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953A -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 Google Patents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953A
KR20210053953A KR1020217009630A KR20217009630A KR20210053953A KR 20210053953 A KR20210053953 A KR 20210053953A KR 1020217009630 A KR1020217009630 A KR 1020217009630A KR 20217009630 A KR20217009630 A KR 20217009630A KR 20210053953 A KR20210053953 A KR 20210053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target
pbch
broadcast signal
signal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9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879B1 (ko
Inventor
메이잉 양
데샨 미아오
Original Assignee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다탕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이큅먼트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3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2TPC of broadcast or control channels
    • H04W52/322Power control of broadcast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을 제공한다. 해당 정보 전송 방법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Description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8월 31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 201811014752.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단말의 타입과 서비스 타입은 다양해지고, 단말 절전, 네트워크 자원 절약 및 각종 서비스 타입을 만족시키는 요구들이 공존한다. 그중, 비연속 수신(Discontinous receive, DRX)은 사용자 기기(User Equipment, UE) (또는 단말로 호칭) 절전의 한가지 중요한 기술 방안이다. 해당 방안하에, UE는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수요가 없을 경우, DRX 오프(DRX-OFF) 상태에 진입하고, 동시에 UE의 부분 기기, 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 또는 기저 대역은 오프 또는 저전력 소비 상태에 있으며, 따라서 절전의 목적을 달성한다. 일단 데이터 송수신이 있으면, UE는 데이터의 송수신을 진행하기 위해 웨이크업이 필요하다. 진일보로, DRX 아이들(DRX-Idle) 상태하에, UE는 주기적으로 페이징 기회(Paging occasion, PO) 시각에 페이징(paging)을 검측하고, 검측 완료후, 슬립 모드에 진입하여, 절전 목적을 달성한다.
paging의 검측을 진행하기 위해, paging 검측 전에, UE는 네트워크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차세대 라디오(Next radio, NR)에서, SS/PBCH(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는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송신 주기는 5ms, 10ms, 20ms, 40ms, 80ms 또는 160ms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UE가 paging을 검측할 시각에, UE는 미리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성해야 하고, 예를 들어 만약 UE가 강한 간섭 환경하에 있거나, 또는 UE가 셀 커버리지 에지에 있거나, 또는 UE가 네트워크 비동기화 상태에 있을 경우, 동기화 및 채널 추적을 완성하기 위해 가능하게 2-3개 SS/PBCH burst set(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 송신 세트)가 수요되며, 즉 UE는 가능하게 적어도 하나의 SS/PBCH 주기전에 웨이크업 하여야 하며, UE가 PO 시각전에 SS/PBCH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여, paging 검측을 진행할 수 없는 것을 피면한다. 이때 만약 SS/PBCH 주기 구성이 비교적 길 경우, 예를 들면 20ms 보다 크거나, 또는 SS/PBCH burst set 내 SS/PBCH의 개수가 비교적 적을 경우, 예를 들면 1 슬롯(slot)에 단지 하나의의 SS/PBCH만 구성하였다면, UE가 미리 웨이크업해야 하는 시간이 더 길기에, 더 많은 UE의 전력 소비를 초래한다.
본 개시의 목적은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을 제공하여, UE가 동기화를 위해 적어도 하나의 SS/PBCH 주기전에 웨이크업하여 비교적 많은 전력 소비를 초래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에 따른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한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본 개시 실시예는 이하 유익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 실시예의 상술한 기술 방안에서,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 즉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구현하는데 필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송신하고, 단말은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목표 SS/PBCH를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1은 RRC 아이들 상태하의 DRX 주기 예시도이다.
도 2는 RRC 아이들 상태하의 DRX와 SS/PBCH의 관계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 예시도 1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정보 전송 방법의 흐름 예시도 2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기의 모듈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아키텍처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의 모듈 예시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 기술방안 및 장점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결부시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개시 실시예의 기술방안을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이하 설명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아이들 상태에 있을 경우, 매우 낮은 전량의 슬립 상태에 진입하고, 단말은 주기적으로 웨이크업하며, PO 시각에 paging 신호를 검측한다. 데이터 송수신 완료후, UE는 다시 매우 낮은 전량의 슬립상태에 진입한다. 그중, I-DRX cycle는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아이들 상태하의 DRX 주기를 표시한다.
관련 기술에서, RRC 아이들(Idle) 또는 비활성화(inactivity) 상태하에서, SS/PBCH는 주기적으로 송신하고, DRX-Idle/Inactivity하를 고려하여, UE는 paging 검측전에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구성 및 구현하에, UE가 미리 웨이크업해야 하는 시간도 상이하다.
상황 1: UE 및 네트워크는 기본적으로 동기화하고, UE는 셀 에지에 위치하지 않고, 또한 UE는 강한 간섭을 받지 않으며, 또한 SS/PBCH는 하나의 slot을 구성한다. 구현상에 있어서, 이상적인 상황에서, UE는 먼저 하나의 slot의 데이터를 버퍼링하고, 해당 slot 데이터를 수신한 후, UE는 먼저 SS/PBCH의 검측을 진행하고, 동기화 정보 및 시간 주파수 추적 정보를 획득하며, 진일보로 paging의 검측을 진행하고, 진일보로 검측 결과에 근거하여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검측을 진행한다. 기타의 더욱 일반적인 상황에서, UE는 미리 웨이크업하여 SS/PBCH 검측해야 되고,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하며, 다음으로 paging occaion의 시각에서, paging을 수신 및 검측한다.
상황 2: UE 및 네트워크는 비동기화이고, 또는 UE는 셀 에지에 위치하여 있고, 또는 UE는 강한 간섭을 받는다. UE는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하는데 여러 개의 SS/PBCH burst set가 필요된다. 예를 들면, UE는 적어도 하나의 SS/PBCH 주기 전에 웨이크업를 해야 한다. 또는, UE는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기 위해 여러 개의 SS/PBCH burst set를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다 시피, 동기화 UE를 구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SS/PBCH 주기전에 웨이크업를 해야 하고, 이로 인해 비교적 많은 전력 소비를 초래하기에, 이를 기반으로,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키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01: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고,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에 있는 시각은 동일하고,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단말이 셀의 중심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이고, 단말이 강한 간섭 환경하에 있을 경우, 또는 단말이 셀 커버리지 에지에 있을 경우, 또는 단말이 네트워크와 비동기화의 상태에 있을 경우, 상술한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구체적으로 여러 개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네트워크가 미리 정의한 것일수 있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현재의 SS/PBCH의 송신 주기는 160ms이라면,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10ms로 정의할 수 있고;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네트워크가 구성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할 수 있고;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NR-R15에서 목표 송신 주기를 5ms, 10ms, 20ms, 40ms, 80ms 또는 160ms로 구성하면,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5ms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송신하고, 단말은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301인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는,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이 리포팅한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이 구성한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가 정태적으로 또는 반정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네트워크가 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301인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301인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이고, 해당 제1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yclic Prefix-OFDM, 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FDM, DFT-s-OFDM) 심볼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제1 시간 유닛은 제1 타임 슬롯이다.
또한, 상기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이고;
상술한 제3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이다.
설명해야 할것은, 제2 시간 유닛 및 제3 시간 유닛의 시간 입자 크기는 동일하고, 예를 들면, 만약 제2 시간 유닛이 타임 슬롯이면, 제3 시간 유닛도 타임 슬롯이고; 만약 제2 시간 유닛이 OFDM 심볼이면, 제3 시간 유닛도 OFDM 심볼이다.
진일보하여,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다.
상술한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타임 슬롯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하나의 타임 슬롯의 목표 SS/PBCH를 송신할 수 있고,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여러개 타임 슬롯의 목표 SS/PBCH를 송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시간 유닛이 타임 슬롯일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타임 슬롯을 점용하고, 상술한 시간 유닛이 OFDM 심볼일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비연속적인 OFDM 심볼을 점용한다.
또는, 만약 멀티 빔 구성이 없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만약 멀티 빔 구성이 있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한다.
또는, 만약 서브 캐리어 간격(SCS)이 30KHz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만약 서브 캐리어 간격(SCS)이 30KHz보다 클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한다.
또한, 목표 SS/PBCH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타임 슬롯을 점용할 경우, 각 slot내의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위치는 NR R15의 SS/PBCH의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할 수 있고, 기지국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N개의 연속적인 slot의 총 송신 시간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여기서, N은 기지국과 UE가 미리 약속한 규정에 근거하여 확정할 수 있고, 기지국이 구성할 수도 있고, UE가 혼자 결정할 수도 있고, UE가 혼자 결정한 후 기지국에게 통지할 수도 있으며, 기타 N의 확정 방법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그중, N은 정태적, 반정태적 또는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 및 UE를 통해 미리 정의할 수도 있고,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MAC CE(제어 유닛)를 통해 정태적 또는 반정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첫번째의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인 단말의 동기화 상태에 근거하여 N의 값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해당 구현 방식은 구체적으로 아래 방식을 포함한다.
만약 단말이 비동기화 상태에 있을 경우, N의 값은 1보다 클수 있고, 예를 들어 N=3이고, 동기화 및 시간 주파수 추적을 될수록 빨리 완료하는데 사용되며; 상술한 N개의 시간 유닛은 연속 또는 비연속적일 수 있으며, 만약 기지국이 멀티 빔을 구성했을 경우,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크기 및 빔의 개수에 근거하여, N의 값을 구성한다.
만약 단말이 동기화 상태에 있을 경우, N의 값은 1로 구성할 수 있다.
두번째의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인 단말이 위치한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N의 값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해당 구현 방식은 구체적으로 아래 방식을 포함한다.
만약 단말이 강한 간섭 환경에 있고, 또한 UE의 무선 자원 관리(RRM) 측정량, 예를 들면, 수신 신호의 강도 지시(RSSI)가 제1 임계값보다 높거나 또는 같고, 상기 제1 임계값은 실수이고, 또는 참고 신호 수신 질량(RSRQ)이 제2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같으며, 상기 제2 임계값은 실수이면, 상기 N의 값은 1보다 큰 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3이고, 동기화 정밀도 향상 및 시간 주파수 추적 정밀도 향상하는데 사용된다. 만약 UE가 측정한 RSSI가 제2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같을 경우, 상기 N의 값은 1로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임계값은 제1 임계값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세번째의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인 단말이 위치한 셀의 위치에 근거하여 N의 값을 구성하는 방식에서, 해당 구현 방식은 구체적으로 아래 방식을 포함한다.
만약 상기 UE가 셀 에지 위치에 있을 경우, 예를 들면, UE가 측정한 신호 대 간섭 잡음비(SINR)가 제3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같으며, 상기 제3 임계값은 실수이거나; 또는 RSRQ가 제4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같으며, 상기 제4 임계값은 실수이거나; 또는 RSRP가 제5 임계값보다 낮거나 또는 같으며, 상기 제5 임계값은 실수이면, 상기 N의 값은 1보다 큰 실수로 구성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3이고; 만약 상기 UE가 측정한 SINR이 제5 임계값보다 높거나 또는 같을 경우, N의 값은 1일수 있다. 상기 제5 임계값은 제3 임계값보다 크거나 또는 같다.
설명해야 할것은, 만약 기지국이 동시에 여러 개의 UE의 N의 값을 구성할 수요가 있을 경우, 기지국은 여러 개의 UE에게 하나의 N값을 구성할 수 있고, 각 UE에게 상이한 N값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기지국의 알고리즘에 따라 구현된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N개 시간 유닛의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송신하고, 단말로 하여금 수신 및 PO 검측전에,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 실시예에서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이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501: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한다.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에 있는 시각은 동일하고,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단말이 셀의 중심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구체적으로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이고, 단말이 강한 간섭 환경하에 있을 경우, 또는 단말이 셀 커버리지 에지에 있을 경우, 또는 단말이 네트워크와 비동기화의 상태에 있을 경우, 상술한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구체적으로 여러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네트워크가 미리 정의한 것일수 있고, 예를 들면,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현재의 SS/PBCH의 송신 주기는 160ms이라면,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10ms로 정의할 수 있고;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네트워크가 구성 또는 반정적으로 구성한 것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어 무선 자원 제어(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할 수 있고;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다운링크 제어 정보(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한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NR-R15에서 목표 송신 주기를 5ms, 10ms, 20ms, 40ms, 80ms 또는 160ms로 구성하면,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는 5ms보다 작게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기기는 상술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송신하고, 단말은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501인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는,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기기가 상기 단말이 구성한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술한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가 정태적으로 또는 반정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네트워크가 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지시할 수도 있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501인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진일보하여, 상술한 단계 501인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제1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이고, 해당 제1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이다. 선택적으로, 상술한 제1 시간 유닛은 제1 타임 슬롯이다.
또한, 상기 목표 방송 신호 블록(SS/PBCH)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술한 제2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이고;
상술한 제3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이다.
설명해야 할것은, 제2 시간 유닛 및 제3 시간 유닛의 시간 입자 크기는 동일하며, 예를 들어, 만약 제2 시간 유닛이 타임 슬롯이면, 제3 시간 유닛도 타임 슬롯이고; 만약 제2 시간 유닛이 OFDM 심볼이면, 제3 시간 유닛도 OFDM 심볼이다.
진일보하여,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다.
상술한 시간 유닛은 구체적으로 타임 슬롯이고,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하나의 타임 슬롯의 목표 SS/PBCH를 송신할 수 있고,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여러개 타임 슬롯의 목표 SS/PBCH를 송신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시간 유닛이 타임 슬롯일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타임 슬롯을 점용하고, 상술한 시간 유닛이 OFDM 심볼일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비연속적인 OFDM 심볼을 점용한다.
또는, 만약 멀티 빔 구성이 없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만약 멀티 빔 구성이 있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한다.
또는, 만약 서브 캐리어 간격(SCS)이 30KHz보다 작거나 또는 같을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만약 서브 캐리어 간격(SCS)이 30KHz보다 클 경우, 목표 SS/PBCH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한다.
또한, 목표 SS/PBCH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적인 타임 슬롯을 점용할 경우, 각 slot내의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의 시간 주파수 위치는 NR R15의 SS/PBCH의 시간 주파수 위치와 동일할 수 있고, 기지국이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N개의 연속적인 slot의 총 송신 시간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보다 작거나 또는 같다.
여기서, N은 기지국과 UE가 미리 약속한 규정에 근거하여 확정할 수 있고, 기지국이 구성할 수도 있고, UE가 혼자 결정할 수도 있고, UE가 혼자 결정한 후 기지국에게 통지할 수도 있으며, 기타 N의 확정 방법은 본 개시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그중, N은 정태적, 반정태적 또는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 있고, 또는 기지국 및 UE를 통해 미리 정의할 수도 있고, 또는 RRC 시그널링을 통해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매체 액세스 제어(Media Access Control, MAC) 제어 유닛(Control Element, CE)을 통해 정태적 또는 반정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DCI를 통해 동태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후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정보 전송 방법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할 경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N개 시간 유닛의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송신하고, 단말로 하여금 수신 및 PO 검측전에,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 기기는 구체적으로 기지국이고, 메모리(620), 프로세서(600), 송수신기(610), 버스 인트페이스 및 메모리(6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6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600)는 메모리(6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이하 과정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한다.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에 있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도 6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6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 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610)는 복수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프로세서(6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620)는 프로세서(6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60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 진행에 수요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네트워크 기기측에 적용되는 방법 실시예중의 모든 구현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기기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송신 모듈(701)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 진행에 수요로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기 전에,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획득 모듈;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2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한 후,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3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제1 송신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 송신을 시작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후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에서,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네트워크 기기는,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SS/PBCH를 송신하고, 단말은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송수신기(810), 메모리(820), 프로세서(800) 및 메모리(820)에 저장되어 프로세서(800)에서 실행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800)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그중, 도 8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버스는 프로세서(8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8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함께 연결한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기기,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를 함께 연결할 수 있는데,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문에서는 더 이상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810)는 복수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수신기 및 송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 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기기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830)는 기기에 외접 또는 내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접속된 기기들은 키패드, 디스플레이, 스피커, 마이크, 조이스틱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800)는 버스 아키텍처의 관리 및 통상의 처리를 책임지고, 메모리(820)는 프로세서(800)가 조작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실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세서(800)는 메모리(820)중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해당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술한 단말측에 적용되는 방법 실시예중의 모든 구현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단말을 제공하며, 상기 단말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수신 모듈(901)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하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은: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데 사용되는 제2 획득 모듈;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2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은: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한 후,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정보를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3 수신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제1 수신 모듈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 수신을 시작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이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후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이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에서,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한다.
본 개시 실시예의 단말은,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SS/PBCH를 송신하고, 단말은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SS/PBCH를 수신하며, 해당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보다 작기에, 단말은 페이징 기회전의 비교적 짧은 시간내에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완료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말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킨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본 개시의 실시예에 제공한 상기 방법 실시예의 각각의 과정을 구현하며,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바, 중복되는 설명을 피하기 위해, 여기서 더 이상 상세하게 기술하지 않기로 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명세서에서, 용어 "포함", "내포" 또는 기타 임의의 변체는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며, 일련의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는, 명시적으로 열거한 그런 단계 및 유닛에만 한정될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열거되지 않거나 또는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고유한 기타 단계 또는 유닛을 더 포함하도록 할 것을 의도한다. 더 이상 제한 없이, 용어 "하나의 ……을 포함"은 한정된 요소이고, 이 요소를 포함하는 과정, 방법, 물품 또는 기기에 또 다른 요소가 더 존재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한 실시방식의 설명을 통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지식을 가진 자들은, 상기의 실시예 방법이 소프트웨어 플러스 필수적 범용 하드웨어 플랫폼의 방식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해를 토대로, 본 개시에 따른 기술방안의 본질적 또는 관련 기술에 기여하는 부분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예를 들면, ROM/RAM,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에 저장되고, 몇몇 명령들을 포함하여 하나의 저장 매체(휴대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또는 네트워크 기기 등일 수 있음)가 본 개시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모듈은 상기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하나 또는 여러개 집적 회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하나 또는 여러개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또는, 하나 또는 여러개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하나 또는 여러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또는, 하나 또는 여러개 현장 구성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등이다. 또 예를 들면, 상기 어느 모듈이 처리 소자 호출 프로그램 코드의 형식을 통해 구현할 경우, 해당 처리 소자는 공통 프로세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 또는 기타 프로그램 코드를 호출하는 프로세서이다. 또 예를 들면, 해당 모듈은 함께 집적되어, 시스템 온 칩(system-on-a-chip, SOC)의 형식으로 구현한다.
본 개시의 각종 실시예에서, 상술한 각 과정에서 시퀀스의 크기는 실행순서의 선후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순서는 해당 기능 및 내적 로직에 의해 확정되며, 본 개시 실시예의 실시과정은 어떠한 한정도 구성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은 본 개시의 선택적인 실시예이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의 원리를 이탈하지 않은 전제하에서, 여러개의 개진 및 윤색을 진행할 수 있고, 이런 개진 및 윤색은 본 개시의 보호 범위내에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Claims (36)

  1. 네트워크 기기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정보 전송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인 정보 전송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하는 정보 전송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인 정보 전송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9. 단말에 적용되는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정보 전송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 후에, 상기 방법은: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인 정보 전송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하는 정보 전송 방법.
  14. 제 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인 정보 전송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하는 정보 전송 방법.
  17.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
  18. 제 1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는 네트워크 기기.
  19. 제 1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는 네트워크 기기.
  20. 제 1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인 네트워크 기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하는 네트워크 기기.
  22. 제 1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23. 제 17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인 네트워크 기기.
  24. 제 23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기기.
  25.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1항 내지 제8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6. 단말에 있어서,
    송수신기,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구현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단말.
  27. 제 26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단말의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에너지 절약 구성 정보가, 단말이 에너지 절약 구성을 지지하는 것을 지시할 경우,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는 단말.
  28. 제 26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페이징 기회에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는 단말.
  29. 제 26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각에,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수신을 시작하는 단계를 더 구현하고,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의 제1 시간 유닛에 대응하는 시각이고, 또한 상기 제1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작 시각 또는 상기 시작 시각 이후에 위치한 시각인 단말.
  30. 제 29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이 완료되는 제2 시각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거나 또는 상기 종료 시각 전에 위치한 시각이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이 위치하는 제2 시간 유닛은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제3 시간 유닛 전에 위치하는 단말.
  31. 제 26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가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시간 길이가 상기 네트워크 기기가 구성할 수 있는 최소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은 것;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개수가 상기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유닛의 총 개수보다 작은 것;을 포함하는 단말.
  32. 제 26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서 N개의 연속 또는 비연속적인 시간 유닛을 점용하고, N은 양의 실수이며;
    그중, N은 네트워크 기기가 단말의 동기화 상태, 단말이 위치하는 셀의 위치 및/또는 단말이 위치하는 위치의 간섭 강도에 근거하여 구성한 것이거나;
    또는, N은 프로토콜에서 미리 약속한 것이거나;
    또는, N은 단말이 확정한 후 상기 네트워크 기기에 통지한 것인 단말.
  33. 제 32항에 있어서,
    그중, 상기 시간 유닛은: 카운터, 타임 슬롯, 서브 프레임,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심볼,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P-OFDM) 심볼 또는 이산 푸리에 변환 확산 스펙트럼의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DFT-s-OFDM) 심볼을 포함하는 단말.
  3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청구항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임의의 한 항에 따른 상기 정보 전송 방법의 단계를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35. 네트워크 기기에 있어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송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송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네트워크 기기.
  36. 단말에 있어서,
    목표 시간 윈도우내에,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을 수신하는데 사용되는 제1 수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중, 상기 목표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은 상기 단말이 네트워크 동기화 및/또는 시간 주파수 추적을 진행하는데 수요되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을 가리키고,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는 목표 송신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길이보다 작으며, 상기 목표 송신 주기는 동기화 방송 신호 블록(SS/PBCH)의 송신 주기이고, 또한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는 페이징 기회전에 위치하여 있거나, 또는, 상기 목표 시간 윈도우의 종료 시각과 상기 페이징 기회가 위치하는 시각은 동일한 단말.
KR1020217009630A 2018-08-31 2019-08-16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KR102457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014752.8A CN110876189A (zh) 2018-08-31 2018-08-31 一种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CN201811014752.8 2018-08-31
PCT/CN2019/100955 WO2020042920A1 (zh) 2018-08-31 2019-08-16 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953A true KR20210053953A (ko) 2021-05-12
KR102457879B1 KR102457879B1 (ko) 2022-10-21

Family

ID=69645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9630A KR102457879B1 (ko) 2018-08-31 2019-08-16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729731B2 (ko)
EP (1) EP3846556A4 (ko)
KR (1) KR102457879B1 (ko)
CN (1) CN110876189A (ko)
TW (1) TWI770418B (ko)
WO (1) WO20200429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50655A1 (ko) * 2018-09-05 2020-03-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585724B (zh) * 2019-02-15 2023-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及设备
CN115244999A (zh) * 2020-04-07 2022-10-2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下行同步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7334A1 (en) * 2015-05-15 2018-03-2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9918A1 (ko) 2013-02-01 2014-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간섭 제거 수신 방법 및 단말
RU2684756C1 (ru) * 2015-11-04 2019-04-12 Интердиджитал Пейтент Холдингз, Инк. Способы осуществления процедур пейджинга для wtru с уменьшенной шириной полосы
WO2017213420A1 (ko) 2016-06-07 2017-12-14 엘지전자(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순환 전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680699B2 (en) 2016-07-20 2020-06-09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ng beamforming based paging occa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566373A1 (en) * 2017-01-06 2019-11-13 Convida Wireless, LLC Mechanisms for efficient access and transmission in nr
CN108282862B (zh) 2017-01-06 2024-0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和装置
CN108282859B (zh) * 2017-01-06 202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CN110493870B (zh) * 2017-09-27 2020-08-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120725A (ko) * 2018-02-16 2020-10-21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97334A1 (en) * 2015-05-15 2018-03-21 Sharp Kabushiki Kaisha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method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_1718332 *
3GPP R1_1719560 *
3GPP R1_1806410 *
3GPP R2-180317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011769A (zh) 2020-03-16
US20210321346A1 (en) 2021-10-14
EP3846556A1 (en) 2021-07-07
KR102457879B1 (ko) 2022-10-21
CN110876189A (zh) 2020-03-10
US11729731B2 (en) 2023-08-15
WO2020042920A1 (zh) 2020-03-05
TWI770418B (zh) 2022-07-11
EP3846556A4 (en) 202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6634B1 (en) Condition for a terminal to monitor pdcch during drx cycle
WO2022151979A1 (zh) 信号发送和接收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892770B (zh) 传输信号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US20210392582A1 (en) Reference Signal Receiving Method, Reference Signal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U2017430818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10014786A1 (en)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CN113906792A (zh) 无线通信系统中的控制信道监视
KR102457879B1 (ko) 정보 전송 방법, 네트워크 기기 및 단말
CN111436164B (zh) 一种通信方法及装置
JP2022517197A (ja) リソース設定方法、リソース取得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
WO2021155732A1 (zh) 一种信号传输方法及设备
CN114503684B (zh) 信息传输方法以及相关设备
US11924762B2 (en) Information sending metho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network device and terminal
CN114390650A (zh) 信号传输方法、网络设备、终端和存储介质
US20220322231A1 (en) Tracking reference signal enhancements for new radio
WO2023284261A1 (zh) 一种寻呼方法、计算机可读存储介质和用户设备
WO2024078611A1 (zh) 信息配置方法、装置、终端及网络侧设备
WO2024022517A1 (zh) 发送节能信号的方法、配置方法、装置及设备
CN115915352A (zh) 信息交互方法、装置及通信设备
CN11594243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