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0725A -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 Google Patents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0725A
KR20200120725A KR1020207026512A KR20207026512A KR20200120725A KR 20200120725 A KR20200120725 A KR 20200120725A KR 1020207026512 A KR1020207026512 A KR 1020207026512A KR 20207026512 A KR20207026512 A KR 20207026512A KR 20200120725 A KR20200120725 A KR 202001207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ing
open spectrum
reception
attempt
bur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차드 융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20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07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04W56/0015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one node acting as a reference for the oth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e.g. scheduled or random access
    • H04W74/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H04W74/0808Non-scheduled or contention based access, e.g. random access, ALOHA,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using carrier sensing, e.g. as in C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를 단말(101)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단말(101)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본 발명의 다양한 예시들은 주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교신되는 페이징 신호를 이용하는 단말의 페이징에 관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본 발명의 예시들은 특히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 전략에 관련되어 있다.
주파수 사용효율과 데이터 속도를 높이기 위해 라이센스가 필요없는 대역에서의 무선 통신이 허용된다. 라이센스가 필요없는 대역은 개방형 스펙트럼에 해당하며 다수의 운영자 또는 네트워크가 개방형 스펙트럼을 공유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즉,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는 단일 운영자 또는 네트워크로 제한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무선 통신은 복수의 네트워크가 동일 대역을 공유할 수 있도록 통신에 있어서 소정의 절차와 제약들을 수반하게 된다. 예시적으로 클리어 채널 평가방식(Clear Channel Assessment Techniques)이 있으며, 캐리어 센스 다중액세스/충돌회피(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기법이 대표적이다. 동일 스펙트럼을 다수의 네트워크가 공유할 수 있는 다른 기술로서, 시간 단위 당 전송의 최대 퍼센티지를 제한하거나(제한적 전송 듀티사이클), 최대 전송출력의 제한, 전송단위별 채널에 대한 최대 점유시간을 제한하는 것들이 있으며, 이들 기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들 대역 공유에 관한 기술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규제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고, 특정 주파수의 대역 조건 뿐만 아니라 장비가 위치하는 지리적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다중액세스의 제약에 따라 요구되는 기술에 따른 모든 절차를 통칭하여 "LBT"(Listen-Before-Talk)라고 표기한다.
다수의 네트워크가 스펙트럼을 공유하는 기술에 따라 소정의 네트워크 노드를 통해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하여 LBT 절차를 시도하게 되며, 경우에 따라 상기 노드는 원하는 시각에 원하는 수신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LBT 절차의 결과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노드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공유에 관한 소정의 전송규약에 의해 제한되는데, 이에 따라 성공적이지 못한 전송시도를 LBT 실패라고 칭한다. LBT 실패의 경우, 송신기는 적용된 대역 공유기술에 따른 제약이 해소되어 통신을 제한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이러한 대기상태에 이르게 되면 타이머를 기동하거나 앞서 설명한 제한 파라미터값에 대한 평가를 이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이러한 대기상태를 백오프(backoff) 절차라고 칭할 것이며, LBT 절차의 실패는 통신 지연들의 원인이 된다.
한편, 무선 통신에서는 에너지 소비를 제한하도록 유휴모드 동작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경우 단말기(UE)느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접속을 액티브 상태로 유지하지 않으며. 단말기(UE)와의 접속을 위해서 페이징 방식이 채택된다. 페이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신호를 교신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며 통상 페이징 신호는 페이징 지시자(indicator) 및 페이징 메시지를 포함한다. 페이징은 단말기(UE)가 유휴모드인 동작상태에서 실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단말기(UE) 모뎀의 수신부는 유휴모드에서도 선택적으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를 통신할 때 단말기(UE)의 페이징에 소요되는 대기시간이 상당히 증가하는 문제가 알려져있다. 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노드가 LBT 실패 및 연관된 백오프 절차로 인해 원하는 시간에 페이징 신호를 송신할 수 없기 때문이며, 단말기(UE)의 불연속 수신(DRX: Discontinuous Reception)에 기인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단말기(UE)의 페이징을 위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액세스에 요구되는 진보된 기술이 필요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앞서 나열한 액세스 제약조건과 단점의 적어도 일부를 해소하거나 경감하는 기술적 요청이 주목받게 되었다.
위의 기술적 요청은 본 발명의 독립항들에 포함된 특징으로서 충족되며, 종속 청구항에서 각 실시예를 특정한다.
본 발명의 일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SS: synchronization signal) 버스트(burst)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단말로 송신된다. 본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paging)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단말기(UE)로 전송된다.
SS 버스트는 SS 블록으로 불리기도 한다.
본 발명의 일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에서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은 제1 수신시도(reception attempt)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시도 역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2 수신시도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일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 내에서 공통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를 송신 및/또는 수신(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기지국(BS)으로부터 단말기(UE)로 전송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BS로부터 UE로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서,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본 발명의 방법이 실행된다. 상기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UE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것이다.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가능한 것이다.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시도 역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수신시도는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대상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일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 내에서 공통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송신 및/또는 수신(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UE로 전달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BS로부터 UE로 전달된다.
기지국은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단말로 송신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UE로 송신된다.
단말 역시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회로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는 BS로부터 수신된다.
단말은 또한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회로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에 대한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고;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 내에서 공통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에는 단말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에 대한 타이밍 스케줄에 맞추어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신호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는 또한 위의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으로 기지국에서 송신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수신시도의 제1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위한 추가적인 제1 수신시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위한 추가적인 제2 수신시도에 대하여 백오프(backoff)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코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본 발명의 단말을 동작시키는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신호를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수신시도의 제1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위한 추가적인 제1 수신시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위한 추가적인 제2 수신시도에 대하여 백오프(backoff)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말에는 제어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제어회로는 단말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신호를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으로 기지국에서 전송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위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기 제1 수신시도의 제1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위한 추가적인 제1 수신시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위한 추가적인 제2 수신시도에 대하여 백오프(backoff)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기준신호는 기지국에서 브로드캐스팅된 신호, SS 또는 SS 버스트 및/또는 기지국에서 전송된 가변신호의 고정된 프리앰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채널 사운딩 신호 또는 DL 파일럿 신호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UE로 전송되며, 상기 방법은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BS로부터 UE로 및/또는 UE로부터 BS로 전송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BS 네트워크과 UE 사이의 연결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레이어 3 베어러 등과 같이 UE와 BS간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UE를 유휴(idle) 동작모드에서 접속상태의 동작모드로 천이시키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RA 절차를 위한 랜덤 액세스(RA: Random Access) 메시지; UL RA 메시지 1에서 전송되는 RA 프리앰블; DL RA 메시지 2(예를 들어, UE에 대한 임시 식별자를 포함하면서 UL RA 메시지 1에 응답하는데 이용된다); UL RA 메시지 3(예를 들어, 레이어 3 데이터 접속을 셋업하는데 이용된다); DL RA 메시지 4(예를 들어, UL RA 메시지 3에 응답하는데 이용된다) 등.
예를 들어, 두 단계 또는 네 단계 RA 절차가 채택될 수 있다.
하나의 공통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를 연쇄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더 짧은 시간 내에, 예를 들어, 더 적은 LBT 시도로서 네트워크 액세스에 도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UE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회로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SS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UE로 전달된다. 위 제어회로는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BS로부터 UE로 및/또는 UE로부터 BS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 BS는 제어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회로는 개방형 스펙트럼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서 적어도 하나의 SS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BS로부터 UE로 전달된다. 위 제어회로는 또한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는 BS로부터 UE로 및/또는 UE로부터 BS로 전달된다.
상술한 특징과 아직 설명되지 않은 아래의 특징들은 설명된 형태 그대로의 각 조합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다른 형태로의 조합 또는 분리된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는 것임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네트워크의 개략도이며 BS 및 UE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BS 및 UE의 보다 상세한 개략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셀룰러 네트워크로 구현한 실시예의 개략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UE의 각 동작모드들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서의 상기 동작모드들과 연관되어 DRX 사이클에 따라 활성화 되는 UE에서의 수신기 상태들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UE의 페이징을 보여주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본 밞명의 다양한 예의 통신에 따른 도 6의 페이징에 대한 세부를 보여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SS 버스트 및 페이징 신호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할당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SS 버스트 및 페이징 신호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할당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SS 버스트 및 페이징 신호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할당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 다양한 예에서의 UE의 수신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 다양한 예에서의 UE의 수신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 다양한 예에서의 UE의 수신시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 다양한 예에 따른 일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 다양한 예에 따른 일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 다양한 예에 따른 일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 대하여 한정적인 의미로 받아들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유의해야 할 것이다. 후술하는 실시예 또는 도면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이며, 그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없음을 밝혀둔다.
도면들은 발명 요소들에 대한 개략적 표현이며 각 도면에 나타내어진 구성들은 반드시 실제 스케일과 맞게 보여주지는 못한다. 오히려, 상기 다양한 구성들의 기능과 일반적인 목적에 비추어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파악하도록 한다.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모든 기능블록, 장치, 구성요소, 또는 그밖의 물리적 또는 기능적 유닛에 대한 상호간의 연결 또는 커플링에 관한 것들은 모두 간접적인 연결이나 커플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들 간의 커플링은 무선 접속을 통해서도 가능할 것이다. 기능블록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 기능 또는 절차를 나타낸다.
이하, 무선 통신기술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무선통신을 실현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통상 시간-주파수 자원에 대하여 중앙 관제에 따른 스케줄링이 없다. 따라서 개방형 스펙트럼에서 다수 장치들의 동시 다발적인 액세스에 대하여 충돌을 회피하도록 실패한 전송시도를 위한 LBT 및 백오프 방식이 채택된다.
유휴모드에 있는 UE를 동작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유휴모드에서는 데이터 접속이 유지되지 않는다. 유효모드는 UE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그 중에서도 제한된 배터리 용량을 갖는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또는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장치들에 특히 도움이 되며, 그밖의 다른 장치 또한 유휴모드 동작이 유용하다. 유휴모드에서의 UE는 각 타이밍 스케줄에 따라 오프(OFF) 구간과 온(ON) 구간을 포함하는 DRX 사이클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프 구간에서 UE 인터페이스의 수신기는 비활성상태에 놓이게 된다. 상기 수신기는 어떠한 데이터도 수신하지 못하는 상태이고, 그에 따라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온 구간들은 PO(Paging Occasion)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기가 페이징 신호들을 수신하기에 적합하도록 활성 상태에서 동작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전달되는 페이징 신호를 사용하여 유휴모드에서 UE가 페이징을 수용하게 하는 기술에 대하여 설명한다. 성공적인 페이징을 위해, 통상 3개의 신호가 전달되어야 하며: 첫째, SS 버스트와 같은 하나 이상의 SS; 둘째, 페이징 표시자; 및 셋째, 페이징 메시지이다. 이하, 페이징 표시자와 페이징 메시지 모두를 포함하는 페이징 신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SS 버스트는 각각 다수의 SS 블록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SS 블록은 복수의 SS, 예를 들어, 1차 SS(Primary SS), 2차 SS(Secondary SS), PBCH-DMRS(Physical Broadcast Channel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기술들은 위와 같은 시나리오에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SS 버스트 및 페이징 신호의 전달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에 기초하고 있다. 다시 말해, 위 페이징 신호의 기준에 따르면 모든 3개의 신호가 전달되기 전에 LBT를 포함하는 3개의 전송시도가 모두 성공적이어야 한다. 3개의 전송시도 중 어느 하나라도 실패하는 경우, 각각의 백오프로 인해 페이징이 지연될 것이다. 통상 백오프 절차 등 LBT에 따른 지연, 구체적으로 UE의 DRX 동작과 연계하여 소정의 PO를 정의하게 되지만, 이것은 자칫 실패한 전송시도에 기인한 대기시간(latency)에 대하여 DRX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에서 상당한 정도의 긴 오프 구간을 설정하게 만들게 된다. 이것은 페이징에 상당한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며 MTC 또는 IOT에 적용될 경우 몇 분 또는 나아가 몇 시간까지의 지연을 일으키게 된다. 이것은 하나의 PO가 통과하고 나면 그 다음 PO는 오직 DRX 사이클의 오프 구간이 경과한 이후에만 가능하기 때문이다.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RAN1#90-Bis 회의의 R1-1715582 기고에서 LBT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복수의 SS 버스트를 전송하는 실시가 발표된 바 있다. LBT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은 단일 PO 안에서 UE의 성공적인 페이징 가능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여전히 단일 PO 안에서 성공적이지 않은 페이징 문제가 상당하며, 이하 본 발명의 설명에 따른 기술에 따라 단일 PO 안에서 페이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예와 같이 개방형 스펙트럼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S 버스트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페이징 신호를 연쇄시키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채널 액세스 인터벌은 주어진 장치가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를 지속할 수 있는 시간으로서 그 최대시간으로써 접속을 제한하게 된다. 통상, 채널 액세스 인터벌의 시작점은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전송개시 시점으로 정의되고; 채널 액세스 인터벌의 종점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규제상황 등에 따른 액세스 규정에서 미리 설정한 최대 채널점유시간(MCOT: Maximum Channel Occupancy Time)으로 정의된다. 채널 액세스 인터벌은 통상 10 ms - 1 s의 범위에 있게 된다.
이같은 경우 단일 전송시도로써 UE의 동기화를 획득하기 위한 SS는 물론 페이징 지시자 및 선택적으로 페이징 메시지와 같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 모두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단일 LBT 절차만으로 충분히 UE의 페이징을 완료할 수 있고, 단일 PO 안에서의 페이징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신호들을 MCOT 내에 맞추도록 전송방식을 주파수 도메인까지 확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복수 신호들에 대해 주파수 분할 이중화(FDD: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SS 블록 또는 나아가 복수의 SS 버스트에 대해 FDD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페이징 신호에 대해, 예를 들어 페이징 지시자에 대한 FDD와 페이징 메시지에 대한 FDD 등을 부가하거나 대체하는 방식을 선택할 수도 있다.
통상, 소요되는 정보량은 페이징 지시자보다 페이징 메시지가 더 클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페이징 지시자에 소요되는 정보량은 SS 버스트에 대한 정보량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전송되는 정보량이 늘어남에 따라 대역폭은 MCOT의 끝에 가까울수록 상승할 수 있다. 이와 같이 SS 버스트로부터 페이징 정보까지의 주파수별 소요 대역폭의 상승은 전송자원의 비대칭적 수요를 보여준다. 주파수 도메인에서 보는 전송자원 수요는 그 전송 유형에 따라 다르게 되고 대칭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즉, SS들에 대하여, 예를 들어 SS 버스트에 대해 FDD를 적용함으로써,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얻을 수 있고, 이에 따라 SS 브로드캐스트와 페이징 전송을 결합하여 발생하는 비대칭적 자원 수요를 줄일 수 있다. 이는 개방형 스펙트럼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위는 다음과 같은 발견에 기초한다. 비대칭적 자원수요는 점유된 물리적인 시간-주파수 자원요소 또는 자원블록의 소규모 일부들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다. 개별적인 자원요소 또는 자원블록은 스케줄링에 의해 어드레싱될 수 없는데, 이는 스케줄링 정보 자체가 자원블록그룹(RBG: Resource Block Group)이라 일컷는 다수의 자원요소 또는 자원블록에 적용되는 총괄적 어드레싱 스킴에 기초하기 때문이다. 상기 자원요소 또는 블록의 소규모 일부들은 상기 RBG와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자원요소 또는 블록의 소규모 일부들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대칭적 자원수요가 필요한 경우와는 별개이다.
FDD를 모든 SS에 대해 적용할 필요는 없다. PO와 정렬된 SS들에 대해 선택적으로, 즉, SS가 PO 안에서 전달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활성화 한다. 부가적으로 후속 SS 또는 SS 버스트에 대해 더 작은 대역폭을 점유하는 PO 안의 SS 또는 SS 버스트와 인터리빙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UE는 효과적으로 재차 동기화되고, 즉, 타이밍 동기를 다시 획득할 수 있고, 단일 PO 내에서, 즉, 수신기 동작의 단일 인스턴스 내에서, 가능한 페이징을 식별할 수 있게 된다. UE가 SS 버스트 전송을 검출하면, 커버리지 내 시나리오로서 결론을 내리고, 상기 UE는 계속해서 페이징 신호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페이징이 검출되면, UE는 랜덤 액세스(RA: random access) 절차로 이행할 수 있으며, UE에 의해 실행되는 LBT가 요구된다.
동시에, SS 버스트 및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위한 BS의 전송시도가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 이는 UE에 의해 쉽게 검출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SS 버스트를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며, 이에 대해서는 UE가 정해진 백업 절차를 이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PO는 통상 UE가 네트워크으로부터 페이징 신호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는 소정 시간과 연관되어 있다. 본 발명의 예에 따르면, BS에서 LBT로 인해 전송시도가 실패할 경우, 네트워크와 UE는 후속하는 PO를 기다린다. 통상, 백오프 지속시간은 PO의 지속시간보다 길다. PO의 주기성은 DRX 사이클 타이밍 스케줄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후속 PO 간의 타임 오프셋은 통상 오프(OFF) 구간에 대응한다. 즉 몇 초, 몇 분 또는 몇 시간에 이를 수 있다. 따라서, 개방형 스펙트럼이 점유되어 전송시도가 실패하는 경우, 즉, 하나 이상의 다른 장치가 채널 액세스 중인 경우, 상기 네트워크의 대기시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반면, UE의 페이징이 전혀 없기 때문에 BS가 어떠한 페이징 신호도 송신하지 않는 시나리오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UE는 관련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며, BS가 실제 전송시도를 하지 않았음에도 UE는 BS의 전송시도가 실패하였던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다. 이같은 모호한 상황에서 백업 절차가 실행되는 경우,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본 발명의 UE는 MCOT 내에 SS를 포함하여 어떠한 신호도 없는 상황을 판단하여 전송시도의 실패를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UE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신호에 대해 제1 수신시도를 실행하도록 하고,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에 대해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기준신호는 전송시도가 성공한 경우 BS로부터 UE에게 전송될 것으로 예상하는 소정의 신호일 것이다. 예를 들어, SS 또는 SS 버스트가 상기 기준신호의 예시일 것이다. 다른 예시로 채널 사운딩 신호 또는 DL 파일럿 신호 등도 포함된다. 그 후, 제1 수신시도 및 제2 수신시도의 결과에 따라, 다른 백업 절차가 취해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UE가 제1 수신시도의 결과에 기초하여 실패한 전송시도를 결정하는 것에 응답하여, 백오프를 활성화 할 수 있다. 이 경우 DRX 사이클의 오프 지속시간을 짧게 하거나, 나아가 다음 PO까지 수신기를 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것까지 포함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예시된 기술에 따라 개선될 수 있는 무선통신 네트워크(100)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네트워크는 3G, 4G-LTE 또는 출시될 5G-NR과 같은 3GPP-표준화된 네트워크일 수 있다. 다른 예는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특정 네트워크, 예를 들어, 802.11x Wi-Fi 프로토콜 또는 Bluetooth 프로토콜과 같은 점-대-점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3GPP 협대역 사물인터넷(NB-IoT) 또는 확장된 기계형통신(eMTC)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BS(112) 및 UE(101)를 포함한다. 무선링크(114)는 BS(112)와 UE(101)를 연결한다. 상기 무선링크(114)는 BS(112)로부터 UE(101)로의 DL 링크를 포함하고; UE(101)로부터 BS(112)로의 UL 링크를 더 포함한다. UL과 DL 간의 간섭을 경감시키도록 시분할 다중화(TDD), 주파수-분할 다중화(FDD), 공간-분할 다중화(SDD) 및/또는 코드-분할 다중화(CDD)가 적용될 수 있다. TDD, FDD, SDD 및/또는 CDD는 같은 방식으로 무선링크(114) 상에서 통신하는 다수의 UE간 간섭을 경감시키기 위해 채용될 수도 있다(도 1에 미도시).
UE(101)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셀룰러 폰; 태블릿;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TV; MTC 장치; eMTC 장치; IoT 장치; NB-IoT 장치; 센서; 액추에이터; 등의 하나일 수 있다.
도 2는 BS(112) 및 UE(101)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BS(112)는 프로세서(CPU)(1121)와, 프론트엔드라고 칭하는 인터페이스(IF)(1122)를 구비한다. 상기 IF(1122)는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BS(112)는 메모리(MEM)(1125),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는 프로세서(112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121) 및 메모리(1125)는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프로세서(1121)가 LBT 동작을 포함하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송신;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전송시도; 백오프; SS송신; 페이징 신호송신; 등에 관한 기술적 절차를 실행하게 할 수 있다.
UE(101)는 프로세서(CPU)(1011)와, 프론트엔드라고 칭하는 인터페이스(IF)(1012)를 포함한다. 상기 IF(1012)는 수신기와 송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UE(101)는 메모리(MEM)(1015),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1015)는 프로세서(1011)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상기 프로세서(1011) 및 메모리(1015)는 제어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면 프로세서(1011)가 LBT 동작을 포함하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수신; SS수신; 페이징 신호수신;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수신시도; LBT 등에 관한 기술적 절차를 실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신호 SS(159)를 표시하였다. SS(159)는 BS(112)에 의해 송신되고 UE(101)에 의해 수신된다. 상기 SS(159)는 BS(112)의 기준클럭과 UE(101)의 클럭 간 시간 동기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시간 동기화는 UE(101)가 BS(112)로부터 수신하는 신호들, 예를 들어, 페이징 신호 등을 디코딩하는데 필요하다. 시간 동기화는 BS(112)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와 UE(101)에 의해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 그리드를 정렬하는 데 이용된다. 경우에 따라, SS(159)는 SS 버스트로 클러스터링 된다(도 2에 미도시).
도 3은 무선 네트워크(100)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3의 예시는 3GPP 5G 아키텍처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100)를 나타낸 것이며, 그 기본 아키텍처의 세부는 3GPP TS 23.501, 버전 1.3.0(2017-09)에 설명되어 있다. 도 3 및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는 3GPP 5G 프레임워크 기술에 따른 것을 보여주지만, 다른 통신 프로토콜에서도 이와 유사한 기술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GPP LTE 4G 및 IEEE Wi-Fi 기술 등이 포함된다.
상기 UE(101)는 통상 하나 이상의 BS(112)(도 3에 미도시)로 이루어지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N: radio access network)(111)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100)에 접속될 수 있다. 무선링크(114)는 RAN(111)과 UE(101) 사이, 구체적으로 RAN(111)의 하나 이상의 BS(112)들과 UE(101)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RAN(111)은 코어 네트워크(CN: core network)(115)에 접속되며, 상기 CN(115)은 사용자 평면(UP: user plane)(191)과 제어 평면(CP: control plane)(192)을 포함한다. 통상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UP(191)를 통해 라우팅된다. 이를 위해, UP기능(UPF: UP function)(121)이 부여되며, 상기 UPF(121)는 라우터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UPF(121)를 통과하게 된다. 도 3의 시나리오에서, UPF(121)는 데이터 네트워크(DN: data network)(180),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향한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며,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UE(101)와 DN(180)에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들 간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네트워크(100)는 또한 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기능(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131); 세션 관리기능(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132); 정책 제어기능(PCF: Policy Control Function)(133); 어플리케이션 기능(AF: Application Function)(134);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기능(NSSF: 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134); 인증서버 기능(AUSF: 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136); 및 통합 데이터 관리(UDM: Unified Data Management)(137)를 포함한다. 도 3은 또한 이들 노드 사이에 프로토콜 기준 포인트 N1-N22를 보여준다.
상기 AMF(131)는, 등록 관리; NAS 종료; 접속 관리; 접근성 관리; 이동성 관리; 액세스 인증; 및 액세스 허가의 기능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제공하고, AMF(131)는 UE(101)에게 NAS-레벨 보안 컨텍스트를 조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3GPP TS 23.501 버전 1.3.0(2017-09), 섹션 6.2.1에 따른다. 예를 들어, 상기 AMF(131)는 접속 해제모드에서 동작하는 각 UE(101)들에 대하여 이들 UE(101)에 대한 CN-개시(CN-initiated) 페이징을 제어한다. 상기 AMF(131)는 UE(101)의 DRX 사이클의 타이밍을 추적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트래킹 영역에서 UE 이동성이 확보되도록 RAN(111)의 BS(112)가 UE(101)에 대해 페이징 신호의 전송을 트리거링 할 수 있다.
UE(101)가 접속모드에서 동작하는 경우 AMF(131)가 이들 각 UE(101)와의 데이터 접속(189)을 설정한다. AMF(131)는 UE(101)의 현재 모드를 추적하기 위해, UE(101)를 ECM(진화된 패킷 시스템 접속 관리: Evolved Packet System Connection Management) 또는 ECM 아이들 모드로 세팅한다. ECM 연결 중에는, UE(101)와 AMF(131) 간 NAS(논-액세스 계층: Non-Access Stratum) 연결을 유지한다. NAS 연결은 이동성 제어 연결의 일예에 해당하며, 상기 NAS 연결은 UE(101)의 페이징에 응답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SMF(132)는, RAN(111)과 UPF(121) 간 UP 베어러의 베어러 셋업을 포함는 세션 확립, 수정 및 해제 등의 세션 관리; UPF들의 선택과 제어; 트래픽 조정 구성; 로밍 기능; NAS 메시지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종료 등의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AMF(131)와 SMF(132) 양자는 이동하는 UE에서 필요로하는 CP 이동성 관리를 제공한다.
도 3은 또한 데이터 접속(189)에 대한 예시를 보여준다. 도시된 것처럼 데이터 접속(189)은 UE(101)에서 상기 RAN(111)을 거쳐 CN(115)의 UP(191)로, 그리고 DN(180)을 향해 수립된다. 예를 들어, 인터넷 또는 다른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접속이 가능해진다. 상기 데이터 접속(189)을 위해서, 각각의 UE(101)는 예를 들어, 페이징 신호의 수신 등에 응답하여 랜덤 액세스(RA: Random Access) 절차를 수행한다. 상기 DN(180)의 서버는 데이터 접속(189)을 통해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때로는 또한 페이로드 데이터라고 칭함)를 전송하는 서비스를 호스팅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데이터 접속(189)은 전용 베어러 또는 디폴트 베어러와 같은 하나 이상의 베어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접속(189)은 RRC(무선자원 제어: Radio Resource Control) 계층,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OSI 모델의 레이어 2의 레이어 3에서 정의될 수 있다.
도 4는 UE(101)가 동작할 수 있는 모드들(301-303)의 예시를 보여준다. 이들 동작 모드들(301-303)의 구현에 대해서는 3GPP TS 38.300의 버전 15.0 등에 설명되어 있다.
접속모드(301) 중에는 상기 데이터 접속(189)으로 세팅된다. 예를 들어, 디폴트 베어러와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용 베어러가 UE(101)와 네트워크(100) 사이에 세팅될 수 있으며, UE(101)의 수신기는 활성 상태에서 동작을 지속할 수 있다.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접속모드(301)로부터 수신기의 DRX 사이클을 채용하는 접속모드(302)로 천이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DRX 사이클은 각각의 타이밍 스케줄에 따른 온 구간과 오프 구간을 포함한다. 오프 구간 중에 상기 수신기는 데이터 수신에 부적합하며, 수신기의 비활성상태를 활성화시키는 상태이다.
본 발명에서 UE(101)와 BS(112) 간 DRX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이 동기화되며, 그에 따라 상기 BS(112)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 소정의 DL 전송에 대하여 접속모드 DRX 사이클의 온 구간과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데이터 접속(189)은 상기 모드(302)에서 셋업으로 유지된다.
추가적인 전력 감소를 위해 유휴모드(303)에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유휴모드(303) 역시 UE(101) 수신기에서의 DRX 사이클과 연관되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유휴모드(303)의 DRX 사이클 온 구간 중에 상기 수신기는 페이징 지시자와 선택적으로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에만 적합하다. 예를 들어, 유휴모드(303)에서는 DRX 사이클의 온 구간에 상기 수신기가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는 특정 대역폭으로 제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수신기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수신하기에 적합하지 않겠지만, 그에 따라 접속모드(302)와 비교하여 적어도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도 5는 상이한 모드들(301-303) 간 천이에 수반하는 양태들을 보여준다. 도 5는 또한 DRX 사이클(370)을 적용한 경우의 양태를 보여준다. 이러한 기술은, 페이징 신호의 전송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서 적용 가능하다.
우선, UE(101)는 접속모드(301)에서 동작한다. 수신기가 지속적으로 활성상태(381)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높은 레벨에서의 전력소비를 지속한다. 상기 활성상태(381)는 소정의 전력소비에 연관된 상태이다. 그 후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DRX를 채택하는 접속모드(302)가 활성화된다. 여기서, 수신기의 온 구간(371) 과 오프 구간(372)으로, 선택적으로 활성상태(381) 및 비활성상태(384)로 동작하는 것을 보여준다.
전력 소비를 더 감소시키도록, 이어서 유휴모드(303)가 활성화된다. 이는 데이터 접속(189)의 해제를 수반한다. 다시, 상기 유휴모드(303)는 각 타이밍 스케줄(375)에 따른 온 구간(371)과 오프 구간(372)을 갖는 DRX 사이클(370)을 채택한다. 상기 유휴모드(303)에서의 온 구간(371)은 접속모드(302)에서의 온 구간(371)에 비교하여 더 낮은 전력 소비를 보여주는데, 이것은 유휴모드(303)에서 활성상태(382)로 동작하는 상기 수신기의 성능이 접속모드(302) 때와 비교하여 감소하기 때문이다. 활성상태(382) 중에 유휴모드(303)인 경우, 상기 수신기는 페이징 신호의 수신만을 대기한다. 각 타이밍 스케줄(375)의 온 구간(371)은 PO(202)들과 정렬된다.
도 6은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UE(101)와 BS(112) 사이의 통신에 관한 양태를 보여주며, 도 6은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송신 및/또는 수신(통신)하는 것에 관한 양태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선택적 블록인 3001에서, 사용자-데이터 메시지(4002)가 교신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데이터 메시지(4002)는 데이터 접속(189)을 통해서, 베어러 등의 일부로서 통신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데이터 메시지(4002)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한다.
그 후, UE(101)와 BS(112) 사이에 더 이상 통신할 데이터가 없게 된다. 송신 버퍼가 비워지고, 그에 따라 타이머가 트리거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는 UE(101)에서 실행될 수 있다. 비활성 스케줄(201)에 대해 설정된 특정 타임아웃 지속시간이 지나면, 3002에서 상기 UE(101) 수신기는 활성상태(381)로부터 비활성상태(384)로 천이된다. 이는 UE(101)의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수행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접속(189)은, 메인 수신기(1351)를 비활성상태(384)로 천이시키기 전에 적절한 제어 시그널링(도 6에 미도시)에 의해 해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타임아웃 지속시간(201)은 비활성상태(384)로의 천이를 위한 트리거 기준의 일 예시이며; 다른 트리거 기준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접속해제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유휴모드(303)로의 천이에 해당한다(도 4 참조).
이어서 여러 PO(202)들이 실행되며, 상기 PO(202)들은 DRX 사이클(370)의 온 구간(371)들과 맞추게 될 것이다.
어느 시점에 이르러, 상기 BS(112)가 페이징 지시자(4004)를 전송하면, 3003에서 상기 UE(101)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4004)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페이징 지시자(4004)는 UE(101)의 임시 또는 고정 아이덴티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지시자는 복수의 UE를 지칭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지시자가 국제 모바일 가입자 아이덴티티(IMSI: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과 같은 UE들의 고유 아이덴티티로부터 불확정한 소정 지시자를 생성하는 방식에 따르기 때문이다. 3004에서 상기 페이징 지시자(4004)는 페이징 메시지(4005)를 통신하는데 사용되는 변조 및 코딩 방식(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4005)는 공유채널, 예를 들어,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에서 교신될 수 있으며, 페이징 메시지는 RRC 제어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페이징 지시자(4004) 및 페이징 메시지(4005)는 다른 채널 상에서 통신될 수 있다. 상기 페이징 메시지(4005)는 페이징 지시자(4004)에 의해 정의되는 MCS에 따라 변조 및 인코딩될 수 있다. 따라서, UE(101)는 먼저 페이징 지시자(4004)를 수신하고, 그 다음 페이징 메시지(4005)를 수신할 필요가 있게 된다. 상기 페이징 지시자(4004) 및 페이징 메시지(4005)는 반드시 동일 PO에서 수신되도록 강제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3005에서, UE(101)와 BS(112) 사이에 데이터 접속(189)이 설정된다. 이때 소정 RA 절차 및 RRC 셋업을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006에서, 페이로드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UL 또는 DL 사용자-데이터 메시지(4002)가 새로 수립된 데이터 접속(189)을 통해서 교신하게 된다.
도 6에서, UE(101)는 소정 PO(202)에 페이징 수신을 준비하도록 수신기를 활성화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UE(101)는 통상 SS 전송을 먼저 식별할 것이 요구된다. 도 6에는 SS 버스트 송신에 대하여 도면의 간결성을 위해 표시를 생략하였다. 3GPP NR에서, SS들은 SS 버스트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SS 블록은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 뿐만 아니라 1차 SS(PSS) 및 2차 SS(SSS)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어진 일 SS 버스트에는 상기 SS 블록이 여러 차례 반복될 수 있다. 상기 SS 버스트는 소정의 타임 윈도우와, 예를 들어 5 ms 타임 윈도우와 함께 정의될 수 있다. 각 SS 블록의 최대 전송 대역폭은 각각 [15 30 120 240] KHz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5 10 40 80] MHz일 수 있다. 그리고 SS 버스트 세트의 주기는 {5, 10, 20, 40, 80, 160} ms의 세트로부터 구성될 수 있다.
도 6의 시나리오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통신과 결합될 수 있다. 이것이 도 7과 같다.
도 7은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UE(101)와 BS(112) 사이의 통신에 관한 양태를 보여주며,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송신 및/또는 수신(통신)하는 것에 관한 양태를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도 7은 페이징을 위해 개방형 스펙트럼에 액세스하는 양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7의 기술은 도 6의 3003, 3004로 표시된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통신과 연계시켜 적용될 수 있다.
일 PO(202)와 시간-정렬되는 3011 시점에, BS(112)가 LBT 절차를 실행한다. 다시 말해, 상기 BS(112)가 개방형 스펙트럼에 대한 액세스를 시도한다. 따라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신호 레벨이 감지될 것이며, 예를 들어, 신호 레벨이 임계값을 초과하면, 백오프(470)가 실행된다. 도 7의 시나리오에서, 3011에서의 상기 LBT 절차는 UE(101)에 의해 동작하는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에 따라 실행된다. LBT 절차는 상기 BS(112)가 DRX 사이클(370)의 온 구간(371)과 일치하는 소정 PO(202)에서 전송시도를 실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7과 같이, 상기 전송시도가 실패하고 백오프(470)가 활성화된다. 그 후 3012에서, 다음 PO(202) 또는 여전히 동일한 PO(202) 안에서 추가적인 LBT 절차가 실행된다. 3012에 이르러서 전송시도가 성공하고, 상기 BS(112)는 3013, 3014에서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전송한다.
도 7는 또한 UE(101)의 동작에 관한 다른 양태를 보여준다. 도 7의 시나리오에서, 상기 UE(101)는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에 맞추어 3015 및 3016에 수신시도를 실행한다. 상기 수신시도는 3011에서의 실패한 전송시도로 인해, 3015에서 실패한다. 이어서 3016에서의 수신시도로써 성공한다.
이하, 수신시도에서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수신하지 못하는 두가지 시나리오로서, (I) 네트워크가 UE(101)를 페이징하지 않고 그에 따라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송신 자체를 시도하지 않거나; (II) 네트워크가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송신하려고 시도하지만 실패한 전송시도로 인해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에 대하여 이를 식별할 수 있게 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라 UE(101)에서 맞춤화된 백업 절차가 가능하게 되며, 불확정성을 회피함으로써 에너지 소비를 줄이게 해준다.
아래에서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개방형 스펙트럼의 MCOT 안에서 UE(101)의 페이징이 완료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의 접근 방식들에 대하여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페이징을 위한 본 발명의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을 보여준다. 도 8은 SS 버스트(150) 및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시간-주파수 자원 할당을 보여주는데, 이들 자원은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 존재하는 자원이다.
시간-주파수 자원들은 심벌과 서브캐리어를 포함시킨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변조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원소별 인코딩 정보는 각각의 시간-주파수 자원 요소와 연관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BS(112)로부터 다수의 SS(159)를 포함하는 SS 버스트(150)가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UE(101)로 전송된다. 페이징 신호(4004, 4005) 역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BS(112)로부터 UE(101)로 전송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 버스트(150) 뿐만 아니라 페이징 신호(4004, 4005)가 공동으로 하나의 MCOT(405)안에서 전달되지만 시간-주파수 자원은 각각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LBT 절차의 전송시도가 성공적일 경우, 단일 MCOT(405) 내에서 모든 신호(150, 4004, 4005)가 전송되게 된다. 단일 MCOT만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주파수 자원이 불리하게 할당되어 복수의 MCOT가 필요한 시나리오에 비해서 페이징을 빠르게 완료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9 역시 페이징을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나타낸다. 도 9는 전체적으로 도 8과 일치한다.
도 9의 시나리오에서는, 다수의 SS 버스트(150)가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통해 전송된다. 그 결과, UE(101)와 BS(112)가 동기화를 위해 주파수 다이버시티가 실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반적으로 페이징 신호(4004, 4005)의 성공적인 수신 가능성을 증가시키데 된다.
이러한 주파수 분할 다중화 접근법에 더하여, MCOT(405)의 길이가 허용된다면, 다수의 SS 버스트(150)에 대해 시분할 다중화를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적용하여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MCOT(405)의 지속시간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규제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므로, MCOT(405)의 지속시간의 이러한 결정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주파수-재사용률이 선택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시나리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는 MCOT(405)의 제1 부분(411)에서 전송된다.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제1 부분(411) 다음에 배열되는 MCOT(405)의 제2 부분(412)에서 전달된다. 대역폭(451)을 사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는 전송되고, 상기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대역폭(452)을 사용하여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각 대역폭(451)과 대역폭(452)은 서로 다를 수 있다. 통상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더 많은 정보가 전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역폭(452)이 대역폭(451)보다 큰 경향을 보이게 되지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SS 버스트(150)의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주파수-재사용률에 따라서, 상기 차이가 없거나 작아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411, 412) 사이에 자원할당의 비대칭성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되고; 아울러 개방형 스펙트럼의 효율적 사용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SS 버스트를 전달함으로써 발생하는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제한하기 위해, SS 버스트의 전달을 위한 대역폭을 적응적으로 할당할 수도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는 도 10에 도시된다.
도 10은 페이징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보여준다. 도 10의 시나리오에서, SS 버스트(150) 및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UE(101)의 DRX 사이클(370) 타이밍 스케줄(375)에 따라, 즉, PO(202)에 전송된다.
도 10의 시나리오에서, 상기 SS 버스트(150)의 전송을 위한 대역폭(451)은 PO(202)에서, 즉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쥴(375)에 맞추어 도 9와 같이 제공된다. 그러나 더 작은 대역폭(453)을 사용하는 추가적인 SS 버스트(150A)는 PO(202)들 사이에 전송된다. 예를 들어, SS 버스트(150)에 포함된 SS(159)는 SS 버스트(150A)에 포함된 SS(159)와 같거나 서로 상관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SS 버스트(150A)의 반복율은 통신 신호 버스트(150)의 반복율 보다 클 수 있다.
도 10의 접근 방식으로 제어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제한하고; 동시에 페이징 지연을 낮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 내지 도 10의 시나리오에서, MCOT(405)에서 전송되는 페이징 신호는 페이징 지시자(4004)와 페이징 메시지(4005)(도 6 및 도 7 참조) 모두를 포함하며, 상기 페이징 메시지(4005)는 페이징 지시자(4004)에 후속하여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공통 MCOT(405)에서 페이징 지시자(4004) 만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과 함께 전송되는 경우에는 이미 낮은 대기시간(low-latency) 페이징이 실현될 수 있는 상황이다. 그 후, 두번의 LBT 절차가 필요하지만, 기준 예시에 비해 페이징 완료까지의 소요 시간은 여전히 감소한 것이 된다.
복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가 MCOT(405)에 포함되는 경우, MCOT(405)의 지속시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때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 시분할 다중화의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 및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인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스펙트럼 활용도가 높을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단지 몇 개의 MCOT(405) 내에 페이징 완료를 가능해진다. 인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4004, 4005) 사이에 심벌을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11은 페이징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보여준다. 도 11의 시나리오에서, SS 버스트(150) 및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UE(101)의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1)에 따라, 즉, PO(202)들에서 통신이 일어난다.
도 11은 UE의 동작에 관한 양태를 보여주며, 상세하게는 3101에서, UE가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의 수신시도(471)를 실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수신시도(472)를 추가로 실행한다. 여기서, 상기 수신시도(471)는 MCOT(405)의 제1 부분(411)과 시간 정렬되며, 상기 수신시도(472)는 MCOT(405)의 제2 부분(412)에 시간 정렬된다.
상기 수신시도(471)의 결과에 기초하여, 그리고 선택적으로 수신시도(472)의 결과에 기초하여, 백오프(470)가 활성화되거나 활성화되지 않는다(선택적으로 활성화됨). 상기 백오프(470)는 백오프 지속시간 후에 추가 수신시도(471, 472)를 가능하게 한다. 상기 수신시도(471)의 결과를 참고함으로써, BS(112)에서 LBT 절차의 전송시도가 실패하였는지, 다른 한편으로 네트워크 페이징의 결손이 있었는지에 대한 신뢰성 있는 식별이 가능해진다.
도 11의 예에서, 3101에서 두개의 수신시도(471 및 472)에서 모두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 경우, 즉, UE(101)가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 및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를 본다. 이는 BS(112)에서 LBT 절차의 대응하는 송신 시도 역시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음을 의미한다. 수신시도(471)의 결과 및 수신시도(472)의 결과에 기초하여, 오프 구간(372)을 활성화한다. 보다 상세하게, 3101에서의 페이징은 UE(101)에 대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른 UE에 대한 것이다. 따라서, UE(101)는 접속모드(301, 302)로 천이하지 않고, 오히려 DRX 사이클(370)의 오프 구간(372)을 활성화시킨다. 상기 UE(101)는 페이징 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계속 접속 해제모드(303)에서 동작한다.
다음 PO(202)인 3102에서, UE(101)는 다시 수신시도(471, 472)를 실행한다. 상기 수신시도(471, 472)들 모두 실패로서, 즉, 각각의 결과가 부정적인 경우로서, 상기 수신시도(471) 실패는 백오프(470) 활성화를 트리거링한다(도 7 참조). 비록 어떠한 네트워크 페이징이 없더라도, BS(112)에서의 전송시도가 긍정적이었다면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가 전송될 것이라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하지만,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를 겨냥한 후속하는 수신시도(471) 역시 실패할 것이므로, 상기 BS(112)에서의 실패한 전송시도 때문에 백오프(470)를 실행하였다고 결론할 수 있게 된다.
백오프(470) 후에, UE(101)는 3103에 다시 수신시도(471, 472)를 실행하고, 이때 긍정적인 결과를 얻는다. 3103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UE(101)에 대한 페이징을 나타내며, 이는 후속하여 접속모드(301, 302)(도 11에 미도시)로의 천이를 일으킨다.
도 11의 시나리오에서는 상기 백오프(470)에서 백오프 타이머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3102 및 3103은 동일 PO(202)의 부분들이다. 특히, 3102에서 수신시도(471, 472)와 3103에서의 수신시도(471, 472) 사이에서, UE(101)의 수신기는 계속해서 활성상태(382)에서 동작한다. 즉, 백오프 타이머는 온 구간(371) 보다 짧게 설정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인접하는 MCOT(405) 사이의 지속 시간(406)이 온 구간(371) 보다 짧기 때문에 가능하며 특히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규제 조건 또한 이에 부합한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상기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1)을 수정할 필요는 없다. 경우에 따라,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의 수정이 바람직할 수 있는데, 이러한 시나리오는 도 12와 관련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페이징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보여주며, 시간-주파수 자원은 개방형 스펙트럼(409)에 대한 것이다. 도 12의 시나리오에서, SS 버스트(150) 및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UE(101)의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1)에 따라서, 즉, PO(202)에 전달된다.
도 12는 UE의 동작에 대한 양태를 보여준다. 도 12의 시나리오는 전체적으로 도 11의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그러나, 도 12의 시나리오에서는,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1)은 타이밍 스케줄(375-2)을 얻도록 수정된 것이다. 따라서, 3112에서 실패한 수신시도(471)에 응답하여, 타이밍 스케줄(375-2)이 활성화되고 타이밍 스케줄(375-1)은 비활성화된다. 상기 타이밍 스케줄(375-2)은 타이밍 스케줄(375-1)과 비교하면 더 짧은 오프 구간(372)을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밍 스케줄(375-1)의 오프 구간(372)은 타이밍 스케줄(375-2)의 오프 구간(372)의 정수배로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타이밍 스케줄(375-1)은, 오프 구간(372)을 연장함으로써 통상의 DRX 사이클에 비하여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소위 보강된(enhanced) DRX 사이클에 따를 수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3112에서 실패한 수신시도(471, 472)에 응답하여, 오프 구간(372)이 활성화된다. 즉, UE(101)의 수신기가 비활성상태(384)로 천이된다(도 5 참조). 상기 수신시도(471) 뿐만 아니라 수신시도(472)가 모두 실패하기 때문에, BS(112)에서의 전송시도는 실패한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게 된다.
도 13은 페이징 및 동기화를 위한 시간-주파수 자원의 할당을 나타내며, 시간-주파수 자원은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것이다. 도 13의 시나리오에서, SS 버스트(150) 및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UE(101)의 DRX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1)에 따라, 즉, PO(202)에서 전송된다.
도 13은 UE의 동작에 관한 양태를 보여주며, 도 13의 시나리오는 전체적으로 도 12의 시나리오에 대응한다. 도 13의 시나리오는 3121에서 수신시도(471)가 성공하지만 다른 수신시도(472)는 실패한다. 이는 네트워크 페이징의 결손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150)가 수신시도(471)의 일부로서 수신될 수 있으므로, UE(101)는 BS(112)에 의한 전송시도 또한 성공한 것으로 결론 내릴 수 있게 된다. 결국, 수신시도(471)가 성공이고 수신시도(472)는 실패이기 때문에, 타이밍 스케줄(375)의 오프 구간(372)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여러 경우에 대응한 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4의 방법은 예를 들어, BS(112)의 제어회로(1121, 112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도 14의 방법은 UE(101)의 제어회로(1011, 1015)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선택적 블록인 5001에서, PO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PO는 UE의 DRX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의 온 구간과 일치할 수 있다(도 5, 도 6 및 도 10 참조).
PO에 도달하면, 상기 방법이 블록 5002에서 시작하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가 전송된다. 상기 복수의 SS 버스트는 예를 들어,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 시분할 다중화의 적어도 하나의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 블록 5002에서, B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송신할 수 있고 U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한가지만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블록 5003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가 전송되며, 예를 들어, 페이징 지시자 및/또는 페이징 메시지가 전송될 수 있다(도 6 및 도 7 참조). 블록 5003에서, BS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송신할 수 있고 UE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한가지만 실행될 수도 있다.
블록 5002 및 5003은 BS의 전송시도 및 UE의 수신시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5002, 5003)들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하나의 공통 MCOT 안에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공통 MCOT 안에 블록 5002의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 및 블록 5003의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를 연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도 8 및 도 9 참조).
선택적 블록인 5004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SS 버스트가 전송된다. 상기 블록 5004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SS 버스트는 PO로부터 타임-오프셋되어 전송된다. 같은 방식으로 블록 5001에서 PO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블록 5004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SS 버스트 역시 전송된다. 상기 블록 5004의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SS 버스트 및 블록 5002의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는, 예를 들어,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 상이한 대역폭에 할당될 수 있다(도 10 참조).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도 15의 방법은 UE(101)의 제어회로(1011, 1015)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5의 방법은 도 14의 방법과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블록 5051은 도 14의 블록 5001에 대응한다.
블록 5052는 도 14의 블록 5002에 대응하며, 블록 5051에서 PO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될 경우, 블록 5052에서 제1 수신시도가 실행된다. 상기 수신시도의 실행 중에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준신호 청취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 5053은 블록 5003에 대응하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에 대한 제2 수신시도가 실행된다.
도 15의 시나리오에서, PO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시도가 실행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해당 수신기는 비활성상태에서 동작할 수 있다(도 5 참조).
블록 5052, 5053에서의 제1 및 제2 수신시도를 실행함으로써, 실패한 송신 시도가 있었는지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의 페이징 결손이 있는지를 식별될 수 있게 된다. 이 시나리오에 관하여 도 16에 더 상세히 보여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예에 따른 방법의 흐름도이며, 도 16의 방법은 예를 들어, UE(101)의 제어회로(1011, 1015)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블록 5011은 도 14의 블록 5001에 대응한다.
블록 5011에서 PO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 5012에서 DRX 사이클의 타이밍 스케줄의 온 구간이 활성화된다. 이는 UE의 수신기를 활성상태로 동작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도 5 참조), 그에 따라 페이징 신호를 수신하기에 적합하게 된다.
블록 5013은 도 15의 블록 5052에 대응하며, 여기서는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에 대한 수신시도를 실행한다.
블록 5014는 도 15의 블록 5053에 대응한다.
블록 5015에서 제1 수신시도가 긍정적 결과를 갖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블록 5013에서 적어도 하나의 SS 버스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 5015에서, 제1 수신시도가 성공으로 판정되면, 블록 5016이 실행된다.
블록 5016에서, 제2 수신시도의 성공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블록 5014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블록 5016에서, 블록 5014의 제2 수신시도가 긍정적인 결과를 갖는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 5017에서, 페이징이 해당 UE에 대한 것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당해 페이징 신호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UE 아이덴티티들과 상기 UE 자신의 아이덴티티와 비교할 수 있을 것이다.
블록 5017에서, 상기 네트워크가 당해 UE에 대해 페이징을 시도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 5022가 실행된다. 블록 5022에서 예를 들어, RA 절차를 통해 접속모드로의 천이를 실행한다(도 4 참조).
블록 5017에서, 상기 네트워크가 당해 UE를 페이징 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 5018에서, DRX 사이클의 오프 구간이 활성화된다. 이는 비활성상태(도 5 참조)로 상기 UE의 수신기를 동작시키는 것에 해당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블록 5016에서, 제2 수신시도가 성공하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네트워크가 어떤 UE에도 페이징하지 않기 때문에 블록 5018이 실행된다.
블록 5015에서, 제1 수신시도가 성공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 블록 5019에서 백오프가 활성화되며, 블록 5019에서, 백오프가 실행된다(때로는 또한 LBT 백오프라고 칭함). 일반적 룰에 따라 상기 백오프를 실행하는데는 다양한 전략이 선택 가능하다. 그 중 하나는 백오프 타이머를 활성화하는 것를 포함한다. 또다른 전략으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5020에서 DRX 사이클의 부가적인 타이밍 스케줄을 활성화시키는 것이 있다. 블록 5021에서, DRX 사이클의 현재 활성화된 부가적인 타이밍 스케줄의 오프 구간이 백오프보다 더 짧은지 여부를 확인한다. 더 짧다면, 현재 활성화된 추가 타이밍 스케줄의 오프 구간이 블록 5018에서 활성화되고; 그렇지 않다면, DRX 사이클의 오프 구간을 활성화시키지 않고 백오프 타이머가 활성화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블록 5013은 동일한 PO 안에서 재실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의 설명을 정리하면, 본 발명은 개방형 스펙트럼 통신에서 페이징과 관련하여 LBT의 영향을 제한하는 기술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방형 스펙트럼에서 하나의 MCOT에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와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를 연쇄시켜 전송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네트워크 노드는 LBT 절차를 이용하여 현 시점에 의도하는 시간에 소정의 수신기와 통신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도 있다. 이것은 LBT 실패이고 그에 따라 백업 절차를 트리거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설명된 다양한 기술은 라이센스가 필요없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 적정한 SS가 라이센스 대역에 적용되는 3GPP NR 방식대로 또는 그에 기초하여 설게될 수 있을 것이라는 발견에서 착상된 것이다. 그러나, 일부 스펙트럼 상 특성과 규제 정책들, 예를 들어, LBT로 인한 채널 가용성의 불확실성 등에 따라 특정 해법이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실제로 액세스 규정의 측면에서, SS 블록 및 RA 신호 등의 전송 대역폭은 많은 경우 비-라이센스 대역의 명목상 채널 대역폭보다 좁다. 따라서 전송을 위한 주파수 영역의 설계 내지 할당은 이같은 조건에 맞추어 설계되어야 한다.
채널 액세스 측면에서 보면, 제어 시그널링에 따른 LBT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는 MCOT를 이용하여 SS 및 RA 프리앰블, RA Msg2/3/4와 같은 초기 액세스를 위한 제어신호(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들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해법들은 개방형 스펙트럼의 다양한 채널 액세스 조건들에 비추어 라이센스 대역에서의 NR 제어신호 설계에 수정이 필요하다는 발견에 기초하였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의 요소는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전송에 적합한 SS 버스트 전송 등 제어 시그널링의 설계를 제공하는 것이며 개방형 스펙트럼에서의 채널 경합과 채널 점유시간을 감안하였다. PDSCH 상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또는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와 같은 다른 전송 등을 SS 버스트와 다중화함으로써, 시그널링 대역폭 측면에서 바람직하고 LBT 오버헤드를 줄이는데 기여하도록 하였다. 나아가 RA 단계의 수(예를 들어, 2-단계 RA 절차)를 줄이거나 RA 절차와 관련된 전송을 보장하는 것에 의하여 LBT 실패로 인한 RA 실패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설명된 기술들은 채널 액세스 규제정책 조건에 부합하면서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전송에 적합한 제어 시그널링의 맞춤형 설계를 제공할 것이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들을 설명한 것이다:
예 1. 기지국(112)을 동작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를 단말(101)로 송신하는 단계, 및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단말(101)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예 2. 단말(101)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제1 수신시도(471)를 실행하는 단계, 및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제2 수신시도(472)를 구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하나의 공통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서 실행되는 것인, 방법.
예 3. 예 2의 방법에 있어서:
- 제1 수신시도(471)의 제1 결과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추가적인 제1 수신시도(471) 및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추가적인 제2 수신시도(472)를 위한 백오프(47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4. 예 3의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신시도(471)가 실패하는 경우, 백오프(470)가 활성화되고,
제1 수신시도(471)가 성공하는 경우, 백오프(470)가 활성화되지 않는 것인, 방법.
예 5. 예 3 또는 4의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신시도(471) 및 제2 수신시도(472)는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구현되고,
상기 방법은 또한:
- 상기 제1 결과에 따라, 그리고 상기 제2 결과에 따라: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오프 구간(37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6. 예 5의 방법에 있어서,
오프 구간(372)은 적어도 제1 수신시도(471)가 성공하고 제2 수신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예 7. 예 3 내지 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백오프(470)는 백오프 타이머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8. 예 3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제1 수신시도(471) 및 제2 수신시도(472)는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실행되고:
백오프(470)는 상기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비해 더 짧은 오프 구간(372)을 포함하는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추가적인 타이밍 스케줄(375-2)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9. 예 1 내지 예 8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들(150)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인, 방법.
예 10. 예 9의 방법에 있어서:
-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지속 시간의 상기 결정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주파수-재사용률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11. 예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1 대역폭(451)을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제1 부분(411)에서 전송되고,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제1 대역폭(451)과는 상이한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2 대역폭(452)을 사용하여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제2 부분(412)에서 전송되며,
상기 제2 부분(412)은 상기 제1 부분(411) 후에 전송되는 것인, 방법.
예 12. 예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1 대역폭(451)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방법은 또한: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추가 대역폭(453)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A)를 단말(101)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대역폭(453)은 상기 제1 대역폭(451)보다 작은 것인, 방법.
예 13. 예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복수의 페이징 신호들(4004, 4005)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징 신호들(4004, 4005)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 시분할 다중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인, 방법.
예 14. 예 1 내지 13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페이징 지시자(400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페이징 지시자(4004)와 연관되고 페이징 지시자(4004) 후에 전송되는 페이징 메시지(4005)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예 15. 예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 및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전송되는 것인, 방법.
예 16. 예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 및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인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전송되는 것인, 방법.
예 17. 제어회로(1121, 1125)를 포함하는 기지국(112)으로서,
상기 제어회로(1121, 1125)는: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를 단말(101)로 전송하고,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단말(101)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112).
예 18. 예 17의 기지국(112)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예 1 및 예 9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112).
예 19. 제어회로(1011, 1015)를 포함하는 단말(101)로서,
상기 제어회로(1011, 1015)는: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제1 수신시도(471)를 실행하고,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제2 수신시도(472)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제2 수신시도는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하나의 공통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실행되는 것인, 단말(101).
예 20. 예 19의 단말(101)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011, 1015)는 예 2 내지 16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단말(101).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소정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는 바에 따라 등가물과 변경가능한 예시들이 떠오를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등가물과 변경예들을 포함하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만으로 한정된다 할 것이다.
예를 들면, 위에서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 및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가 개방형 스펙트럼의 하나의 공통 MCOT로 연쇄되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설명하였다. 일부 시나리오의 경우, UE와 BS 간의 시간-동기화를 위해 단일 SS를 수신하는 것으로 충분하게 되며, 이러한 시나리오에서는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SS 신호 및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를 하나의 공통 MCOT 내에 연쇄시키는 것으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더 예를 들면, BS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 및 하나 이상의 기준신호를 개방형 스펙트럼의 하나의 공통 MCOT 내에 연쇄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SS 또는 SS 버스트들이 하나 이상의 기준 신호들을 구현하는 하나의 방법이겠지만, 다른 방식으로 다른 종류와 유형의 기준신호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부 기준신호는 시간 동기화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여전히 본 발명에 따라 UE는 BS에 의한 실패한 전송시도인지 또는 페이징 결손에 의한 것인지에 대하여 식별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나아가 또 다른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페이징 신호 및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를 하나의 공통 MCOT 내에 연쇄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다양한 기술을 설명하였지만, 유사한 기술로서 다른 종류 및 유형의 신호를 하나의 공통 MCOT에 연쇄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를 하나의 공통 MCOT 내에 연쇄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또 예를 들어, 상기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액세스 신호에 RA 프리앰블 또는 RA 메시지2를 포함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다른 예로서, 하나 이상의 SS 버스트 및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메시지를 하나의 공통 MCOT 내에 연쇄시키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모두 하나 이상의 신호를 하나의 공통 MCOT에 연쇄시킴으로써 전반적으로 LBT 실패로 인한 복수의 전송시도의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본 발명의 발견에 기초한다 할 것이다.
또한 위의 본 발명에 대한 예시들은 3GPP NR 5G 네트워크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에 따라 설명되었지만, 다른 종류와 유형의 다양한 네트워크에 대해서도 비슷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기지국(112)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burst)(150)를 단말(101)로 송신하는 단계, 및
    -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paging) 신호(4004, 4005)를 상기 단말(101)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단말(101)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제1 수신시도(471)를 실행하는 단계, 및
    -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제2 수신시도(472)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제2 수신시도는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하나의 공통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서 실행되는 것인,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 상기 제1 수신시도(471)의 제1 결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추가적인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추가적인 제2 수신시도(472)를 위하여 백오프(backoff)(470)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제2 수신시도(472)는 상기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실행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제1 결과에 따라, 그리고 상기 제2 결과에 따라: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오프(OFF) 구간(372)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 구간(372)은 적어도 상기 제1 수신시도(471)가 성공하고 상기 제2 수신시도가 실패하는 경우에 활성화되는 것인, 방법.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시도(471)가 실패하는 경우 상기 백오프(470)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1 수신시도(471)가 성공하는 경우, 상기 백오프(470)는 활성화되지 않는 것인, 방법.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백오프(470)는 백오프 타이머를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제2 수신시도(472)는 상기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구현되고:
    상기 백오프(470)는 상기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비해 더 짧은 오프 구간(372)을 포함하는 상기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추가적인 타이밍 스케줄(375-2)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복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들(150)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송신되는 것인,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지속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 및
    -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상기 지속 시간의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주파수 분할 다중화의 주파수-재사용률을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1 대역폭(451)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제1 부분(411)에서 전송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제1 대역폭(451)과는 상이한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2 대역폭(452)을 사용하여 상기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의 제2 부분(412)에서 전송되며,
    상기 제2 부분(412)은 상기 제1 부분(411) 후에 전송되는 것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는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제1 대역폭(451)을 사용하여 전송되고,
    상기 방법은 또한:
    -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추가 대역폭(453)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A)를 상기 단말(101)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추가 대역폭(453)은 상기 제1 대역폭(451)보다 작은 것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복수의 페이징 신호들(4004, 4005)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페이징 신호들(4004, 4005)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및 시분할 다중화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하여 전송되는 것인,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페이징 지시자(4004)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페이징 지시자(4004)와 연관되고 상기 페이징 지시자(4004) 다음에 송신되는 페이징 메시지(4005)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상기 단말(101)의 불연속 수신 사이클(370)의 타이밍 스케줄(375, 375-1)에 따라 전송되는 것인,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는 인접하는 시간-주파수 자원들에서 전송되는 것인, 방법.
  17. 제어회로(1121, 1125)를 포함하는 기지국(112)으로서,
    상기 제어회로(1121, 1125)는:
    -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를 단말(101)로 전송하고,
    -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서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를 상기 단말(101)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112).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제1항 및 제9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기지국(112).
  19. 제어회로(1011, 1015)를 포함하는 단말(101)로서,
    상기 제어회로(1011, 1015)는:
    -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기화 신호 버스트(150)에 대한 제1 수신시도(471)를 실행하고,
    -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페이징 신호(4004, 4005)에 대한 제2 수신시도(472)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수신시도(471) 및 상기 제2 수신시도는 상기 개방형 스펙트럼(409)의 하나의 공통 시간-제한 채널 액세스 인터벌(405)에서 실행되는 것인, 단말(101).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1011, 1015)는 제2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단말(101).
KR1020207026512A 2018-02-16 2019-02-18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KR202001207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1830052 2018-02-16
SE1830052-5 2018-02-16
PCT/EP2019/053983 WO2019158757A1 (en) 2018-02-16 2019-02-18 Paging on an open spectr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0725A true KR20200120725A (ko) 2020-10-21

Family

ID=65516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6512A KR20200120725A (ko) 2018-02-16 2019-02-18 개방형 스펙트럼 상에서의 페이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64201B2 (ko)
EP (1) EP3753322B1 (ko)
JP (1) JP7132343B2 (ko)
KR (1) KR20200120725A (ko)
CN (1) CN111742587B (ko)
WO (1) WO20191587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76189A (zh) * 2018-08-31 2020-03-10 电信科学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网络设备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8095B1 (en) * 2004-03-17 2006-06-28 Alcatel Method for controlling the sleep mode on a mobile terminal, corresponding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radio access node
US9198157B2 (en) * 2009-05-08 2015-11-24 Qualcomm Incorporated Paging for local IP access packets
US20120327790A1 (en) * 2011-06-24 2012-12-27 Mediatek In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coordinating circuit switched (cs) services in packet transfer mode (ptm)
US9408183B2 (en) * 2011-07-25 2016-08-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recep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ith dual SIM
US9967752B2 (en) 2013-08-12 2018-05-08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common channel in an unlicensed or shared spectrum
US9609666B2 (en) * 2014-03-03 2017-03-28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serving a channel for coexistence of U-LTE and Wi-Fi
US10959197B2 (en) 2014-09-08 2021-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ell detection, synchronization and measurement on unlicensed spectrum
US9763189B2 (en) * 2014-11-21 2017-09-12 Qualcomm Incorporated Low power synchroniz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10165544B2 (en) 2015-12-16 2018-12-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paging the wireless device
US10736076B2 (en) * 2016-02-04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aging in unlicensed communication channels
WO2017145120A1 (en) * 2016-02-25 2017-08-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in unlicensed spectrum
EP3434046A1 (en) * 2016-03-24 2019-01-3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cheduling of paging messages with respect to discovery signal transmissions
US10349404B2 (en) * 2016-04-22 2019-07-09 Qualcomm Incorporated Discovery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and decoding and measurement techniqu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7190269A1 (en) * 2016-05-03 2017-11-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Paging method, paging detection method, access node and user equipment
WO2017063359A1 (en) * 2016-05-11 2017-04-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signal transmission
WO2017211682A1 (en) * 2016-06-10 2017-12-14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aging detection window
CN109565842B (zh) 2016-07-20 2022-05-13 日本电气株式会社 用于信息传输和信息接收的方法和装置
US10257860B2 (en) * 2016-10-21 201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nnel access framework for multi-beam operation on the unlicensed spectrum
US10925046B2 (en) * 2017-01-05 2021-02-16 Huawei Technologies Co., Ltd. Signaling indication for flexible new radio (NR) long term evolution (LTE) coexistence
CN108282859B (zh) * 2017-01-06 2020-10-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和装置
EP3585123B1 (en) * 2017-02-16 2023-02-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base station and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700802B2 (en) * 2017-02-21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Variable length reference signaling for fast acquisition in shared spectrum
US11025293B2 (en) * 2017-03-06 2021-06-01 Qualcomm Incorporated Data transmission in synchronization slots
US10736077B2 (en) * 2017-05-05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tion of remaining system information transmission window
CN107071903B (zh) * 2017-06-07 2021-03-26 深圳佰才邦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消息的传输方法及装置
US10652856B2 (en) * 2017-06-22 2020-05-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broadcast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62761B2 (en) * 2017-07-25 2019-10-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S block time locations and SS burst set composition for NR unlicensed spectrum
US10484964B2 (en) * 2017-08-02 2019-11-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paging
WO2019028849A1 (en) * 2017-08-11 2019-02-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SYNCHRONIZATION / FREQUENCY TRACKING TO RECEIVE PAGING
US11129132B2 (en) * 2017-08-23 2021-09-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Flexible paging signal configuration in relation to system access signals
EP3711253A2 (en) * 2017-10-02 2020-09-23 Lenovo (Singapore) Pte. Ltd. Determining paging occasion resources
US11552750B2 (en) * 2017-12-15 2023-01-10 Qualcomm Incorporated Subband-based random access and scheduling request for new-radio-spectrum sharing (NR-SS)
US11457472B2 (en) * 2017-12-18 2022-09-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 access block on stand-alone NR unlicensed spectrum
WO2019143897A1 (en) * 2018-01-19 2019-07-25 Idac Holdings, Inc. Physical random access for nr-u
US20200053781A1 (en) * 2018-08-08 2020-02-13 Idac Holdings, Inc. Ss block methods and procedures for nr-u
US11304229B2 (en) * 2018-12-06 2022-04-12 Qualcomm Incorporated Constraints on no listen-before-talk (LBT) transmission during uplink/downlink (UL/DL) switch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53322B1 (en) 2024-01-10
CN111742587B (zh) 2023-07-07
US11564201B2 (en) 2023-01-24
WO2019158757A1 (en) 2019-08-22
EP3753322A1 (en) 2020-12-23
JP2021514161A (ja) 2021-06-03
CN111742587A (zh) 2020-10-02
JP7132343B2 (ja) 2022-09-06
US20210007076A1 (en) 202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6459B2 (en) Resource management for beam failure recovery procedures
EP3744140B1 (en) Bandwidthpart (bwp) switching during beam failure recovery
US20210410107A1 (en) Wireless Connection State
US8897241B2 (en) Radio resource allocation
CN108462998B (zh) 用于随机接入的基站、用户设备和方法
TWI646858B (zh) 用於支持使用者設備(ue)之方法及存取節點、一ue、及在無線通訊系統中由該ue執行之對應方法
CA3066439A1 (en) Access procedur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CN114145072A (zh) 用于支持大随机接入响应(rar)窗口大小的随机接入过程的方法
JP202101316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節約信号のモニタリング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JP7478751B2 (ja) ダウンリンク制御チャネルのモニタリングに関するユーザ装置
US20200288508A1 (en) Bandwidth Part Operation for Random Access in RRC Connected Mode
US20210185611A1 (en) Support of multiple wake-up-signal-related capabilities
JP2021514569A (ja) ページング手順に関与するユーザ機器および基地局
PH12015500648B1 (en) Power preference indicator timer.
CN116195340A (zh) 用于小数据传输的pdcch监视的方法和装置
CN116134947A (zh) 无线通信中针对小数据传输的随机接入过程的方法和装置
US9930699B2 (en) Providing access control parameters to a user equipment
US20210022078A1 (en) Wake-up transmission on a separate carrier
CN115699908A (zh) 用于侧链路drx操作的方法及设备
US11564201B2 (en) Paging on an open spectrum
EP28168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adio access information
CN113748713A (zh) 增强型随机接入过程的系统和方法
CN114071783A (zh) 由用户设备执行的方法以及用户设备
KR10232119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 동작 방법 및 장치
US20220256611A1 (en) Uplink shared channel assignment in two-step random access proced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