double clutch transmis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4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comprising signals other than signals for actuating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50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 F16H2063/508Signals to an engine or motor for limiting transmission input torque, e.g. to prevent damage of transmission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변속기, 및 상기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주행 중 변속레버의 D레인지와 R레인지 간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변속기 내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고,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전환하여 차량을 변속한다.

Description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IFT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차종에 탑재되고 있는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변속기는 수동 변속기의 연비성능과 자동 변속기의 주행 편의성을 접목한 변속기이다. DCT 변속기는 크게 건식 DCT 변속기와 습식 DCT 변속기로 구분된다. 건식 DCT 변속기는 DCT 클러치를 공랭으로 식히고 별도의 전달 유체가 없다. 따라서, 열에 취약하고 작은 충격 발생에도 차량 전체에 전달되는 단점이 있다. 반면, 습식 DCT 변속기는 DCT 클러치가 클러치 오일 내부에서 작동하여 열에는 강하지만 전달 효율이 떨어지고 작동 유체의 특성에 따라 전달 성능이 많이 차이 나는 문제가 있다. 이에, DCT 변속기가 적용된 차량은 기어 치합(gear shifted)이 되어야 동력전달이 가능해 자동변속기에 대비하여 반응속도가 느리고 DR/RD LURCH (D단 주행 중 R단으로 전환 또는 R단 주행 중 D단으로 전환) 제어 진입 차속 제한이 있다.
본 발명은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변속기에서 R단 기어를 제거하여 DR 또는 RD 러치(LURCH)를 빠르게 제어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장치는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변속기, 및 상기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주행 중 변속레버의 D레인지와 R레인지 간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변속기 내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고,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전환하여 차량을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DR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RD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후 유지 시간 및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러치 제어 모드 진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차량 속도 감속 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이전 모터토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현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기는 홀수단 기어가 체결되는 제1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클러치와 짝수단 기어가 체결되는 제2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클러치를 포함하는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변속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기는, 러치 제어 모드 진입 시 상기 변속기 내 구동 중인 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방법은 주행 중 변속레버의 D레인지와 R레인지 간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면 변속기 내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전환하여 차량을 변속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변속레버 위치 센서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후 유지시간 및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러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DR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RD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이전 모터토크를 유지시키켜 상기 모터속도를 감소시켜 차량 속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량을 변속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현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토크를 전환 후 모터속도를 가속하여 차량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DCT 변속기에서 R단 기어를 제거하여 DR 또는 RD 러치를 빠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연비개선, 중량절감 및 원가절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 토크 교환 없이 구동 중인 클러치 1개로 D단과 R단 간의 전환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클러치 슬립(slip) 제어가 없어 발열, 충격 및 떨림에 유리하며, 기어 치합 및 클러치 토크 교환이 없어 변속 시 충격 발생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어 치합 조건이 없어 러치 제어 진입 차속(차량 속도)을 기존 대비 상향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R 러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D 러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전진 1단 또는 전진 2단에서 기어 변속 없이 모터의 회전방향을 전환하여 전진단(D단)에서 후진단(R단)으로 변속하거나 또는 후진단에서 전진단으로 변속하는 차량 변속제어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변속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여기서, 차량은 DCT 변속기가 적용된 TMED(Transmission Mounted Electric Device) 방식의 HEV(hybrid electric vehicle) 및/또는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엔진(110), 엔진 클러치(120), 모터(130), 변속기(140) 및 제어기(150)를 포함한다.
엔진(110)은 연료를 연소시켜 차량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엔진(110)은 시동 전동기(Hybrid Starter Generator, HSG)(115)에 크랭킹(cranking)되어 운전을 시작한다. 엔진(110)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출력토크(엔진토크, 엔진 동력)가 제어된다.
엔진 클러치(120)는 엔진(110)과 모터(130) 사이에 배치되어 엔진(110)의 동력(출력토크)을 단속한다. 엔진 클러치(120)는 결합(engage) 또는 해제(disengage)를 통해 엔진(110)에 의해 발생되는 동력(엔진 동력)을 구동바퀴(차륜)에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모터(130)는 배터리(135)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력(모터 동력)을 발생시켜 구동바퀴에 전달한다. 배터리(135)는 차량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고전압 배터리로 구현된다. 모터(130)가 제어기(150)의 제어에 따라 작동함에 따라 모터(130)의 출력토크(모터토크, 모터 동력)가 조정된다. 모터(130)는 제어기(150)의 지시에 따라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Revolution Per Minute, RPM)를 변경한다.
모터(130)는 배터리 잔량(State of Charge, SOC)이 부족하거나 또는 회생 제동 시 역기전력을 발생시켜 배터리(135)를 충전하는 발전기로 사용된다. 또한, 모터(130)는 하이브리드 차량과 같은 친환경 차량에서 엔진(110)을 크랭킹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변속기(140)는 모터 동력 또는 엔진 동력과 모터 동력을 차륜(구동바퀴)으로 변속하여 출력한다. 변속기(140)는 더블 클러치 트랜스미션(Double Clutch Transmission, DCT)으로, 제1클러치(141), 제2클러치(143) 및 기어박스(145)를 포함한다. 제1클러치(141)는 홀수(odd)단 기어가 설치되는 제1변속기 입력축에 직결되어, 제1변속기 입력축으로 동력을 전달한다. 제2클러치(143)는 짝수(even)단 기어가 설치되는 제2변속기 입력축에 직결되어, 제2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한다. 기어박스(145)는 1단, 3단 및 5단 등의 홀수단 기어, 2단, 4단 및 6단 등의 짝수단 기어, 홀수단 기어를 제1변속기 입력축에 체결 또는 해제시키는 제1변속기어 작동기(shift actuator) 및 짝수단 기어를 제2변속기 입력축에 체결 또는 해제시키는 제2변속기어 작동기를 포함한다.
제어기(150)는 차량의 변속을 제어한다. 제어기(150)는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차량 내 전자제어장치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차량 네트워크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및 이더넷(ethernet) 등의 통신 기술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150)는 차량에 탑재되는 센서들(예: 속도 센서 및 변속레버 위치 센서 등)을 통해 차량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엔진 클러치(120)의 결합 또는 해제를 통해 주행모드를 전환할 수 있다. 주행모드는 EV(Electric Vehicle) 모드와 HEV(Hybrid Electric Vehicle) 모드로 구분된다. EV 모드는 엔진 클러치(120)를 해제시켜 엔진 동력을 차단하여 모터 동력만으로 차량을 구동하는 것이고, HEV 모드는 엔진 클러치(120)를 결합시켜 엔진 동력과 모터 동력으로 차량을 구동하는 것이다.
제어기(150)는 주행 중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조작하면 변속레버 위치 센서를 통해 변속레버 위치(lever position)의 전환(변화)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변속레버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DR 전환) 또는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RD 전환)되는 경우, 변속레버 유지시간 및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러치 제어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운전자에 의해 변속레버가 DR 전환되면, 제어기(150)는 변속레버가 R레인지에 위치한 시간(변속레버 유지시간)이 3초 이상이며, 차량속도가 7kph 이하이면 러치 제어를 결정한다.
제어기(150)는 러치 제어가 결정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며 변속기(140) 내 구동 중인 클리치(141 또는 143)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150)는 1단 기어로 전진주행(D단 주행) 중 변속레버가 R레인지로 전환된 경우, 1단 기어가 체결되는 제1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클러치(141)의 클러치 토크(즉, 변속레버 위치 전환 이전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한편, 제어기(150)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가 R레인지로 전환되는 경우, 2단 기어가 연결되는 제2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클러치(142)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제어기(150)는 후진주행(D단 기어) 중 변속레버가 D레인지로 전환되는 경우, 제1클러치(141) 또는 제2클러치(142)의 토크를 유지시킨다.
제어기(150)는 토크 인터벤션(torque intervention) 제어를 통해 변속기(140)으로 입력되는 모터토크를 전환한다. 제어기(150)는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이전의 모터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차량 속도를 감소시킨다. 이때, 변속레버 위치 전환 이전의 모터토크를 유지함에 따라 부드러운 변속을 구현할 수 있다. 제어기(150)는 차량 속도가 기설정된 임계속도(예: 0kph)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 토크에서 '-' 토크로 전환하거나 또는 '-' 토크에서 '+' 토크로 전환한다. 즉,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변경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을 전환한다. 이후,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차량 속도를 가속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DR 러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기(150)는 정차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P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1단 기어를 제1변속기 입력축에 체결하고 제1클러치(141)를 체결하여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기(150)는 모터(130)를 정방향으로 구동(회전)시켜 차량이 전진주행 하게 한다. 이때,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토크(모터토크)를 '+' 토크로 제어한다.
제어기(150)는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DR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한다. 제어기(150)는 DR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면 제1클러치(141)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또한,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모터토크를 '+' 토크로 유지하며, 모터(130)의 회전속도(즉,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한다.
제어기(150)는 차량 속도가 0kph에 도달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모터 토크를 '-' 토크로 전환한다. 즉,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차량 속도를 가속한다. 즉, 모터(130)가 역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량은 후진주행을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RD 러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기(150)는 정차 상태에서 변속레버가 P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1단 기어를 제1변속기 입력축에 체결하고 제1클러치(141)를 체결하여 구동시킨다. 또한, 제어기(150)는 모터(130)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차량을 후진주행하게 한다. 이때, 제어기(150)는 모터토크를 '-' 토크로 제어한다.
제어기(150)는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RD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한다. 제어기(150)는 RD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면 제1클러치(141)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하게 한다. 또한,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모터토크를 '-' 토크로 유지시키며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 차량이 감속하게 한다.
제어기(150)는 차량 속도가 0kph까지 감소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모터토크를 '-' 토크를 '+' 토크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방향을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변경한다. 이어서,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차량 속도를 가속시킨다. 모터(1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차량은 전진주행을 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어기(150)는 주행 중 변속레버의 DR 전환 또는 RD 전환을 감지한다(S110). 제어기(150)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위치 센서를 통해 변속레버의 DR 전환을 감지한다. 또한, 제어기(150)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위치 센서를 통해 변속레버의 RD 전환을 감지한다.
제어기(150)는 변속레버의 DR 전환 또는 RD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여부를 결정한다(S120). 제어기(150)는 변속레버의 DR 전환 또는 RD 전환 후 유지하는 시간(즉, 변속레버 유지 시간)이 기설정된 기준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기(150)는 차량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 속도(예: 7kph) 이하인지를 확인한다. 제어기(150)는 변속레버 유지 시간이 기준 시간 이상 및/또는 차량 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인 경우, 러치 제어를 결정한다.
제어기(150)는 러치 제어가 결정되면, 구동 중인 클러치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한다(S130). 제어기(150)는 러치 제어가 결정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구동 중인 클러치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150)는 제1클러치(141) 또는 제2클러치(142)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예컨대,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DR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한 경우 제2클러치(142)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한편, 1단 기어로 후진주행 중 RD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 제1클러치(141)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킨다.
제어기(150)는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모터토크를 전환한다(S140). 제어기(150)는 모터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감소시켜 차량 속도를 줄인다. 제어기(150)는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예: 0kph)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 토크에서 '-' 토크로 전환하거나 또는 '-' 토크에서 '+' 토크로 전환한다. 다시 말해서, 제어기(150)는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모터(130)의 회전방향을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하거나 또는 역방향에서 정방향으로 전환한다.
제어기(150)는 모터토크가 전환된 후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의 가속을 제어한다(S150). 제어기(150)는 모터(130)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차량 속도를 높인다.
한편, S120에서 러치 미제어가 결정되면, 제어기(150)는 변속기어를 중립(N단)으로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변속제어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1310) 및 RAM(Random Access Memory)(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1100)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엔진 120: 엔진 클러치
130: 모터 140: 변속기
141: 제1클러치 142: 제2클러치
145: 기어박스 150: 제어기

Claims (15)

  1.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륜에 전달하는 변속기, 및
    상기 변속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기는, 주행 중 변속레버의 D레인지와 R레인지 간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여 상기 변속기 내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고,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전환하여 차량을 변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DR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RD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후 유지 시간 및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러치 제어 모드 진입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차량 속도 감속 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이전 모터토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현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홀수단 기어가 체결되는 제1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1클러치와 짝수단 기어가 체결되는 제2변속기 입력축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클러치를 포함하는 DCT(Double Clutch Transmission) 변속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러치 제어 모드 진입 시 상기 변속기 내 구동 중인 제1클러치 또는 제2클러치의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장치.
  9. 주행 중 변속레버의 D레인지와 R레인지 간 전환을 감지하면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상기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면 변속기 내 클러치 토크를 유지시키며 모터속도를 제어하여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속도가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모터토크를 전환하여 차량을 변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러치 제어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는,
    변속레버 위치 센서를 통해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후 유지시간 및 상기 차량 속도를 기반으로 러치 제어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1단 기어 또는 2단 기어로 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D레인지에서 R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DR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을 감지하는 단계는,
    후진주행 중 변속레버의 위치가 R레인지에서 D레인지로 전환되면 변속레버 센서를 통해 RD 전환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속도를 감속시키는 단계는,
    상기 변속레버의 위치 전환 이전 모터토크를 유지시키켜 상기 모터속도를 감소시켜 차량 속도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을 변속하는 단계는,
    상기 차량 속도가 상기 임계속도에 도달하면 토크 인터벤션 제어를 통해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현재 회전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토크를 전환 후 모터속도를 가속하여 차량 속도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변속제어방법.
KR1020190139698A 2019-11-04 2019-11-04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KR202100541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698A KR20210054108A (ko) 2019-11-04 2019-11-04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US16/814,565 US11028919B2 (en) 2019-11-04 2020-03-10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hifting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698A KR20210054108A (ko) 2019-11-04 2019-11-04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08A true KR20210054108A (ko) 2021-05-13

Family

ID=7568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698A KR20210054108A (ko) 2019-11-04 2019-11-04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028919B2 (ko)
KR (1) KR20210054108A (ko)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32038B2 (en) * 2002-05-31 2004-05-0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gear selection method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vehicle rocking maneuvers
US7597020B2 (en) 2005-03-17 2009-10-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Gear selection strategy for a dual clutch transmission
EP1762452A3 (en) * 2005-09-08 2009-05-27 Nissan Motor Co., Ltd. Engine starting control device and method
JP2015174556A (ja) * 2014-03-14 2015-10-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KR101887777B1 (ko) 2016-11-16 2018-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Dct 차량의 변속 제어방법
US10632996B2 (en) * 2017-05-09 2020-04-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hybrid electric powertrain
KR102012570B1 (ko) 2017-12-26 2019-08-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Dct 클러치 변속 제어방법
EP3530994B1 (en) * 2018-02-21 2020-09-30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Shifting device
JP7160539B2 (ja) * 2018-02-23 2022-10-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及び作業車両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31556A1 (en) 2021-05-06
US11028919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4278B2 (en) Vehicle
JP4265568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モード遷移制御装置
US8246508B2 (en) Controller for vehicle drive device
JP5371200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及び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方法。
KR10139356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주행 모드 변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139512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제어 방법과 제어 장치
KR20190136353A (ko)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5202830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4255973A (ja) ハイブリッド自動車
WO2013051128A1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JP4899576B2 (ja) 車両駆動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2010149683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オイルポンプ駆動装置
KR102444664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변속 제어 방법
JP6056627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走行制御装置
KR20180070341A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모드 전환 제어 방법
JP444982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走行モード制御装置
KR20210054108A (ko) 차량 변속제어장치 및 방법
CN107150688B (zh) 混合动力车辆和间隙减轻策略
JP5141535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2007312463A (ja) 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WO2018097170A1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録媒体
US11906042B2 (en) Gear shift control device of vehicle
JP2019093808A (ja) 車両の制御装置
US20230311895A1 (en) Gear shift control device of vehicle
KR101704573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 및 그를 위한 효율적인 주행 모드 변경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