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3131A -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3131A
KR20210053131A KR1020200026696A KR20200026696A KR20210053131A KR 20210053131 A KR20210053131 A KR 20210053131A KR 1020200026696 A KR1020200026696 A KR 1020200026696A KR 20200026696 A KR20200026696 A KR 20200026696A KR 20210053131 A KR20210053131 A KR 20210053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sh switch
detection
module
adjustment assembly
dete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142B1 (ko
Inventor
휘준 왕
허 장
판 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53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3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low voltage devices, e.g. domestic or industrial devices, such as motor protections, relays, rotati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18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inductive devices, e.g. transform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01R15/14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 G01R15/20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 G01R15/202Adaptations providing voltage or current isolation, e.g. for high-voltage or high-current networks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e.g. Hall-effect devices, i.e. measuring a magnetic field via the interaction between a current and a magnetic field, e.g. magneto resistive or Hall effect devices using Hall-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1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D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4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mpensating for or adjusting power factor in converters or inverters
    • H02M1/4208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 H02M1/4233Arrangements for improving power factor of AC input using a bridge converter comprising active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06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 H02M7/068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out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out control electrode mounted on a transform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3Application domotique, e.g. for house automation, bus connected switches, sensors, loads or intelligent wi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 H01H9/167Circuits for remote ind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에 관한 것으로, 플래시 스위치 기술 분야에 해당된다. 이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는 온/오프 검출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온/오프 검출 모듈의 입력단은 플래시 스위치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온/오프 검출 모듈은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검출 전기 레벨을 얻으며, 검출 전기 레벨은 디지털 신호이다. 제어 모듈의 입력단은 온/오프 검출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고,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Description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A circuit for detecting flash switch on/off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래시 스위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에 관한다.
플래시 스위치는 가정용 스마트 기기에 광범하게 사용된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플래시 스위치는 전원과 전기 부하의 연통을 유지하고, 외력을 인가받을 때 플래시 스위치는 전원과 전기 부하의 연통을 차단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플래시 스위치는 신속히 정상 상태로 회복된다.
가정용 스마트 기기는,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기기의 동작 상태를 변경하는 트리거 신호로 한다. 따라서,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검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관련 기술에서 제공되는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검출 방식은 검출 효과가 좋지 않고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하기 힘들다.
본 발명은 관련 기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회로는 온/오프 검출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의 입력단은 플래시 스위치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검출 전기 레벨을 얻으며,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은 디지털 신호이다.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상기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상기 입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인덕션 전기 신호를 얻는 전자기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전자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덕션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전기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조정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포머는 변압기, 홀 센서, 전압 변성기 또는 전류 변성기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조정 어셈블리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상기 조정 어셈블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여 저장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스위치가 차단 상태일 경우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급전하기 위한 에너지 저장소자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급전하기 위한 제1에너지 저장소자 및 상기 조정 어셈블리에 급전하기 위한 제2에너지 저장소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의 용량은 상기 플래시 스위치가 차단 상태일 경우,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위해 적어도 100ms동안 급전하는 요구를 만족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로는 전원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플래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의 출력단은 각각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조정 어셈블리에 연결된다.
제2 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고, 이 전자 기기는 플래시 스위치, 및 상기 제1 양태에 따른 상기 플래시 스위치 검출 회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전기 부하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중의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여 제어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기기에 상기 부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거나 상기 외부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는 적어도 하기와 같은 기술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로는 온/오프 검출 모듈에 의해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검출 전기 레벨을 얻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은 디지털 신호이다. 나아가, 제어 모듈은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확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 회로에 의하면, 제어 모듈이 직접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판단하고, 검출 전기 레벨의 신호 타입을 변환할 필요가 없으며, 검출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검출 회로는 더 정확하고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검출 효과가 최적화 된다.
다음 도면은 명세서에 포함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본 발명에 해당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면서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중 온/오프 검출 모듈이 출력한 검출 전기 레벨의 모식도 이다.
도 3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중 온/오프 검출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의 모식도이다.
도 5a는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변환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5b는 다른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변환 모듈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예시적인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모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 그 사례를 도면에 표시한다. 하기의 서술이 도면에 관련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 경우, 서로 다른 도면에서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서술한 실시 방식은 본 발명에 부합되는 모든 실시 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며, 실시 방식들은 다만 첨부된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한 본 발명의 일부 측면에 부합되는 장치 및 방법의 예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달리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또는 과학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일반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 또는 "하나의" 등과 같은 용어는 수량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의미한다. 달리 지적하는 않는 한, "포함” 또는 "포괄" 등 유사한 용어는 "포함” 또는 "포괄" 앞에 나타난 어셈블리 또는 구성이 "포함” 또는 "포괄" 뒤에 열거된 어셈블리 또는 구성을 커버하거나 동등함을 뜻하고, 다른 어셈블리 또는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연결" 또는 "서로 연결" 등 유사한 용어는 물리적인 연결 또는 기계적인 연결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기적인 연결을 포함하며, 직접적인 연결이나 간접적인 연결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과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식인 "일종의", "상기" 및 "해당"은 문맥상 명확히 기타 의미를 뜻하지 않는 한 복수 형식도 포함된다. 응당 이해해야 할 점은,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한 개 또는 복수 개의 서로 연관되는 열거 항목들 중의 임의 개 또는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에서, 컨트롤러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nalog-to-Digital Converter, ADC) 기술을 이용하여 플래시 스위치에 의한 전기 신호에 대해 샘플링 하여, 디지털 신호를 획득하고, 이 디지털 신호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상태의 변화를 판단한다.
다만, 이러한 검출 방식을 이용하여 검출된 온/오프 검출 결과는 정확도가 높지 않다. 특히, AC계통 전압이 불안정할 경우, 전압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샘플링된 전압의 값과 판단 임계 값이 지나치게 근접하거나 상하 변동하여,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경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와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5b는 서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를 도시한 회로 모식도이고, 도 6은 예시적인 일 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100)는 온/오프 검출 모듈(110) 및 제어 모듈(120)를 포함한다.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입력단은 플래시 스위치(200)를 통해 전원(300)과 연결되고, 온/오프 검출 모듈(110)에 의해 입력 전류가 방사한 전자기 신호에 따라 전기 레벨을 검출한다. 여기서, 검출되는 전기 레벨은 디지털 신호이고, 플래시 스위치(200)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다. 설명해야 할 것은, 플래시 스위치(200)의 사용 상태는 예를 들어, 연통 또는 차단과 같은 정적 사용 상태 일수 있고;예를 들어, 연통으로부터 차단 또는 차단으로부터 연통과 같은 동적 사용 상태일 수도 있다. 아래 이에 대해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전원(300)은 교류 전원이고,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입력 전류는 교류 전기 신호이다. 플래시 스위치(200)의 연통 상태에서, 교류 전기 신호는 변화되는 전자기 신호를 방사한다. 이때,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상기 변화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제1 검출 전기 레벨을 출력하고, 예를 들어 도 2 좌측에 도시된 구형파 신호를 출력한다. 이 구형파 신호는 고 전기 레벨과 저 전기 레벨을 포함하고, 고 전기 레벨과 저 전기 레벨이 변화되는 주파수와 입력된 교류 전기 신호의 주파수는 동일하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 상태일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00)은 전류를 입력하지 않고, 이때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제2검출 전기 레벨을 출력하고, 예를 들어 도 2의 우측에 도시한 저 전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다른 일 예로, 전원(300)은 직류 전원이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연통 상태일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입력 전류는 안정적인 직류 신호이고, 이 입력 전류는 안정적인 전자기 신호를 방사한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 상태일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입력 전류가 없으므로,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연통 상태 또는 차단 상태일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모두 제3 검출 전기 레벨을 출력하고, 예를 들어 저 전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다만, 플래시 스위치(200)가 연통 상태로부터 차단 상태로 변환되거나 차단 상태로부터 연통 상태로 변환될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입력 전류는 변화되는 직류 신호이고, 이 변화되는 직류 신호는 변화되는 전자기 신호를 방사한다.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이 변화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제4 검출 전기 레벨을 출력하며, 예를 들어 고 전기 레벨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 모듈(120)의 입력단은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출력단과 연결되고,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한다. 또한, 제어 모듈(120)은 수신된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직접 플래시 스위치(200)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확정한다.
선택적으로, 제어 모듈(120)은 미리 설정된 전기 레벨 임계 값에 따라 현재 수신된 신호가 고 전기 레벨인지 저 전기 레벨인지 판단하고, 이로써 수신된 검출 전기 레벨의 타입(예를 들어, 구형파 신호, 고 전기 레벨 신호, 또는 저 전기 레벨 신호)을 확정한다. 나아가, 제어 모듈(120)은 검출 전기 레벨의 타입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200)의 상태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전기 레벨 임계 값은 필요에 따라 설정하고, 고 전기 레벨과 저 전기 레벨을 구분할 수만 있으면 된다.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의 예시와 결합하여 살펴보면, 전원(300)이 교류 전원일 경우, 제어 모듈(120)이 제1 검출 전기 레벨이 수신되면 플래시 스위치(200)가 현재 연통 상태인 것을 의미하고. 제어 모듈(120)이 제2검출 전기 레벨이 수신되면 플래시 스위치(200)가 현재 차단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전원(300)이 직류 전원일 경우, 제어 모듈(120)이 제4 검출 전기 레벨이 수신되면 플래시 스위치(200)의 상태가 1회(연통으로 부터 차단, 또는 차단으로부터 연통으로의 변환)변화된 것을 나태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래시 스위치 검출 회로는 입력 전류에 따라 방사한 전자기 신호에 의해 플래시 스위치(200)온/오프 상태 변화를 나타낼 수 있는 검출 전기 레벨을 얻는다. 그리고 제어 모듈(120)은 직접 검출 전기 레벨에 따라 플래시 스위치(200)의 온/오프 상태를 확정한다. 이러한 방식은 플래시 스위치(200)의 상태 변환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회로의 제어 모듈(120)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기술을 이용하여 검출 전기 레벨에 대해 샘플링할 필요가 없고, 샘플링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차를 피면하고, 검출 정확도를 향상 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전자기 트랜스포머(111)와 조정 어셈블리(112)를 포함한다. 전자기 트랜스포머(111)의 입력단은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입력단이고, 조정 어셈블리(112)의 출력단은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출력단이다.
전자기 트랜스포머(111)는 입력 전기 신호를 수신하는데 사용되고, 입력 전기 신호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따라 인덕션 전기 신호를 얻는다. 전자기 트랜스포머(111)는 변압기, 홀 센서, 전압 변성기 또는 전류 변성기 중의 적어도 하나이다. 전자기 트랜스포머(111)가 출력하는 인덕션 전기 신호는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이다.
조정 어셈블리(112)는 전자기 트랜스포머(11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인덕션 전기 신호를 검출 전기 레벨로 변환하는데 사용된다. 선택적으로, 조정 어셈블리(112)는 신호 증폭 회로이고, 연산 증폭기를 포함한다. 연산 증폭기의 비교와 증폭하는 기능에 의해 전자기 트랜스포머(111)가 출력하는 인덕션 전기 신호를 검출 전기 레벨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100)는 전원 변환 모듈(130)을 더 포함한다. 전원 변환 모듈(130)의 입력단은 플래시 스위치(200)를 통해 전원(300)과 연결되고, 출력단은 각각 제어 모듈(120)과 조정 어셈블리(112)에 연결된다.
제어 모듈(120)과 조정 어셈블리(112)에 급전하기 위하여, 전원 변환 모듈(130)에 의해 교류를 안정적인 직류로 변환시킨다. 특히, 조정 어셈블리(112)가 능동 신호 증폭 회로를 포함할 경우, 전원 변환 모듈(130)에 의해 조정 어셈블리(112)의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도 5a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변환 모듈(130)은 직류-교류 변환 유닛(131), 제1직류-직류 변환 유닛(132) 및 제2직류-직류 전환 유닛(133)을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직류-직류 변환 유닛(132)과 제2직류-직류 전환 유닛(133)은 병렬 연결된다. 또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직류-직류 변환 유닛(132) 및 제2직류-직류 전환 유닛(133)은 직열 연결된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연통 상태에서 전원 변환 모듈(130)에 의해 조정 어셈블리(112)와 제어 모듈(120)의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다만, 조정 어셈블리(112)와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되는 순간, 즉 동작할 수 없을 경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검출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한다.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하면, 온/오프 검출 모듈(110)은 조정 어셈블리(112)와 연결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예를 들어, 단일 칩 마이크로 컴퓨터)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와 조정 어셈블리(112)에 연결되는 에너지 저장소자(114)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온/오프 검출 모듈(110)의 출력단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의 출력단이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 상태일 경우, 에너지 저장소자(114)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와 조정 어셈블리(112)에 급전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113)는 또한 조정 어셈블리(11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되고, 전원 변환 모듈(130)이 전원(300)을 위하여 조정 어셈블리(112)와 제어 모듈(120)에 급전할 수 없을 경우, 에너지 저장소자(114)를 이용하여 조정 어셈블리(112)의 정상적인 동작을 유지하고, 조정 어셈블리(112)가 출력하는 검출 전기 레벨을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에 저장한다. 플래시 스위치(200)가 연통 상태로 회복되면, 전원 변환 모듈(130)은 제어 모듈(120)에 급전하고, 제어 모듈(12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에 저장된 검출 전기 레벨을 판독할 수 있어, 플래시 스위치(200)의 온/오프 상태가 이미 1회 변화된 것이 검출된다. 이 방식에 의해, 차단으로 인한 검출 누락을 피면하고, 전체적인 검출 회로의 검출 정확도 및 동작 안정성을 향상 시킨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소자(114)의 용량은 플래시 스위치(200)가 차단 상태일 경우, 조정 어셈블리(112)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에 적어도 100ms 동안 급전해야 하는 요구를 만족한다. 이에 근거하여, 조정 어셈블리(112)가 검출 전기 레벨을 출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113)가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확보하고, 전원이 차단된 후 계속 모니터링하는 것을 실현한다.
에너지 저장소자(114)의 구현 방식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에너지 저장소자(114)는 조정 어셈블리(112)에 급전하는 제1에너지 저장소자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113)에 급전하는 제2 에너지 저장소자를 포함한다. 그리고 에너지 저장소자(114)는 커패시턴스일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이 전자 기기는 플래시 스위치(200), 상기 제1 양태에서 기재된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1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전자 기기는 전기 부하(400)를 더 포함한다.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100) 중의 제어 모듈(120)은 또한 플래시 스위치(200)의 온/오프에 따라 전기 부하(400)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여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으로, 전자 기기가 조명 기기일 경우, 전기 부하는 발광 장치이다. 이때,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스위치의 1회 온/오프 상태 변화에 따라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조명 상태 또는 비 조명 상태로 조정하여 제어한다. 또는, 제어 모듈(120)은 플래시 스위치의 1회 온/오프 상태 변화에 따라 전자 기기의 동작 상태를 제1 밝기 조명 상태나 제2 밝기 조명 상태로 조정하여 제어한다.
물론, 상기 전자 기기는 스마트 주전자, 스마트 스피커, 스마트 TV 등 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전자 기기는 통신 모듈(500)을 더 포함한다. 통신 모듈(500)은 전기 부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외부 기기에 송신하거나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하는 제어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모듈(500)은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100) 중의 제어 모듈(120)에 연결되며, 양자 사이의 정보 전송을 구현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전자 기기와 협력하여 사용하는 상위 기기이고, 예를 들어 휴대 폰, 개인용 컴퓨터, 게이트웨이 등이다. 이러한 방식을 이용하여, 전자 기기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전자 기기를 모니터링하도록 현재 동작 상태를 외부 기기에 업로드할 수 있고, 이로써 기기의 사용 안전을 확보하고 사용자의 체험감을 최적화한다.
여기서, 통신 모듈(500)은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예컨대, ZigBee 통신 모듈, BLE 통신 모듈, Wifi통신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또는 ISM주파수 대역 통신 모듈이다.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시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방안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본 출원의 취지는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인 변화를 포함하고,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적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에 따르고, 본 출원이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다음의 특허청구 범위에 의해 결정된다.

Claims (10)

  1. 온/오프 검출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의 입력단은 플래시 스위치를 통해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근거하여 검출 전기 레벨을 얻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은 디지털 신호이며,
    상기 제어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에 근거하여 상기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를 확정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상기 입력 전류를 수신하고, 상기 입력 전류가 방사하는 전자기 신호에 근거하여 인덕션 전기 신호를 얻는 전자기 트랜스포머; 및
    상기 전자기 트랜스포머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인덕션 전기 신호를 상기 검출 전기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조정 어셈블리;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 트랜스포머는 변압기, 홀 센서, 전압 변성기 또는 전류 변성기 중의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조정 어셈블리는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 검출 모듈은,
    상기 조정 어셈블리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검출 전기 레벨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연결되고, 상기 플래시 스위치가 차단 상태일 경우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급전하는 에너지 저장소자; 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급전하는 제1에너지 저장소자; 및
    상기 조정 어셈블리에 급전하는 제2에너지 저장소자; 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저장소자의 용량은, 상기 플래시 스위치가 차단 상태일 경우, 상기 조정 어셈블리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대해 적어도 100ms 동안 급전하는 요구를 만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는 전원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의 입력단은 상기 플래시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전원에 연결되고, 상기 전원 변환 모듈의 출력단은 각각 상기 제어 모듈과 상기 조정 어셈블리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8. 플래시 스위치, 및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전기 부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중의 제어 모듈은 또한 상기 플래시 스위치의 온/오프 상태 변화에 따라 상기 전기 부하의 동작 상태를 조정하여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기기는 무선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은, 외부 기기에 상기 전기 부하의 동작 상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상기 외부 기기가 송신하는 제어정보를 수신한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200026696A 2019-11-01 2020-03-03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 KR1024201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1060939.6A CN110726931A (zh) 2019-11-01 2019-11-01 闪断开关通断检测电路及电子设备
CN201911060939.6 2019-11-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3131A true KR20210053131A (ko) 2021-05-11
KR102420142B1 KR102420142B1 (ko) 2022-07-12

Family

ID=69176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6696A KR102420142B1 (ko) 2019-11-01 2020-03-03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874326B2 (ko)
EP (1) EP3817023A1 (ko)
KR (1) KR102420142B1 (ko)
CN (1) CN1107269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9305B (zh) * 2022-10-27 2023-06-20 东方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压板状态检测系统
CN116709613A (zh) * 2023-05-24 2023-09-05 日炀(东莞)电子科技有限公司 工程建筑用器材设备及电子电路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697B2 (ja) * 2013-02-06 2016-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噴射特性取得装置、及び噴射特性取得方法
KR101741945B1 (ko) * 2016-01-14 2017-05-3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전력량 통합관리 시스템
JP2017220859A (ja) * 2016-06-09 2017-12-14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状態判定装置
CN109951928A (zh) * 2018-04-26 2019-06-28 青岛亿联客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闪断检测控制装置、包括其的电子设备及系统
CN110286624A (zh) * 2019-07-04 2019-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控制模组、无线墙壁开关、用电设备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697B2 (ja) 1988-02-29 1994-01-12 株式会社東芝 スイッチオンオフ検出装置
US9036320B1 (en) 2013-12-02 2015-05-19 Elbex Video Ltd. Mechanical latching relays and hybrid switches with latching relays for use in electrical automation
AT519064A1 (de) * 2016-08-22 2018-03-15 Ing Michael Meth Dipl Lichtquellenschaltungseinrichtung
DE102017115735B4 (de) 2017-07-13 2020-03-05 Moosburger Logistics Network And Development Kg Steuer-Schaltmodul für eine Gebäudesteuerungseinrichtung und eine solche Gebäudesteuerungseinrichtung
CN207460027U (zh) * 2017-11-08 2018-06-05 东莞市赛因电源有限公司 隔离型双向dc/ac电源
CN109041373A (zh) 2018-07-12 2018-12-18 青岛亿联客信息技术有限公司 闪断开关检测电路及智能灯具
WO2020211114A1 (zh) * 2019-04-19 2020-10-22 青岛亿联客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闪断开关控制系统及其输入闪断检测电路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3697B2 (ja) * 2013-02-06 2016-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噴射特性取得装置、及び噴射特性取得方法
KR101741945B1 (ko) * 2016-01-14 2017-05-31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채널 전력량 통합관리 시스템
JP2017220859A (ja) * 2016-06-09 2017-12-14 ローム株式会社 スイッチ状態判定装置
CN109951928A (zh) * 2018-04-26 2019-06-28 青岛亿联客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闪断检测控制装置、包括其的电子设备及系统
CN110286624A (zh) * 2019-07-04 2019-09-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无线控制模组、无线墙壁开关、用电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874326B2 (en) 2024-01-16
KR102420142B1 (ko) 2022-07-12
CN110726931A (zh) 2020-01-24
EP3817023A1 (en) 2021-05-05
US20210132149A1 (en)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09122B (zh) 电源传输控制模块
US9203345B2 (en) Power supply circuit, power supply system,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10574059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mbiner box
US10020794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apparatus having power transmitter apparatus and power reception apparatus supplied with electric power energy via space
KR20210053131A (ko) 플래시 스위치 온/오프 검출 회로 및 전자 기기
US9577632B2 (en) Wireless switching circuit
US20090195085A1 (en) Alternating current power source
MX2007013561A (es) Regulador de voltaje para su uso con un interruptor de triple accion.
EP3413426A1 (en) Hub
US20180166901A1 (en) Energy-harves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ATE318464T1 (de) Leistungsverstärker (pa) mit verbesserter leistungsregelung
CN111435147B (zh) 可自动检测与调整零点相位的切换装置
CN111614275B (zh) 电源转换装置
US9741503B2 (en) Control circuit of switch device
US11864291B2 (en) LED control circuit and LED illumination system
CN108882431B (zh) 电源供应装置
US9584023B2 (en) Voltage converter
TW202046591A (zh) 電力負載分配系統
CN211402638U (zh) 闪断开关通断检测电路及电子设备
CN213461563U (zh) 电源恒流控制电路及装置
CN105302186A (zh) 一种设备供电控制装置
CN101369778B (zh) 开关电源及其供电方法
KR101964628B1 (ko) 별도의 배선추가 없이 교류전원 벽스위치를 이용한 led 조명제어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541998B2 (en) Switching converter circuit
US10152038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ically operate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